KR102371030B1 - 도서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도서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030B1
KR102371030B1 KR1020200102629A KR20200102629A KR102371030B1 KR 102371030 B1 KR102371030 B1 KR 102371030B1 KR 1020200102629 A KR1020200102629 A KR 1020200102629A KR 20200102629 A KR20200102629 A KR 20200102629A KR 102371030 B1 KR102371030 B1 KR 102371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ook
motor
transpor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2004A (ko
Inventor
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이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이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이콤
Priority to KR1020200102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030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65G13/10Switch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02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articles, e.g.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8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86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moving the materials over supporting surfaces by impeller means, e.g. 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도서 이송 장치는 복수의 바퀴 축들 및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고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전환이 가능한 복수의 이송 바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의 회전으로 상기 복수의 이송 바퀴들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복수의 이송 바퀴들의 상부에 안착되는 도서를 상기 복수의 이송 바퀴들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 어레이,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이송 바퀴들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방향 이송 구동부, 및 복수의 롤러 체인들을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롤러 체인들에 이송 브라켓을 링크하여 상기 이송 브라켓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도서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2 방향 이송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서 이송 장치 {BOOK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도서 반납기의 도서 이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납되는 도서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여 적재함에 적재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도서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공공기관 등에서 운영하는 각 도서관에는 학생 및 일반인들을 위해 대량의 학술 및 일반 도서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도서관을 이용하기 위한 학생 및 일반인들은 도서관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도서들을 열람한 후 특정 도서의 대출을 도서관측에 신청하여 대출받고, 정해진 대출 기간이 종료되기 이전에 대출받은 해당 도서를 반납하게 된다.
최근에는, 컴퓨터가 일반화되고 각종 무인자동화장비가 급속히 발전됨에 따라, 도서관에서도 자동 대출반납기를 포함한 여러 무인자동화 장비를 갖추게 되었다. 이에, 도서대출 관리자를 거치지 않고도 무인 도서 대출반납기를 이용하여 이용자 혼자서 직접 도서를 대출 및 반납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40501호는 도서 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의 도서 대출 반납부 바닥에 구비되어 도서 이용자로부터 반납되는 도서를 자동으로 이송시켜 북트럭에 적재시키기 위한 것으로, 관통 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바닥을 이루는 바닥패널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송 브라켓을 상기 북트럭 쪽으로 직선 왕복운동시키도록 된 구동부, 상기 바닥패널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 장공을 통하여 이송 브라켓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도서 대출 반납부의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한쪽에 힌지 결합되는 덤핑판으로 이루어진 북트레이, 및 상기 북트레이에 도서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이 북트럭 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덤핑판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북트럭 쪽으로 기울어져 안착된 도서를 상기 북트럭에 덤핑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덤핑수단을 포함하여, 반납되는 다양한 종류의 도서를 사서의 도움없이 자동으로 반납받아 북트럭에 적재할 수 있는 도서 반납장치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230589호는 자동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납 또는 대출되는 책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캐너로 스캐닝하여 반납 또는 대출을 수행하는 자동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에 있어서, 책을 두는 제 1 위치와 상기 스캐너로 책을 확인하는 제 2 위치가 이송 양단에 설정되고 상기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사이의 이송경로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책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제 1 위치에 설치되어 책의 유무를 센싱하는 센싱수단, 상기 컨베이어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모터, 및 상기 센싱수단에서 책을 센싱하면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스캐닝 후 상기 책이 대출과 반납 위치로 이송되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구동하기 위하여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함으로써, 도서 대출 및 반납의 관리가 편리해지고 도서관에 소장된 각종 도서에 관한 정보의 검색이 쉽게 이루어지는 자동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40501호(2014.09.04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230589호(1999.08.23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납되는 도서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여 적재함에 적재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도서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바퀴들을 정렬시켜 이송 어레이를 단위 구조체로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송 어레이 단위 구조체들 간에 연결을 통해 이송 구간을 손쉽게 추가 확장할 수 있는 도서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송 어레이의 바퀴를 회전시켜 바퀴 상부에 놓여진 도서의 전후 이송을 구동하고 바퀴 행들 사이에 롤러 체인을 회전시켜 도서를 좌우로 밀어 이송을 구동하여 지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도서 이송을 할 수 있는 도서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도서 이송 장치는 복수의 바퀴 축들 및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고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전환이 가능한 복수의 이송 바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의 회전으로 상기 복수의 이송 바퀴들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복수의 이송 바퀴들의 상부에 안착되는 도서를 상기 복수의 이송 바퀴들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 어레이,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이송 바퀴들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방향 이송 구동부, 및 복수의 롤러 체인들을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롤러 체인들에 이송 브라켓을 링크하여 상기 이송 브라켓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도서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2 방향 이송 구동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도서 이송 장치는 상기 이송 어레이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어레이의 단부까지 이송된 상기 도서가 걸림없이 자유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걸림 방지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 이송 구동부는 상기 이송 어레이의 하부에 배치되고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에서 제공하는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바퀴축들에 전달하는 제1 동력 전달부재, 및 이송 방향 전환 위치에 배치되고 이송되는 상기 도서가 상기 이송 방향 전환 위치에서 멈추도록 상기 도서의 진입을 감지하는 센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 전달부재는 상기 제1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모터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스프로킷,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에 따라 체인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다른 스프로킷,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다른 스프로킷과 결합되어 상기 다른 스프로킷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링벨트 축, 상기 링벨트 축과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에 각각 결합되는 링벨트 폴리, 및 상기 링벨트 폴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에 전달하는 링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 이송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 체인들, 상기 복수의 롤러 체인들 각각의 양측에 링크되어 롤러 체인의 회전을 따라 이송 방향 전환 위치에서 멈춘 상기 도서를 좌 또는 우의 제2 방향으로 밀어주는 이송 브라켓, 상기 이송 어레이의 하부에 배치되고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서 제공하는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롤러 체인들의 축에 전달하는 제2 동력 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이송 장치는 반납되는 도서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여 적재함에 적재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이송 장치는 복수의 바퀴들을 정렬시켜 이송 어레이를 단위 구조체로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송 어레이 단위 구조체들 간에 연결을 통해 이송 구간을 손쉽게 추가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이송 장치는 이송 어레이의 바퀴를 회전시켜 바퀴 상부에 놓여진 도서의 전후 이송을 구동하고 바퀴 행들 사이에 롤러 체인을 회전시켜 도서를 좌우로 밀어 이송을 구동하여 지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도서 이송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도서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3c는 도 1에 있는 이송 어레이와 제1 방향 이송 구동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a-4b는 도 1에 있는 이송 어레이와 제1 방향 이송 구동부의 조립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5b는 도 1에 있는 제2 방향 이송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a-6b는 도 1에 있는 제2 방향 이송 구동부의 조립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이송 장치의 확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도서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이송 장치(100)는 이송 어레이(110), 제1 방향 이송 구동부(120), 제2 방향 이송 구동부(130), 걸림 방지 가이드(140) 및 수용 하우징(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어레이(110)는 복수의 이송 바퀴들(111)과 바퀴 축들(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 어레이(110)는 복수의 바퀴 축들(113)에 복수의 이송 바퀴들(111)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행과 열 구조로 배열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이송 바퀴들(111)은 로타 캐스터(rotacaster)를 사용할 수 있다. 로타 캐스터는 방향 전환시 캐스터 정렬 자체가 없으므로 전후, 좌우, 회전, 대각선 이동까지 자유롭게 방향전환이 가능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 어레이(110)는 복수의 바퀴 축들(113) 각각에 복수의 이송 바퀴들(111)을 일정간격으로 일렬 배열하여 행단위를 구성할 수 있고, 복수의 바퀴 축들(113) 간에 복수의 이송 바퀴들(111)이 일렬 또는 교차적으로 배열하여 열단위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바퀴 축들(113)은 복수의 이송 바퀴들(111)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송 어레이(110)의 상부에는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도서(200)가 안착될 수 있다. 이송 어레이(110)는 모터 동력에 의한 바퀴 축(113)의 회전으로 이송 바퀴(111)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부에 안착된 도서(200)를 전진 또는 후진 이송할 수 있다. 이송 어레이(110)는 이송 바퀴(111)의 수동적인 구름작용에 의해 도서(200)를 좌 또는 우로 이송할 수 있다.
제1 방향 이송 구동부(120)는 이송 어레이(110)가 제1 방향으로 이송 동작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방향은 전/후 이송 방향에 해당한다. 제1 방향 이송 구동부(120)는 이송 어레이(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121), 제1 모터(121)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을 복수의 바퀴 축들(113)에 전달하는 제1 동력 전달부재(123) 및 제1 동력 전달부재(123)에 의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이송 어레이(110)의 정지 위치를 지정하는 제1 센서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센서부재(125)는 이송 어레이(110)에 의해 전진 및 후진 이송되는 도서(200)가 멈춰야 할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도서(200)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방향 이송 구동부(130)는 이송 어레이(110)가 제2 방향으로 이송 동작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방향은 좌/우 이송 방향에 해당한다. 제2 방향 이송 구동부(130)는 복수의 바퀴 축들(113)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 체인들(131), 복수의 롤러 체인들(131)의 양측에 결합되어 롤러 체인(131)의 회전을 따라 이송 어레이(110) 상에 놓여진 도서(200)가 좌 또는 우로 이송되도록 밀어주는 이송 브라켓(133), 이송 어레이(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135), 제2 모터(135)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을 체인 축에 전달하는 제2 동력 전달부재(137) 및 제2 동력 전달부재(137)에 의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이송 브라켓(133)의 정지 위치를 지정하는 제2 센서부재(13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센서부재(139)는 체인 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롤러 체인(131)의 양쪽에 배치되는 이송 브라켓(133)이 롤러 체인(131)을 따라 반바퀴 이동 후 정지할 수 있도록 이송 브라켓(133)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걸림 방지 가이드(140)는 이송 어레이(1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이송 어레이(110)에 의해 이송되는 도서(200)의 걸림을 방지하고 도서(200)가 적재함(미도시)으로 자유 낙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 방지 가이드(140)는 복수의 바퀴 축들(113) 각각의 양쪽으로 배치되며 경사면이 형성되어 도서(200)가 경사면을 따라 올라갔다 내려가면서 적재함으로 자유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수용 하우징(150)은 이송 어레이(110), 제1 방향 이송 구동부(120), 제2 방향 이송 구동부(130) 및 걸림 방지 가이드(140)를 수용하고 내부에 고정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a 내지 3c는 도 1에 있는 이송 어레이와 제1 방향 이송 구동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면, 이송 어레이(110)는 바퀴 축(113)에 복수의 이송 바퀴들(111)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바퀴 축(113)의 일단에는 제1 방향 이송 구동부(120)가 연결되어 이송 어레이(110)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동시킨다. 제1 방향 이송 구동부(120)는 바퀴 축(113)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모터(121)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을 제1 동력 전달부재(123)를 통해 이송 어레이(110)로 전달하여 바퀴 축(113)을 회전시킨다. 이송 어레이(110)는 바퀴 축(113)의 회전을 따라 복수의 이송 바퀴들(111)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1 모터(121)는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서(200)의 전진 혹은 후진하는 이송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동력 전달부재(123)는 제1 모터(121)의 축에 연결되어 모터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스프로킷(210a), 스프로킷(210a)의 회전에 따라 체인(220)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다른 스프로킷(210b), 바퀴 축(113)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고 스프로킷(210b)과 결합되어 스프로킷(210b)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링벨트 축(230), 링벨트 축(230)과 바퀴 축(113)에 각각 결합되는 링벨트 폴리(240a,240b) 및 링벨트 폴리(240a,240b) 사이에 연결되는 링벨트(2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모터(210)의 축과 링벨트 축(230) 사이에 연결되어 모터 동력을 전달하는 스프로킷(210a,210b)과 체인(220) 구성 대신 타이밍벨트와 풀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동력 전달부재(123)는 제1 모터(121)의 회전에 따라 모터축에 연결된 스프로킷(210a)이 모터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스프로킷(210a)이 회전될 때 체인(220)이 감기면서 스프로킷(210b)이 스프로킷(210a)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스프로킷(210b)과 결합된 링벨트 축(230)이 스프로킷(210b)을 따라 회전하게 되면서 링벨트(250)를 통해 이송 어레이(110)의 바퀴 축(113)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송 어레이(110)는 바퀴 축(113)에 동력이 전달되어 바퀴 축(113)이 회전하면 바퀴 축(113)에 결합된 복수의 이송 바퀴들(111)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복수의 이송 바퀴들(111)이 회전하게 된다. 복수의 이송 바퀴들(111)의 회전으로 바퀴 상부에 놓여있는 도서(200)를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이송 바퀴들(111)은 몸체의 이동 및 무게 중심 축의 변화가 없이도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전환이 가능한 로타캐스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이송 바퀴들(111)은 제1 동력 전달부재(123)에 의해 제1 모터(121)의 동력을 전달받아 도 3c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 어레이(110)에 안착되는 도서(200)를 전진 혹은 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a 및 4b는 도 1에 있는 이송 어레이와 제1 방향 이송 구동부의 조립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이송 어레이(110)는 양측에 마련되는 프레임부재(310a,310b)을 가로질러 거치될 수 있다. 프레임부재(310a,310b)는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되, 수용 하우징(150)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바닥 프레임(311a,311b)과 바닥 프레임(311a,311b)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입설되는 복수의 거치대(313a,313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재(310a,310b)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이송 어레이(110), 제1 방향 이송 구동부(120) 및 제2 방향 이송 구동부(130)가 수용 설치될 수 있다. 이송 어레이(110)의 복수의 바퀴 축들(113)은 축마다 각각 양 단부가 거치대(313a,313b)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된다. 복수의 바퀴 축들(113)에는 복수의 이송 바퀴들(11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행/열 구조로 배열된다. 이송 어레이(110)의 하부에는 제1 방향 이송 구동부(120)가 배치된다.
제1 방향 이송 구동부(120)는 복수의 바퀴 축들(113)의 일측에 복수의 바퀴 축들(113)에 대해 직각으로 링벨트 축(230)을 배치하여 링벨트 축(230)과 복수의 바퀴 축들(113)을 링벨트(250)로 연결하여 제1 모터(121)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을 전달하여 이송 어레이(110)의 제1 방향 이송을 구동한다. 여기서, 제1 방향은 도 4b에 화살표 표시한 도서 이송 방향에 해당한다.
제1 방향 이송 구동부(120)는 제1 센서부재(125)를 통해 이송되는 도서의 접근이 감지되면 제1 모터(121)의 회전을 정지시켜 이송 어레이(110)의 도서 이송 동작이 멈추도록 한다. 제1 센서부재(125)는 도서의 이송 방향 전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부재(125)는 복수개의 센서들을 도서 이송 방향 전환 위치 및 인접 위치에 각각 설치하여 복수개의 센서들에서 도서 접근이 순차적으로 모두 감지된 경우 이송되는 도서가 이송 방향 전환 위치로 완전히 진입했다고 판단하여 도서가 이송 방향 전환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이송 동작이 멈추는 오작동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도 1에 있는 제2 방향 이송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제2 방향 이송 구동부(130)는 롤러 체인(131)의 양측에 이송 브라켓(133)이 각각 링크되어 롤러 체인(131)을 따라 이송 브라켓(133)이 이동된다. 이송 브라켓(133)은 제1 방향 이송 구동부(120)에 의해 제1 방향(전진 또는 후진)으로 이송하여 이송 방향 전환 위치에 도달한 도서가 제2 방향(좌 또는 우)으로 방향 전환하여 이송되도록 도서를 제2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제2 방향 이송 구동부(130)는 제2 모터(135)의 동력을 제2 동력 전달부재(137)를 통해 롤러 체인(131)에 전달하여 롤러 체인(131)을 구동시켜 롤러 체인(131)에 링크된 이송 브라켓(133)을 회전 및 직선 구동시켜 상부에 놓여있는 도서를 좌 혹은 우로 밀어 적재함을 향해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동력 전달부재(137)는 제2 모터(135)의 축에 연결되어 모터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스프로킷(410a), 스프로킷(410a)의 회전에 따라 체인(420)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다른 스프로킷(410b), 스프로킷(410b)과 결합되어 스프로킷(410b)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체인 구동축(430), 체인 구동축(430)에 결합되어 체인 구동축(43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스프로킷(440a) 및 아이들러 축(450)에 결합되고 스프로킷(440a)의 회전에 따라 롤러 체인(131)이 감기면서 회전하는 다른 스프로킷(440b)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모터(135)의 축과 체인 구동축(430) 사이에 연결되어 모터 동력을 전달하는 스프로킷(410a,410b)과 체인(420) 구성 대신 타이밍벨트와 풀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방향 이송 구동부(130)는 제1 방향 이송 구동부(120)가 구동 중지되면, 제2 모터(135)를 정방향 혹은 역방향 회전시켜 도서를 좌 또는 우로 이송을 구동시킨다. 제2 모터(135)의 축에 연결된 스프로킷(410a)이 모터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체인(420)을 감아 스프로킷(410b)에 동력을 전달하여 스프로킷(410b)이 결합된 체인 구동축(430)을 회전시키게 된다. 체인 구동축(430)에 결합된 스프로킷(440a)이 체인 구동축(430)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면서 롤러 체인(131)을 구동시킨다. 이때, 롤러 체인(131)에 링크된 이송 브라켓(133)이 롤러 체인(131)의 회전에 따라 회전 및 직선 구동된다. 이송 브라켓(133)은 롤러 체인(1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부에 있는 도서를 좌 또는 우로 밀게 된다. 이때, 이송 어레이(110)의 복수의 이송 바퀴들(111)이 도서가 밀리는 힘에 의해 구름작용을 일으켜 도서가 적은 힘으로도 쉽게 밀릴 수 있도록 한다.
도 6a-6b는 도 1에 있는 제2 방향 이송 구동부의 조립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제2 방향 이송 구동부(130)는 체인 구동축(430)의 양측 단부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한쌍의 거치대(510a)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고, 아이들러 축(450)의 양측 단부가 거치대(510a)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다른 한쌍의 거치대(510b)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된다. 거치대(510a,510b)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된 체인 구동축(430)과 아이들러 축(450) 사이에는 복수의 롤러 체인들(13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복수의 롤러 체인들(131)은 각각 복수의 바퀴축들(113) 사이에 배치되되 좌우 이송 구간에만 배치될 수 있다. 거치대(510b)에는 아이들러 축(450)과 볼팅 결합되어 볼트 조임 정도에 따라 아이들러 축(450)의 위치를 조정하여 롤러 체인(131)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 조절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510a)에는 제2 센서부재(139)가 설치되어 롤러 체인(131)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 브라켓(133)을 감지하여 제2 모터(135) 구동을 정지시킨다. 여기에서, 제2 센서부재(139)는 이송 브라켓(133)이 반바퀴씩 이동하여 도서를 걸림 방지 가이드(140)를 이송시킨 후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걸림 방지 가이드(140)로 이송된 도서는 걸림 방지 가이드(140)의 경사면을 따라 적재함으로 자유 낙하되게 된다.
체인 구동축(430)에는 체인(420)을 통해 제2 모터(135)의 축과 연결되어 제2 모터(135)에서 제공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롤러 체인(131)을 구동시킬 수 있다. 롤러 체인(131)의 회전에 따라 롤러 체인(131)에 링크된 이송 브라켓(133)이 이동하여 도 6b에 화살표 표시한 도서 이송 방향으로 도서를 밀어서 이송하게 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이송 장치의 확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이송 장치(100)는 단위 조립체로 형성하여 복수개를 일렬로 연결하여 이송 구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이송 장치(100)는 적재함(600)의 개방된 상부 중앙에 설치하고 이송 어레이(110)에 안착된 도서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여 도서 낙하 시작 위치까지 도서를 이송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적재함(600)을 일렬 배치할 경우 그에 맞춰 도서 이송 장치(100)를 손쉽게 추가 연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도서 이송 장치
110: 이송 어레이
111: 복수의 이송 바퀴들 113: 복수의 바퀴 축들
120: 제1 방향 이송 구동부
121: 제1 모터 123: 제1 동력 전달부재
125: 제1 센서부재
130: 제2 방향 이송 구동부
131: 복수의 롤러 체인들 133: 이송 브라켓
135: 제2 모터 137: 제2 동력 전달부재
139: 제2 센서부재
140: 걸림 방지 가이드 150: 수용 하우징
200: 도서
210a,210b: 스프로킷 220: 체인
230: 링벨트 축 240a,240b: 링벨트 풀리
250: 링벨트
310a,310b: 프레임부재
311a,311b: 바닥 프레임 313a,313b: 거치대
410a,410b: 스프로킷 420: 체인
430: 체인 구동축 440a,440b: 스프로킷
450: 아이들러 축
510a,510b: 거치대 520: 텐션 조절부재
600: 적재함

Claims (5)

  1. 복수의 바퀴 축들 및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고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전환이 가능한 로타 캐스터(rotacaster)를 사용한 복수의 이송 바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의 회전으로 상기 복수의 이송 바퀴들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복수의 이송 바퀴들의 상부에 안착되는 도서를 상기 복수의 이송 바퀴들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 어레이;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이송 바퀴들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방향 이송 구동부; 및
    복수의 롤러 체인들을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롤러 체인들 각각의 양측에 이송 브라켓을 링크하여 롤러 체인의 회전을 따라 상기 이송 브라켓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송 방향 전환 위치에서 멈춘 상기 도서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2 방향 이송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방향 이송 구동부는
    상기 이송 어레이의 하부에 배치되고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에서 제공하는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바퀴축들에 전달하는 제1 동력 전달부재; 및
    복수개의 센서들을 이송 방향 전환 위치 및 인접 위치에 각각 배치하고 이송되는 상기 도서가 상기 이송 방향 전환 위치에서 멈추도록 상기 복수개의 센서들에서 도서의 접근이 순차적으로 모두 감지된 경우 이송되는 상기 도서가 상기 이송 방향 전환 위치로 완전히 진입했다고 판단하는 제1 센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 이송 구동부는
    상기 이송 어레이의 하부에 배치되고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
    상기 제2 모터에서 제공하는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롤러 체인들의 축에 전달하는 제2 동력 전달부재; 및
    체인 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브라켓이 롤러 체인을 따라 반바퀴 이동 후 정지하도록 상기 이송 브라켓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2 센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어레이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어레이의 단부까지 이송된 상기 도서가 걸림없이 자유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걸림 방지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이송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 전달부재는
    상기 제1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모터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스프로킷;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에 따라 체인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다른 스프로킷;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다른 스프로킷과 결합되어 상기 다른 스프로킷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링벨트 축;
    상기 링벨트 축과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에 각각 결합되는 링벨트 폴리; 및
    상기 링벨트 폴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바퀴 축들에 전달하는 링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이송 장치.
  5. 삭제
KR1020200102629A 2020-08-14 2020-08-14 도서 이송 장치 KR102371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629A KR102371030B1 (ko) 2020-08-14 2020-08-14 도서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629A KR102371030B1 (ko) 2020-08-14 2020-08-14 도서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004A KR20220022004A (ko) 2022-02-23
KR102371030B1 true KR102371030B1 (ko) 2022-03-11

Family

ID=8049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629A KR102371030B1 (ko) 2020-08-14 2020-08-14 도서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9156B2 (en) * 2019-01-20 2022-05-03 Suzhou Suxiang Robot Intelligent Equipment Co., Ltd Sorting module and conveyer appartus compose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6418A (ja) * 2017-07-28 2019-02-21 株式会社イシダ 物品振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09U (ja) * 1993-11-22 1995-06-16 昌次 松田 保管装置
KR100230589B1 (ko) 1997-06-11 1999-11-15 최재림 자동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090006984A (ko) * 2007-07-13 2009-01-16 주식회사 태성기연 이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KR101440501B1 (ko) 2013-05-15 2014-09-17 주식회사 나이콤 도서 반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6418A (ja) * 2017-07-28 2019-02-21 株式会社イシダ 物品振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004A (ko)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7074A (en) Automated library for data storage disks
US7357245B2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KR102371030B1 (ko) 도서 이송 장치
JPH07118128B2 (ja) カセツト移送装置
JPH07105103B2 (ja) 情報記憶媒体自動交換装置
AU2004202395B2 (en) Recording medium dispensing machine
US5065379A (en) Media insertion means for an automated data library
KR102394820B1 (ko) 도서 반납 시스템
JP2000105959A (ja) ディスク反転機構及び該機構を備えたディスク自動交換装置
JP2002213098A (ja) 自動車乗入位置調整ガイド
US8684167B2 (en) Load pallet sleeve dispensing apparatus
JP2001228617A (ja) 印刷版露光装置
JP2589370Y2 (ja) 紙幣用遊技媒体貸出機の島幅対応機構
JP2839447B2 (ja) 返却紙幣の一部引抜き検知装置
JP2558977Y2 (ja) 紙幣取扱装置
CN108806085B (zh) 一种混合货道以及无人售货柜
CN108765733B (zh) 一种混合货道以及无人售货柜
JPH06305533A (ja) パレット式アキュームレートストックコンベヤ
CN108765727B (zh) 一种混合货道以及无人售货柜
JP2000191113A (ja) 物品保管設備
KR100424770B1 (ko) 티켓자동발권기
KR960002128Y1 (ko) 다중디스크 자동교환장치
JP2948517B2 (ja) ホルダの自動取り出し格納装置
JP3565814B2 (ja) ディスク自動交換装置
JP2001060281A (ja) カード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