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501B1 - 도서 반납장치 - Google Patents

도서 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501B1
KR101440501B1 KR1020130055241A KR20130055241A KR101440501B1 KR 101440501 B1 KR101440501 B1 KR 101440501B1 KR 1020130055241 A KR1020130055241 A KR 1020130055241A KR 20130055241 A KR20130055241 A KR 20130055241A KR 101440501 B1 KR101440501 B1 KR 101440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fixing plate
plate
dumping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권
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이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이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이콤
Priority to KR1020130055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Abstract

도서 반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도서 반납장치는,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의 도서 대출 반납부 바닥에 구비되어 도서 이용자로부터 반납되는 도서를 자동으로 이송시켜 북트럭에 적재시키기 위한 것으로, 관통 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바닥을 이루는 바닥패널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송 브라켓을 상기 북트럭 쪽으로 직선 왕복운동시키도록 된 구동부; 상기 바닥패널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 장공을 통하여 이송 브라켓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도서 대출 반납부의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한쪽에 힌지 결합되는 덤핑판으로 이루어진 북트레이; 및 상기 북트레이에 도서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이 북트럭 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덤핑판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북트럭 쪽으로 기울어져 안착된 도서를 상기 북트럭에 덤핑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덤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납되는 다양한 종류의 도서를 사서의 도움없이 자동으로 반납받아 북트럭에 적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반납되는 다양한 도서에 부착된 바코드나 큐알코드 등의 자동 인식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바코드나 큐알코드의 부착위치가 불규칙하더라도 자동 인식이 가능하여, 도서 이용자나 사서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도서 반납장치 {BOOK RETURN DEVICE AND}
본 발명은 도서 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에서 도서의 반납시에 도서의 형태, 크기, 두께 및 바코드 부착위치 등의 불규칙에 따른 모든 경우에서도 바코드 스캐너의 바코드 자동 인식 또는 큐알코드 스캐너의 큐알코드 자동 인식이 가능함은 물론, 반납되는 도서가 자동으로 이송된 후 북트럭과 같은 적재장치에 자동으로 덤핑되어 적재될 수 있는 도서 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서는 한 번 읽으면 다시 읽지 않을 가능성이 큰 일회성 성향의 물품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도서를 구매하기 보다는 도서관에서 대출하여 읽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도서관에서 도서를 대출하거나 반납하기 위해서는 도서관에서 근무하는 도서 관리자(사서)를 통해야 한다. 그러나 대출 및 반납을 하려는 이용자들이 많을 경우 도서 관리자를 많이 두어야 하므로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고, 도서 관리자를 적게 두는 경우 도서를 대출 및 반납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도서 대출 이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컴퓨터가 일반화되고 각종 무인자동화장비가 급속히 발전됨에 따라, 도서관에서도 자동 대출반납기를 포함한 여러 무인자동화 장비를 갖추게 되었다.
한 예로서, 종래기술에 의한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15165호(공고일 : 2011년02월17일)는, 도서 대출 반납 장치 및 이를 갖는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은 다수의 도서를 반납받아 수용하고, 수용된 도서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에 의하면, 도서를 자동으로 대출하거나 반납할 수 있음으로써, 도서의 대출과 반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은, 도서를 반납받는 장치가 복잡한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제조비용의 상승, 정비성 저하, 고장률 상승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었으며, 시스템의 부피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서의 반납시에 도서 이용자가 도서를 카세트(반납구)와 같은 반납장치에 정확하게 삽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15165호(공고일 : 2011년02월17일)
본 발명의 목적은, 반납되는 다양한 종류의 도서에 부착된 바코드나 큐알코드 등의 자동 인식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바코드나 큐알코드의 부착위치가 불규칙하더라도 자동 인식이 가능하며, 사서 없이 도서 이용자 스스로 도서를 반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도서의 반납시 도서가 자동으로 북트럭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서 이용자나 사서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의 도서 대출 반납부 바닥에 구비되어 도서 이용자로부터 반납되는 도서를 자동으로 이송시켜 북트럭에 적재시키기 위한 것으로, 관통 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바닥을 이루는 바닥패널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송 브라켓을 상기 북트럭 쪽으로 직선 왕복운동시키도록 된 구동부; 상기 바닥패널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 장공을 통하여 이송 브라켓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도서 대출 반납부의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한쪽에 힌지 결합되는 덤핑판으로 이루어진 북트레이; 및 상기 북트레이에 도서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이 북트럭 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덤핑판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북트럭 쪽으로 기울어져 안착된 도서를 상기 북트럭에 덤핑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덤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바닥패널의 상면과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판의 이동을 안내하고 도서의 하중을 지지하여 상기 고정판의 이동이 마찰 저항없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안내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바닥패널의 표면에 도서의 이송 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에 안착되어 구름운동하도록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볼 또는 로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 도서의 이송 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에 안착되어 구름운동하도록 상기 바닥패널의 상면에 설치되는 볼 또는 로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도서의 이송 방향과 일치하도록 상기 바닥패널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는 구동베이스; 상기 구동 베이스의 양쪽에 각각 설치된 타이밍 풀리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브라켓이 결합되는 타이밍 벨트; 및 상기 어느 하나의 타이밍 풀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이송 브라켓을 직선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브라켓은, 하부 한쪽이 상기 구동 베이스에 마련되는 엘엠가이드장치에 결합되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브라켓의 일측에는 센서 인식 브라켓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 베이스에는 상기 센서 인식 브라켓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센서가 마련되되, 상기 제어센서는, 상기 이송 브라켓의 이동 시작위치, 이동 완료위치 및 중간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의 중앙 영역에 도서가 덤핑되는 방향으로 개구된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덤핑판은, 도서를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공을 메워 상기 고정판의 상면이 평편하도록 하고, 도서를 덤핑할 때에는 상기 결합공으로부터 이탈되기 위한 덤핑부가 한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덤핑부의 다른쪽에는 덤핑되는 도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상기 고정판과 같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는, 상기 덤핑부와 안내부의 경계영역을 상기 고정판의 한쪽 단부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힌지에는, 상기 덤핑판이 도서를 덤핑하도록 기울어진 후, 상기 고정판이 원위치로 이동되면 다시 원상태로 회전하도록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과 상기 덤핑판에는, 안착된 도서가 마찰 저항없이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볼 또는 로울러가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덤핑수단은, 상기 덤핑판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경사진 경사 안내부를 구비하여 상기 덤핑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덤핑 안내부재; 및 상기 고정판이 북트럭 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경사 안내부와 구름 접촉되도록 상기 북트럭에 근접한 상기 구동부의 상면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덤핑판을 상기 북트럭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덤핑수단은, 상기 덤핑판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경사진 경사 안내부를 구비하여 상기 덤핑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덤핑 안내부재; 및 상기 고정판이 북트럭 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경사 안내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북트럭에 근접한 상기 구동부의 상면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덤핑판을 상기 북트럭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한 접촉안내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덤핑판 상면에는, 상기 덤핑판과 고정판의 상면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의 표면에는 안내문구, 광고문구가 인쇄되거나 안내문구나 광고문구가 인쇄된 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의 도서 대출 반납부 바닥에 구비되어 도서 이용자로부터 반납되는 도서를 자동으로 이송시켜 북트럭에 적재시키기 위한 것으로, 관통 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바닥을 이루는 바닥패널의 상면에 설치되는 북트레이; 및 상기 북트레이 상면에 도서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북트레이를 북트럭 쪽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북트레이를 상기 북트럭 쪽으로 기울여 상면에 안착된 도서를 상기 북트럭에 덤핑하도록 상기 바닥패널과 북트레이 사이에 설치되는 덤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도서 대출 반납부의 내부 측벽, 또는 상부면에는, 도서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를 스캔하기 위한 스캐너가 설치되되, 상기 스캐너의 빔은 상기 북트레이의 상면 폭을 기준으로 2/3 또는 폭 전체에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캐너가 도서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를 인식하지 못했을 때, 상기 북트레이를 전,후진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납되는 다양한 종류의 도서를 사서의 도움없이 자동으로 반납받아 북트럭에 적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납되는 다양한 도서에 부착된 바코드나 큐알코드 등의 자동 인식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바코드나 큐알코드의 부착위치가 불규칙하더라도 자동 인식이 가능하여, 도서 이용자나 사서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서 반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서 반납장치의 결합상태 일부 사시도이다.
도 3a,3b는 도 2에 도시된 도서 반납장치의 작동상태 측면도로서,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에 적용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서 반납장치의 북트레이에 커버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서 반납장치가 적용된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의 스캐너를 도시한 일부확대 저면 사시도이다.
도 7a,7b은 도 5에 도시된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의 프린터를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 및 일부확대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서 반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서 반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서 반납장치의 결합상태 일부 사시도이며, 도 3a,3b는 도 2에 도시된 도서 반납장치의 작동상태 측면도로서,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에 적용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서 반납장치의 북트레이에 커버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서 반납장치는,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100)의 일측에 구비된 도서 대출 반납부(120)의 반납구(121) 바닥에 구비되어 사서의 도움없이 도서 이용자로부터 반납되는 도서를 자동으로 북트럭(200) 쪽으로 이송시켜 북트럭(200)에 적재시키기 위한 것으로, 관통 장공(124)을 구비하여 도서 대출 반납부(120)의 반납구(121) 바닥을 이루는 바닥패널(122)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송 브라켓(300)을 도서의 이송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시키도록 된 구동부(400)와, 바닥패널(122)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관통 장공(124)을 통하여 이송 브라켓(300)의 상면에 결합되어, 구동부(400)에 의해 도서 대출 반납부(120)의 내부, 즉 반납구(121)의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고정판(510)과, 고정판(510)의 한쪽에 힌지 결합되는 덤핑판(520)으로 이루어진 북트레이(500)와, 북트레이(500)에 도서가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판(510)이 북트럭(200) 쪽으로 이동하면, 덤핑판(520)이 힌지(530)를 중심으로 북트럭(200) 쪽으로 기울어져 안착된 도서를 북트럭(200)에 덤핑하도록 구동부(400)의 일측에 마련되는 덤핑수단(600)을 포함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서 반납장치가 적용되는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단부 한쪽에 터치 모니터(170)가 구비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에 터치 모니터(170)가 구비된다. 터치 모니터(170)는 자체적으로 회전각도가 조절되어 도서 이용자의 눈높이에 맞도록 조절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체(110)의 전면에는, 모바일(130), 알에프멀티리더기(140), 스피커(150) 및 프린터(160)가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100)은, 본체(110)에 내장된 컴퓨터(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으로 터치모니터(170)를 통하여 도서의 대출 및 반납을 수행하고, 기타 도서의 대출 및 반납에 대한 정보, 안내사항을 터치 모니터(170)에 출력하고, 도서의 대출 및 반납 정보를 프린터(160)로 프린트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터치 모니터(170)는 싱글 또는 듀얼로 설치하되, 각각 독립적으로 높이조절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프린터(16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용지 교체시 프린터(160)가 본체(11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프린터 하우징(162)이 레일장치(164)에 의해 본체(110)에 설치된다.
한편, 도서 대출 반납부(120)의 내부 측벽, 또는 상부면에는, 도서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를 스캔하기 위한 스캐너(700)가 설치되되, 스캐너(700)의 빔이 조사되는 영역(71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북트레이(500)의 상면 폭을 기준으로 2/3 또는 폭 전체에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설치된다. 즉, 스캐너(700)의 빔이 보다 넓은 영역에 조사되도록 하여 다양한 위치에 놓여지는 도서의 바코드나 큐알코드를 스캔하여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서 반납장치는 반드시 본 발명에 따른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100)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도서를 자동으로 반납하도록 된 다양한 구조의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도서 대출 반납부(120)는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100)의 본체(110) 상부 일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설치된 것이고, 반납구(121)는 도서 대출 반납부(120)에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도서 대출 반납부(120)에 길이방향(전방부에서 후방부 쪽으로)으로 반납구(121)가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이 반납구(121)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반납구(121)의 높이는 성인 남성의 허리 정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납구(121)의 바닥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관통장공(124)이형성된 바닥패널(122)이 설치된다. 이러한 바닥패널(122)과 고정판(510) 사이에는 고정판(510)의 이동을 안내하고 도서의 하중을 지지하여 고정판(510)의 이동이 마찰 저항없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안내수단이 마련된다.
안내수단은, 바닥패널(122)의 표면에 도서의 이송 방향(도서 대출 반납부의 전방부에 후방부 쪽)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안내홈(126)과, 안내홈(126)에 안착되어 구름운동하도록 고정판(510)의 저면에 설치되는 볼 또는 로울러(511)로 이루어진다. 이때, 볼로 이루어진 경우에 안내홈(126)은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로울러(511)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안내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안내홈(126)이 고정판(510)의 저면에 형성되고, 바닥패널(122)의 상면에는 볼이나 로울러(511)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구동부(400)는, 바닥패널(122)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송 브라켓(300)을 도서의 이송방향(반납구의 전방영역에서 후방영역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시키도록 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도서의 이송 방향과 일치하도록 바닥패널(122)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는 구동베이스(410)와, 구동 베이스(410)의 양쪽에 각각 설치된 타이밍 풀리(420)에 설치되고, 이송 브라켓(300)의 하부가 결합되는 타이밍 벨트(430)와, 전방쪽 또는 후방쪽 어느 하나의 타이밍 풀리(420)에 결합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이송 브라켓(300)을 직선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40)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구동 베이스(410)의 상면에는 엘엠레일과 블럭으로 이루어진 엘엠가이드장치(450)가 설치되고, 타이밍 풀리(420)들은 구동 베이스(410)의 측면에 설치되므로, 이송 브라켓(300)의 하부 일측은 엘엠가이드장치(450)의 블럭에 결합된다. 즉, 이송 브라켓(300)의 하부 일측은 엘엠가이드장치(450)의 블럭에 결합되고, 타측은 타이밍 벨트(430)에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송 브라켓(300)은 타이밍 벨트(430)에 의해 왕복이동할 때, 엘엠가이드장치(450)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송 브라켓(300)의 일측에는 센서 인식 브라켓(460)에 마련되고, 구동 베이스(410)의 측면에는 센서 인식 브라켓(460)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센서(470)가 마련된다. 이 제어센서(470)는 이송 브라켓(300)의 이동 시작위치, 이동 완료위치 및 중간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이송 브라켓(300)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즉, 이송 브라켓(300)이 이동 시작위치에 있거나 이동 시작위치에 도착했는지, 이동 완료위치에 있거나 이동 완료위치에 도착했는지, 중간위치에 있거나, 중간위치를 지났는지 등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구동모터(440)의 회전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제어센서(470)는 센서 설치 브라켓(480)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센서 설치 브라켓(480)은, 수직장공(480D)을 통하여 구동 베이스(410)의 측면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상,하부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판(480B)과, 구동 베이스(4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개의 수평장공(480C)을 구비하여 수직판(480B)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판(480A)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센서(470)는 수평장공(480C)에 설치되므로, 길이방향으로 위치가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제어센서(470)가 설치된 센서 설치 브라켓(480)이 수직장공(480C)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제어센서(470)의 높이조절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북트레이(500)는, 바닥패널(122)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관통 장공(124)을 통하여 이송 브라켓(300)의 상면에 결합되어 구동부(400)에 의해 도서 대출 반납부(120)의 반납구(121)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고정판(510)과, 고정판(510)의 한쪽에 힌지(530) 결합되는 덤핑판(520)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정판(5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영역에 도서가 덤핑되는 방향으로 개구된 결합공(5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덤핑판(520)은 도서를 이동하는 동안에는 결합공(512)에 삽입되어 결합공(512)을 메워 고정판(510)의 상면이 평편하도록 하고, 도서를 덤핑할 때에는 결합공(512)으로부터 이탈되기 위한 덤핑부(522)가 한쪽(결합공 방향으로)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덤핑부(522)의 다른 쪽에는 덤핑되는 도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524)가 고정판(510)과 같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때, 결합공(512)의 크기는 전체 고정판(510)의 1/2 또는 2/3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서가 놓여질 때, 반드시 도서의 1/2 이상이 덤핑부(522)에 안착되도록 하여 덤핑판(520)이 기울어질 때, 도서가 원활하게 미끄러져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힌지(530)는, 덤핑부(522)와 안내부(524)의 경계영역을 고정판(510)의 한쪽(반납구의 후방부 방향을 향하는 방향) 단부에 결합한다. 이 힌지(530)는 덤핑판(520)이 소정의 각도, 예를 들면, 고정판(510)의 표면을 기준으로, 대략 20- 45°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덤핑판(520)을 회전 지지한다. 또한, 덤핑판(520)이 도서를 덤핑하도록 기울어진 후, 고정판(510)이 원위치로 이동되면 덤핑판(520)이 다시 원상태로 회전하도록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체(540)가 힌지(43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북트레이(500)는 덤핑판(520)이 기울어지기 전에는 고정판(510)과 덤핑판(520)의 표면이 평면을 이룰 뿐만 아니라 바닥패널(122)의 상면을 커버한 상태가 된다.
한편, 고정판(510)과 덤핑판(520)에는, 안착된 도서가 마찰 저항없이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볼(550) 또는 로울러가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 볼(550)은 특히 덤핑판(520)이 기울어졌을 때, 도서가 마찰 저항없이나 마찰력이 최소화된 상태로 북트럭(200)으로 미끄러져 적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덤핑판(520) 상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덤핑판(520)과 고정판(510)의 상면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560)가 결합된다. 이 커버부재(560)는 고정판(510)의 표면과 덤핑판(520)의 표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커버부재(56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표면에는 안내문구, 광고문구가 인쇄되거나 안내문구나 광고문구가 인쇄된 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덤핑수단(600)은, 덤핑판(520)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경사진 경사 안내부(612)를 구비하여 덤핑판(520)의 저면에 결합되는 덤핑 안내부재(610)와, 고정판(510)이 북트럭(200) 쪽으로 이동할 때, 경사 안내부(612)과 구름 접촉되도록 북트럭(200)에 근접한 구동부(400)의 구동 베이스(410) 상면 영역에 설치되어 덤핑판(520)을 북트럭(200)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름부재(62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덤핑수단(600)은, 이송 브라켓(300)이 이동 완료위치에 진입함과 동시에 경사 안내부(612)가 구름부재(620)를 타고 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덤핑판(520)은 힌지(530)를 중심으로 북트럭(200)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이 과정으로 덤핑판(520)에 안착된 도서는 미끄러져 북특럭(200)으로 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덤핑수단(60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구름부재(620) 대신에 경사 안내부(612)와 점접촉, 선접촉 또는 면접촉되기 위한 접촉안내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서 반납장치 및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서 이용자가 대출한 도서를 반납하기 위해서, 터치 모니터(170)를 이용하여 도서의 반납 절차를 진행한다. 이때, 컴퓨터(제어부)는 스피커(150)와 터치 모니터(170)의 안내화면(UI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도서 이용자가 도서를 반납할 수 있도록 반납을 위한 안내멘트를 출력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도서 이용자가 도서를 반납구(121)의 내부로 삽입하여 이동 시작위치에 정지한 북트레이(500)의 상면에 도서를 안착시킨다.
도서의 안착 동작이 반납구(121)의 내부에 설치되는 동작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용 컴퓨터는 스캐너(700)를 작동시켜 스캐너(700)가 도서의 겉표지에 부착된 바코드나 큐알코드를 스캔하여 인식하도록 한다.
이때, 도서 이용자가 도서를 정위치(스캐너가 정확하게 바코드나 큐알코드를 스캔할 수 있도록 스캐너의 빔이 정확하게 주사되는 영역)에 위치되지 않아 스캐너(700)가 바코드나 큐알코드를 인식하지 못할 때, 컴퓨터는 구동모터(440)를 정회전 역회전시켜 북트레이(500)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하도록하여 도서의 바코드나 큐알코드가 스캐너(700)의 주사 영역(710)에 위치하도록 한다.
전술한 과정으로 스캐너(700)가 도서를 인식하게 되면, 컴퓨터는 도서의 반납으로 인식하고, 이에 부합하는 전산처리를 실시한다. 즉, 터치 모니터(170)로 안내문구를 출력하고, 필요한 경우에 프린터(160)를 통하여 확인증을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구동모터(440)를 작동시켜, 타이밍 벨트(430)가 이송 브라켓(300)을 북트럭(20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구동모터(440)가 정회전함에 따라, 타이밍 벨트(430)에 결합된 이송 브라켓(300)이 엘엠가이드장치(450)에 안내되어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으로, 북트레이(500)는 이동 시작위치에서 이동 완료위치 방향(북트럭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북트레이(500)가 이동 완료위치로 이동하여, 덤핑판(520)의 저면에 결합된 덤핑 안내부재(610)의 경사 안내부(612)가 로울러로 이루어진 구름부재(620)를 타고 넘게 된다. 이 과정으로 덤핑판(520)은 힌지(530)를 중심으로 북트럭(200)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즉, 덤핑판(520)의 안내부(524)와 덤핑부(522)의 경계영역이 고정판(510)의 단부에 힌지(530)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덤핑판(522)의 저면에는 경사 안내부(612)가 형성된 덤핑 안내부재(610)가 결합되며, 엘엠가이드장치(450)의 한쪽 상단부에 구름부재(62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고정판(510)이 북트럭(200)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경사 안내부(612)가 구름부재(620)를 타고 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덤핑판(520)은 힌지(530)를 중심으로 후방쪽(북트럭이 위치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북트레이(500)의 상면, 즉 고정판(510)과 덤핑판(520)의 상면 또는 커버부재(560)가 존재하는 경우에 커버부재(560)의 상면에 놓여진 도서는 덤핑판(520)의 기울어짐에 의해 북트럭(200) 쪽으로 미끄러져 북트럭(200)에 적재된다. 물론, 북트럭(200) 대신에 이송용 컨베이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서가 낙하는 시점에 컨베이어가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과정으로 도서는 사서나 도서 이용자의 도움없이 자동으로 북트럭(200)으로 이송되어 적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서나 도서 이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판(510)이나 덤핑판(520)에 안착된 도서는 고정판(510)이나 덤핑판(520)의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볼(550) 들에 의해 마찰 저항없이 원활하게 미끄러져 북트럭(200)으로 낙하 된다.
한편, 북트레이(500)가 이동 완료위치에 도달했음을 제어센서(470)가 센서 인식 브라켓(460)을 감지하여 인식하면, 컴퓨터는 구동모터(440)를 정지시킨 후 역회전시켜 이송 브라켓(300)이 이동 시작위치 방향을 이동하도록 한다.
이 과정으로 경사 안내부(612)는 구름부재(620)을 타고 원위치로 이동하게 되므로, 덤핑판(520)은 힌지(530)를 중심으로 원상태로 복귀한다. 이러한 복귀 작동은, 힌지(530)에 구비된 탄성체(54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반납구(121)의 내부에 설치된 북트레이(500)에 도서를 올려놓는 동작만으로, 북트레이(500)가 자동으로 북트럭(200) 쪽으로 이동된 후 자동으로 기울어져 상면에 안착된 도서를 북트럭(200) 쪽으로 낙하시켜 적재함으로써, 도서의 반납을 위한 사서나 도서 이용자의 도움이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서 반납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9를 토대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서 반납장치는, 관통 장공(124)을 구비하여 반납구(121)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패널(122)의 상면에 설치되는 북트레이(500)와, 북트레이(500) 상면에 도서가 안착된 상태에서 북트레이(500)를 북트럭(200) 쪽으로 이동시킨 후, 북트레이(500)를 북트럭(200) 쪽으로 기울여 상면에 안착된 도서를 북트럭(200)에 덤핑하도록 바닥패널(122)과 북트레이(500)의 저면 사이에 설치되는 덤핑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덤핑수단(600)은, 바닥패널(122)의 관통장공(124)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구동모터(680)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피니언(681)과, 피니언(681)과 맞물리도록 북트럭(200)을 향하는 북트레이(500)의 저면 단부에서 중간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랙기어(6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랙기어(68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북트레이(500)를 직선운동시키도록 직선구간(683)과, 북트레이(500)를 북트럭(200) 쪽으로 기울여 도서를 북트럭(200)으로 낙하시키기 위한 곡선구간(68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직선구간(683)은, 북트럭(200)을 향하는 북트레이(500)의 저면 단부에서 중간부 인접 영역까지 형성되고, 곡선구간(684)은 북트레이(500)의 저면 중간부를 향하는 직선구간(683)의 끝부분에서 중간부 방향으로 만곡지게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즉, 곡선구간(684)은 직선구간(683)의 끝부분에서 하향으로 만곡지게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랙기어(682)의 양 측면에는 북트레이(500)가 직선운동과 기울어지는 곡선운동을 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돌기 안내홈(685)이 직선구간(683)과 곡선구간(684)의 형상과 같은 형상과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패널(122)의 저면 양쪽에는 돌기 안내홈(685)에 삽입되어 북트레이(500)의 직선운동과 곡선(기울어짐)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안내돌기(686)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도서 반납장치는, 피니언(681)이 정회전하면, 랙기어(682)와 결합된 북트레이(500)가 도 9에 도시된 직선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고, 이어서, 피니언(681)이 곡선구간(684)에 진입하여 맞물리게 되면, 북트레이(500)는 안내돌기(686)에 지지된 상태로, 도 9에 도시된 원호형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물론, 북트레이(500)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구동모터(680)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 과정으로 북트레이(500) 상면에 놓여진 도서는 후방(북트럭이 있는 위치)으로 이송된 후 북트레이(500)의 기울어짐에 따라 북트럭(200)으로 미끄러져 낙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북트레이(500)가 랙기어(682)와 피니언(682)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북트레이(500)를 직선이동시키고 기울어지게 하는 작업이 간단한 구성으로 가능하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 110 : 본체
120 : 도서 대출 반납부 121 : 반납구
122 : 바닥패널 124 : 관통장공
126 : 안내홈 130 : 모바일
140 : 알에프멀티리더기 150 : 스피커
160 : 프린터 170 : 터치 모니터
200 : 북트럭 300 : 이송 브라켓
400 : 구동부 410 : 구동 베이스
420 : 타이밍 풀리 430 : 타이밍 벨트
440,680 : 구동모터 450 : 엘엠가이드장치
460 : 센서인식 브라켓 470 : 제어센서
480 : 센서 설치 브라켓 480A : 수평판
480B : 수직판 480C : 수평장공
480D : 수직장공 500 : 북트레이
510 : 고정판 511 : 로울러
512 : 결합공 520 : 덤핑판
522 : 덤핑부 524 : 안내부
530 : 힌지 540 : 탄성체
550 : 볼 600 : 덤핑수단
610 : 덤핑 안내부재 612 : 경사 안내부
620 : 구름부재 681 : 피니언
682 : 랙기어 683 : 직선구간
684 : 곡선구간 685 : 돌기 안내홈
686 : 안내돌기

Claims (20)

  1.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의 도서 대출 반납부 바닥에 구비되어 도서 이용자로부터 반납되는 도서를 자동으로 이송시켜 북트럭에 적재시키기 위한 것으로,
    관통 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바닥을 이루는 바닥패널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송 브라켓을 상기 북트럭 쪽으로 직선 왕복운동시키도록 된 구동부;
    상기 바닥패널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 장공을 통하여 이송 브라켓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도서 대출 반납부의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한쪽에 힌지 결합되는 덤핑판으로 이루어진 북트레이; 및
    상기 북트레이에 도서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이 북트럭 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덤핑판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북트럭 쪽으로 기울어져 안착된 도서를 상기 북트럭에 덤핑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덤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의 상면과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판의 이동을 안내하고 도서의 하중을 지지하여 상기 고정판의 이동이 마찰 저항없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안내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바닥패널의 표면에 도서의 이송 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에 안착되어 구름운동하도록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볼 또는 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 도서의 이송 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에 안착되어 구름운동하도록 상기 바닥패널의 상면에 설치되는 볼 또는 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도서의 이송 방향과 일치하도록 상기 바닥패널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는 구동베이스;
    상기 구동 베이스의 양쪽에 각각 설치된 타이밍 풀리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브라켓과 결합되는 타이밍 벨트; 및
    상기 어느 하나의 타이밍 풀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이송 브라켓을 직선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브라켓은,
    하부 한쪽이 상기 구동 베이스에 마련되는 엘엠가이드장치에 결합되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브라켓의 일측에는 센서 인식 브라켓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 베이스에는 상기 센서 인식 브라켓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센서가 마련되되,
    상기 제어센서는, 상기 이송 브라켓의 이동 시작위치, 이동 완료위치 및 중간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센서는,
    상기 제어센서의 높낮이 위치 및 길이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센서 설치 브라켓에 의해 상기 구동 베이스에 설치되되,
    상기 센서 설치 브라켓은,
    다수개의 수직장공들을 통하여 구동 베이스의 측면에 상,하부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판; 및
    상기 구동 베이스의 길이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개의 수평장공을 구비하여 수직판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중앙 영역에 도서가 덤핑되는 방향으로 개구된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덤핑판은, 도서를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공을 메워 상기 고정판의 상면이 평편하도록 하고, 도서를 덤핑할 때에는 상기 결합공으로부터 이탈되기 위한 덤핑부가 한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덤핑부의 다른쪽에는 덤핑되는 도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상기 고정판과 같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는, 상기 덤핑부와 안내부의 경계영역을 상기 고정판의 한쪽 단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는,
    상기 덤핑판이 도서를 덤핑하도록 기울어진 후, 상기 고정판이 원위치로 이동되면 다시 원상태로 회전하도록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상기 덤핑판에는, 안착된 도서가 마찰 저항없이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볼 또는 로울러가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덤핑수단은,
    상기 덤핑판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경사진 경사 안내부를 구비하여 상기 덤핑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덤핑 안내부재; 및
    상기 고정판이 북트럭 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경사 안내부와 구름 접촉되도록 상기 북트럭에 근접한 상기 구동부의 상면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덤핑판을 상기 북트럭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덤핑수단은,
    상기 덤핑판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경사진 경사 안내부를 구비하여 상기 덤핑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덤핑 안내부재; 및
    상기 고정판이 북트럭 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경사 안내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북트럭에 근접한 상기 구동부의 상면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덤핑판을 상기 북트럭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한 접촉안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덤핑판 상면에는,
    상기 덤핑판과 고정판의 상면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표면에는 안내문구, 광고문구가 인쇄되거나 안내문구나 광고문구가 인쇄된 스티커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대출 반납부의 내부 측벽, 또는 상부면에는, 도서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를 스캔하기 위한 스캐너가 설치되되,
    상기 스캐너의 빔은 상기 북트레이의 상면 폭을 기준으로 2/3 또는 폭 전체에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캐너가 도서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를 인식하지 못했을 때, 상기 북트레이를 전,후진 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반납장치.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055241A 2013-05-15 2013-05-15 도서 반납장치 KR101440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241A KR101440501B1 (ko) 2013-05-15 2013-05-15 도서 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241A KR101440501B1 (ko) 2013-05-15 2013-05-15 도서 반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501B1 true KR101440501B1 (ko) 2014-09-17

Family

ID=5176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241A KR101440501B1 (ko) 2013-05-15 2013-05-15 도서 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5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4473A (zh) * 2019-04-15 2019-07-09 湖南书高美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自动脱钩装置
CN111627148A (zh) * 2020-06-18 2020-09-04 深圳市海恒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还书装置
CN112037441A (zh) * 2020-08-27 2020-12-04 张义祥 一种智能图书管理系统
KR20220022004A (ko) 2020-08-14 2022-02-23 주식회사 나이콤 도서 이송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142A (ko) * 2001-10-29 2003-02-26 이헌권 도서 회수장치
KR20090078284A (ko) * 2008-01-14 2009-07-17 한만준 도서 대여/반납 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케이스, 도서대여/반납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18513A (ko) * 2010-04-23 2011-10-31 주식회사 다몬이지서티 프린터의 용지 토출 부분을 문서를 배출하는 입구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무인 문서발급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142A (ko) * 2001-10-29 2003-02-26 이헌권 도서 회수장치
KR20090078284A (ko) * 2008-01-14 2009-07-17 한만준 도서 대여/반납 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케이스, 도서대여/반납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18513A (ko) * 2010-04-23 2011-10-31 주식회사 다몬이지서티 프린터의 용지 토출 부분을 문서를 배출하는 입구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무인 문서발급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4473A (zh) * 2019-04-15 2019-07-09 湖南书高美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自动脱钩装置
CN111627148A (zh) * 2020-06-18 2020-09-04 深圳市海恒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还书装置
KR20220022004A (ko) 2020-08-14 2022-02-23 주식회사 나이콤 도서 이송 장치
CN112037441A (zh) * 2020-08-27 2020-12-04 张义祥 一种智能图书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501B1 (ko) 도서 반납장치
KR20180011329A (ko) 자동 금융거래 단말기를 위한 코어 모듈
US3624360A (en) Card reader and transporter apparatus
JP7365475B2 (ja) 情報処理装置
KR20170080761A (ko) 박스류 발급기
EP3454276A1 (en)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information from rfid tag by the same
JP2006224157A (ja) 空容器回収装置
KR200420085Y1 (ko) 카드 디스펜서
US10807823B2 (en) Card stacker
CN108806073B (zh) 一种混合货道以及无人售货柜
JP5060188B2 (ja) カード発行装置
KR20020083355A (ko) 자동상점 시스템
JP2005122643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5743614B2 (ja) 発券装置
KR102234921B1 (ko) 카드 처리장치
CN112820020A (zh) 自动售货机及其出货方法
CN111833523A (zh) 自动售货机及其货道出货方法
JP2008282290A (ja) 通帳発行装置
JP4238738B2 (ja) 自動販売機
JP7468941B1 (ja) 用紙搬送装置、印刷装置ユニット、用紙搬送方法及び用紙搬送プログラム
CN108765734B (zh) 一种混合货道以及无人售货柜
CN216561960U (zh) 顶出式出货机构、货盘及控制系统
CN108806085B (zh) 一种混合货道以及无人售货柜
CN108877050B (zh) 一种混合货道以及无人售货柜
CN108369654A (zh) 卡送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