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232B1 - 이동 가능한 카 장착 과속 통제기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카 장착 과속 통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232B1
KR102364232B1 KR1020177026629A KR20177026629A KR102364232B1 KR 102364232 B1 KR102364232 B1 KR 102364232B1 KR 1020177026629 A KR1020177026629 A KR 1020177026629A KR 20177026629 A KR20177026629 A KR 20177026629A KR 102364232 B1 KR102364232 B1 KR 102364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car
upright
assembly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6938A (ko
Inventor
아구스틴 히메네스- 곤잘레스
후안 호세 페르난데스
안토니오 데 미구엘 우르키호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70126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Abstract

승강기 카의 이동 가능한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어셈블리는 승강기 카의 업라이트에 해체 가능하게 장착된 섀시 및 섀시에 조작가능하게 장착된 통제기를 포함한다. 섀시는 업라이트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제 1 위치에서, 섀시는 업라이트에 단단히 고정되며 제 2 위치에서 섀시는 업라이트에 단단히 고정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카 장착 과속 통제기
실시예들은 승강기 카들을 위한 카 장착 과속 통제기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승강기 카들을 위한 이동 가능한 카 장착 과속 통제기 어셈블리들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들은 통상적으로 승강기 구성요소가 고장나거나 또는 그 외 작동하지 않게 되는 것, 또는 모션 제어 소프트웨어 에러들로 인해 의도된 모션 프로파일로부터의 일탈들에 응답하여 승강기가 과도한 속도들로 이동하는 것을 멈추기 위한 안전 시스템을 포함한다. 종래에, 승강기 안전 시스템들은 흔히 과속 통제기로 불리우는 기계적 속도 감지 디바이스, 통제기 로프, 및 선택적으로 승강기 가이드레일들을 마찰에 의해 체결하기 위해 안전 기어에 연결된 기계적 연결부를 포함한다. 과속 통제기는 종래에 기계실에 또는 승강구의 최상부 또는 최하부에 장착된다. 안전 시스템은 카 상에 장착되며, 연결부 또는 통제기 로프 히치는 통제기와 시스템을 연결한다. 통제기가 과도한 이동 속도로 인한 위험한 상황을 검출할 때, 그것은 인장된 통제기 로프 및 연결부를 통해 안전 기어에 힘을 전송한다. 안전 기어는 그 후 가이드레일들을 체결하며 승강기 칸을 정지시킨다.
승강기 안전에서의 최근의 발전은 카 장착 과속 통제기이다. 승강기 카 상에 과속 통제기를 장착함으로써, 그것은 또한 승강기 카 상에의 안전 기어에 직접 연결될 수 있어서, 일단 과속 조건이 도달되면 안전 기어를 활성화시키는데 지연들을 최소화한다. 과거의 승강기 시스템들에서, 과속 통제기가 승강기 샤프트의 최상부에 또는 기계실에 장착되는 경우에, 과속 통제기는 로프로의 연결에 의해 연결부를 통해 안전 기어에 연결되었으며, 이것은 때때로 로프의 길이 및 탄성 때문에 과속에 도달한 후 안전 기어를 활성화시키는데 지연들을 야기하였다. 카 장착 과속 통제기의 부가적인 이득들은 요구된 통제기 로프의 양(전체 통제기 로프 루프에 비교하여 승강기 카에 대한 로프의 단일 길이)에서의 감소; 필드에서보다는, 공장에서 통제기를 설치하기 위한 능력; 및 갑작스러운 정지 동안 통제기 로프 루프의 관성력들을 견디기 위한 스프링들의 요구를 제거함으로써 안전 연결부들의 복잡도에서의 감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 카를 위한 이동 가능한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어셈블리는 승강기 카의 업라이트에 해체 가능하게 장착된 섀시 및 상기 섀시에 조작가능하게 장착된 통제기를 포함한다. 상기 섀시는 상기 업라이트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섀시는 상기 업라이트에 단단히 고정되며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섀시는 상기 업라이트에 단단히 고정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 외에,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제 1 위치가 상기 통제기의 조작 위치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 외에,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제 2 위치가 상기 통제기의 유지보수 위치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 외에,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제 2 위치가 상기 승강기 카의 내부로부터 상기 통제기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 외에,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섀시에 조작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섀시가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업라이트에 대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 외에,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롤러가 상기 업라이트에 고정되는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 외에,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섀시의 최상부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승강기 카의 최상부와 실질적으로 높이가 같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 외에,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제 1 위치에 상기 섀시를 단단히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섀기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체결 해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 외에,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제 1 위치에 상기 섀시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 외에,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정지부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섀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 외에,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섀시의 움직임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의 회전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 외에,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섀시의 움직임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의 수직 슬라이딩 모션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 카의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를 액세스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승강기 카의 업라이트로부터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를 해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를 연결 해제하는 단계, 상기 업라이트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상기 어셈블리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상기 어셈블리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업라이트에 상기 어셈블리를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를 다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 외에,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제 1 위치가 상기 통제기의 조작 위치이며 상기 제 2 위치가 상기 통제기의 유지보수 위치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 외에,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들은 이동 단계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섀시를 (i)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것 및 (ii) 회전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효과들은 유지보수 및 검사 목적들을 위해 간단히 설치되고 액세스 가능한 카 장착 과속 통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효과들은 카 장착 과속 통제기의 감소된 크기 및 최적화된 장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으로서 간주되는 주제는 명세서의 결론에서의 청구항들에서 특히 언급되며 개별적으로 청구된다. 본 발명의 앞서 말한 것 및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수반되는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도 1은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 및 안전 기어의 투시도이다;
도 2a는 제 1 위치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제 1 위치에서 도 2a의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의 투시도이다;
도 2c는 제 2 위치에서, 도 2a의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2d는 제 2 위치에서 도 2a의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의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를 액세스하는 프로세스이다.
도 1은 승강기 카들에 안전 피처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카 장착 과속 통제기 어셈블리(100)의 투시도이다. 동작 시, 카 장착 과속 통제기 어셈블리(100)는 과속 이벤트 동안 승강기 카의 효율적인 정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도 1은 통제기(104)를 지지하는 섀시(102)를 예시한다. 통제기(104)는 안전 레버(106), 트리핑 시브(108), 아이들러 시브(110), 원심 트리핑 메커니즘(112), 및 트리핑 링(114)을 포함한다. 또한 승강기 샤프트 또는 승강구의 최상부 및 최하부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로프, 와이어 등일 수 있는, 케이블(116)이 도 1에 도시된다.
섀시(102)는 승강기 카가 이동하는 가이드레일 가까이에서의 승강기 카의 업라이트(예로서, 도 2a 참조)와 같은, 승강기 카의 외부 표면, 구조, 또는 측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섀시(102)는 시트 금속일 수 있으며 통제기(104) 및 연관된 구성요소들에 대한 부착 포인트들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섀시(102)는 섀시(102), 및 그에 따라 통제기(104)를 승강기의 구조 또는 표면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애퍼처들(118)을 포함할 수 있다.
섀시(102)는 또한 승강기의 과속 상태에서 체결하거나 또는 트리거하도록, 및 그에 따라 통제기(104)를 이용한 안전 메커니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전 디바이스(120)를 지지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트리거링 디바이스는 섀시(10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트리핑 시브(108)에 부착된 원심 트리핑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들러 시브(110)는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2)에 및 트리핑 시브(108)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케이블(116)은 승강기 샤프트 또는 승강구의 최상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자유롭게 걸릴 수 있다. 케이블(116)은 또한 승강기 샤프트 또는 승강구의 최하부에서 질량에 의해 인장될 수 있다.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100)에서, 케이블(116)은 "S"-형 패턴 또는 권선에서 트리핑 시브(108) 및 아이들러 시브(116) 주위를 이동한다. 예를 들면, 케이블(116)은 도 1의 좌측 측면 상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아이들러 시브(116)의 최하부 주위를 감싸고, 도 1에서 위쪽으로 및 좌측으로 감고, 트리핑 시브(108) 주위를 감싸며, 그 후 트리핑 시브(108)의 우측 측면 상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동작 시, 승강기 카가 승강기 샤프트 또는 승강구 내에서 위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케이블(116)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트리핑 시브(108) 및 아이들러 시브(110) 주위를 루핑함으로써 승강기 카 속도를 통제기(104)로 복사하거나 또는 전달한다. 원심 트리핑 메커니즘(112)은 트리핑 시브(108)와 함께 회전한다. 승강기 카가 내려감에 따라 과속 상태의 이벤트에서, 원심 트리핑 메커니즘(112)은 트리핑 시브(108)를 트리핑 링(114)에 결합한다. 일단 결합되면, 트리핑 링(114)은 트리핑 시브(108)와 함께 이동하며, 양쪽 모두 도 1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트리핑 링(114)으로부터의 회전의 힘은 안전 레버(106)로 전달된다. 안전 레버(106)의 시계 반대 방향 움직임은 그 후 안전 디바이스(120)가 승강기 카의 속도를 늦추거나 또는 정지시키기 위해 샤프트 또는 승강구에서 가이드레일 또는 다른 구조와 마찰에 의해 체결되게 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도 1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100)는 승강기 카의 업라이트에 단단히 장착되거나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 나사들, 볼트들, 리벳들, 접착제들, 본딩 등과 같은, 다수의 파스너들이 업라이트에 섀시(102)를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파스너들 또는 고정시키기는 다른 수단들을 이용한 결과로서, 그것의 구성요소 부분들을 분해하지 않고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를 이동시키는 것은 불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는 검사들 및/또는 유지보수를 수행하기 위해 기술자들에 의해 도달 가능해야 한다. 그 결과,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는 최적이 아닐 수 있는 승강기 카의 외부 상에서의 위치들에 장착되거나 또는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 장착 통제기는 승강기 카 위 또는 아래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샤프트 또는 승강구 내에서 사용 가능한 공간을 감소시킨다. 대안적으로, 최대 샤프트 또는 승강구 공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는 도달하기 어려운 장소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것은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 상에서 유지보수 및/또는 검사들을 수행하는 안전 및/또는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특수 설계는 보다 편리한 장소에서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요구될 수 있지만, 이러한 설계들은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를 더 복잡하게 만들 수 있어서, 제조 및/또는 설치하는데 보다 높은 비용들을 야기하고 및/또는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 상에서 유지보수 및/또는 검사들을 수행하는데 보다 높은 비용들 및/또는 어려움들을 야기할 수 있다.
이제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로 가면,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가 도시된다. 도 2a는 제 1 위치에서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의 측면 또는 프로파일 뷰를 도시한다. 도 2b는 제 1 위치에서 도 2a의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2c는 제 2 위치에서 도 2a의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의 측면 또는 프로파일 뷰를 도시한다. 도 2d는 제 2 위치에서 도 2a의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는 도 1의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100)와 유사한 특징들을 포함하며, 따라서 유사한 특징들은 유사한 참조 숫자들을 갖고 라벨링되지만 "1"보다는 "2"에 의해 선행될 것이다. 예를 들면, 섀시(202)는 트리핑 시브(208) 및 아이들러 시브(210)를 포함하는 통제기(204)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216)은 도 1에 대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트리핑 시브(208) 및 아디들러 시브(210)를 통해 감긴다. 트리핑 시브(208)는 또한 안전 레버(206)를 포함한다. 동작 시,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는 도 1의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100)와 대체로 유사하게 동작하며, 따라서 다른 특징들 및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면, 이하에서 설명된 경우를 제외하고, 유사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도 2의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의 섀시(202)는 도 1의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100)보다 비교적 더 좁다. 섀시(202)의 이러한 구성은 승강기 카 상에서 보다 작은 볼륨 또는 영역에서(즉, 어셈블리(200)가 보다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또는 승강기 카 상에서의 상이한 장소들에서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의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비교적 좁은 구성으로서 도시되지만,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의 임의의 치수들, 형태들, 및/또는 구성들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는 승강기 카의 업라이트(222)에 해체 가능하게 및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는 하나 이상의 파스너들(224)에 의해 업라이트(222)에 단단히 부착하고, 체결하며, 및/또는 장착한다. 파스너들(224)은 제 1 위치에서의 장소에서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를 단단히 잠그고, 체결하고, 장착하고, 부착하며, 및/또는 유지하도록 구성된다(도 2a, 도 2b). 제 1 위치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조작 위치이다. 조작 위치에서, 파스너들(224)은 과속 발생의 이벤트에서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가 안전 메커니즘으로서 동작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파스너들(224)은 나사들, 볼트들, 록 및 핀 구성들, 또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착탈 가능한 또는 해체 가능한 파스너일 수 있다.
섀시(202)는 정지부(234)에 의해, 섀시(202)의 최하부와 같은, 일 측면 상에서의 제 1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섀시(202)가 제 1 위치에서, 인접해 있거나 또는 정지부(234)에 의해 유지되거나 또는 보유될 때, 섀시(202)의 최상부는 승강기 카(226)의 최상부와 높이가 같고, 그것과 실질적으로 높이가 같거나, 또는 그 가까이에 있다. 이러한 위치에 섀시(202)를 위치시키고 장착함으로써, 기술자는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의 검사 및/또는 유지보수 동작들을 수행할 때 파스너들(224)로의 용이한 액세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위치는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가 전체 승강기 카 구조, 점유 볼륨, 및 구성에 대해 갖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예를 들면,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의 고정된 또는 조작 위치일 수 있는, 제 1 위치의 장소 또는 위치는 보다 큰 볼륨 또는 영역을 차지하는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들의 다른 구성들만큼 제한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감소 치수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는 승강구 또는 샤프트 치수들 및 공간의 보다 양호하거나 또는 보다 효율적인 사용을 이루며, 그에 따라 보다 큰 승강기 카 캐빈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섀시(202)는 승강기 카(226) 상에서의 다른 장소들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예들에서, 섀시(202)는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가 승강기 카(226)의 내부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승강기 카(226)는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가 승강기 카(226)의 내부로부터 도달 가능하도록 일 부분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개방되고 및/또는 수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술자는 승강기 샤프트 바로 안에 있기 위한 요구 없이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를 액세스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섀시(202)는 수평으로 슬라이딩하고,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하고, 스윙하고, 피봇 등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a 내지 도 2d는 단지 예시적이며 설명적인 목적을 위해 제공되며,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다른 구성들, 움직임들 등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 1 위치에서,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는 파스너들(224) 및 정지부(234)에 의해 승강기 카에 대해 고정되고 및/또는 잡아 매어진다. 그러나,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는 유지보수 및/또는 검사를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는 예로서, 검사 및/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의 구성요소들로의 액세스를 허용할 목적으로 제 1 위치로부터 떨어져 이동 가능하거나 또는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면,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는 제 2 위치에서 도시된다. 제 2 위치는 기술자가 어셈블리(200)를 분해하며 그것을 승강기 카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의 구성요소들 및 피처들을 쉽게 액세스할 수 있는 유지보수 위치일 수 있다. 제 1 위치(도 2a, 도 2b)로부터 제 2 위치(도 2c, 도 2d)로 이동시키기 위해, 섀시(202)는 승강기 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는 도 2a 내지 도 2c로부터 도면들에서 위쪽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슬라이딩된다. 여기에서 슬라이딩 모션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다른 구성들 및/또는 움직임들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의 섀시 또는 다른 부분(들)은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회전하고, 작동하고, 슬라이딩하고, 변위하는 등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한 제 1 및 제 2 위치들을 갖고 설명되지만,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제 1 및 제 2 위치들이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및 구성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 1 위치는 유지보수 위치일 수 있으며, 제 2 위치는 조작 위치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제 1 및 제 2 위치들은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 또는 그것의 구성요소들의 움직임의 유형에 기초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202)는 슬리브(228)에 조작가능하게 장착된다. 슬리브(228)는 롤러(230)에 부착되거나 또는 그것과 함께 구성된다. 롤러(230)는 레일(232)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레일(232)은 승강기 업라이트(222)에 단단히 장착된다. 따라서, 섀시(202), 및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는 승강기 업라이트(222)에 대해 레일(232)을 따라 제 1 위치(도 2a, 도 2b)로부터 제 2 위치(도 2c, 도 2d)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섀시(202) 및 슬리브(228)는 일체형 조각으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섀시(202)는 레일(232)과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파스너(들)(224)가 설치되거나 또는 체결될 때, 섀시(202)는 업라이트(222)에 대해 이동하지 않을 것이며, 섀시(202)는 제 1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러나, 파스너(들)(224)가 제거되거나 또는 체결 해제될 때, 섀시(202)는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 위치에 있을 때, 섀시(202), 및 그에 따라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 또는 그것의 일 부분은 승강기 카(226)의 최상부 위에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어셈블리(200)의 분해 없이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의 구성요소들 및 피처들로의 액세스를 허용한다.
유지보수 및/또는 검사 동작들과 같은, 동작이 제 2 위치(도 2c, 도 2d)에서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를 갖고 수행된 후, 섀시(202)는 제 1 위치(도 2a, 도 2b)로 다시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이동될 수 있다. 다시 제 1 위치로의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의 슬라이딩 또는 이동은 롤러(230) 및 슬리브(228)에 의해 레일(232)을 따른다. 파스너(들)(224)가 교체되며 제 1 위치에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를 잠그도록 섀시(202)를 정지시키고 적절한 위치에 섀시(202)를 위치시키기 위해 및 섀시(202)가 너무 멀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지부(234)가 승강기 카 업라이트(222) 상에서 제공된다.
상기 주지된 바와 같이, 제 2 위치(도 2c 및 도 2d에 도시됨)는 도면들에서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예들에서, 유지보수 위치는 조작 위치보다 낮을 수 있거나, 또는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외부보다는, 승강기 카의 내부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회전 또는 피봇 위치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지부(234)가 지지 부재로서, 즉 섀시(202) 아래에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정지부가 지지대로서 기능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유지보수(제 2 위치)가 수행된 후 정확한 스팟(제 1 위치)에서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의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파스너들(224)은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가 의도된 대로 알맞게 및 적절히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에서 및 충분한 힘을 갖고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2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3으로 가면, 이동 가능한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를 동작시키는 프로세스(300)가 도시된다. 단계(302)에서, 하나 이상의 파스너들은 제 1 위치로부터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를 해체하기 위해 체결 해제된다. 체결 해제(disengage)는 어셈블리로부터 파스너의 완전한 제거를 수반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체결 위치로부터의 해체를 수반할 수 있다. 단계 304에서,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된다. 단계(306)에서, 유지보수 동작은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 상에서 수행될 수 있는 반면, 제 2 위치에 있다. 단계 308에서,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는 제 2 위치로부터 다시 제 1 위치로 이동된다. 단계 310에서, 하나 이상의 파스너들은 제 1 위치에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를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는 그것이 승강기의 안전 피처를 수행하도록 동작하지만, 또한 요구될 때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로의 용이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위치에서 체결거나 또는 잠겨지고, 해체되며,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의 감소 치수의, 해체 가능하게/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섀시가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승강구 치수들의 보다 많은 공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감소된 볼륨/영역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따라서 동일한 승강구를 갖고, 보다 큰 승강기 캐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의 이러한 감소된 치수들은 높이(승강구)에서 보다 적은 영역 또는 볼륨을 차지하거나 또는 점유하며, 따라서 승강기 카의 천장 위에서 보다 양호한 간격 또는 조작 볼륨을 허용한다.
뿐만 아니라, 유리하게는, 유지보수 및/또는 검사 동작들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들은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에 도달하는데 더 빠르고, 더 안전하며,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 및/또는 검사 동작들과 연관된 비용들, 시간, 및 어려움들이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지보수/검사 동작들을 수행할 때 분해를 요구하지 않는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지 제한된 수의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쉽게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본 발명은 지금까지는 설명되지 않은,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 상응하는, 임의의 수의 변화들, 변경들, 대체들, 조합, 서브-조합, 또는 등가 배열들을 통합하기 위해 수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양상들은 설명된 실시예들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의 이동 가능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롤러-레일 구성을 갖고 여기에서 설명되지만,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다른 구성들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예들에서, 롤러-레일 구성은 완전히 제거될 수 있으며,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손으로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말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보여지지 않을 것이며, 단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5)

  1. 승강기 카(elevator car)를 위한 이동 가능한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승강기 카의 업라이트(upright)에 해체 가능하게 장착된 섀시;
    상기 섀시에 조작가능하게 장착된 통제기(governor)를 포함하며,
    상기 섀시는 상기 업라이트에 대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섀시는 상기 업라이트에 단단히 고정되며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섀시는 상기 업라이트에 단단히 고정되지 않고,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통제기의 유지보수 위치인,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통제기의 조작 위치(operation position)인, 어셈블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승강기 카의 내부로부터 상기 통제기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어셈블리.
  5.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에 조작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섀시가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업라이트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롤러를 더 포함하는,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업라이트에 고정되는 레일(rail)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어셈블리.
  7.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의 최상부는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승강기 카의 최상부와 실질적으로 높이가 같은(level), 어셈블리.
  8.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섀시를 단단히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섀시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체결 해제 가능한(disengageable)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를 더 포함하는, 어셈블리.
  9.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에 상기 섀시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정지부를 더 포함하는, 어셈블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섀시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어셈블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섀시의 움직임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의 회전인, 어셈블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섀시의 움직임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의 수직 슬라이딩 모션인, 어셈블리.
  13. 삭제
  14. 승강기 카의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를 액세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승강기 카의 업라이트로부터 카 장착 통제기 어셈블리를 해체(release)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를 연결 해제하는 단계(disengaging);
    상기 업라이트에 대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상기 어셈블리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상기 어셈블리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업라이트에 상기 어셈블리를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를 다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통제기의 조작 위치이며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통제기의 유지보수 위치인,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계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어셈블리를 (i)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단계 및 (ii) 회전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77026629A 2015-03-12 2015-03-12 이동 가능한 카 장착 과속 통제기 KR102364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S2015/070178 WO2016142557A1 (es) 2015-03-12 2015-03-12 Regulador de velocidad para cabinas de elevad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938A KR20170126938A (ko) 2017-11-20
KR102364232B1 true KR102364232B1 (ko) 2022-02-17

Family

ID=5282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629A KR102364232B1 (ko) 2015-03-12 2015-03-12 이동 가능한 카 장착 과속 통제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11602B2 (ko)
EP (1) EP3269672B1 (ko)
KR (1) KR102364232B1 (ko)
CN (1) CN107428501B (ko)
ES (1) ES2842325T3 (ko)
WO (1) WO20161425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0961B (zh) 2017-10-30 2021-08-17 奥的斯电梯公司 限速器组件以及电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5845A (en) * 1990-09-13 1991-11-19 Pearson David B Speed governor safety device for stopping an elevator car
JP3857325B2 (ja) 1998-06-16 2006-12-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制御装置
EP1016614B1 (en) 1998-07-16 2004-09-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ler for elevators
JP4047462B2 (ja) 1998-09-03 2008-02-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べーター調速機
US6478117B2 (en) 1998-10-30 2002-11-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having governor positioned under controller in hoistway at top floor level
JP2002020056A (ja) 2000-07-03 2002-01-2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2002338156A (ja) 2001-05-14 2002-11-2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調速機の点検装置
DE10300993A1 (de) 2003-01-14 2004-07-22 Aufzugswerke M. Schmitt & Sohn Gmbh & Co. Bremsvorrichtung für eine Aufzuganlage
KR20130040912A (ko) * 2010-05-18 2013-04-2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통합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WO2013180721A1 (en) 2012-05-31 2013-12-05 Otis Elevator Company Car mounted overspeed governor actuation device
EP3006386B1 (en) 2013-06-07 2021-10-0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with low overhead and low pit
JP6163028B2 (ja) 2013-06-19 2017-07-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
CN107207201A (zh) * 2014-08-01 2017-09-26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电梯系统的安装轿厢的调速器
JP6203427B2 (ja) * 2014-11-19 2017-09-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44135A1 (en) 2018-02-15
KR20170126938A (ko) 2017-11-20
ES2842325T3 (es) 2021-07-13
CN107428501A (zh) 2017-12-01
EP3269672B1 (en) 2020-10-07
CN107428501B (zh) 2019-12-06
US10611602B2 (en) 2020-04-07
EP3269672A1 (en) 2018-01-17
WO2016142557A1 (es) 201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7321B2 (ja) 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4107728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2636626B1 (en) Elevator device
EP3401260B1 (en) Elevator overrun systems
KR101569002B1 (ko) 엘리베이터 하부 점검용 안전시스템
JP2013523565A (ja) 低オーバヘッドエレベータの可倒式ストップ
US11427437B2 (en) Overspeed safely brake
CN107098236B (zh) 电梯检修面板
JP6238270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180251340A1 (en) Accessible elevator buffer
JP201309557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364232B1 (ko) 이동 가능한 카 장착 과속 통제기
JP5810218B2 (ja) 手動制動装置が付着された非常停止装置
EP3328772B1 (en) Safety block for elevator
KR10186297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5255294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1190236B1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조속기
JP651737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2075211A1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apparatuses and elevator apparatus comprising said safety device
JP6735336B2 (ja) ドアモータブレーキ
JP6751367B2 (ja) 非常停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JP201016818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29307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9286605A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2005200162A (ja) エレベータの調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