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706B1 -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 - Google Patents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706B1
KR102363706B1 KR1020200005641A KR20200005641A KR102363706B1 KR 102363706 B1 KR102363706 B1 KR 102363706B1 KR 1020200005641 A KR1020200005641 A KR 1020200005641A KR 20200005641 A KR20200005641 A KR 20200005641A KR 102363706 B1 KR102363706 B1 KR 10236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lattice
insertion hole
port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097A (ko
Inventor
이상종
Original Assignee
삼익엔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익엔티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익엔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5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7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23Q3/1571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 B23Q3/157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the storage device comprising rotating or circulating storing means
    • B23Q3/15726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the storage device comprising rotating or circulating storing means the storage means rotating or circulating in a plane parallel to the axis of the spindle
    • B23Q3/1573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the storage device comprising rotating or circulating storing means the storage means rotating or circulating in a plane parallel to the axis of the spindle the axis of the stored tools being arranged in the rotating or circulating plane of the 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24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 B23B29/26Tool holders in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07Retention by laterally-acting detents, e.g. pins, screws, wedges; Retention by loose elements, e.g. balls
    • B23B31/1071Retention by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머시닝 센터에 구비되는, 공구를 자동으로 교환해주는 자동 공구 교환 장치에서 공구를 수용하는 공구 포트(tool pot)가 개시된다. 개시된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소재가 경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공구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공구 삽입 홀(hole)이 형성된 몸체, 공구 삽입 홀에 끼워진 공구가 의도하지 않게 빠지지 않도록 공구의 목(neck)을 탄성 가압하는 복수의 볼 플런저(ball plunger), 및 몸체를 피봇시키는 유닛(unit)에 파지되는 것으로, 몸체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롤러(roller)를 구비한다. 몸체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몸체의 외주면에 격자 패턴(lattice pattern)으로 돌출된 격자 돌기를 구비하고, 공구 삽입 홀의 내주면과 몸체의 외주면 사이의 두께가 격자 돌기의 높이보다 작다.

Description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Tool pot of automatic tool changer}
본 발명은 머시닝 센터에 구비되는, 공구를 자동으로 교환해주는 자동 공구 교환 장치에서 공구를 수용하는 공구 포트(tool pot)에 관한 것이다.
머시닝 센터(machining center)는 보링 머신(boring machine), 밀링 머신(milling machine), 드릴링 머신(drilling machine) 등을 하나로 구성한 복합 공작 기계이다. 머시닝 센터는 기계 본체와, 여러 개의 공구를 절삭 조건에 맞게 자동적으로 교환해주는 자동 공구 교환 장치(ATC: automatic tool changer)와, 수치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유형 가운데 회전형 공구 매거진(magazine)을 구비한 것이 있다. 상기 자동 공구 교환 장치는 회전형 공구 매거진의 외주부에 공구(tool)가 하나씩 수납되는 복수의 공구 포트(tool pot)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공구 포트 중 특정 공구 포트가 교환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공구 매거진이 회전하고, 상기 특정 공구 포트가 공구 매거진에 대해 피봇(pivot) 회전하면, 공구 교환기에 의해 상기 공구 포트에 끼워진 공구가 빼내어 지거나 비어 있는 공구 포트에 공구가 끼워지게 된다.
금속 소재로 된 공구의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공구 포트는 강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되어 왔다. 그러나, 열경화성 수지는 재활용이 어려워 환경 공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고,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공구 포트를 성형하면 요구되는 강성을 충족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759789호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면서도 요구되는 강성을 충족하고, 무게도 감소되는,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인,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소재가 경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공구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공구 삽입 홀(hole)이 형성된 몸체, 상기 공구 삽입 홀에 끼워진 공구가 의도하지 않게 빠지지 않도록 상기 공구의 목(neck)을 탄성 가압하는 복수의 볼 플런저(ball plunger), 및 상기 몸체를 피봇시키는 유닛(unit)에 파지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롤러(roller)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격자 패턴(lattice pattern)으로 돌출된 격자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 삽입 홀의 내주면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 사이의 두께가 상기 격자 돌기의 높이보다 작은,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를 제공한다.
상기 격자 돌기의 두께는 평행하게 인접한 한 쌍의 격자 돌기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격자 돌기의 두께는 2.2 내지 3.4mm 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볼 플런저는 각각,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캡(cap)과, 상기 몸체에 끼워진 공구의 목에 밀착되는 볼(ball)과, 상기 볼과 상기 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볼을 상기 공구의 목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캡에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절삭유가 유동 가능하도록 절삭유 배출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파이프(pipe)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구 삽입 홀에 끼워진 공구의 목과 헤드(head)가 삽입 안착되는 부시(bush)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수지 및 나일론(nylon) 수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외에 상기 몸체를 형성하는 소재에는, 25 내지 40 wt% 의 유리섬유(glass fiber), 3 내지 10 wt% 의 탄성체(elastomer), 및 1 내지 10 wt% 의 무기물(minerals)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셀룰로즈(cellulose)이고, 상기 무기물은 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및 카올리나이트(kaolinite)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의 외주면에 격자 패턴으로 형성된 격자 돌기를 구비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하여 공구 포트를 제조함에 불구하고 제품에 요구되는 강성을 충족하면서 동시에 무게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몸체를 녹여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 친화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공구 교환 작업 및 공구를 이용한 작업 중에 공구 포트 내부로 절삭유가 유입되더라도 볼 플런저(ball plunger)에 형성된 절삭유 배출 통공을 통해 상기 절삭유가 공구 포트 외부로 유출된다. 따라서, 공구 포트 내부에 고인 절삭유로 인한 볼 플런저의 고장 및 손상이 예방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포트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은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2는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을 III-III에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을 IV-IV에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을 V-V에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포트의 사출 성형에서 금형 내에 삽입되는 부시(bush)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포트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은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2는 아래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을 III-III에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을 IV-IV에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을 V-V에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포트의 사출 성형에서 금형 내에 삽입되는 부시(bush)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포트(10)는 회전 매거진(magazine)을 구비하는 자동 공구 교환 장치(미도시)에서 상기 회전 매거진의 외주변에 등각도 간격으로 설치된다.
공구 포트(10)는 상기 회전 매거진의 외주변에 핀(pin)(미도시)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핀을 중심으로 대략 90° 범위 내에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pivot) 가능하다. 상기 회전 매거진이 회전을 멈추고, 특정한 공구 포트(10)가 공구 교환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공구 포트(10)가 상기 핀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공구 포트(10)가 상기 핀을 중심으로 피봇하면, 공구(1)를 교환하는 유닛(미도시)이 상기 공구 포트(10)에 끼워진 공구(1)의 자루(5)를 파지하여 공구(1)를 빼내거나, 비어 있는 공구 포트(10)에 공구(1)를 끼워 넣게 된다.
공구 포트(10)는 몸체(11)와, 롤러(25)와, 복수의 볼 플런저(ball plunger)(30)와, 부시(bush)(40)를 구비한다. 몸체(11)는 열가소성 수지(resin)을 포함하는 소재가 경화되어 형성되며, 공구(1)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공구 삽입 홀(13)이 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다. 몸체(11)의 전면(前面)에는 공구 삽입 홀(13)의 입구(12)가 형성된다. 몸체(11)의 하측 단부에는 상기 피봇(pivot) 중심이 되는 핀(pin)(미도시)이 체결되는 핀 체결공(15)이 형성된다.
몸체(11)는 예컨대,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수지, 나일론(nylon)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소재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외에 몸체(11)를 형성하는 소재에는, 25 내지 40 wt% 의 유리섬유(glass fiber), 3 내지 10 wt% 의 탄성체(elastomer), 및 1 내지 10 wt% 의 무기물(minerals)이 포함된다. 상기 유리섬유는 몸체(11)의 강성(rigidity)을 더욱 보강해주고, 탄성체는 몸체(11)의 인성(toughness)을 보강해주며, 무기물은 소재 내의 여러 성분의 혼합 및 안정화에 기여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탄성체는 셀룰로즈(cellulose)이고, 상기 무기물은 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및 카올리나이트(kaolinite)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를 이루는 소재의 베이스(base)로서 열경화성 수지보다 강성이 작은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몸체(11)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공구 포트(10)는 몸체(11)의 외주면(19)에 격자 패턴(lattice pattern)으로 돌출된 격자 돌기(20)를 구비한다. 상기 격자 돌기(20)로 인해 인접한 격자 돌기(20) 사이에는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격자 홈(22)이 형성된다. 격자 돌기(20)의 높이는 몸체(11)의 외관 형상에 따라 최소 높이(LH1)의 격자 돌기부터 최대 높이(LH2)의 격자 돌기까지 다양한 종류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공구 포트(10)에서 공구 삽입 홀(13)의 내주면과 몸체(11)의 외주면(19) 사이의 두께(BT)는 격자 돌기(20)의 최소 높이(LH1)보다도 작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최소 높이(LH1)는 상기 두께(BT)의 1.5 내지 2배, 상기 최대 높이(LH2)는 상기 두께(BT)의 2.5 내지 4배이다. 한편, 격자 돌기(20)의 두께(LT)는 2.2 내지 3.4mm 로서, 평행한 인접한 한 쌍의 격자 돌기(20) 사이의 간격(LG)보다 작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간격(LG)은 상기 두께(LT)의 2 내지 4배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몸체(11)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상기 내주면과 외주면(19) 사이 간격(BT) 외에 격자 돌기(20)의 높이(LH1, LH2)까지 더해진 효과가 있어 몸체(11)의 강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강성 향상의 효과에 불구하고 인접한 격자 돌기(20) 사이에 형성된 격자 홈(22)으로 인해 몸체(11)의 무게는 크게 증가하지 않게 된다.
롤러(25)는 몸체(11)의 후단부(17)에 롤러 샤프트(26)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회전 매거진(미도시)이 회전하여 특정한 공구 포트(10)가 상기 공구 교환 위치에 위치한 때, 몸체(11)를 피봇(pivot)시키는 유닛(미도시)이 상기 롤러(25)를 파지하고 당기거나 밀어, 공구 포트(10)가 핀 체결공(15)에 체결된 핀(미도시)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 회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1)를 피봇시키는 유닛은 후크(hook)(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25)는 상기 후크에 파지될 수 있다.
공구(1)는 원뿔형으로 테이퍼(taper)진 공구 몸체(2)와, 공구 몸체(2)의 일측 단부에서 원통형으로 연장된 공구 목(neck)(3)과, 공구 목(3)의 말단에 공구 목(3)의 직경보다 크게 확장 형성된 공구 헤드(head)(4)와, 공구 몸체(2)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공구 자루(5)를 구비한다. 공구(1)가 공구 포트(10)에 끼워질 때 공구 헤드(4)부터 공구 삽입 홀 입구(12)를 통해 몸체(11) 내부의 공구 삽입 홀(hole)(13) 내부로 진입하게 되며, 공구 자루(5)는 몸체(11)의 상기 공구 삽입 홀 입구(12)의 주변부에 걸려 공구 삽입 홀(13) 내부로 진입할 수 없다.
4개의 볼 플런저(30)는 몸체(11)의 공구 삽입 홀(13)에 끼워진 공구(1)가 의도하지 않게 빠지지 않도록 공구 목(3)을 탄성 가압하여 잡는다. 4개의 볼 플런저(30)는 각각, 몸체(11)에 고정되는 캡(cap)(31)과, 공구 삽입 홀(13)에 끼워진 공구(1)의 공구 목(3)에 밀착되는 볼(ball)(37)과, 볼(37)과 캡(31) 사이에 개재되어 볼(37)을 공구 목(3)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compression spring)(36)을 구비한다. 캡(31)의 외주면은 수나사 패턴(male screw thread pattern)이 형성된 수나사면(32)으로, 상기 수나사면(32)이 몸체(11)에 스크류(screw) 체결되어 캡(31)이 몸체(11)에 고정된다.
몸체(11)의 내부에서 외부로 절삭유가 유동 가능하도록 캡(31)의 중앙부를 캡(31)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절삭유 배출 통공(33)이 캡(31)에 각각 형성된다. 공구(1)를 이용한 작업 중에 공구 삽입 홀(13) 내부로 절삭유가 유입될 수 있는데, 이렇게 유입된 절삭유는 몸체(11) 내부에서 고여 있지 않고 상기 절삭유 배출 통공(33)을 통해 몸체(11) 외부로 배출된다.
도 3, 도 4,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공구(1)가 공구 삽입 홀(13) 내부에 끼워지거나 공구 삽입 홀(13)에서 빼내어 질 때 공구 삽입 홀(13) 내측면이 공구 헤드(4)와 충돌하여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1) 내부의 공구 헤드(4)와 공구 목(3)이 삽입 안착되는 지점에 파이프(pipe) 형상의 부시(bush)(40)가 고정 배치된다. 부시(40)는 예컨대,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과 같이 강성이 큰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몸체(11)를 이루는 소재와 일체로 결합된다. 부시(40)의 내경(ID1)은 공구 헤드(4)의 직경보다 크다.
사출 성형을 위해 금형(미도시)의 캐비티(cavity)(미도시)에 주입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소재와의 접촉 면적이 확장되도록 부시(40)의 외주면에는 고리(ring) 형태로 파여진 그루브(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소재와의 접촉 면적이 확장되도록 부시(40)의 외주면(41)은 널링(knurling) 가공에 의해 널링 패턴(knurling pattern)(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부시(40)의 측벽에는 4개의 볼 플런저(30)의 볼(37)이 상기 측벽에 가로막히지 않고 공구 목(3)에 접촉될 수 있도록 4개의 볼 안착 통공(44)이 형성된다. 부시(40)의 내측에 공구 목(3)과 공구 헤드(4)가 삽입 안착되지 않은 경우에 볼(37)이 부시(40)의 측벽을 완전히 관통하여 부시(40)의 내측에서 4개의 볼(37)이 충돌하지 않고 볼 안착 통공(34)에 안착되도록, 볼 안착 통공(34)의 내주면 측 내경(ID2)은 볼(37)의 직경보다 작다.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공구 포트(10)의 제조 방법은, 부시 삽입 단계, 사출 단계, 수지 경화 단계, 사출품 취출 단계, 볼 플런저 설치 단계, 및 롤러 장착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부시 삽입 단계는, 공구 포트(10)를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 금형(미도시)의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중 하나에 부시(40)를 삽입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사출 단계는,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을 형폐(型閉)하고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용융된 소재를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cavity)에 사출 주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지 경화 단계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용융된 소재를 경화시켜 상기 부시(40)와 상기 경화된 수지로 형성된 몸체(11)가 일체화된 사출품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사출품 취출 단계는,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을 형개(型開)하고, 상기 사출품을 취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볼 플런저 설치 단계는, 몸체(11)에 볼 플런저(3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롤러 장착 단계는, 상기 사출품의 후단(17)에 롤러(25)를 장착하여 공구 포트(10)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공구 포트(10)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몸체(11)를 녹여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 친화적이다. 또한, 몸체(10)의 외주면(19)에 격자 패턴으로 형성된 격자 돌기(20)를 구비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하여 공구 포트(10)를 제조함에 불구하고 제품에 요구되는 강성을 충족하면서 동시에 무게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공구 포트(10)를 외주부에 구비하고 회전하는 공구 매거진(미도시)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미도시)의 파워(power)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동 공구 교환 장치(미도시)의 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공구 교환 작업 및 공구를 이용한 작업 중에 몸체(11) 내부로 절삭유가 유입되더라도 볼 플런저(30)의 캡(31)에 형성된 절삭유 배출 통공(33)을 통해 절삭유가 몸체(11) 외부로 유출된다. 따라서, 몸체(11) 내부에 고인 절삭유로 인한 볼 플런저(30)의 고장 및 손상, 부시(40)의 부식과 같은 문제가 예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공구 10: 공구 포트
11: 몸체 13: 공구 삽입 홀
20: 격자 돌기 25: 롤러
30: 볼 플런저 40: 부시

Claims (8)

  1.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소재가 경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공구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공구 삽입 홀(hole)이 형성된 몸체; 상기 공구 삽입 홀에 끼워진 공구가 의도하지 않게 빠지지 않도록 상기 공구의 목(neck)을 탄성 가압하는 복수의 볼 플런저(ball plunger); 및, 상기 몸체를 피봇시키는 유닛(unit)에 파지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롤러(roller);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격자 패턴(lattice pattern)으로 돌출된 격자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 삽입 홀의 내주면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 사이의 두께가 상기 격자 돌기의 높이보다 작고,
    상기 격자 돌기의 두께는 2.2 내지 3.4mm 이고,
    상기 격자 돌기의 두께는 평행하게 인접한 한 쌍의 격자 돌기 사이의 간격보다 작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 외에 상기 몸체를 형성하는 소재에는, 25 내지 40 wt% 의 유리섬유(glass fiber), 3 내지 10 wt% 의 탄성체(elastomer), 및 1 내지 10 wt% 의 무기물(minerals)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 플런저는 각각,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캡(cap)과, 상기 몸체에 끼워진 공구의 목에 밀착되는 볼(ball)과, 상기 볼과 상기 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볼을 상기 공구의 목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캡에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절삭유가 유동 가능하도록 절삭유 배출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
  5. 제1 항에 있어서,
    금속으로 이루어진 파이프(pipe)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구 삽입 홀에 끼워진 공구의 목과 헤드(head)가 삽입 안착되는 부시(bush);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수지 및 나일론(nylon) 수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셀룰로즈(cellulose)이고,
    상기 무기물은 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및 카올리나이트(kaolinite)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
KR1020200005641A 2020-01-15 2020-01-15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 KR10236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641A KR102363706B1 (ko) 2020-01-15 2020-01-15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641A KR102363706B1 (ko) 2020-01-15 2020-01-15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097A KR20210092097A (ko) 2021-07-23
KR102363706B1 true KR102363706B1 (ko) 2022-03-14

Family

ID=7715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641A KR102363706B1 (ko) 2020-01-15 2020-01-15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7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288B1 (ko) * 2006-04-10 2007-01-12 주식회사 화인에이.티.씨 일체형 툴 포트
KR100759789B1 (ko) * 2006-11-23 2007-09-20 (주) 리드머신 자동공구교환장치의 툴포트
JP2012030329A (ja) * 2010-07-30 2012-02-16 Fudow Co Ltd 切削油が使用される工具を保持する工具保持具構成材料、及び切削油が使用される工具を保持する工具保持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0433A (ko) * 1996-04-04 1997-11-07 김영귀 엔진의 오일 드레인 플러그
KR101499592B1 (ko) * 2012-12-28 2015-03-09 주식회사 다인정공 절삭 가공을 위한 탭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288B1 (ko) * 2006-04-10 2007-01-12 주식회사 화인에이.티.씨 일체형 툴 포트
KR100759789B1 (ko) * 2006-11-23 2007-09-20 (주) 리드머신 자동공구교환장치의 툴포트
JP2012030329A (ja) * 2010-07-30 2012-02-16 Fudow Co Ltd 切削油が使用される工具を保持する工具保持具構成材料、及び切削油が使用される工具を保持する工具保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097A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1446B2 (en) Process, mould, devices and kit for manufacturing products made of composite materials, as well as products manufactured with this process and/or with these means
KR102225548B1 (ko)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
KR100905007B1 (ko) 튜브 결합을 위한 콜레트 또는 그에 관련된 향상
US7785099B2 (en) Stringing preventing member and injection molding apparatus
KR102363706B1 (ko)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공구 포트
US20060076738A1 (en) Quick change coupler
EP0518863A4 (en) Replacement tool handle
CN108568937B (zh) 用于在刚性工件周围模制弹性材料的方法
US7780435B2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having a sprue bushing for communication with a nozzle
EP1162027A1 (en) Tool pot for tool magazine
US8276791B2 (en) Feed hopper having rotatable sleeve
WO2010041782A1 (en) Nozzl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with foreign substance removal function
KR100685488B1 (ko) 앤드캡 볼나사용 너트
JP3842566B2 (ja) 射出成形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
CN209239238U (zh) 一种自动更换导向器装置
DE102017104895B4 (de) Formgebende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inen Permanentmagneten aufweisenden Verbundteils
CN210919578U (zh) 一种电机冷却风叶与电机轴的连接结构
CN214926602U (zh) 一种镶件更换结构
US20090218730A1 (en) Acrylon Plastics Inc.
CN220112415U (zh) 一种新型开孔器接杆
US20030003185A1 (en) Arrangement for an integral two-stage ejector
CN210349529U (zh) 一种互感器补油工具
CN219598859U (zh) 深腔清理工装
CN215789522U (zh) 一种螺丝钉枪自动送钉器的联接锁紧机构
CN217434853U (zh) 一种模内注塑螺母定位结构及注塑模具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