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375B1 - 랜덤 봉함기 - Google Patents

랜덤 봉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375B1
KR102363375B1 KR1020210086547A KR20210086547A KR102363375B1 KR 102363375 B1 KR102363375 B1 KR 102363375B1 KR 1020210086547 A KR1020210086547 A KR 1020210086547A KR 20210086547 A KR20210086547 A KR 20210086547A KR 102363375 B1 KR102363375 B1 KR 102363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unit
sides
tap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현하이텍
Priority to KR1020210086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6Applying adhesive tape
    • B65B51/067Applying adhesive tape to the closure flaps of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9/00Devices for folding or bending wrappers around contents
    • B65B49/12Rotary f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3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ackag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랜덤 봉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박스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프레임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에 설치되어 박스의 전후방 상부날개를 접는 전후방 폴딩유닛과, 상기 승강대에 설치되어 전후방 상부날개가 접힌 박스의 양측방 날개를 접는 측방폴딩유닛을 포함하는 포밍부와; 상기 프레임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에 설치되어 박스의 양측방 날개 상면을 테이핑하는 테이핑유닛을 포함하는 테이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서로 다른 규격의 포장박스도 하나의 라인에서 동시에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랜덤 봉함기{Random box sealer}
본 발명은 랜덤 봉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른 사이즈를 갖는 박스를 하나의 라인에서 폴딩하고 테이핑할 수 있는 랜덤 봉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낱개의 제품들은 운송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몇 개씩 묶은 후 박스에 넣어 포장을 하는 한편, 박스 내에 수용된 제품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 박스의 개구부를 접착테이프로 봉합시키고 있다.
종래에는 제품을 박스에 넣은 후 박스의 날개를 접어 테이핑하는 작업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하여 인건비 상승과 생산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제품이 넣어진 박스에 대한 폴딩작업과 테이핑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박스 봉함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시되고 있는 박스 봉함기는 등록특허 10-1425504에서 제시되고 있는 것처럼 동일한 규격을 갖는 박스만을 포장할 수 있는 것이어서 다른 규격의 박스를 포장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박스 봉함기를 준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1425504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포장박스도 하나의 라인에서 동시에 연속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랜덤 봉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랜덤 봉함기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박스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프레임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에 설치되어 박스의 전후방 상부날개를 접는 전후방 폴딩유닛과, 상기 승강대에 설치되어 전후방 상부날개가 접힌 박스의 양측방 날개를 접는 측방폴딩유닛을 포함하는 포밍부와; 상기 프레임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에 설치되어 박스의 양측방 날개 상면을 테이핑하는 테이핑유닛을 포함하는 테이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박스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가압판과, 상기 포밍부에 전입하기 전 상기 가압판에 의해 가압된 박스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센서를 포함하는 투입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포밍부의 전후방 폴딩유닛은 상기 승강대에 설치되는 지지헤드와; 상기 지지헤드에 설치되어 박스의 전방 상부날개를 접는 전방폴딩 가이드와; 상기 지지헤드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지지헤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어, 로드 후진시 하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박스의 후방 상부날개를 가압하여 접는 회동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포밍부의 측방폴딩유닛은 상기 승강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이 상호 치합되는 한 쌍의 회동암과; 상기 한 쌍의 회동암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박스의 양측방 날개를 접는 가압봉과; 상기 한 쌍의 회동암 중 어느 하나의 회동암을 회동시켜 상기 한 쌍의 가압봉 사이를 벌리거나 좁히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포밍부는 이송되는 박스의 양 측면을 가압하는 측면가압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측면가압유닛은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어 로드의 전후진시 회전하는 수평 회전봉과; 상기 수평 회전봉의 회전방향을 변환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수직 회전봉과; 상기 수직 회전봉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링크조립체와; 상기 링크조립체에 연결되어 상기 박스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가압유닛의 가압대에는 다수의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테이핑유닛은 상기 승강대에 설치되어 박스의 양측방 날개를 테이핑하는 테이핑기와; 상기 승강대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상측부가 연결되어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단에 설치되어 테이핑시 상기 박스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중앙에서 구동하는 제1체인을 따라 푸셔가 이동하여 박스를 후방에서 가압함으로써 상기 포밍부로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와; 양쪽에서 구동하는 한 쌍의 제2체인을 따라 푸셔가 이동하여 박스를 후방에서 가압함으로써 상기 테이핑부로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랜덤 봉함기는 박스의 전후방 상부날개를 접는 전후방 폴딩유닛과 양측방 날개를 접는 측방폴딩유닛은 포밍부의 승강대에 설치되어 상하이동하고, 박스의 상면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핑유닛은 테이핑부의 승강대에 설치되어 포밍부의 전후방 폴딩유닛이나 측방폴딩유닛과는 상관없이 독자적으로 상하이동하므로, 서로 다른 규격의 포장박스도 하나의 라인에서 동시에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높이측정센서에서 측정한 박스의 높이에 따라 포밍부의 전후방 폴딩유닛이나 측면가압유닛, 테이핑부의 테이핑유닛의 설치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자동 조절되므로 다른 높이를 갖는 박스의 폴딩작업과 테이핑 작업을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박스의 폴딩이나 테이핑 작업 중에 가압판이나 측면가압유닛 및 테이핑유닛 등으로 박스의 양측면을 파지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위치를 폴딩하고 정확한 위치에 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랜덤 봉함기를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랜덤 봉함기의 이송부와 투입부를 보인 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랜덤 봉함기의 포밍부를 보인 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랜덤 봉함기의 테이핑부를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랜덤 봉함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랜덤 봉함기를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랜덤 봉함기의 이송부와 투입부를 보인 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랜덤 봉함기의 포밍부를 보인 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랜덤 봉함기의 테이핑부를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랜덤 봉함기는 하부날개 및 하부 양측에 구비된 측방날개가 폴딩되거나 또는 폴딩 후 테이핑된 박스(B)의 전후방 상부날개(B1,B2)와 상부 양측에 구비된 양측방 날개(B3)를 테이핑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박스(B)를 이송하는 이송부(200)와, 상기 이송부(200)에 의해 이동되는 박스(B)의 높이를 측정하는 투입부(300)와, 상기 투입부(300)를 통해 공급된 박스(B)를 6면체 형태로 성형하는 포밍부(400)와, 상기 포밍부(400)에 의해 성형된 박스(B)의 상면을 테이프로 붙이는 테이핑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뼈대와 봉함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여기에는 투명창이 설치되어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면서 이물질 등이 봉함 과정 중에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부(200)는 박스(B)를 투입부(300)에서부터 테이핑부(500)까지 순차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컨베이어(210)와, 상기 제1컨베이어(210)에서 박스(B)를 제공받는 제2컨베이어(2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컨베이어(210)는 상측에서 봤을 때 프레임(100)의 중앙에서 무한궤도 방식으로 구동하는 한 줄의 제1체인(211)을 따라 푸셔(213)가 이동하여 박스(B)를 후방에서 가압함으로써 포밍부(400)로 이송한다.
부연하면, 제1컨베이어(210)는 투입부(300)에서 시작하여 포밍부(400)의 중간지점까지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체인(211)과, 상기 제1체인(211)의 양 옆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다수의 회전봉(2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체인(211)에는 푸셔(213)가 연결되어 제1체인(211)과 함께 회전하는데, 이 푸셔(213)는 박스(B)의 후면 하부를 밀어서 포밍부(400)로 공급한다.
상기 제2컨베이어(220)는 상측에서 봤을 때 프레임(100)의 양쪽에서 구동하는 한 쌍의 제2체인(221)을 따라 푸셔(222)가 이동하여 박스(B)를 후방에서 가압함으로써 테이핑부(500)로 이송한다.
부연하면, 제2컨베이어(220)는 포밍부(400)의 입구부분에서 시작하여 테이핑부(500)의 출구부분까지 연결되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제2체인(221)을 포함하는데, 제2체인(221)은 한 줄이 아니고 2줄로 이루어지며, 이 2줄의 체인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2줄의 제2체인(221)에는 푸셔(222)가 각각 설치되어 제2체인(221)과 함께 회전하는데, 이 푸셔(222)는 박스(B)의 후면 하부를 밀어서 포밍부(400) 내에서 이동시킴과 아울러 테이핑부(500)로 이송한다.
상기 투입부(300)는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박스(B)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가압판(310)과, 포밍부(400)에 진입하기 전 가압판(310)에 의해 가압된 박스(B)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센서(320)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판(310)은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박스(B)를 양측면에서 가압하여 박스(B)가 제1체인(211) 위에서 일직선으로 이송되도록 도움을 준다.
부연하면, 가압판(310)은 프레임(100)의 하측부에 설치된 한 쌍의 실린더(311)의 로드(311a)와 연결되는데, 이 실린더(311)의 로드(311a)가 전진하면 가압판(310) 사이가 벌어지고 로드(311a)가 후진하면 가압판(310) 사이가 가까워진다. 이렇게 가압판(310) 사이가 가까워지면서 박스(B)의 양측면이 가압판(310)에 의해 가압된다.
상기 높이측정센서(320)는 투입부(300)로 진입하는 박스(B)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높이측정센서(320)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후술할 포밍부(400)와 테이핑부(500)의 높이가 조절되어 다양한 높이를 갖는 박스(B)의 경우에도 포밍과 테이핑이 원활하게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포밍부(400)는 박스(B)의 전후방 상부날개(B2)와 양측방 날개(B3)를 절첩하여 6면체 형태의 입체형태로 만든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포밍부(400)는 승강대(410)와, 상기 승강대(410)에 설치되는 전후방 폴딩유닛(420)과, 상기 승강대(410)에 설치되는 측방폴딩유닛(430)과, 이송되는 박스(B)의 양 측면을 가압하는 측면가압유닛(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대(410)는 프레임(100)의 폭방향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0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프레임(100)의 하측에는 제1높이조절모터(411)가 설치되고, 이 제1높이조절모터(411)의 모터축은 제1하부벨트(412)에 의해 제1하부풀리(413)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제1하부풀리(413)는 제1상부벨트(414)에 의해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 제1상부풀리(415)와 연결된다. 그리고 승강대(410)는 제1상부벨트(414)의 일측에 고정되어 제1상부벨트(414)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위아래로 이동한다.
상기 전후방 폴딩유닛(420)은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박스(B)의 전후방 상부날개(B1,B2)를 접는 것으로서, 지지헤드(421)와, 상기 지지헤드(421)에 설치되는 전방폴딩 가이드(422)와, 상기 지지헤드(421)에 설치되는 실린더(423)와, 상기 지지헤드(4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대(4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헤드(421)는 승강대(410)에 중앙부에 설치된다.
상기 전방폴딩 가이드(422)는 지지헤드(421)의 하측에 설치되어 박스(B)의 전방 상부날개(B1)를 접는다. 부연하면 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되는 박스(B)는 앞쪽이 경사지게 형성된 전방폴딩 가이드(422)에 접촉되면서 전방 상부날개(B1)가 눌려 접히게 된다.
상기 실린더(423)는 로드(423a)가 회동대(424)와 연결된다.
상기 회동대(424)는 지지헤드(4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실린더(423)의 로드(423a) 끝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실린더(423)의 로드(423a)가 후진하면 회동대(424)는 하측으로 회전되어 박스(B)의 후방 상부날개(B2)를 가압하여 접고, 실린더(423)의 로드(423a)가 전진하면 상측으로 회전된다.
상기 측방폴딩유닛(430)은 전후방 폴딩유닛(420)에 의해 전후방 상부날개(B1,B2)가 접힌 박스(B)의 양측방 날개(B3)를 접는 것으로서, 한 쌍의 회동암(431)과, 상기 한 쌍의 회동암(431)의 하단에 구비되는 가압봉(432)과, 상기 한 상의 회동암(431) 중 어느 하나의 회동암(431)에 로드(433a)가 연결되는 실린더(4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암(431)은 승강대(4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이 상호 치합된다. 즉 한 쌍의 회동암(431)의 상단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고, 이 상태에서 실린더(433)의 동작에 따라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든다.
상기 가압봉(432)은 한 쌍의 회동암(431)이 벌어지거나 오므라들 때 함께 벌어지거나 오므라들고, 오므라들 때 박스(B)의 양측방 날개(B3)를 접는다.
상기 실린더(433)는 한 쌍의 회동암(431) 중 어느 하나의 회동암(431)을 회동시켜 한 쌍의 가압봉(432) 사이를 벌리거나 좁힌다. 즉 실린더(433)의 로드(433a)가 전진하면 가압봉(432) 사이는 벌어지고, 로드(433a)가 후진하면 가압봉(432) 사이가 좁혀지면서 박스(B)의 양측방 날개(B3)를 가압하여 접는다.
상기 측면가압유닛(440)은 이송되는 박스(B)의 전후방 상부날개(B1,B2)와 양측방 날개(B3)가 접힐 때 움직이지 않도록 박스(B)의 양측면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측면가압유닛(440)은 실린더(441)와, 상기 실린더(441)의 로드(441a)에 연결되는 수평 회전봉(442)과, 상기 수평 회전봉(442)의 회전방향을 변환하는 기어박스(443)와, 상기 기어박스(443)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수직 회전봉(444)과, 상기 수직 회전봉(444)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링크조립체(445)와, 상기 링크조립체(445)에 연결되는 가압대(4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441)는 프레임(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로드(441a)가 전후진한다.
상기 수평 회전봉(442)은 로드(441a)의 끝단에 중앙부분이 고정되어 로드(441a)의 전후진시 회전한다. 즉 로드(441a) 전진시 수평 회전봉(442)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로드(441a)의 후진시 수평 회전봉(442)이 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기어박스(443)는 베벨기어를 포함한 다수의 기어가 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수평면 상에서의 수평 회전봉(442) 회전방향을 수직면 상에서의 회전으로 변환하여 수직 회전봉(444)에 전달한다.
상기 링크조립체(445)는 다수의 링크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어느 하나의 링크가 수직 회전봉(444)과 연결된다. 따라서 수직 회전봉(444)이 회전하면 링크가 회전을 하면서 박스(B) 쪽으로 움직이거나 박스(B) 반대쪽으로 움직인다.
상기 가압대(446)는 링크조립체(445)에 설치되어 링크조립체(445)와 함께 움직임으로써 박스(B)의 양측면을 가압하거나 박스(B)에 대한 가압을 해제한다.
이러한 가압대(446)에는 다수의 롤러(446a)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박스(B)의 전후방 상부날개(B1,B2)와 양측방 날개(B3)를 접는 작업을 할 때 박스(B)의 양측면은 롤러(446a)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을 한다.
한편, 위와 같이 구성되는 측면가압유닛(440)은 포밍부(400)에 두 쌍이 구비된다. 즉 포밍부(400)의 전방영역에 박스(B)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한 쌍의 측면가압유닛(440)이 구비되고, 포밍부(400)의 후방영역에 박스(B)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한 쌍의 측면가압유닛(440)이 더 구비된다.
이로써 높이가 다른 2종류의 박스(B)가 포밍부(400)에 연달아 공급되더라도 측면가압유닛(440)으로 박스(B)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상기 테이핑부(500)는 포밍부(400)를 거쳐서 6면체 형태로 이루어진 박스(B)의 상면에 테이프(T)를 붙이는 것으로서, 승강대(510)와, 상기 승강대(510)에 설치되는 테이핑유닛(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대(510)는 프레임(100)의 폭방향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0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프레임(100)의 하측에는 제2높이조절모터(511)가 설치되고, 이 제2높이조절모터(511)의 모터축은 제2하부벨트(512)에 의해 제2하부풀리(513)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제2하부풀리(513)는 제2상부벨트(514)에 의해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 제2상부풀리(515)와 연결된다. 그리고 승강대(510)는 제2상부벨트(514)의 일측에 고정되어 제2상부벨트(514)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위아래로 이동한다.
상기 테이핑유닛(520)은 박스(B)의 양측방 날개(B3) 상면에 테이프(T)를 부착하는 테이핑 작업을 한다.
이러한 테이핑유닛(520)은 테이핑기(521)와, 실린더(522)와, 상기 실린더(522)의 로드(522a)에 상측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523)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523)의 하단에 설치되는 가압대(5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이핑기(521)는 승강대(510)에 설치되어 승강대(510)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고, 박스(B)의 양측방 날개(B3)의 상면에 테이프(T)를 부착하는 테이핑 작업을 수행하는 기구이다.
상기 실린더(522)는 승강대(510)에 설치되어 승강대(510)와 함께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브라켓(523)은 상단이 실린더(522)의 로드(522a) 끝단에 연결되어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진다. 즉 실린더(522)의 로드(522a)가 후진을 하면 한 쌍의 브라켓(523)도 함께 움직여 서로간의 간격이 좁혀지고, 실린더(522)의 로드(522a)가 전진을 하면 한 쌍의 브라켓(523)도 함께 움직여 서로간의 간격이 넓혀진다.
상기 가압대(524)는 브라켓(523)의 하단에 설치되어 테이핑 작업시 박스(B)의 양측면을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대(524)는 테이핑 작업을 할 때 박스(B)의 양측면을 가압하거나 박스(B)에 대한 가압을 해제한다.
이러한 가압대(524)에는 다수의 롤러(524a)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박스(B)의 양측방 날개(B3)에 대한 테이핑 작업을 할 때 박스(B)의 양측면은 롤러(524a)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을 한다.
100: 프레임 200: 이송부
210: 제1컨베이어 211: 제1체인
212: 회전봉 213: 푸셔
220: 제2컨베이어 221: 제2체인
222: 푸셔 300: 투입부
310: 가압판 311: 실린더
311a: 로드 320: 높이측정센서
400: 포밍부 410: 승강대
411: 제1높이조절모터 412: 제1하부벨트
413: 제1하부풀리 414: 제1상부벨트
415: 제1상부풀리 420: 전후방 폴딩유닛
421: 지지헤드 422: 전방폴딩 가이드
423: 실린더 423a: 로드
424: 회동대 430: 측방폴딩유닛
431: 회동암 432: 가압봉
433: 실린더 433a: 로드
440: 측면가압유닛 441: 실린더
441a: 로드 442: 수평 회전봉
443: 기어박스 444: 수직 회전봉
445: 링크조립체 446: 가압대
446a: 롤러 500: 테이핑부
510: 승강대 511: 제2높이조절모터
512: 제2하부벨트 513: 제2하부풀리
514: 제2상부벨트 515: 제2상부풀리
520: 테이핑유닛 521: 테이핑기
522: 실린더 522a: 로드
523: 브라켓 524: 가압대
524a: 롤러
B: 박스 B1: 전방 상부날개
B2: 후방 상부날개 B3: 양측방 날개
T: 테이프

Claims (8)

  1.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박스(B)를 이송하는 이송부(200)와; 상기 프레임(10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410)와, 상기 승강대(410)에 설치되어 박스(B)의 전후방 상부날개(B1,B2)를 접는 전후방 폴딩유닛(420)과, 상기 승강대(410)에 설치되어 전후방 상부날개(B1,B2)가 접힌 박스(B)의 양측방 날개(B3)를 접는 측방폴딩유닛(430)과, 이송되는 박스(B)의 양 측면을 가압하는 측면가압유닛(440)을 포함하는 포밍부(400)와; 상기 프레임(10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510)와, 상기 승강대(510)에 설치되어 박스(B)의 양측방 날개(B3) 상면을 테이핑하는 테이핑유닛(520)을 포함하는 테이핑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랜덤 봉함기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400)의 전후방 폴딩유닛(420)은 상기 승강대(410)에 설치되는 지지헤드(421)와; 상기 지지헤드(421)에 설치되어 박스(B)의 전방 상부날개(B1)를 접는 전방폴딩 가이드(422)와; 상기 지지헤드(421)에 설치되는 실린더(423)와; 상기 지지헤드(4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실린더(423)의 로드(423a)에 연결되어, 로드(423a) 후진시 하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박스(B)의 후방 상부날개(B2)를 가압하여 접는 회동대(424);를 포함하고,
    상기 포밍부(400)의 측방폴딩유닛(430)은 상기 승강대(4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이 상호 치합되는 한 쌍의 회동암(431)과; 상기 한 쌍의 회동암(431)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박스(B)의 양측방 날개(B3)를 접는 가압봉(432)과; 상기 한 쌍의 회동암(431) 중 어느 하나의 회동암(431)을 회동시켜 상기 한 쌍의 가압봉(432) 사이를 벌리거나 좁히는 실린더(433);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가압유닛(440)은 실린더(441)와; 상기 실린더(441)의 로드(441a)에 연결되어 로드(441a)의 전후진시 회전하는 수평 회전봉(442)과; 상기 수평 회전봉(442)의 회전방향을 변환하는 기어박스(443)와; 상기 기어박스(443)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수직 회전봉(444)과; 상기 수직 회전봉(444)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링크조립체(445)와; 상기 링크조립체(445)에 연결되어 상기 박스(B)의 양측면을 가압하고, 다수의 롤러(446a)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대(446);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100)의 하측에는 제1높이조절모터(411)가 설치되고, 상기 제1높이조절모터(411)의 모터축은 제1하부벨트(412)에 의해 제1하부풀리(413)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1하부풀리(413)는 제1상부벨트(414)에 의해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 제1상부풀리(415)와 연결되고, 상기 승강대(410)는 제1상부벨트(414)의 일측에 고정되어 제1상부벨트(414)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위아래로 이동하며,
    상기 프레임(100)의 하측에는 제2높이조절모터(511)가 설치되고, 상기 제2높이조절모터(511)의 모터축은 제2하부벨트(512)에 의해 제2하부풀리(513)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하부풀리(513)는 제2상부벨트(514)에 의해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 제2상부풀리(515)와 연결되고, 상기 승강대(510)는 제2상부벨트(514)의 일측에 고정되어 제2상부벨트(514)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위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봉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박스(B)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가압판(310)과, 상기 포밍부(400)에 전입하기 전 상기 가압판(310)에 의해 가압된 박스(B)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센서(320)를 포함하는 투입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봉함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핑유닛(520)은 상기 승강대(510)에 설치되어 박스(B)의 양측방 날개(B3)를 테이핑하는 테이핑기(521)와;
    상기 승강대(510)에 설치되는 실린더(522)와;
    상기 실린더(522)의 로드(522a)에 상측부가 연결되어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한 쌍의 브라켓(523)과;
    상기 브라켓(523)의 하단에 설치되어 테이핑시 상기 박스(B)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대(52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봉함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0)는 중앙에서 구동하는 제1체인(211)을 따라 푸셔(213)가 이동하여 박스(B)를 후방에서 가압함으로써 상기 포밍부(400)로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210)와;
    양쪽에서 구동하는 한 쌍의 제2체인(221)을 따라 푸셔(222)가 이동하여 박스(B)를 후방에서 가압함으로써 상기 테이핑부(500)로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2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봉함기.
KR1020210086547A 2021-07-01 2021-07-01 랜덤 봉함기 KR102363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547A KR102363375B1 (ko) 2021-07-01 2021-07-01 랜덤 봉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547A KR102363375B1 (ko) 2021-07-01 2021-07-01 랜덤 봉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375B1 true KR102363375B1 (ko) 2022-02-15

Family

ID=8032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547A KR102363375B1 (ko) 2021-07-01 2021-07-01 랜덤 봉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3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1614A (ja) * 1992-12-01 1994-06-21 Nippon Furuuto Kk 封函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11878Y1 (ko) * 2003-01-20 2003-05-09 주식회사농심 박스 봉함장치
KR101425504B1 (ko) 2013-04-26 2014-08-01 (주)대림이엔지 박스 봉함기
KR102129335B1 (ko) * 2020-02-06 2020-07-03 이래용 포장박스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1614A (ja) * 1992-12-01 1994-06-21 Nippon Furuuto Kk 封函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11878Y1 (ko) * 2003-01-20 2003-05-09 주식회사농심 박스 봉함장치
KR101425504B1 (ko) 2013-04-26 2014-08-01 (주)대림이엔지 박스 봉함기
KR102129335B1 (ko) * 2020-02-06 2020-07-03 이래용 포장박스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92547B (zh) 自动折叠纸箱上下盖装置
US6510670B1 (en)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wrapping flat articles, such as books
KR102363375B1 (ko) 랜덤 봉함기
CN112440510A (zh) 包装盒盒坯生产设备
US4972653A (en) Apparatus for closing a package around an article to be packaged
CN115123598B (zh) 一种网络设备机箱生产用包装覆膜装置
CN111038783A (zh) 一种自动折盖封箱机
CN2673800Y (zh) 平板纸包装机
CN103738527B (zh) 组合包装机
CN207157659U (zh) 一种用于多品牌条盒装箱的自动开箱封底系统
CN115924170A (zh) 一种用于米粉的自动称重包装装置
CN105416726B (zh) 一种无菌纸盒灌装机的后成型及拔包系统
CN212710119U (zh) 折盖封箱机
CN111232323A (zh) 一种包装箱封箱设备
CN219506352U (zh) 一种药盒装箱及封箱输送线
CN110562545A (zh) 一种tb型透明盒包装机
ITBO20010009A1 (it) Linea di confezionamento multifunzionale
CN219770305U (zh) 一种自动封箱装置
CN110816980B (zh) 一种同时具有开箱、装箱和装说明书功能的设备的工作方法
US3282021A (en) Bread wrapping machine
CN211810578U (zh) 带可追溯功能的羊肉加工包装机
CN218877772U (zh) 纸箱打包机的自动上料压紧机构
CN215155857U (zh) 粉料包装给袋机用夹袋称重装置
CN219055502U (zh) 一种纸箱生产加工用折痕装置
CN217970021U (zh) 纸箱自动摺顶封箱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