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427B1 -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 - Google Patents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427B1
KR102362427B1 KR1020200054490A KR20200054490A KR102362427B1 KR 102362427 B1 KR102362427 B1 KR 102362427B1 KR 1020200054490 A KR1020200054490 A KR 1020200054490A KR 20200054490 A KR20200054490 A KR 20200054490A KR 102362427 B1 KR102362427 B1 KR 102362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upport frame
seat plate
toile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6359A (ko
Inventor
오승욱
김한비
Original Assignee
오승욱
김한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욱, 김한비 filed Critical 오승욱
Priority to KR1020200054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427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37Wheelchairs having brakes manipulated by assisting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2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width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4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depth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positioning the whole seat forward or rearw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가 좌판에 앉은 상태로 대소변 및 목욕 등을 행할 수 있는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이동 바퀴가 결합된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환자의 측면과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지지 설치되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는 좌판으로 구성된 좌판부를 상하 높낮이 조절하면서 결합 설치하되, 상기 좌판부는 좌우를 좌우 몸체부로 분리 형성하여 좌우로 축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배면 부위를 좌우로 벌어지게 하면서 환자가 침대에서 움직임을 적게하며 간편하게 이동하여 앉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이동은 물론 좌판 하부에 변기를 설치하여 대,소변을 보거나 목욕 등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The transportable toilet bowl for patient}
본 발명은 환자가 좌판에 앉은 상태로 대소변 및 목욕 등을 행할 수 있는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좌판 부분을 좌우 분리시켜 축 회전에 의해 벌어지도록 하여 침대에서 이동하는 환자의 움직임을 최대한 적게하면서 간편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좌판 부분 및 등받이 부분이 전후로 틸팅하면서 더욱 안락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장애인은 실내에서 이동의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을 뿐 아니라 혼자서는 목욕이나 배변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이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장애인의 이동을 위해 휠체어가 개발되었고, 이러한 휠체어 중 일부는 간이 변기를 마련하여 이동과 함께 대소변이나 목욕 등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휠체어의 경우 대소변을 위해 좌판의 중앙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 하부에 변기를 설치하여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대,소변을 본 다음 변기를 분리하여 처리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이동식 양변기는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를 태우기 위해 양변기의 좌판 전방이 침대를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환자는 침대에서 내려 서서 뒤 를 돌아 선 상태에서 엉덩이를 좌판에 위치시켜 앉기 때문에 환자가 좌판에 앉는 과정이 복잡하고 매우 힘들어 이동식 양변기를 운전하는 보호자 이외에 환자를 옆에서 붙들어 도와 줄 수 있는 별도의 보조자가 필요하는 등 실질적으로 사용에 큰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이동식 양변기는 좌판이나 등받이가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환자가 좌판에 앉은 상태에서 대,소변을 보거나 목욕을 행할 때 좌판이나 등받이가 환자의 자세를 잘 받혀주지 못하면서 안락감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변기는 주로 좌판 하부에 직접 설치되기 때문에 변기를 좌판 하부의 설치 부위로 결합 설치하거나 분리하여야 하면서 설치 또는 분리하며 사용하는데 큰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2033055호(2019년10월10일) 등록특허 제10-1750065호(2017년06월16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좌판 부분을 좌우 분리시켜 축 회전에 의해 벌어지도록 하여 침대에서 이동하는 환자의 움직임을 최대한 적게하면서 간편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좌판 부분 및 등받이 부분이 전후로 틸팅하면서 더욱 안락하게 사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좌판 하부에 변기를 간단히 착탈 결합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부에 전후 양측으로 이동 바퀴와 전방에 좌우 발판이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전방 양측의 수직 고정봉 상부에 수직으로 축 결합되는 수직 결합봉과, 상기 수직 결합봉 후방에 결합되어 환자의 측면과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고 내측 하부에 중앙으로 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좌판으로 구성하되 좌우 몸체부로 좌우 분리 형성하여 잠금 수단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면서 수직 고정봉을 중심으로 축 회전에 의해 배면 부분을 벌려 환자가 좌판 사이로 이동하여 좌판에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판부와; 상기 좌판 하부로 착탈 설치하는 변기로 구성하되; 상기 좌우 몸체부는 수직 결합봉과 지지 프레임을 축 연결하여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전후로 틸팅하도록 하는 틸팅 수단을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틸팅 수단은 좌우 몸체부의 수직 결합봉과 지지 프레임의 전방 하부를 힌지축으로 축 결합하고, 상기 수직 결합봉 측방에 결합된 가이드 브라켓의 안내 장공에 지지 프레임 전방 상부의 안내핀이 안내되도록 축 결합하되, 상기 가이드 브라켓과 지지 프레임을 완충 부재로 연결시켜 전후로 틸팅 작동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몸체부의 지지 프레임에는 내측 등받이 위치로 등받이판을 각각 설치하되, 상기 지지 프레임과 등받이판이 축부로 축 설치되어 환자가 등 부분을 전,후로 틸팅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변기는 수직 고정봉에 수직 형성된 수직 결합홈에 와이어를 절곡 형성한 거치대 전방의 수직 절곡부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거치대 중앙의 삽입 공간부에 변기를 삽입하되, 상기 거치대 상부에 변기 상부 테두리의 안착부를 안착시켜 설치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 바퀴가 결합된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환자의 측면과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지지 설치되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는 좌판으로 구성된 좌판부를 상하 높낮이 조절하면서 결합 설치하되, 상기 좌판부는 좌우를 좌우 몸체부로 분리 형성하여 좌우로 축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배면 부위를 좌우로 벌어지게 하면서 환자가 침대에서 움직임을 적게하며 간편하게 이동하여 앉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이동은 물론 좌판 하부에 변기를 설치하여 대,소변을 보거나 목욕 등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좌판 부분 및 등받이 부분이 틸팅수단에 의해 전후로 틸팅하면서 더욱 안락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변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좌판부 높낮이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정단면도.
도 6은 도 5의 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거치대와 변기의 분리 상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잠금 수단을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
도 10은 도 3의 좌우 몸체부를 좌우로 벌려주는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은 도 4의 완충 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앉은 상태로 이동하면서 대,소변 및 목욕 등을 행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10)과 좌판부(20) 및 변기(30)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ㄷ"자 형 구조로 배면 부분이 개방되어 환자가 배면 위치에서 이동할 때 장애물이 없게 형성하고, 하부에 전후 양측으로 이동 바퀴(11)(11')와 전방에 좌우 발판(12)(12')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이동 바퀴(11)(11')는 직진 및 회전을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 브레이크에 의해 이동 제한되게 정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좌우 발판(12)(12')은 힌지축에 의한 상하 회동에 의해 접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좌판부(20)는 베이스 프레임 전방 양측에 수직 설치된 수직 고정봉(13) 상부에 수직으로 축 결합되는 수직 결합봉(21)과, 상기 수직 결합봉 후방에 결합되어 환자의 측면과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2)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고 내측 하부에 중앙으로 구멍(23a)이 관통 형성되는 좌판(23)으로 구성하되, 좌우를 좌우 몸체부(20A)(20B)로 분리 형성하여 잠금 수단(25)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면서 수직 고정봉(13)을 중심으로 축 회전에 의해 배면 부분을 벌려 환자가 좌판 사이로 이동하면서 앉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직 고정봉(13)에는 상부 끼움부에 상하로 다수의 선택공(13a)을 형성하여 수직 결합봉(21)의 결합공(21a)을 선택공(13a)에 선택적으로 맞추고 고정핀(14)으로 축 삽입하여 고정하면서 좌판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22)은 봉형 파이프를 환자의 측면과 배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L" 형태로 서로 대향되게 이단 절곡하여 구성하고, 상기 좌판(23)이 지지 프레임의 하부 위치에 안착되게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잠금 수단(25)은 좌우 몸체부(20A)(20B)의 지지 프레임(22) 배면 중앙에 손잡이(26a)를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고정핀(26b)이 탄발적으로 출몰 작동하는 고정부(26)와, 상기 고정부의 고정핀이 삽입되어 잠금 작동하는 고정공(27a)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27)을 대응 형성하거나 이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보조적으로 좌우 벨트(미도시)를 두어 상기 좌우 벨트 선단의 착탈 연결구(미도시)를 착탈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우 몸체부(20A)(20B)는 수직 결합봉(21)과 지지 프레임(22)을 축 연결하여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지지 프레임(22), 좌판(23)이 전후로 틸팅하도록 하는 틸팅 수단(40)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틸팅 수단(40)은 좌우 몸체부의 수직 결합봉(21)과 지지 프레임(22)의 전방 하부를 힌지축(41)으로 축 결합하고, 상기 수직 결합봉 측방에 결합된 가이드 브라켓(45)의 안내 장공(46)에 지지 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결합된 안내핀(42)을 축 결합하되, 상기 가이드 브라켓(45)과 지지 프레임(22)을 완충 부재(43)로 연결되어 전후로 틸팅 작동하면서 안락한 자세를 취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완충 부재(43)는 도 4 및 도 11에서와 같이 완충 스프링, 쇽업 쇼바 등으로 형성하여 전후로 틸팅 작동시 완충 작동하면서 안락감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우 몸체부(20A)(20B)의 지지 프레임(22)에는 내측 등받이 위치로 등받이판(24)을 각각 설치하되, 상기 지지 프레임(22)과 등받이판(24)이 축부(28)에 축 설치되어 환자가 등 부분을 전,후로 틸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축부(28)에는 비틀림 스프링(29)을 삽입하여 등받이판(24)이 전후로 틸팅 작동시 탄발 완충 작동하면서 안락감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변기(30)는 수직 고정봉(12)에 수직 형성된 수직 결합홈(15)에 와이어를 절곡 형성한 사각 형태 거치대(35) 전방의 수직 절곡부(36)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거치대 중앙의 삽입 공간부(35a)에 변기(30)를 삽입하되, 상기 거치대 상부에 변기 상부 테두리의 안착부(32)를 안착시켜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미 설명 부호로서, 21a는 손잡이, 22a는 지지 프레임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지지판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침대에 있던 환자가 본 발명의 양변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양변기의 배면 부위를 침대에 인접되게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양변기의 좌판부(20)에서 좌우 몸체부(20A)(20B)의 잠금 수단(25)을 잠금 해제하고, 상기 좌우 몸체부(20A)(20B)를 수직 고정봉(13)을 중심으로 축 회전시켜 배변 부분이 좌우로 벌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잠금 수단(25)은 고정부(26)의 손잡이(26a)를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고정핀(26b)이 고정 브라켓(27)의 고정공(27a)에서 이탈되면서 잠금 해제하므로 좌우 몸체부(20A)(20B)를 좌우로 벌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환자는 좌우 몸체부(20A)(20B)가 벌어진 사이 공간을 통해 좌판 위치로 이동한다.
즉, 침대에 있던 환자가 양변기를 돌아 좌판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좌우 몸체부(20A)(20B)가 좌우로 벌어진 사이 공간을 통해 최단 거리로 간편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환자가 이동한 후 상기 좌우 몸체부(20A)(20B)를 원위치로 오므려 주고, 상기 좌우 몸체부(20A)(20B)의 잠금 수단(25)를 다시 잠금 작동한다.
이 상태에서 환자는 자판(23)에 앉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환자를 필요 장소로 간편하게 이동시킴은 물론 대소변 또는 목욕 등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환자가 대소변을 보고자 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직 고정봉(12)에 수직 형성된 수직 결합홈(15)에 거치대(35) 전방에 절곡 형성된 수직 절곡부(36)를 삽입하여 거치대(35)를 설치하고, 상기 거치대(35) 중앙의 삽입 공간부(35a)로 변기(30)를 삽입하되, 상기 변기 상부 테두리의 안착부(32)를 거치대(35) 상부에 안착시켜 간단히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좌판 중앙의 구멍(23a)을 통해 변기(30)에 대,소변을 보고, 대소변을 본 후에는 거치대에서 변기(30)를 간단히 분리하여 처리 및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환자를 목욕실 등으로 이동하여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목욕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가 좌판(23)에 앉은 상태에서 간편 이동은 물론 대,소변이나 목욕 등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좌판부(20)가 전후로 틸팅되면서 환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환자가 좌판(23)에 앉은 상태에서 등을 기대게 되면, 좌판이 설치된 지지 프레임(22)의 전방 하부가 수직 결합봉(21)과 축 결합된 힌지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 프레임(22)의 전방 상부에 결합된 안내핀(42)이 수직 결합봉(21)에 설치된 가이드 브라켓(45)의 안내 장공(46)을 따라 안내되면서 좌판(23)이 전후로 틸팅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 결합봉(21)과 지지 프레임(22) 사이로 연결된 완충 부재(43)에 의해 완충하며 틸팅 작동하면서 환자의 안락감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우 몸체부(20A)(20B)의 지지 프레임(22) 내측 등받이 위치로 각각 설치된 등받이판(24)이 환자의 자세에 따라 축부(28)를 중심으로 전,후로 틸팅하되, 상기 등받이판(24)도 비틀림스프링(29)에 의해 전후 틸팅시 탄발 완충 작동하면서 환자의 안락감을 더욱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10)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좌판부(20)를 좌우 몸체부(20A)(20B)로 좌우 분리시켜 잠금 수단의 잠금 해제에 의해 배면이 벌어지게 회전시켜 주므로 침대에서 이동하는 환자의 움직임을 최대한 적게하면서 간편하게 착석하여 대,소변 및 목욕 등을 간편하게 행하도록 하되, 특히 상기 좌판 부분 및 등받이 부분이 전후로 틸팅하면서 더욱 안락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베이스 프레임 11,11': 이동 바퀴
12,12': 좌우 발판 13: 수직 고정봉
15: 수직 결합홈 20: 좌판부
20A,20B: 좌우 몸체부 21: 수직 결합봉
22: 지지 프레임 23: 좌판
24: 등받이판 25: 잠금 수단
28: 축부 29: 비틀림 스프링
30: 변기 32: 안착부
35: 거치대 36: 수직 절곡부
40: 틸팅 수단 41: 힌지축
42: 안내핀 43: 완충 부재
45: 가이드 브라켓 46: 안내 장공

Claims (4)

  1. 하부에 전후 양측으로 이동 바퀴(11)(11')와 전방에 좌우 발판(12)(12')이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전방 양측에 수직 설치된 수직 고정봉(13) 상부에 수직으로 축 결합되는 수직 결합봉(21)과, 상기 수직 결합봉 후방에 결합되어 환자의 측면과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2)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고 내측 하부에 중앙으로 구멍(23a)이 관통 형성되는 좌판(23)으로 구성하되, 좌우 몸체부(20A)(20B)로 좌우 분리 형성하여 잠금 수단(25)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면서 수직 고정봉(13)을 중심으로 축 회전에 의해 배면 부분을 벌려 환자가 좌판 사이로 이동하여 좌판에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판부(20)와;
    상기 좌판 하부로 착탈 설치하는 변기(30);로 구성하되,
    상기 좌우 몸체부는 수직 결합봉(21)과 지지 프레임(22)을 축 연결하여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전후로 틸팅하도록 하는 틸팅 수단(40)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틸팅 수단(40)은 좌우 몸체부의 수직 결합봉(21)과 지지 프레임(22)의 전방 하부를 힌지축(41)으로 축 결합하고, 상기 수직 결합봉 측방에 결합된 가이드 브라켓(45)의 안내 장공(46)에 지지 프레임 전방 상부의 안내핀(42)이 안내되도록 축 결합하되, 상기 가이드 브라켓(45)과 지지 프레임(22)을 완충 부재(43)로 연결시켜 전후로 틸팅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몸체부(20A)(20B)의 지지 프레임(22)에는 내측 등받이 위치로 등받이판(24)을 각각 설치하되, 상기 지지 프레임(22)과 등받이판(24)이 축부(28)로 축 설치되어 환자가 등 부분을 전,후로 틸팅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30)는 수직 고정봉(12)에 수직 형성된 수직 결합홈(15)에 와이어를 절곡 형성한 거치대(35) 전방의 수직 절곡부(36)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거치대 중앙의 삽입 공간부(35a)에 변기(30)를 삽입하되, 상기 거치대 상부에 변기 상부 테두리의 안착부(32)를 안착시켜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
KR1020200054490A 2020-05-07 2020-05-07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 KR102362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490A KR102362427B1 (ko) 2020-05-07 2020-05-07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490A KR102362427B1 (ko) 2020-05-07 2020-05-07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359A KR20210136359A (ko) 2021-11-17
KR102362427B1 true KR102362427B1 (ko) 2022-02-14

Family

ID=7870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490A KR102362427B1 (ko) 2020-05-07 2020-05-07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4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189B1 (ko) * 2022-02-08 2022-07-11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장애인의 이동을 위한 간병의자
KR102546699B1 (ko) * 2023-04-21 2023-06-22 주식회사 엘티에스코리아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의자 장치
KR102637549B1 (ko) * 2023-05-12 2024-02-16 주식회사 케어박스 이송용 체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5629A (ja) * 2002-09-20 2004-04-08 Aron Kasei Co Ltd ポ−タブルトイレ用フレ−ム
JP2005058732A (ja) 2003-07-28 2005-03-10 Toru Yagyu 椅子
US20160192782A1 (en) 2013-09-24 2016-07-07 Ue Furniture Co., Ltd. Chassis of swivel chair
KR101750065B1 (ko) 2015-10-28 2017-06-22 이환희 실내에서 노약자 및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의자
JP2018023752A (ja) * 2016-07-29 2018-0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介護用椅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449B1 (ko) * 2009-10-09 2011-08-18 김한주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KR102033055B1 (ko) 2017-10-31 2019-10-16 (주)온수텍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
KR20190140133A (ko) * 2018-06-09 2019-12-19 김기찬 의자의 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5629A (ja) * 2002-09-20 2004-04-08 Aron Kasei Co Ltd ポ−タブルトイレ用フレ−ム
JP2005058732A (ja) 2003-07-28 2005-03-10 Toru Yagyu 椅子
US20160192782A1 (en) 2013-09-24 2016-07-07 Ue Furniture Co., Ltd. Chassis of swivel chair
KR101750065B1 (ko) 2015-10-28 2017-06-22 이환희 실내에서 노약자 및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의자
JP2018023752A (ja) * 2016-07-29 2018-0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介護用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359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427B1 (ko)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
KR200478004Y1 (ko) 목욕의자
EP1110530A1 (en) Moving device
KR20200068846A (ko) 다중의 자세모드 변경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KR102402692B1 (ko) 다기능 보행차
KR102468660B1 (ko) 다기능 휠체어
KR20210136361A (ko)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
JP3226653U (ja) 移乗補助椅子
KR200495017Y1 (ko)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KR20130007300U (ko) 다리받침대를 구비한 사무용 의자
JP5250793B2 (ja) 車いす
KR20210120691A (ko)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JP2002000668A (ja) 回動肘掛け付き用便介護用便器装置
JP6817665B1 (ja) トイレ用肘掛け装置
JP2023007816A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JP6628463B1 (ja) 洋式便器用の排便支援装置
JP4289957B2 (ja) シャワー用折畳み椅子
JP2005124740A (ja) 歩行器
JP5108412B2 (ja) 車椅子の座部の長さ調節部材
WO2014006768A1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7054290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CN219289963U (zh) 一种轮椅
JP2023126081A (ja) 移動式排泄支援装置
KR101939344B1 (ko) 환자용 휠체어
CN114948574B (zh) 一种眼科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