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449B1 -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 Google Patents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449B1
KR101057449B1 KR1020090096028A KR20090096028A KR101057449B1 KR 101057449 B1 KR101057449 B1 KR 101057449B1 KR 1020090096028 A KR1020090096028 A KR 1020090096028A KR 20090096028 A KR20090096028 A KR 20090096028A KR 101057449 B1 KR101057449 B1 KR 101057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members
base plate
plat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856A (ko
Inventor
김한주
Original Assignee
김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주 filed Critical 김한주
Priority to KR1020090096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449B1/ko
Publication of KR20110038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체어는 화장실 변기에 끼워질 수 있는 홈과 바퀴들을 갖는 베이스판체와, 베이스판체의 상면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전각프레임들과, 베이스판체로부터 경사를 이루는 레일을 갖고 전각프레임들의 후측에 위치하는 가이드수단과, 레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입설되는 후각프레임들과, 후각프레임들과 전각프레임들을 가로질러 회전되게 설치되는 변기와 마주보는 구멍을 갖는 시트부재와, 후각프레임들의 지지를 받으며 시트부재로부터 회전되게 입설되는 등받이수단과, 열을 이루는 전각프레임들과 후각프레임들 및 등받이수단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팔걸이수단들과, 시트부재에 탄성을 부여하여 혼자서 일어설 때에 수고를 줄여 쉽게 일어설 수 있고 앉을 때에는 충격없이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한 탄성부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화장실이 아닌 곳에서도 용변을 볼 수 있고, 편안하게 앉거나 누워 쉴 수 있으며, 혼자서 일어서고 앉는 과정이 편안하고, 혼자서도 이동할 수 있는 체어가 제공된다.
체어, 전각, 후각, 시트, 등받이, 팔걸이, 탄성부여수단

Description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THE MULTI-FUNCTIONAL CHAIR FOR AN IMMOVABLE PERSON}
본 발명은 복부 또는 다리 등을 수술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등(이하, '거동불편자'라고 한다)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거동불편자용 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실에서 용변을 볼 수 있고, 화장실이 아닌 곳에서도 자체에 장착된 변받이를 사용해서 용변을 볼 수 있고, 편안하게 앉거나 누워 쉴 수 있도록 한 기능과 함께, 혼자서 쉽게 일어설 수 있고, 앉는 과정이 편안하며, 혼자서도 이동할 수 있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에 관한 것이다.
한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6-0003405호 "좌변기 및 침대로 변형이 가능한 환자용 의자",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296776호 "변기가 부착된 의자 겸용 침대" 등 다수 자료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에서 침대로 변형되거나 의자 밑에 별도의 변기를 부착해서 거동불편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게다가, 의자나 침대에 세척장치를 부착해 용변 후 거동불편자가 혼자서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 기술은 다기능에 의해 편리해 보이나 면밀히 살펴보 면 불편한 점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예컨대, 한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6-0003405호 "좌변기 및 침대로 변형이 가능한 환자용 의자"는 의자가 좌변기에서 침대로 변형되기 때문에 편리해 보이나, 바퀴가 있지만 혼자서 이동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환자 스스로 일어서거나 눕는데 많은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실에서 용변을 볼 수 있고, 화장실이 아닌 곳에서도 자체에 장착된 변받이를 사용해서 용변을 볼 수 있고, 편안하게 앉거나 누워 쉴 수 있도록 한 기능과 함께, 혼자서 쉽게 일어설 수 있고 앉는 과정이 편안하며, 혼자서도 이동할 수 있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과 대면하는 베이스판체(20);
막대형상을 이루어 상기 베이스판체(20)의 상면 전측에서 후측을 향해 경사지게 입설되되 베이스판체(20)와 대면하는 일단이 회전되게 설치되는 1쌍의 전각프레임들(30);
상기 베이스판체(20)의 상면 중간에 입설되어 전각프레임들(30) 뒤에 위치하며 내부에 길이를 따라 신축하는 탄성체(41)를 갖는 제1지지프레임들(42)과, 베이스판체(20)의 상면 후측에 입설되어 제1지지프레임들(42) 뒤에 위치하는 제2지지프레임들(43)과, 일단은 제2지지프레임들(43)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1지지프레임들(42)을 관통해서 탄성체(41)의 탄성을 받도록 제1지지프레임들(42)과 제2지지프레임들(43)을 경사지게 가로질러 설치되는 레일들(44)로 이루어진 가이드수단들(40);
막대형상을 이루어 일단이 상기 레일들(44) 상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연 결됨으로써 레일들(44)로부터 입설되며, 그 일단으로 갈수록 만곡되는 형태를 이루는 1쌍의 후각프레임들(50);
상기 후각프레임들(50)과 전각프레임들(30)을 가로질러 회전되게 설치되되 베이스판체(20)의 제1홈(21)에 변기(1)가 끼워짐으로써 후각프레임들(50) 사이에 위치하는 변기(1)와는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앉는 자리를 마련하며, 변기(1)와 마주보는 구멍(61)을 갖는 시트부재(60);
일단에 절곡된 손잡이부(71)를 갖는 막대형상을 이루어 타단이 후각프레임들(50)에 접하게 시트부재(60)의 좌우면에 회전되게 연결됨으로써 시트부재(60)로부터 입설되는 1쌍의 등받이프레임들(72), 그 등받이프레임들(72)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시트부재(60)에 착석시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를 형성하도록 한 등받이부재(73)로 이루어진 등받이수단(70);
열을 이루는 전각프레임들(30)과 후각프레임들(50)의 타단 및 등받이프레임들(72)의 중간을 가로질러 회전되게 설치되어 등받이수단(70)에 등을 대고 시트부재(60)에 착석시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걸이를 형성하도록 한 내부가 빈 구조의 팔걸이프레임들(81)과, 팔걸이프레임들(81)의 전단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팔걸이프레임들(81)에 절첩되는 파지부재들(82)로 이루어진 팔걸이수단들(80); 및
상기 후각프레임들(50)과 등받이프레임들(81)을 가로질러 그 중간이 각각 회전되게 설치되되 등받이프레임들(81)과는 등받이프레임들(81)과 시트부재(60)의 연결점(R)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팔걸이프레임들(81)의 아래에 위치하는 회전부재들(91)과, 회전부재들(91)과 팔걸이프레임들(81)과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탄성부 재들(92)로 이루어진 탄성부여수단들(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을 보기 위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해 시트부재(60)에 앉은 거동불편자가 절첩된 파지부재들(82)을 잡고 회전시키며 일어설 때에, 시트부재(60)에 앉음으로 인해 신장되었던 탄성부재들(92)이 수축됨으로써 회전부재들(91)을 팔걸이프레임들(81) 쪽으로 끌어당겨 등받이수단(70)을 위로 끌어 올리고, 등받이수단(70)이 위로 올라감에 따라 후각프레임들(50)이 레일들(44)을 타고 전각프레임들(30) 쪽으로 이동하여 오므라짐으로 인해 시트부재(60)의 후미가 들려 거동불편자가 쉽게 일어설 수 있다.
역으로, 거동불편자가 앉을 때에는 수축된 탄성부재들(92)이 신장되면서 시트부재(60)의 후미와 등받이수단(70)을 내려보내고, 오므라졌던 후각프레임들(50)을 레일들(44)을 타고 다시 벌려 거동불편자가 충격을 받지 않고 앉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과 대면하는 베이스판체(20);
막대형상을 이루어 상기 베이스판체(20)의 상면 전측에서 후측을 향해 경사지게 입설되되 베이스판체(20)와 대면하는 일단이 회전되게 설치되는 1쌍의 전각프레임들(30);
상기 베이스판체(20)의 상면 중간에 입설되어 전각프레임들(30) 뒤에 위치하는 제1지지프레임들(42)과, 베이스판체(20)의 상면 후측에 입설되어 제1지지프레임 들(42) 뒤에 위치하는 제2지지프레임들(43)과, 제1지지프레임들(42)과 제2지지프레임들(43)을 가로질러 경사지게 설치되는 레일들(44)로 이루어진 가이드수단들(40);
막대형상을 이루어 일단이 상기 레일들(44) 상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레일들(44)로부터 입설되며, 그 일단으로 갈수록 만곡되는 형태를 이루는 1쌍의 후각프레임들(50);
상기 후각프레임들(50)과 전각프레임들(30)을 가로질러 회전되게 설치되되 베이스판체(20)의 제1홈(21)에 변기(1)가 끼워짐으로써 후각프레임들(50) 사이에 위치하는 변기(1)와는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앉는 자리를 마련하며, 변기(1)와 마주보는 구멍(61)을 갖는 시트부재(60);
일단에 절곡된 손잡이부(71)를 갖는 막대형상을 이루어 타단이 후각프레임들(50)에 접하게 시트부재(60)의 좌우면에 회전되게 연결됨으로써 시트부재(60)로부터 입설되는 1쌍의 등받이프레임들(72), 그 등받이프레임들(72)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시트부재(60)에 착석시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를 형성하도록 한 등받이부재(73)로 이루어진 등받이수단(70);
열을 이루는 전각프레임들(30)과 후각프레임들(50)의 타단 및 등받이프레임들(72)의 중간을 가로질러 회전되게 설치되어 등받이수단(70)에 등을 대고 시트부재(60)에 착석시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걸이를 형성하도록 한 내부가 빈 구조의 팔걸이프레임들(81)과, 팔걸이프레임들(81)의 전단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팔걸이프레임들(81)에 절첩되는 파지부재들(82)로 이루어진 팔걸이수단들(80); 및
상기 후각프레임들(5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나사홀(511)과, 제1나사 홀(511)을 관통해서 레일들(44)과 나란하게 제1지지프레임들(42)과 제2지지프레임들(43)을 가로질러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나사봉부재들(512)과, 제1나사봉부재들(512)의 선단에 설치되어 제1나사봉부재들(512)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들(513)로 이루어진 제1구동수단(5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을 보기 위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해 시트부재(60)에 앉은 거동불편자가 절첩된 파지부재들(82)을 잡고 회전시키며 일어설 때에, 제1구동모터들(513)을 작동시켜 제1나사봉부재들(512)을 회전시킴으로써 후각프레임들(50)을 전각프레임들(30) 쪽으로 이동시킴으로 인해 등받이수단(70)이 위로 올라감에 따라 시트부재(60)의 후미가 들려 쉽게 일어설 수 있다.
역으로, 제1구동모터들(513)을 작동시키면 오므라졌던 후각프레임들(50)이 레일들(44)을 타고 다시 벌어져 거동불편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해, 화장실에서 용변을 볼 수 있고, 화장실이 아닌 곳에서도 용변을 볼 수 있고, 편안하게 앉거나 누워 쉴 수 있으며, 혼자서 쉽게 일어설 수 있고 앉는 과정이 편안하고, 혼자서도 이동할 수 있는 다기능 체어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를 휠과 변받이를 분리하 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표시A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2에서 표시B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2에서 표시C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락수단들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베이스판체의 바로 위를 횡축으로 단면한 후 위에서 내려다 본 개략적인 평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변기에 걸려 체어를 고정하는 제2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풀링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2발판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가 화장실 변기 위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가 거동불편자가 일어설 때에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가 누울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는 판상형의 베이스판체(20)을 구비한다. 베이스판체(20)는 하면에 다수개의 바퀴들(11)을 달아 이동할 수 있는 형태를 이루며, 후면에는 화장실 변기(1)의 앞쪽에서부터 끼워질 수 있는 제1홈(21)이 형성된다.
베이스판체(20)의 상면에는 1쌍의 전각프레임들(30)이 설치된다. 전각프레임 들(30)은 막대형상을 이루어 베이스판체(20)의 상면 전측에서 후측을 향해 경사지게 입설되는데, 베이스판체(20)와 대면하는 일단이 회전되게 설치된다. 전각프레임들(30)은 무게감, 안전성 및 의장적 요소를 고려해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35)는 보강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전각프레임들(30)의 후측으로 베이스판체(20)의 상면에는 가이드수단들(40)이 설치된다.
가이드수단들(40)은 베이스판체(20)의 상면 중간에 입설되어 전각프레임들(30) 뒤에 위치하며 내부에 길이를 따라 신축하는 탄성체(41)를 갖는 전면과 후면에 가이드공(42a)이 형성된 제1지지프레임들(42)과, 베이스판체(20)의 상면 후측에 입설되어 제1지지프레임들(42) 뒤에 위치하는 제2지지프레임들(43)과, 일단은 제2지지프레임들(43)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1지지프레임들(42)을 관통해서 탄성체(41)의 탄성을 받도록 제1지지프레임들(42)과 제2지지프레임들(43)을 경사지게 가로질러 설치되는 레일들(44)로 이루어진다.
제1지지프레임들(30)은 전면을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레일들(44)은 탄성체(41)의 탄성을 받으며 제1지지프레임들(30)의 아래 위를 승강한다.
가이드수단들(40)로부터는 후각프레임들(50)이 입설된다. 후각프레임들(50)은 막대형상을 이루어 일단이 레일들(44) 상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레일들(44)로부터 입설되며, 중간이 일단으로 갈수록 만곡된 형태를 이루는데, 일단은 만곡된 중간으로부터 제1 및 2지지프레임들(42,43)과 나란하게 레일들(44) 상에서 입설될 수 있도록 절곡된다. 이때, 일단은 만곡된 중간과 회전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되는 후각프레임들(50)은 전각수단(10)과 팔(八)자 모양을 이룬다.
후각프레임들(50)과 전각프레임들(30)을 가로질러 시트부재(60)가 설치된다. 시트부재(60)는 후각프레임들(50) 및 전각프레임들(30)과 회전되게 설치되며, 베이스판체(20)의 제1홈(21)에 변기(1)가 끼워짐으로써 후각프레임들(50) 사이에 위치하는 변기(1)와는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앉는 자리를 마련하며, 엉덩이가 자리하는 부위에는 변기(1)와 마주보는 구멍(61)이 형성된다.
시트부재(60)는 엉덩이와 허벅지가 자리하는 부위를 홈 형태로 형성하고, 후미를 융기시켜 꼬리뼈 부분을 받쳐 편안히 앉을 수 있도록 한다.
시트부재(60)에는 등받이수단(70)이 설치된다. 등받이수단(70)은 일단에 절곡된 손잡이부(71)를 갖는 막대형상을 이루어 타단이 후각프레임들(50)에 접하게 시트부재(60)의 좌우면에 회전되게 연결됨으로써 시트부재(60)로부터 입설되는 1쌍의 등받이프레임들(72), 그 등받이프레임들(72)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시트부재(60)에 착석시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를 형성하도록 한 등받이부재(73)로 이루어진다.
등받이프레임들(72)의 타단은 경사면을 이루어 후각프레임들(50)의 만곡된 중간에 접한다.
열을 이루는 전각프레임들(30)과 후각프레임들(50)의 타단 및 등받이프레임들(72)의 중간을 가로질러 내부가 빈 구조의 팔걸이프레임들(81)이 회전되게 설치되고, 팔걸이프레임들(81)의 전단에는 팔걸이프레임들(81)에 절첩되는 파지부재 들(82)이 회전되게 설치된다.
이처럼 팔걸이프레임들(81)과 파지부재들(82)로 이루어진 팔걸이수단들(80)은 등받이수단(70)에 등을 대고 시트부재(60)에 착석한 거동불편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걸이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 구조에서, 본 발명은 후각프레임들(50)과 등받이프레임들(81)을 가로질러 그 중간이 각각 회전되게 설치되되 등받이프레임들(81)과는 등받이프레임들(81)과 시트부재(60)의 연결점(R)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팔걸이프레임들(81)의 아래에 위치하는 회전부재들(91)과, 회전부재들(91)과 팔걸이프레임들(81)과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탄성부재들(92)로 이루어진 탄성부여수단들(9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변을 보기 위해(도 13 참조)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해 시트부재(60)에 앉은 거동불편자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된 파지부재들(82)을 잡고 천천히 회전시키며 몸을 앞으로 숙이면서 일어설 때에, 몸무게의 이동으로 시트부재(60)에 앉음으로 인해 신장되었던 탄성부재들(92)이 수축됨으로써 회전부재들(91)을 팔걸이프레임들(81) 쪽으로 끌어당겨 등받이수단(70)을 위로 끌어 올리고, 등받이수단(70)이 위로 올라감에 따라 후각프레임들(50)이 레일들(44)을 타고 전각프레임들(30) 쪽으로 이동하여 오므라짐으로 인해 시트부재(60)의 후미가 들려 거동불편자가 쉽게 일어설 수 있다.
역으로 거동불편자가 앉을 때에는 거동불편자의 몸무게에 의해서 수축된 탄성부재들(92)이 신장되면서 시트부재(60)의 후미와 등받이수단(70)을 천천히 내려보내고, 오므라졌던 후각프레임들(50)을 레일들(44)을 타고 다시 벌려 거동불편자 가 충격을 받지 않고 앉을 수 있다.
한편, 베이스판체(20)의 상면 좌우측과 팔걸이프레임들(81)과의 사이에는 판상형의 측면커버들(110)이 탈착되게 설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커버들(110)은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덧댄 세로보강대들(24)의 하단으로부터 베이스판체(20)와 접하게 돌출 형성한 판상의 돌부(25)에 나사를 박아 베이스판체(20)로부터 분리되게 설치되며, 상부에 홈을 내 제1고정수단(190)을 노출시키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재들(82)로부터는 측면커버들(110), 가이드수단들(40) 및 전각수단들(30)을 향해 제1와이어들(121), 제2와이어들(122) 및 제3와이어들(123)이 연장되고, 그 제1와이어들(121), 제2와이어들(122) 및 제3와이어들(123)에는 파지부재들(82)의 회전에 따라 탄력적으로 작동하여 측면커버들(110), 가이드수단들(40) 및 전각수단들(30)을 잠금 및 해제하기 위한 제1락수단들(130), 제2락수단들(140) 및 제3락수단들(150)이 각각 연결 설치된다.
제1락수단들(130)은 제1와이어들(121)과 연결되며 팔걸이프레임들(81)의 내벽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다수개의 제1지지돌기들(131)을 관통해서 측면커버들(110)의 제1홀(111)에 끼움 결합되는 중간에 제1돌기(132a)를 갖는 제1핀부재들(132)과, 제1와이어들(121)과 인접하는 제1지지돌기(131)와 제1돌기(132a)와의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제1핀부재들(132) 상에 위치하는 제1스프링부재들(133)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홀(111)은 측면커브들(110)의 세로보강대들(24)에 형성된다.
제2락수단들(140)은 제1지지프레임들(42)의 내부에 탄성체(41) 위로 설치되 어 레일들(44)이 관통하며 제1지지프레임들(42)의 상부로 노출되는 수직돌기(141)를 갖는 승강부재들(142)과, 외부로 노출되는 수직돌기(141)의 중간에 형성되는 제2홀들(143)을 구비하고, 제2와이어들(122)과 연결되며 제1지지프레임들(42)의 측면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수평판들(144)에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다수개의 제2지지돌기들(145)을 관통해서 제2홀들(143)에 끼움 결합되는 중간에 제2돌기(146a)를 갖는 제2핀부재들(146)과, 제2와이어들(122)과 인접하는 제2지지돌기(145)와 제2돌기(146a)와의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제2핀부재들(146) 상에 위치하는 제2스프링부재들(147)로 이루어진다.
제3락수단들(150)은 제3와이어들(123)과 연결되며 전각프레임들(30)의 하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제3지지돌기들(151)을 관통해서 베이스판체(20)의 바닥에 형성되는 제3홀들(22)에 끼움 결합되는 중간에 제3돌기(152a)를 갖는 제3핀부재들(152)과, 제3와이어들(123)과 인접하는 제3지지돌기(151)와 제3돌기(152a)와의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제3핀부재들(152) 상에 위치하는 제3스프링부재들(15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절첩된 파지부재들(82)을 회전시키면 제1와이어들(121)을 당김으로써 제1홀들(111)로부터 제1핀부재들(132)이 빠져나와 팔걸이프레임들(81)이 측면커버들(11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시트부재(60)의 후미가 들릴 수 있고, 이때 제2 및 제3와이어들(122,123)은 느슨해지기 때문에 제2 및 제3핀부재들(146,152)이 레일들(44)의 승강과 전각프레임들(30)을 고정하여 시트부재(60)의 후미가 안전하게 들릴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파지부재들(82)이 팔걸이프레임들(81)에 절첩되면 제2 및 제3와이어들(122,123)을 당김으로써 제2 및 제3홀들(143,22)로부터 제2 및 제3핀부재들(146,152)이 빠져나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울 수 있는 형태로 변형가능하게 하고, 제1와이어들(121)은 느슨해짐으로써 제1핀부재들(132)이 제1홀들(111)에 끼워져 팔걸이프레임들(81)을 측면커버들(110)에 견고히 고정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각프레임들(30)과 대면하는 베이스판체(20)에는 걸이홈(161)을 갖는 걸이구들(162)이 돌출 형성되고, 전각프레임들(30)은 그 걸이홈(161)에 분리되게 끼워져 회전하는 끼움돌기(31)를 돌출 형성하여 베이스판체(20)로부터 탈착되게 설치됨으로써 시트부재(60)의 후미가 들릴 수 있고 누울 수 있는 형태로 변형가능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프레임들(72) 사이에는 손잡이부(71)와 인접하게 즉, 절곡부들을 가로질러 가로대(301)가 설치되고, 가로대(301)의 중간에는 머리받침부재(311)가 가로대(301)로부터 위치가 변위되게 설치되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울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되었을 때에 거동불편자의 머리를 편안히 받치는 것이 좋다.
가로대(301)의 중간에 관통공(303)을 형성하고 후면에는 관통공(303)과 연락하는 연락공(미도시)을 형성하여, 관통공(303)에 삽입되는 머리받침부재(311)의 길이조절판(313)에 형성된 다수개의 조절공들(315) 중 어느하나를 연락공과 일치시킨 후 볼트 등(317)을 박아 고정함으로써 머리받침부재(311)의 위치가 변위된다.
본 발명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울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되면 거동불 편자의 머리를 쉽게 감겨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홈(21)에 변기(1)가 안치되면 베이스판체(20)의 후미가 들리지 않게 변기(1)로부터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들(260)을 포함한다.
제2고정수단들(260)은 측면커버들(110)의 내면에 돌출 설치되는 제1지지브라켓들(261)과, 제1지지브라켓들(261) 아래로 제1홈(21)의 벽면에 돌출 설치되는 제2지지브라켓들(262)을 구비하고, 제1지지브라켓들(261)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변기(1)의 측면 턱부에 걸리는 사각형상의 걸림구들(263)과, 측면커버들(110)과 대향하는 걸림구들(263)의 선단에 연결된 채 제2지지브라켓들(262)를 관통해서 어느 하나의 팔걸이프레임(81)의 전단에 까지 연장되는 제5와이어(264)와, 어느 하나의 팔걸이프레임(81)의 전단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제5와이어(264)와 연결되는 제2당김부재(265)와, 걸림구들(263)과 제2지지브라켓들(262)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5와이어(264) 상에 설치되어 걸림구들(263)에 변기(1)의 측면 턱부에 걸려 베이스판체(230)의 후미를 고정하기 위한 탄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5스프링부재(26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홈(21)에 변기(1)가 안치되는 동안 제2당김부재(265)를 위로 올려 제5와이어(264)를 잡아당기면 걸림구들(263)의 선단이 아래로 선회하며 제5스프링부재(266)가 수축되고, 제1홈(21)에 변기(1)가 안치되어 제2당김부재(265)를 놓으면 제5스프링부재(266)의 신장으로 인해 걸림구들(263)의 선단이 위로 선회하여 변기(1)의 측면 턱부에 걸림으로써, 거동불편자가 일어서기 위해서 시트부재(60)의 후미가 들릴 때에 베이스판체(20)의 후미가 바닥으로부터 들리지 않고 단단히 고정된다.
측면커버들(110)에는 손으로 굴려 바퀴들(11)을 이동시킬 수 있는 휠들(271)이 설치됨으로써 거동불편자가 혼자서 본 발명의 체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들(92)은 스프링이고, 회전부재들(91)의 선단을 관통해서 나사 결합되는 조절볼트들(181)에 회전되게 연결됨으로써 조절볼트들(181)의 회전에 의해 탄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재들(91)의 선단은 금속블록이 회전부재들(91)에 회전되게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조절볼트들(181)에 의해 탄성부재들(92)의 탄성이 미세 조절되면, 몸무게가 다른 거동불편자가 탄성이 이미 조절된 체어에 앉더라도 자신에게 맞게 탄성을 조정하여 일어서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들(91)에는 후각프레임들(50)에 대한 회전을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수단들(190)이 설치된다.
제1고정수단들(190)은 후각프레임들(50)에 고정 설치되는 반원판들(191)과, 반원판들(191)에 형성되는 호형공들(192)과, 레버(193)를 갖고 회전부재들(91)의 선단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호형공들(192)에 관통하게 끼워져 회전부재들(91)을 따라 호형공들(192)을 이동하는 고정볼트들(194)과, 반원판들(191)의 뒷편에서 고정볼트들(194)과 나사 결합되어 반원판들(191)에 고정볼트들(194)의 이동을 고정하여 회전부재들(9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들(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이때, 호형공들(192)은 길이를 이루는 측면들에 요철을 형성한 형태이다.
따라서, 제1고정수단들(190)의 작동으로 회전부재들(91)이 반원판들(191)에 고정됨으로써 후각프레임들(50)에 고정되면, 본 발명은 의자 형태와 누울 수 있는 형태를 안정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후각프레임들(50)이 레일들(44)을 타고 전각프레임들(30) 쪽으로 이동시 후각프레임들(50)을 잡아당겨 그 이동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풀링수단(210)을 포함한다.
풀링수단(210)은 베이스판체(20)의 상면으로부터 입설되어 측면커버들(11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전각프레임들(30)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면커버(201)를 구비하고, 전면커버(201)를 관통하는 회전축(211)에 의해서 전면커버(201)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핸들(212)과, 전면커버(201)의 안쪽에 위치하는 회전축(211) 상에 설치되는 1쌍의 제1풀리들(213a)과, 벨트들(213b)을 통해서 제1풀리들(213a)과 연결되는 제2풀리들(213c)을 갖고 회전축(211)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나사봉들(214)과, 나사봉들(214)과 치합되어 핸들(212)의 작동으로 나사봉들(214)이 회전함에 의해 나사봉들(214)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들(215)과, 이동부재들(215)의 후측으로 후각프레임들(5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들(216)과, 이동부재들(215)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부재들(216)을 감으며 경유하는 당김줄들(217)과, 당김줄들(217)과 전각프레임들(3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들(218)로 이루어진다.
참조부호(219a)(219b)는 회전축(211)과 나사봉들(21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틀체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동부재들(215)이 전각프레임들(30) 쪽으로 이동하게 핸들(212)을 돌리면 탄성스프링들(218)이 신장되고, 이후 거동불편자가 일어설 때에는 탄성스프링들(218)이 수축됨으로써 당김줄들(217)과 함께 고정부재들(216)을 잡아당겨 후각프레임들(50)을 전각프레임들(30) 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시트부재(60)의 후미가 보다 수월하게 들릴 수 있다. 게다가, 탄성스프링들(218)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울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되었을 때에 전각프레임들(30)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전각프레임들(30)의 전면 하부에는 제1발판부재들(221)이 회전되게 설치되는데, 제1발판부재들(221)은 바퀴들(11)이 굴러가는 바닥과 수직된 상태에서 전각프레임들(30) 사이로 회전하면 바닥과 수평을 이루어 시트부재(60)에 앉은 거동불편자가 발을 편안하게 올려 놓을 수 있는 발판을 형성하도록 전각프레임들(30)에 설치된다.
또한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체(20)의 전면에는 전각프레임들(30)을 넘어서 까지 제2홈(23)이 형성되고, 그 제2홈(23)과 인접하게 베이스판체(20)의 하면에는 베이스판체(20)의 좌우를 가로질러 보강대(24)가 설치되며, 이때 보강대(24)에는 제1발판부재들(221)이 바닥과 수직되면 외압에 의해 하부가 회전함으로써 상부가 전각프레임들(30)의 전방으로 선회하여 제2홈(23)을 통과해 바닥에 놓이는 제2발판부재(225)가 설치된다.
외압은 거동불편자가 발로 제2발판부재(225)의 상부를 밀어내는 힘이 될 것이고, 거동불편자는 바닥에 접한 제2발판부재(225)를 밟고 용이하게 일어선다.
이때, 제2발판부재(225)와 측면커버들(110) 내면과의 사이에는 압쇼버부재 들(231)을 설치하여, 제2발판부재(225)의 회전속도를 완충 및 조절하고 외압이 제거되면 제2발판부재(225)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 본 발명은 외압이 제거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는 제2발판부재(225)에 복귀력을 더 부여하기 위한 푸싱수단(240)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싱수단들(240)은 장공(241)을 갖고 베이스판체(2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2발판부재(225)의 후측에 위치하는 브라켓(242)과, 제2발판부재(225)의 하부에 회전되게 연결된 채 브라켓(242)의 장공(241)을 관통하는 연결로드(243)와, 연결로드(243)에 연결된 채 베이스판체(20)를 관통해서 어느 하나의 팔걸이프레임(81)의 전단에 까지 연장되는 제4와이어(244)와, 어느 하나의 팔걸이프레임(81)의 전단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제4와이어(244)와 연결되는 제1당김부재(245)와, 연결로드(243)와 베이스판체(20)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4와이어(244) 상에 설치되어 제1당김부재(245)가 제4와이어(244)를 당기면 수축되었다가 제2발판부재(225)로부터 외압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신장하여 제2발판부재(225)에 복귀력을 더 부여하는 제4스프링부재(246)로 이루어진다.
즉, 거동불편자가 제2발판부재(225)를 발로 밀면서 손으로 제1당김부재(245)를 잡아당기면, 제4와이어(244)가 제1당김부재(245) 쪽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제4스프링부재(246)가 수축된다.
이후, 제2발판부재(225) 위에 놓인 거동불편자의 발이 제거되면, 수축된 제4스프링부재(246)가 신장되기 때문에 연결로드(243)가 제2발판부재(225)를 밀어, 제2발판부재(225)에 복귀력이 더 부여된다.
또한, 시트부재(60)의 아래에는 전각프레임들(30)에 가이드레일(281)이 고정 설치되고, 그 가이드레일(218)에는 변받이부재(283)가 서랍식으로 탈착되게 설치되어, 화장실이 아닌 곳에서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판체(20)의 하부에는 바퀴들(11)과 인접하게 고정나사들(291)을 설치하여 바닥에 베이스판체(20)를 움직이지 않게 정치시키고 있다.
또한, 등받이프레임들(72)의 손잡이들(71)에는 바퀴들(11)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수단(293)을 설치하고 있다. 브레이크수단(293)은 알려진 바와 같이 예컨대, 자전거 앞바퀴의 브레이크수단처럼 와이어를 잡아 당기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브레이크패드들이 안으로 모아져 바퀴들(11)를 양쪽에서 움켜잡음으로써 감속시킬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를 휠과 변받이를 분리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17은 도 16에서 표시D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18은 도 17에서 표시E 부분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가 거동불편자가 일어설 때에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가 누울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는 탄성을 이용해서 구동하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모터를 이용해서 구동하기 때문에,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탄성을 이용하는 경우 구비되는 구성요소와 모터를 이 용하는 경우 구비되는 구성요소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모터를 이용하는 경우 구비되는 구성요소만을 설명한다.
탄성을 이용하는 경우 구비되는 구성요소는 탄성체(41), 탄성부여수단(90), 풀링수단(210), 조절볼트(181), 제1고정수단(190)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탄성을 이용하는 경우 구비되는 구성요소 대신에 제1구동모터들(513)을 갖는 제1구동수단(510)과 제2구동모터들(542)을 갖는 제2구동수단(540)을 장착하여 도 19 및 도 20과 같은 변형을 추구한다.
제1구동수단(510)은 후각프레임들(5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나사홀(511)과, 제1나사홀(511)을 관통해서 레일들(44)과 나란하게 제1지지프레임들(42)과 제2지지프레임들(43)을 가로질러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나사봉부재들(512)과, 제1나사봉부재들(512)의 선단에 설치되어 제1나사봉부재들(512)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들(513)로 이루어진다.
제2구동수단(540)은 제1지지프레임들(42)의 내부에 길이를 따라 설치되는 제2나사봉부재들(541)과, 제2나사봉부재들(541)의 선단에 설치되어 제2나사봉부재들(541)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들(542)과, 레일들(44)과 제1나사봉부재들(512)을 관통시키는 슬롯모양의 장공(미도시)을 갖고 일면에 형성되는 나사(543a)를 통해서 제2나사봉부재들(541)과 치합되어 제2구동모터들(542)의 구동으로 제2나사봉부재들(541)이 회전하면 제2나사봉부재들(541)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구(543)로 이루어지며, 이때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레일들(44)은 제2지지프레임들(43)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제1구동모터들(513)도 베이스판체(20)에 회전되게 설치된다. 또한, 나사(543a)는 제2나사봉부재들(541)이 관통할 수 있는 너트 형태로 승강구(543)의 일면에 형성되어 제2나사봉부재들(541)과 치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변을 보기 위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해 시트부재(60)에 앉은 거동불편자가 절첩된 파지부재들(82)을 잡고 회전시키며 일어설 때에, 제1구동모터들(513)을 작동시켜 제1나사봉부재들(512)을 회전시킴으로써 후각프레임들(50)을 전각프레임들(30) 쪽으로 이동시킴으로 인해 등받이수단(70)이 위로 올라감에 따라 시트부재(60)의 후미가 들려 쉽게 일어설 수 있고, 역으로 제1구동모터들(513)을 작동시키면 오므라졌던 후각프레임들(50)이 레일들(44)을 타고 다시 벌어져 거동불편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다.
이때, 제2구동수단들(540)은 작동하지 않으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어에서 누울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때에 제1구동수단들(510)과 함께 작동하여 경사진 레일들(44)을 수평 또는 더 아래로 눕도록 놓음으로써 누울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2구동수단들(540)은 제2구동모터들(542)이 작동하여 제2나사봉부재들(541)이 회전함으로 인해 승강구(543)가 하강함으로써 레일들(44)을 수평으로 놓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어에서 누울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실이 아닌 곳에서도 용변을 볼 수 있고, 편안하게 앉거나 누워 쉴 수 있으며, 혼자서 일어서고 앉는 과정이 편안하 고, 혼자서도 이동할 수 있는 체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를 휠과 변받이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표시A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표시B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 표시C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락수단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베이스판체의 바로 위를 횡축으로 단면한 후 위에서 내려다 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변기에 걸려 체어를 고정하는 제2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풀링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2발판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가 화장실 변기 위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가 거동불편자가 일어설 때에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가 누울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를 휠과 변받이를 분리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표시D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8는 도 17에서 표시E 부분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가 거동불편자가 일어설 때에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가 누울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변기 11:바퀴
20:베이스판체 21:제1홈
22:제3홀 23:제2홈
24:보강대 30:전각프레임
31:끼움돌기 40:가이드수단
41:탄성체 42:제1지지프레임
43:제2지지프레임 44:레일
50:후각프레임 60:시트부재
61:구멍 70:등받이수단
71:손잡이부 72:등받이프레임
73:등받이부재 80:팔걸이수단
81:팔걸이프레임 82:파지부재
90:탄성부여수단 91:회전부재
92:탄성부재 110:측면커버
111:제1홀 121:제1와이어
122:제2와이어 123:제3와이어
130:제1락수단 131:제1지지돌기
132:제1핀부재 132a:제1돌기
133:제1스프링부재 140:제2락수단
141:수직돌기 142:승강부재
143:제2홀 144:수평판
145:제2지지돌기 146:제2핀부재
146a:제2돌기 147:제2스프링부재
150:제3락수단 151:제3지지돌기
152:제3핀부재 152a:제3돌기
153:제3스프링부재 161:걸이홈
162:걸이구 181:조절볼트
190:제1고정수단 191:반원판
192:호형공 193:레버
194:고정볼트 201:전면커버
210:풀링수단 211:회전축
212:핸들 213a:제1풀리
213b:벨트 213c:제2풀리
214:나사봉 215:이동부재
216:고정부재 217:당김줄
218:탄성스프링 219:틀체
221:제1발판부재 225:제2발판부재
231:압쇼버부재 240:푸싱수단
241:장공 242:브라켓
243:연결로드 244:제4와이어
245:제1당김부재 246:제4스프링부재
260:제2고정수단 261:지지브라켓
262:제2지지브라켓 263:걸림구
264:제5와이어 265:제2당김부재
266:제5스프링부재 271:휠
281:가이드레일 283:변받이부재
291:고정나사 293:브레이크수단
301:가로대 311:머리받침부재
510:제1구동수단 511:제1나사홀
512:제1나사봉부재 513:제1구동모터
540:제2구동수단 541:제2나사봉부재
542:제2구동모터 543:승강구
543a:나사

Claims (21)

  1. 바닥과 대면하는 베이스판체(20);
    막대형상을 이루어 상기 베이스판체(20)의 상면 전측에서 후측을 향해 경사지게 입설되되 베이스판체(20)와 대면하는 일단이 회전되게 설치되는 1쌍의 전각프레임들(30);
    상기 베이스판체(20)의 상면 중간에 입설되어 전각프레임들(30) 뒤에 위치하며 내부에 길이를 따라 신축하는 탄성체(41)를 갖는 제1지지프레임들(42)과, 베이스판체(20)의 상면 후측에 입설되어 제1지지프레임들(42) 뒤에 위치하는 제2지지프레임들(43)과, 일단은 제2지지프레임들(43)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1지지프레임들(42)을 관통해서 탄성체(41)의 탄성을 받도록 제1지지프레임들(42)과 제2지지프레임들(43)을 경사지게 가로질러 설치되는 레일들(44)로 이루어진 가이드수단들(40);
    막대형상을 이루어 일단이 상기 레일들(44) 상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레일들(44)로부터 입설되며, 그 일단으로 갈수록 만곡되는 형태를 이루는 1쌍의 후각프레임들(50);
    상기 후각프레임들(50)과 전각프레임들(30)을 가로질러 회전되게 설치되되 베이스판체(20)의 제1홈(21)에 변기(1)가 끼워짐으로써 후각프레임들(50) 사이에 위치하는 변기(1)와는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앉는 자리를 마련하며, 변기(1)와 마주보는 구멍(61)을 갖는 시트부재(60);
    일단에 절곡된 손잡이부(71)를 갖는 막대형상을 이루어 타단이 후각프레임들(50)에 접하게 시트부재(60)의 좌우면에 회전되게 연결됨으로써 시트부재(60)로부터 입설되는 1쌍의 등받이프레임들(72), 그 등받이프레임들(72)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시트부재(60)에 착석시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를 형성하도록 한 등받이부재(73)로 이루어진 등받이수단(70);
    열을 이루는 전각프레임들(30)과 후각프레임들(50)의 타단 및 등받이프레임들(72)의 중간을 가로질러 회전되게 설치되어 등받이수단(70)에 등을 대고 시트부재(60)에 착석시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걸이를 형성하도록 한 내부가 빈 구조의 팔걸이프레임들(81)과, 팔걸이프레임들(81)의 전단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팔걸이프레임들(81)에 절첩되는 파지부재들(82)로 이루어진 팔걸이수단들(80); 및
    상기 후각프레임들(50)과 등받이프레임들(81)을 가로질러 그 중간이 각각 회전되게 설치되되 등받이프레임들(81)과는 등받이프레임들(81)과 시트부재(60)의 연결점(R)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팔걸이프레임들(81)의 아래에 위치하는 회전부재들(91)과, 회전부재들(91)과 팔걸이프레임들(81)과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탄성부재들(92)로 이루어진 탄성부여수단들(9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변을 보기 위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해 시트부재(60)에 앉은 거동불편자가 절첩된 파지부재들(82)을 잡고 회전시키며 일어설 때에, 시트부재(60)에 앉음으로 인해 신장되었던 탄성부재들(92)이 수축됨으로써 회전부재들(91)을 팔걸이프레임들(81) 쪽으로 끌어당겨 등받이수단(70)을 위로 끌어 올리고, 등받이수단(70)이 위로 올라감에 따라 후각프레임들(50)이 레일들(44)을 타고 전각프레임들(30) 쪽으로 이동하여 오므라짐으로 인해 시트부재(60)의 후미가 들려 쉽게 일어설 수 있고,
    역으로 거동불편자가 앉을 때에는 수축된 탄성부재들(92)이 신장되면서 시트부재(60)의 후미와 등받이수단(70)을 내려보내고, 오므라졌던 후각프레임들(50)을 레일들(44)을 타고 다시 벌려 거동불편자가 충격을 받지 않고 앉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체(20)는 하면에 다수개의 바퀴들(11)을 달아 이동할 수 있는 형태를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체(20)의 후면에는 화장실 변기(1)의 앞쪽에서부터 끼워질 수 있는 제1홈(2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체(20)의 상면 좌우측과 팔걸이프레임들(81)과의 사이에는 판상형의 측면커버들(110)이 탈착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들(82)로부터 측면커버들(110), 가이드수단들(40) 및 전각수단들(30)을 향해 연장되는 제1와이어들(121), 제2와이어들(122) 및 제3와이어들(123)에는 파지부재들(82)의 회전에 따라 탄력적으로 작동하여 측면 커버들(110), 가이드수단들(40) 및 전각수단들(30)을 잠금 및 해제하기 위한 제1락수단들(130), 제2락수단들(140) 및 제3락수단들(150)이 각각 더 연결 설치되며,
    제1락수단들(130)은 제1와이어들(121)과 연결되며 팔걸이프레임들(81)의 내벽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다수개의 제1지지돌기들(131)을 관통해서 측면커버들(110)의 제1홀(111)에 끼움 결합되는 중간에 제1돌기(132a)를 갖는 제1핀부재들(132)과, 제1와이어들(121)과 인접하는 제1지지돌기(131)와 제1돌기(132a)와의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제1핀부재들(132) 상에 위치하는 제1스프링부재들(133)로 이루어지고,
    제2락수단들(140)은 제1지지프레임들(42)의 내부에 탄성체(41) 위로 설치되어 레일들(44)이 관통하며 제1지지프레임들(42)의 상부로 노출되는 수직돌기(141)를 갖는 승강부재들(142)과, 외부로 노출되는 수직돌기(141)의 중간에 형성되는 제2홀들(143)을 구비하고, 제2와이어들(122)과 연결되며 제1지지프레임들(42)의 측면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수평판들(144)에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다수개의 제2지지돌기들(145)을 관통해서 제2홀들(143)에 끼움 결합되는 중간에 제2돌기(146a)를 갖는 제2핀부재들(146)과, 제2와이어들(122)과 인접하는 제2지지돌기(145)와 제2돌기(146a)와의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제2핀부재들(146) 상에 위치하는 제2스프링부재들(147)로 이루어지고,
    제3락수단들(150)은 제3와이어들(123)과 연결되며 전각프레임들(30)의 하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제3지지돌기들(151)을 관통해서 베이스판체(20)의 바닥에 형성되는 제3홀들(22)에 끼움 결합되는 중간에 제3돌기(152a)를 갖는 제3핀 부재들(152)과, 제3와이어들(123)과 인접하는 제3지지돌기(151)와 제3돌기(152a)와의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제3핀부재들(152) 상에 위치하는 제3스프링부재들(15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각프레임들(30)과 대면하는 베이스판체(20)에는 걸이홈(161)을 갖는 걸이구들(162)이 돌출 형성되고, 전각프레임들(30)은 그 걸이홈(161)에 분리되게 끼워져 회전하는 끼움돌기(31)를 돌출 형성하여 베이스판체(20)로부터 탈착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각프레임들(50)이 레일들(44)을 타고 전각프레임들(30) 쪽으로 이동시 후각프레임들(50)을 잡아당겨 그 이동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풀링수단(210)을 더 포함하며, 풀링수단(210)은 베이스판체(20)의 상면으로부터 입설되어 측면커버들(11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전각프레임들(30)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면커버(201)를 구비하고, 전면커버(201)를 관통하는 회전축(211)에 의해서 전면커버(201)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핸들(212)과, 전면커버(201)의 안쪽에 위치하는 회전축(211) 상에 설치되는 1쌍의 제1풀리들(213a)과, 벨트들(213b)을 통해서 제1풀리들(213a)과 연결되는 제2풀리들(213c)을 갖고 회전축(211)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나사봉들(214)과, 나사봉들(214)과 치합되어 핸들(212)의 작동으로 나사봉들(214)이 회전함에 의해 나사봉들(214)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들(215)과, 이동부재들(215)의 후측으로 후각프레임들(5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 들(216)과, 이동부재들(215)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부재들(216)을 감으며 경유하는 당김줄들(217)과, 당김줄들(217)과 전각프레임들(3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들(218)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들(72) 사이에는 손잡이부(71)와 인접하게 가로대(301)가 설치되고, 가로대(301)의 중간에는 머리받침부재(311)가 가로대(301)로부터 위치가 변위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21)에 변기(1)가 안치되면 베이스판체(20)의 후미가 들리지 않게 변기(1)로부터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들(260)을 더 포함하며, 제2고정수단들(260)은 측면커버들(110)의 내면에 돌출 설치되는 제1지지브라켓들(261)과, 제1지지브라켓들(261) 아래로 제1홈(21)의 벽면에 돌출 설치되는 제2지지브라켓들(262)을 구비하고, 제1지지브라켓들(261)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변기(1)의 측면 턱부에 걸리는 사각형상의 걸림구들(263)과, 측면커버들(110)과 대향하는 걸림구들(263)의 선단에 연결된 채 제2지지브라켓들(262)를 관통해서 어느 하나의 팔걸이프레임(81)의 전단에 까지 연장되는 제5와이어(264)와, 어느 하나의 팔걸이프레임(81)의 전단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제5와이어(264)와 연결되는 제2당김부재(265)와, 걸림구들(263)과 제2지지브라켓들(262)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5와이어(264) 상에 설치되어 걸림구들(263)에 변기(1)의 측면 턱부에 걸려 베이스판 체(230)의 후미를 고정하기 위한 탄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5스프링부재(26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들(110)에는 손으로 굴려 바퀴들(11)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휠들(271)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각프레임들(30)의 전면 하부에는 바퀴들(11)이 굴러가는 바닥과 수직된 상태에서 전각프레임들(30) 사이로 회전하면 바닥과 수평을 이루는 제1발판부재들(221)이 회전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체(20)의 전면에 전각프레임들(30)을 넘어서 까지 형성되는 제2홈(23)과, 그 제2홈(23)과 인접하게 베이스판체(20)의 하면에 베이스판체(20)의 좌우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보강대(24)를 구비하고, 보강대(24)에는 제1발판부재들(221)이 바닥과 수직되면 외압에 의해 하부가 회전함으로써 상부가 전각프레임들(30)의 전방으로 선회하여 제2홈(23)을 통과해 바닥에 놓이는 제2발판부재(225)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판부재(225)와 측면커버들(110) 내면과의 사이 에는 제2발판부재(225)의 회전속도를 완충 및 조절하고 외압이 제거되면 제2발판부재(225)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압쇼버부재들(231)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외압이 제거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는 상기 제2발판부재(225)에 복귀력을 더 부여하기 위한 푸싱수단(240)을 더 포함하며, 푸싱수단들(240)은 장공(241)을 갖고 베이스판체(2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2발판부재(225)의 후측에 위치하는 브라켓(242)과, 제2발판부재(225)의 하부에 회전되게 연결된 채 브라켓(242)의 장공(241)을 관통하는 연결로드(243)와, 연결로드(243)에 연결된 채 베이스판체(20)를 관통해서 어느 하나의 팔걸이프레임(81)의 전단에 까지 연장되는 제4와이어(244)와, 어느 하나의 팔걸이프레임(81)의 전단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제4와이어(244)와 연결되는 제1당김부재(245)와, 연결로드(243)와 베이스판체(20)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4와이어(244) 상에 설치되어 제1당김부재(245)가 제4와이어(244)를 당기면 수축되었다가 제2발판부재(225)로부터 외압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신장하여 제2발판부재(225)에 복귀력을 더 부여하는 제4스프링부재(24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체(20)의 하부에는 바닥에 베이스판체(20)를 움직이지 않게 정치시키기 위한 고정나사들(291)이 바퀴들(11)과 인접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들(72)의 손잡이들(71)에는 바퀴들(11)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수단(293)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들(92)은 스프링이고, 회전부재들(91)의 선단을 관통해서 나사 결합되는 조절볼트들(181)에 회전되게 연결됨으로써 조절볼트들(181)의 회전에 의해 탄성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들(91)에는 후각프레임들(50)에 대한 회전을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수단들(190)이 설치되며, 제1고정수단들(190)은 후각프레임들(50)에 설치되는 반원판들(191)과, 반원판들(191)에 형성되는 호형공들(192)과, 레버(193)를 갖고 회전부재들(91)의 선단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호형공들(192)에 관통하게 끼워져 회전부재들(91)을 따라 호형공들(192)을 이동하는 고정볼트들(194)과, 반원판들(191)의 뒷편에서 고정볼트들(194)과 나사 결합되어 반원판들(191)에 고정볼트들(194)의 이동을 고정하여 회전부재들(9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60)의 아래에는 전각프레임들(30)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81)에 변받이부재(283)가 서랍식으로 탈착되게 설치됨을 특징 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20. 바닥과 대면하는 베이스판체(20);
    막대형상을 이루어 상기 베이스판체(20)의 상면 전측에서 후측을 향해 경사지게 입설되되 베이스판체(20)와 대면하는 일단이 회전되게 설치되는 1쌍의 전각프레임들(30);
    상기 베이스판체(20)의 상면 중간에 입설되어 전각프레임들(30) 뒤에 위치하는 제1지지프레임들(42)과, 베이스판체(20)의 상면 후측에 입설되어 제1지지프레임들(42) 뒤에 위치하는 제2지지프레임들(43)과, 제1지지프레임들(42)과 제2지지프레임들(43)을 가로질러 경사지게 설치되는 레일들(44)로 이루어진 가이드수단들(40);
    막대형상을 이루어 일단이 상기 레일들(44) 상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레일들(44)로부터 입설되며, 그 일단으로 갈수록 만곡되는 형태를 이루는 1쌍의 후각프레임들(50);
    상기 후각프레임들(50)과 전각프레임들(30)을 가로질러 회전되게 설치되되 베이스판체(20)의 제1홈(21)에 변기(1)가 끼워짐으로써 후각프레임들(50) 사이에 위치하는 변기(1)와는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앉는 자리를 마련하며, 변기(1)와 마주보는 구멍(61)을 갖는 시트부재(60);
    일단에 절곡된 손잡이부(71)를 갖는 막대형상을 이루어 타단이 후각프레임들(50)에 접하게 시트부재(60)의 좌우면에 회전되게 연결됨으로써 시트부재(60)로부터 입설되는 1쌍의 등받이프레임들(72), 그 등받이프레임들(72)을 가로질러 설치 되어 시트부재(60)에 착석시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를 형성하도록 한 등받이부재(73)로 이루어진 등받이수단(70);
    열을 이루는 전각프레임들(30)과 후각프레임들(50)의 타단 및 등받이프레임들(72)의 중간을 가로질러 회전되게 설치되어 등받이수단(70)에 등을 대고 시트부재(60)에 착석시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걸이를 형성하도록 한 내부가 빈 구조의 팔걸이프레임들(81)과, 팔걸이프레임들(81)의 전단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팔걸이프레임들(81)에 절첩되는 파지부재들(82)로 이루어진 팔걸이수단들(80); 및
    상기 후각프레임들(5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나사홀(511)과, 제1나사홀(511)을 관통해서 레일들(44)과 나란하게 제1지지프레임들(42)과 제2지지프레임들(43)을 가로질러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나사봉부재들(512)과, 제1나사봉부재들(512)의 선단에 설치되어 제1나사봉부재들(512)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들(513)로 이루어진 제1구동수단(5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변을 보기 위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해 시트부재(60)에 앉은 거동불편자가 절첩된 파지부재들(82)을 잡고 회전시키며 일어설 때에, 제1구동모터들(513)을 작동시켜 제1나사봉부재들(512)을 회전시킴으로써 후각프레임들(50)을 전각프레임들(30) 쪽으로 이동시킴으로 인해 등받이수단(70)이 위로 올라감에 따라 시트부재(60)의 후미가 들려 쉽게 일어설 수 있고,
    역으로 제1구동모터들(513)을 작동시키면 오므라졌던 후각프레임들(50)이 레일들(44)을 타고 다시 벌어져 거동불편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들(42)의 내부에 길이를 따라 설치되는 제2나사봉부재들(541)과, 제2나사봉부재들(541)의 선단에 설치되어 제2나사봉부재들(541)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들(542)과, 레일들(44)과 제1나사봉부재들(512)을 관통시키는 슬롯모양의 장공을 갖고 일면에 형성되는 나사(543a)를 통해서 제2나사봉부재들(541)과 치합되어 제2구동모터들(542)의 구동으로 제2나사봉부재들(541)이 회전하면 제2나사봉부재들(541)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구(543)로 이루어진 제2구동수단(540)을 포함하며, 레일들(44)은 제2지지프레임들(43)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제1구동모터들(513)도 베이스판체(20)에 회전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KR1020090096028A 2009-10-09 2009-10-09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KR101057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028A KR101057449B1 (ko) 2009-10-09 2009-10-09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028A KR101057449B1 (ko) 2009-10-09 2009-10-09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856A KR20110038856A (ko) 2011-04-15
KR101057449B1 true KR101057449B1 (ko) 2011-08-18

Family

ID=4404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028A KR101057449B1 (ko) 2009-10-09 2009-10-09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4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684B1 (ko) 2013-04-09 2014-01-16 김인겸 거동 불편자용 목욕의자
KR200478004Y1 (ko) 2013-10-02 2015-08-27 미키코리아(주) 목욕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210A1 (ko) * 2011-11-30 2013-06-06 주식회사 에이스하이텍 산소 캡슐
CN112752559B (zh) * 2018-10-04 2022-10-11 株式会社富士 辅助装置
CN110353550B (zh) * 2019-07-11 2021-03-30 青岛市妇女儿童医院 一种用于妇产科的孕产妇用坐便椅
KR102362427B1 (ko) * 2020-05-07 2022-02-14 오승욱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
KR102637549B1 (ko) * 2023-05-12 2024-02-16 주식회사 케어박스 이송용 체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8556A (ja) 1983-12-28 1985-08-05 アンテルナシヨナ−ル・デイフシオン・コンソマツ−ル・イ−・デ−・セ− 車椅子用昇降装置
KR200419385Y1 (ko) 2006-04-06 2006-06-19 신효선 장애인용 휠체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8556A (ja) 1983-12-28 1985-08-05 アンテルナシヨナ−ル・デイフシオン・コンソマツ−ル・イ−・デ−・セ− 車椅子用昇降装置
KR200419385Y1 (ko) 2006-04-06 2006-06-19 신효선 장애인용 휠체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684B1 (ko) 2013-04-09 2014-01-16 김인겸 거동 불편자용 목욕의자
WO2014168348A1 (ko) * 2013-04-09 2014-10-16 Kim In-Kyum 거동 불편자용 목욕의자
KR200478004Y1 (ko) 2013-10-02 2015-08-27 미키코리아(주) 목욕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856A (ko)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449B1 (ko)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JP6014497B2 (ja) 調度品(位置定め可能な椅子)
KR20200138824A (ko) 다기능 휠체어
KR101013566B1 (ko) 착석 및 기립 보조기구
JP5804413B2 (ja) 歩行補助車
WO2005053592A1 (ja) シート折畳み機構及び車椅子
CN110742742A (zh) 一种多功能护理机
JP2020508704A (ja) 老弱者用歩行補助器
JP2002028202A (ja) 歩行補助機
TWI693933B (zh) 多功能輪椅
JPH1170146A (ja) 車椅子
JP2004267571A (ja) 車椅子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椅子本体
KR101224414B1 (ko) 좌석 브레이크가 구비된 실버카
JP4498980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JP4452082B2 (ja) 特殊入浴システムならびに車椅子兼ストレッチャー
JP3684303B2 (ja) 用便装置
CN210728050U (zh) 一种方便开合的安全坐具
JP2010213795A (ja) 介護用椅子
JPH06339499A (ja) 介護用車椅子
JP6082376B2 (ja) 移乗移動装置
JP2922197B1 (ja) 椅 子
JPH0739562A (ja) 介護用車椅子
WO2015029132A1 (ja) 移動用リフト
JP4787378B1 (ja) 車椅子
KR200465717Y1 (ko) 레그프레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