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549B1 - 이송용 체어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용 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549B1
KR102637549B1 KR1020230074812A KR20230074812A KR102637549B1 KR 102637549 B1 KR102637549 B1 KR 102637549B1 KR 1020230074812 A KR1020230074812 A KR 1020230074812A KR 20230074812 A KR20230074812 A KR 20230074812A KR 102637549 B1 KR102637549 B1 KR 102637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body
user
chair device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어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어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어박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5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9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88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Lower body, e.g. pelvis,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2Rests specially adapted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8Ankle or foot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자나 노약자 또는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탑승 및 하차가 용이하여 부상을 방지하고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경제적이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사람 이송용 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퀴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또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사용자가 진입하면서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이 단부에 장착되는 시트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좌·우측에 전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암레스트;를 포함하는, 이송용 체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송용 체어 장치 {CHAIR DEVICE FOR A PEOPLE-TRANSPORT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자나 노약자 또는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탑승 및 하차가 용이하여 부상을 방지하고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경제적이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사람 이송용 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도 대소변이나 목욕, 휠체어를 이용한 이동이나 자동차에 승하차 등 일상 샐활에 필요한 활동을 해야 하지만 거동이 불편하면 기구를 이용하거나 간병인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아무리 신체가 건강한 간병인이라도 환자를 안전하게 다른 장소로 이동하려면 과도한 힘이 필요하고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환자 자신도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 리프트 장치가 이용된다. 이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8944호의 '링형 조작부가 구비된 리프트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모터를 이용한 환자 리프트는 고정된 장소에서는 유용하지만 환자를 이동시킬 경우엔 전원이 문제가 되며, 최근엔 충전용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무게가 무겁고 밧데리 수명이 짧으며 가격이 비싼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가격을 낮추기 위해 공기나 유압을 이용한 자키방식의 리프트도 출시되고 있으나 상승시엔 문제가 없으나 하강시엔 밸브를 개방하여 하강시키므로 급속 낙하하는 치명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리프트는 침대 부착형, 휠체어 부착형, 목욕탕 고정형, 자동차 승하차용 등으로 사용 용도가 제한되어 있어 경제적이지 못하며 다양한 용도의 환자용 리프트가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종래 리프트 또는 휠체어 등의 이송 장치는 환자가 뒤로 돌아서 앉는 과정에서 무리한 움직임을 할 수 밖에 없어 환자가 부상을 입을 수 있고 심할 경우 뒤로 돌아서 잘못 앉는 경우에 리프트 또는 휠체어에 안착하지 못하고 바닥으로 넘어질 수 있어 심각한 부상 위험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8944호 (2011.01.17.)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신체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탑승이 용이하여 부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원하는 장소로 이동 후 하차가 용이한 이송용 체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탑승 시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전하게 사용자의 이송이 가능한 이송용 체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한 구조로 사용자의 탑승과 이송 및 하차가 용이하여 경제적이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이송용 체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퀴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또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사용자가 진입하면서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이 단부에 장착되는 시트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좌·우측에 전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암레스트;를 포함하는, 이송용 체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부가 양단에 고정되는 후방 지지 프레임과,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의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중앙 전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부가 양단에 고정되는 후방 지지 프레임과,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의 좌·우측으로부터 전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전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퀴는,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에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 3개소 이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전방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좌·우측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좌판에 착좌 후 회전 조작이 가능한 휠체어 형태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 좌·우측 양단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수직 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장치의 조작을 위한 핸들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는,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의 전방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입 시 파지를 위한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연결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시트 프레임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중앙에 고정되고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고 그 단부에 상기 좌판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그 단부에 상기 좌판이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는,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입하여 상기 좌판에 엉덩이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 부재는,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의 전방 단부에 각각 구비된 고정 브라켓에 그 양단이 고정되고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의 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복수의 밴드는 암수로 이루어진 버클을 매개로 상호 탈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등받이 부재는,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의 전방 단부에 구비되는 등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좌·우측을 회동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발판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신체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탑승이 용이하여 부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원하는 장소로 이동 후 하차가 용이하고 편리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탑승 시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전하게 사용자의 이송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사용자의 탑승과 이송 및 하차가 용이하여 경제적이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5는 제1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에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1에서 휠체어 형태의 바퀴가 적용된 이송용 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도 7의 평면도
도 10은 도 7의 우측면도
도 11은 제2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에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도 7에서 휠체어 형태의 바퀴가 적용된 이송용 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되는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이송용 체어 장치에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서 휠체어 형태의 바퀴가 적용된 이송용 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체어 장치(100)는, 바퀴(101)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120)과, 상기 본체 프레임(120)에 고정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환자나 노약자 및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진입하면서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141)이 그 단부에 장착되는 시트 프레임(140)과, 상기 본체 프레임(120)의 상부 좌·우측에 전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암레스트(151, 15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상기 본체 프레임(120)의 좌·우측 하단부가 양단에 고정되는 후방 지지 프레임(111)과,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111)의 좌·우측으로부터 전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전방 프레임(112a, 112b)과,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111)의 좌·우측으로부터 후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후방 프레임(113a, 11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111)과 상기 좌·우측 전방 프레임(112a, 112b) 및 상기 좌·우측 후방 프레임(113a, 113b)은 각각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별도의 부재로 용접 또는 나사 조립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상호 연결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체 프레임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바퀴(101)는 의자 등에 사용되는 캐스터 바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좌·우측 전방 프레임(112a, 112b)의 각 단부와 상기 좌·우측 후방 프레임(113a, 113b)의 각 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이송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101)는 상기 좌·우측 전방 프레임(112a, 112b)의 각 단부에 총 2개소가 구비될 경우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111)의 중앙에 1개소로만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즉, 후방 지지 프레임(111)에 연결된 좌·우측 후방 프레임(113a, 113b)은 삭제될 수 있으며, 이에 기존 상기 좌·우측 후방 프레임(113a, 113b)에 구비되었던 바퀴는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111)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상기 좌·우측 후방 프레임(113a, 113b)에 구비되었던 바퀴는 상기 본체 프레임(120)의 좌·우측에 휠체어 형태의 바퀴(101-1)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 프레임(120)의 좌·우측 수직 프레임(121a, 121b)에 각각 휠체어 형태의 바퀴(101-1)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좌판(141)에 착좌 후 휠체어 형태의 바퀴(101-1)를 회전 조작하여 이송용 체어 장치(100)를 탑승한 상태에서 스스로 이동할 수도 있다.
한편,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좌·우측 전방 프레임(112a, 112b)은 사용자가 앉아 있는 침대 또는 휠체어 등의 물품 밑으로 진입될 수 있고, 이에 사용자가 앉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시트 프레임(140)의 좌판(141)이 사용자의 전면 앞쪽까지 근접 가능하고 이에 사용자는 앉아 있는 상태에서 그대로 또는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무리없이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100)에 탑승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좌·우측 전방 프레임(112a, 112b)은 휠체어 밑으로 진입할 경우 등을 고려하여 상호 외측면 사이의 거리(D)가 사용자가 앉아 있는 휠체어와 같은 물품의 좌우 바퀴나 바닥에 지지되는 부위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좌·우측 전방 프레임(112a, 112b) 사이의 간격(G)을 상기 휠체어의 좌우 바퀴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휠체어의 좌우 바퀴를 둘러싸도록 진입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발판 프레임(170)이 구비되어, 사용자는 탑승 후 상기 발판 프레임(170)에 발을 올려 놓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탑승 자세를 편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송 중 발을 다칠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즉, 상기 발판 프레임(170)은, 상기 좌·우측 전방 프레임(112a, 112b)의 상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발판 프레임(170)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 프레임(120)에 근접한 상기 좌·우측 전방 프레임(112a, 112b)의 상면 일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좌·우측 전방 프레임(112a, 112b)의 전방측까지 상면 전체에 걸쳐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판 프레임(170)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좌·우측 전방 프레임(112a, 112b)의 상면 전체에 걸쳐서 구비될 경우,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탑승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즉 상기 좌·우측 전방 프레임(112a, 112b) 간의 고정 지지력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후방 좌·우측 양단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수직 프레임(121a, 121b)과, 상기 좌·우측 수직 프레임(121a, 121b)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간병인 또는 부양가족 등이 이송용 체어 장치(100)를 조작 및 운행하기 위한 핸들 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 수직 프레임(121a, 121b)과 상기 핸들 프레임(122)은 각 프레임이 금속 재질로 일체형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이 별도의 부재로 용접 또는 나사 조립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수직 프레임(121a, 121b)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즉,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111)과 별도의 부재로 용접 또는 나사 조립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체형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120) 즉, 상기 좌·우측 수직 프레임(121a, 121b)의 상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연결 프레임(12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시트 프레임(140)은 상기 연결 프레임(123)의 중앙에 고정되고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고 그 단부에 상기 좌판(141)이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시트 프레임(140)은 상기 핸들 프레임(122)의 중앙에 고정되고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 프레임(14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별도의 부재로 용접 또는 나사 조립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상기 이동 프레임(130)의 연결 프레임(132) 중앙에 연결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결 프레임(132)과 일체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연결 프레임(132) 역시 상기 본체 프레임(120)의 좌·우측 수직 프레임(121a, 121b)과 금속 재질의 별도의 부재 또는 일체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 프레임(140)의 하향 경사진 하단부에는 상기 좌판(141)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입하면서 엉덩이를 안착하면서 탑승할 수 있다.
일 예로, 환자나 노약자 또는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침대 또는 휠체어에 앉아 있는 경우, 간병인 또는 부양가족 등이 상기 본체 프레임(120)의 핸들 프레임(122)을 파지하고 이송용 체어 장치(100)를 전방으로 밀어서 사용자의 앞쪽에서 엉덩이에 근접하게 상기 시트 프레임(140)의 좌판(141)을 위치시키면 사용자는 앉아 있는 상태 그대로 무리한 움직임 없이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착석하여 탑승이 가능하다.
이때,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지는 상기 시트 프레임(140)의 고정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시트 프레임(140)의 상부측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후방 지지 프레임(111)에 별도의 프레임을 추가하여 상호 연결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시트 프레임(140)을 상기 본체 프레임(120)과 함께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추가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좌판(141)에 안착하여 탑승한 후에도 상기 시트 프레임(140)을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151, 152)는, 상기 본체 프레임(120)의 좌·우측 수직 프레임(121a, 121b)의 상부에서 각각 전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151, 152)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별도의 부재로 용접 또는 나사 조립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상기 본체 프레임(120)의 좌·우측 수직 프레임(121a, 121b)에 연결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체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151, 152)의 전방 단부에는 각각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입 시 파지를 위한 그립부(151a, 152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그립부(151a, 152a)는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151, 152)의 각 단부에서 상부로 굴곡 또는 절곡된 손잡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상기 시트 프레임(140)의 좌판(141)이 엉덩이 밑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조정하거나 몸 전체를 상기 시트 프레임(140) 측으로 기울이는 등 탑승 과정을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151, 152)에 팔을 걸치는 등 보다 편리하게 탑승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151, 152)는 바 형태의 프레임을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 프레임(120)의 좌·우측 수직 프레임(121a, 121b)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면적을 갖는 판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 프레임(120)의 좌·우측 수직 프레임(121a, 121b)의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까지 연결되는 판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판 형태의 프레임으로 좌·우측 암레스트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착좌 후 측방으로 떨어지거나 측방을 통한 외부 충돌 등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고 상기 본체 프레임(12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고정 지지력 등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100)는,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151, 15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입하여 상기 좌판(141)에 엉덩이가 안착된 상태로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 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151, 152)의 전방 단부에는 각각 고정 브라켓(15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등받이 부재(160)는 그 양단이 상기 고정 브라켓(153)에 고정되고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의 밴드(161, 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밴드(161, 162)는, 암수로 이루어진 버클(163)을 매개로 상호 탈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결합 및 분리 방식의 잠금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탑승 전에 상기 복수의 밴드(161, 162)는 버클(163)을 잠금 해제하여 분리된 상태에서 환자가 탑승 후에는 버클(163)을 잠금하여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를 보다 안정적으로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밴드(161, 162)는 사용자의 신체에 맞추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복수의 밴드(161, 162)는 추가적으로 쿠션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7의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제2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에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7에서 휠체어 형태의 바퀴가 적용된 이송용 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체어 장치(200) 역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바퀴(201)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2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 고정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전방에 후방으로 환자나 노약자 및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진입하면서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241)이 그 단부에 장착되는 시트 프레임(240)과, 상기 본체 프레임(220)의 상부 좌·우측에 전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암레스트(251, 252)와,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251, 25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입하여 상기 좌판(241)에 엉덩이가 안착된 상태로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 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상이하게,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이, 상기 본체 프레임(120)의 좌·우측 하단부가 양단에 고정되는 후방 지지 프레임(211)과,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211)의 중앙으로부터 전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전방 프레임(2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 역시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211)의 좌·우측으로부터 후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후방 프레임(213a, 21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2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전방 프레임(212)이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211)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하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입하기가 보다 용이하다.
이때, 상기 바퀴(201)는 상기 전방 프레임(212)의 단부와 상기 좌·우측 후방 프레임(213a, 213b)의 각 단부에 구비되어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이송이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의자 등에 사용되는 캐스터 바퀴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베이스 프레임(210) 역시 상기 좌·우측 후방 프레임(213a, 213b)은 삭제될 수 있으며, 이에 기존 바퀴는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211)의 양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 후방 프레임(213a, 213b)에 구비된 바퀴는 상기 본체 프레임(220)의 좌·우측에 휠체어 형태의 바퀴(201-1)로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좌·우측 후방 프레임(213a, 213b)은 삭제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200) 역시 본체 프레임(220)의 좌·우측 수직 프레임(221a, 221b)에 각각 휠체어 형태의 바퀴(201-1)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좌판(241)에 착좌 후 휠체어 형태의 바퀴(201-1)를 회전 조작하여 이송용 체어 장치(200)를 탑승한 상태에서 스스로 이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다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상이하게, 상기 시트 프레임(240)이 본체 프레임이 아닌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 즉, 상기 전방 프레임(212)의 단부에 상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시트 프레임(240)의 단부에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상기 좌판(24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200)는 상기 시트 프레임(240)이 사용자의 엉덩이로부터 중력 방향으로 사용자를 수직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상이하게, 상기 등받이 부재(260)가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251, 252)의 전방 단부에 고정된 벨트(261)와 상기 벨트(261)에 고정된 등판(26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등받이 부재(260)는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251, 252)의 전방 단부에 고정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입하여 좌판(241)에 착좌 가능하도록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251, 252)는 상기 본체 프레임(220) 즉, 상기 좌·우측 수직 프레임(221a, 221b)에 회동축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좌·우측 수직 프레임(221a, 221b)에는 해당되는 암레스트(251, 252)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걸림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해당되는 암레스트(251, 252)가 상방으로 회동되어 수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걸림수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등받이 부재(260) 역시 상기 벨트(261)를 버클과 같은 잠금 및 분리 수단을 통해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로 구비할 수 있고 벨트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251, 252)의 회동 구조 대신 고정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200) 역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 발판 프레임(27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탑승 후 발판 프레임(270)에 발을 올려 놓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탑승 자세를 편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송 중 발을 다칠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200) 역시 상기 발판 프레임(270)이 상기 전방 프레임(212)이 상면 일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상면 전체에 걸쳐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200) 역시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251, 252)가 바 형태의 프레임을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 프레임(220)의 좌·우측 수직 프레임(221a, 221b)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면적을 갖는 판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200) 역시 상술한 제1 실시예와의 상이한 구성 이외에 상기 본체 프레임(220)의 핸들 프레임(222), 본체 프레임(220)의 견고성을 위한 연결 프레임(223),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251, 252)의 그립부(251a, 252a) 등 유사한 구성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프레임 간의 다양한 결합 방식 또는 일체형 프레임 구조 등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국, 본 실시예의 이송용 체어 장치(200) 역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앉아 있는 침대 또는 휠체어 등의 물품 밑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가 앉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시트 프레임(240)의 좌판(241)이 전면 앞쪽까지 근접 가능하고 따라서 사용자는 앉아 있는 상태에서 그대로 또는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무리없이 편리하게 탑승이 가능하여 기존 휠체어와 같이 사용자가 탑승을 위해 무리하게 움직이거나 착석을 위해 몸을 돌리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상 및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이송용 체어 장치
101 : 바퀴
110 : 베이스 프레임
111 : 수평 지지 프레임
112a, 112b : 좌·우측 전방 프레임
113a, 113b : 좌·우측 후방 프레임
120 : 본체 프레임
121a, 121b : 좌·우측 수직 프레임
122 : 핸들 프레임
123 : 연결 프레임
140 : 시트 프레임
141 : 좌판
151, 152 : 좌·우측 암레스트
151a, 152a : 그립부
153 : 고정 브라켓
160 : 등받이 부재
161, 162 : 복수의 밴드
163 : 버클
170 : 발판 프레임

Claims (11)

  1. 바퀴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사용자가 진입하면서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이 단부에 장착되는 시트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좌·우측에 전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암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연결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시트 프레임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중앙에 고정되고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그 단부에 상기 좌판이 장착되는, 이송용 체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부가 양단에 고정되는 후방 지지 프레임과,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의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중앙 전방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송용 체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부가 양단에 고정되는 후방 지지 프레임과,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의 좌·우측으로부터 전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전방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송용 체어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에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 3개소 이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전방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좌·우측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좌판에 착좌 후 회전 조작이 가능한 휠체어 형태로 각각 구비되는, 이송용 체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 좌·우측 양단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수직 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장치의 조작을 위한 핸들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송용 체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의 전방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입 시 파지를 위한 그립부를 포함하는, 이송용 체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입하여 상기 좌판에 엉덩이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부재;를 포함하는, 이송용 체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부재는,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의 전방 단부에 각각 구비된 고정 브라켓에 그 양단이 고정되고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의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밴드는 암수로 이루어진 버클을 매개로 상호 탈착되거나, 또는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의 전방 단부에 구비되는 등판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 암레스트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좌·우측을 회동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용 체어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발판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송용 체어 장치.
KR1020230074812A 2023-05-12 2023-06-12 이송용 체어 장치 KR102637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061555 2023-05-12
KR1020230061555 2023-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549B1 true KR102637549B1 (ko) 2024-02-16

Family

ID=9005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812A KR102637549B1 (ko) 2023-05-12 2023-06-12 이송용 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54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944B1 (ko) 2010-03-29 2011-01-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링형 조작부가 구비된 리프트 장치
KR20110038856A (ko) * 2009-10-09 2011-04-15 김한주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JP2018023752A (ja) * 2016-07-29 2018-0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介護用椅子
KR20210096580A (ko) * 2021-04-14 2021-08-05 주식회사 용롱 환자용 전동식 리프트
KR20210136359A (ko) * 2020-05-07 2021-11-17 오승욱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
KR102402692B1 (ko) * 2021-08-25 2022-05-30 노운규 다기능 보행차
KR20230016548A (ko) * 2021-07-26 2023-02-02 주식회사 와우쓰리디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8856A (ko) * 2009-10-09 2011-04-15 김한주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KR101008944B1 (ko) 2010-03-29 2011-01-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링형 조작부가 구비된 리프트 장치
JP2018023752A (ja) * 2016-07-29 2018-0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介護用椅子
KR20210136359A (ko) * 2020-05-07 2021-11-17 오승욱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
KR20210096580A (ko) * 2021-04-14 2021-08-05 주식회사 용롱 환자용 전동식 리프트
KR20230016548A (ko) * 2021-07-26 2023-02-02 주식회사 와우쓰리디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
KR102402692B1 (ko) * 2021-08-25 2022-05-30 노운규 다기능 보행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2706B2 (en) Elevating walker chair
US6488332B1 (en) Traveling seat
AU2006223081B2 (en) Patient transfer system with associated frames and lift carts
US8646804B2 (en) Apparatus for a convertible wheeled patient aid
US20070080519A1 (en) Adult stroller
JP2007181639A (ja) 起立補助椅子
AU2011267976B2 (en) Carrying cart accommodation for special-needs rider
CN108289778B (zh) 患者搬运设备和方法
US8087687B2 (en) Adjustable adult mobility device
KR101482769B1 (ko) 자세보조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US20020084617A1 (en) Ambulation device
US5405187A (en) Wheelchair where the seat is divided longitudinally
US11690770B2 (en) Multifunctional wheelchair
US20060272090A1 (en) Standing station
KR102320543B1 (ko)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KR102637549B1 (ko) 이송용 체어 장치
JP5531344B2 (ja) 移乗器具
CN111616878A (zh) 看护机器人
KR101841396B1 (ko) 가방형 들것
CN114652548A (zh) 一种微变人体姿势的移乘装置
AU2012201566A1 (en) Patient transfer system with associated frames and lift carts
GB2340388A (en) Body Support System
JP2016116823A (ja) 三輪の車椅子
JP3218456U (ja) 安全バンドを備えた椅座位担架
JP3231125U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