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586B1 -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586B1
KR102359586B1 KR1020200010328A KR20200010328A KR102359586B1 KR 102359586 B1 KR102359586 B1 KR 102359586B1 KR 1020200010328 A KR1020200010328 A KR 1020200010328A KR 20200010328 A KR20200010328 A KR 20200010328A KR 102359586 B1 KR102359586 B1 KR 102359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point
support member
fastening part
inse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822A (ko
Inventor
김재훈
김봉수
김남규
이호근
장용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0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586B1/ko
Priority to CN202021343539.4U priority patent/CN212556489U/zh
Publication of KR2021009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 멤버와 로워암이 체결되는 G점 체결부에 리어 차체가 장착되는 크로스 멤버의 리어 마운팅부를 하나로 통합하여, G점 체결부에서 크로스 멤버에 대한 로워암 체결 및 리어 차체의 장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공용 체결(공체) 구조가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조립 부품수 및 공수 절감, 중량 저감 및 원가 절감 등을 실현할 수 있고, 더불어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까지 개성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조립 구조의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FRONT SUBFRAME MODU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로스 멤버와 로워암이 연결되는 G점 체결부에 리어 차체가 장착되는 크로스 멤버의 리어 마운팅부를 하나로 통합화시킨 새로운 조립 구조의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차체의 일 구성인 프론트 서브프레임은 엔진을 포함하는 파워트레인 부품이 탑재되는 프론트 차체 및 배기계 등을 지지하는 리어 차체가 연결되는 대상이 되고, 서스펜션 부품인 로워암이 조립되는 대상이 되는 부품을 말한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프론트 서브프레임 및 그 체결 구조를 나타낸다.
대개,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멤버(10)와 크로스 멤버(10)의 양측부에 체결되는 로워암(20)이 하나의 준모듈 상태로 제작된다.
상기 크로스 멤버(10)의 양측 전단부에는 프론트 차체가 체결되는 프론트 마운팅부(11)가 형성되고, 양측 후단부에는 리어 차체가 장착되는 리어 마운팅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프론트 마운팅부(11)에 프론트 차체의 체결수단(11-1)이 장착되고, 상기 리어 마운팅부(12)에 리어 차체(12-1)가 볼트(12-2) 등을 매개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크로스 멤버(10)의 양측부에는 로워암(20)이 체결되는 바, 크로스 멤버(10)와 로워암(20) 간의 실질적인 체결 위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부시를 포함하는 체결기구를 이용하는 앞쪽 두 곳의 A점 체결부(Ap)와 뒤쪽 두 곳의 G점 체결부(Gp)에서 이루어진다.
참고로, 부시가 지면과 수평으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A점 체결부(장착부)라 하고, 부시가 지면과 수직으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G점 체결부(장착부)라고 명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프론트 서브프레임 및 그 장착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프론트 서브프레임을 하나의 준모듈 상태로 구비하기 위하여 로워암과의 체결이 두 곳의 A점 체결부(Ap)와 두 곳의 G점 체결부(Gp)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차체에 대한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장착이 프론트 차체가 체결되는 두 곳의 프론트 마운팅부(11)와 리어 차체가 장착되는 두 곳의 리어 마운팅부(12)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 부품수가 많이 들고, 중량 상승 및 원가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크로스 멤버와 로워암이 체결되는 G점 체결부에 리어 차체가 장착되는 크로스 멤버의 리어 마운팅부를 하나로 통합하여, G점 체결부에서 크로스 멤버에 대한 로워암 체결 및 리어 차체의 장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공용 체결(공체) 구조가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조립 부품수 및 공수 절감, 중량 저감 및 원가 절감 등을 실현할 수 있고, 더불어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까지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조립 구조의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점 체결부를 위한 제1부시 및 G점 체결부를 위한 제2부시가 장착된 로워암; 상기 제1부시가 삽입되는 A점 체결부용 제1삽입공간 및 상기 제2부시가 삽입되는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이 형성된 크로스 멤버; 및 상기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제2부시의 삽입방향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삽입 후의 위치를 규제하는 서포트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에 삽입된 제2부시에 리어 차체가 장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포트 부재는 상기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에서 제2부시가 삽입되는 거리 만큼 서로 이격 배열되며 장착되어, 상기 제2부시를 밀착 지지하는 제1서포트 부재와 제2서포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삽입공간에 제1부시가 삽입된 상태인 A점 체결부 중심과 상기 제2삽입공간에 제2부시가 삽입된 상태인 G점 체결부 중심을 이은 가상선과, 차량의 길이방향 가상선 간의 각도에 비하여 차량의 폭방향 가상선에 대한 상기 제1서포트 부재와 제2서포트 부재의 배열 각도가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제1서포트 부재와 제2서포트 부재는: 상기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의 상판부에 고정되어 제2부시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고정판; 상기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의 하판부에 고정되어 제2부시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고정판; 및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 간에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판;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서포트 부재는 상기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의 상판부에 고정되어 제2부시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고정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서포트 부재는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의 하판부에 고정되어 제2부시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고정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고정판에는 상기 제2부시의 상부에 대한 밀착 지지 보장을 위하여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포밍된 위치 규제용 포밍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부시의 상부를 이루는 부시 인너 파이프의 상부 표면에는 상부 고정판과의 접촉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코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고정판에는 상기 제2부시의 하부에 대한 밀착 지지 보장을 위하여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포밍된 위치 규제용 포밍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부시의 하부를 이루는 부시 인너 파이프의 하부 표면에는 하부 고정판과의 접촉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판에는 강성 보강을 위하여 오목하게 포밍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강성 보강용 포밍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프론트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크로스 멤버와 로워암이 상호 체결되는 G점 체결부에 리어 차체가 장착되는 크로스 멤버의 리어 마운팅부를 하나로 통합하여, G점 체결부에서 크로스 멤버에 대한 로워암 체결 및 리어 차체의 장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공용 체결(공체)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둘째, G점 체결부에서 크로스 멤버에 대한 로워암의 제2부시 체결 및 이 제2부시 내에 리어 차체의 장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조립 부품수 및 공수 절감, 중량 저감 및 원가 절감 등을 실현할 수 있다.
셋째, 로워암의 제2부시에 소음 방지 및 부식 방지용 고무 코팅층을 더 형성하여, 크로스 멤버에 장착된 서포트 부재가 로워암의 제2부시를 밀착 지지할 때의 접촉 소음 등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까지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의 프론트 서브프레임 및 그 체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구성 중 제1서포트 부재와 제2서포트 부재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서포트 부재와 제2서포트 부재를 크로스 멤버의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서포트 부재와 제2서포트 부재가 크로스 멤버의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에 삽입된 제2부시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부시의 상부 및 하부에 소음 방지를 위한 고무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의 조립 완료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G점 체결부에서의 제1 및 제2서포트 부재의 장착 배열 각도를 결정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의 조립 완료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외력에 대한 G점 체결부에서의 반력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의 조립 완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의 G점 체결부에 리어 차체가 공용으로 조립될 수 있음을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구성 중 제1서포트 부재와 제2서포트 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서포트 부재와 제2서포트 부재가 제2부시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100)은 양측 앞쪽 위치에 A점 체결부를 위한 제1부시(121)가 장착되고, 양측 뒤쪽 위치에 G점 체결부를 위한 제2부시(122)가 장착된 로워암(120)과, 상기 제1부시(121)가 삽입되는 A점 체결부용 제1삽입공간(111) 및 상기 제2부시(122)가 삽입되는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112)이 형성된 크로스 멤버(11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부시(121)는 지면과 수평으로 배열되는 수평부시로서, 이 제1부시(121)가 지면과 수평으로 배열되며 장착되는 부분을 A점 체결부라 명하고, 상기 제2부시(122)는 지면과 수직으로 배열되는 수직부시로서, 이 제2부시(22)가 지면과 수직으로 배열되는 장착ㄹ되는 부분을 G점 체결부라고 명한다.
특히, 상기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112)에는 상기 제2부시(122)의 삽입방향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삽입 후의 위치를 규제하는 서포트 부재(130)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 멤버(110)의 제2삽입공간(112)에 로워암(120)의 제2부시(122)가 삽입되어 서포트 부재(130)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제2부시(122)가 지면과 수직으로 배열되며 장착 완료된 지점인 G점 체결부(도 10에 Gp로 지시됨)가 구현된다.
이렇게 구현된 G점 체결부(Gp)는 크로스 멤버(110)에 대한 로워암(120)의 제2부시(122)가 체결될 뿐만 아니라 리어 차체의 장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공용 체결(공체)부 기능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위와 같이 구현된 G점 체결부(Gp)는 크로스 멤버와 로워암의 제2부시(122) 간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지점이 될 뿐만 아니라, 도 11에서 보듯이 리어 차체(12-1)가 볼트(12-2)에 의하여 장착되는 리어 마운팅부 기능이 통합된 지점이 된다.
이에,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G점 체결부(Gp)에서 크로스 멤버(110)와 로워암의 제2부시(122) 간의 체결(크로스 멤버(110)의 제2삽입공간(112)에 로워암(120)의 제2부시(122)가 삽입되어 서포트 부재(130)에 의하여 지지됨)이 이루어진 후,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G점 체결부(Gp)에서 리어 차체(12-1)의 장착을 위한 볼트(12-2)가 제2부시(122)에 체결되어 리어 차체(12-1)의 장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첨부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구성 중 제2부시를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의 일 실시예 및 그 조립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서포트 부재(13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 제1서포트 부재(131)와 제2서포트 부재(132)로 구성되어 상기 제2부시(122)의 삽입방향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삽입 후의 위치를 규제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제1서포트 부재(131)와 제2서포트 부재(132)는 상기 크로스 멤버(110)의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112) 내에서 제2부시(122)가 삽입되는 거리 만큼 서로 이격 배열되며 장착되어, 상기 제2부시(122)를 양쪽에서 밀착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서포트 부재(131)와 제2서포트 부재(132)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112)의 상판부(112-1)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제2부시(122)의 상부 둘레부를 지지하는 상부 고정판(133)과, 상기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112)의 하판부(112-2)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제2부시(122)의 하부 둘레부를 지지하는 하부 고정판(134)과,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상부 고정판(133)과 하부 고정판(134) 간에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판(135)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고정판(133)에는 상기 제2부시(122)의 상부 둘레부(부시 인너 파이프의 상부 표면)에 대한 밀착 지지 보장을 위하여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포밍된 위치 규제용 포밍부(13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고정판(133)이 상기 제2부시(122)의 상부를 이루는 금속 재질의 부시 인너 파이프의 상부 표면에 밀착 지지될 때, 미세 유격으로 인한 접촉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상기 제2부시(122)의 상부를 이루는 부시 인너 파이프의 상부 표면에는 도 6에서 보듯이 상부 고정판(133)과의 접촉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코팅층(123)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고정판(134)에는 상기 제2부시(122)의 하부 둘레부(부시 인너 파이프의 하부 표면)에 대한 밀착 지지 보장을 위하여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포밍된 위치 규제용 포밍부(136)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 고정판(134)이 상기 제2부시(122)의 하부를 이루는 금속 재질의 부시 인너 파이프의 하부 표면에 밀착 지지될 때의 접촉 소음을 방지하고자, 상기 제2부시(122)의 하부를 이루는 부시 인너 파이프의 하부 표면에도 도 6에서 보듯이 하부 고정판(134)과의 접촉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코팅층(123)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고정판(133)과 하부 고정판(134) 간을 일체로 연결하는 상기 연결판(135)에는 강성 보강을 위하여 오목하게 포밍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강성 보강용 포밍부(138)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서포트 부재(131,132)에 작용하는 상하방향 하중에도 제1 및 제2서포트 부재(131,132)가 변형없이 강건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첨부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로워암(120)을 크로스 멤버(110)에 체결하는 과정은 로워암(120)의 제2부시(122)를 크로스 멤버(110)의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112)에 먼저 삽입시키는 단계와, 로워암(120)의 제1부시(121)를 크로스 멤버(110)의 A점 체결부용 제1삽입공간(111)에 나중에 삽입시키는 단계 순으로 진행된다.
물론, 상기 A점 체결부용 제1삽입공간(111)에 삽입된 제1부시(121)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로워암(120)의 제1부시(121)와 크로스 멤버(110) 간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로워암(120)의 제2부시(122)를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112)에 먼저 삽입시킨 후, 로워암(120)의 제1부시(121)를 A점 체결부용 제1삽입공간(111)에 나중에 삽입시키는 이유는 상기 제1서포트 부재(131)와 제2서포트 부재(132)의 배열 각도가 제2부시(122)의 이탈 방지를 위한 위치 규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각도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1서포트 부재(131)와 제2서포트 부재(132)가 제2부시(122)의 이탈 방지를 위한 위치 규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첨부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점 체결부(Ap)의 중심과 G점 체결부(Gp)의 중심을 이은 가상선과 차량의 길이방향 가상선 간의 각도(예, 7.3도)에 비하여, 차량의 폭방향 가상선에 대한 상기 제1서포트 부재(131)와 제2서포트 부재(132)의 배열 각도(예, 10도)가 약 ±5°정도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점 체결부용 제1삽입공간(111)에 제1부시(121)가 삽입된 상태인 A점 체결부 중심과 상기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112)에 제2부시(122)가 삽입된 상태인 G점 체결부 중심을 이은 가상선과 차량의 길이방향 가상선 간의 각도(예, 7.3도)에 비하여, 차량의 폭방향 가상선에 대한 상기 제1서포트 부재(131)와 제2서포트 부재(132)가 서로 마주보며 배열되는 각도(예, 10도)가 더 크게 설정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로워암(120)의 제2부시(122)를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112)에 먼저 삽입시킨 후, 로워암(120)의 제1부시(121)를 A점 체결부용 제1삽입공간(111)에 나중에 삽입시켜 볼트 체결하여 상기 로워암(120)의 제1부시(121)와 크로스 멤버(110) 간의 체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2부시(122)는 상기 제1서포트 부재(131)와 제2서포트 부재(132)에 의하여 이탈 방지 가능하게 규제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첨부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워암(120)의 서스펜션 조인트부로 외력(주행 진동 및 제동 쏠림 등)이 입력되고, 이에 대한 반력이 G점 체결부 즉, 제2삽입공간(112)에 삽입된 제2부시(122)에 작용하더라도, 상기와 같이 제1서포트 부재(131)와 제2서포트 부재(132)가 상기 제2부시(122)의 이탈 방지를 위한 위치 규제 각도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제2부시(122)의 이탈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고, 결국 G점 체결부에 대한 위치 규제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현된 G점 체결부(Gp)는 크로스 멤버와 로워암의 제2부시(122) 간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지점이 될 뿐만 아니라, 도 11에서 보듯이 리어 차체(12-1)가 볼트(12-2)에 의하여 장착되는 리어 마운팅부 기능이 통합된 지점이 된다.
이에,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G점 체결부(Gp)에서 리어 차체(12-1)의 장착을 위한 볼트(12-2)가 제2부시(122)에 체결되어 리어 차체(12-1)의 장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서포트 부재(131)와 제2서포트 부재(132)는 중량 감소 등을 위하여 보다 단순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부재로서 도 13 내지 도 15에서 보듯이, 제1서포트 부재(131)는 상기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112)의 상판부(112-1)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제2부시(122)의 상부 둘레부를 지지하는 상부 고정판(133)으로 구성되고, 제2서포트 부재(132)는 상기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112)의 하판부(112-2)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제2부시(122)의 하부 둘레부를 지지하는 하부 고정판(1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고정판(133)에는 상기 제2부시(122)의 상부 둘레부(부시 인너 파이프의 상부 표면)에 대한 밀착 지지 보장을 위하여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포밍된 위치 규제용 포밍부(136)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고정판(134)에는 상기 제2부시(122)의 하부 둘레부(부시 인너 파이프의 하부 표면)에 대한 밀착 지지 보장을 위하여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포밍된 위치 규제용 포밍부(136)가 형성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서포트 부재(131)와 제2서포트 부재(132)는 상기한 일 실시예의 제1서포트 부재(131)와 제2서포트 부재(132)가 갖는 기능과 동일하므로, 그 작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프론트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크로스 멤버와 로워암이 상호 체결되는 G점 체결부에 기존에 리어 차체가 장착되는 크로스 멤버의 리어 마운팅부를 하나로 통합하여, G점 체결부에서 크로스 멤버에 대한 로워암 체결 및 리어 차체의 장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공용 체결(공체) 구조가 구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조립 부품수 및 공수 절감, 중량 저감 및 원가 절감 등을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제2부시(122)의 상부를 이루는 부시 인너 파이프의 상부 표면에 상부 고정판(133)과의 접촉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코팅층(123)을 형성하고, 또한 제2부시(122)의 하부를 이루는 부시 인너 파이프의 하부 표면에도 하부 고정판(134)과의 접촉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코팅층(123)을 형성함으로써, 소음을 줄일 수 있는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까지 개선시킬 수 있다.
10 : 크로스 멤버 11 : 프론트 마운팅부
11-1 : 프론트 차체의 체결수단 12 : 리어 마운팅부
12-1 : 리어 차체 12-2 : 볼트
20 : 로워암 100 :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110 : 크로스 멤버 111 : A점 체결부용 제1삽입공간
112 :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 112-1 : 상판부
112-2 : 하판부 120 : 로워암
121 : 제1부시 122 : 제2부시
123 : 고무 코팅층 130 : 서포트 부재
131 : 제1서포트 부재 132 : 제2서포트 부재
133 : 상부 고정판 134 : 하부 고정판
135 : 연결판 136 : 위치 규제용 포밍부
138 : 강성 보강용 포밍부 Gp : G점 체결부
Ap : A점 체결부

Claims (11)

  1. A점 체결부를 위한 제1부시 및 G점 체결부를 위한 제2부시가 장착된 로워암;
    상기 제1부시가 삽입되는 A점 체결부용 제1삽입공간 및 상기 제2부시가 삽입되는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이 형성된 크로스 멤버; 및
    상기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제2부시의 삽입방향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삽입 후의 위치를 규제하는 서포트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에 삽입된 제2부시에 리어 차체가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서포트 부재는 상기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에서 제2부시가 삽입되는 거리 만큼 서로 이격 배열되며 장착되어, 상기 제2부시를 밀착 지지하는 제1서포트 부재와 제2서포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서포트 부재와 제2서포트 부재는:
    상기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의 상판부에 고정되어 제2부시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고정판; 상기 G점 체결부용 제2삽입공간의 하판부에 고정되어 제2부시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고정판; 및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 간에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판; 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삽입공간에 제1부시가 삽입된 상태인 A점 체결부 중심과 상기 제2삽입공간에 제2부시가 삽입된 상태인 G점 체결부 중심을 이은 가상선과, 차량의 길이방향 가상선 간의 각도에 비하여, 차량의 폭방향 가상선에 대한 상기 제1서포트 부재와 제2서포트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배열 각도가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시는 지면과 수평으로 배열되는 수평부시로 채택되고, 상기 제2부시는 지면과 수직으로 배열되는 수직부시로 채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판에는 상기 제2부시의 상부에 대한 밀착 지지 보장을 위하여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포밍된 위치 규제용 포밍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부시의 상부를 이루는 부시 인너 파이프의 상부 표면에는 상부 고정판과의 접촉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코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판에는 상기 제2부시의 하부에 대한 밀착 지지 보장을 위하여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포밍된 위치 규제용 포밍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부시의 하부를 이루는 부시 인너 파이프의 하부 표면에는 하부 고정판과의 접촉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에는 강성 보강을 위하여 오목하게 포밍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강성 보강용 포밍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KR1020200010328A 2020-01-29 2020-01-29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KR102359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328A KR102359586B1 (ko) 2020-01-29 2020-01-29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CN202021343539.4U CN212556489U (zh) 2020-01-29 2020-07-09 车辆用前副车架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328A KR102359586B1 (ko) 2020-01-29 2020-01-29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822A KR20210096822A (ko) 2021-08-06
KR102359586B1 true KR102359586B1 (ko) 2022-02-07

Family

ID=74621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328A KR102359586B1 (ko) 2020-01-29 2020-01-29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9586B1 (ko)
CN (1) CN212556489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8458A (ja) * 2003-12-17 2005-07-07 Toyota Motor Corp 位置決め構造
JP2018165073A (ja) * 2017-03-28 2018-10-25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前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5966B1 (en) * 2000-06-30 2002-02-12 Scroll Technologies Scroll compressor with dampening bushing
KR101705148B1 (ko) * 2011-07-07 2017-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8458A (ja) * 2003-12-17 2005-07-07 Toyota Motor Corp 位置決め構造
JP2018165073A (ja) * 2017-03-28 2018-10-25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前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2556489U (zh) 2021-02-19
KR20210096822A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8743B2 (en) Front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US10336376B2 (en) Front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US7854473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EP1084939B1 (en) Suspension supporting member for vehicle
US20160375938A1 (en) Suspension member
US10005412B2 (en) Vehicle front portion structure
CN203126674U (zh) 用于车门的内部的安装后视镜的系统、和后视镜安装系统
KR20040100023A (ko)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 마운팅부 구조
JP6390603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2001191945A (ja) 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
KR102359586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모듈
JP4854698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ユニット及び液封入式防振装置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20200109709A (ko) Ctba 서스펜션의 쇽업소버 마운팅 장치
CN115071352A (zh) 减震器总成结构
JP4238389B2 (ja) サイドステップの支持構造
US11433950B2 (en) Front lower body structure of vehicle having improved stiffness
JP3675872B2 (ja) 防振ブッシュ用部品
CN220332788U (zh) 悬置安装支架、悬置总成及汽车
CN216102362U (zh) 复合支架和具有其的车辆
CN211441895U (zh) 一种插板式扭力梁衬套
CN221251462U (zh) 车身后轮罩内板结构及车辆
CN113352837B (zh) 扭力梁式悬架
US20230311993A1 (en) Subframe
JP7224087B2 (ja) 車両のバッテリ固定構造
KR100774639B1 (ko)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댐퍼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