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190B1 - 배기장치 및 타이어 몰드 - Google Patents

배기장치 및 타이어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190B1
KR102359190B1 KR1020217015143A KR20217015143A KR102359190B1 KR 102359190 B1 KR102359190 B1 KR 102359190B1 KR 1020217015143 A KR1020217015143 A KR 1020217015143A KR 20217015143 A KR20217015143 A KR 20217015143A KR 102359190 B1 KR102359190 B1 KR 102359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sing cover
exhaust
groove
exhaus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0469A (ko
Inventor
웨이 장
완리 왕
핑 두
르원 쑨
젠 리
리신 펑
이자오 짱
Original Assignee
히미레 미케니컬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산동)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미레 미케니컬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산동)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히미레 미케니컬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산동)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80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7Venting devices, e.g. vent plugs or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장치 및 타이어 몰드를 제공하는 것으로, 타이어 가황 가공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는 코어 샤프트와 코어 샤프트에 씌워져 설치되는 케이싱 커버를 포함하고, 케이싱 커버와 코어 샤프트 사이에는 배기통로가 형성되며; 코어 샤프트는 샤프트 본체를 포함하고, 샤프트 본체의 일단은 샤프트 헤드에 연결되고, 샤프트 본체의 타단은 샤프트 끝단부재에 연결되며, 샤프트 끝단부재에는 관통홈이 설치되고, 관통홈은 샤프트 끝단부재를 관통하며, 관통홈의 샤프트 헤드를 등지는 일단은 폐쇄되며; 샤프트 끝단부재는 샤프트 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위치제한을 하며, 샤프트 끝단부재는 또한 수축 및 탄성회복을 통해 케이싱 커버와 코어 샤프트를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는 종래기술의 코어 샤프트의 닫힘 작동거리의 정확도가 낮고, 코어 샤프트의 견고도가 저하되고, 쉽게 끊어진다는 기술적문제를 완화시킬 수 잇으며, 배기통로의 막힘과 식출고무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장치 및 타이어 몰드
본 발명은 타이어 가류 공정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기장치 및 타이어 몰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타이어의 생산과정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유동체 또는 반유동체 상태의 고무재료를 타이어 몰드에 주입시키면, 고무재료가 타이어 몰드에서 일련의 공정을 거치면서 생타이어 성형을 실현한다. 생타이어가 성형된 후, 타이어의 생타이어에 대하여 가황처리를 진행하여야 하는데, 가황처리 과정에서는 타이어 몰드의 내부챔버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시켜야 한다.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타이어 몰드 상에 배기홀을 설치하여, 타이어 몰드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배기홀을 통해 직접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에는 일부 문제들이 존재하는데, 그중 하나의 문제가 바로 공기를 타이어 몰드로부터 빼내는 과정에서, 타이어를 형성하는 유동체 또는 반유동체 상태의 고무재료도 상기 배기홀을 통해 일부가 압출되어 밀려 나오게 된다는 것인데, 일부 스노우 타이어 몰드에는 배기홀이 5000개 이상 심지어 10000개 정도로 많다. 이와 같이 압출되어 밀려나온 고무재료는 타이어 상에서 식출고무를 형성하게 되는데, 타이어 최종 완제품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정을 추가하여 타이어 상에 형성된 식출고무를 제거해야 한다. 이는 타이어 제조공정을 복잡하게 만든다.
타이어 제품에 식출고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이어 몰드용 배기장치가 개발되었다. 특허출원번호 CN 200920283550.3의 문헌을 예로 들면, 도 18을 참조하면, 해당 배기장치는 케이싱 본체(1`), 샤프트(2`) 및 스프링(3`)을 포함하는 것으로, 샤프트(2`)의 끝단에는 홈입구(22`)가 개설되어 두 개의 리미트부(21`)를 형성하고, 홈입구(22`)의 개구는 변화함으로써 두 개의 리미트부(21`)가 종방향으로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2`)를 케이싱 본체(1`) 내에 장착하거나 또는 케이싱 본체(1`)로부터 탈거한다. 스프링(3`)과 샤프트(2`)는 케이싱 본체(1`)의 내부챔버에 수용되며, 스프링(3`)은 샤프트(2`)에 작용력을 인가하여 코어캡(23`)과 케이싱 본체(1`)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타이어 몰드 내의 공기가 틈새를 통해 배출되록 한다. 타이어 몰드의 공기가 완전히 배출되면, 고무재료가 코어캡(23`)을 누르게 되면서, 스프링(3`)의 작용력을 극복하여 코어캡(23`)과 케이싱 본체(1`) 사이의 틈새가 폐합되도록 함으로써, 고무재료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구조의 배기장치에는 일부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첫 번째 문제점은, 샤프트(2`)에 대한 열처리 진행시, 샤트트(2`)에 대한 탈거 진행시 등등의 경우에 리미트부(21`)가 쉽게 변형되어, 코어캡(23`)의 닫힘 작동거리의 정확도를 저하시키고 샤프트(2`)가 쉽게 편심되어, 고무재료가 케이싱 본체(1`) 내부로 쉽게 흘러들게 되도록 하여 배기홀의 막힘을 초래하고, 나아가 타이어 가황 품질에 영향을 끼치게 되어 코어캡(23`)의 담힘 작동거리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더욱 가중시키게 되고, 또한 스프링(3`)의 탄성력 작용 하에 코어캡(23`)의 닫힘 작동거리가 점차 커지게 된다는 것이다. 두 번째 문제점은, 샤프트(2`)의 견고도가 저하되고, 쉽게 이탈된다는 것이다. 세 번째 문제점은, 리미트부(21`)의 강도가 저하되어, 샤프트(2`) 탈거 시에 리미트부(21`) 뿌리부에 균열과 끊어짐이 쉽게 발생한다는 것이다.
상기한 바를 종합하면, 타이어 몰드 분야에서, 종래기술 배기장치에 존재하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배기장치를 한층 더 개선해야 할 수요가 있다.
본 발명의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기장치 및 타이어 몰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 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는 코어 샤프트 및 코어 샤프트에 씌워져 설치되는 케이싱 커버를 포함하고, 케이싱 커버와 코어 샤프트 사이에는 배기통로가 설치되고, 케이싱 커버에는 기체유입단 및 배기단이 구비되며; 코어 샤프트는 샤프트 본체를 포함하고, 샤프트 본체의 일단은 샤프트 헤드에 연결되고, 샤프트 본체의 타단은 샤프트 끝단부재에 연결되며, 샤프트 끝단부재에는 관통홈이 설치되고, 관통홈은 샤프트 끝단부재를 관통하되, 관통홈의 샤프트 헤드를 등지는 일단은 폐쇄되며; 샤프트 끝단부재는 코어 샤프트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위치한정하며, 샤프트 끝단부재는 또한 수축 및 탄성회복을 통해 케이싱 커버 및 코어 샤프트를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샤프트 끝단부재는 제1 축단부 및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제1 축단부는 샤프트 본체 및 제1 가이드부 사이에 연결되며, 관통홈은 제1 축단부 및 제1 가이드부를 관통하며; 제1 축단부를 연결하는 일단에서 제1 축단부를 등지는 일단까지의 제1 가이드부의 종방향 사이즈는 점차 감소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부의 외벽면은 원추면이고, 제1 가이드부의 원뿔각(α)범위는 20도 ~ 90도이다.
구체적으로, 코어 샤프트가 기체유입단에서 케이싱 커버로 삽입되고, 제1 가이드부의 외벽면이 케이싱 커버에 맞닿는 경우, 관통홈의 샤프트 헤드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일단에서 맞닿는 점까지의 축방향 거리(L1)는 관통홈의 축방향 길이값(L)의 10% ~ 60%이다.
구체적으로, 관통홈의 샤프트 헤드에 근접하는 일단은 샤프트 본체로 신장되고, 샤프트 끝단부재는 수축 및 탄성회복을 통해 코어 샤프트를 케이싱 커버로부터 탈거시키는데 사용되며, 관통홈은 배기통로 및 배기장치 외부를 연통시킨다.
구체적으로, 샤프트 끝단부재는 제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제2 가이드부는 샤프트 본체와 제1 축단부사이에 연결되며, 샤프트 본체에 연결되는 일단에서 샤프트 본체를 등지는 일단까지의 제2 가이드부의 종방향 사이즈는 점차 증가된다.
구체적으로, 제2 가이드부의 외벽면은 원추면이고, 제2 가이드부의 원뿔각(β) 범위는 30도 ~ 110도이다.
구체적으로, 배기장치가 장착완료된 상태인 경우, 제2 가이드부는 케이싱 커버에 맞닿고, 관통홈의 샤프트 헤드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일단에서 맞닿는 점까지의 축방향 거리(L2)는 관통홈의 축방향 길이값(L)의 25% ~ 75%이다.
구체적으로, 케이싱 커버의 배기단에는 가이드면이 설치되고; 가이드면은 케이싱 커버의 배기단에 바깥에서 안쪽으로의 종방향 사이즈가 점차 줄어드는 개구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면은 원추면이고, 가이드면의 원뿔각(θ)범위는 30도 ~ 110도이다.
구체적으로, 배기장치가 장착완료된 상태인 경우, 제1 축단부의 샤프트 헤드를 향하는 일단은 가이드면에 맞닿고, 관통홈의 샤프트 헤드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일단에서 맞닿는 점까지의 축방향 거리(L2)는 관통홈의 축방향 길이값(L)의 25% ~ 75%이다. 구체적으로, 확장상태 하에서 제1 축단부의 직경과 케이싱 커버의 배기단의 내경의 차이값은 a이고, 관통홈의 폭(W)범위는 3a ~ 10a이다.
구체적으로, 확장상태 하에서 제1 축단부의 직경과 케이싱 커버의 배기단의 내경의 차이값은 0.04 mm ~ 0.1 mm이다.
구체적으로, 관통홈의 축방향 길이값(L)과 관통홈의 폭(W)의 비율범위는 5 ~ 20이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부의 샤프트 헤드를 등지는 일단에는 연장부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샤프트 끝단부재의 외벽면은 원호면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싱 커버와 샤프트 본체 사이에는 탄성소자가 설치되고; 코어 샤프트는 축방향으로 제1 위치 및 제2 위치가 구비되며; 제1 위치에서, 샤프트 헤드와 케이싱 커버사이에는 기체유입틈새가 형성되고, 기체유입틈새는 배기통로 및 배기장치외부를 연통하며, 샤프트 끝단부재는 케이싱 커버에 맞닿으며; 제2 위치에서, 샤프트 헤드는 케이싱 커버에 맞닿으며; 탄성소자는 코어 샤프트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향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추세를 갖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샤프트 끝단부재는 또한, 코어 샤프트에 대하여 샤프트 헤드에서 샤프트 끝단부재로 향하는 힘을 인가하는데 사용함으로써, 샤프트 헤드가 케이싱 커버에 맞닿도록 하고; 샤프트 헤드와 케이싱 커버사이에는 기체유입틈새 또는 기체유입구가 존재하며, 기체유입틈새 또는 기체유입구는 배기통로 및 배기장치외부를 연통시킨다.
두 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타이어 몰드는 첫 번째 측면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를 포함하며, 타이어 몰드에는 배기홀이 설치되고, 배기장치는 배기홀 내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배기장치는 코어 샤프트와 코어 샤프트에 씌워져 설치되는 케이싱 커버를 포함하고, 케이싱 커버와 코어 샤프트 사이에는 배기통로가 형성되고, 케이싱 커버에는 기체유입단 및 배기단이 구비되며, 코어 샤프트는 샤프트 본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샤프트 본체의 일단은 샤프트 헤드에 연결되고, 샤프트 본체의 타단은 샤프트 끝단부재에 연결되며, 샤프트 끝단부재에는 관통홈이 설치되고, 관통홈은 샤프트 끝단부재를 관통하되 관통홈의 샤프트 헤드를 등진 일단은 폐쇄되게 구성되며; 샤프트 끝단부재는 코어 샤프트를 축방향으로 제한하며, 샤프트 끝단부재는 또한 수축 및 탄성회복을 통해 케이싱 커버와 코어 샤프트를 조립장착하고, 배기통로를 통해 배기하며, 샤프트 헤드를 통해 고무재료가 배기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기통로의 막힘과 식출고무의 형성을 방지하며; 샤프트 끝단부재의 수축 및 탄성회복을 통해서 코어 샤프트를 케이싱 커버에 삽입 설치하고, 나아가 코어 샤프트의 장착 편리성, 샤프트 헤드의 닫힘 작동거리의 높은 정확도, 코어 샤프트의 탁월한 견고도를 실현할 수 있으며, 코어 샤프트가 쉽게 편심되지 않고, 샤프트 끝단부재가 쉽게 파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로 하고 도면을 결합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방식 또는 관련 기술의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고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구체적인 실시방식 또는 관련 기술을 묘사함에 있어서 필요한 도면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자명한 것은, 이하 묘사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방식인 것으로, 본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창조적인 노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제 하에서 이와 같은 도면들에 근거하여 기타의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의 코어 샤프트가 제1 위치에 위치 시의 구조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의 코어 샤프트가 제2 위치에 위치 시의 구조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 코어 샤프트의 구조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A위치의 확대설명도 1이다.
도 5는 도 1의 A위치의 확대설명도 2이다.
도 6은 도 1의 B위치의 확대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 조립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 코어 샤프트 해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4의 X-X 부분의 투시도 1이다.
도 10은 도 4의 X-X 부분의 투시도 2이다.
도 11은 도 4의 X-X 부분의 투시도 3이다.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 2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의 구조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C위치의 확대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 3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의 구조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D위치의 확대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 4에서 제공하는 타이어 몰드의 구조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E위치의 확대설명도이다.
도 18은 종래기술의 배기장치에 대한 구조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분명하고 완정하게 묘사하고자 한다. 자명한 것은 여기에서 묘사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분 실시예인 것으로, 전부의 실시예는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분야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인 노동 없이 얻은 모든 기타의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대한 묘사에서 설명해야 할 것은, 용어 “중심”, “상”, “하”, “좌”, “우”, “내”, “외”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서 도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초하는 것으로, 단지 본 발명을 설명의 편의와 설명 간략화를 위한 것이므로, 그 가리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한 방위, 특정한 방위구조 및 조작이 구비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는 암시하는 것은 아니므로, 따라서 이를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이 외, 용어 “제1”, “제2”는 단지 묘사의 목적을 위한 것이므로, 상대적 중요성을 의미하거나 또는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에 대한 묘사에서 설명해야 할 것은, 별도의 명확한 규정과 한정이 없는 한, 용어 "장착”, “상호 연결”, “연결"은 광의의 의미로 이해하여야 하는 것으로, 예컨대, 고정연결일 수도 있고 또한 탈착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형 연결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 있으며; 직접적 상호 연결일 수도 있고, 중간 매개를 통한 간접연결일 수도 있으며, 두 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일 수도 있다. 본 분야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구체적 상황에 따라 상기 용어의 본 발명에서의 구체적 함의를 알 수 있다.
<실시예 1>
도 1, 도 2,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는 코어 샤프트(200) 및 코어 샤프트(200)에 씌워져 설치되는 케이싱 커버(100)를 포함하고, 케이싱 커버(100)와 커어 샤프트(200) 사이에는 배기통로(101)가 형성되고, 케이싱 커버(100)는 기체유입단(103) 및 배기단(104)이 구비되며; 코어 샤프트(200)는 샤프트 본체(210)를 포함하고, 샤프트 본체(210)의 일단은 샤프트 헤드(230)에 연결되고 샤프트 본체(210)의 타단은 샤프트 끝단부재(250)에 연결되며, 샤프트 끝단부재(250)에는 관통홈(220)이 설치되고, 관통홈(220)은 샤프트 끝단부재(250)를 관통하되, 관통홈(220)의 샤프트 헤드(230)로부터 등진 일단은 폐쇄되게 마련되며,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코어 샤프트(200)를 축방향으로 위치제한하며,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또한 수축 및 탄성회복을 통해 케이싱 하우징(100)과 코어 샤프트(200)를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에서, 샤프트 본체(210), 샤프트 헤드(230) 및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일체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어셈블리 수량을 줄이고, 배기장치의 고장률을 줄일 수 있다. 관통홈(220)은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관통홈(220)의 샤프트 헤드(230)를 등진 일단은 폐쇄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즉, 관통홈(220)은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샤프트 본체(210)를 등진 일단까지 관통하지는 않는다. 관통홈(220)의 샤프트 헤드(230)를등진 일단은 폐쇄되게 구성되어,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기계적 가공, 열처리 등 공정에서의 응력(변형력) 방출 등 원인으로 인해 소성변형되는 것을 줄여서, 코어 샤프트(200)의 닫힘 작동거리(H)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정확성은 높인다. 또한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종방향 압력작용을 받아서 수축되는 경우,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축방향으로의 관통홈(220)의 양단은 모두 지지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종방향 압력을 수차례 받은 후 발생되는 피로 파괴 또는 소성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탄성역할 하에서 탄성회복되어 케이싱 커버(100)의 배기단(104)에 맞닿는 것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강성(剛性)이 좋기 때문에 코어 샤프트(200)에 대한 안정적인 위치제한을 실행할 수 있고, 코어 샤프트(200)의 닫힘 작동거리(H)는 안정적이고 정확도는 높이고, 코어 샤프트(200)가 쉽게 편심되지 않으며, 관통홈(220) 부분이 가압 받은 후에도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끊어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수축되는 경우, 탄성력을 통해 관통홈(220)의 개구가 증가되는 추세를 갖는 것을 지탱함으로써, 나아가 코어 샤프트(200)를 장착 완료 후에 샤프트 본체(210)가 샤프트 끝단부재(250) 내에서의 축방향 동작 작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샤프트 헤드(230)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변형으로 구성하고, 케이싱 커버(100)의 기체유입단(103)에는 샤프트 헤드(230)와 맞먹는 개구가 설치되며, 샤프트 헤드(230)와 케이싱 커버(100) 사이에는 배기통로(101)를 연통하는 기체유입틈새(102)를 형성할 수 있다. 타이어를 가황 시에, 몰드 내부챔버의 기체는 샤프트 헤드(230)와 케이싱 커버(100) 사이의 기체유입틈새(102)를 통해 배기통로(101)로 유입되어, 나아가 몰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으로, 샤프트 헤드(230)가 케이싱 커버(100)에 맞닿은 후, 기체유입틈새(102)는 닫히게 되면서 고무재료가 배기통로(101)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샤프트 헤드(230)의 일단은 샤프트 본체(210)에 연결되며, 샤프트 본체(210)에 연결된 일단에서 샤프트 본체(210)를 등진 일단까지의 샤프트 헤드(230)의 종방향 사이즈는 점차 증가되며, 샤프트 헤드(230)의 외벽면은 원추면인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며, 케이싱 커버(100)의 기체유입단(103)에는 샤프트 헤드(230)와 부합되는 원추홀이 개설된다.
케이싱 커버(100)와 샤프트 본체(210) 사이에는 탄성소자(300)가 설치되고, 코어 샤프트(200)는 축방향으로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구비하며; 탄성소자(300)가 코어 샤프트(200)에 편중력을 인가하여, 코어 샤프트(20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추이를 갖도로 하고, 코어 샤프트(20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의 축방향 거리는 코어 샤프트(200)의 닫힘 작동거리(H)이고; 제1 위치에서 샤프트 헤드(230)와 케이싱 커버(100)가 분리되어, 샤프트 헤드(230)와 케이싱 커버(100)사이에 기체유입틈새(102)가 형성되고, 기체유입틈새(102)는 배기통로(101) 및 배기장치 외부를 연통시키며,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케이싱 커버(100)의 배기단(104)에 맞닿아 코어 샤프트(200)가 평중력의 작용 하에 계속하여 이동하느 것을 저지하며; 제2 위치에서 샤프트 헤드(230)가 케이싱 커버(100)의 기체유입단(103)에 맞닿아 배기통로(101)의 일단이 닫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소자(300)는 스프링일 수 있는 것으로, 스프링은 이하 방식을 통해 코어 샤프트(200) 상에 설치되어 코어 샤프트(200)에 편중력을 생성시킨다. 케이싱 커버(100) 내부챔버에 내부챔버 단차부(112)를 형성하고, 스프링은 샤프트 본체(210) 상에 씌워져 설치될 수 있으며, 스프링의 일단은 내부챔버 단차부(112)에 맞닿고, 스프링의 타단은 샤프트 헤드(230)에 맞닿거나 또는 코어 샤프트(200)의 적정한 위치에 형성되는 샤프트 턱(260)에 맞닿을 수 있다. 샤프트 헤드(230)와 샤프트 본체(210) 사이에는 제2 축단부(240)가 연결되고, 제2 축단부(240)의 직경은 샤프트 본체(210)의 직경보다 크고, 코어 샤프트(200) 상에는 샤프트 축(260)이 설치되어, 제2 축단부(240)는 코어 샤프트(200)의 안정성 및 코어 샤프트(200)와 케이싱 커버(100)와의 동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케이싱 커버(100)의 배기단(104)에는 리미트 볼록링(110)이 설치되어 케이싱 커버(100) 내부챔버가 계단형으로 되도록 하여, 케이싱 커버(100) 내부챔버 상에 내부챔버 단차부(112)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싱 커버(100)의 배기단(104)의 내경(內徑)은 바로 리미트 볼록링(110)의 내경인 것으로, 리미트 볼록링(110)의 내경은 샤프트 본체(210)의 직경보다 크되, 확장 상태 하의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직경보다는 작으며, 리미트 볼록링(110)과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협동하면서 코어 샤프트(200)에 대한 축방향 위치제한을 실행한다.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외력 작용 하에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종방향 사이즈가 작아지도록 하고;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수축 상태인 경우,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종방향 사이즈는 작아지면서, 코어 샤프트(200)가 케이싱 커버(100)의 내부챔버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고,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케이싱 커버(100)의 내부챔버를 관통한 후 그 변형량은 소실되어 확장상태(또는 자연상태라고도 함)에 처하게 되며, 확장상태의 샤프트 끝단부재(250)를 통해 코어 샤프트(200)에 대한 축방향 위치제한을 실행함으로써, 코어 샤프트(200)의 조립장착을 실현한다.
도 1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장치를 조립 장착 완료한 상태 하에서,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리미트 볼록링(110)으로부 인출되어 리미트 볼록링(110)의 일측과 맞닿는다.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제1 축단부(251) 및 제1 가이드부(252)를 포함하고; 제1 축단부(251)는 샤프트 본체(210)와 제1 가이드부(252) 사이에 연결되고, 관통홈(220)은 제1 축단부(251)와 제1 가이드부(252)를 관통하며; 제1 축단부(251)에 연결되는 일단에서 제1 축단부(251)를 등지는 일단으로의 제1 가이드부(252)의 종방향 사이즈는 점차 줄어든다. 코어 샤프트(200)가 케이싱 커버(100)의 내부챔버로 삽입될 때, 제1 가이드부(252)의 외벽면은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고; 코어 샤프트(200)가 케이싱 커버(100)로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제1 가이드부(252)는 리미트 볼록링(110)과 맞닿게 되고, 케이싱 커버(100)는 샤프트 끝단부재(250)에 대하여 종방향 압력을 인가하여, 샤프트 끝단부재(250)에 탄성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종방향 사이즈는 줄어들게 됨으로써,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케이싱 커버(100)의 내부챔버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샤프트 본체(210)가 보다 쉽게 장착되도록 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가이드부(252)의 외벽면은 원추면, 사면, 원호면 등일 수 있으며, 원추면이 바람직하며, 제1 가이드부(252)의 원뿔각(α) 범위는 20도 ~ 90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도 ~ 45이며; 여기에서, 제1 가이드부(252)의 모선과 코어 샤프트(200)의 축선의 각을 10도, 15도, 20도로 구성할 수 있고, 샤프트 본체(210)가 케이싱 커버(100)의 내부챔버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 가이드부(252)의 측벽은 리미트 볼록링(110)에 맞닿으며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고; 제1 가이드부(252)가 종방향 가압력을 받는 경우, 관통홈(220)의 개구는 줄어들고,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가압을 받는 방향으로 수축하게 되어, 나아가 코어 샤프트(200)가 케이싱 커버(100)에 편리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코어 샤프트(200) 장착 시의 저항력이 작아지도록 한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타 실시예에서, 샤프트 끝단부재(250) 역시 대체로 구형체 또는 타원형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샤프트 끝단부재(250) 외벽면은 원호면을 포함하고, 관통홈(220)이 샤프트 끝단부재(250)를 관통함으로써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수축 및 탄성회복되도록 한다.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어 샤프트(200)가 케이싱 커버(100)에 삽입되고, 제1 가이드부(252)의 외벽면이 케이싱 커버(100)의 리미티 볼록링(110)에 맞닿을 때, 관통홈(220)의 샤프트 헤드(230)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과 맞물리는 점의 축방향 거리(L1)는 관통홈(220) 축방향 길이값(L)의 10% ~ 60%이다. 바람직하게는, 관통홈(220)의 샤프트 헤드(230)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과 맞닿는 점의 축방향 거리(L1)는 관통홈(220) 축방향 길이값(L)의 20%, 35%, 40%, 45%일 수 있으며,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종방향 수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내부응력을 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연장부(254)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연장부(254)는 제1 가이드부(252)에 연결되어,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종방향 압력 작용 하에 수축되는 경우, 연장부(254)가 지탱 역할을 하게 되어,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강도(强度), 강도(剛度)를 증가하고, 코어 샤프트(200)의 견고도를 보장할 수 있으며, 커어 샤프트(200)의 닫힘 작동거리(H)의 안정성과 높은 정확도를 실현하며,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종방향 압력을 수차례 받은 후 발생되는 탄성피로 또는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연장부(254)의 설치는 또한 펀치 막대를 이용하여 코어 샤프트(200)가 펀칭되도록 함에 편의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장치가 장착완료 상태에 처한 경우, 연장부(254)의 끝단에서 케이싱 커버(100)의 배기단(104)까지의 거리(E1)는 제1 축단부(251)의 샤프트 헤드(230)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에서 리미트 볼록링(110) 내측의 거리(E2)보다 큰 것으로, 이로써 코어 샤프트(200)의 해체를 용이하게 한다. 연장부(254)는 원기둥체일 수 있다. 일부 실시방식에서는 제1 가이드부(252)의 축방향 길이값을 적절하게 연장시킴으로서,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종방향 압력작용 하에 수축될 때, 제1 가이드부(252)의 일단이 지탱 역할을 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샤프트 헤드(230)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과 관통홈(220)의 샤프트 헤드(230)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까지의 축방향 길이값은 관통홈(220) 폭의 2배이상인 것으로, 이로써 그 지탱역할을 보다 잘 하게 된다.
도 1,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홈(220)의 개구의 형상은 직사각형일 수도 있고, 양단이 라운드형인 긴막대형일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양단이 라운드형인 긴막대형인 것으로,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수축 시에 발생하는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관통홈(220)의 가공방식은 기계적 가공 또는 레이저 가공일 수 있다. 일부 실시방식에서, 관통홈(220)의 샤프트 헤드(230)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연장부(254) 상에 연장됨으로써, 관통홈(220)의 연장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을 통해,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종방향으로 압출될 때의 관통홈(220) 측벽이 받는 만곡 응력을 줄인다.
바람직하게는, 코어 샤프트(200)의 축방향 관통홈(220)의 축방향 길이값(L) 관통홈(220)의 폭값(W)의 비율범위는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5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20이다. 여기에서, 관통홈(220)의 길이값(L)과 관통홈(220)의 폭값(W)의 비율은 6, 8, 10, 12, 14, 16, 18을 취할 수 있으며, 관통홈(220)의 길이와 폭의 비율값을 확대시킴으로써 관통홈(220)의 폭이 수축되면서 발생하는 만곡 응력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관통홈(220)의 수축으로 인해 초래되는 코어 샤프트(200)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통홈(220)의 깊이방향은 코어 샤프트(200)의 종방향이고, 관통홈(220)의 길이방향은 코어 샤프트(200)의 축방향인 것으로, 이로써 관통홈(220)의 가공에 편의를 제공하고,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종방향으로 가압될 때의 변형을 균형하게 하여,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통홈(220)의 샤프트 헤드(230)에 근접하는 일단은 샤프트 본체(210)에서 신장(伸長)될 수 있고,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또한 수축 및 탄성회복을 통해 코어 샤프트(200)를 케이싱 커버(100)로부터 탈거시키는데 사용되며, 관통홈(220)은 배기통로(101) 및 배기장치 외부를 연통시킨다. 배기 시에, 배기통로(101) 안의 기체는 관통홈(22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설비 유지보수하는 경우, 예컨대 타이어 몰드인 경우, 코어 샤프트(200)를 케이싱 커버(100)의 내부챔버로부터 탈거할 수 있는 것으로, 이로서 코어 샤프트(200) 및 케이싱 커버(100) 내벽을 청소할 수 있고, 청소 완료 후에 다시 코어 샤프트(200)를 케이싱 커버(100)에 장착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배기장치 전체를 해체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타이어 몰드의 에어홀이 손상되고, 에어홀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및 케이싱 커버(100)의 손상으로 인해 배기장치를 재다시 설치해야 한다는 문제를 방지하게 되며, 배기장치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마모된 커어 샤프트(200)를 교체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몰드 손상을 줄이는데 유리하고, 몰드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부분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케이싱 커버(100) 상에 공기방출홀을 개설하여 공기를 방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공기방출홀을 케이싱 커버(100)의 외벽 상에 관통 설치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축단부(251)와 샤프트 본체(210) 사이에는 제2 가이드부(253)가 연결 가능하며, 제1 축단부(251)가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샤프트 본체(210)가 연결된 일단까지 제2 가이드부(253)의 종방향 사이즈는 점차 줄어든다. 샤프트 본체(210)가 케이싱 커버(100)의 내부챔버에 장착되는 경우, 제2 가이드부(253)는 케이싱 커버(100)의 배기단(104) 부분의 리미트 볼록링(110)에 맞닿게 됨으로써, 샤프트 본체(210), 샤프트 끝단부재(250) 및 케이싱 커버(100)가 동축으로 구성되게 하여, 커어 샤프트(200)가 쉽게 편심되지 않도록 한다. 코어 샤프트(200)를 탈거 시에는, 제2 가이드부(253)와 케이싱 커버(100) 배기단(104) 부분의 리미티 볼록링(110)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가이드 작용을 하게 되면서 탈거 저항력을 비교적 작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가이드부(253)의 외벽면은 원추면, 사면, 원호면 등인 것이며, 원추면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2 가이드부(253)의 원뿔각(β) 범위는 30도 ~ 110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도 ~ 100도인 것으로, 예컨대 80도, 90도, 100도인 것으로, 이로써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코어 샤프트(200)에 대한 위치한정을 보다 잘 실행하도록 하여, 코어 샤프트(200)의 견고성과 안전성을 높이며, 코어 샤프트(200)를 비교적 용이하게 탈거한다.
리미트 볼록링(110)의 내경값(Φ1)은 샤프트 본체(210)의 직경보다 큰 것으로, 리미트 볼록링(110)의 내경값(Φ1)은 확장상태 하의 제1 축단부(251)의 직경값(Φ2)보다 작다. 여기에서, 리미트 볼록링(110)과 케이싱 커버(1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리미트 볼록링(110)은 케이싱 커버(100)의 축선방향에 근접하여 연장된다. 코어 샤프트(200)가 케이싱 커버(100)에 삽입될 때, 샤프트 끝단부재(250) 제1 가이드부(252) 외벽면은 리미트 볼록링(110)에 맞닿으면서 샤프트 헤드(230)의 일측에 근접하여, 샤프트 본체(210)가 케이싱 커버(100)에 삽입된 후에는 샤프트 끝단부재(250) 제2 가이드부(253)는 리미트 볼록링(110)의 샤프트 헤드(230)를 등지는 일측에 맞닿게 되고; 배기 시에, 배기통로(101) 내의 기체가 샤프트 본체(210)와 리미트 볼록링(110) 사이의 틈새를 경유하여, 다시 관통홈(220)을 거쳐 배출된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장상태 하에서 제1 축단부(251)의 직경값(Φ2)과 리미트 볼록링(110)의 내경값(Φ1)의 차이값은 a이고, 관통홈(220)의 폭(W) 범위는 3a이상인 것으로,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3a ~ 10a이다.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종방향 압력 작용을 받아 종방향 사이즈가 a 축소되면서,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리미트 볼록링(110)을 관통하도록 할 수 있어, 나아가 코어 샤프트(200)의 탈거를 실현할 수 있다. 관통홈(220)의 폭을 축소시켜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종방향 축소를 실현하고, 관통홈(220)의 폭사이즈값(W) 범위는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3a ~ 10a인 것으로, 예컨대 관통홈(220)의 폭사이즈값(W)은 4a, 5a, 6a, 7a, 8a 또는 9a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관통홈(220)의 폭사이즈는 충분한 수축여분을 구비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장상태 하의 제1 축단부(251)의 직경값(Φ2)과 리미트 볼록링(110)의 내경값(Φ1)의 차이값 a범위는 0.04 mm ~ 0.1 mm인 것으로,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0.06 mm ~ 0.08 mm이다. 예컨대, 확장상태 하의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직경값(Φ2)과 리미트 볼록링(110)의 내경값(Φ1)의 차이값을 0.06 mm, 0.07 mm, 0.08 mm로 구성할 수 있다.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확장상태 하에서 코어 샤프트(200)가 케이싱 커버(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코어 샤프트(200)는 견고도가 좋고, 코어 샤프트(200)의 닫힘 작동거리(H)는 안정적이며,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종방향 수축상태 하에서 리미트 볼록링(110)을 관통 가능함으로써 샤프트 본체(210)의 해체를 실현하고, 코어 샤프트(200)를 비교적 편리하게 해체한다. 여기에서, 제1 축단부(251)의 높이는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2 mm미만이고, 코어 샤프트(200)를 해체 시에 제1 축단부(251)와 리미트 볼록링(110)의 내벽 접촉면적은 더욱 작고, 접촉시간은 더욱 짧으며, 코어 샤프트(200)를 편리하게 해체한다.
도 1, 도 8을 참조하면, 배기장치가 조립완료된 상태인 경우, 제2 가이드부(253)가 케이싱 커버(100) 리미트 볼록링(110)에 맞닿고, 관통홈(220)의 샤프트 헤드(230)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과 맞닿는 점의 축방향 거리(L2)는 관통홈(220) 축방향 길이값(L)의 25% ~ 75%인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30% ~ 45%, 55% ~ 70%이며, 맞닿는 점은 관통홈(220) 축방향 중의 점의 일측에 위치하여,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코어 샤프트(200)에 보다 안정적인 위치제한 역할을 하게 되며, 코어 샤프트(200)의 안정도 및 견고도가 비교적 좋고, 코어 샤프트(200)의 닫힘 작동거리(H)가 안정적이며 또한 코어 샤프트(200)가 쉽게 탈락되지 않고, 코어 샤프트(200)도 역시 비교적 쉽게 외력의 작용 하에 케이싱 커버(10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예컨대, 배기장치가 조립완료된 상태인 경우, 제2 가이드부(253)는 케이싱 커버(100) 리미트 볼록링(110)에 맞닿고, 관통홈(220)의 샤프트 헤드(230)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과 맞닿는 점의 축방향 거리(L2)는 관통홈(220)의 축방향 길이값(L)의 30%, 35%, 40%, 55%, 60%, 65%를 차지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말하는 “관통홈(220)이 샤프트 끝단부재(250)를 관통하는 것”은 관통홈(220)이 단일 직선방향을 딸 샤프트 끝단부재(250)를 관통한다는 협의의 의미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관통홈(220)에 예컨대 2개, 3개, 4개 등의 다수개의 개구가 구비되고, 다수개의 개구가 샤프트 끝단부재(250)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분포된다는 광의의 의미를 말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관통홈(220)이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종방향을 따라 관통됨으로써,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종방향 압력을 받을 때, 관통홈(220)의 폭사이즈값은 축소되고,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종방향 사이즈는 수축되며, 관통홈(220)의 양측의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변형량은 균등하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홈(220)은 직접 코어 샤프트(200)의 종방향을 따라 샤프트 끝단부재(250)를 관통할 수 있다. 관통홈(220)은 다수개의 서브홈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3개, 4개의 서브홈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개의 서브홈은 원주방향으로 균등하게 분포되며, 다수개의 서브홈의 깊이는 코어 샤프트(200)의 반경이며 코어 샤프트(200) 내부에서 상호 연통된다.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장치를 조립장착하는 과정은 다음을 포함한다. 우선 스프링을 샤프트 본체(210)에 씌워서 설치하고; 그다음 코어 샤프트(200)를 케이싱 커버(100)의 일단으로부터 케이싱 커버(100)의 내부챔버로 삽입하고; 케이싱 커버(100)의 축방향을 따라 샤프트 헤드(230)에 추력(F1)을 인가하여, 제1 가이드부(252)가 리미트 볼록링(110)의 내측에 맞닿게 되고,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종방향의 가압을 받게 되면서 수축하게 되어, 나아가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리미트 볼록링(110)을 넘어서서,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변형이 사라지게 되어, 스프링의 작용 하에 리미트 볼록링(110)의 외측에 맞닿게 된다.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장치 코어 샤프트(200)를 해체탈거하는 과정은 다음을 포함한다. 코어 샤프트(200) 끝단이 코어 샤프트(200)에 대하여 추력(F2)을 인가하거나, 또는 코어 샤프트(200) 샤프트 헤드(230)가 코어 샤프트(200)에 대하여 견인력을 인가하여,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종방향 압력을 받으면서 수축하게 되고, 나아가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리미트 볼록링(110)을 넘어서서,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변형은 사라지게 되어, 코어 샤프트(200)가 케이싱 커버(100)로부터 이탈된다.
<실시예 2>
도 12,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실시예 1의 구별점은, 케이싱 커버(100)의 축방향을 따라 리미트 볼록링(110)의 외측에는 가이드면(111)이 설치되고; 가이드면(111)은 케이싱 커버(100)의 배기단(104)에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종방향 사이즈가 점차 감소되는 개구가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제1 축단부(251)와 샤프트 본체(210) 사이에는 하나의 단차가 형성되어, 배기장치가 장착완료된 경우, 제1 축단부(251)의 샤프트 헤드(230)에 근접하는 일단 외측모서리 가장자리는 가이드면(111)에 맞닿는다. 코어 샤프트(200)가 케이싱 커버(100)의 내부챔버로부터 탈거되는 과정에서,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제2 가이드면(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제2 가이드면(111)이 샤프트 끝단부재(250)에 대하여 가이드 작용을 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면(111)은 원추면, 사면, 원호면 등인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원추면이며, 가이드면(111)의 원뿔각(θ) 범위는 30도 ~ 110도인 것으로, 이로써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코어 샤프트(200)에 대한 위치제한을 보다 잘 실현하도록 하고, 코어 샤프트(200)의 견고도, 안정성을 보다 좋으며, 코어 샤프트(200)를 비교적 편리하게 탈거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축단부(251)와 샤프트 본체(210) 간에도 역시 원추면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배기장치가 장착완료되는 경우, 제1 축단부(251)의 샤프트 헤드(230)에 근접하는 일단 외측모서리 가장자리는 가이드면(111)에 맞닿거나 또는 원추면이 가이드면(111)에 맞닿는다.
<실시예 3>
도 14, 도 1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실시예 1, 실시예 2의 구별점은,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코어 샤프트(200)에 대하여 샤프트 헤드(230)에서 샤프트 끝단부재(250)로 향하는 힘을 인가함으로써, 샤프트 헤드(230)가 케이싱 커버(100)에 맞닿도록 하고, 샤프트 헤드(230)와 케이싱 커버(100) 사이에는 기체유입틈새 또는 기체유입구가 존재하고, 기체유입틈새 또는 기체유입구는 배기통로(101) 및 배기장치 외부를 연통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샤프트 헤드(230) 외벽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홈(231)이 설치되고, 환형홈(231)의 샤프트 끝단부재(250)에 근접하는 일측에는 다수개의 에어홈(232)이 설치되며, 환형홈(231)의 샤프트 끝단부재(250)에 근접되는 일측 샤프트 헤드(230)는 케이싱 커버(100)와 맞닿고, 환형홈(231)의 샤프트 끝단부재(250)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측 샤프트 헤드(230)는 케이싱 커버(100)와 상호 분리되어 기체유입틈새가 형성되며, 기체유입틈새는 환형홈(231) 및 배기장치 외부를 연통시키며, 에어홈(232)은 환형홈(231) 및 배기통로(101)를 연통시킨다. 기체유입틈색의 폭(t)은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0.01 mm ~ 0.06 mm인 것으로, 고무재료가 기체유입틈새로 흘러들지 못하도록 하고; 또는 샤프트 헤드(230)의 외벽면에는 약간의 배기홈(232)이 설치되고, 약간의 배기홈(232)은 코어 샤프트(20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며, 배기홈(232)은 배기통로(101) 및 배기장치 외부를 연통하고, 배기홈(232)의 개구의 종방향 사이즈는 바람직하게는 0.01 mm ~ 0.06 mm이며; 또는, 샤프트 헤드(230) 외벽면 또는 케이싱 커버(100) 상에 리브를 설치하여, 샤프트 헤드(230)가 리브를 통해 케이싱 커버(100)와 상호 연결되어, 샤프트 헤드(230)와 케이싱 커버(100) 사이에 기체유입틈새를 형성하고, 기체유입틈새가 배기통로(101) 및 배기장치 외부를 연통시킨다.
본 발명의 상술한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조설계를 통해, 배기장치는 매우 훌륭한 기술적 효과를 실현한다. 첫 번째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배기장치의 코어 샤프트(200) 닫힘 작동거리(H)가 안정적이고 정확도가 높은 것이고,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는 타이어를 1500개 이내로 가황하는 경우의 코어 샤프트(200) 닫힘 작동거리(H)의 공차범위를 ± 0.05 mm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종래기술의 배기장치의 초기 닫힘 작동거리의 공차는 일반적으로 ± 0.15 mm이다. 그리고, 300 ~ 400개의 타이어를 가황한 후, 배기장치의 닫힘 작동거리의 공차는 ± 0.25 mm 이상으로 이르게 되어, 사용요구를 만족할 수 없게 되고, 고무재료는 쉽게 배기장치 안으로 흘러들게 되며, 타이어 몰드의 세척빈도가 높아지게 된다. 두 번째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 코어 샤프트(200)와 케이싱 커버(100)의 동축도가 비교적 좋으므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는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코어 샤프트(200)에 대한 안정적인 위치제한을 실현할 수 있고,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원주방향 상에서 케이싱 커버(100)와 맞닿아서 협동할 수 있으며, 코어 샤프트(200)와 케이싱 커버(100)의 동축도가 좋다. 세 번째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 코어 샤프트(200)의 견고도가 좋은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는 샤프트 끝단부재(250)에 관통홈(220)이 개설되고, 관통홈(220)의 양단은 폐쇄되게 구성되며,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강도(剛度)가 종래기술보다 좋으며, 샤프트 끝단부재(250)가 쉽게 변형되지 않으며, 코어 샤프트(200)의 견고도가 좋으며, 코어 샤프트(200)가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코어 샤프트의 이탈률을 0.01%이하로 줄이게 되는 반면, 도 18에서 도시하는 바의 종래기술의 코어 샤프트 이탈률은 0.05%이상에 달한다. 네 번째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는 사용수명이 길고, 종래기술의 배기장치 리미트부(21`)의 뿌리부는 쉽게 파열이 발생하게 되어, 최초 장착시의 리미트부(21`)의 파열발생률은 1% ~ 2%에 달하는 것으로, 특히 샤프트(2`) 끝단 홈입구(22`)를 가공시에 두 개의 리미트부(21`)의 두께가 일치하도록 가공 정확도를 컨트롤하기 어렵기 때문에 샤프트(2`)를 탈착 시에 두 개의 리미트부(21`)의 변형량이 서로 동등하지 않게 되어, 리미트부(21`)가 쉽게 탄성 피로를 발생하게 되며, 리미트부(21`)의 뿌리부에 균열, 끊어짐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는 도 18에서 도시한 바의 종래기술의 코어 샤프트가 끊어지는 확률을 80%이상 줄였다.
<실시예4>
도 16, 도 1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타이어 몰드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를 포함하고; 타이어 몰드에는 배기홀(410)이 설치되며, 배기장치는 배기홀(410) 내에 끼워 넣었다. 여기에서, 타이어 몰드는 챔버형 부재(400)를 포함하고, 배기홀(410)은 챔버형 부재(400)의 외부 및 내부챔버를 연통하며, 배기장치의 샤프트 헤드(230)는 내부챔버를 향하며, 샤프트 헤드(230)는 생타이어(500)에 맞닿을 수 있으며, 생타이어(500)와 몰드 사이의 기체는 배기장치를 통해 타이어 몰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타이어 몰드가 가황한 타이어는 식출고무가 없고 미관적이다. 또한 타이어 몰드를 세척 시에 코어 샤프트(200)만 단독으로 해체하면 되는 것으로, 세척완료되면 다시 코어 샤프트(200)를 케이싱 커버(100)에 장착하면 되는 것으로, 배기장치 전체를 해체할 필요가 없게 되어, 타이어 몰드의 배기홀(410)이 손상되고 홀지름이 커지며 케이싱 커버(100)가 손상되어 다시 배기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장치는 중복 사용 가능하며, 마모된 코어 샤프트(200)를 교체할 수 있다. 이외, 몰드의 손상을 줄이는데 유리하고, 몰드의 사용수명을 늘릴 수 있다. 동시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 코어 샤프트(200)의 닫힘 작동거리(H)는 안정적이고 정확도가 높으며, 코어 샤프느(200)가 쉽게 편심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기장치의 타이어 몰드를 사용하면 몰드 세척빈도를 30%정도 줄이게 된다.
마지막으로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각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전술한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전히 전술한 각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을 수정하거나 또는 그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술특징을 동등하게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수정 또는 대체는 대응되는 기술방안의 본질이 본 발명 각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케이싱 본체
2`: 샤프트
21`: 리미트부
22`: 홈입구
23`: 코어캡
3`: 스프링
100: 케이싱 커버
101: 배기통로
102: 기체유입틈새
103: 기체유입단
104: 배기단
110: 리미트 볼록링
111: 가이드면
112: 내부챔버 단차부
200: 코어 샤프트
210: 샤프트 본체
220: 관통홈
230: 샤프트 헤드
231: 환형홈
232: 에어홈
240: 제2 축단부
250: 샤프트 끝단부재
251: 제1 축단부
252: 제1 가이드부
253: 제2 가이드부
254: 연장부
260: 샤프트 턱
300: 탄성소자
400: 챔버형 부재
410: 배기홀
500: 생타이어

Claims (19)

  1. 코어 샤프트(200) 및 상기 코어 샤프트(200)에 씌워져 설치되는 케이싱 커버(1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 커버(100)와 상기 코어 샤프트(200) 사이에는 배기통로(101)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 커버(100)에는 기체유입단(103) 및 배기단(104)이 구비되는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어 샤프트(200)는 샤프트 본체(210)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본체(210)의 일단은 샤프트 헤드(230)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 본체(210)의 타단은 샤프트 끝단부재(250)에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 끝단부재(250)에는 관통홈(220)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홈(220)은 상기 샤프트 끝단부재(250)를 관통하되, 상기 샤프트 헤드(230)의 직경 크기가 샤프트 본체(210)에 연결된 단부로부터 샤프트 본체(210)로부터 등진 단부까지 증가하고, 상기 관통홈(220)의 상기 샤프트 헤드(230)를 등지는 일단은 폐쇄되며;
    상기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상기 코어 샤프트(20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위치한정하며, 상기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또한 수축 및 탄성회복을 통해 상기 케이싱 커버(100) 및 상기 코어 샤프트(200)를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제1 축단부(251) 및 제1 가이드부(25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축단부(251)는 상기 샤프트 본체(210) 및 상기 제1 가이드부(252)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관통홈(220)은 상기 제1 축단부(251) 및 상기 제1 가이드부(252)를 관통하며;
    상기 제1 축단부(251)를 연결하는 일단에서 상기 제1 축단부(251)를 등지는 일단까지의 상기 제1 가이드부(252)의 종방향 사이즈는 점차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252)의 외벽면은 원추면이고, 상기 제1 가이드부(252)의 원뿔각(α)범위는 20도 ~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샤프트(200)가 상기 기체유입단(103)에서 상기 케이싱 커버(100)로 삽입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252)의 외벽면이 상기 케이싱 커버(100)에 맞닿는 경우, 상기 관통홈(220)의 상기 샤프트 헤드(230)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일단에서 맞닿는 점까지의 축방향 거리(L1)는 상기 관통홈(220)의 축방향 길이값(L)의 10% ~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220)의 상기 샤프트 헤드(230)에 근접하는 일단은 상기 샤프트 본체(210)로 연장되고, 상기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수축 및 탄성회복을 통해 상기 코어 샤프트(200)를 상기 케이싱 커버(100)로부터 탈거시키는데 사용되며, 상기 관통홈(220)은 상기 배기통로(101) 및 상기 배기장치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제2 가이드부(25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253)는 상기 샤프트 본체(210)와 상기 제1 축단부(251)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 본체(210)에 연결되는 일단에서 상기 샤프트 본체(210)를 등지는 일단까지의 상기 제2 가이드부(253)의 종방향 사이즈는 점차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253)의 외벽면은 원추면이고, 상기 제2 가이드부(253)의 원뿔각(β) 범위는 30도 ~ 11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가 장착완료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가이드부(253)는 상기 케이싱 커버(100)에 맞닿고, 상기 관통홈(220)의 상기 샤프트 헤드(230)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일단에서 맞닿는 점까지의 축방향 거리(L2)는 상기 관통홈(220)의 축방향 길이값(L)의 25% ~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커버(100)의 배기단(104)에는 가이드면(111)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면(111)은 상기 케이싱 커버(100)의 배기단(104)에 바깥에서 안쪽으로의 종방향 사이즈가 점차 줄어드는 개구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111)은 원추면이고, 상기 가이드면(111)의 원뿔각(θ)범위는 30도 ~ 11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가 장착완료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축단부(251)의 상기 샤프트 헤드(230)를 향하는 일단은 상기 가이드면(111)에 맞닿고, 상기 관통홈(220)의 상기 샤프트 헤드(230)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일단에서 맞닿는 점까지의 축방향 거리(L2)는 상기 관통홈(220)의 축방향 길이값(L)의 25% ~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확장상태 하에서 상기 제1 축단부(251)의 직경과 상기 케이싱 커버(100)의 배기단(104)의 내경의 차이값은 a이고, 상기 관통홈(220)의 폭(W)범위는 3a ~ 1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확장상태 하에서 상기 제1 축단부(251)의 직경과 케이싱 커버(100)의 배기단(104)의 내경의 차이값은 0.04 mm ~ 0.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220)의 축방향 길이값(L)과 상기 관통홈(220)의 폭(W)의 비율범위는 5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252)의 샤프트 헤드(230)를 등지는 일단에는 연장부(254)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끝단부재(250)의 외벽면은 원호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커버(100)와 상기 샤프트 본체(210) 사이에는 탄성소자(300)가 설치되고;
    상기 코어 샤프트(200)는 축방향으로 제1 위치 및 제2 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 헤드(230)와 상기 케이싱 커버(100) 사이에는 기체유입틈새(102)가 형성되고, 상기 기체유입틈새(102)는 상기 배기통로(101) 및 상기 배기장치외부를 연통하며, 상기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상기 케이싱 커버(100)에 맞닿으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 헤드(230)는 상기 케이싱 커버(100)에 맞닿으며;
    상기 탄성소자(300)는 상기 코어 샤프트(200)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향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추세를 갖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18. 제1항 내지 제1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끝단부재(250)는 또한, 상기 코어 샤프트(200)에 대하여 상기 샤프트 헤드(230)에서 상기 샤프트 끝단부재(250)로 향하는 힘을 인가하는데 사용함으로써, 상기 샤프트 헤드(230)가 상기 케이싱 커버(100)에 맞닿도록 하고;
    상기 샤프트 헤드(230)와 상기 케이싱 커버(100) 사이에는 기체유입틈새 또는 기체유입구가 존재하며, 상기 기체유입틈새 또는 상기 기체유입구는 상기 배기통로(101) 및 상기 배기장치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19. 타이어 몰드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6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배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어 몰드에는 배기홀(410)이 설치되고, 상기 배기장치는 상기 배기홀(4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KR1020217015143A 2019-06-12 2019-10-11 배기장치 및 타이어 몰드 KR102359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504263.9A CN110027138B (zh) 2019-06-12 2019-06-12 排气装置及轮胎模具
CN201910504263.9 2019-06-12
PCT/CN2019/110537 WO2020248445A1 (zh) 2019-06-12 2019-10-11 排气装置及轮胎模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469A KR20210080469A (ko) 2021-06-30
KR102359190B1 true KR102359190B1 (ko) 2022-02-08

Family

ID=67243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143A KR102359190B1 (ko) 2019-06-12 2019-10-11 배기장치 및 타이어 몰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260614B2 (ko)
EP (1) EP3865273B1 (ko)
JP (1) JP7175394B2 (ko)
KR (1) KR102359190B1 (ko)
CN (1) CN110027138B (ko)
HU (1) HUE063137T2 (ko)
PL (1) PL3865273T3 (ko)
RS (1) RS64453B1 (ko)
WO (1) WO20202484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7138B (zh) 2019-06-12 2019-12-13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排气装置及轮胎模具
WO2021106235A1 (ja) * 2019-11-29 2021-06-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
CN116604744B (zh) * 2023-07-20 2023-10-03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排气、排砂装置及具有该装置的轮胎模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2242A (ja) 2002-01-30 2003-08-08 Tokai Kogyo Co Ltd シール材とシール材組立体
KR100484002B1 (ko) 1995-11-20 2005-08-29 콘티넨탈 악티엔게젤샤프트 가황모울드의배기보어에이용하기위한배기밸브,및다수의배기보어를가지는타이어제조용가황모울드
KR101689650B1 (ko) 2016-06-02 2016-12-27 주식회사 메가산업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벤트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5933A1 (fr) * 1994-10-20 1996-04-26 Michelin & Cie Eventation de moules
JP4470619B2 (ja) * 2004-07-02 2010-06-02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成形用金型及びタイヤ成形用金型のベントホールに使用するプラグ
JP4501651B2 (ja) * 2004-11-25 2010-07-14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成形用金型及びタイヤ成形金型用のプラグ
JP4492328B2 (ja) * 2004-12-07 2010-06-30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成形金型及びタイヤ成形金型用のプラグ
SK287141B6 (sk) * 2006-05-25 2010-01-07 Continental Matador Rubber, S. R. O. Odvzdušňovací ventil na použitie do odvzdušňovacích otvorov vulkanizačných foriem
CN201633153U (zh) * 2009-12-17 2010-11-17 王益民 轮胎模具排气阀
DE102011053207A1 (de) * 2011-09-02 2013-03-07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Reinigung von Formteilen bzw. Formsegmenten einer Reifenvulkanisationsform
CN204942180U (zh) * 2015-05-16 2016-01-06 平湖禾顺五金厂 一种塑料膨胀管
JP6706492B2 (ja) * 2015-12-03 2020-06-10 Toyo Tire株式会社 タイヤ加硫金型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DE102016209910A1 (de) * 2016-06-06 2017-12-07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Entlüftungseinheit für eine Vulkanisationsform eines Fahrzeugluftreifens
FI129777B (en) * 2017-04-12 2022-08-31 Wd Racing Oy VALVE INSERT AND BREATHER VALVE
CN207874648U (zh) 2017-11-17 2018-09-18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排气装置及轮胎模具
CN110027138B (zh) 2019-06-12 2019-12-13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排气装置及轮胎模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002B1 (ko) 1995-11-20 2005-08-29 콘티넨탈 악티엔게젤샤프트 가황모울드의배기보어에이용하기위한배기밸브,및다수의배기보어를가지는타이어제조용가황모울드
JP2003222242A (ja) 2002-01-30 2003-08-08 Tokai Kogyo Co Ltd シール材とシール材組立体
KR101689650B1 (ko) 2016-06-02 2016-12-27 주식회사 메가산업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65273C0 (en) 2023-06-07
JP7175394B2 (ja) 2022-11-18
EP3865273B1 (en) 2023-06-07
CN110027138A (zh) 2019-07-19
RS64453B1 (sr) 2023-09-29
JP2021535016A (ja) 2021-12-16
KR20210080469A (ko) 2021-06-30
WO2020248445A1 (zh) 2020-12-17
HUE063137T2 (hu) 2023-12-28
US11260614B2 (en) 2022-03-01
PL3865273T3 (pl) 2023-09-18
CN110027138B (zh) 2019-12-13
EP3865273A1 (en) 2021-08-18
EP3865273A4 (en) 2022-07-06
US20210394474A1 (en)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190B1 (ko) 배기장치 및 타이어 몰드
US10006554B2 (en) Spring vent of tire vulcanizing mold
US9522509B2 (en) Tire mold vent
KR100855209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US10260494B2 (en) Eccentric roundel structure for three-compressing-chamber diaphragm pump
CN101634368A (zh) 轮胎硫化模具用小型通气阀
US10233916B2 (en) Eccentric roundel structure for four-booster chamber diaphragm pump
KR101705825B1 (ko)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
KR20130004969U (ko) 타이어 가류 금형의 밴트장치
CN209812882U (zh) 排气装置及具有该排气装置的轮胎模具
US8360140B2 (en) Well head lubricator assembly
JP4856462B2 (ja) パイロット弁付電磁弁
CN210134892U (zh) 防砂筛管
CN209920340U (zh) 排气装置及轮胎硫化模具
KR200490911Y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AU2016406376B2 (en) A filling shoe, a filling shoe arrangement having such a filling shoe, a filter medium assembly having such filling shoe arrangements,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filter medium with such a filling shoe
CN209832688U (zh) 排气装置及轮胎模具
KR101497635B1 (ko) 타이어 가류 금형의 밴트장치
CN220581715U (zh) 一种高压阀密封结构及高压阀
KR102682683B1 (ko) 타이어의 트레드 몰드용 트레드 패턴 플레이트
KR102007752B1 (ko) 타이어 가류 금형용 벤트홀 플러그
CN210068406U (zh) 一种高压手动液压泵
WO2018144416A1 (en) Fluid end with removable dual-valve cartridge
KR101404002B1 (ko) 타이어 금형용 공기배출제어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20230148440A (ko) 타이어의 트레드 몰드용 트레드 패턴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