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911Y1 -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911Y1
KR200490911Y1 KR2020180001091U KR20180001091U KR200490911Y1 KR 200490911 Y1 KR200490911 Y1 KR 200490911Y1 KR 2020180001091 U KR2020180001091 U KR 2020180001091U KR 20180001091 U KR20180001091 U KR 20180001091U KR 200490911 Y1 KR200490911 Y1 KR 200490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re
tire
vulcanization mol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357U (ko
Inventor
이해웅
Original Assignee
이해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웅 filed Critical 이해웅
Priority to KR2020180001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911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3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3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9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2Solid tyres ;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7Venting devices, e.g. vent plugs or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어 가류시 몰드의 내면과 그린타이어의 외주면 사이에 공기가 갇혀서 발생하는 베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류 모드에 방사형으로 벤트장치를 설치하여 에어를 방출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가열가압시 타이어가 벤트장치의 코어홀을 통하여 식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타이어 성형후 외면에 형성된 식출 고무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없는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하우징홀이 형성되며 하우징홀의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테이퍼 진 입구가 형성되고 입구에서 소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내턱을 가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가류금형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입구에 대응되게 제2경사면을 가지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코어와; 코어의 하단에 결합하여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스프링이 탄성작용이 일어나도록 하우징의 내측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홀에 코어의 선단을 끼워넣는 조립 과정에서 코어의 파손 없이 수월하게 조립되고, 이로부터 코어가 하우징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작동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Vent apparatus for tire vulcanization mold}
본 고안은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 가류시 몰드의 내면과 그린타이어의 외주면 사이에 공기가 갇혀서 발생하는 베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류 모드에 방사형으로 벤트장치를 설치하여 에어를 방출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가열가압시 타이어가 벤트장치의 코어홀을 통하여 식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타이어 성형후 외면에 형성된 식출 고무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없는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가류 몰드 성형은 유연한 고무로 된 그린타이어를 일정한 몰드(금형)에 넣어 내부와 외부에서 열과 압력을 가해 유형과 다른 화학 약품이 고무와 반응을 일으키는 작업으로서 트레드 부위의 독특한 디자인과 고무의 탄성을 부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타이어 가류 몰딩 공정에 있어서 에어를 방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드릴 벤트 방법(drill vent method)을 사용한다. 드릴 벤트 방법이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류 몰드(300)에 방사 방향으로 다수의 드릴공(310)을 형성하고 이의 드릴공에 다수의 벤트장치(100)를 설치함으로서, 타이어 성형시 그린타이어(400)와 몰드(300)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벤트장치(100)를 통해 몰드 외부로 방출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타이어 성형시 그린타이어를 내외부에서 가열시켜 가압시 공기가 벤트장치를 통하여 방출됨과 동시에 소량의 고무가 따라 나가면서 고무가 식출되어 성형된 타이어 외주면이 도2와 같이 무수한 식출고무가 돌출되어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됨으로써 제조공장에서는 다시 이를 제거하는 설비를 설치하여 후처리하는 공정을 더 실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벤트장치는 도 1 및 2와 같이 벤트장치(100)의 내부가 관통된 중공부(190)가 형성되고, 중공부(190) 상단부는 깔때기와 같은 확개부(210)로 이루어진 관계로 벤트장치(100)를 몰드(300)의 드릴공(310)에 설치한 후 타이어를 성형하기 위해 가열 가압하면 그린타이어과 몰드 사이에 잔존된 에어가 벤트장치(100)의 상단 확개부(210)를 통하여 중공부(190)로 방출되는 동시에 소량의 고무가 증공부로 유입됨으로서 완성된 타이어의 외면에는 도 3과 같이 무수한 식출고무(500)가 형성되어 고급타이어의 경우에는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별도의 공정을 통해 식출고무를 제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6446호(2007.06.12. 공고) "식출고무가 발생되지 않는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는 가류 몰드에 방사 방향으로 다수의 드릴공을 형성하고 상기 드릴공에 다수의 벤트장치를 설치하여 타이어 성형시 그린타이어와 몰드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외부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밸브로 이루어지고, 하우징과 밸브 사이에 스프링이 게재되어 하우징 내에서 밸브가 승 하강 됨에 따라 공기가 하우징과 밸브 사이로 방출될 수 있도록 된 벤트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코어홀을 형성하고 상기 코어홀 상부는 일측면에 형성된 통공과 연결되도록 하고, 코어홀 하부는 개방되는 확개부로 이루어지며, 외면에 단턱이 형성된 코어와; 내부에 중공부를 갖고 내벽에는 코어의 승하강을 단속하는 내턱과 스프링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턱이 구비된 하우징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동작봉의 선단이 플러그 몸체의 상단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므로 가류금형에 의해 그린타이어의 성형시 벤트장치에 의해 자국이 남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 그린타이어의 가류시 벤트장치에 의해 생기는 자국에 의해 최초 타이어의 설계와는 다르게 트래드의 형상이 변형되어 최초 타이어 설계시 요구되는 사향을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6446호(2007.06.12. 공고)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타이어 가류시 몰드의 내면과 그린타이어의 외주면 사이에 공기가 갇혀서 발생하는 베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류 모드에 방사형으로 벤트장치를 설치하여 에어를 방출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가열가압시 타이어가 벤트장치의 코어홀을 통하여 식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타이어 성형후 외면에 형성된 식출 고무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을 실시할 필요가 없는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하우징홀이 형성되며 하우징홀의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테이퍼 진 입구가 형성되고 입구에서 소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내턱을 가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가류금형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입구에 대응되게 제2경사면을 가지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코어와; 코어의 하단에 결합하여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스프링이 탄성작용이 일어나도록 하우징의 내측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제1경사면은, 코어의 상단에서 1/4 지점에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경사각도가 커져 하우징의 내측면과 이격되는 거리가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코어는, 하우징의 내면과 간격이 이격될 수 있도록 외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면과 코어를 하우징에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시 직경이 좁아지는 코어홀을 가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코어몸체와; 타이어의 가류시 하우징의 입구를 폐쇄하거나 가류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스프링에 의해 하우징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상단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입구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과; 하우징에서 코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한 내턱과 같은 경사각으로 제2경사면이 시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외턱과; 스프링의 탄성작용에 의해 코어가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턱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스프링은, 최대한 이완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내면과 코어의 간격이 0.2mm로 이격되게 하여 가류금형에서 성형이 완료된 타이어를 인출할 때 하우징과 코어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어 가류금형 내의 기압을 가류금형 외부의 기압과 동일한 기압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는,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홀에 코어의 선단을 끼워넣는 조립 과정에서 코어의 파손 없이 수월하게 조립되고, 이로부터 코어가 하우징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작동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코어에 코어홀이 형성됨으로써, 하우징의 내측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시 코어의 내경이 좁아지면서 하우징홀의 내측으로 인입되므로 결합이 용이한 것은 물론 하우징의 내측에서 코어가 인위적으로 이탈되지 않아 타이어의 성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가류 작업 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하우징이 드릴공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 가류 작업을 끝낸 타이어에 식출 고무가 형성되지 않아 식출 고무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불필요해 신속하게 가류 공정을 마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류금형에서 성형이 완료된 타이어를 거낼 때 가류금형과 타이어 사이에 외부의 기압보다 낮은 기압으로 이루어져 타이어의 인출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류금형에서 성형이 완료된 타이어를 인출장치(미도시)를 통해 약간 당기면 하우징에 설치된 스프링이 코어를 초기상태로 복귀 시켜 코어의 상단이 하우징의 입구에서 이격되도록 하여 벤트 장치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가류금형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하므로서 성형이 완료된 타이어의 분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식출 고무를 제거하기 위한 설비 및 가동인원이 불필요해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어 우수한 가격 경쟁력을 갖는 타이어를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에 의하면, 식출 고무가 형성되지 않아 불필요한 식출로 인한 원재료의 손실을 방지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류금형 벤트장치 사시도.
도 2는 도1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가류금형에 벤트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가류금형의 벤트장치에 의해 생산된 타이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가 가류금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가류금형에 설치된 벤트장치의 코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가 가류금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가류금형에 설치된 벤트장치의 코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하우징홀(11)이 형성되며 하우징홀(11)의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테이퍼 진 입구(12)가 형성되고 입구(12)에서 소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내턱(13)을 가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가류금형(50)에 설치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입구(12)에 대응되게 제2경사면(25)을 가지며 하우징(10) 내측에 설치되는 코어(20)와, 코어(20)의 하단에 결합하여 하우징(10) 내측에 설치되는 스프링(30)과, 스프링(30)이 탄성작용이 일어나도록 하우징(10)의 내측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링(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하우징홀(11)을 가지며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형의 상단은 외측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테이퍼지게 입구(12)를 형성하며, 상기 입구(12)에서 소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코어(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내턱(13)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링(40)이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입구(12)의 반대측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턱(2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외경은 상단부에서 1/3 지점 까지는 가류금형(50)의 드릴공(51)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1/3지점에서 하단부까지는 드릴공(51)보다 약간 작은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가류금형(5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제1경사면(22)은 코어(20)의 상단에서 1/4 지점에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경사각도가 커져 하우징(10)의 내측면과 이격되는 거리가 커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코어(20)는 하우징(10)의 내면과 간격이 이격될 수 있도록 외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면(22)과 코어(20)를 하우징(10)에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시 직경이 좁아질 수 있도록 코어홀(23)을 가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코어몸체(21)와, 그린타이어(60)의 가류시 하우징(10)의 입구(12)를 폐쇄하거나 가류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스프링(30)에 의해 하우징(10)의 입구(12)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상단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입구(12)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25)과, 하우징(10)에서 코어(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한 내턱(13)과 같은 경사각으로 제1경사면(22)이 시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외턱(24)과, 스프링(30)의 탄성작용에 의해 코어(20)가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턱(26)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코어(20)는 하우징(10)에 형성된 하우징홀(11)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20)를 하우징홀(11)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시 코어홀(23)의 내측방향으로 좁아지면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30)은 코어(20)와 고정링(40) 사이에서 탄성 및 복원력을 가지며 설치되어 그린타이어(60) 가류시 코어(20)가 이동되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가류가 완료된 코어(20)가 상승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30)은 최대한 이완된 상태에서는 하우징(10)과 코어(20)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여 가류가 완료된 상태에서 가류금형(50)과 성형이 완료된 타이어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30)은 최대한 이완된 상태에서 하우징(10)의 내면과 코어(20)의 간격이 0.2mm로 이격되게 하여 가류금형(50)에서 성형이 완료된 타이어를 인출할 때 하우징(10)과 코어(20)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어 가류금형(50) 내의 기압을 가류금형(50) 외부의 기압과 동일한 기압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링(40)은 하우징(10)에 형성된 하우징홀(11)의 하부 내측으로 압입되어 상단부가 고정턱(26)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링(40)은 고정턱(26)에 의해 하우징홀(11)의 내측으로 소정 깊이까지만 인입된다.
또한, 고정링(40)은 스프링(30)의 이완 또는 수축에 따른 탄성작용이 발생되도록 하우징홀(11)의 내측에서 압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링(40)은 가류금형(50)의 내측에 공기가 배출되거나 또는 외부의 공기가 가류금형(50)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통공(4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는 가류금형(50)에 방사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드릴공(51)에 설치되어 타이어 성형시 그린타이어(60)와 가류금형(50)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벤트장치를 통해 가류금형(50)의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가류금형(50)에 형성된 드릴공(51) 각각에 벤트장치의 하우징(10)을 삽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하우징(10)이 드릴공(51)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이 드릴공(51)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드릴공(51)의 내측으로 인입될 시에 하우징의 2/3 지점까지는 용이하게 인입되고 나머지 1/3은 압입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그린타이어(60)가 가류금형(50)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스프링(30)에 의해 코어(20)의 상단이 가류금형(50)의 내측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하우징(10)과 코어(20) 사이의 공간으로 가류금형(50)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벤트장치를 이용하여 가류금형(50)에서 가류 작업시 그린타이어(60)가 코어(20)의 표면 상단을 가압하면 코어(20)의 상단에 형성된 제2경사면(25)이 하우징(10)의 입구(12)에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밀착되면서 가류금형의 열과 압력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유로가 폐쇄된다.
특히, 코어(20)의 하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중간부분까지 연장되는 코어홀(23)이 형성되어 코어(20)의 하단은 코어홀(23)을 중심으로 좌주가 대칭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대칭되게 형성된 코어(20)의 하단은 하우징의 하우징홀이 끼워질 때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코어(20)의 상단에서 1/3지점이 되는 부분에서 하단까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코어(20)의 하단의 정점을 중심으로 코어홀(23)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갈라져 대칭되는 형상을 갖게 되므로 코어홀(23)을 중심으로 나누어진 코어(20)는 탄성 및 복원력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20)의 하단이 하우징(10)의 하우징홀(11)에 끼워질 때 코어(20)의 하단이 하우징홀(11)에 밀착되면 코어홀(23)의 간격이 압입하는 힘에 의해 좁아지면서 코어홀(23)의 폭이 좁아져 하우징홀(11)의 내측에 무리없이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코어(20)의 하단이 하우징홀(11)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펼쳐지고, 하우징홀(11)에 형성된 내턱(13)이 위치하는 부분에 코어(20)의 외턱(24)이 위치하므로 코어(20)가 하우징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코어(20)를 하우징(10)에 결합한 상태에서 하우징(10)의 하단에 스프링(30)을 인입시켜 코어(20)의 고정턱(26)에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링(40)을 하우징(10)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인입시켜 압입하면 고정링(40)은 하우징(10)의 고정턱(26)에 상단이 밀착되면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가류금형(50)의 드릴공(51)에 벤트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그린타이어(60)를 가류하기 위하여 가류금형(50)의 내측으로 인입하면 그린타이어(60)와 가류금형(50) 사이의 공기가 벤트 장치를 통해 배출되고, 그린타이어(60)가 가류금형(50)의 내측에 맞닿으면 벤트 장치의 코어(20)가 하우징(10)의 입구를 막아 열과 압력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그린타이어(60)에 트레드패턴의 성형이 용이하게 성형되는 것은 물론 그린타이어(60)와 가류금형(5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아 그린타이어의 성형시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류금형(50)에서 성형이 완료된 타이어를 거낼 때 가류금형(50)과 타이어 사이에 외부의 기압보다 낮은 기압으로 이루어져 타이어의 인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행할 수 있는 것을 가류금형에서 성형이 완료된 타이어를 인출장치(미도시)를 통해 약간 당기면 하우징(10)에 설치된 스프링(30)이 코어(20)를 초기상태로 복귀 시켜 코어(20)의 상단이 하우징(10)의 입구(12)에서 이격되도록 하여 벤트 장치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가류금형(5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성형이 완료된 타이어의 분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벤트 장치에 의해 타이어에 식출고무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성형이 완료된 타이어의 식출고무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가동인원이 불필요한 뿐만 아니라 식출로 인한 원재료의 손실을 방지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우수한 가격 경쟁력을 갖는 타이어를 생산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하우징 11: 하우징홀
12: 입구 13: 내턱
20: 코어 21: 코어몸체
22: 제1경사면 23: 코어홀
24: 외턱 25: 제2경사면
26: 고정턱 30: 스프링
40: 고정링 41: 통공
50: 가류금형 51: 드릴공
60: 그린타이어

Claims (4)

  1.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하우징홀(11)이 형성되며 하우징홀(11)의 상부의 외측방향으로 테이퍼 진 입구(12)가 형성되고 입구(12)에서 소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내턱(13)을 가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가류금형(50)에 설치되는 하우징(10)과;
    가류금형(50) 내의 기압을 외부 기압과 동일한 기압으로 설정되도록 상단에서 1/4 지점에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경사각도가 커져 하우징(10)의 내측면과 이격되는 거리가 커지도록 형성되는 제1경사면(22)과 하우징(10)의 입구(12)에 대응되게 제2경사면(25)을 가지며 하우징(10) 내측에 설치되는 코어(20)와;
    코어(20)의 하단에 결합하여 하우징(10) 내측에 설치되는 스프링(30)과;
    스프링(30)의 이완 또는 수축에 따른 탄성작용이 발생되도록 하우징홀(11)의 내측에서 압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내측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링(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20)는 하우징(10)의 내면과 간격이 이격될 수 있도록 외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면(22)과 코어(20)를 하우징(10)에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시 직경이 좁아질 수 있도록 코어홀(23)을 가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코어몸체(21)와;
    그린타이어(60)의 가류시 하우징(10)의 입구(12)를 폐쇄하거나 가류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스프링(30)에 의해 하우징(10)의 입구(12)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상단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입구(12)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25)과;
    하우징(10)에서 코어(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한 내턱(13)과 같은 경사각으로 제1경사면(22)이 시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외턱(24)과;
    스프링(30)의 탄성작용에 의해 코어(20)가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턱(26);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0)은,
    이완된 상태에서 하우징(10)의 내면과 코어(20)의 간격이 0.2mm로 이격되게 하여 가류금형(50)에서 성형이 완료된 타이어를 인출할 때 하우징(10)과 코어(20)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어 가류금형(50) 내의 기압을 가류금형 외부 기압과 동일한 기압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KR2020180001091U 2018-03-14 2018-03-14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KR200490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091U KR200490911Y1 (ko) 2018-03-14 2018-03-14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091U KR200490911Y1 (ko) 2018-03-14 2018-03-14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357U KR20190002357U (ko) 2019-09-24
KR200490911Y1 true KR200490911Y1 (ko) 2020-01-21

Family

ID=6806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091U KR200490911Y1 (ko) 2018-03-14 2018-03-14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91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9596A (ja) 2004-12-07 2006-06-22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成形金型、タイヤ成形金型用のプラグ、及びこのタイヤ成形金型を用いて製造したタイヤ
KR100726446B1 (ko) 2005-12-28 2007-06-12 선진분말야금 주식회사 식출고무가 발생되지 않는 타이어 가류몰드의 밴트장치
JP2016221924A (ja) 2015-06-03 2016-12-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エア排出機構およびモール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716B1 (ko) * 2011-12-05 2014-02-0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9596A (ja) 2004-12-07 2006-06-22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成形金型、タイヤ成形金型用のプラグ、及びこのタイヤ成形金型を用いて製造したタイヤ
KR100726446B1 (ko) 2005-12-28 2007-06-12 선진분말야금 주식회사 식출고무가 발생되지 않는 타이어 가류몰드의 밴트장치
JP2016221924A (ja) 2015-06-03 2016-12-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エア排出機構およびモール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357U (ko)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055B1 (ko) 타이어 금형의 스프링을 구비한 벤트 장치
KR102164888B1 (ko) 에어 벤팅 밸브
KR100726446B1 (ko) 식출고무가 발생되지 않는 타이어 가류몰드의 밴트장치
US5059380A (en) Tire mold vent plug and method
CN209920334U (zh) 轮胎硫化模具
KR200490911Y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KR200470588Y1 (ko) 타이어 가류 금형의 밴트장치
KR20210080469A (ko) 배기장치 및 타이어 몰드
KR102121375B1 (ko) 타이어 가황금형의 벤트 플러그
KR101600324B1 (ko) 타이어 가류 금형의 스프링 벤트 장치
US20190366592A1 (en) Tire vulcanization mo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neumatic tire
KR200493906Y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EP3356103B1 (en) Molding element for manufacturing a noise reducing tread
KR100443706B1 (ko) 가류금형용 벤트장치
US20200400233A1 (en) Dust proof sleeve
KR20190002358U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KR20040003883A (ko) 가류금형용 벤트장치
KR100511126B1 (ko) 가류금형용 벤트장치
KR101497635B1 (ko) 타이어 가류 금형의 밴트장치
KR100573879B1 (ko) 에어 플러그 및 그 제조 방법
KR200442824Y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필터벤트
KR102007752B1 (ko) 타이어 가류 금형용 벤트홀 플러그
CZ2018732A3 (cs) Odvzdušňovací ventil do odvzdušňovacích otvorů vulkanizačních forem
KR101914431B1 (ko) 사이드월 벤트장치를 구비한 타이어 가류금형
JP2019123146A (ja) タイヤ加硫金型及びベント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