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051B1 -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051B1
KR102358051B1 KR1020210108482A KR20210108482A KR102358051B1 KR 102358051 B1 KR102358051 B1 KR 102358051B1 KR 1020210108482 A KR1020210108482 A KR 1020210108482A KR 20210108482 A KR20210108482 A KR 20210108482A KR 102358051 B1 KR102358051 B1 KR 102358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over
fire plate
grill pa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이
Original Assignee
김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이 filed Critical 김민이
Priority to KR1020210108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31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a fire box movabl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e.g. horizontal, vertical, inclined
    • A47J37/07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a fire box movabl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e.g. horizontal, vertical, inclined with gas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앙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배유관이 형성된 불판이 장착되는 것으로, 지면에 지지되며 상부에 불판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부에 수직하게 부착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본체;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단열부가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 개구부를 통해 열을 방출하는 버너와, 상기 하부 개구부에 세라믹불판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열원부; 상기 불판의 배유관이 결합되는 통공이 형성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주동기어와, 상기 주동기어와 연결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불판을 회전시키는 불판안착부; 상기 불판안착부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함체 내 바닥면에 형성된 측벽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교차되게 결합는 한쌍의 링크바와, 상기 링크바의 하단에 결합되는 링크바 작동부재와, 캠홈이 경사지게 형성된 캠바디와, 상기 캠바디의 타단 개구공에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캠홈에 결합되는 캠핀이 형성된 조작봉과 조절노브로 구성된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n Upper Burner}
본 발명은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서 하부로 열을 전달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되 불판이 회전되도록 하는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고기 또는 돼지고기 등의 고기를 굽는 방법은, 하측에 배치된 숯 또는 연탄 등과 같은 열원을 통해 직접 조리하는 직화구이 방법과, 가스 또는 전기 등과 같은 에너지원에 의해 가열된 불판에 조리하는 간접구이 방식이 있다.
상술한 직화구이 방식은, 환풍 설비가 설치된 곳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숯, 연탄, 가스 등과 같은 열원을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고기를 놓을 수 있는 석쇠가 배치된다.
그런데 석쇠에 올려진 고기의 조리시 고기에서 발생한 기름이 석쇠 사이의 틈새를 통해 열원으로 떨어지게 되며, 떨어진 기름과 열원이 반응하여 발생한 불꽃은 석쇠에 올려진 고기를 태우게 된다.
이렇게 떨어진 기름이 열원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불완전연소 연기에는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을 포함하고, 이러한 벤조피렌은 석쇠에 올려진 고기에 흡착되기도 한다.
또한, 석쇠와 같이 그 구조가 복잡한 불판은 세척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1118123호에는 「원적외선 방사 고기구이」가 개시바 있다.
선행 기술은 간접열에 의해 고기를 익혀 고기가 타지 않고 원적외선에 의해 불필요한 독성분이 제거될 수 있으며 육질이 부드러운 고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한편 종래 기술은 하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불판이 가열되어 고기를 익히도록 하는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최근에는 상부에서 직접 원적외선이 불판 위의 고기에 전달되어 고기의 내부로부터 익을 수 있도록 하여 연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식감이 좋으며, 육즙이 보존될 수 있는 상화식 구이기가 제공되고 있었다.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20-0147321호 "회전식 불판을 구비한 고기구이기"를 출원하여 특허등록받은 바 있다.
선행 특허는 상화식 구이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나 상부 열원부의 발열에 의해 안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었고, 필요에 따라 불판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음을 알게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상화식 구이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기 불판의 상부에서 열원을 공급하여 고기를 익히되 불판을 지속적으로 회전시켜주어 열이 균등하게 배분될 수 있어 고기가 골고루 잘 익을 수 있고, 또한 불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고기의 익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연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배유관이 형성된 불판이 장착되는 것으로, 지면에 지지되며 상부에 불판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부에 수직하게 부착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본체;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단열부가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 개구부를 통해 열을 방출하는 버너와, 상기 하부 개구부에 세라믹불판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열원부; 상기 불판의 배유관이 결합되는 통공이 형성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주동기어와, 상기 주동기어와 연결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불판을 회전시키는 불판안착부; 상기 불판안착부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함체 내 바닥면에 형성된 측벽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교차되게 결합는 한쌍의 링크바와, 상기 링크바의 하단에 결합되며, 함체의 측벽부재에 형성된 장공에 삽입되는 링크샤프트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샤프트로드가 형성된 링크바 작동부재와, 상기 샤프트로드가 끼움결합되는 일단에 개구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며 타단에도 개구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통로에 통하도록 천공되어 캠홈이 경사지게 형성된 캠바디와, 상기 캠바디의 타단 개구공에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캠홈에 결합되는 캠핀이 형성된 조작봉과 상기 조작봉의 단부에 결합된 조절노브로 구성된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불판의 배유관은 내부에 상하 개구된 통로가 형성되고, 외주면은 상부의 관경이 하부의 관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배유관의 외주면이 종동기어의 통공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원부의 덮개는 표면이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흑색 양극산화피막 처리를 하여 보호막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막의 표면에 초벌 도색을 한 후 흰색 도료를 도포하여 2차 표면처리를 하고, 외면에 흑색 양극산화피막 처리하여 코팅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원부의 덮개의 외부에 결합되는 단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는, 상부 덮개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단열보드; 상기 단열보드에 끼워지도록 일측에 복수개의 쐐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 구획프레임을 구비하는 요철부; 상기 구획프레임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충전공간부를 형성하고, 복수개의 주입안내홀부가 관통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가 상기 구획프레임에 결합시 상기 주입안내홀부를 통해 상기 충전공간부에 충전되는 발포재; 상기 결합부에 접착제로 고정되어 결합플레이트를 노출 방지되도록 덮개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기 불판을 지속적으로 회전시켜주어 열이 균등하게 배분될 수 있어 고기가 골고루 잘 익을 수 있고, 기름이나 수분이 불판의 중심을 통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간편한 조작에 의해 불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고기를 빨리 익히거나 천천히 익히는 등의 시간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어 편리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4에서 불판을 분리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의 본체에 형성되는 '단열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4에서 불판을 분리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의 본체에 형성되는 '단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는, 지면에 지지되며 상부에 불판(10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측부에 수직하게 부착되는 지지부(220)와, 상기 지지부(220)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열원부(5)를 포함한다.
불판(100)은 원형의 판상이며, 중심부에 배출공(110)이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중심부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부의 중앙에는 배출공(110)과 통하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배유관(140)이 형성된다.
본체(200)는 내부에 기름받이(26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불판(100)의 배유관(140)가 관통되는 결합공(272)을 갖는 안착판(270)이 결합된다.
본체(200)의 측면은 개구부(280)가 형성되고, 개구부(280)를 통해 기름받이(260)를 넣거나 뺄 수 있다.
기름받이(260)는 후술되는 종동기어(330)의 통공(332)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기름을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불판안착부(R)는 불판(100)을 일정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열원부(5)의 열이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구동부(300)가 구비된다.
구동부(300)는 불판(100)의 배유관(140)이 결합되는 통공이 형성된 종동기어(330)와, 상기 종동기어(330)와 치차 결합되는 주동기어(320)와, 주동기어(320)와 연결되는 구동모터(310)로 이루어진다.
종동기어(330)에는 불판(100)의 배유관(140)가 결합되는 통공(332)이 형성된다.
기름받이(260)는 종동기어(33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통공(332)에 결합된 불판(100)의 배유관(140)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받아 저장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220)는 상부에는 열원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20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조절노브(46)가 형성된다.
구동부(300)의 온-오프, 속도와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400);가 포함된다.
제어부(400)에는 온-오프 스위치, 속도 스위치,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스위치 등이 포함되고, 또한 상기 구동부(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포함된다.
전원공급부는 배터리가 적당하나 충전지 또는 외부의 상용전원을 감압시켜 사용될수도 있다.
열원부(5)는 상기 지지부(220)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하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덮개(52)와, 덮개(52)의 내부에 장착되며 화구가 덮개(52)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하는 버너(54)와, 상기 버너(54)의 화구에 대응되며 덮개(52)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세라믹판(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덮개(52)의 외부에는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망(58)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버너(54)에서 생성되는 화염이 화구를 통해 세라믹판(56)을 가열하여 고온의 열이 발생되도록 하고, 세라믹판(56)의 열이 불판(100)을 향해 전달됨으로써 고기를 익힐 수 있다.
불판(100)의 배유관(140)는 내부에 상,하 개구된 통로(144)가 형성되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배유관(140)의 외주면은 상부의 관경이 하부의 관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배유관(140)의 외주면 중 일부분, 즉 배유관(140)의 외주면 상부가 종동기어(330)의 통공(33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배유관(140)의 하부 외주면과 종동기어(330)의 통공(332) 내주면 사이에 틈새(t)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불판(100)의 하중으로 인해 배유관(140)이 더 깊이 종동기어(330)의 통공(332)에 삽입됨으로써 종동기어(330)의 회전시 불판(100)이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종동기어(330)와 동반하여 회전될 수 있고 슬립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불판(100)을 종동기어(330)의 상부에 결합시켰을때 견고한 결합력이 유지되되 불판(100)을 일시적으로 고정시켰을때, 예를들어 불판(100)을 집게로 잡아 고정시켰을때, 종동기어(330)는 여전히 공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기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판(100)의 배유관(140)의 외주면 상부에 환턱(146)이 형성되고, 환턱(146)의 저면에 환상돌부(147)가 형성된다. 환상돌부(147)는 링 형상이다.
이에 대응되도록, 종동기어(330)의 통공(332) 주변 상부면에는 환상돌부(147)가 결합되는 환형홈(335)이 형성된다.
따라서 불판(100)의 배유관(140)이 종동기어(330)의 통공(332)에 끼움결합되면 환상돌부(147)가 환형홈(335)에 안착되어 결합됨으로써 회전작동 중 우려되는 불판(10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불판(100)의 정지시(예를들어 사용자가 불판을 잡을 경우)에도 종동기어(33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보장될 수 있어 구동부(300)및 그에 종속된 기어연결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주동기어(320)는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스퍼기어이고, 종동기어(330)는 주동기어(320) 보다 치차 갯수가 많은 스퍼기어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모터에는 감속기가 구비되어 있어 적정한 속도로 감속되도록 하여 저속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주동기어(320)와 종동기어(330)의 기어비를 이용하여 주동기어(320)의 회전속도보다 종동기어(330)가 저속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실질적인 감속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승강수단은 링크바(42), 링크바 작동부재(44), 캠바디(46), 조작봉(45), 조절노브(46)를 포함한다.
링크바(42)는 불판안착부(R)의 양측면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함체 내 바닥면에 형성된 측벽부재(210)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며, 2개의 링크바(42)가 교차되어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양측에 각기 한쌍의 링크바(42)가 각기 결합되어 불판안착부(R)를 지지하도록 하고 승강 작동될 수 있다.
링크바 작동부재(44)는 링크바(42)의 하단에 결합되며, 함체의 측벽부재(210)에 형성된 장공(H1)에 삽입되는 링크샤프트(44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형성된 샤프트로드(442)로 구성된다.
캠바디(46)는 샤프트로드(442)가 끼움결합되는 일단에 개구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며 타단에도 개구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통로에 통하도록 천공되어 캠홈(462)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조절노브(46)는 캠바디(46)의 타단 개구공에 결합되는 조작봉(45)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조작봉(45)의 타단 외주면에는 상기 캠홈(462)에 결합되는 캠핀(452)이 형성된 조작봉(45)의 단부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열원부(5)의 덮개(52)는, 표면이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흑색 양극산화피막 처리를 하여 보호막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막의 표면에 초벌 도색을 한 후 흰색 도료를 도포하여 2차 표면처리를 하고, 외면에 흑색 양극산화피막 처리하여 코팅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산화피막(oxidation film)이란 금속표면을 산화시켜 생성된 산화물로 금속표면을 처리하는 것이다.
산화피막처리를 하면 금속은 내구성이 좋아지고, 부식에 강해진다. 금속을 산화피막처리하는 방법으로 양극산화법(anodizing, anodic oxidation)이 있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의 양극처리가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AL의 양극산화로 일컫는다.
양극산화피막은 일반도금 방법과 반대로 AL소지 제품을 전해액중에서 양극으로(이때 발생기 산소에 의한 산화피막형성), 음극은 납 등 불활성 재료를 사용한다.
양극산화피막은 전기저항이 크고, 경도가 높으며(내마모성) 내식성이 뛰어나며, 염색처리가 가능해 외관 장식성도 뛰어나게 된다.
양극산화피막은 다공질층과 베리어(BARRIER)층의 2중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열원부(5)의 덮개(52)의 외부에 단열부(W);가 부착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열부(W)는, 상부 덮개(522)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단열보드(100);
단열보드(100)에 끼워지도록 일측에 복수개의 쐐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 구획프레임(220)을 구비하는 요철부(200);
구획프레임(220)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충전공간부를 형성하고, 복수개의 주입안내홀부(320)가 관통 형성되는 결합부(300);
결합부(300)가 구획프레임(220)에 결합시 주입안내홀부(320)를 통해 충전공간부에 충전되는 발포재(400);
결합부(300)에 접착제로 고정되어 결합부(300)를 노출 방지되도록 덮개하는 덮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열부(W)는 외부에서 내부로 전달되거나 내부에서 외부로 전달되는 열기의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단열부(W)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PE 또는 PP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가 혼합되어 내열성과 탄성력을 갖는 발포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요철부(200)는 단열부(W)에 강제적으로 끼워지도록 일측에 복수개의 쐐기(210)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 구획프레임(220)을 구비한다.
요철부(200)와 단열부(W)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요철부(200)를 단열부(W) 측으로 가압하면 쐐기(210)가 단열부(W)에 강제 삽입되어 요철부(200)는 단열부(W)에 가거치된다.
단열부(W)와 요철부(200)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이격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열기 또는 냉기가 단열부(W)를 통과시 열기 또는 냉기가 내부로 유입 방지되게 머무를 수 있게 된다.
구획프레임(220)은 요철부(200)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어 충전공간부(310)를 구획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탄성결합부(23)에 의해 요철부(200)에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탄성결합부(23)는 요철부(200)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230a) 및 관통홀부(230a)의 주변에 걸림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구획프레임(220)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후크부(230b)를 포함한다.
걸림후크부(230b)를 관통홀부(230a)에 삽입시키면 걸림후크부(230b)는 관통홀부(230a)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오므라지면서 삽입되다가 관통홀부(230a)를 통과하는 순간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관통홀부(230a)의 주변에 걸림 고정된다.
결합부(300)는 구획프레임(220)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충전공간부(310)를 형성하고, 충전공간부(310)에 연통되는 주입안내홀부(320)가 복수개로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30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재질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슬라이드결합부(330)에 의해 구획프레임(220)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드결합부(330)는 구획부(22)에 함몰 형성되는 슬라이드홈부(330a) 및 슬라이드홈부(330a)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결합부(300)에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드레일부(33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결합부(300)는 구획프레임(220)에 간편하게 슬라이드 조립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요철부(200)는 처짐방지보강부(600)에 의해 구획프레임(220)의 하중으로 인한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처짐방지보강부(600)는 내벽(500)에 고정 설치되고, 체결홀부(610a)를 구비하는 고정브라켓(610) 및 슬라이드홈부(330a)에 삽입된다.
슬라이드홈부(330a)에 삽입시 요철부(200)와 단열부(W)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체결홀부(610a)에 체결되는 체결지지볼트(620)를 포함한다.
구획프레임(220)이 요철부(200)에 탄성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지지볼트(620)가 고정브라켓(610)의 체결홀부(610a)에 체결되면 구획프레임(220)은 요철부(200)에서 이탈 방지되는 동시에 내벽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철부(200)로 하중 전달 방지되어 요철부(200)의 쐐기(210)가 단열부(W)에서 빠지면서 단열부(W)를 손상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발포재(400)는 결합부(300)가 구획프레임(220)에 결합시 주입안내홀부(320)를 통해 충전공간부(310)에 충전된다.
발포재(400)는 소음 및 진동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단열부(W)와 더불어 베이스 기판(211)의 외부에서 내부로 전달되거나 내부에서 외부로 전달되는 열기 또는 냉기를 이중으로 차단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즉, 베이스 기판(211)의 외부에서 내부로 전달되거나 내부에서 외부로 전달되는 열기 또는 냉기를 단열부(W)가 1차적으로 차단하고, 발포재(400)가 2차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각기 다른 재질에 의한 특성으로 단열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발포재(400)는 충전공간부(310)의 70% 내지 90%의 범위로 충전되어 공기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덮개부(500)는 결합부(300)에 접착제(미도시)로 고정되어 결합부(300)를 노출 방지되도록 덮개한다. 이러한 덮개부(500)는 결합부(300)의 표면을 마감 처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200)의 상부에 불판안착부(R)가 결합되고, 불판안착부(R)의 결합공으로 종동기어(330)의 통공(332)이 노출되도록 한다.
이후 불판(100)의 배유관(140)가 종동기어(330)의 통공(332)에 끼워지도록 하여 불판(100)을 올려놓는다.
불판(100)의 배유관(140)가 종동기어(330)의 통공(332)에 끼움결합되면 상기 환상돌부(147)가 환형홈(335)에 결합됨으로써 불판(10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어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이후 본체(200)의 개구부(280)를 통해 기름받이(260)를 결합시킨다.
이후 제어부(400)의 스위치(201)를 온(on) 작동시키면 열원부(5)에서 열원이 발생하고, 발생된 열원, 즉 열에너지와 원적외선이 하부로 방사되어 불판(100)에 열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열원부(5)에서 발생된 열이 불판(100)에 올려진 고기를 익히게 된다.
또한 구동부(300)의 온(on) 작동에 의해 소정의 회전속도로 불판(100)이 회전됨으로써 골고루 고기를 익힐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52 : 덮개 54 : 버너
56 : 세라믹판 58 ; 보호망
100 : 불판 110 : 배출공
140 : 배유관 146 : 환턱
147 : 환상돌부 200 : 본체
220 : 지지부 5 : 열원부
270 : 안착부 272 : 결합공
260 : 기름받이 300 : 구동부
310 : 구동모터 320 : 주동기어
330 : 종동기어 332 : 통공
400 : 제어부 335 : 환형홈

Claims (3)

  1.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배유관이 형성된 불판이 장착되는 것으로,
    지면에 지지되며 상부에 불판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부에 수직하게 부착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본체;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단열부가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 개구부를 통해 열을 방출하는 버너와, 상기 하부 개구부에 세라믹불판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열원부;
    상기 불판의 배유관이 결합되는 통공이 형성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주동기어와, 상기 주동기어와 연결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불판을 회전시키는 불판안착부;
    상기 불판안착부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함체 내 바닥면에 형성된 측벽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교차되게 결합는 한쌍의 링크바와,
    상기 링크바의 하단에 결합되며, 함체의 측벽부재에 형성된 장공에 삽입되는 링크샤프트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샤프트로드가 형성된 링크바 작동부재와,
    상기 샤프트로드가 끼움결합되는 일단에 개구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며 타단에도 개구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통로에 통하도록 천공되어 캠홈이 경사지게 형성된 캠바디와,
    상기 캠바디의 타단 개구공에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캠홈에 결합되는 캠핀이 형성된 조작봉과 상기 조작봉의 단부에 결합된 조절노브로 구성된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열원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하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내부에 장착되며 화구가 덮개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하는 버너와, 상기 버너의 화구에 대응되며 덮개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세라믹판과, 상기 덮개의 외부에는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망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열원부의 덮개는,
    표면이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흑색 양극산화피막 처리를 하여 보호막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막의 표면에 초벌 도색을 한 후 흰색 도료를 도포하여 2차 표면처리를 하고, 외면에 흑색 양극산화피막 처리하여 코팅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양극산화피막은 다공질층과 베리어(BARRIER)층의 2중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부의 덮개의 외부에 단열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열부는,
    상부 덮개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단열보드;
    상기 단열보드에 끼워지도록 일측에 복수개의 쐐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 구획프레임을 구비하는 요철부;
    상기 구획프레임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충전공간부를 형성하고, 복수개의 주입안내홀부가 관통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가 상기 구획프레임에 결합시 상기 주입안내홀부를 통해 상기 충전공간부에 충전되는 발포재;
    상기 결합부에 접착제로 고정되어 결합플레이트를 노출 방지되도록 커버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


KR1020210108482A 2021-08-18 2021-08-18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 KR102358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482A KR102358051B1 (ko) 2021-08-18 2021-08-18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482A KR102358051B1 (ko) 2021-08-18 2021-08-18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051B1 true KR102358051B1 (ko) 2022-02-08

Family

ID=80252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482A KR102358051B1 (ko) 2021-08-18 2021-08-18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05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023A (ja) * 2002-10-21 2004-05-13 Higo-Griller Co Ltd 加熱調理器
KR20140008785A (ko) * 2012-07-12 2014-01-22 박정열 테이블 장착 및 휴대가 가능한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
KR101719747B1 (ko) * 2016-04-04 2017-03-24 에이피에스홀딩스 주식회사 히터블록 조립체 제조 방법, 히터블록 조립체 및 열처리 장치
WO2017112936A1 (en) * 2015-12-23 2017-06-29 Hestan Commercial Corporation Cooking grill
KR102235956B1 (ko) * 2020-11-11 2021-04-02 김민이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고기구이기
KR102235955B1 (ko) * 2020-11-06 2021-04-02 김민이 회전식 불판을 구비한 고기구이기
KR102257851B1 (ko) * 2020-10-13 2021-05-28 (주)동아건설 건축용 단열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023A (ja) * 2002-10-21 2004-05-13 Higo-Griller Co Ltd 加熱調理器
KR20140008785A (ko) * 2012-07-12 2014-01-22 박정열 테이블 장착 및 휴대가 가능한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
WO2017112936A1 (en) * 2015-12-23 2017-06-29 Hestan Commercial Corporation Cooking grill
KR101719747B1 (ko) * 2016-04-04 2017-03-24 에이피에스홀딩스 주식회사 히터블록 조립체 제조 방법, 히터블록 조립체 및 열처리 장치
KR102257851B1 (ko) * 2020-10-13 2021-05-28 (주)동아건설 건축용 단열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35955B1 (ko) * 2020-11-06 2021-04-02 김민이 회전식 불판을 구비한 고기구이기
KR102235956B1 (ko) * 2020-11-11 2021-04-02 김민이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고기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8881B1 (en) Infrared heating cooker
WO2018212473A1 (ko) 다용도 복합 조리기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KR102431129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직화드럼을 구비하는 연속식 자동 직화장치
KR102358051B1 (ko) 상부 버너를 구비한 조리장치
KR20060128428A (ko) 고기구이테이블
KR100809851B1 (ko) 구이기
US6288369B1 (en) Cooking apparatus
KR100881211B1 (ko) 고기 구이기
KR101968249B1 (ko) 직립형 숯불구이 장치
KR102235955B1 (ko) 회전식 불판을 구비한 고기구이기
KR200259785Y1 (ko) 훈연기를 가진 바베큐기
JP4669556B2 (ja) 調理器具
KR200227462Y1 (ko) 회전식 황토 숯불 바베큐 구이기
KR200380713Y1 (ko) 닭 구이기
KR200350884Y1 (ko) 테이블용 전기식 로스터
KR200214856Y1 (ko) 원적외선 방사체와 천연옥 반사경을 이용한 구이기
CN215127545U (zh) 电控烘烤装置
CN211933719U (zh) 空气炸锅
KR200196623Y1 (ko) 원적외선 발생 돌을 이용한 통닭 구이 장치
CN107013954A (zh) 多功能微波炉
KR102326591B1 (ko) 구이 장치
KR20120011715A (ko) 회전식 구이장치
KR200367535Y1 (ko) 직립형 그릴장치
KR101108857B1 (ko) 바베큐 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