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750B1 - 귤 껍질을 활용한 친환경 비건 가죽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귤 껍질을 활용한 친환경 비건 가죽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750B1
KR102357750B1 KR1020210116040A KR20210116040A KR102357750B1 KR 102357750 B1 KR102357750 B1 KR 102357750B1 KR 1020210116040 A KR1020210116040 A KR 1020210116040A KR 20210116040 A KR20210116040 A KR 20210116040A KR 102357750 B1 KR102357750 B1 KR 102357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weight
leather
liquid composition
veg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주
Original Assignee
(주)미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쥬 filed Critical (주)미쥬
Priority to KR102021011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D06N3/0059Organic ingredients with special effects, e.g. oil- or water-repellent, antimicrobial, flame-resistant, magnetic, bactericidal, odour-influencing agents; perfum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ultra-fine two-component fibres, e.g. island/sea, or ultra-fine one component fibres (< 1 deni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11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7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mechanical or physical treatments
    • D06N3/0075Napping, teasing, raising or abrading of the resin co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7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mechanical or physical treatments
    • D06N3/0077Embossing; Pressing of the surface; Tumbling and crumbling; Cracking; Cooling; Heating, e.g. mirror finish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06P3/3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leather sk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08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optical properties
    • D06N2209/0838Bright, glossy, shiny surfa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0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mechanic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6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other properties
    • D06N2209/1635Elasti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귤 껍질을 활용한 친환경 비건 가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휘발성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천연 가죽에 버금가는 광택 및 촉감을 가지면서도 높은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친환경 비건 가죽 및 상기 친환경 비건 가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귤 껍질을 활용한 친환경 비건 가죽 및 그 제조방법{ECO-FRIENDLY VEGAN LEATHER USING TANGERINE P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귤 껍질을 활용한 친환경 비건 가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휘발성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천연 가죽에 버금가는 광택 및 촉감을 가지면서도 높은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친환경 비건 가죽 및 상기 친환경 비건 가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구가 증가하고 자연환경 문제가 대두되면서 동물로부터 대량의 천연 가죽을 얻기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합성수지 등을 원단으로 하여 천연 가죽과 비슷한 질감을 얻을 수 있는 인조 가죽이 개발되었으며, 개발된 인조 가죽은 저렴한 가격으로 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의류, 신발, 가구의 내외장재, 차량 내부 인테리어용 자재, 전자제품의 내외장재 등 많은 산업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인조 가죽은 합성수지의 발포체로 이루어진 표면층 및 직물 소재의 섬유층으로 구성되며, 천연 가죽에 가까운 외관과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서 가방, 벨트 등의 소재가 천연 가죽에서 인조 가죽으로 점차 대체되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인조가죽은 폴리우레탄 수지와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아세톤,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의 휘발성이 강한 유기용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수지조성물을 원단 상에 함침하여 일정한 두께로 코팅시켜 제조되며, 이에 따라 천연 가죽과 비슷한 질량감, 부드러운 표면 느낌, 향상된 유연성 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제조되어 인간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인조 가죽의 경우, 유해물질이 잔류되어서는 안되며, 또한 제조공정에서부터 친환경적 요소를 가미해야하는 것은 지금의 웰빙(well-geing) 문화에 필수 요건이다.
그러나, 상기 인조 가죽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기용제들은 폴리우레탄에 대한 우수한 용제성이 있으나, 유기 화학물로서 제조 공정 시 공해가 많이 발생하여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디메틸포름아미드는 물과 접촉하면 응고되기 때문에 작업 후 사용된 기계장치, 악품조, 공급조 등을 일일이 작업자가 닦아 제거하여야 하며, 인체의 호흡기나 피부를 통해 인체에 쉽게 침투되어 간장 질환, 신장암, 피부 질환 등을 일으키는 환경 유해물질로 대기중에 방출되지 못하게 회수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코팅된 제품의 외관은 하얀 가루를 뿌려 놓은 것 같은 색상을 띠므로, 안료를 이용하여 표면을 조색하여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상기 안료 또한 디메틸포름아 미드를 포함하고 있어, 번거로움과 처리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유기용제 대신 물에 분산되어 있는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물에서의 분포도, 분자 크기, 분산 조건 등이 불안정하고, 기계적인 마찰 등으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코팅되는 폴리우레탄 수지가 딱딱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901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천연 가죽에 버금가는 유연성, 광택, 및 촉감을 가지면서도,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휘발성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비건 가죽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부직포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부직포 원단을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감귤 분말,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에 침지하여 상기 액상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액상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 원단을 알칼리 수용액에 침지하여 극세섬유화된 부직포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극세섬유화된 부직포 원단의 표면을 연마하여 상기 부직포 원단 표면에 기모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모가 형성된 부직포 원단을 염색하여 비건 가죽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건 가죽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직포 원단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알칼리 가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해도형 복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센셜 오일은, 시트러스 오일, 시나몬 오일, 유칼립튜스 오일, 라벤더 오일, 파인 오일, 레몬 오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극세섬유화된 부직포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액상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 원단을 알칼리 수용액에 침지하여 상기 알칼리 수용액에 의해 상기 부직포 원단에 포함된 알칼리 가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용출되어 극세섬유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침지는, 15℃ 내지 37℃의 온도 범위에서 1 초 내지 120 초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휘발성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며, 천연 가죽에 버금가는 유연성, 광택, 기계적 물성, 및 촉감을 가지는, 저밀도 경량화가 가능한 비건 가죽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비건 가죽은, 벤젠, 톨루엔 등의 휘발성 유기용제를 함유하지 않아 친환경 인증 기준에 부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기될 수 있는 귤 껍질을 재활용할 수 있어 지역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부가가치 창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건 가죽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부직포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부직포 원단을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감귤 분말,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에 침지하여 상기 액상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액상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 원단을 알칼리 수용액에 침지하여 극세섬유화된 부직포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극세섬유화된 부직포 원단의 표면을 연마하여 상기 부직포 원단 표면에 기모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모가 형성된 부직포 원단을 염색하여 비건 가죽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건 가죽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건 가죽 제조방법에 의하면, 천연 가죽에 버금가는 유연성, 광택, 기계적 물성, 및 촉감을 가지는 인조 가죽을 휘발성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제조할 수 있으며, 폐기될 수 있는 귤 껍질을 재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지역 경제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건 가죽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해도형 복합섬유를 이용하여 부직포 원단을 준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부직포 원단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알칼리 가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해도형 복합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해도형 복합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원단을 추후 알칼리 수용액에 침지할 경우 알칼리 가용성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용해되어 얇은 실 단면에 여러 개의 구멍이 나게됨으로써 극세섬유화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직포 원단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알칼리 가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원료로 하여 복합방사하여 제조된 해도형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원단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70 중량% 및 알칼리 가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30 중량%를 포함하는 해도형 복합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해도형 복합섬유의 구성성분이 상기 서술한 중량%를 벗어날 경우, 추후 알칼리 수용액에 침지 시 해성분의 용해가 충분히 수행되지 않아 극세섬유화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부직포 원단을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감귤 분말,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에 침지하여 상기 액상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 원단을 제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은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약 10 내지 약 50 중량%, 감귤 분말 약 0.01 내지 약 3 중량%, 에센셜 오일 약 0.1 내지 약 5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액상 조성물에서,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는 상기 부직포 원단에 함침되어 인조 가죽을 형성하도록 하는 주요성분이다. 종래에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극성 유기용제에 용해하여 원단에 코팅 또는 함침시킴으로써 인조 가죽을 형성하였으나, 상기 극성 유기용제로 인한 악취와 공해, 및 화재발생 등의 위험으로 인하여 물에 용해될 수 있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인조 가죽인 비건 가죽은 친환경성을 나타내며, 제조 공정 시 악취와 화재위험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는 액상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약 10 내지 약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가 약 10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제조되는 비건 가죽의 기계적 강도가 떨어할 수 있으며, 약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액상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작업성이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의 구성성분으로서 감귤 분말은 액상 조성물의 점도를 향상시켜 상기 부직포 원단과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와의 접착력을 높이고,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를 풍부하게 포함함으로써 추후 밝은색으로 비건 가죽을 염색 시 염료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귤 분말은, 감귤 껍질로부터 수득된 감귤 분말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귤 분말은, 감귤을 준비하여 세척하는 단계; 상기 감귤로부터 감귤 과육과 감귤 껍질을 분리하여 감귤 껍질만 수집하는 단계; 상기 감귤 껍질을 열풍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열풍건조한 감귤 껍질을 분쇄하여 감귤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귤 껍질로부터 제조된 감귤 분말은 높은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비건 가죽 제조 시 첨가되어 상기 비건 가죽을 장기간 보관 시 곰팡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귤 분말은 상기 액상 조성물에서 약 0.01 내지 약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감귤 분말이 약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감귤 분말을 포함함에 따라 나타나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약 3 중량%를 초과할 경우 액상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작업성이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귤 껍질은 약 60℃ 내지 약 90℃의 온도 범위에서 약 1 시간 내지 약 12 시간 동안 열풍건조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60℃ 미만의 온도에서 약 1 시간 미만으로 건조될 경우 감귤 껍질이 충분히 건조되지 않아 부패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약 9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약 12 시간을 초과하여 건조될 경우 쉽게 타 불쾌한 향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의 구성성분으로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천연 성분으로서 상쾌한 향취를 부여함으로써 공정 시의 작업자 뿐만 아니라 비건 가죽의 소비자가 코로 향을 들이 마셨을 때 심신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액상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여 부직포 원단의 침지 시 상기 액상 조성물이 상기 부직포 원단의 표면 및 내부로 빠르게 코팅 및 함침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션셜 오일은 종래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인조 가죽의 뻣뻣한 느낌을 보완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센셜 오일은 상기 액상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제조되는 비건 가죽의 뻣뻣한 느낌을 보완하고 부드러운 촉감 및 광택감을 부여함으로써 천연 가죽에 버금가는 광택 및 촉감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시트러스 오일, 시나몬 오일, 유칼립튜스 오일, 라벤더 오일, 파인 오일, 레몬 오일, 프로그랜스 오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시트러스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상기 액상 조성물 전체 대비 약 0.1 내지 약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에센셜 오일이 약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에센셜 오일을 포함함에 따라 나타나는 유연성, 촉감, 광택감, 향취 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은 솔잎 추출물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잎은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되어 있는 침엽상록수인 소나무의 잎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솔잎은 상쾌한 향취를 지니며, 테르펜류 및 탄닌을 약리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항균 및 방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비건 가죽은 미생물의 번식을 차단하여 곰팡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비건 가죽의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솔잎 추출물은, 소나무로부터 솔잎을 채취하여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 상기 세척 및 건조된 솔잎을 분쇄하여 솔잎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솔잎 분말 중량의 약 10 배 내지 약 500 배의 용매를 가하고 약 100℃ 내지 약 18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솔잎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솔잎 추출물은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수득됨에 따라, 솔잎에 포함된 약리성분이 충분히 용해되어 항균, 향취 및 방부 효과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솔잎 추출물은 상기 액상 조성물 전체 대비 약 0.1 내지 약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솔잎 추출물이 약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솔잎 추출물을 포함함에 따라 나타나는 항균, 향취 및 방부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은 천연 유래 발수제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종래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인조 가죽은 물성이 약하여 쉽게 보풀이 발생하고, 변형되는 외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습한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 이러한 외관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곰팡이가 피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액상 조성물은 자연에서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는 발수, 방수 성능을 지니는 물질인 천연 유래 발수제를 추가 포함함으로써, 제조되는 비건 가죽에 발수 성능을 부여하여 비건 가죽의 보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천연 유래 발수제는 코코야자 과실의 배젖으로부터 추출된 야자유, 올리브유, 피자마유, 땅콩유, 돈지, 양지, 우지,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야자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천연 유래 발수제는 상기 액상 조성물 전체 대비 약 0.01 내지 약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천연 유래 발수제가 약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천연 유래 발수제를 포함함에 따라 나타나는 발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3 중량%를 초과할 경우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은 연근 추출액을 추가 포함함으로써 상기 액상 조성물과 부직포 원단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근 추출액은 천연 접착 성분으로, 상기 액상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와 다른 구성 성분, 및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와 부직포 원단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바인더로 기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근 추출액은 연근의 껍질을 벗기고 분쇄한 후, 연근 중량의 5 배의 물을 첨가하고, 약 80℃ 내지 약 100℃에서 6시간 이상 가열한 후, 액체 성분을 추출하여 여과하며, 이어서 여과된 액체성분을 약 55℃ 내지 약 60℃에서 농축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근 추출액은 상기 액상 조성물 전체 대비 약 0.1 내지 약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연근 추출액이 약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접착성 향상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분산성 및 혼합성이 오히려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은 수용성 천연 고분자를 추가 포함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천연 고분자는 키토산(chitosan), 키토산염, 키토산 유도체; 덱스트란(dextran), 덱스트란 유도체;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염, 히알루론산 유도체; 펙틴(pectin), 팩틴염, 팩틴 유도체; 알긴산(alginic acid), 알긴산염, 알긴산염 유도체; 아가(agar), 갈락토만난(galactomannans), 갈락토만난염, 갈락토만난 유도체; 잔탄(xanthan), 잔탄염, 잔탄 유도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염,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 및 아밀로오즈(amylose, 수용성 전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덱스트란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덱스트란은 사탕수수가 세균에 의해 분해된, 포도당 중합체로서 D-글루코오스로 중합되는 세균성 다당류(polysaccharide)의 일종이며, 약 3 내지 약 2000 kDa에 이르는 다양한 길이의 사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란 유도체는 아카시아 검(acacia gum), 또는 트라가칸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천연 고분자는 상기 액상 조성물 전체 대비 약 0.01 내지 약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수용성 천연 고분자가 약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기계적 강도 향상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3 중량%를 초과할 경우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지는 약 15℃ 내지 약 37℃의 온도 범위에서 약 1 초 내지 약 120 초간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침지가 약 15℃ 미만의 온도에서 약 1 초 미만으로 수행될 경우 상기 액상 조성물이 충분히 함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침지가 약 37℃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될 경우 원단이 상할 수 있고, 약 120 초를 초과할 경우 공정에 지나치게 오랜 시간이 걸려 작업 효율이 하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액상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 원단을 알칼리 수용액에 침지하여 극세섬유화된 부직포 원단을 제조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액상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 원단을 알칼리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상기 알칼리 수용액에 의해 상기 부직포 원단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알칼리 가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해도형 복합섬유의 해성분인 알칼리 가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용출되어 극세섬유화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수용액은 알칼리성을 띄는 물질을 물에 용해한 수용액 상태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수산화칼륨 수용액, 탄산나트륨 수용액, 탄산칼륨 수용액, 탄산수소칼륨 수용액,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알칼리 수용액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극세섬유화된 부직포 원단을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극세섬유화된 부직포 원단을 초음파 처리함으로써, 상기 알칼리 수용액에 침지 시 미처 용해되지 않은 해성분인 알칼리 가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완전히 용해시켜 제거하여 극세섬유화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액상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 원단을 알칼리 수용액에 침지하고, 초음파 처리하여 극세섬유화된 부직포 원단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처리는 약 100 내지 약 500 W의 파워로 약 40℃ 내지 약 65℃의 온도에서 약 5 분 내지 약 30 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초음파 처리가 약 100 W 미만의 파워, 약 40℃ 미만의 온도, 및/또는 약 5 분 미만으로 수행될 경우 해성분의 용해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상기 초음파 처리가 약 500 W를 초과하는 파워, 약 65℃를 초과하는 온도, 및/또는 약 30 분을 초과하여 수행될 경우 부직포 원단 및 상기 부직포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비건 가죽의 기계적 강도가 지나치게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수용액에 침지한 부직포 원단을 산 수용액에 침지하여 중화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수용액에 침지하여 극세섬유화한 부직포 원단을 산 수용액에 침지하여 중화함으로써, 원단이 상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 수용액은 산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물에 용해한 수용액 상태의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세트산(acetic acid), 부티르산(butyr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옥살산(oxalic acid), 타타르산(tartar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락트산(lactic acid), 말레산(maleic acid),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극세섬유화된 부직포 원단의 표면을 연마하여 상기 부직포 원단의 표면에 기모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극세섬유화된 부직포 원단의 표면을 연마하고 열처리하여 부직포 원단의 표면에 기모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마는 통상의 기모기 및/또는 사포를 이용하여 처리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기모기로 약 2 회 내지 약 10 회 처리되거나, 메쉬 약 100 내지 약 240 번의 사포를 이용하여 처리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약 110℃ 내지 약 16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열처리가 약 110℃ 미만에서 수행될 경우 기모가 충분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160℃를 초과할 경우 열에 의해 손상되어 제조되는 비건 가죽의 기계적 강도가 하락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기모가 형성된 부직포 원단을 염색하여 비건 가죽을 수득한다. 상기 염색은 합성 가죽 또는 인조 가죽에 색을 입힐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분산 염료를 이용하여 염색기에서 염색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건 가죽은 외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건 가죽은 외피로서 사용되어 내피와 결합되어 가방, 지갑, 자동차 내외장재, 가구 내외장재, 의류, 신발, 전자제품 내외장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건 가죽이 내피와 결합되어 활용될 경우, 상기 내피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리사이클 폴리에스터, 스판덱스, 고어텍스, 폴리에스터-나일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건 가죽은 친환경 인증기준에 부합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건가죽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매우 낮은 용량으로 함유함에 따라, 친환경 인증 기준을 통과한 친환경 인조 가죽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휘발성 유기용제는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벤젠, 에틸벤젠, 자일렌, 스티렌, 포름알데히드, 아크톨레인,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성분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70 중량%, 해성분으로 알칼리 가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30 중량%를 복합방사하여 해도형 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이를 연신, 크림핑, 열고정 후 절단하여 해도형 단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해도형 단섬유를 카딩 공정 및 크로스 래핑 공정을 통해 다층의 웹을 형성한 후 니들 펀칭을 실시하여 부직포 원단을 제조하였다.
상기 부직포 원단을 20℃에서 하기 표 1의 액상 조성물에 30 초간 침지한 뒤, 10 중량%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침지하여 상기 해성분을 용출시켰다. 다음으로, 부직포 원단의 표면을 기모기를 사용하여 연마하고, 140℃에서 4 분간 열처리하여 기모를 형성하였다. 기모가 형성된 부직포 원단을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염색기에서 염색하고 세척하여 실시예 1의 비건 가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직포 원단을 준비하여 하기 표 1의 액상 조성물에 30 초간 침지한 뒤, 10 중량%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침지하고 45℃, 200 W의 파워로 5 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상기 해성분을 용출시켰다. 다음으로, 부직포 원단의 표면을 기모기를 사용하여 연마하고, 140℃에서 4 분간 열처리하여 기모를 형성하였다. 기모가 형성된 부직포 원단을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염색기에서 염색하고 세척하여 실시예 2의 비건 가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되, 액상 조성물로서 하기 표 1의 구성성분을 포함하도록 하여 실시예 3의 비건 가죽을 제조하였다.
액상 조성물 구성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40.00 40.00 40.00
감귤 껍질 분말 0.50 0.50 0.50
시트러스 오일(감귤 오일) 2.50 2.00 1.50
솔잎 추출물 - 3.00 3.00
천연 유래 발수제(야자유) - - 0.25
연근 추출액 - 4.50 5.00
수용성 천연 고분자(트라가칸트) - - 0.5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비교예]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를 이용하여 1.2 mm 두께의 니들 펀칭 부직포를 준비하고, 상기 니들 펀칭 부직포를 유기용제로서 디메틸포름아미드(DMF, 60 중량%)에 폴리우레탄 40 중량%을 용해한 액상 조성물에 약 30 초간 침지하여 상기 액상 조성물을 니들 펀칭 부직포 내에 함침시켰다. 상기 액상 조성물이 함침된 니들 펀칭 부직포는 비용매인 상온 물에 10 분간 재침지하여 상기 액상 조성물을 응고시켰다. 응고 후 세척한 뒤, 140℃의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함으로써 비교예의 인조 가죽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휘발성 유기화합물 함유량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비건 가죽에 함유된 톨루엔, 포름알데히드, 벤젠 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MS 300-55에 의거하여 수행되었으며,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단위: μg/m3).
구분
(친환경 인증기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벤젠 함유량
(30 미만)
N.D N.D N.D 42
톨루엔 함유량
(1,000 미만)
187 110 98 5,483
에틸벤젠 함유량
(1,000 미만)
18 11 2 356
자일렌 함유량
(870 미만)
12 7 4 267
스티렌 함유량
(220 미만)
N.D N.D N.D 65
포름알데히드 함유량
(210 미만)
N.D N.D N.D 98
아크톨레인 함유량
(50 미만)
N.D N.D N.D 13
* N.D: Not detected (미검출)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건 가죽의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매우 낮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함유량을 나타내었으며, 그에 따라 친환경 인증 기준에 부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기계적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비건 가죽들에 대한 인장하중(Tensile load L/W) 파단신율(Breaking elongation L/W) 인열하중(Tear load L/W) 박리하중(Peel load) 및 마모강도(Abrasion resistance)를 각각 측정하였다.
먼저, 인장하중, 파단신율, 인열하중의 경우 ISO 13934-1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박리하중은 ISO 11644에 의거하여 측정하고, 마모강도의 경우 ATSM_0496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표준·인증기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인장하중
(220 N/3cm 이상)
261 298 311 165
파단신율
(30% 이상)
32 34 39 18
인열하중
(20 N 이상)
24 30 41 9
박리하중
(20 N/3cm 이상)
33 42 47 18
마모강도
(100,000 회 이상)
100,000 이상 100,000 이상 100,000 이상 46,000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건 가죽의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인장하중, 파단신율, 인열하중, 박리하중, 및 마모강도 모두에 대해 매우 높은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어 인증기준에 부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내구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비건 가죽들에 대한 내황변성(Yellowing resistance), 내비틀림성(Torsion resistance) 및 염색견뢰도(Color fastness (dry/wet)를 각각 ASTM_D4157, ISO 5402, 및 AATCC-8에 의거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표준·인증기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내황변성
(4 레벨 이상)
4 5 5 2
내비틀림성
(100,000 회 이상)
100,000 이상 100,000 이상 100,000 이상 68,500
염색견뢰도
(3.5 레벨 이상)
4 5 5 3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건 가죽의 경우, 내황변성, 내비틀림성, 및 염색견뢰도를 포함하는 내구성 측정 결과에서 비교예 보다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어 인증기준에 부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70 중량% 및 알칼리 가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30 중량%를 포함하는 해도형 복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부직포 원단을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10 내지 50 중량%, 감귤 분말 0.01 내지 3 중량%, 감귤 오일 0.1 내지 5 중량%, 솔잎 추출물 0.1 내지 5 중량%, 연근 추출액 0.1 내지 5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에 침지하여 상기 액상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액상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 원단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침지하여 상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의해 상기 부직포 원단에 포함된 알칼리 가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용출시켜 극세섬유화된 부직포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극세섬유화된 부직포 원단을 40℃ 내지 65℃의 온도에서 5 분 내지 30 분 동안 100 W 내지 500 W의 파워로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처리한 부직포 원단을 산 수용액에 침지하여 중화하는 단계;
    상기 중화한 부직포 원단의 표면을 연마하여 상기 부직포 원단 표면에 기모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모가 형성된 부직포 원단을 염색하여 비건 가죽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건 가죽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는,
    15℃ 내지 37℃의 온도 범위에서 1 초 내지 120 초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건 가죽 제조방법.
KR1020210116040A 2021-09-01 2021-09-01 귤 껍질을 활용한 친환경 비건 가죽 및 그 제조방법 KR102357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040A KR102357750B1 (ko) 2021-09-01 2021-09-01 귤 껍질을 활용한 친환경 비건 가죽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040A KR102357750B1 (ko) 2021-09-01 2021-09-01 귤 껍질을 활용한 친환경 비건 가죽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750B1 true KR102357750B1 (ko) 2022-02-08

Family

ID=8025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040A KR102357750B1 (ko) 2021-09-01 2021-09-01 귤 껍질을 활용한 친환경 비건 가죽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6936A (ko) 2022-10-24 2024-05-02 이서도 감귤박을 이용한 식물성 가죽 제조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9187A (ja) * 1989-04-21 1990-11-29 Kuraray Co Ltd スエード調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JP2001081677A (ja) * 1999-09-10 2001-03-27 Toray Ind Inc 耐摩耗性に優れた立毛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20085414A (ko) * 2001-05-08 2002-11-16 서상우 서방향성 인조 피혁 및 그 제조 방법
KR101490140B1 (ko) 2014-07-08 2015-02-09 주식회사 동우에이엘티 높은 통기성 및 유연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합성피혁 또는 필름의 제조방법
KR20190034886A (ko) * 2017-09-25 2019-04-0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원착 폴리에스테르 해도형 복합사를 이용한 부직포 인공피혁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37597A (ko) * 2017-09-29 2019-04-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KR102209315B1 (ko) * 2020-12-07 2021-02-01 주식회사 새한비엠 미네랄 난연 조성물로 난연 처리된 친환경 부직포를 이용한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9187A (ja) * 1989-04-21 1990-11-29 Kuraray Co Ltd スエード調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JP2001081677A (ja) * 1999-09-10 2001-03-27 Toray Ind Inc 耐摩耗性に優れた立毛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20085414A (ko) * 2001-05-08 2002-11-16 서상우 서방향성 인조 피혁 및 그 제조 방법
KR101490140B1 (ko) 2014-07-08 2015-02-09 주식회사 동우에이엘티 높은 통기성 및 유연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합성피혁 또는 필름의 제조방법
KR20190034886A (ko) * 2017-09-25 2019-04-0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원착 폴리에스테르 해도형 복합사를 이용한 부직포 인공피혁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37597A (ko) * 2017-09-29 2019-04-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KR102209315B1 (ko) * 2020-12-07 2021-02-01 주식회사 새한비엠 미네랄 난연 조성물로 난연 처리된 친환경 부직포를 이용한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6936A (ko) 2022-10-24 2024-05-02 이서도 감귤박을 이용한 식물성 가죽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0548B (zh) 抗菌除臭性纖維以及使用該纖維的纖維成形品與纖維製品
Ammayappan et al. Study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aloevera, chitosan, and curcumin on cotton, wool, and rabbit hair
KR100441358B1 (ko) 키토산 함유 아크릴 섬유 및 그의 제조 방법
El-Shafei et al. Herbal extract as an ecofriendly antibacterial finishing of cotton fabric
JP6241620B2 (ja) 糸の可織性を改良するためのプロセス
KR102357750B1 (ko) 귤 껍질을 활용한 친환경 비건 가죽 및 그 제조방법
KR102523900B1 (ko) 친환경 기능성 원단
EP3476996A1 (en) A process for preparing a composite textile article including a biopolymer layer produced by microoorganisms
CN108299696A (zh) 甲壳素纳米纤维抗菌胶质手套及其制备方法
CN113089151B (zh) 一种含棉纤维的三维抗菌纱线及其制备方法和毛巾制品
KR102148226B1 (ko) 항균 및 항곰팡이성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5839410A (zh) 一种安全防护手术衣
KR100515131B1 (ko) 고분자 물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46944A (ko) 사과 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 사과 피혁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48206A (ko) 항균, 탈취 기능이 뛰어난 의류 및 그 제조방법
Samanta et al. Potential of ligno-cellulosic and protein fibres in sustainable fashion
KR102163253B1 (ko) 반영구적 항균 및 소취능을 갖는 섬유 성형품
KR102163251B1 (ko) 반영구적인 미생물 억제능을 갖는 인체에 무해한 필터
CN108642891A (zh) 一种超纤皮的制备方法
Gobalakrishnan et al. Sustainable finishing process using natural ingredients
CN111733302A (zh) 一种用于制备抗菌皮革的制备方法
JP2003171874A (ja) セリシン・フィブロイン付着ポリエステル物品とその製造方法
CN112127153A (zh) 一种抗菌防臭纺织品及其制备方法
KR102631672B1 (ko) 친환경적인 항균성 면소재의 제조방법
KR102366163B1 (ko) 항균성이 부여된 천연 실크 섬유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