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432B1 -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 Google Patents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432B1
KR102357432B1 KR1020200090057A KR20200090057A KR102357432B1 KR 102357432 B1 KR102357432 B1 KR 102357432B1 KR 1020200090057 A KR1020200090057 A KR 1020200090057A KR 20200090057 A KR20200090057 A KR 20200090057A KR 102357432 B1 KR102357432 B1 KR 102357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connecting rod
honing
diameter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1823A (ko
Inventor
김균영
김대환
문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피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피엠
Priority to KR1020200090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432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3/00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33/02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designed for working internal surfaces of revolution, e.g. of cylindrical or conical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3/00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33/08Honing tools
    • B24B33/083Honing tools with different sets of honing s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3/00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33/10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05Feeding or manipul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grind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가 소형화되고 작업자의 개입 시간이 최소화되며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수평대와 수직대로 이루어지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구비되되 다수의 수평대와 수직대로 이루어지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다수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가 수용되는 공급용기와, 상기 공급용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각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가 차례대로 일렬로 정렬되어 이송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이송로를 포함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공급부; 및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가 호닝 가공되는 동안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를 홀딩하는 홀딩부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대단경과 소단경의 내주면을 정밀 가공하는 호닝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를 복수의 호닝 가공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해당 위치로 이동시키고 최종적으로 가공이 완료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를 배출시키는 이송부로 이루어지는 가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Honing device of connecting rod for compressor}
본 발명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가 소형화되고 작업자의 개입 시간이 최소화되며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닝 가공은 다듬질 가공의 일종으로서 호닝스톤이라는 공구를 사용하여 구멍의 내주면을 정밀하게 연마하는 가공법을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를 호닝 가공할 때 사용하던 장치로서회전하는 턴테이블(10) 내에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를 장착하여 그 상부에 위치한 호닝스톤(20)으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대단경과 소단경의 내주면을 연마하게 된다.
그 작업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턴테이블(10) 내에 장착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대단경을 하강한 호닝스톤(20)의 어느 하나로 호닝 가공을 실시하고, 작업이 끝나면 턴테이블(10)을 회전시켜 다른 호닝스톤(20)의 하부에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대단경이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다른 호닝스톤(20)을 하강시켜 호닝 가공을 실시하며,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장착된 호닝스톤(20) 모두에 대하여 호닝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대단경에 대한 호닝 가공을 완료한다.
그 후, 다른 호닝 장치로 옮겨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소단경에 대하여 호닝 가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두 대의 호닝 장치를 사용하여 여러 단계를 거쳐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를 호닝 가공하고 있어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25845호(2016. 06. 01.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683593호(2016. 12. 07. 공고)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치가 소형화되고 작업자의 개입 시간이 최소화되며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는, 다수의 수평대와 수직대로 이루어지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구비되되 다수의 수평대와 수직대로 이루어지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다수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가 수용되는 공급용기와, 상기 공급용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각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가 차례대로 일렬로 정렬되어 이송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이송로를 포함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공급부; 및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가 호닝 가공되는 동안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를 홀딩하는 홀딩부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대단경과 소단경의 내주면을 정밀 가공하는 호닝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를 복수의 호닝 가공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해당 위치로 이동시키고 최종적으로 가공이 완료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를 배출시키는 이송부로 이루어지는 가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는, 상기 공급부에는 이송로의 배출 단부 측에 구비되어 이송로로부터 배출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가 안착되는 안착블록이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는, 상기 안착블록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대단경과 소단경의 크기에 대응되는 요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는, 상기 공급부에는 상기 안착블록의 하부에 결합되는 안착실린더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착실린더는 이송로의 배출 단부 측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안착블록에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가 안착되는 것이 감지되면 작동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는, 상기 홀딩부는 바닥판 상부에 구비되는 홀딩플레이트와, 상기 홀딩플레이트 상부에 고정되는 홀딩블록과, 상기 홀딩블록 상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구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는, 상기 호닝부는 호닝스톤을 포함하되, 상기 호닝스톤은 제1호닝스톤, 제2호닝스톤, 제3호닝스톤 및 제4호닝스톤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호닝스톤 및 제3호닝스톤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소단경을 호닝하며, 상기 제2호닝스톤 및 제4호닝스톤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대단경을 호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는, 상기 제3호닝스톤은 제1호닝스톤 보다 크기가 더 크고 상기 제4호닝스톤은 제2호닝스톤 보다 크기가 더 크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는, 상기 이송부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수단과, 상기 파지수단을 통해 파지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들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송수단과, 상기 수직이송수단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들을 다음 가공을 위한 소정 위치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는, 상기 파지수단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소단경에 접촉되는 소단경 핑거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대단경에 접촉되는 대단경 핑거를 구비하고, 상기 소단경 핑거와 대단경 핑거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단경 핑거와 대단경 핑거를 이동시키는 핑거 실린더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는, 상기 소단경 핑거와 대단경 핑거는 각각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소단경과 대단경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파지홈을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는, 상기 파지홈의 일측에는 각각 그 내부로 볼플런저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는, 상기 수직이송수단은 상기 핑거 실린더와 결합되어 상기 파지수단 전체를 승강시키는 수직이송실린더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는, 상기 수직이송실린더의 측부에 소단경 핑거와 대단경 핑거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조절수단이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는, 상기 승강조절수단은 수직이송실린더의 상면에 고정되는 이동스토퍼와, 이송지지대의 길이방향 양 단부 측에 고정되는 높이조절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는, 상기 이송지지대에 고정되는 복수의 베어링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양 단부에 구비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기어 결합되되 별도의 블록에 고정되는 랙을 포함하는 승강보정수단이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는, 상기 수평이송수단은 고정지지대에 구비되어 있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 상부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송지지대와, 상기 고정지지대에 일측이 고정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이송지지대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지지대를 이송시키는 수평이송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로 이루어지는 핑거 홀더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재에 핑거 실린더가 연결 고정되며 상기 수직부재에 수직이송실린더가 연결 고정된다.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에 의하면,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소단경과 대단경을 호닝 가공할 수 있는 4개의 호닝스톤이 일렬로 구비되어 있고, 그 하부에 4개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소단경과 대단경에 대한 호닝 가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 크게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에 의하면,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를 정확히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에 의하면, 각 수직이송실린더로의 공기 공급이 불균일해지더라도 승강보정수단에 의해 파지수단 전체를 동일한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에 의하면, 작업자는 공급용기 내부로 다수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를 투입해 놓고 제어반을 작동시킨 후 최종적으로 배출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를 처리하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증대된다.
도 1은 종래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를 호닝 가공할 때 사용하던 호닝장치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의 소정 높이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에 구비된 안착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에 구비된 소단경 핑거와 대단경 핑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에 구비된 핑거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각 구성별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본 발명의 호닝장치에 구비되는 제반 구성품들이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기본 틀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부(100)는 다수의 수평대(110a)와 수직대(110b)로 이루어지는 하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110) 상부에 구비되되 다수의 수평대(120a)와 수직대(120b)로 이루어지는 상부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지지플레이트(11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15) 상면에 공급부(200)와 제어반(P) 등 기타 설비들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하부에는 바닥판(12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125)의 상부로 홀딩플레이트(311)와 이송지지대(357")가 장착된다.
상기 공급부(200)는 피가공물인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를 차례로 하나씩 가공부(300)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공급수단(210), 안착블록(230) 및 안착실린더(25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수단(210)은 다수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수용되는 공급용기(213)와, 상기 공급용기(213)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각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차례대로 일렬로 정렬되어 이송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이송로(21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용기(213)에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이동에 필요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미도시)가 별도로 구성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안착블록(230)은 상기 이송로(215)의 배출 단부 측에 구비되어 이송로(215)로부터 배출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안착되어 호닝 가공 전의 대기 상태로 있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안착블록(2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31)와, 상기 베이스(231) 상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233)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대단경과 소단경의 크기에 대응되는 요홈(235)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33)는 서로 선대칭의 형태로 배치되되 상기 지지부(233) 사이의 공간으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실린더(250)는 상기 안착블록(23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로(215)의 배출 단부 측에 구비된 센서(미도시)에 의해 상기 안착블록(230)에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안착되는 것을 감지되면 작동하도록 제어된다.
즉, 상기 안착실린더(250)는 상기 안착블록(230)에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안착되는 것이 감지되면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대단경 핑거(353") 및 소단경 핑거(353') 사이에서 파지될 수 있도록 안착블록(230)을 상승시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대단경 핑거(353") 및 소단경 핑거(35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가공부(300)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를 호닝 가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홀딩부(310), 호닝부(330) 및 이송부(350)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딩부(310)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호닝 가공되는 동안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를 홀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25) 상부에 구비되는 홀딩플레이트(311)와, 상기 홀딩플레이트(311) 상부에 고정되는 홀딩블록(313)과, 상기 홀딩블록(313) 상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구(315)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딩블록(313)은 네 개로 이루어져 편의상 도면의 좌측부터 제1홀딩블록, 제2홀딩블록, 제3홀딩블록 및 제4홀딩블록으로 칭한다.
상기 고정구(315) 사이의 간격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구(315)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는 폭으로 구성되는바, 이로 인하여 호닝스톤(333)으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소단경이나 대단경을 가공할 때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조금씩 움직이면서 자동 조심 작용이 이루어져 정확한 원으로 가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호닝부(330)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대단경과 소단경의 내주면을 정밀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호닝스톤(333), 승강실린더(335) 및 구동모터(3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호닝스톤(333)은 맨드릴을 통해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축은 구동모터(337)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실린더(335)는 호닝스톤(333)을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닝스톤(333)은 도면상 좌측부터 제1호닝스톤, 제2호닝스톤, 제3호닝스톤 및 제4호닝스톤으로 이루어지고, 제1호닝스톤 및 제3호닝스톤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소단경 호닝을 위한 것이며, 제2호닝스톤 및 제4호닝스톤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대단경 호닝을 위한 것이다.
또한, 제3호닝스톤(333)은 제1호닝스톤 보다 크기가 더 크고 제4호닝스톤은 제2호닝스톤 보다 크기가 더 크게 구성됨으로써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소단경과 대단경에 대하여 호닝 가공이 각각 2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소단경과 대단경을 함께 호닝 가공할 수 있도록 4개의 호닝스톤(333)이 일렬로 구비되어 있고, 그 하부에 4개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소단경과 대단경에 대한 호닝 가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부(350)는 공급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를 복수의 호닝 가공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해당 위치로 이동시키고, 최종적으로 가공이 완료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를 배출판(360)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부(350)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수단(353)과, 상기 파지수단(353)을 통해 파지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들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송수단(355)과, 상기 수직이송수단(355)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들을 다음 가공을 위한 소정 위치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수단(파지플레이트(3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파지수단(35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소단경에 접촉되는 소단경 핑거(353')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대단경에 접촉되는 대단경 핑거(353")를 구비하고, 상기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를 이동시키는 핑거 실린더(353''')를 구비한다.
상기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와 폭을 갖되 수평 이송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각각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소단경과 대단경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파지홈(353'a, 353"a)을 구성하고, 상기 파지홈(353'a, 353"a)은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에 각각 5개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지홈(353'a, 353"a)은 공급부(200)의 출구 측에 위치한 제1파지홈, 그 옆으로 차례대로 제2파지홈, 제3파지홈, 제4파지홈 및 제5파지홈으로 이루어지고, 각 파지홈 사이는 이송거리(s)만큼 이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파지홈 내지 제5파지홈의 일측에는 각각 그 내부로 볼플런저(353'b, 353"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볼플런저(353'b, 353"b)는 본 발명의 호닝장치로 크기가 서로 다른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를 호닝 가공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볼플런저(353'b, 353"b) 내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어 그 탄성력이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에 작용하게 되는바,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 사이에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를 파지하는 경우 다양한 크기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에 대하여 정확한 파지가 가능해진다.
한편,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단경 핑거(353')에는 제1파지홈, 제3파지홈 및 제5파지홈의 상부 측에 파지플레이트(352)가 장착되고, 제2파지홈 및 제4파지홈의 상부 측에 소단경 가공플레이트(354)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대단경 핑거(353")에는 제1파지홈, 제2파지홈 및 제4파지홈의 상부 측에 파지플레이트(352)가 장착되고, 제3파지홈 및 제5파지홈의 상부 측에 대단경 가공플레이트(356)가 장착된다.
상기 소단경 가공플레이트(354)와 대단경 가공플레이트(356)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소단경과 대단경에 대하여 호닝 가공을 실시한 후 호닝스톤(333)이 상승 이동할 때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함께 상승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파지플레이트(352)는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가 서로 근접 이동하여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를 파지하는 경우 파지의 안정성을 위하여 보조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다만, 파지홈(353'a, 353"a)들과 소단경 가공플레이트(354) 및 대단경 가공플레이트(356)의 구성으로 인하여 파지의 안정성은 어느 정도 확보되므로 상기 파지플레이트(352)는 생략할 수도 있으나,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소단경 가공플레이트(354)에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소단경 호닝을 위한 제1호닝스톤과 제3호닝스톤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장공(354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파지홈 측에 구비된 소단경 가공플레이트(354)의 장공이 제4파지홈 측에 구비된 소단경 가공플레이트(354)의 장공 보다 작게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대단경 가공플레이트(356)에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대단경 호닝을 위한 제2호닝스톤과 제4호닝스톤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장공(356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핑거 실린더(353''')는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이송수단(35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핑거 실린더(353''')와 결합되어 상기 파지수단(353) 전체를 승강시키는 수직이송실린더(35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핑거 실린더(353''')와 수직이송실린더(355')를 결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핑거 홀더(359)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핑거 홀더(359)는 수평부재(359a)와 수직부재(359b)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재(359a)에 핑거 실린더(353''')가 연결 고정되며 상기 수직부재(359b)에 수직이송실린더(355')가 연결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직이송실린더(355')의 측부에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조절수단(3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조절수단(38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이송실린더(355')의 상면에 고정되는 이동스토퍼(383)와, 이송지지대(357")의 길이방향 양 단부 측에 고정되는 높이조절블록(38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이송실린더(355')의 작동으로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가 상승하면 수직이송실린더(355')의 상면에 고정된 이동스토퍼(383)도 상승하게 되고, 상기 이동스토퍼(383)는 그 상부에 위치한 높이조절블록(385)의 수평부(385a)에 걸려 더 이상의 상승이 불가능해지므로,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의 상승 높이가 제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스토퍼(383)는 일측이 수직이송실린더(355')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측에 조절볼트(387)가 관통하도록 하며, 상기 조절볼트(387)의 단부는 이송지지대(357")에 고정된 수직블록(미도시)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이동스토퍼(383)가 하강할 때 조절볼트(387)의 단부가 수직블록의 상면에 접촉됨으로써 이동스토퍼(383)의 하강 높이가 제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승강조절수단(380)을 통해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의 상승 및 하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이송실린더(355')는 핑거 실린더(353''')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구조상 한 쌍으로 구비되는바, 각각의 수직이송실린더(355')가 작동할 때 각 수직이송실린더(355')로의 공기 공급이 불균일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각 수직이송실린더(355')로의 공기 공급이 불균일해지더라도 파지수단(353) 전체가 동일한 높이로 상승할 수 있도록 승강보정수단(39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보정수단(390)은 도 2,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지지대(357")에 고정되는 복수의 베어링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바(391)와, 상기 지지바(391)의 양 단부에 구비된 피니언(393)과, 상기 피니언(393)에 기어 결합되되 별도의 블록에 고정되는 랙(395)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각 수직이송실린더(355')로의 공기 공급이 불균일해지더라도 상기 피니언(393)과 랙(395)의 기어 결합 구조로 인하여 파지수단(353) 전체가 동일한 높이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이송수단(357)은 고정지지대(351)에 구비되어 있는 이송레일(357')과, 상기 이송레일(357') 상부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송지지대(357")와, 고정지지대(351)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되 좌측단면상 대략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고정블록(357''')과, 상기 이송지지대(357")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지지대(357")를 이송시키는 수평이송실린더(3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이송실린더(357"")는 고정브래킷(b)을 통해 이송지지대(357") 상면에 고정되고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이송실린더(357"")의 로드(r)의 일단이 고정블록(357''')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수평이송실린더(357"")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이송지지대(357")가 이송레일(357')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송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이송지지대(357")의 양 단부 측에는 앞서 설명한 수직이송실린더(355')가 각각 고정되어 있어, 상기 파지수단(353) 및 수직이송수단(355) 전체를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작업 개시 전에 미리 공급용기(213) 내부로 다수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를 투입해 놓는다.
그 후, 제어반(P)의 시작 버튼을 누르게 되면 공급부(200)의 바이브레이터가 작동하고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차례대로 일렬로 정렬되어 이송로(215)를 통해 안착블록(230)으로 배출된다.
안착블록(230)에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안착되는 것이 감지되면 안착실린더(250)가 작동하여 안착블록(230)을 상승시키고,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 사이의 제1파지홈에 위치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 실린더(353''')가 작동하여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가 서로 접근 이동하면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를 파지하며, 수직이송실린더(355')가 작동하여 파지수단(353) 전체를 상승 이동시킨다.
그 후, 수평이송실린더(357"")가 작동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거리(s)만큼 이송지지대(357")가 이송레일(357')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수직이송실린더(355')가 작동하여 파지수단(353) 전체가 하강 이동되며,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제1홀딩블록에 안착되고, 제1호닝스톤에 의한 호닝 가공이 실시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는 제2홀딩블록, 제3홀딜블록, 제4홀딩블록을 거쳐 호닝 가공이 실시되며, 최종적으로 호닝 가공이 완료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는 배출판(360)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프레임부
110: 하부프레임 120: 상부프레임
200: 공급부
210:공급수단 230: 안착블록 250: 안착실린더
300: 가공부
310: 홀딩부 330: 호닝부 350: 이송부
380: 승강조절수단 390: 승강보정수단

Claims (17)

  1. 다수의 수평대(110a)와 수직대(110b)로 이루어지는 하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110) 상부에 구비되되 다수의 수평대(120a)와 수직대(120b)로 이루어지는 상부프레임(120)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00);
    다수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수용되는 공급용기(213)와, 상기 공급용기(213)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각의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차례대로 일렬로 정렬되어 이송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이송로(215)를 포함하는 공급수단(210)을 포함하는 공급부(200); 및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호닝 가공되는 동안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를 홀딩하는 홀딩부(310)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대단경과 소단경의 내주면을 정밀 가공하는 호닝부(330)와, 상기 공급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를 복수의 호닝 가공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해당 위치로 이동시키고 최종적으로 가공이 완료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를 배출시키는 이송부(350)로 이루어지는 가공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350)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수단(353)과, 상기 파지수단(353)을 통해 파지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들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송수단(355)과, 상기 수직이송수단(355)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들을 다음 가공을 위한 소정 위치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수단(357)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수단(353)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소단경에 접촉되는 소단경 핑거(353')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대단경에 접촉되는 대단경 핑거(353")를 구비하고, 상기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를 이동시키는 핑거 실린더(353''')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이송수단(355)은 상기 핑거 실린더(353''')와 결합되어 상기 파지수단(353) 전체를 승강시키는 수직이송실린더(355')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이송실린더(355')의 측부에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조절수단(38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승강조절수단(380)은 수직이송실린더(355')의 상면에 고정되는 이동스토퍼(383)와, 이송지지대(357")의 길이방향 양 단부 측에 고정되는 높이조절블록(38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200)에는 이송로(215)의 배출 단부 측에 구비되어 이송로(215)로부터 배출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안착되는 안착블록(2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블록(230)은 베이스(231)와, 상기 베이스(231) 상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233)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대단경과 소단경의 크기에 대응되는 요홈(2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200)에는 상기 안착블록(230)의 하부에 결합되는 안착실린더(2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착실린더(250)는 이송로(215)의 배출 단부 측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안착블록(230)에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가 안착되는 것이 감지되면 작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310)는 바닥판(125) 상부에 구비되는 홀딩플레이트(311)와, 상기 홀딩플레이트(311) 상부에 고정되는 홀딩블록(313)과, 상기 홀딩블록(313) 상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구(3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닝부(330)는 호닝스톤(333)을 포함하되, 상기 호닝스톤(333)은 제1호닝스톤(333), 제2호닝스톤(333), 제3호닝스톤(333) 및 제4호닝스톤(3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호닝스톤(333) 및 제3호닝스톤(333)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소단경을 호닝하며, 상기 제2호닝스톤(333) 및 제4호닝스톤(333)은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대단경을 호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호닝스톤(333)은 제1호닝스톤(333) 보다 크기가 더 크고 상기 제4호닝스톤(333)은 제2호닝스톤(333) 보다 크기가 더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단경 핑거(353')와 대단경 핑거(353")는 각각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c)의 소단경과 대단경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파지홈(353'a, 353"a)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홈(353'a, 353"a)의 일측에는 각각 그 내부로 볼플런저(353'b, 353"b)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지지대(357")에 고정되는 복수의 베어링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바(391)와, 상기 지지바(391)의 양 단부에 구비된 피니언(393)과, 상기 피니언(393)에 기어 결합되되 별도의 블록에 고정되는 랙(395)을 포함하는 승강보정수단(39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수단(357)은 고정지지대(351)에 구비되어 있는 이송레일(357')과, 상기 이송레일(357') 상부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송지지대(357")와, 상기 고정지지대(351)에 일측이 고정되는 고정블록(357''')과, 상기 이송지지대(357")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지지대(357")를 이송시키는 수평이송실린더(35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수평부재(359a)와 수직부재(359b)로 이루어지는 핑거 홀더(359)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재(359a)에 핑거 실린더(353''')가 연결 고정되며 상기 수직부재(359b)에 수직이송실린더(355')가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KR1020200090057A 2020-07-21 2020-07-21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KR102357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057A KR102357432B1 (ko) 2020-07-21 2020-07-21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057A KR102357432B1 (ko) 2020-07-21 2020-07-21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823A KR20220011823A (ko) 2022-02-03
KR102357432B1 true KR102357432B1 (ko) 2022-02-08

Family

ID=80252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057A KR102357432B1 (ko) 2020-07-21 2020-07-21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4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694Y1 (ko) 2005-07-19 2005-10-06 (주) 대호 베어링 내, 외륜의 내경 호닝 창치
KR101602119B1 (ko) 2015-11-30 2016-03-09 주식회사 대송 커넥팅 로드 가공방법
JP2018176374A (ja) 2017-04-18 2018-11-1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ホーニング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694Y1 (ko) 2005-07-19 2005-10-06 (주) 대호 베어링 내, 외륜의 내경 호닝 창치
KR101602119B1 (ko) 2015-11-30 2016-03-09 주식회사 대송 커넥팅 로드 가공방법
JP2018176374A (ja) 2017-04-18 2018-11-1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ホーニング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823A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07148B (zh) 一种棒状物料上料装置
KR101964565B1 (ko)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KR101685918B1 (ko) 선박 엔진용 배기밸브 및 밸브시트 자동연마장치
CN112059763A (zh) 一种管材内壁抛光装置及其抛光方法
KR101991267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1970189B1 (ko) 샤프트 가공장치
KR102357432B1 (ko) 컴프레서용 커넥팅로드의 호닝장치
CN108000278A (zh) 一种油泵转子去毛刺装置
JP2541220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KR101297125B1 (ko) 유리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22068Y1 (ko) 센터리스 연마기의 연마봉 자동 로딩 장치
CN115739652B (zh) 一种螺母座沟槽检测装置
KR20090089771A (ko) 판상재 위치설정 장치
CN217860473U (zh) 一种自动上下料的打磨装置
CN106475888B (zh) 一种双面陶瓷片抛光机
JP2016098099A (ja) ワーク搬送装置およびワーク搬送方法
JP7339858B2 (ja) 加工装置及び板状ワークの搬入出方法
JPS6257458B2 (ko)
KR20150097265A (ko) 환봉 외경 연마장치
JPH08294854A (ja) 片面溶接における裏波ビード研削装置および溶接部処理装置
JPH07308831A (ja) ワークに対する部品装着用装置
CN211140750U (zh) 一种波纹线杆送料装置
JP2848781B2 (ja) 弯曲ガラス板の位置決め装置
TWM469146U (zh) 光纖頭研磨裝置
KR20190059576A (ko) 기판 절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