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804B1 -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진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 - Google Patents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진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804B1
KR102355804B1 KR1020190164428A KR20190164428A KR102355804B1 KR 102355804 B1 KR102355804 B1 KR 102355804B1 KR 1020190164428 A KR1020190164428 A KR 1020190164428A KR 20190164428 A KR20190164428 A KR 20190164428A KR 102355804 B1 KR102355804 B1 KR 102355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loss
glass beads
resin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792A (ko
Inventor
이종선
Original Assignee
이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선 filed Critical 이종선
Priority to KR1020190164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804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07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glass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40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된 다층 구조의 표면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코팅층은 제1고분자 수지 및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하도층; 및 제2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상도층;을 포함하는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에 관한 것으로, 고광택성을 유지하면서도 내스크래치성이 크게 향상된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진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 {High glossy deco sheet for furniture with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본 발명은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진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에 관한 것이다.
가구는 원목으로 제조되기도 하지만, 중밀도 섬유판(MDF)이나 파티클보드로도 흔히 제조된다. 이들 MDF나 파티클보드에는 데코 시트가 부착되어 장식되는데, 이러한 MDF나 파티클보드로 제조된 가구는 원목가구 못지않게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가격도 저렴한 장점이 있다.
전통적으로 가구용 데코 시트는 카렌다 공정을 거쳐 보통 130 ㎛ 내외의 하지, 70 ㎛ 내외의 인쇄지, 100 ㎛ 내외의 상지가 순차적으로 합지된 층상 구조의 박막형 시트로 제조된다.
이에 따라 열 변형 범위가 넓어 카렌다 가공성이 좋고 합지가 용이한 폴리염화비닐(PVC) 소재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PVC는 소각 시 1급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을 다량 방출하므로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체 소재의 개발이 시급하며, 나아가 두께가 두꺼워질 경우 외관 품위가 현저히 떨어지므로 고광택 데코 시트로서의 가치가 낮아지는 단점도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PVC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아크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 등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아크릴 기재의 경우, 고광택성 등의 우수한 외관을 가지며, 다관능 아크릴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가교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가격이 비교적 높다는 단점이 있다.
PET 기재의 경우, 고광택성 등의 우수한 외관을 가지며, 아크릴 기재 대비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아크릴 기재 대비 PET의 무른(soft) 성질로 인해 아크릴 소재 수준의 표면 경도를 구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광택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가구용 데코 시트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유사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9901호가 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9901호 (2013.02.2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코 시트의 베이스가 되는 기재를 아크릴 소재로 사용하지 않아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광택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모두 가지는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된 다층 구조의 표면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코팅층은 제1고분자 수지 및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하도층; 및 제2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상도층;을 포함하는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상도층의 두께는 3 내지 7 ㎛이고, 하도층의 두께는 10 내지 15 ㎛이며, 유리비드의 평균 입도는 2 내지 6 ㎛일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제1고분자 수지는 자외선 경화된 아크릴계 수지, 열경화된 우레탄계 수지 또는 열경화된 아크릴계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제2고분자 수지는 자외선 경화된 아크릴계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자외선 경화된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자외선 경화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열경화된 우레탄계 수지는 변성 우레탄 수지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열경화시켜 제조된 것이며, 상기 열경화된 아크릴계 수지는 변성 아크릴 수지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열경화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하도층은 제1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리비드 1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 표면의 연필경도는 4 내지 7 H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는 기재층으로 PET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아크릴 소재를 기재층으로 사용한 데코 시트 대비 제조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아크릴 소재 대비 비교적 무른 PET의 표면을 유리비드를 포함하는 하도층과 유리비드를 포함하지 않는 상도층으로 이중 코팅함으로써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하면서도 뛰어난 광택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의 예시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진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된 다층 구조의 표면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코팅층은 제1고분자 수지 및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하도층; 및 제2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상도층;을 포함하는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는 기재층으로 PET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아크릴 소재를 기재층으로 사용한 데코 시트 대비 제조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아크릴 소재 대비 비교적 무른 PET의 표면을 유리비드를 포함하는 하도층과 유리비드를 포함하지 않는 상도층으로 이중 코팅함으로써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하면서도 뛰어난 광택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층은 데코 시트의 베이스가 되는 층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가 되는 기재를 아크릴 소재로 하지 않고 PET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데코 시트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세하게,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층은 비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PET, amorphous PET) 및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G-PET, glycol modified PET)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한 층 이상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상기 A-PET 및 G-PET는 친환경적인 소재로, 아크릴 소재 대비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파손 위험이 적으며,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뛰어난 표면 광택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A-PET의 양면에 G-PET가 구비된 삼중 적층 구조를 가진 것일 수 있다. G-PET는 성형성이 우수하고, 접착성이 뛰어남에 따라 A-PET의 양면에 G-PET가 구비된 기재층을 사용할 시 가구 및 표면코팅층과 기재층 간 우수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비교적 원료가가 높음에 따라, G-PET로 기재층을 모두 형성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원료가가 저렴한 A-PET를 G-PET 사이에 구비함으로써 데코 시트의 제조 비용을 더욱 낮출 수 있다.
이때, 상기 PET 기재층의 두께는 150 내지 800 ㎛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200 내지 600 ㎛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일 예시로, PET 기재층이 G-PET/A-PET/G-PET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삼중 적층 구조인 경우, A-PET층의 두께는 PET 기재층 두께의 70 내지 90%일 수 있으며, 양면의 G-PET층 각각의 두께는 서로 독립적으로 5 내지 25%일 수 있다. 보다 좋게는 A-PET층의 두께는 PET 기재층 두께의 75 내지 85%일 수 있으며, 양면의 G-PET층 각각의 두께는 서로 독립적으로 5 내지 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표면코팅층은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되어, 데코 시트에 뛰어난 광택감을 부여하는 동시에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도층 및 상도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도층은 제1고분자 수지 및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세하게 상기 제1고분자 수지는 자외선 경화된 아크릴계 수지, 열경화된 우레탄계 수지 또는 열경화된 아크릴계 수지 등일 수 있으며, 이때 자외선 경화된 아크릴계 수지란 도료 조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상태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열경화된 수지란 도료 조성물에 열을 가하여 경화시킨 상태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데코 시트는 표면코팅층의 하도층에 유리비드를 첨가함으로써 데코 시트의 표면 경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시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 표면의 연필경도는 4 H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4 내지 7 H, 더욱 상세하게 5 내지 6 H일 수 있다. 반면, 표면코팅층을 형성하지 않은 PET 기재층의 표면 연필경도는 4 B 이하의 수준으로 스크래치에 매우 취약하며, 유리비드를 넣지 않고 자외선 경화 방식의 아크릴 수지 상도층만 형성할 경우에는 5 H이상의 표면 연필경도를 구현하기 어렵다.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은 경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하도층의 두께 및 유리비드의 입도와 첨가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유리비드의 입도가 너무 작거나 첨가량이 너무 적을 경우 목표하는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할 수 없고, 유리비드의 입도가 너무 크거나 첨가량이 너무 많을 경우 PET 기재층과 표면코팅층 간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시로, 상기 하도층의 두께는 10 내지 15 ㎛이며, 유리비드의 평균 입도는 2 내지 6 ㎛일 수 있다. 보다 좋게는 상기 하도층의 두께는 11 내지 13 ㎛이며, 유리비드의 평균 입도는 3 내지 5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기재층으로부터 하도층이 잘 박리되지 않으면서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유리비드는 상기 입도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기존 공지된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임에 따라 경도가 높은 유리비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리비드는 아크릴계 실란으로 표면 개질된 것일 수 있다. 이처럼 아크릴계 실란으로 표면 개질된 유리비드를 첨가함으로써 제1고분자 수지와의 혼화성 및 분산균일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자외선 또는 열 경화 시 아크릴계 실란이 도료 조성물과 함께 가교되어 하도층 내 유리비드가 단단히 결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크릴계 실란으로 표면 개질된 유리비드는 아크릴계 실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리비드 5 내지 30 중량부를 투입하여 50 내지 150 rpm의 속도로 5 내지 60분간 교반한 후 건조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아크릴계 실란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및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도층은 제1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리비드 1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유리비드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PET 기재층과 표면코팅층 간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하도층은 나노 실리카 입자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유리비드와 나노 크기의 실리카 입자를 혼합 사용함으로써 데코 시트의 표면 경도를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코 시트의 표면 전반에 걸쳐 표면 경도가 고르게 향상되어 경도 취약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데코 시트의 내마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나노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도는 1 내지 300 ㎚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10 내지 100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유리비드 사이사이에 나노 실리카 입자가 고르게 분산될 수 있으며, 데코 시트의 표면 경도를 시트 표면 전반에 걸쳐 고르게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실리카 입자는 제1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PET 기재층과 표면코팅층 간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보다 향상되며, 표면 전반에 걸쳐 고른 표면 경도 및 내마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나노 실리카 입자 또한 아크릴계 실란으로 표면 개질된 것일 수 있다. 이처럼 아크릴계 실란으로 표면 개질된 나노 실리카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제1고분자 수지 및 표면 개질된 유리비드와의 혼화성 및 분산균일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자외선 또는 열 경화 시 아크릴계 실란이 도료 조성물 및 표면 개질된 유리비드와 함께 가교되어 하도층 내 나노 실리카 입자가 단단히 결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크릴계 실란으로 표면 개질된 나노 실리카 입자는 아크릴계 실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나노 실리카 입자 5 내지 30 중량부를 투입하여 50 내지 150 rpm의 속도로 5 내지 60분간 교반한 후 건조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아크릴계 실란은 전술한 바와 동일함에 따라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자외선 경화된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자외선 경화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아크릴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은 비교적 중합도가 작은 중합체로, 구체적인 일 예시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도료 조성물 총 중량 중 30 내지 85 중량%,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5000 g/mol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점도 조절 및 가교 밀도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일 예시로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산에틸헥실,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도료 조성물 총 중량 중 5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자외선 조사 시 라디칼을 형성시켜 광중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된 어떤 화합물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경화 시 사용되는 자외선의 파장 영역대에 맞는 광개시제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일 예시로 벤조페논 및 치환된 벤조페논류,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과 같은 티옥산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4-모폴리노페닐)부탄-1-온, 벤질 디메틸케탈, 비스(2,6-디메틸펜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 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에틸-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피네이트,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온,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또는 5,7-디아이오도-3-부톡시-6-플루오론, 디페닐아이오도늄 플로라이드 및 트리페닐설포늄 헥사플루오포스페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도료 조성물 총 중량 중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열경화된 우레탄계 수지는 변성 우레탄 수지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열경화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열경화된 아크릴계 수지는 변성 아크릴 수지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열경화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변성 우레탄 수지 및 변성 아크릴 수지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이 가능한 반응기로 변성된 수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때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이 가능한 반응기는 수산기 또는 아민기 등일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성 우레탄 수지 및 변성 아크릴 수지는 도료 조성물 총 중량 중 85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열 경화 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인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일 예시로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무황변성 방향족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도료 조성물 총 중량 중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상도층은 유리비드의 첨가에 의해 표면평탄도가 저하된 하도층의 평탄도를 회복하여 데코 시트에 뛰어난 광택감을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도층은 제2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고분자 수지는 자외선 경화된 아크릴계 수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경화된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자외선 경화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이때 도료 조성물은 하도층과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고, 그 상세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동일함에 따라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도층의 두께는 3 내지 7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하도층에 의해 저하된 표면평탄도가 회복되어 난반사가 방지될 수 있으며, 고광택성을 가질 수 있다. 반면, 상도층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 유리비드를 소량 첨가하거나 1 ㎛의 매우 작은 평균 입도를 가진 유리비드를 첨가하여도 하도층의 표면평탄도가 저하되어 광택 특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도층의 두께가 3 ㎛ 미만일 시 표면이 효과적으로 평탄화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도층의 두께가 7 ㎛를 초과할 시 하도층에 의한 표면 경도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진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은 첨가물의 단위는 중량%일 수 있다.
[실시예 1]
PET 기재층으로 G-PET/A-PET/G-PET(두께 비율 10%-80%-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시트(두께 500 ㎛)를 준비하였다.
한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중량평균분자량(Mw) 3,600 g/mol) 73 중량%, 1,6-헥산디올 아크릴레이트 15 중량%,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5 중량% 및 이가큐어 184(Irgacure 184) 7 중량%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준비하고, 상기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리비드(평균 입도 3 ㎛) 30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첨가 및 혼합하여 하도층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하도층용 조성물을 PET 기재층 상에 도포한 후 자외선 조사를 통해 경화시켜 두께 13 ㎛의 하도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하도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 및 함량으로 상도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상도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을 자외선 경화된 하도층 상에 도포한 후 다시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5 ㎛의 상도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하도층 및 상도층의 두께는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도료 조성물과 유리비드의 함량을 달리 조절하여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6 내지 13]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도층의 두께, 하도층의 두께를 달리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14 내지 16]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리비드의 평균 입도를 달리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1]
하도층을 형성하지 않고, PET 기재층 상에 상도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 및 자외선 경화시켜 상도층을 형성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2]
상도층을 형성하지 않고, PET 기재층 상에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 및 자외선 경화시켜 하도층까지만 형성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3 내지 5]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리비드의 함량 또는 평균 입도를 달리한 것 외 모든 과정을 비교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6]
유리비드를 첨가하지 않은 하도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하도층을 형성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상도층 하도층
두께
(㎛)
두께
(㎛)
중량부 유리비드
평균입도 (㎛)
도료 조성물 유리비드
실시예 1 5 13 100 30 3
실시예 2 3
실시예 3 10
실시예 4 50
실시예 5 100
실시예 6 5 5 100 30 3
실시예 7 10
실시예 8 15
실시예 9 20
실시예 10 1 13 100 30 3
실시예 11 3
실시예 12 7
실시예 13 10
실시예 14 5 13 100 30 1
실시예 15 5
실시예 16 8
비교예 1 5 x x x x
비교예 2 x 13 100 30 3
비교예 3 100 3 3
비교예 4 100 30 1
비교예 5 100 3 1
비교예 6 5 13 100 x x
[특성 평가 방법 및 결과]
1) 부착력:
상기 실시예 1 내지 16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각각 제조된 데코 시트 시편을 2일 간 상온에 방치한 다음, 시트의 표면에 너비 50 ㎜의 접착테이프(접착강도: 너비 25 ㎜당 6 N)를 부착한 후 박리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데코 시트가 박리되지 않은 경우 양호, 박리된 경우 부적합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2) 표면 경도:
(A) 연필경도 평가: ASTM D3363-05(미츠비시 연필, 1 kg 하중) 에 따라 시트 표면의 연필경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B) 마이크로 스크래치 평가: CEN / TS 16611 에 따라 마이크로 스크래치 평가를 수행하였다. 상세하게 직경 90 ㎜의 원형 스카치 브라이트에 6 N의 하중을 가하고, 문지름 수 160회(10 리사쥬 궤적)의 조건으로 시트 표면을 연마한 후 시트 표면의 스크래치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5점: 육안 상 스크래치가 없거나 거의 없으며, 고광택이 유지되는 경우.
4점: 육안 상 스크래치는 조금 있으나, 리사쥬 궤적은 보이지 않으며, 고광택이 유지되는 경우.
3점: 육안 상 많은 스크래치가 있으며, 리사쥬 궤적이 부분적으로 관찰되고, 고광택이 거의 유지되는 경우.
2점: 육안 상 많은 스크래치가 있으며, 리사쥬 궤적이 확연히 관찰되고, 광택이 다소 저하되는 경우.
1점: 육안 상 많은 스크래치가 있으며, 리사쥬 궤적이 확연히 관찰되고, 광택이 사라진 경우.
3) 표면광택도:
광택계(closs meter)를 이용하여 각도 60°에서 데코 시트의 표면 광택도(gloss level)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광택도는 거울 광택도 100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값으로 G-80(gloss 80) 이상을 고광택이라 할 수 있다.
부착력 표면 경도 표면광택도
연필경도 (H) 마이크로 스크래치 (점)
실시예 1 양호 5 4 91
실시예 2 양호 4 3 91
실시예 3 양호 5 4 91
실시예 4 양호 5 4 91
실시예 5 부적합 6 5 91
실시예 6 부적합 5 4 91
실시예 7 양호 5 4 91
실시예 8 양호 5 4 91
실시예 9 부적합 5 4 91
실시예 10 양호 5 4 55
실시예 11 양호 5 4 91
실시예 12 양호 5 4 91
실시예 13 부적합 5 4 91
실시예 14 양호 5 3 91
실시예 15 양호 5 4 19
실시예 16 부적합 5 4 72
비교예 1 양호 2 2 91
비교예 2 양호 4 4 65
비교예 3 양호 2 3 87
비교예 4 양호 2 2 89
비교예 5 양호 3 2 90
비교예 6 양호 2 3 91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유리비드를 포함하는 하도층 및 유리비드를 포함하지 않는 상도층의 구성으로 제조된 데코 시트는 내스크래치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뛰어난 광택 특성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유리비드가 소량 첨가된 실시예 2의 경우 마이크로 스크래치 경도가 다소 낮았으며, 유리비드가 과량 첨가된 실시예 5의 경우 기재와의 부착력이 좋지 않았다.
또한, 하도층의 두께가 적정 범위보다 얇거나 두꺼운 실시예 6 및 9의 경우에는 기재와의 부착력이 좋지 않았으며, 상도층의 두께가 적정 범위보다 얇은 실시예 10의 경우 표면 광택도가 크게 떨어졌으며, 상도층의 두께가 적정 범위보다 두꺼운 실시예 13의 경우 역시 기재와의 부착력이 좋지 않았다.
아울러, 유리비드의 평균입도가 적정 범위보다 작은 실시예 14의 경우 마이크로 스크래치 경도가 다소 낮았으며, 유리비드의 평균입도가 적정 범위보다 큰 실시예 16의 경우 기재와의 부착력이 좋지 않았으며, 광택도 역시 다소 저하되었다.
한편, 하도층을 형성하지 않은 비교예 1은 표면경도가 좋지 않았으며, 하도층은 형성하되 유리비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6 또한 표면경도가 좋지 않았다.
또한, 상도층을 형성하지 않은 비교예 2 내지 5에 있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도층을 형성한 비교예 2의 경우 하도층에 의해 표면 평탄도가 저하되어 표면 광택도가 크게 저하되었다. 실시예 1보다 유리비드의 함량을 크게 줄인 비교예 3의 경우 유리비드가 소량 첨가됨에 따라 표면경도가 저하됐으며, 함량을 줄였음에도 불구 표면 평탄도가 다소 떨어져 광택도가 저하되었다. 실시예 1보다 작은 입도를 가진 유리비드를 첨가한 비교예 4의 경우 역시 표면경도가 저하됐으며, 입도가 작은 유리비드를 사용했음에도 불구 표면 평탄도가 다소 떨어져 광택도가 저하되었다. 끝으로, 함량과 입도를 모두 달리한 비교예 5의 경우에도 표면경도와 광택도가 좋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기재층 200 : 표면코팅층
210 : 하도층 220: 상도층
211 : 유리비드 212: 제1고분자 수지

Claims (8)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된 다층 구조의 표면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코팅층은 제1고분자 수지 및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하도층; 및 제2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상도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고분자 수지는 자외선 경화된 아크릴계 수지, 열경화된 우레탄계 수지 또는 열경화된 아크릴계 수지이고,
    상기 제2고분자 수지는 자외선 경화된 아크릴계 수지이며,
    상기 상도층의 두께는 3 내지 7 ㎛이고, 하도층의 두께는 10 내지 15 ㎛이며, 유리비드의 평균 입도는 3 내지 5 ㎛이고,
    상기 하도층은 제1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리비드 1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며,
    광택계(closs meter)를 이용하여 각도 60°에서 측정한 표면 광택도(gloss level)가 G-91(gloss 91) 이상이고, 표면의 연필경도가 5 내지 7 H인,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된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자외선 경화시켜 제조된 것인,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된 우레탄계 수지는 변성 우레탄 수지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열경화시켜 제조된 것이며,
    상기 열경화된 아크릴계 수지는 변성 아크릴 수지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열경화시켜 제조된 것인,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
  7. 삭제
  8. 삭제
KR1020190164428A 2019-12-11 2019-12-11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진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 KR102355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428A KR102355804B1 (ko) 2019-12-11 2019-12-11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진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428A KR102355804B1 (ko) 2019-12-11 2019-12-11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진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792A KR20210073792A (ko) 2021-06-21
KR102355804B1 true KR102355804B1 (ko) 2022-01-25

Family

ID=7660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428A KR102355804B1 (ko) 2019-12-11 2019-12-11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진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8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0028A (ja) 2014-07-16 2017-10-12 ベーリンゲ、イノベイション、アクチボラグVaelinge Innovation Ab 熱可塑性の耐摩耗性箔を製造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336B1 (ko) * 2011-03-21 2016-03-08 (주)엘지하우시스 외장용 점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19901A (ko) 2011-08-18 2013-02-27 주식회사 진영엘디엠 가구용 하이그로시 데코시트
KR102239674B1 (ko) * 2017-09-13 2021-04-13 (주)엘지하우시스 이종 수지층이 구비된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0028A (ja) 2014-07-16 2017-10-12 ベーリンゲ、イノベイション、アクチボラグVaelinge Innovation Ab 熱可塑性の耐摩耗性箔を製造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792A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4205B2 (ja) 化粧シート
JP6561614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KR101165111B1 (ko) 화장재
JP6069868B2 (ja) 床用化粧シート及び床用化粧材
JP4978362B2 (ja) 化粧シート
JP4800726B2 (ja) 耐候剤組成物
JP5298582B2 (ja) 化粧シート及び該化粧シートを用いた化粧板
JP6191110B2 (ja) 化粧シート
JP2002052681A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4129618A1 (en) Film insert molded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film insert molded article
KR102100028B1 (ko) 자외선 경화형 무광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필름
KR102355804B1 (ko)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진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
US11549031B2 (en) Coating material for forming matte hard coat, and decorative sheet using same
JP5909963B2 (ja) 床用化粧材
JPH04189600A (ja) 転写シート
JP2007077602A (ja) 床用化粧材
JP4429199B2 (ja) 複層塗膜形成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塗料
JP2017155521A (ja) 床用化粧材
JP4597831B2 (ja) 化粧シート
JP7172388B2 (ja) 化粧材
JP2005014266A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142164A (ja) 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基材を含む積層体、及び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基材を含む積層体の製造方法
JP6965753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部材
JP7201123B1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EP4101645A1 (en) Thermoforming laminate and method for molding lamin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