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674B1 - 이종 수지층이 구비된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 Google Patents

이종 수지층이 구비된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674B1
KR102239674B1 KR1020170117117A KR20170117117A KR102239674B1 KR 102239674 B1 KR102239674 B1 KR 102239674B1 KR 1020170117117 A KR1020170117117 A KR 1020170117117A KR 20170117117 A KR20170117117 A KR 20170117117A KR 102239674 B1 KR102239674 B1 KR 102239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film
lay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lay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9972A (ko
Inventor
송예리
서지연
김헌조
최태이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117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6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수지층이 구비된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적층 필름은 무기 충진재를 함유하고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종 수지층을 포함하여 별도의 접착제층 없이 기재층 상에 적층시킬 수 있고, 표면 광택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의 높은 경도를 유지하여 내스크래치성이 뛰어나므로 바닥재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 수지층이 구비된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Laminated film having the heterogeneous resin layer, and flooring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종의 수지, 구체적으로는 경질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연질의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G)를 포함하는 이종 수지층을 구비하여 내마모성과 부착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 안정성이 우수하고 낮은 광택도를 갖는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용 바닥재는 주로 단독주택이나 아파트의 거실, 방의 바닥을 마감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시멘트 바닥으로부터 먼지 및 냉기를 차단하여 위생적인 공간을 제공하고, 다양한 색상의 미려한 무늬가 인쇄되어 있어 고객 취향에 따라 실내분위기를 아늑하게 바꿔주는 등 장식효과도 가진다.
최근 들어 소득 수준의 향상에 따라 쾌적하고 편리한 생활의 질을 추구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 바닥재는 최상부에 목적하는 무늬 또는 문양이 직접 인쇄된 인쇄층 또는 상기 인쇄층을 보호하는 인쇄 보호층으로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층이 구비하는데, 상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층은 인쇄 효과를 충분히 구현하지 못하고, 가공 중 미세 열 변형에 의하여 황변 현상이 일어나거나 낮은 연화점으로 인해 100℃ 이상의 열원이 접촉될 경우 표면 손상이 쉽게 발생될 수 있으며 제품의 총 중량을 증가시켜 시공상의 문제를 유발하므로 이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열 접착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열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접착제나 기타 수지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코팅하거나 접착시트 등을 적층시키는 공정을 거쳐야 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은 광택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피착체에 적층시키는 경우 빛의 반사로 인하여 피착체의 색상이나 도안된 무늬 또는 문양 등을 정확하게 구분하기 어렵고, 사용자의 눈 피로도를 높이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층 대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되 접착제층을 포함하지 않고, 표면 광택도가 낮은 바닥재용 소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6329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18779호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층 대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되, 접착제층을 포함하지 않고 표면 광택도가 낮은 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위치하고,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종 수지층을 포함하고,
이종 수지층은 무기 충전재가 균일하게 분산된 형태를 가지며,
표면 광택도가 글로스(Gloss) 60° 조건 하에서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상기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은 무기 충진재를 함유하고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종 수지층을 포함하고, 무기 충전재가 균일하게 분산된 형태를 가져 별도의 접착제층 없이 기재층 상에 적층시킬 수 있고, 표면 광택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의 높은 경도를 유지하여 내스크래치성이 뛰어나므로 바닥재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판형의 무기 충진재를 함유하는 이종 수지층이 구비된 적층 필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total volatile organic carbon, TVOC)"란 대기 중에 휘발되어 악취나 오존을 발생시키는 탄화수소 화합물로서, GC/MS 측정 시 헥산(C6) 내지 헥사데칸(C16) 범위에서 검출되는 물질의 총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소득 수준의 향상에 따라 쾌적하고 편리한 생활의 질을 추구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종래 바닥재의 최상부에 인쇄층 또는 인쇄 보호층으로서 구비되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층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열 접착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열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접착제나 기타 수지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코팅하거나 접착시트 등을 적층시키는 공정을 거쳐야 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은 광택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피착체에 적층시키는 경우 빛의 반사로 인하여 피착체의 색상이나 도안된 무늬 또는 문양 등을 정확하게 구분하기 어렵고, 사용자의 눈 피로도를 높이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종 수지층이 구비된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은 무기 충진재를 함유하고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종 수지층을 포함하여 별도의 접착제층 없이 기재층 상에 적층시킬 수 있고, 표면 광택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의 높은 경도를 유지하여 내스크래치성이 뛰어나므로 바닥재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적층 필름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위치하고,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종 수지층을 포함하고,
이종 수지층은 무기 충전재가 균일하게 분산된 형태를 가지며,
표면 광택도가 글로스(Gloss) 60° 조건 하에서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은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종 수지층을 포함하여 접착제층 없이 기재층 상에 적층시킬 수 있고, 표면 광택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의 높은 경도를 유지하여 내스크래치성이 뛰어나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적층 필름은 표면 광택도 평가 시 글로스(Gloss) 60° 조건 하에서 5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층 필름은 표면 광택도가 1 내지 50, 5 내지 50, 10 내지 50, 15 내지 50, 20 내지 50, 30 내지 50, 40 내지 50, 20 내지 35, 22 내지 32, 24 내지 31, 24 내지 28, 24 내지 26, 28 내지 31, 29 내지 32, 27 내지 31, 28 내지 32, 29 내지 46, 42 내지 47, 44 내지 46, 또는 28 내지 47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적층 필름은 기재층과 이종 수지층의 부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된 ASTM D3359의 A 평가방법에 따른 부착성 평가 시 이종 수지층의 부착성은 커팅된 X자의 직선 부위 또는 교차점을 따라 전체 면적의 약 5% 이하의 박리 또는 제거 흔적이 확인되는 4 등급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이종 수지층이 기재층으로부터 박리 및/또는 제거되지 않는 5등급일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적층 필름은 EN 16094의 B 절차에 따른 마이크로 스크래치 저항 평가 시 표면에 발생되는 옅은 스크래치가 10개 미만으로 발생하는 B2 등급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 B1 등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층(10) 상에 이종 수지층(20)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2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층(10)과 이종 수지층(20) 사이에 인쇄층(30)이 구비되거나 인쇄층(30)과 간지층(40)이 구비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의 각 구성 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기재층(10)은 적층 필름의 베이스가 되는 층으로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10)은 제품의 치수 안정성을 위하여 내부에 공극이 큰 유리섬유(glass fiber)나 펄프 등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졸(sol)에 전면 함침시키고, 열압한 후 130~160℃에서 겔화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재층(10)의 평균 두께는 150㎛ 내지 300㎛, 또는 150㎛ 내지 200㎛, 200㎛ 내지 250㎛, 250㎛ 내지 300㎛, 180㎛ 내지 220㎛, 240㎛ 내지 260㎛, 280㎛ 내지 300㎛ 또는 150㎛ 내지 180㎛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종 수지층(20)은 투명 필름층으로서 높은 경도를 가져 적층 필름의 표면에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상기 이종 수지층(20)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대신에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되 폴리에스테르와 함께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를 포함하여 별도의 접착제층 없이 기재층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중합 시 디올 화합물로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CHDM) 등을 일부 사용하여 변성시킨 것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비교하여 결정성이 낮아 백화 현상 없이 성형이 가능하고, 용융점이 상대적으로 낮은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이종 수지층(20)에 폴리에스테르와 함께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를 일정량 포함하는 경우 열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접착제층 없이 기재층에 적층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종 수지층(20)은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10 내지 1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10 내지 150 중량부; 10 내지 120 중량부; 10 내지 110 중량부; 10 내지 100 중량부; 10 내지 90 중량부; 10 내지 80 중량부; 10 내지 60 중량부; 10 내지 50 중량부; 10 내지 40 중량부; 20 내지 150 중량부; 20 내지 40 중량부; 30 내지 80 중량부; 30 내지 100 중량부; 30 내지 140 중량부; 50 내지 150 중량부; 60 내지 90 중량부; 80 내지 110 중량부; 100 내지 160 중량부; 120 내지 160 중량부; 또는 130 내지 1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종 수지층(20)에 포함되는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와 폴리에스테르의 함량 비율을 상기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적층 필름 표면의 경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높은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적절한 부착력을 구현하여 별도의 접착제층 없이 이종 수지층(20)을 기재층(10)에 적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종 수지층(20)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는 경화되었을 때 결정성이 높아 표면 경도가 우수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는 폴리에스테르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와 달리 결정성이 높고 탄성력이 낮아 이종 수지층(20)에 적용 시 우수한 표면 경도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종 수지층(20)은 무기 충진재가 균일하게 분산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무기 충진재는 탄산칼슘, 탈크, 규회석, 실리카, 유리 입자, 실리콘(Si) 입자 및 알루미노 규산염 등을 포함하는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등의 세라믹 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기 충진재는 다공성의 구형 입자이거나 판형의 입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충진재는 평균 크기가 2~10㎛인 구형의 다공성 실리카, 글래스 비드 또는 실리콘 비드이거나 판형의 세라믹 입자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진재가 판형의 입자일 경우, 무기 충진재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종 수지층(20)에 무기 충진재(21)가 평행하게 분산되어 이종 수지층(20) 하부에 위치하는 기재층(10)에서 발생되는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TVOC)이 적층 필름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적층 필름은 이종 수지층(20)에 무기 충진재(21)를 함유하여 ASTM D5116에 따른 총휘발성 유기 화합물(TVOC)의 발생량 측정 시 23±2℃ 및 50±5%의 습도에서 평균 0.055 ㎎/㎡h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0.010 내지 0.055 ㎎/㎡h; 0.020 내지 0.055 ㎎/㎡h; 0.030 내지 0.055 ㎎/㎡h; 0.040 내지 0.055 ㎎/㎡h; 0.045 내지 0.055 ㎎/㎡h; 0.046 내지 0.052 ㎎/㎡h; 0.047 내지 0.050 ㎎/㎡h; 0.048 내지 0.050 ㎎/㎡h; 0.050 내지 0.052 ㎎/㎡h; 0.048 내지 0.051 ㎎/㎡h; 0.049 내지 0.053 ㎎/㎡h; 또는 0.050 내지 0.052 ㎎/㎡h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충진재의 함량은 이종 수지층(20)에 포함된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5 중량부, 5 내지 10 중량부, 10 내지 20 중량부, 15 내지 20 중량부, 10 내지 15 중량부, 7 내지 16 중량부, 8 내지 11 중량부 또는 9 내지 12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종 수지층(20)에 상기 범위의 무기 충진재를 포함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표면 광택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종 수지층(20)은 무기 충진재를 5 내지 20 중량부 포함하여 표면 광택도가 글로스(Gloss) 60° 조건 하에서 50 이하일 수 있고, 이때의 평균 두께는 10㎛ 내지 60㎛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이종 수지층(20)은 무기 충진재를 5 내지 15 중량부 포함하여 표면 광택도가 글로스(Gloss) 60° 조건 하에서 22 내지 48일 수 있고, 이때의 평균 두께는 20㎛ 내지 40㎛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층(10)과 이종 수지층(20) 사이에 인쇄층(30), 간지층(4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쇄층(30)은 목적하는 무늬 또는 문양이 구현된 수지 필름으로 그라비아 등의 인쇄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수지 필름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인쇄층은 기재층(10) 또는 간지층(40)과의 부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프라이머층(미도시)을 하부에 더 포함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재층(10) 또는 간지층(40)이 접하는 면을 플라즈마(plasma)나 코로나(corona)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지층(40)은 인쇄층(30)의 인쇄 무늬의 선명성과 사실감을 보조하기 위하여 기재층(10)의 색상을 은폐시킬 수 있도록 인쇄층(30)과 기재층(1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지층(40)으로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를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간지층(40)은 첨가제로서 바륨-아연계 안정제를 포함하는 경우 내열 안정성이 향상시킬 수 있고, 탄산칼슘 등의 무기 충진재를 포함하는 경우 적층 필름의 경도를 향상시키고, 적층 필름 표면에 열이 가해질 경우 열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의 평균 두께는 200㎛ 내지 35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00㎛ 내지 250㎛, 250㎛ 내지 300㎛, 300㎛ 내지 350㎛, 230㎛ 내지 270㎛, 280㎛ 내지 330㎛, 240㎛ 내지 260㎛, 290㎛ 내지 310㎛ 또는 320㎛ 내지 350㎛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층 필름의 평균 두께를 상기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의 평균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바닥재
또한,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상술된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을 포함하여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며, 별도의 접착제층 없이 기재층 상에 이종 수지층을 적층시켜 경량이고, 제조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표면 광택이 낮아 사용자의 눈 피로도가 적고,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TVOC)의 발생을 억제하므로 쾌적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재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 이외에 발포층 및 사이징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포층은 적층 필름 하부에 위치하여 쿠션감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이징층은 바닥재의 경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바닥재는 예를 들어 적층 필름 하부에 발포층을 포함할 수 있고, 적층 필름 하부에 사이징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층 필름 하부에 발포층 및 사이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9.
글리콜 변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폴리에스테르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R), 및 무기 충진재인 판형의 카올리나이트(Kaolinite)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파운딩하고, 연신 공정 없이 압출하여 이종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이종 수지 필름의 평균 두께는 30±2㎛였다.
단위:
중량부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PETG 100 100 100 100 0 100 100 100 100
PET 30 70 140 70 100 0 5 200 -
PBT - - - - - - - - 70
무기
충진재
10 10 10 0 10 10 10 10 10
표면 광택도 25 30 45 110 40 40 35 30 40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평균 두께: 200±10㎛) 필름을 준비하고, 상기 제조예 1~9에서 제조된 이종 수지 필름과 함께 가로 15㎝ 및 세로 15㎝로 재단한 후 130~150℃의 가열롤(heating-roll)로 라미네이팅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이종 수지층 사용된 이종 수지층
실시예 1 제조예 1의 필름 비교예 1 제조예 4의 필름
실시예 2 제조예 2의 필름 비교예 2 제조예 5의 필름
실시예 3 제조예 3의 필름 비교예 3 제조예 6의 필름
비교예 4 제조예 7의 필름
비교예 5 제조예 8의 필름
비교예 6 제조예 9의 필름
실시예 4.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평균 두께: 200±10㎛) 필름을 준비하고,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이종 수지 필름과 함께 가로 15㎝ 및 세로 15㎝로 재단한 후 100℃ 이상으로 가열된 핫-프레스로 2분간 압력을 가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3과 비교예 1~6에서 제조된 적층 필름을 대상으로 표면 광택도, 내스크래치성, 부착성,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TVOC)의 발생량 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가) 광택도 평가
광택 측정기 (Gloss Meter)를 이용하여 60° 광택도 (글로스 60° 조건)를 측정하였다.
나) 내스크래치성
EN 16094:2012의 B 절차에 따라 마이크로 스크래치 저항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적층 필름 표면에 미디움 파인(medium fine)의 핸드패드(Scotch Brite SB7440)로 160회 러빙(rubbing)을 수행하였다. 그 후, 러빙된 표면에 발생된 스크래치 및 스크래치로 인한 패턴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하기의 기준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였다:
B1 등급: 스크래치가 전혀 확인되지 않음,
B2 등급: 10 개 미만의 옅은 스크래치가 확인됨,
B3 등급: 10개 이상 30개 미만의 옅은 스크래치가 확인됨
B4 등급: 좁고 미세한 스크래치가 다수 확인되고, 스크래치로 인한 리사주 그림(lissajous figure)이 부분적으로 확인됨,
B5 등급: 좁고 미세한 스크래치가 다수 확인되고, 스크래치로 인한 리사주 그림(lissajous figure)이 혼합된 형태로 확인됨,
다) 부착성
ASTM D3359의 A 평가방법에 따라 적층 필름의 표면을 칼로 30~45°의 각도 및 약 40㎜ (1.5 inch) 길이를 갖는 X자 커팅을 하였다. 그 후 커팅된 표면에 X자를 따라 테이프(길이 약 75㎜ (3inch))를 견고하게 붙이고 빠르게 떼어내어 커팅된 X자의 박리 상태를 확인하였다. 확인된 박리 상태에 따라 부여하였으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0 등급: X자 영역이 완전히 벗겨짐,
1 등급: 전체 면적의 약 50% 이상의 박리가 확인됨,
2 등급: 커팅된 X자의 직선 부위 양 옆으로 최대 3.2㎜ (1/8 inch)의 박리가 지그재그로 확인됨,
3 등급: 커팅된 X자의 직선 부위 양 옆으로 약 1.6㎜ (1/6 inch) 내외의 박리가 지그재그로 확인됨,
4 등급: 커팅된 X자의 직선 부위 또는 교차점을 따라 전체 면적의 약 5% 이하의 박리 또는 제거 흔적이 확인됨,
5 등급: 커팅된 표면의 박리가 확인되지 않음.
라)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 TVOC )의 발생량
ASTM D5116에 따라 GC/MS 분석기를 이용하여 23±2℃ 및 50±5%의 습도에서 1시간당 적층 필름의 단위면적(㎡)에서 발생되는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TVOC)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때,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TVOC)은 GC/MS 측정 시 헥산(C6) 내지 헥사데칸(C16) 범위에서 검출되는 물질로 한정하였다.
표면 광택도 마이크로-스크래치 저항 [등급] 부착성
[등급]
TVOC 평균 발생량
[㎎/㎡h]
실시예 1 25 B1 5 0.048
실시예 2 30 B1 5 0.049
실시예 3 45 B1 5 0.051
비교예 1 110 B2 4 0.134
비교예 2 40 B3 1 0.052
비교예 3 40 B3 3 0.059
비교예 4 35 B1 5 0.062
비교예 5 30 B3 4 0.053
비교예 6 40 B3 5 0.061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은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종 수지층을 포함하여 별도의 접착제층 없이 기재층 상에 적층시킬 수 있고, 표면 광택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내스크래치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종 수지층에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및 폴리에스테르를 일정 비율로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3의 적층 필름은 표면 광택도가 약 50 이하로 낮게 나타났으며, 마이크로-스크래치 저항이 B1로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PVC 기재층과 이종 수지층의 부착성이 높아 X자 컷팅된 부분에 테이프를 탈부착하여도 박리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무기 충진재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적층 필름은 표면 광택도가 100 이상으로 나타나고, TVOC 발생량이 0.1 ㎎/㎡h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지 않거나 본 발명과 같은 함량 비율로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 내지 5의 적층 필름은 마이크로-스크래치 저항 및 부착성 중 어느 하나는 성능이 좋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이종 수지층에 판상형의 무기 충진재와 함께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및 폴리에스테르를 일정 비율로 포함하는 경우 적층 필름의 표면 광택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내스크래치성과 기재층과의 부착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TVOC)의 발생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은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및 폴리에스테르를 일정 비율로 포함하는 이종 수지층을 구비하여 별도의 접착제층 없이 기재층 상에 적층시킬 수 있고, 표면 광택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의 높은 경도를 유지하여 내스크래치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10: 기재층
20: 이종 수지층
21: 무기 충진재
30: 인쇄층
40: 간지층

Claims (14)

  1.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위치하고,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이종 수지층을 포함하고,
    이종 수지층은 무기 충전재가 균일하게 분산된 형태를 가지며,
    이종 수지층은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10 내지 160 중량부를 포함하고
    이종 수지층은 표면 광택도가 글로스(Gloss) 60° 조건 하에서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은, EN 16094의 B 절차에 따른 마이크로 스크래치 저항 평가 시, B2 등급 이하인 적층 필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이종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10㎛ 내지 60㎛인 적층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무기 충전재는 탄산칼슘, 탈크, 규회석, 실리카, 유리 입자, 실리콘(Si) 입자 및 세라믹 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적층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무기 충전재는 다공성의 구형 입자 또는 판형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무기 충전재의 함량은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인 적층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기재층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평균 두께는 200 ㎛ 내지 350 ㎛인 적층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은 ASTM D5116에 따른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TVOC)의 발생량이 23±2℃ 및 50±5%의 습도에서 평균 0.055 ㎎/㎡h 미만인 적층 필름.
  13. 제1항에 따른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바닥재.
  14. 제13항에 있어서,
    바닥재는 발포층 및 사이징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바닥재.
KR1020170117117A 2017-09-13 2017-09-13 이종 수지층이 구비된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KR102239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117A KR102239674B1 (ko) 2017-09-13 2017-09-13 이종 수지층이 구비된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117A KR102239674B1 (ko) 2017-09-13 2017-09-13 이종 수지층이 구비된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972A KR20190029972A (ko) 2019-03-21
KR102239674B1 true KR102239674B1 (ko) 2021-04-13

Family

ID=66036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117A KR102239674B1 (ko) 2017-09-13 2017-09-13 이종 수지층이 구비된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6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804B1 (ko) * 2019-12-11 2022-01-25 이종선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진 가구용 고광택 데코 시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115B1 (ko) * 2001-02-12 2004-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금속이 치환된 제올라이트 분말을 함유한 적층 바닥재
JP2014198469A (ja) 2013-03-13 2014-10-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JP2015077691A (ja) 2013-10-15 2015-04-23 Dic株式会社 化粧板、化粧板セット及び化粧板の施工方法
KR101534621B1 (ko) * 2013-12-31 2015-07-07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멤브레인 성형이 가능한 무광 데코시트용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무광 데코시트
WO2016159036A1 (ja) 2015-03-31 2016-10-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外装用化粧材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9016B1 (ko) 1999-06-26 2003-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층에 폴리에티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을 포함하는바닥장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75706Y1 (ko) 1999-08-23 2000-03-15 주식회사엘지화학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올레핀 필름을 활용한 바닥장식재
KR101819774B1 (ko) * 2013-08-19 2018-01-18 (주)엘지하우시스 데코 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115B1 (ko) * 2001-02-12 2004-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금속이 치환된 제올라이트 분말을 함유한 적층 바닥재
JP2014198469A (ja) 2013-03-13 2014-10-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JP2015077691A (ja) 2013-10-15 2015-04-23 Dic株式会社 化粧板、化粧板セット及び化粧板の施工方法
KR101534621B1 (ko) * 2013-12-31 2015-07-07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멤브레인 성형이 가능한 무광 데코시트용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무광 데코시트
WO2016159036A1 (ja) 2015-03-31 2016-10-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外装用化粧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972A (ko)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30846A1 (en) Pressable coating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panel products
CN102271916A (zh) 具有镜面效果的装饰膜及其制作方法
JP6304916B2 (ja) 床用化粧材
KR20160043131A (ko) 바닥용 장식재
WO2017057673A1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5870799B2 (ja) 化粧シート
KR20150021150A (ko) 데코 시트
KR102239674B1 (ko) 이종 수지층이 구비된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JP2017144599A (ja) 化粧材
CN111556916B (zh) 具有声学部分的表面覆盖物
JP2017145583A (ja) 床用化粧材
JP2006316578A (ja) 防滑性床材
JP5664091B2 (ja) 真空成形用化粧シート
JPWO2018225844A1 (ja) 化粧材
JP5879836B2 (ja) 床用化粧材の製造方法
US11420428B2 (en) Composite polymeric film wear layer for hard surfaces
JP2015066791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5966292B2 (ja) 真空成形用化粧シート
KR102404831B1 (ko) 이종 수지층이 구비된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시트
JP2007077602A (ja) 床用化粧材
JP2007105964A (ja) 床用化粧材
KR101786152B1 (ko) 데코 시트
JP2012091502A (ja) 真空成形用化粧シート
KR102448255B1 (ko) 다층 바닥 장식 시트
JP5720163B2 (ja) 真空成形用化粧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