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000B1 -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000B1
KR102354000B1 KR1020170071574A KR20170071574A KR102354000B1 KR 102354000 B1 KR102354000 B1 KR 102354000B1 KR 1020170071574 A KR1020170071574 A KR 1020170071574A KR 20170071574 A KR20170071574 A KR 20170071574A KR 102354000 B1 KR102354000 B1 KR 102354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ule
display
separation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454A (ko
Inventor
박영익
기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to KR1020170071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00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는, 접착부에 의해 결합된 표시부와 글라스부를 구비하는 표시부모듈이 배치되는 모듈안착부와, 모듈안착부가 수용되며 표시부모듈의 온도를 조절하여 접착부의 결합력을 줄이는 온도조절부와, 모듈안착부에 결합되고 표시부와 글라스부 사이로 진입되어 표시부와 글라스부를 분리하는 모듈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 및 방법{REWORKING DEVICE OF DISPLAY PART MODULE AND THE REWORK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부모듈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표시부모듈을 분리하여 표시부모듈의 재 사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부모듈의 구성요소들은 광학투명양면테이프, 광학투명 접착제 등의 접착물질에 의해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접착물질은 접착강도가 강하므로, 접합된 표시부모듈의 구성요소들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힘을 가해야 하는데 이때, 표시부모듈이 손상되어 재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46075호(발명의 명칭: 리페어 방법 및 리페어 장치, 공개일: 2016.12.2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표시부모듈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표시부모듈을 분리하여, 표시부모듈의 재 사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는: 접착부에 의해 결합된 표시부와 글라스부를 구비하는 표시부모듈이 배치되는 모듈안착부; 상기 모듈안착부가 수용되며, 상기 표시부모듈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접착부의 결합력을 줄이는 온도조절부; 및 상기 모듈안착부에 결합되고, 상기 표시부와 상기 글라스부 사이로 진입되어, 상기 표시부와 상기 글라스부를 분리하는 모듈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듈안착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표시부모듈이 각각 안착되는 모듈안착부재; 및 복수 개의 상기 모듈안착부재를 연결하는 안착부재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모듈안착부가 수용되는 조절챔버부; 및 상기 조절챔버부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표시부모듈의 온도를 조절하는 챔버온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듈안착부가 안착되며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는 벨트부를 구비하여, 상기 모듈안착부를 이동시키는 안착부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듈분리부는, 상기 모듈안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리회전부; 및 상기 분리회전부에 결합되며, 이동에 따라 상기 표시부와 상기 글라스부 사이로 진입되어, 상기 표시부와 상기 글라스부 사이의 거리를 확장시키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듈분리부는, 상기 분리회전부 또는 상기 모듈안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분리회전부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분리부재가 상기 표시부와 상기 글라스부 사이로 진입되도록 가압하는 분리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듈분리부는, 상기 분리회전부와 결합되며, 상기 모듈안착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표시부모듈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분리회전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분리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듈분리부는, 상기 분리회전부 및 상기 모듈안착부에 결합되고,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분리회전부를 회전 시키는 분리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방법은, 접착부에 의해 결합된 표시부와 글라스부를 구비하는 표시부모듈을 모듈안착부에 안착하는 안착단계; 온도조절부가 상기 표시부모듈의 온도를 설정온도 범위로 조절하여, 상기 접착부의 결합력을 줄이는 온도조절단계; 상기 모듈안착부에 결합된 모듈분리부가 상기 표시부와 상기 글라스부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표시부와 상기 글라스부를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 및 방법은 온도조절부를 통해 접착부의 접착력을 감소시켜 표시부모듈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표시부모듈을 분리하여, 표시부모듈의 재 사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표시부모듈이 장착되는 모듈안착부가 구비되므로, 복수 개의 표시부모듈의 이동, 온도조절 및 리워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바, 리워크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공간을 줄이고, 리워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탄성부, 분리가압부 또는 분리구동부를 적용하여, 표시부와 글라스부 사이를 가압함으로써, 표시부와 글라스부의 분리 작업을 촉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모듈안착부재에, 분리되기 전 표시부모듈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모듈안착부재에 안착된 표시부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의 접착력의 온도에 따른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안착부재에 표시부모듈이 안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안착부재에 표시부모듈이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분리부에서 분리부재가 표시부와 글라스부 사이로 진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안착부재에 표시부모듈이 안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분리부에서 분리부재가 표시부와 글라스부 사이로 진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듈안착부재에 표시부모듈이 안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듈분리부에서 분리부재가 표시부와 글라스부 사이로 진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에서 분리부재가 표시부와 글라스부 사이로 진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모듈안착부재에, 분리되기 전 표시부모듈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모듈안착부재에 안착된 표시부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1)는 모듈안착부(100), 온도조절부(200) 및 모듈분리부(300)를 포함하여, 접착부(15)로 부착되는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를 분리한다.
모듈안착부(100)에는 접착부(15)에 의해 결합된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를 구비하는 표시부모듈(1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안착부(100)는 모듈안착부재(110) 및 안착부재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표시부(11)는 LCD, PDP 등과 같이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방식의 장치로 예시될 수 있다. 표시부(11)의 형상은 FPD와 같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곡면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곡면 형상인 표시부(11)에 대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1a)에 대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도 12 및 13 참조).
글라스부(13)는 표시부(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접착부(15)는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에 배치되고,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를 서로 접착시킨다. 이때, 접착부(15)는 광학투명양면테이프, 광학투명 접착제 등일 수 있다.
모듈안착부재(11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복수 개의 표시부모듈(10)이 각각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안착부재(110)는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표시부모듈(1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되, 표시부모듈(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표시부모듈(10) 대비 대(大) 면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모듈안착부재(110)에는 표시부모듈(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홈부(미도시)가 형성되고, 해당 안착홈부의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표시부모듈(10)의 안착시 설정된 안착위치에 표시부모듈(10)이 안착되도록, 표시부모듈(1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부는 표시부모듈(10)의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표시부모듈(10)이 모듈안착부재(110)에 대하여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안착부재연결부(130)는 복수 개의 모듈안착부재(110)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안착부재(110)는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도 2 참조), 각각의 모듈안착부재(110)를 안착부재연결부(130)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 모듈안착부재(110)는 복수 개의 표시부모듈(10)이 안착되도록 하여, 복수 개의 표시부모듈(10)의 분리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의 분리 작업속도를 증대시킨다.
온도조절부(200)는 조절챔버부(210) 및 챔버온도조절부(230)를 포함하여, 조절챔버부(210) 내부에 모듈안착부(100)가 수용되며 챔버온도조절부(320)에 의하여 설정온도 범위로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온도조절부(200)는 표시부모듈(10)의 온도를 조절하여 접착부(15)의 결합력을 해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부(15)가 광학용접착제 등으로 예시되는 경우, 해당 광학용접착제의 접착력은 낮은 온도에서 현저히 떨어지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표시부모듈(10)이 안착된 모듈안착부(100)가 온도조절부(200)의 내부에 수용되면, 챔버온도조절부(230)로 온도조절부(2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여 접착부(15)의 접착력을 줄임으로써 접착부(15)에 의한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의 접착력의 온도에 따른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gf는 접착부(15)의 표면 부착력 즉, 접착력을 의미하고, deg는 접착부(15)의 온도를 의미한다.
접착부(15)의 온도가 T1 이하로 유지되거나, T2 이상으로 유지될 때 접착부(15)의 접착력이 F 이하로 감소되는 경우, 온도조절부(200)의 온도를 T1 이하인 저온으로 유지시키거나, T2 이상인 고온으로 유지시켜 접착부(15)의 접착력이 F 이하로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온도조절부(200)는 접착부(15)의 접착력이 F 이하로 감소될 수 있도록 저온 또는 고온으로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온도조절부(200)는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의 결합력을 해제할 수 있다.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의 열팽창계수가 상이한 경우, 표시부모듈(10)의 온도를 낮추거나 높이는 경우,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의 상대 팽창 또는 상대 축소에 따라 경계면에서의 접착부(15)의 균열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착부(15)에 의한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의 접착력이 약화될 수 있다.
조절챔버부(210)는 내부에 온도 조절 가능한 챔버공간(211)이 형성되며, 내벽 또는 외벽이 단열 처리되어 내부와 외부의 열교환을 차단한다. 챔버온도조절부(230)는 조절챔버부(21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여, 표시부모듈(10)의 온도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온도조절부(200)는 온도센서부(250)를 더 포함한다. 온도센서부(250)는 조절챔버부(210)에 수용되고, 조절챔버부(210)의 내부 또는 표시부모듈(10)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로써, 온도센서부(250)는 접착부(15)의 접착력이 설정범위로 떨어지는 온도 범위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어부(500)가 온도조절부(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1)는 안착부이동부(400)를 더 포함한다. 안착부이동부(400)는 표시부모듈(10)이 안착된 모듈안착부(100)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부이동부(400)는 벨트부(410) 및 풀리부(430)를 포함한다.
벨트부(410)에는 상측면에 모듈안착부(100)가 안착되며 폐 곡선으로 형성된다. 풀리부(430)는 외주면이 벨트부(410)의 내주면에 접하여 회전 시 벨트부(410)를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시켜, 벨트부(410)에 안착된 모듈안착부(100)가 온도조절부(200) 내부로 수용되거나, 온도조절부(200)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모듈분리부(300)는 모듈안착부(100)에 결합되고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로 진입되어, 접착부(15)의 접착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를 분리한다.
여기서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를 분리한다는 것의 의미는,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가 접착부(15)에 의하여 상대 이동이 제한된 것을 해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가 직접 접한 상태에서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를 이격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의 직접 접촉 없이, 접착부(15)를 매개로 연결된 상태로부터, 표시부(11)와 글라스부(15) 사이의 거리를 확장시켜 접착부(15)에 의한 결합을 해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분리부(300)는 분리회전부(310) 및 분리부재(330)를 포함한다.
분리회전부(310)는 모듈안착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회전부(310)는 일단부가 모듈안착부(100)에 힌지 결합 등의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분리부재(330)가 결합되어 분리회전부(310)의 회전에 따라 분리부재(330)의 일단부가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한다.
분리부재(330)는 분리회전부(310)에 결합되며, 이동에 따라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로 진입되어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의 거리를 확장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부재(330)는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로 진입되는 선단부로부터 후단부 측으로 진행되면서 높이가 증대되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에 진입되는 정도가 증가하면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의 거리가 더욱 벌어질 수 있게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안착부재에 표시부모듈이 안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안착부재에 표시부모듈이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분리부에서 분리부재가 표시부와 글라스부 사이로 진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서 모듈분리부(301)는 분리탄성부(340)를 더 포함한다. 분리탄성부(340)는 분리회전부(310) 또는 모듈안착부(100)에 장착되고, 분리회전부(310)를 탄성 지지하여 분리부재(330)가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로 진입되도록 분리부재(330)를 가압한다.
제1 실시예에서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는 한 쌍의 분리부재(330) 사이의 거리는, 표시부모듈(10)이 모듈안착부(100)에 안착되기 전 상태에서, 표시부모듈(10)의 폭 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 후 표시부모듈(10)이 모듈안착부(100)에 안착될 때, 표시부모듈(10)의 양단부가 분리부재(33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가압하면서 모듈안착부(100) 측으로 이동되면 분리부재(330) 사이의 거리가 확장되며 분리탄성부(340)가 탄성 변형된다.
표시부모듈(10)이 모듈안착부(100)에 안착되면, 분리부재(330)는 분리탄성부(340)의 복원력에 의해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를 가압하게 된다.
온도 변화 등에 의해 접착부(15)의 접착력이 감소하게 되면, 분리부재(330)가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로 진입하여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의 거리를 확장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안착부재에 표시부모듈이 안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분리부에서 분리부재가 표시부와 글라스부 사이로 진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서 모듈분리부(302)는 분리가압부(350)를 더 포함한다. 분리가압부(350)는 분리회전부(3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모듈안착부(100)에서 돌출되어 표시부모듈(10)의 자중에 의해 가압되면 분리회전부(310)가 회전되어, 분리부재(330)가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를 가압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에서 모듈분리부(302)는, 분리부재(330) 또는 분리회전부(310)의 자중 등에 의하여 마주보는 한 쌍의 분리부재(330) 사이의 거리가 표시부모듈(10)의 폭(또는 길이)보다 길게 위치하며, 분리가압부(350)의 일부(상단부)가 모듈안착부재(110)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표시부모듈(10)이 모듈안착부(100) 측으로 이동하면서 분리가압부(350)를 가압하면, 분리가압부(350)가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분리회전부(310)를 회전시키게 되며, 분리회전부(310)의 회전에 따라 분리부재(330)가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를 가압한다.
분리부재(330)는 온도 변화 등에 의해 접착부(15)의 접착력이 감소하게 되면,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로 진입하여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의 거리를 확장시키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듈안착부재에 표시부모듈이 안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듈분리부에서 분리부재가 표시부와 글라스부 사이로 진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서 모듈분리부(303)는 분리구동부(360)를 더 포함한다. 분리구동부(360)는 분리회전부(310) 및 모듈안착부(100)에 결합되고,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분리회전부(310)를 회전시킨다.
제3 실시예에서 한 쌍의 마주보는 분리부재(330) 사이의 거리는 분리구동부(360)의 작동에 의하여 조절된다. 분리구동부(360)가 분리회전부(3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마주보는 분리부재(330) 사이의 거리를 표시부모듈(10)의 폭(또는 길이) 보다 길게 한 후, 표시부모듈(10)을 모듈안착부재(110)에 안착시킨다.
표시부모듈(100)이 모듈안착부재(110)에 안착되면 분리구동부(360)가 분리회전부(31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분리부재(330)가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를 가압하게 한다.
분리부재(330)는 온도 변화 등에 의해 접착부(15)의 접착력이 감소하게 되면,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로 진입하여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의 거리를 확장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1a)는 평면 형상의 표시부모듈(10)뿐만 아니라 곡면, 절곡된 형상의 표시부모듈(10a)에 대해서도 분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1a)에서는 모듈안착부재(110a)에서 표시부모듈(10a)가 안착되는 면이, 표시부모듈(10a)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해당 모듈안착부재(110a)에 곡면 형상의 표시부모듈(10a)이 안착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안착부재(110a)에 곡면 형상의 표시부모듈(10a)이 안착되면, 모듈분리부(300)가 표시부(11a)와 글라스부(13a) 사이를 가압하며, 온도조절부(200)에 의하여 접착부(15)의 접착력이 감소되면, 모듈분리부(300) 가 표시부(11a)와 글라스부(13a)를 분리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방법(S1)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방법(S1)은 안착단계(S100), 온도조절단계(S200) 및 분리단계(S300)를 포함한다.
안착단계(S100)에서는 복수 개의 표시부모듈(10)을 모듈안착부(100)에 안착시킨다. 모듈안착부(100)는 복수 개의 표시부모듈(10)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모듈안착부재(110)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리워크방법(S1)는 복수 개의 표시부모듈(10)의 온도를 동시에 조절하고, 복수 개의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분리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온도조절단계(S200)에서는 온도조절부(200)가 표시부모듈(10)의 온도를 설정온도 범위로 조절하여, 접착부(15)의 결합력을 줄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부(15)가 광학용접착제로 예시되는 경우 설정온도 범위에서 결합력이 소정의 결합력(도 4 기준 F)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분리단계(S300)에서는 모듈안착부(100)에 결합된 모듈분리부(300, 301, 302, 303)가, 구체적으로 쐐기형상의 분리부재(330)가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로 진입하여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를 분리하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1) 및 방법(S1)은 온도조절부(200)를 통해 접착부(15)의 접착력을 감소시켜 표시부모듈(10)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정밀하게 표시부모듈(10)을 분리하여 표시부모듈(10)의 재 사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1) 및 방법(S1)은 표시부모듈(10)이 장착되는 모듈안착부(100)가 구비되므로, 복수 개의 표시부모듈(10)의 이동, 온도조절 및 리워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바, 리워크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공간을 줄이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1) 및 방법(S1)은 분리탄성부(340), 분리가압부(350) 또는 분리구동부(360)를 적용하여,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 사이를 가압함으로써, 표시부(11)와 글라스부(13)의 분리 작업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1a: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 10, 10a: 표시부모듈
11, 11a: 표시부 13, 13a: 글라스부
15: 접착부 100: 모듈안착부
110, 110a: 모듈안착부재 130: 안착부재연결부
200: 온도조절부 210: 조절챔버부
211: 챔버공간 230: 챔버온도조절부
250: 온도센서부 300, 301, 302, 303: 모듈분리부
310: 분리회전부 330: 분리부재
340: 분리탄성부 350: 분리가압부
360: 분리구동부 400: 안착부이동부
410: 벨트부 430: 풀리부
500: 제어부

Claims (9)

  1. 접착부에 의해 결합된 표시부와 글라스부를 구비하는 표시부모듈이 배치되는 모듈안착부;
    상기 모듈안착부가 수용되며, 상기 표시부모듈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접착부의 결합력을 줄이는 온도조절부; 및
    상기 모듈안착부에 결합되고, 상기 표시부와 상기 글라스부 사이로 진입되어, 상기 표시부와 상기 글라스부를 분리하는 모듈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안착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표시부모듈이 각각 안착되는 모듈안착부재; 및
    복수 개의 상기 모듈안착부재를 연결하는 안착부재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분리부는,
    상기 모듈안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리회전부;
    상기 분리회전부에 결합되며, 이동에 따라 상기 표시부와 상기 글라스부 사이로 진입되어, 상기 표시부와 상기 글라스부 사이의 거리를 확장시키는 분리부재; 및
    상기 분리회전부와 결합되며, 상기 모듈안착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표시부모듈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분리회전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분리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모듈안착부가 수용되는 조절챔버부; 및
    상기 조절챔버부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표시부모듈의 온도를 조절하는 챔버온도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안착부가 안착되며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는 벨트부를 구비하여, 상기 모듈안착부를 이동시키는 안착부이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접착부에 의해 결합된 표시부와 글라스부를 구비하는 표시부모듈을 모듈안착부에 안착하는 안착단계;
    온도조절부가 상기 표시부모듈의 온도를 설정온도 범위로 조절하여, 상기 접착부의 결합력을 줄이는 온도조절단계;
    상기 모듈안착부에 결합된 모듈분리부가 상기 표시부모듈의 자중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표시부와 상기 글라스부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표시부와 상기 글라스부를 분리하는 분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모듈의 리워크방법.
KR1020170071574A 2017-06-08 2017-06-08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 및 방법 KR102354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574A KR102354000B1 (ko) 2017-06-08 2017-06-08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574A KR102354000B1 (ko) 2017-06-08 2017-06-08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454A KR20180134454A (ko) 2018-12-19
KR102354000B1 true KR102354000B1 (ko) 2022-01-25

Family

ID=6500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574A KR102354000B1 (ko) 2017-06-08 2017-06-08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0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6346A (ja) * 2003-10-08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面表示装置の分離方法および分離装置
JP2014179355A (ja) 2011-07-04 2014-09-25 Asahi Glass Co Ltd ガラス基板の剥離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6038436A (ja) * 2014-08-06 2016-03-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パネルとカバーガラスの剥離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161B1 (ko) * 2005-09-02 2007-08-0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칩 자동 부착장치
KR100804616B1 (ko) * 2006-06-23 2008-02-20 박웅기 오토클레이브에 의한 처리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6346A (ja) * 2003-10-08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面表示装置の分離方法および分離装置
JP2014179355A (ja) 2011-07-04 2014-09-25 Asahi Glass Co Ltd ガラス基板の剥離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6038436A (ja) * 2014-08-06 2016-03-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パネルとカバーガラスの剥離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454A (ko)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656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1757718B1 (ko) 사이드 곡면을 가진 액정 패널 표면에 필름을 접합시키는 장치
KR102537377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764710B1 (ko) 필름 부착 장치 및 방법
JP2017508185A5 (ko)
US6829988B2 (en) Nanoim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TW201343321A (zh) 工件設定裝置、工件設定方法、及工件固持器移開方法
CN109665140A (zh) 覆膜设备
KR102354000B1 (ko) 표시부모듈의 리워크장치 및 방법
CN111862795B (zh) 贴合设备
CN104217980A (zh) 衬底移除设备以及使用其制造平板显示装置的方法
KR101689057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 방법
CN102152598A (zh) 基板的贴合方法和装置
US10682836B2 (en) Machines for transferring a preformed functional film onto an ophthalmic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an ophthalmic lens comprising a method for transferring the preformed film onto the substrate
KR20180027683A (ko) 글래스 더미 제거 장치
KR102280873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201343319A (zh) 工件設定設備及方法
KR101385133B1 (ko) 플레이트 합착 장치
JP6046926B2 (ja) 貼付装置
KR20160111603A (ko) 합착 기판의 절단 시스템
CN210590572U (zh) 一种贴合机
JPH09316399A (ja) 基板貼合せ装置及び基板貼合せ方法
KR102217251B1 (ko) 커브드 기판 합착 장치
KR101132172B1 (ko) 휴대 단말기의 커버 융착장치
JP4421868B2 (ja)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ギャップ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