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720B1 -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720B1
KR102353720B1 KR1020200019008A KR20200019008A KR102353720B1 KR 102353720 B1 KR102353720 B1 KR 102353720B1 KR 1020200019008 A KR1020200019008 A KR 1020200019008A KR 20200019008 A KR20200019008 A KR 20200019008A KR 102353720 B1 KR102353720 B1 KR 102353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lame retardant
parts
resin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4367A (ko
Inventor
이성준
손재설
Original Assignee
이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준 filed Critical 이성준
Priority to KR1020200019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72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4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0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fouling agent
    • B01J35/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27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layers by lamination or by fusion of the coatings or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87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적인 암모늄 포스페이트 또는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의 무기 인계 방염제 및 방향족 포스페이트 또는 할로알킬 포스페이트의 유기 인계 방염제로 된 복합 방염제 10~40중량부와, 용제 15~40중량부와, 레벨링제 0.1~3중량부와, 소포제 0.1~1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방염제가 무기 인계 방염제 : 유기 인계 방염제 = 1: 0.1~10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실사출력물의 인쇄층 외표면에 도막 두께 2~100㎛로 코팅되고, 본 발명에 따른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은 실사출력이 완료된 실사출력물에 방염성을 부여함과 아울러, 실사출력이 완료된 실사출력물의 외부로 노출된 인쇄층 위에 코팅되어 실사출력물에 방오성, 방수성 및, 내후성(탈색 방지성)을 부여하며, 다품종 소량 생산의 주문형 맞춤 인쇄에 있어서 상황에 따라 방염 및 비방염 원단 롤러를 교체 장착해야 할 필요성이 없어 높은 운영 효율성을 갖도록 적용될 수가 있다.

Description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FLAME RETARDANT COMPOSITION FOR POST-COATING TREATMENT ON DIGITAL PRINTED MATTERS}
본 발명은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프린팅에 의한 실사출력물에 방염, 방오, 방수 및, 탈색 방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프린팅이란 컴퓨터로 생성된 디지털 기반의 이미지나 문자 또는 다양한 색상 및 형태의 패턴을 다양한 매체에 직접 프린팅 또는 출력하는 기법으로써, 대형의 레이저 혹은 잉크젯 프린터(플로터)를 사용하면 대형 사이즈의 실사 프린팅을 단시간에 대량으로 다양한 출력물을 생산할 수가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인쇄물에 대한 제작 트랜드가 기존 대량의 옵셋인쇄에서 주문형 맞춤 인쇄(POD: Print on Demand) 시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인쇄 시장은 매년 2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프린팅은 아날로그 방식의 기존 옵셋 인쇄에서 요철 형태의 인쇄 판면을 지닌 인쇄판의 제작이 불필요하며 구입비 및 운영비 절감이 가능함과 아울러, 소량의 인쇄물을 주문에 따라 고품질로 신속히 제공 가능하며, 대형 및 임의의 크기로 출력 가능하고, 다양한 재질에 직접 출력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실사출력(實寫出力: photo printing)’이라는 용어의 사전적 의미는 ‘실물의 모습을 인쇄 매체 상에 그대로 프린팅하여 출력하는 것’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상기한 디지털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매체를 다양한 가공 작업을 거쳐 광고물 또는 기타 형태로 제작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예로써는 현수막, 배너, 어깨띠, 간판, 구매시점(POP: point of purchase) 광고물, 개인 용품, 명함, 리플렛, 카다로그, 브로슈어, 전단, 포스터 등 그 종류는 매우 광범위하다.
이러한 디지털 프린팅에 의한 무제판 실사출력은 잉크제트 또는 레이저 프린터, 소프트웨어, 잉크염료, 직물 원단과 같은 인쇄 대상 매체 및 이와 관련된 전처리 약품과 설비, 그리고 원단 전후처리 장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실사출력은 디지털 프린팅의 장점인 공정 최소화에 의한 납기의 단기 충족 대응과 고정비용 및 운영비용 절감, 다양한 색상 및 패턴 표현력 향상에 따른 디자인 자유도 확장, 발달된 네트워크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마케팅 효과 제고, 미염착 염료와 처리제에 대한 폐수 처리 부담 감소 등의 효과를 가지며, 효율적인 다품종 소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시장의 빠른 변화에 신속히 대응 가능하여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가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실사출력은 기술 발전으로 인해 인쇄 대상 소재의 폭이 다양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잉크 및 염료의 경우도 거의 제한없이 활용이 가능하다.
실사출력에 주로 이용되는 현수막이나 배너 또는 폴리프로필렌 합성지 등에는 수성 잉크가 주로 사용되나 직포와 같은 원단이나 합성지는 인쇄 적성이 좋지 않으므로, 인쇄 적성 향상을 위한 표면 개질이 필요하다.
매우 다양한 표면 개질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그 일례를 들면 PVA(폴리비닐알콜)나 PVP(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친수성 중합체와 알루미나 졸과 같은 특수 세라믹 재료를 표면 처리제로 사용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친수성 중합체는 내수성과 화성 품질에 한계가 있고 특수 세라믹 재료는 성능적으로 우수하나 고비용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성 우레탄과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의 혼합물을 원단 또는 합성지 표면에 코팅하여 표면층에 초미세 다공질화된 겔 막을 형성함으로써 인쇄 잉크의 받음성과 밀착성, 흡수성 등이 향상되고 번짐 현상이 적으며, 상대적으로 우수한 내수성 및 마찰성을 지닌 인쇄 대상 매체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 외에도 매우 다양한 종류의 표면 개질 원단 및 합성지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사출력에 사용되는 이러한 통상적인 표면 개질 원단은 화재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인쇄층이 외표면에 노출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먼지나 매연이 달라붙어 표면이 오염되기 쉬우며 우수에 취약하며 일광 중의 자외선에 의해 인쇄층이 탈색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 해소하기 위하여 노출된 인쇄층 위에 라미네이트 보호 필름을 적층한 원단도 제안되어 있기는 하지만 인쇄 후 라미네이팅한 보호 필름이 바람과 우수에 의한 물리적 열화 및 자외선에 의한 광화학적 열화에 의해 부분적인 박리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방염성 내지 난연성을 가지는 실사출력용 원단에 관한 전형적인 종래 기술로서는 하기의 것들을 들 수 있다.
등록특허 제10-0441299호(2004.07.13. 등록)는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한 싸이징 제직 원단에 호발, 정련 및 가공처리를 가하지 않은 상태로 표백제, 대전방지제, 황변 방지제를 처리하고, THPC(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NaOH, Urea, Triton X, 트리메쓸롤 메카민(Trimethlol mekamine) 트리스(2,3-디브로모프로필)포스페이트, 반응성 유연제의 혼합물과 물로 방염제로 코팅하여 건조한 후, 실리카, 아크릴수지, 에틸렌 비닐 알콜(EVA), 우레탄수지, 폴리비닐알콜(PVA), 고착제의 혼합물을 코팅하고 건조시킨 실사출력용 디지털 프린팅 직물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743107호(2007.07.20. 등록)는 직물층과, 상기 직물층에 수지와 방염제와 오일 첨가제와 기타 용제로 혼합 구성한 방염제로 코팅한 방염층과, 상기 방염층에 수지와 충진제로서 미네랄오일 지방산유와 첨가제로서 TiO2, SiO2 및 용제로 혼합 구성한 잉크 흡수제로 코팅한 잉크흡수층의 3중층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방염층은 방염제로서 Decabromodiphenyloxide, Decabromodiphenylethane, Antimony trioxide, Antimony pentoxide, Aluminum hydroxide, Hexabromocyclododecane, Urea, 또는 Borax를 사용하며, 수지와 오일과 유기 용제와 혼합하여 형성한 잉크젯 실사용 방염원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24743호(2003.08.18. 등록)는 방염사로 된 원단층과, 그 위의 친수성 수지, 흡수 충진재 및 계면 활성제가 배합된 코팅층으로 된 잉크젯 실사용 방염 소재를 개시(開示)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 모두는 방염층이 인쇄층 하부에 위치하며 인쇄층이 외표면에 노출되는 형태라는 문제점이 있는 외에, 다품종 소량 생산의 주문형 맞춤 인쇄가 주종인 실사출력에 있어서는 이러한 방염 원단의 사용을 위해서는 필요할 때마다 매번 비방염 원단 롤러를 제거하고 방염 원단 롤러를 교체하여야만 하므로 운영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41299호(2004.07.13.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0743107호(2007.07.20. 등록)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4743호(2003.08.18.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실사출력이 완료된 실사출력물에 방염성을 부여할 수가 있는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목적에 더하여 실사출력이 완료된 실사출력물의 외부로 노출된 인쇄층 위에 코팅되어 실사출력물에 방오성, 방수성 및, 내후성(탈색 방지성)을 부여할 수가 있는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다품종 소량 생산의 주문형 맞춤 인쇄에 있어서 방염 및 비방염 원단 롤러를 교체 장착해야 할 필요성이 없어 높은 운영 효율성을 나타낼 수가 있는,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제반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자외선 경화성 수지 단량체나 올리고머, 또는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적인 암모늄 포스페이트 또는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의 무기 인계 방염제와 방향족 포스페이트 또는 할로알킬 포스페이트의 유기 인계 방염제로 된 복합 방염제 10~40중량부와, 용제 15~40중량부와, 경화제 1~5중량부와, 레벨링 및 소포제 0.1~3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방염제가 무기 인계 방염제 : 유기 인계 방염제 = 1:0.1~10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실사출력물의 인쇄층 외표면에 도막 두께 2~100㎛, 특정하게는 10~100㎛로 코팅되는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복합 방염제는 브롬계 방염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계 방염제 : 브롬계 방염제 = 1:0.01~0.1의 중량비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복합 방염제는 안티몬계 방염제 또는 실리콘계 방염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계 방염제 : 브롬계 방염제 : 안티몬계 방염제 또는 실리콘계 방염제 = 1:0.01~0.1:0.01~0.1의 중량비로 포함된다.
선택적으로는, 광촉매로써 TiO2, ZnO, CdS, ZrO2, SnO2, V2O3, WO3, SrTiO3,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자외선 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 중량부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평균 입경 0.1~10㎛의 실리콘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인 유기 비드를 자외선 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5 중량부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 단량체나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또는 불포화 에스터이고;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 페놀수지, 멜라민 수지, 알키드수지, 요소수지, 실리콘 수지, 또는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향족 포스페이트는 IPPP(Isopropylphenyl Diphenyl Phosphate), TPP(Tripheyl Phosphate), RDP(Resorcinol diphosphate), TCP(Tricresyl Phosphate),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이고, 상기 할로알킬 포스페이트는 TCEP(Tris(2-chloroethyl)Phosphate)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은 실사출력이 완료된 실사출력물에 방염성을 부여함과 아울러, 실사출력이 완료된 실사출력물의 외부로 노출된 인쇄층 위에 코팅되어 실사출력물에 방오성, 방수성 및, 내후성(탈색 방지성)을 부여하며, 다품종 소량 생산의 주문형 맞춤 인쇄에 있어서 상황에 따라 방염 및 비방염 원단 롤러를 교체 장착해야 할 필요성이 없어 높은 운영 효율성을 갖도록 적용될 수가 있다.
도 1은 폴리프로필렌 합성지 실사출력물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제 조성물을 코팅한 결과물에 대한 방염 시험 결과도이다.
도 2는 플로터를 이용한 폴리프로필렌 합성지 배너(banner)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출력 사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사출력물에 부분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제 조성물을 코팅(배너 하단 인쇄부는 후코팅 처리 / 배너 상단 인쇄부는 후코팅 미처리)한 대비도이다.
도 4는 도 5의 배너에서 가운데 숫자 05 부분에만 본 발명에 따른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제 조성물을 코팅한 대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제 조성물과 방염제 및 수성 폴리우레탄에 대한 외관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적린, 암모늄 포스페이트, 또는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의 무기 인계 방염제와 방향족 포스페이트 또는 할로알킬 포스페이트의 유기 인계 방염제로 된 복합 방염제 10~40중량부와, 용제 15~40중량부와, 경화제 1~5중량부와, 레벨링 및 소포제 0.1~3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합성지, 다양한 페이퍼지, 또는 모소(singeing), 호발(desizing), 정련(scouring), 표백(bleaching), 형광증백(blueing) 등의 과정을 거친 제직 원단 등의 표면에 인쇄잉크의 번짐 방지 및 백색도 향상을 위한 실리카나 탄산칼슘 또는 이산화티탄 등과 같은 세라믹재, 다양한 수성 수지 및, 인쇄 잉크의 접착성 개선을 위한 미네랄 오일, 용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표면 개질제로 형성되는 인쇄 대상층이 형성된 인쇄 대상 매체에 디지털 프린팅에 의한 실사출력이 완료된 매체의 노출된 인쇄층 외표면에 방염층 및 보호층으로써 도막 두께 2~100㎛, 특정하게는 10~100㎛로 코팅된다.
상기 방염층의 두께가 2㎛ 미만인 경우에는 방염성능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고, 역으로 100㎛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쇄 대상 매체(기재)와의 부착력 저하와 인쇄 대상 매체의 물성 저하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는 당업계 공지의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터일 수 있으며, 특정하게는 아크릴 라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당업계 공지의 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 페놀수지, 멜라민 수지, 알키드수지, 요소수지, 실리콘 수지, 또는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일 수 있으며, 특정하게는 수성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상기한 복합 방염제로서는 적린, 암모늄 포스페이트, 또는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와 같은 무기 인계 방염제와 방향족 포스페이트 또는 할로알킬 포스페이트와 같은 유기 인계 방염제로 구성된다.
상기 방향족 포스페이트로써는, IPPP(Isopropylphenyl Diphenyl Phosphate), TPP(Tripheyl Phosphate), RDP(Resorcinol diphosphate), 또는 TCP(Tricresyl Phosphate) 등을 들 수 있으며, 할로알킬 포스페이트로써는 TCEP(Tris(2-chloroethyl)Phosphate)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인계 방염제는 처리 대상물에 영구 방염성을 부여하며 일광 견뢰도가 우수하고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할 때 코팅면의 색상 변화가 없이 투명하며 포름알데히드나 TBT(tributyl tin) 등과 같은 인체 유해물질을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높다.
상기한 대부분의 인계 방염제는 투명한 액상, 분말상, 또는 졸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되어 상업적으로 구매 가능하며, 상기한 인계 방염제는 액상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균일한 방염성 부여에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인계 방염제는 대부분 열분해할 때 탄소성 차(char)를 형성하며 이 차의 생성으로 연소가능한 물질이 줄어들게 되고 연소하는 분자의 표면에 두꺼운 장벽을 만들어 열을 차단함으로서 방염 작용을 하게되되며, 이러한 작용은 응축상에서 일어나는데 인은 중요한 응축상 방염제로써 인은 열분해되어 인산을 만들고 인산은 연소하는 물질에서 탈수촉매로 작용하여 차의 양을 증가시킨다.
한편, 적린은 응축시 분해를 방해한 뒤 잔화율을 상승시켜 방염 작용을 하며, 할로알킬 작용기는 방염제가 증발하거나 물에 용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염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복합 방염제는 무기 인계 방염제 : 유기 인계 방염제 = 1:0.1~10, 특정하게는 1:0.5~5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한 중량비 1:0.1 미만에서는 코팅 방염층의 균질성 및 부착성과 유연성이 열등하여 풍우와 같은 외부 유해 환경에 의한 크랙 발생에 의한 방염층의 미세 탈락 우려가 있으며, 중량비 1:10을 초과하면 코팅 방염층의 유연성은 향상되나 방염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브롬계 방염제, 안티몬계 방염제, 또는 실리콘계 방염제를 더욱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한 브롬계 방염제는 환경친화성이 열등하다는 문제점은 있으나 우수한 방염성을 나타내며,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옥타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 비스트리브로모페녹시 에탄, 트리브로모페놀, 에틸렌 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브롬화 폴리스티렌, 에틸렌 비스펜타브로모디페닐, 폴리브로모페닐 옥사이드, 헥사브로모벤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안티몬계 방염제는 할로 난연제와 난연 효과의 상승 작용을 일으키며, 안티몬 트리옥사이드, 또는 안티몬 페녹사이드가 전형적이다.
또한 실리콘계 방염제로써는 실리카겔과 친수성 연무질 실리카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연소시에 연소성분을 표면의 미세한 구멍 속에 흡착하는 한편, 생성되는 불연층이 단열 및 차단 효과를 나타내어 높은 방염성을 얻을 수 있다.
이들의 사용량은 인계 방염제의 중량을 1로 하였을 때 0.01~0.1의 중량비로 사용되며, 0.01중량비 미만에서는 기대한 첨가 효과가 미흡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역으로 0.1 중량비를 초과하면 환경 유해성이 높아지거나 인쇄층에 대한 마스킹 가능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광촉매로써 TiO2, ZnO, CdS, ZrO2, SnO2, V2O3, WO3, SrTiO3,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자외선 경화성 수지 단량체나 올리고머, 또는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 중량부로 포함시켜 표면 방오성 및 내후성(탈색 방지성)과 항균성을 향상시키도록 의도할 수도 있다.
상기한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의도한 효과가 불충분하게 돨 우려가 있으며, 역으로 1중량부를 초과하면 인쇄층에 마스킹 효과가 나타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평균 입경 0.1~10㎛의 실리콘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로 된 유기 비드를 자외선 경화성 수지 단량체나 올리고머, 또는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5 중량부로 더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서 굴절에 의한 입사광의 재귀반사 및 반사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시인성을 현저히 제고할 수도 있다.
상기한 유기 비드의 함량은 인쇄 대상 매체의 종류 및 바탕색, 인쇄층의 색조 및 채도와 명도, 요구되는 시인성 등과 같은 요소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언급하면 0.01중량% 미만이면 재귀 반사 및 반사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으며, 역으로 5중량%를 초과하면 오히려 인쇄층에 대한 시인성 저하를 초래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비드의 경우 직경 0.1㎛ 미만으로 하는 것은 제조에 어려움이 있고 10㎛를 초과하면 투명성 및 시인성을 저하시킬 우려 있다.
상기 유기 비드는 여러 종류의 서로 직경이 다른 것들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시인성 제고 측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 0.1㎛ 이상으로부터 0.5㎛ 미만인 비드는 파장이 상대적으로 길고 진동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적외선 및 적색 계열의 입사광에 대한 확산성은 불충분하나, 파장이 상대적으로 짧고 진동수가 상대적으로 큰 자외선 및 보라색 계열의 광은 효과적으로 확산시킨다.
또한 평균 입경 0.5㎛ 이상으로부터 1.0㎛ 미만인 비드는 파장이 상대적으로 길고 진동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적색 계열로부터 파장이 상대적으로 짧고 진동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청색 계열의 가시광선을 적절히 확산시킨다.
한편, 평균 입경 1.0㎛ 이상으로부터 10㎛ 이하인 비드는 파장이 상대적으로 길고 진동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적외선 및 적색 계열의 입사광을 효과적으로 확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평균 입경 0.1㎛ 이상으로부터 0.5㎛ 미만인 비드 : 평균 입경 0.5㎛ 이상으로부터 1.0㎛ 미만인 비드 : 평균 입경 1.0㎛ 이상으로부터 10㎛ 이하인 비드가 중량비로 1:0.5~5:0.5~5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한 범위를 초과하면 실사출력물의 시인성 제고에 충분치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제는 증류수, 메탄올, 에탄올, MEK(메틸 에틸 케톤), 톨루엔, 아세톤, DMF(디메틸 포름아마이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자외선 경화성 수지 단량체나 올리고머, 또는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4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경화제로서는 사용한 수지 또는 단량체나 올리고머의 종류에 따라 당업계 공지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또는 멜라민계 경화제를 선택하여 자외선 경화성 수지 단량체나 올리고머, 또는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또한 레벨링 및 소포제로써는 일반적으로 실리콘계 소포제 또는 당업계 공지의 비실리콘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형적인 것은 트윈 80, 트윈 100 등과 같은 실리콘계 소포제이며, 그 사용량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 단량체나 올리고머, 또는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3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본 발명에 따른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제 조성물은 실사출력되어 형성된 인쇄층의 외표면에 2~100㎛의 도막 두께를 형성하도록 코팅된 후 자외선 경화에 의해 순간 경화시키거나, 또는 60~160℃의 온도로 1~5m/min의 속도, 특정하게는 3m/min의 속도로 IR 조사 또는 히터 조사에 의해 열경화(건조)시킨 후 자연 경화시킨다.
이 때 필요하다면 본 발명에 따른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제 조성물이 채워진 버켓의 하부에 초음파 발진 트랜스듀서를 설치하고 실사출력물이 롤러의 하부 또는 롤러 사이의 닙 프레스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균질한 방염 도막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도면에 대하여 간단히 부연하기로 한다.
도 1은 폴리프로필렌 합성지 실사출력물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제 조성물을 코팅한 결과물에 대한 방염 시험 결과도로써, KS M ISO9772에 의한 것이다.
또한 도 2는 플로터를 이용한 폴리프로필렌 합성지 배너(banner)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출력 사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사출력물에 부분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제 조성물을 배너 하단 인쇄부에 후코팅 처리하는 한편, 배너 상단 인쇄부는 후코팅 미처리한 대비도이고, 도 4는 도 5의 배너에서 가운데 숫자 05 부분에만 본 발명에 따른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제 조성물을 코팅한 대비도이다.
도 2 내지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제 조성물은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올리고머 100중량부에, 암모늄 포스페이트 15중량부, IPPP(Isopropylphenyl Diphenyl Phosphate) 10중량부, TCEP(Tris(2-chloroethyl)Phosphate) 5중량부, 카보닐 화합물계 경화제(개시제) 3중량부, 트윈 80 1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써 방염층을 60㎛의 두께로 경화시킨 것이다.
한편, 도 5는 좌측으로부터 수성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암모늄 포스페이트 15중량부, IPPP 10중량부, TCEP 5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3중량부, 트윈 80 1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그 바로 우측은 암모늄 포스페이트 15중량부, IPPP 10중량부, TCEP 5중량부의 액상 복합 방염제를, 그리고 그 바로 다음은 분말형 암모늄 포스페이트 15중량부, 액상 IPPP 10중량부, 액상 TCEP 5중량부의 액상화된 복합 방염제를, 그리고 그 다음은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올리고머 100중량부에, 암모늄 포스페이트 15중량부, IPPP 10중량부, TCEP 5중량부, 카보닐 화합물계 경화제(개시제) 3중량부, 트윈 80 1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그리고 좌측으로부터 5번째는 분말상 암모늄 포스페이트 15중량부, 액상 IPPP 10중량부, 분말상 TCEP 5중량부의 졸상 복합 방염제를, 마지막으로 가장 우측은 수성 폴리우레탄의 외관을 나타낸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Claims (7)

  1. 자외선 경화성 수지 단량체나 올리고머 또는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적린, 암모늄 포스페이트 또는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의 무기 인계 방염제와 방향족 포스페이트 또는 할로알킬 포스페이트의 유기 인계 방염제로 된 복합 방염제 10~40중량부와, 용제 15~40중량부와, 경화제 1~5중량부와, 레벨링 및 소포제 0.1~3중량부와, TiO2, ZnO, CdS, ZrO2, SnO2, V2O3, WO3 및 SrTiO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광촉매 0.01~1 중량부와, 실리콘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스티렌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유기 비드 0.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방염제가 무기 인계 방염제 : 유기 인계 방염제 = 1: 0.1~10의 중량비이고, 상기한 유기 비드가 평균 입경 0.1㎛ 이상으로부터 0.5㎛ 미만인 비드 : 평균 입경 0.5㎛ 이상으로부터 1.0㎛ 미만인 비드 : 평균 입경 1.0㎛ 이상으로부터 10㎛ 이하인 비드가 중량비로 1:0.5~5:0.5~5이며:
    실사출력물의 인쇄층 외표면에 코팅되어 자외선 경화 또는 열경화에 의해 두께 2~100㎛의 도막으로 형성되는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및, 불포화 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이고; 열경화성 수지가 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 페놀수지, 멜라민 수지, 알키드수지, 요소수지, 실리콘 수지 및,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수지인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















  7. 삭제
KR1020200019008A 2020-02-17 2020-02-17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 KR102353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008A KR102353720B1 (ko) 2020-02-17 2020-02-17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008A KR102353720B1 (ko) 2020-02-17 2020-02-17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367A KR20210104367A (ko) 2021-08-25
KR102353720B1 true KR102353720B1 (ko) 2022-01-19

Family

ID=7749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008A KR102353720B1 (ko) 2020-02-17 2020-02-17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7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69098A1 (en) 2022-11-14 2024-05-15 Cubicure GmbH Resin compos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7317A (ja) 2014-03-27 2015-10-29 帝人株式会社 繊維用防炎加工剤、防炎繊維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防炎繊維製品
US20170029632A1 (en) 2014-04-10 2017-02-02 Gcp Appied Technologies Inc. Fire Retardant Coating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299B1 (ko) 2001-10-31 2004-07-23 주식회사 티엔지코리아 강화된 난연성을 갖는 실사출력용 직물 시트의 제조방법및 직물 시트
KR200324743Y1 (ko) 2003-05-20 2003-08-27 의진 임 잉크젯 실사용 방염 소재
KR100743107B1 (ko) 2005-09-16 2007-08-01 (주)티피엠켐 잉크젯 실사용 방염원단
KR101647153B1 (ko) * 2010-07-19 2016-08-09 (주)엘지하우시스 수성 점착제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및 벽지
KR101749281B1 (ko) * 2015-11-13 2017-06-21 강범형 난연 입자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난연 스티로폼
CN107325324B (zh) * 2016-04-28 2019-08-2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阻燃剂、阻燃防静电组合物和阻燃防静电聚丙烯发泡珠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7317A (ja) 2014-03-27 2015-10-29 帝人株式会社 繊維用防炎加工剤、防炎繊維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防炎繊維製品
US20170029632A1 (en) 2014-04-10 2017-02-02 Gcp Appied Technologies Inc. Fire Retardant Coating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367A (ko)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995B1 (ko) 코팅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102171417B1 (ko) 물품의 제조 방법
CN106029595B (zh) 在玻璃上印刷的方法
KR101662341B1 (ko) 프라이머 층 위의 자성 배향된 잉크
JP2013546007A (ja) セキュリティ要素
CN108541264A (zh) 金属纳米颗粒层的制备方法及其在装饰或安全元件中的用途
KR102353720B1 (ko) 실사출력물 후코팅용 방염 조성물
CN101112849B (zh) 一种防伪方法及实现该方法的防伪系统和装置
KR20110041794A (ko) 디지털 인쇄층을 구비하는 금속 질감을 갖는 투명 장식 패널
CN105082812A (zh) 激光处理涂层的方法
DE102010022701B4 (de) Verfahren zur Kennzeichung eines Substrates
KR102171416B1 (ko) 시트의 제조 방법
CN110832040A (zh) 制备金属纳米颗粒层的方法及其在装饰或安全元件中的用途
CN113498384B (zh) UV-Vis辐射自由基固化性安全墨
WO2018105857A1 (ko)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uv 패턴의 형성방법, 이를 포함하는 베젤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베젤
CN104818653A (zh) 紫外光致变色可重复使用纸
JP6353362B2 (ja) 虹色光沢防止プライマー層を備えた光学的に透明な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M604785U (zh) 遮光型廣告噴繪布的塗層結構
CN1309579C (zh) 用激光做标记的数据媒介
KR102353718B1 (ko) 실사출력물의 방염층 후코팅 방법 및 그 장치
KR100441299B1 (ko) 강화된 난연성을 갖는 실사출력용 직물 시트의 제조방법및 직물 시트
CN115443218B (zh) 用于生产用于保护有价文档的二色性安全特征的方法
US11926747B2 (en) UV curable and heat sealable ink
WO2007077455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ecurity printing
DE102011007349B4 (de) Verfahren zur Kennzeichnung eines Substr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