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754B1 - 페달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페달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754B1
KR102352754B1 KR1020200140159A KR20200140159A KR102352754B1 KR 102352754 B1 KR102352754 B1 KR 102352754B1 KR 1020200140159 A KR1020200140159 A KR 1020200140159A KR 20200140159 A KR20200140159 A KR 20200140159A KR 102352754 B1 KR102352754 B1 KR 102352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urface
stopper
pedal simulator
floor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창회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0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754B1/ko
Priority to DE102020135105.4A priority patent/DE102020135105A1/de
Priority to US17/138,458 priority patent/US11192530B1/en
Priority to CN202110044960.8A priority patent/CN11447554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60T8/409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troke simul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18Connection thereof to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바닥면에 돌기(protrusion)가 형성되고, 돌기와 연결되어 돌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조정용 슬롯(adjustment slot)을 포함하는 제1 스토퍼(first stopper);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조정용 슬롯의 회전에 기초하여 바닥면이 변경되도록 제1 스토퍼에 결합되는 제2 스토퍼(second stopper); 운전자의 답입력에 기초하여 직선운동하도록 구성된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pedal simulator piston); 제1 스토퍼와 에어갭(air gap)만큼 이격되도록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의 내부에 배치되고, 직선운동에 기초하여 압축(compression) 또는 팽창(expansion)하도록 구성된 제1 댐퍼(first damper); 및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과 마주보도록 제1 스토퍼에 결합되고, 직선운동에 기초하여 압축 또는 팽창하도록 구성된 제2 댐퍼(second dam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페달시뮬레이터{Pedal Simulator}
본 개시의 실시예는 페달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종래의 페달시뮬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페달시뮬레이터(500)는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pedal simulator piston, 510), 스프링(spring, 512), 제1 댐퍼(first damper, 520), 제2 댐퍼(second damper, 530) 및 스토퍼(stopper, 540)를 포함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답입하여 백업 피스톤(501)이 전진(도 5의 우측)하면 백업 스프링(502)이 압축된다. 압축된 백업 스프링(502)은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510)을 가압한다.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5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댐퍼(520)는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510)에 의해 압축된다.
한편,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510)이 전진하면 스프링(512)은 가압되어 압축된다.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510)은 스토퍼(540)에 결합된 제2 댐퍼(530)를 압축한다.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510)은 제2 댐퍼(530)를 압축하며 스토퍼(540)에 도달할 때까지 전진한다. 제1 댐퍼(520) 및 제2 댐퍼(530)는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510)이 전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반력을 형성한다. 운전자가 느끼는 답입감은 반력에 기초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무거운 페달 답입감을 선호하는 운전자도 있고, 가벼운 페달 답입감을 선호하는 운전자가 있다. 종래의 페달시뮬레이터(500)는 출고될 때 제1 댐퍼(520)와 스토퍼(540) 사이의 간격, 즉, 에어갭(air gap)이 일정하게 설계되기 때문에 운전자마다의 기호에 대응하여 답입감을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페달시뮬레이터는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답입감을 변화시킬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에 본 개시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는, 스토퍼를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로 분할한다. 제1 스토퍼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한 돌기(protrusion)를 형성하고, 제2 스토퍼는 제1 스토퍼의 돌기에 끼워지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바닥면을 포함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운전자가 돌기를 회전시켜 답입감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페달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바닥면에 돌기(protrusion)가 형성되고, 돌기와 연결되어 돌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조정용 슬롯(adjustment slot)을 포함하는 제1 스토퍼(first stopper);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조정용 슬롯의 회전에 기초하여 바닥면이 변경되도록 제1 스토퍼에 결합되는 제2 스토퍼(second stopper); 운전자의 답입력에 기초하여 직선운동하도록 구성된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pedal simulator piston); 제1 스토퍼와 에어갭(air gap)만큼 이격되도록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의 내부에 배치되고, 직선운동에 기초하여 압축(compression) 또는 팽창(expansion)하도록 구성된 제1 댐퍼(first damper); 및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과 마주보도록 제1 스토퍼에 결합되고, 직선운동에 기초하여 압축 또는 팽창하도록 구성된 제2 댐퍼(second dam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스토퍼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한 돌기(protrusion)를 형성하고, 제2 스토퍼는 제1 스토퍼의 돌기에 끼워지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바닥면을 포함하도록 설계한다. 운전자가 돌기를 회전시킴으로써 답입감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의 분해도이고, (b)는 결합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페달시뮬레이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 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의 (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의 분해도이고, (b)는 결합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100)는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pedal simulator piston, 110), 스프링(spring, 112), 제1 댐퍼(first damper, 120), 제2 댐퍼(second damper, 130), 제1 스토퍼(first stopper, 140) 및 제2 스토퍼(second stopper, 15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은 브레이크 페달(brake pedal, 미도시)의 조작에 연동되는 클레비스(clevis, 미도시)를 매개로 브레이크 페달과 연결된다.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은 운전자의 답입력을 클레비스로부터 전달받아 전진 또는 후진한다. 예컨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답입할 때, 일차적으로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이 전진하고, 스프링(112)은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에 밀려 압축된다.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은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과 연동되어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은, 내부에 접촉된 제1 댐퍼(120)를 이동 및 압축시키며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댐퍼(120)는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의 가압 여부에 따라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재질(elastic material), 예컨대, 고무(rubber)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댐퍼(120)의 탄성재질은 고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리콘(silicon), 스펀지(sponge) 등도 사용이 가능하다.
제1 댐퍼(120)는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댐퍼(120)의 일단은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의 내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제1 댐퍼(120)의 타단은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의 직선운동에 기초하여 제1 스토퍼(140)의 일단과 접촉할 수 있도록 제1 스토퍼(140)와 마주보며 배치된다.
제1 댐퍼(120)는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의 내부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이 전진하면 제1 댐퍼(120)도 함께 전진한다.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이 더 전진하면 제1 댐퍼(120)는 제1 스토퍼(140)와 접촉한 뒤,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에 의해 압축(compression) 또는 팽창(expansion)된다.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된 제1 댐퍼(120)는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이 가압하는 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반력(reaction force)을 형성한다. 예컨대,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이 전진할 때, 제1 댐퍼(120)는 반력을 형성하며 압축된다.
제2 댐퍼(130)는 제1 스토퍼(140)에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2 댐퍼(130)는 제1 스토퍼의 좌측에 끼움결합된다.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이 전진하면, 스프링(112)이 압축되고, 이후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의 타단이 제2 댐퍼(130)에 접촉한다.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이 더 전진하면, 제2 댐퍼(130)는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의 타단에 의해 압축된다. 제2 댐퍼(130)도 제1 댐퍼(120)와 마찬가지로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이 가압하는 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반력을 형성한다. 즉,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이 전진할 때, 제2 댐퍼(130)는 반력을 형성하며 압축된다.
제1 스토퍼(140)의 일단은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과 마주보고, 제1 스토퍼(140)의 타단은 돌기(protrusion, 도 4의 142) 및 조정용 슬롯(adjustment slot, 144)을 포함한다. 돌기(142)와 조정용 슬롯(144)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에서, 조정용 슬롯(144)은 돌기(142)를 회전시켜 제2 스토퍼(150)에 끼워지는 바닥면을 변경하기 위해 돌기(142)와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예컨대, 조정용 슬롯(144)이 시계 방향으로 120 도만큼 회전하면, 돌기(142)도 시계 방향으로 120 도만큼 회전한다.
제1 스토퍼(140)의 일단은 제1 댐퍼(120)의 타단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 스토퍼(140)는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이 전진할 때 제1 댐퍼(120)가 일정거리 이상 전진할 수 없도록 제1 댐퍼(120)를 지지한다.
제2 스토퍼(150)는 연결구(connection hole, 도 4의 154)를 포함한다. 연결구(154)는 조정용 슬롯(14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 예컨대, 원형 형상으로 설계된다.
또한, 제2 스토퍼(150)는 돌기(142)와 결합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바닥면(도 3의 152a, 152b 및 152c)을 포함한다.
제2 스토퍼(150)는 제1 스토퍼(140)와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2 스토퍼(150)의 바닥면에는 돌기(142)가 끼워지고, 제2 스토퍼의 연결구(154)에는 조정용 슬롯(144)이 삽입된다.
조정용 슬롯(144)이 회전하면 제2 스토퍼(150)에 결합된 제1 스토퍼(140)가 회전한다. 제1 스토퍼(140)가 회전하면, 제2 스토퍼(150)의 바닥면에 끼워진 돌기(142)는 바닥면을 이탈하여 다른 바닥면에 끼워진다.
도 1의 결합도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는, 백업 마스터실린더(backup master cylinder, 미도시)에 결합되어 일체로 설계되거나, 또는 별도로 분리되어 설계될 수 있다.
제1 댐퍼(120)는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의 내부에 결합된다. 제1 댐퍼(120)는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 내부의 좌측단에 접촉하여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과 함께 직선운동하도록 결합된다.
스프링(112)은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의 우측단 외곽에 결합된다. 스프링(112)은, 일단이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의 외곽에 접촉하고, 타단이 제1 스토퍼(140)에 접촉한다.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의 우측단은 제1 스토퍼(140)의 일단이 삽입된다. 제1 댐퍼(120)와 제1 스토퍼(140)의 일단은 에어갭(air gap, 도 2의 a)만큼 이격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에서 에어갭은 페달시뮬레이터의 답입감을 결정하는 요소이다. 예컨대, 에어갭이 크면 운전자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답입감을 느끼고, 에어갭이 작으면 운전자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답입감을 느낀다. 에어갭은 제1 스토퍼(140)가 제2 스토퍼(150)의 바닥면과 결합하는 높이에 기초하여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에어갭의 차이에 기초한 답입감은 도 4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스토퍼(140)는 제2 댐퍼(130)와 결합한다. 제2 댐퍼(130)는, 제1 스토퍼의 외곽에 결합되고,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이 전진할 때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의 타단과 접촉한다.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이 일정거리 이상 전진하면, 제2 댐퍼(130)는 압축된다.
한편, 제1 스토퍼(140)의 타단은 돌기(142)를 포함한다. 조정용 슬롯(144)은 돌기(142)에 연결된다. 조정용 슬롯(144)은 돌기(142)와 연결되기 때문에, 조정용 슬롯(144)이 회전한 각도만큼 돌기(142)도 함께 회전한다.
조정용 슬롯(144)은 제2 스토퍼(150)의 중앙을 관통하는 연결구(154)에 삽입된다. 연결구(154)의 높이는 조정용 슬롯(144)의 길이보다 낮아야 한다. 조정용 슬롯(144)이 제2 스토퍼(150)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기 위해서는 조정용 슬롯(144)의 길이가 제2 스토퍼(150)의 높이보다 더 길어야 한다. 따라서, 제1 스토퍼(140)와 제2 스토퍼(150)가 결합한 경우 조정용 슬롯(144)은 제2 스토퍼(15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운전자는 외부로 돌출된 조정용 슬롯(144)을 회전함으로써 에어갭을 조정할 수 있다.
제2 스토퍼(150) 서로 다른 높이의 바닥면을 포함한다. 바닥면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에는 돌기(142)가 끼워진다. 돌기(142)는 조정용 슬롯(144)이 회전함에 따라, 끼워지는 바닥면이 변경될 수 있다. 돌기(142)가 끼워지는 바닥면이 변경됨에 따라, 제1 스토퍼(140)와 제1 댐퍼(120) 사이의 이격된 에어갭(air gap)이 조정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도 2의 a를 '에어갭'이라 지칭하고, 도 2의 화살표 사이의 간격이 에어갭의 크기를 나타낸다. 예컨대, 제1 스토퍼(14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제1 댐퍼(120)와 제1 스토퍼(140) 사이의 간격, 즉, 에어갭이 커진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답입하면,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이 전진한다.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 내부의 제1 댐퍼(120)는 제1 스토퍼(140) 방향으로 전진한 후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에 의해 압축된다.
제1 스토퍼(140)가 밀리지 않도록 제2 댐퍼(130)는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110)에게 가압하는 반대 방향으로 반력을 가한다. 여기서 운전자가 느끼는 답입감은 제1 댐퍼(120)와 제2 댐퍼(130)가 형성하는 반력에 기초하여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100)는 제2 스토퍼(150)의 바닥면의 높이에 기초하여 제1 스토퍼(140)가 전진 또는 후진(도 2의 우측 또는 좌측)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갭의 크기가 변한다.
에어갭이 작으면 운전자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답입감을 느끼고, 에어갭이 크면 운전자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답입감을 느낀다. 에어갭이 작으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상대적으로 적게 답입해도 제1 댐퍼(120)와 제1 스토퍼(140)가 접촉한다. 반면, 에어갭이 크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상대적으로 많이 답입해야 제1 댐퍼(120)와 제1 스토퍼(140)가 접촉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100)는 제1 스토퍼(140)를 전진 또는 후진하여 에어갭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운전자가 느끼는 답입감을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종래의 페달시뮬레이터(500)는 스토퍼(도 5의 54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갭이 일정하다. 즉, 답입감을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없다. 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100)는 스토퍼(540)를 제1 스토퍼(140) 및 제2 스토퍼(150)으로 분리하여 설계하고, 제2 스토퍼(150)는 서로 다른 높이의 바닥면을 포함하도록 설계한다.
제1 스토퍼(140)의 조정용 슬롯(144)을 회전시키면, 조정용 슬롯(144)에 연결된 돌기(도 4의 142)가 회전하고, 이에 돌기(142)가 끼워지는 제2 스토퍼(150)의 바닥면의 높이가 달라진다.
제2 스토퍼(150)의 바닥면의 높이가 높아지면 제1 스토퍼(140)가 후진(좌측)하여 에어갭의 크기가 작아지고, 이에 운전자가 느끼는 답입감은 상대적으로 무거워진다. 한편, 제2 스토퍼(150)의 바닥면의 높이가 낮아지면, 제1 스토퍼(140)가 전진(우측)하여 에어갭의 크기가 커지고, 이에 운전자가 느끼는 답입감은 상대적으로 가벼워진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100)는 운전자가 기호에 맞게 답입감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조정용 슬롯(144)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답입감이 상대적으로 더 무거워지고, 조정용 슬롯(144)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답입감이 상대적으로 더 가벼워진다.
한편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정용 슬롯(14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답입감이 상대적으로 더 가벼워지고, 조정용 슬롯(144)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답입감이 상대적으로 더 무거워지는 페달시뮬레이터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퍼(150)는 서로 다른 높이의 바닥면(152a, 152b 및 152c)를 포함한다. 각각의 바닥면은, 제1 바닥면(152a), 제2 바닥면(152b) 및 제3 바닥면(152c)라 지칭한다. 여기서 바닥면의 높이는, 제1 바닥면(152a)이 가장 높고, 제3 바닥면(152c)이 가장 낮다.
각각의 바닥면은 연결구(154)를 중심으로 마주보며 형성된다. 예컨대, 제1 바닥면(152a)은 연결구(154)를 중심으로 마주보고, 제2 바닥면(152b)은 연결구(154)를 중심으로 마주보고, 제3 바닥면(152c)을 중심으로 마주본다. 따라서 돌기(도 4의 142)가 끼워진 두개의 바닥면의 높이는 동일하다.
또한, 각각의 바닥면은 연결구(154)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제1 바닥면(152a)에서 시계 방향으로 120 도 회전한 위치에는 제2 바닥면(152b)이 형성되고, 제2 바닥면(152b)에서 시계 방향으로 120 도 회전한 위치에는 제3 바닥면(152c)이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퍼(150)는 3 개의 서로 다른 높이의 바닥면(152a, 152b 및 152c)을 포함하기 때문에 120 도 마다 다른 바닥면이 형성된다.
또한,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바닥면의 수가 3 개인 제2 스토퍼(150) 외에도 적어도 2 개 이상의 바닥면을 포함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는 4 개의 바닥면을 갖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고, 본 개시의 제3 실시예는 5 개의 바닥면을 갖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바닥면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은 제1 스토퍼(140)의 하단에 부착된 돌기(142)에 끼워진다.
페달시뮬레이터가 공장에서 출고될 때 돌기(142)는 제1 바닥면(152a)에 끼워진 상태로 출고된다. 이후 운전자가 조정용 슬롯(144)을 회전함으로써 돌기(142)가 끼워지는 바닥면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조정용 슬롯(144)을 120 도만큼 회전하면 제1 바닥면(152a)에 끼워진 돌기(142)는 제2 바닥면(152b)에 끼워진다.
한편, 조정용 슬롯(144)은 연결구(154)에 삽입된다. 연결구(154)는 조정용 슬롯(144)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소정의 형상, 예컨대 원형 형상으로 설계된다. 만약, 조정용 슬롯(144)의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설계된다면, 연결구(154)에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조정용 슬롯(144)은 회전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연결구(154)는 조정용 슬롯(144)과 결합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조정용 슬롯(144)의 직경과 비슷한 직경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조정용 슬롯(144)도 연결구(154)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계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측은 제1 스토퍼(140)를 나타내고, 우측은 제2 스토퍼(150)를 나타낸다. 화살표는 조정용 슬롯(144)이 회전하면 돌기(142)도 함께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스토퍼(140)의 바닥면에는 돌기(142)가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스토퍼(140)의 타단에서 중심에는 조정용 슬롯(144)이 형성되고, 외곽에는 대칭 형상으로 돌기(142)가 형성된다.
돌기(142)는 제2 스토퍼(150)의 서로 다른 높이의 바닥면(도 3의 152a, 152b 및 152c)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과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스토퍼(150)의 바닥면의 형상과 일치한다.
조정용 슬롯(144)은 돌기(142)와 연결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형 형상으로 설계된다. 또한, 조정용 슬롯(144)은 제2 스토퍼(15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으로 설계된다.
제1 스토퍼(140)는 제2 스토퍼(150)와 결합하기 위해 공통된 축을 기준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축을 기준으로 조정용 슬롯(144)은 연결구(154)에 삽입된다.
연결구(154)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설계된 조정용 슬롯(144)은 연결구(154)에 삽입되어 제2 스토퍼(150)와 결합한다. 더 구체적으로 조정용 슬롯(144)은 연결구(154)에 끼움결합된다.
조정용 슬롯(144)은 제2 스토퍼(150)와 결합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돌출된 조정용 슬롯(144)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조정용 슬롯(144)이 회전하면, 돌기(142)가 끼워지는 제2 스토퍼(150)의 바닥면이 변한다.
제2 스토퍼의 바닥면은 서로 다른 높이로 설계되기 때문에, 제1 스토퍼(140)는 돌기(142)가 결합하는 바닥면의 높이에 기초하여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40)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설계되므로, 운전자는 조정용 슬롯(144)을 회전시켜 제1 댐퍼(120)와 제1 스토퍼(140) 사이의 에어갭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2 스토퍼(150)의 서로 다른 높이의 바닥면(152a, 152b 및 152c)은 돌기(142)가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설계된다. 예컨대, 돌기(142)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설계된 경우, 서로 다른 높이의 바닥면(152a, 152b 및 152c) 또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조정용 슬롯(144)을 소정의 각도 회전하면, 돌기(142)는 결합된 바닥면에서 이탈하여 인접한 바닥면에 다시 끼워진다.
돌기(142)가 제1 바닥면(152a)에 끼워져 있을 때 운전자가 조정용 슬롯(144)을 시계 방향으로 120 도 회전하면, 돌기(142)는 제1 바닥면(152a)에서 이탈하여 제2 바닥면(152b)에 끼워진다. 여기서 운전자가 조정용 슬롯(144)을 시계 방향으로 120 도 더 회전하면, 돌기(142)는 제2 바닥면(152b)에서 이탈하여 제3 바닥면(152c)에 끼워진다.
한편, 조정용 슬롯(144)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바닥면이 변경되는 순서가 바뀐다. 예컨대, 돌기(142)가 제1 바닥면(152a)에 끼워져 있을 때 운전자가 조정용 슬롯(144)을 반시계 방향으로 120 도 회전하면, 돌기(142)는 제1 바닥면(152a)에서 이탈하여 제3 바닥면(152c)에 끼워진다.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스토퍼(150)가 4 개, 5 개 등의 서로 다른 높이의 바닥면을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는, 제2 스토퍼가 4 개의 서로 다른 높이의 바닥면을 포함한다. 제2 바닥면은 각각 제1 바닥면(미도시), 제2 바닥면(미도시), 제3 바닥면(미도시), 제4 바닥면(미도시)으로 지칭한다.
제2 스토퍼(150)가 서로 다른 높이의 4 개의 바닥면을 포함하는 경우, 운전자는 조정용 슬롯을 90 도만큼 회전함으로써 제1 스토퍼가 끼워지는 바닥면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돌기가 제1 바닥면에 끼워져 있을 때 운전자가 조정용 슬롯을 시계 방향으로 120 도 회전하면, 돌기(142)는 제1 바닥면에서 이탈하여 제2 바닥면에 끼워진다. 운전자가 조정용 슬롯(144)을 시계 방향으로 90 도 더 회전하면, 돌기는 제2 바닥면에서 이탈하여 제3 바닥면에 끼워진다. 운전자가 조정용 슬롯(144)을 시계 방향으로 90 도 더 회전하면, 돌기는 제3 바닥면에서 이탈하여 제4 바닥면에 끼워진다.
한편,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도 조정용 슬롯(144)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바닥면이 변경되는 순서가 바뀐다. 예컨대, 돌기(142)가 제1 바닥면에 끼워져 있을 때 운전자가 조정용 슬롯(144)을 반시계 방향으로 90 도 회전하면, 돌기(142)는 제1 바닥면에서 이탈하여 제4 바닥면에 끼워진다.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는, 제2 스토퍼(150)가 5 개의 서로 다른 높이의 바닥면을 포함한다. 제2 스토퍼(150)가 5 개의 바닥면을 포함하는 경우 운전자는 72 도만큼 회전함으로써 제1 스토퍼가 끼워지는 바닥면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 112: 스프링
120: 제1 댐퍼 130: 제2 댐퍼
140: 제1 스토퍼 150: 제2 스토퍼

Claims (18)

  1. 운전자의 답입력(pedal stroke)에 기초하여 직선운동하도록 구성된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pedal simulator piston);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가 느끼는 답입감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스토퍼(first stopper);
    상기 제1 스토퍼와 에어갭(air gap)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직선운동에 기초하여 압축(compression) 또는 팽창(expansion)되도록 구성된 제1 댐퍼(first damper);
    상기 제1 스토퍼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갭이 변화되도록 상기 제1 스토퍼와 결합하는 제2 스토퍼(second stopper)를 포함하고,
    상기 답입감은,
    상기 에어갭의 변화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는,
    바닥면에 돌기(protrusion)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와 연결되어 상기 돌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조정용 슬롯(adjustment slot)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토퍼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용 슬롯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바닥면이 변경되도록 상기 제1 스토퍼에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스토퍼에 결합되고, 상기 직선운동에 기초하여 압축 또는 팽창되도록 구성된 제2 댐퍼(second damper)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갭은,
    상기 돌기가 상기 바닥면에 끼워지는 높이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는 연결구(connection hole)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용 슬롯은, 상기 연결구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1 스토퍼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페달시뮬레이터 피스톤이 전진할 때 상기 운전자에게 답입감을 형성하도록 반대 방향으로 반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갭은,
    상기 조정용 슬롯이 상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커지고, 상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바닥면은, 제1 바닥면, 제2 바닥면 및 제3 바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면은, 상기 서로 다른 바닥면 중 높이가 가장 낮고,
    상기 제2 바닥면은, 상기 제1 바닥면보다 높으며 상기 제3 바닥면보다 높이가 낮고,
    상기 제3 바닥면은, 상기 서로 다른 바닥면 중 높이가 가장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조정용 슬롯이 상기 시계 방향으로 120 도 회전하면 상기 제1 바닥면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2 바닥면에 끼워지고, 상기 조정용 슬롯이 상기 시계 방향으로 120 도 더 회전하면 상기 제2 바닥면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3 바닥면에 끼워지고, 상기 조정용 슬롯이 120 도 더 회전하면 상기 제3 바닥면을 이탈하여 다시 상기 제1 바닥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바닥면은, 제1 바닥면, 제2 바닥면, 제3 바닥면 및 제4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갭은, 상기 조정용 슬롯이 상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커지고, 상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조정용 슬롯이 상기 시계 방향으로 90 도 회전하면 상기 제1 바닥면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2 바닥면에 끼워지고, 상기 조정용 슬롯이 상기 시계 방향으로 90 도 더 회전하면 상기 제2 바닥면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3 바닥면에 끼워지고, 상기 조정용 슬롯이 상기 시계 방향으로 90 도 더 회전하면 상기 제3 바닥면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4 바닥면에 끼워지고, 상기 조정용 슬롯이 90 도 더 회전하면 상기 제4 바닥면을 이탈하여 다시 상기 제1 바닥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바닥면은, 제1 바닥면, 제2 바닥면, 제3 바닥면, 제4 바닥면 및 제5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갭은,
    상기 조정용 슬롯이 상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커지고, 상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조정용 슬롯이 상기 시계 방향으로 72 도 회전하면 상기 제1 바닥면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2 바닥면에 끼워지고, 상기 조정용 슬롯이 상기 시계 방향으로 72 도 더 회전하면 상기 제2 바닥면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3 바닥면에 끼워지고, 상기 조정용 슬롯이 상기 시계 방향으로 72 도 더 회전하면 상기 제3 바닥면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4 바닥면에 끼워지고, 상기 조정용 슬롯이 상기 시계 방향으로 72 도 더 회전하면 상기 제4 바닥면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5 바닥면에 끼워지고, 상기 조정용 슬롯이 72 도 더 회전하면 상기 제5 바닥면을 이탈하여 다시 상기 제1 바닥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1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갭은,
    상기 조정용 슬롯이 상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커지고, 상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바닥면은, 제1 바닥면, 제2 바닥면 및 제3 바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면은, 상기 서로 다른 바닥면 중 높이가 가장 높고,
    상기 제2 바닥면은, 상기 제1 바닥면보다 낮으며 상기 제3 바닥면보다 높이가 높고,
    상기 제3 바닥면은, 상기 서로 다른 바닥면 중 높이가 가장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조정용 슬롯이 상기 시계 방향으로 120 도 회전하면 상기 제1 바닥면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2 바닥면에 끼워지고, 상기 조정용 슬롯이 상기 시계 방향으로 120 도 더 회전하면 상기 제2 바닥면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3 바닥면에 끼워지고, 상기 조정용 슬롯이 120 도 더 회전하면 상기 제3 바닥면을 이탈하여 다시 상기 제1 바닥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KR1020200140159A 2020-10-27 2020-10-27 페달시뮬레이터 KR102352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159A KR102352754B1 (ko) 2020-10-27 2020-10-27 페달시뮬레이터
DE102020135105.4A DE102020135105A1 (de) 2020-10-27 2020-12-30 Pedalsimulator und pedalsimulatorsystem
US17/138,458 US11192530B1 (en) 2020-10-27 2020-12-30 Pedal simulator
CN202110044960.8A CN114475546B (zh) 2020-10-27 2021-01-13 踏板模拟器和踏板模拟器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159A KR102352754B1 (ko) 2020-10-27 2020-10-27 페달시뮬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754B1 true KR102352754B1 (ko) 2022-01-17

Family

ID=7881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159A KR102352754B1 (ko) 2020-10-27 2020-10-27 페달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92530B1 (ko)
KR (1) KR102352754B1 (ko)
CN (1) CN114475546B (ko)
DE (1) DE1020201351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844A (ko) * 2019-11-20 2021-05-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5699A (ja) * 1997-08-08 1999-04-20 Toyota Motor Corp ブレーキ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
KR20130054860A (ko) * 2011-11-17 2013-05-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페달 시뮬레이터장치
KR20200018529A (ko) * 2020-02-10 2020-02-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페달시뮬레이터
KR20200059196A (ko) * 2020-05-15 2020-05-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페달 시뮬레이터 및 이를 갖는 차량 제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245B2 (ja) * 1992-02-28 2001-07-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制動力制御装置
JPH1148950A (ja) 1997-08-05 1999-02-23 Toyota Motor Corp 液圧ブレーキ装置
US6139119A (en) * 1997-08-08 2000-10-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rake stroke simulator and method
US9371844B2 (en) 2010-10-26 2016-06-21 Kelsey-Hayes Company Hydraulic brake system with controlled boost
KR101853771B1 (ko) 2013-06-10 2018-05-02 주식회사 만도 가변 페달감 조절 장치
KR101734039B1 (ko) * 2013-10-15 2017-05-11 주식회사 만도 능동형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US10166954B2 (en) * 2016-06-30 2019-01-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rake-by-wire system for a vehicle with an adjustable brake pedal emulator assembly
DE102016222562A1 (de) 2016-11-16 2018-05-17 Robert Bosch Gmbh Pedalwegsimulator und Hydraulikblock mit einem Pedalwegsimulator
CN106704418B (zh) 2017-02-07 2018-11-13 上海衡拓液压控制技术有限公司 容积和刚度可调的模拟容腔
KR20180094274A (ko) *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만도 페달감 모사 장치
CN109572655B (zh) 2017-09-29 2022-09-20 株式会社万都 电子制动系统的致动器
DE112018005741T5 (de) 2017-11-30 2020-08-13 ZF Active Safety US Inc. Fahrzeugbremssystem mit einer Bremspedaleinheit
KR20200140159A (ko) 2019-06-05 2020-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5699A (ja) * 1997-08-08 1999-04-20 Toyota Motor Corp ブレーキ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
KR20130054860A (ko) * 2011-11-17 2013-05-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페달 시뮬레이터장치
KR20200018529A (ko) * 2020-02-10 2020-02-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페달시뮬레이터
KR20200059196A (ko) * 2020-05-15 2020-05-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페달 시뮬레이터 및 이를 갖는 차량 제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475546A (zh) 2022-05-13
DE102020135105A1 (de) 2022-04-28
US11192530B1 (en) 2021-12-07
CN114475546B (zh) 202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1129B2 (en) Pedal simulator
KR102352754B1 (ko) 페달시뮬레이터
CN108475598A (zh) 按键组件、键盘及提供按键组件的方法
TWI613691B (zh) 輸入裝置
KR20160088827A (ko) 히스테리시스 및 킥다운 특성을 가진 스프링 장치
CN109326271B (zh) 反作用力产生装置和电子键盘乐器
JP2000112621A (ja) キースイッチ
CN113380570B (zh) 扳机按键装置、电子设备以及电子系统
WO2019181086A1 (ja) キーボード用スイッチ装置
JP6400965B2 (ja) ダンパ
KR102180435B1 (ko)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US3413885A (en) Pivotal connection for keys of a musical instrument
US5448026A (en) Double-axis key switch
CN210390772U (zh) 一种电子油门踏板阻尼力的产生结构
WO2016009927A1 (ja) ダンパ
JP2559206Y2 (ja) 斜板式可変吐出量ピストンポンプ
JP6602642B2 (ja) ダンパおよび操作装置
US20160064162A1 (en) Pushbutton Switch
JPH0615163Y2 (ja) パッキン
US11953933B2 (en) Pedal simulator
WO2019039377A1 (ja) ダンパおよび操作ユニット
KR20220098908A (ko) 페달시뮬레이터
TWI790952B (zh) 可調式開關裝置
JP2013107618A (ja) 加速ペダルの踏力調節装置
US20240134409A1 (en) Pedal sim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