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247B1 -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247B1
KR102352247B1 KR1020210033054A KR20210033054A KR102352247B1 KR 102352247 B1 KR102352247 B1 KR 102352247B1 KR 1020210033054 A KR1020210033054 A KR 1020210033054A KR 20210033054 A KR20210033054 A KR 20210033054A KR 102352247 B1 KR102352247 B1 KR 102352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emi
panel
combust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택
유영환
염정인
조병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이피에스파주
홍성택
유영환
염정인
조병배
금강중부세이프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이피에스파주, 홍성택, 유영환, 염정인, 조병배, 금강중부세이프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이피에스파주
Priority to KR102021003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2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치판넬의 두께를 줄여도 단열효과가 최대한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Expandable PolyStyrene)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스타이렌 65 ∼ 70중량부, 불연재 15 ∼ 18중량부, 수용성 접착제 7 ∼ 9중량부, UV 경화성접착제 7 ∼ 9중량부, 난연제 4 ∼ 6중량부, 단열재 4 ∼ 6중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 및 그 제조방법{Semi-flammable EPS Internal and External Multiple Cohesion Panels with Improved Insulation Effect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합치판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치판넬의 두께를 줄여도 단열효과가 최대한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Expandable PolyStyrene)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물의 내외부에 이용되는 벽체의 종류로는 콘크리트나 시멘트 블록을 쌓아 벽을 형성하는 조적 벽, 콘크리트를 압출하여 성형하고 경화시켜 제조하는 콘크리트 압출성형 벽, 또는 석고보드를 여러 장 부착하여 제작되는 석고보드 벽 등이 이용되고 있었다.
상기 블록형의 조적 벽은 자재비는 저렴하나, 인건비는 다른 자재에 비하여 상당히 비싸며, 공기가 길며 공사 후에 폐기물을 많이 생산한다. 그러나 다른 대용방법이 없어서 비교적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시멘트 벽돌이나 콘크리트 블록은 중량이 커 건물 구조체 하중에 부담을 많이 주는 문제가 있고, 콘크리트 압출성형 벽은 무게가 무거워 시공이 용이치 않고, 이 역시 재질 특성상 그 무게 때문에 건물 구조체에 많은 하중 부담을 주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시멘트나 콘크리트 블록의 중량이 커 건물 구조체 하중의 부담을 많이 주는 문제가 있고, 콘크리트 압출성형 벽은 무게가 무거워 시공이 용이치 않고, 이 역시 재질 특성상 그 무게 때문에 건물 구조체에 많은 하중 부담을 주는 문제가 있다.
상기 석고보드 벽은 가격은 다른 벽과 비슷하고 중량이 무겁지 않고 시공이 용이하고 현장 작업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으나. 강도가 약하고 파손이 잘 되며 충격, 습기, 차음 등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15년 09월 04일자 출원번호 제10-2015-0125392호(발명의 명칭 : 건축 벽체용 복합 단열 판넬 및 그 제조 방법)로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으며,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청구범위를 살펴보면, 청구범위는 " 불연재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면재와, 측면의 상하좌우 외주면을 따라 홈이 파이고, 밀도가 35㎏/㎥ 이상 100 ㎏/㎥ 이하인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페놀(Phenolic) 재질의 코어 슬라브와, 불연재로 이루어지고, 결합공이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와 복수의 요입부를 일체로 형성한 백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백 보드의 상하좌우 측면에는, 측면마다 각각 복수의 돌출부 및 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 측면 및 좌우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 및 요입부는 각각 백 보드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 형성되며, 복수의 판넬의 백 보드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 및 요입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하여 외부 구조체에 부착한 다음, 상기 복수의 돌출부 및 요입부 사이에는 발포 테이프, 백업재 및 코킹을 끼워 넣어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열 판넬. " 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건축물 내외벽의 단열에 관한 관한 연구는 꾸준히 수행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합치판넬의 두께를 줄여도 단열효과가 최대한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치판넬의 두께를 줄여도 단열효과가 최대한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은,
스타이렌 65 ∼ 70중량부, 불연재 15 ∼ 18중량부, 수용성 접착제 7 ∼ 9중량부, UV 경화성접착제 7 ∼ 9중량부, 난연제 4 ∼ 6중량부, 단열재 4 ∼ 6중량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의 제조방법은,
스타이렌 70중량부를 얻은 후, 불연재인 규산염 15중량부를 얻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얻어진 스타이렌 70중량부와 불연재인 규산염 15중량부를 혼합기에 투입한 후, 혼합기를 30분 동작시켜 혼합기로부터 스타이렌 70중량부와 불연재인 규산염 15중량부가 혼합된 제1혼합물을 얻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얻어진 제1혼합물을 발포기에 투입한 후, 발포기를 10분 동작시켜 발포기로부터 준불연 발포물을 얻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얻어진 준불연 발포물을 성형기에 투입함과 아울러 성형기에 불연 바인더 10중량부를 첨가한 후, 성형기를 10분 동작시켜 성형기로부터 준불연 발포 비드형 EPS판넬을 얻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후, 얻어진 준불연 발포 비드형 EPS판넬을 절단기에 투입한 후, 절단기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절단된 제1, 제2, 제3, 제4, 제5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2)(106)(110)(114)(118)을 얻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 후, 수용성 접착제인 에폭시 수지 9중량부를 얻은 후, UV 경화성접착제인 아크릴계 올리고머 및 광개시제의 혼합물 9중량부를 얻고 얻어진 수용성 접착제 9중량부와 UV 경화성접착제 9중량부를 혼합기에 투입한 후, 혼합기를 3분 동작시켜 수용성 접착제 9중량부와 UV 경화성접착제 9중량부를 혼합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 후, 수용성 접착제 9중량부와 UV 경화성접착제 9중량부가 혼합되어 있는 혼합기에 난연제인 인산에스테르를 중심으로 하는 인계 화합물 4중량부와 단열재인 세락믹가루 4중량부를 투입한 후, 혼합기를 5분 동작시켜 수용성 접착제 9중량부와 UV 경화성접착제 9중량부와 난연제 4중량부와 단열재 4중량부가 혼합된 하이브리드접착제를 얻는 제7단계와;
상기 제7단계 후, 얻어진 제1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2)을 위치시키고 상기 제1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2)의 상면에 하이브리드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하이브리드접착층(104)을 형성시키는 제8단계와;
상기 제8단계 후, UV램프를 위치시키고 상기 UV램프의 광을 제1하이브리드접착층(104)으로 1분 조사하는 제9단계와;
상기 제9단계 후, 제2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6)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2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6)을 UV램프의 광 조사가 완료된 제1하이브리드접착층(104)의 상면에 접착하는 제10단계와;
상기 제10단계 후, 상기 제2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6)의 상면에 하이브리드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하이브리드접착층(108)을 형성시키는 제11단계와;
상기 제11단계 후, UV램프의 광을 제2하이브리드접착층(108)으로 1분 조사하는 제12단계와;
상기 제12단계 후, 제3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10)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3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10)을 UV램프의 광 조사가 완료된 제2하이브리드접착층(108)의 상면에 접착하되, 외면에 불연 바인더를 도포하는 제13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 및 그 제조방법은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의 단열 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합치판넬의 두께를 줄여 벽체를 경량화하여 건축물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합치판넬의 두께를 줄여 벽체 시공을 빠르게 할 수 있는 바, 벽체 시공에 따른 소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합치판넬에 불연재, 수용성 난연접착제, UV 난연접착제 등을 포함함으로써,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열효과를 향상시켜 줄 뿐만 아니라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 벽체용 복합 단열 판넬의 개략적인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건축 벽체용 복합 단열 판넬에 이용되는 코어 슬라브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에 따른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의 제조방법에서 절단기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절단된 절단 준불연 발포 비드형 EPS판넬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a의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100)은,
스타이렌, 불연재, 수용성 접착제, UV 경화성접착제, 난연제, 단열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타이렌은 에테닐벤젠(ethenylbenzene) 또는 페닐에텐(phenylethene)으로도 불리며 C6H5CH=CH2의 화학식을 가지고 있다. 벤젠에서 출발한 유도체이며 무색 오일이고 쉽게 증발하며 고농도에서는 불쾌한 냄새가 나지만 저농도에서는 달콤한 냄새를 가지고 있다.
상기 스타이렌은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과 몇 가지의 공중합체의 원료로 이용한다.
상기 스타이렌의 용도는 스타이렌의 구조 내에 바이닐기(-CH=CH2)가 존재하므로 쉽게 중합 반응(polymerization)이 일어난다. 스타이렌이 단량체로 사용되는 고분자로서는 폴리스타이렌을 비롯하여 스타이렌이 공중합된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SBR(styrene-butadiene rubber), styrene-butadiene 라텍스, SIS(styrene-isoprene-styrene), 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styrene-divinylbenzene(S-DVB), styrene-acrylonitrile 수지(SAN), 불포화 폴리에스터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타이렌은 전체 중량부에서 65 ∼ 70중량부이다.
그리고, 상기 불연재는 가열을 해도 연소하지 않는 재료로, 수산화칼슘 또는 나트륨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인산나트륨 또는 규산염 또는 황토 또는 질석 또는 산화알루미늄 또는 산화마그네슘 또는 붕산 또는 탄산나트륨이다.
따라서, 상기 불연재는 전체 중량부에서 15 ∼ 18중량부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성 접착제는 폴리올 또는 폴리아민 또는 비스페놀A 또는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또는 우레아 또는 폴리비닐에세테이터 또는 에폭시수지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우레탄 또는 니트릴부타이엔 고무(NBR : Nitrile-Butadiene Rubber)를 녹여 얻는다.
따라서, 상기 수용성 접착제는 전체 중량부에서 7 ∼ 9중량부이다.
그리고, 상기 UV 경화성접착제는 아크릴계 올리고머 및 광개시제의 혼합물이다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비스페녹시에탄올 플루오렌-에이씨(BPEF-AC) 및 아크릴계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디아크릴레이트(PEG(400)DA)의 혼합물이다.
상기 광개시제는 아크릴계 올리고머가 경화된 후 고분자물질로 바뀌도록 광중합을 개시하는 역할을 하고, 수지 자체의 빠른 경화 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자외선 에너지를 받아 자유 라디칼을 형성하여 수지 내의 이중결합을 공격하여 중합을 유도한다. 상기 광개시제는 폴리실록산 중합체의 공유 결합에 의해 형성된 실리콘 중합체성이나 광중합을 개시하는 역할을 하면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UV 경화성접착제는 전체 중량부에서 7 ∼ 9중량부이다.
그리고, 상기 난연제는 방연제라고도 한다. 플라스틱의 내연소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첨가제로, 때에 따라서는 플라스틱 성형품의 표면에 도포할 때도 있다. 유기질 난연제와 무기질 난연제가 있다.
상기 난연제는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와 같은 금속 수화물 무기계 난연제와 브롬 또는 염소를 함유하고 있는 할로겐계 화합물, 인산에스테르를 중심으로 하는 인계 화합물과 멜라민시아누레이트와 같은 질소계 화합물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 난연제는 전체 중량부에서 4 ∼ 6중량부이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는 열을 차단해 주는 것으로, 경질우레탄 또는 그라스울 또는 세라믹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는 전체 중량부에서 4 ∼ 6중량부이다.
그러므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100)은,
스타이렌 65 ∼ 70중량부, 불연재 15 ∼ 18중량부, 수용성 접착제 7 ∼ 9중량부, UV 경화성접착제 7 ∼ 9중량부, 난연제 4 ∼ 6중량부, 단열재 4 ∼ 6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타이렌 70중량부를 얻은 후, 불연재인 규산염 15중량부를 얻는다.
상기에서 얻어진 스타이렌 70중량부와 불연재인 규산염 15중량부를 혼합기(도시는 생략함)에 투입한 후, 혼합기를 30분 동작시켜 혼합기로부터 스타이렌 70중량부와 불연재인 규산염 15중량부가 혼합된 제1혼합물을 얻는다.
그리고, 상기에서 얻어진 제1혼합물을 발포기(도시는 생략함)에 투입한 후, 발포기를 10분 동작시켜 발포기로부터 준불연 발포물을 얻는다.
그리고, 상기에서 얻어진 준불연 발포물을 성형기(도시는 생략함)에 투입함과 아울러 성형기에 불연 바인더 10중량부를 첨가한 후, 성형기를 10분 동작시켜 성형기로부터 준불연 발포 비드형 EPS(Expandable PolyStyrene)판넬을 얻는다.
여기서, 상기 불연 바인더는 제2인산나트륨 및 아교 용액으로 이루어지는 바, 중량비로 제2인산나트륨과 아교의 비율은 1:1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얻어진 준불연 발포 비드형 EPS판넬을 절단기(도시는 생략함)에 투입한 후, 절단기로부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로 절단된 제1, 제2, 제3, 제4, 제5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2)(106)(110)(114)(118)을 얻는다.
여기서, 상기 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의 사용자가 원하는 두께로 얻을 수 있으며, 절단되는 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의 갯수는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수용성 접착제인 에폭시 수지 9중량부를 얻은 후, UV 경화성접착제인 아크릴계 올리고머 및 광개시제의 혼합물 9중량부를 얻고 얻어진 수용성 접착제 9중량부와 UV 경화성접착제 9중량부를 혼합기에 투입한 후, 혼합기를 3분 동작시켜 수용성 접착제 9중량부와 UV 경화성접착제 9중량부를 혼합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성 접착제 9중량부와 UV 경화성접착제 9중량부가 혼합되어 있는 혼합기에 난연제인 인산에스테르를 중심으로 하는 인계 화합물 4중량부와 단열재인 세락믹가루 4중량부를 투입한 후, 혼합기를 5분 동작시켜 수용성 접착제 9중량부와 UV 경화성접착제 9중량부와 난연제 4중량부와 단열재 4중량부가 혼합된 하이브리드접착제를 얻는다.
그리고, 상기에서 얻어진 제1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2)을 위치시키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2)의 상면에 하이브리드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하이브리드접착층(104)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UV램프(도시는 생략함)를 위치시키고 상기 UV램프의 광을 제1하이브리드접착층(104)으로 1분 조사한다.
그리고, 제2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6)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2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6)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UV램프의 광 조사가 완료된 제1하이브리드접착층(104)의 상면에 접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6)의 상면에 하이브리드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하이브리드접착층(108)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UV램프의 광을 제2하이브리드접착층(108)으로 1분 조사한다.
그리고, 제3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10)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3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10)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UV램프의 광 조사가 완료된 제2하이브리드접착층(108)의 상면에 접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3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10)의 상면에 하이브리드접착제를 도포하여 제3하이브리드접착층(112)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UV램프의 광을 제3하이브리드접착층(112)으로 1분 조사한다.
그리고, 제4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14)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4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14)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UV램프의 광 조사가 완료된 제3하이브리드접착층(112)의 상면에 접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4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14)의 상면에 하이브리드접착제를 도포하여 제4하이브리드접착층(116)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UV램프의 광을 제4하이브리드접착층(116)으로 1분 조사한다.
그리고, 제5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18)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5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18)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UV램프의 광 조사가 완료된 제4하이브리드접착층(116)의 상면에 접착하여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100)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상기에서 만들어진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100)의 외면에 불연 바인더를 도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합치판넬의 두께를 줄여도 단열효과가 최대한으로 나타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
102 : 제1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
104 : 제1하이브리드접착층
106 : 제2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
108 : 제2하이브리드접착층
110 : 제3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
112 : 제3하이브리드접착층
114 : 제4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
116 : 제4하이브리드접착층
118 : 제5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

Claims (5)

  1. 스타이렌 70중량부를 얻은 후, 불연재인 규산염 15중량부를 얻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얻어진 스타이렌 70중량부와 불연재인 규산염 15중량부를 혼합기에 투입한 후, 혼합기를 30분 동작시켜 혼합기로부터 스타이렌 70중량부와 불연재인 규산염 15중량부가 혼합된 제1혼합물을 얻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얻어진 제1혼합물을 발포기에 투입한 후, 발포기를 10분 동작시켜 발포기로부터 준불연 발포물을 얻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얻어진 준불연 발포물을 성형기에 투입함과 아울러 성형기에 불연 바인더 10중량부를 첨가한 후, 성형기를 10분 동작시켜 성형기로부터 준불연 발포 비드형 EPS판넬을 얻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후, 얻어진 준불연 발포 비드형 EPS판넬을 절단기에 투입한 후, 절단기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절단된 제1, 제2, 제3, 제4, 제5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2)(106)(110)(114)(118)을 얻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 후, 수용성 접착제인 에폭시 수지 9중량부를 얻은 후, UV 경화성접착제인 아크릴계 올리고머 및 광개시제의 혼합물 9중량부를 얻고 얻어진 수용성 접착제 9중량부와 UV 경화성접착제 9중량부를 혼합기에 투입한 후, 혼합기를 3분 동작시켜 수용성 접착제 9중량부와 UV 경화성접착제 9중량부를 혼합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 후, 수용성 접착제 9중량부와 UV 경화성접착제 9중량부가 혼합되어 있는 혼합기에 난연제인 인산에스테르를 중심으로 하는 인계 화합물 4중량부와 단열재인 세락믹가루 4중량부를 투입한 후, 혼합기를 5분 동작시켜 수용성 접착제 9중량부와 UV 경화성접착제 9중량부와 난연제 4중량부와 단열재 4중량부가 혼합된 하이브리드접착제를 얻는 제7단계와;
    상기 제7단계 후, 얻어진 제1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2)을 위치시키고 상기 제1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2)의 상면에 하이브리드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하이브리드접착층(104)을 형성시키는 제8단계와;
    상기 제8단계 후, UV램프를 위치시키고 상기 UV램프의 광을 제1하이브리드접착층(104)으로 1분 조사하는 제9단계와;
    상기 제9단계 후, 제2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6)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2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6)을 UV램프의 광 조사가 완료된 제1하이브리드접착층(104)의 상면에 접착하는 제10단계와;
    상기 제10단계 후, 상기 제2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06)의 상면에 하이브리드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하이브리드접착층(108)을 형성시키는 제11단계와;
    상기 제11단계 후, UV램프의 광을 제2하이브리드접착층(108)으로 1분 조사하는 제12단계와;
    상기 제12단계 후, 제3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10)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3절단준불연발포 비드형 EPS판넬(110)을 UV램프의 광 조사가 완료된 제2하이브리드접착층(108)의 상면에 접착하되, 외면에 불연 바인더를 도포하는 제13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불연 바인더는 제2인산나트륨 및 아교 용액으로 이루어지는 바, 중량비로 제2인산나트륨과 아교의 비율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33054A 2021-03-14 2021-03-14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2352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054A KR102352247B1 (ko) 2021-03-14 2021-03-14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054A KR102352247B1 (ko) 2021-03-14 2021-03-14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247B1 true KR102352247B1 (ko) 2022-01-18

Family

ID=8005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054A KR102352247B1 (ko) 2021-03-14 2021-03-14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2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3979A (ja) * 2004-02-18 2007-08-23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放射線硬化性接着剤組成物
KR20160057831A (ko) * 2014-11-14 2016-05-24 엔에프에스(주) 난연성 스티로폼 제조방법
KR101977804B1 (ko) * 2018-09-28 2019-05-14 에프알코리아(주) 외부 벽체용 단열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090656A (ko) * 2018-01-25 2019-08-02 주식회사 케이씨씨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방화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3979A (ja) * 2004-02-18 2007-08-23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放射線硬化性接着剤組成物
KR20160057831A (ko) * 2014-11-14 2016-05-24 엔에프에스(주) 난연성 스티로폼 제조방법
KR20190090656A (ko) * 2018-01-25 2019-08-02 주식회사 케이씨씨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방화문
KR101977804B1 (ko) * 2018-09-28 2019-05-14 에프알코리아(주) 외부 벽체용 단열재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5017B2 (en) Moldable fire resistant composites
CN1795316B (zh) 防火性树脂窗框
KR101211383B1 (ko) 단열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KR101977804B1 (ko) 외부 벽체용 단열재 및 그의 제조 방법
AU2012281945B2 (en) Fire-resistant reinforcement structure, fire-resistant reinforcement architectural member, fire-resistant reinforcement method for architectural member
KR102259775B1 (ko) 준불연 우레탄계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KR20090019087A (ko) 건축 보온 단열재용 난연 질석 스티로폼 보드
KR20080096874A (ko) 황토보드로 마감된 칸막이 패널 및 이의 설치구조
JP2012202087A (ja) 耐火補強建築部材および建築部材の耐火補強方法
KR102352247B1 (ko)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 및 그 제조방법
CN114096499A (zh) 隔离材料及其生产方法
KR101068928B1 (ko) 난연재로 표면처리된 내연성 실내장식재
KR20160076282A (ko) 발포폴리스티렌 입자를 이용한 불연성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3223A (ko) 건축용 복합 단열판재
KR101530508B1 (ko) 열가소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용 난연 코팅액 및 그 제조방법
JP2002201736A (ja) 発泡耐火シート構造体
JP2007283702A (ja) 無機質発泡板製造方法、および、断熱壁構築工法
KR101538132B1 (ko) 마감용 내화단열재가 삽입된 건물벽체
JPH08311430A (ja) 遮音材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遮音材
JP2005120646A (ja) 複合耐火建材
KR102394903B1 (ko)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
JP2002166492A (ja) コンクリート爆裂防止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90094866A (ko) 팽창질석과 발포수지를 이용한 단열패널 제조방법
US20220243465A1 (en) Weatherproof joint for exterior building panels
JP2000192570A (ja) 発泡耐火シ―ト用組成物及び発泡耐火シ―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