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903B1 -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 - Google Patents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903B1
KR102394903B1 KR1020210141730A KR20210141730A KR102394903B1 KR 102394903 B1 KR102394903 B1 KR 102394903B1 KR 1020210141730 A KR1020210141730 A KR 1020210141730A KR 20210141730 A KR20210141730 A KR 20210141730A KR 102394903 B1 KR102394903 B1 KR 102394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gudeuljang
mixture
lo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환
신갑균
Original Assignee
하나로산업 주식회사
한용환
신갑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로산업 주식회사, 한용환, 신갑균 filed Critical 하나로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1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19Use of organic additives halogen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38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95Mixtures of at least two compounding ingredients belonging to different one-dot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61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면에 양각된 복수의 블록조각 사이에 난방배관을 삽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배관안착공간과, 저면에 양각된 격자구조의 보강돌기와, 저면 외각에 상기 보강돌기 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밀착테로 이루어지는 구들장본체; 및 상기 구들장본체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점착되는 차음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들장본체는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경화제 5 ~ 30중량부가 혼합된 1차 혼합물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PG) 100중량부에 대해 난연제 5 ~ 20중량부가 혼합되는 2차 혼합물과,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1 : 1 중량비로 혼합한 3차 혼합물에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MDI)를 1 : 1 ~ 1.7.중량비로 혼합한 4차 혼합물을 발포금형성형기에 투입한 후 발포시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LOESS PANEL WITH SEMI-INCOMBUSTIBILITY AND SOUND ABSORPTION}
본 발명은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들장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밀착테와 보강돌기의 높이차에 의해 공기층을 형성시켜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흡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황토분말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난연제를 혼합시켜 발포에 따른 경량성과 준불연성을 확보하고, 더불어 고무조성물을 첨가하여 구들장본체에 유연성을 갖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수준의 향상과 지식산업의 고도화 및 정보사회로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는 주거 공간의 절대 필요에 따라 날로 건축물의 대형화, 첨단화, 기능화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현실과 경제적 환경에 따른 친환경적 다기능적 건축물인 아파트, 고층빌딩 등의 고층화, 대형화는 필연적인 현상이다.
이에 건축자재의 경량, 불연, 단열. 보온 및 흡음을 동시에 충족시켜주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노력은 지속되어 왔으나, 층간 소음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기 위한 숙제를 안고 있다.
기존의 방음을 위한 기술은 스티로폼, 우레탄, 목모보드, 건식온돌, 기포콘크리트 등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건축 공기가 길어지고, 비용의 증가와 완전한 소음 차단제로서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일부 자재는 화재에 대한 더 큰 취약점을 지니고 있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그리고 스티롬폼과 우레탄의 Sell의 모양을 보면 Close Sell 이기 때문에 보온 단열성은 높으나 흡음성은 떨어지는 약점이 있고, 건식온돌은 바닥공기층을 형성시켜 다소의 흡음성은 있으나 재질의 특성 및 공법상 영구적 사용에 한계가 있고 특히 화재 시 소재로 인한 근본적 문제로 일정 발화점이 지나면 유독까스 배출에 대한 문제점과 흡수충격에 약한 면이 있다.
기포콘크리트는 Open Sell이라기 보다는 Close Sell에 가까워 이 또한 흡음성이 약하고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는 한계가 있다.
선행문헌으로는 "건식난방패널 및 이 건식난방패널 제조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1924호)"이 있는데, 이러한 선행문헌은 축열성과, 난방에만 주안점을 두고 제작되어 충격에 약하고, 층간소음을 억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계속되는 층간소음은 물론 준불연성과, 충격에 강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황토분말을 이용한 건축자재를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19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구들장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밀착테와 보강돌기의 높이차에 의해 공기층을 형성시켜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흡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황토분말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난연제를 혼합시켜 발포에 따른 경량성과 준불연성을 확보하고, 더불어 고무조성물을 첨가하여 구들장본체에 유연성을 갖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면에 양각된 복수의 블록조각 사이에 난방배관을 삽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배관안착공간과, 저면에 양각된 격자구조의 보강돌기와, 저면 외각에 상기 보강돌기 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밀착테로 이루어지는 구들장본체; 및 상기 구들장본체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점착되는 차음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들장본체는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경화제 5 ~ 30중량부가 혼합된 1차 혼합물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PG) 100중량부에 대해 난연제 5 ~ 20중량부가 혼합되는 2차 혼합물과,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1 : 1 중량비로 혼합한 3차 혼합물에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MDI)를 1 : 1 ~ 1.7.중량비로 혼합한 4차 혼합물을 발포금형성형기에 투입한 후 발포시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난연제는 APP(Amonium Polyphosphate) 55중량% ~ 65중량%와, Dbdo(Decabromo Diphenyl Oxide) 8중량% 내지 18중량%와, Sb2O₃ 8중량% 내지 14중량%와, Zb(Zinc Borate) 6중량% 내지 12중량%와, 수산화알루미늄 5중량% ~ 11중량%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1차 혼합물은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고무조성물 10 ~ 20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고무조성물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40 ~ 50중량부와, 카본블랙 5 ~ 10중량부 및 중공형 실리카 10 ~ 15중량부에 첨가제로 스테아린산 1 ~ 1.5중량부와, 석유수지 1.5 ~ 2중량부와, 노화방지제 1 ~ 2중량부와, 분산제 1.5 ~ 2중량부 및 티아졸계 가황촉진제 1 내지 2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1차 혼합물은 경화제에 의한 경화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물 1 내지 10중량부가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에 따르면, 구들장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밀착테와 보강돌기의 높이차에 의해 공기층을 형성시켜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흡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분말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난연제를 혼합시켜 발포에 따른 경량성과 준불연성을 확보하고, 더불어 고무조성물을 첨가하여 구들장본체에 유연성을 갖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를 주재질로 하여 친환경적이면서, 미세 기공을 높여 가볍고 흡음성과 압축강도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구들장본체의 저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이 시공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구들장본체의 저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이 시공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들장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밀착테와 보강돌기의 높이차에 의해 공기층을 형성시켜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흡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황토분말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난연제를 혼합시켜 발포에 따른 흡음성과 준불연성을 확보하고, 더불어 고무조성물을 첨가하여 구들장본체에 유연성을 갖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100)은 도 1의 (b)와 같이, 구들장본체(10) 또는 도 1의 (a)와 같이, 구들장본체(10)와, 차음시트(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들장본체(10)는 상면에 양각된 복수의 블록조각 사이에 난방배관을 삽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배관안착공간(11)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구들장본체(10)의 저면에는 양각된 격자구조의 보강돌기(12)가 돌출 형성되어 구들장본체(10)의 전체적인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구들장본체(10)의 저면 외각에는 상기 보강돌기(12) 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는 밀착테(13)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밀착테(13)는 구들장본체(10)에 저면에 차음시트(20)가 점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보강돌기(12)와 차음시트(20)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에 따라 구들장본체(10)는 층간소음을 억제하는 흡음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더불어 경량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상기 차음시트(20)는 구들장본체(10)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점착되는 것으로, 층간소음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도 3의 (b)와 같이, 상기 구들장본체(10)는 차음시트(20) 없이 구조물의 슬라브층에 밀착될 경우, 슬라브층과 보강돌기(1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해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도 3의 (a)와 같이, 차음시트(20)가 부착될 경우, 차음시트(20)의 물성에 의해 층간소음을 차단하고, 더불어 공기층에 의해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들장본체(10)는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경화제 5 ~ 30중량부가 혼합된 1차 혼합물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PG) 100중량부에 대해 난연제 5 ~ 20중량부가 혼합되는 2차 혼합물과,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1 : 1 중량비로 혼합한 3차 혼합물에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MDI)를 1 : 1 ~ 1.7.중량비로 혼합한 4차 혼합물을 성형틀에 투입한 후 발포시켜 성형된다.
여기서 상기 1차 혼합물의 황토분말은 0.5mm 내지 5mm 정도의 입자 크기를 갖는 가루알갱이 형태로서, 산화규소와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철과 산화마그네슘 등의 화학성분으로 구성되고, 카탈라아제와 디페놀 옥시다아제와 사카라아제와 프로테아제의 4가지 효소성분을 함유하는 등, 건축재료로 사용가능한 황토표준특성을 갖는 황토이면 무엇이든지 사용가능하다
이 때 황토분말의 입자가 0.5㎜ 미만이면 공극을 막아 흡음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입자 범위의 상한치가 5㎜ 초과이면 다른 조성물과의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경화제는 황산칼슘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5 ~ 30중량부가 포함되도록 하여, 경화시 그 내부에 함유된 황토로부터 원적외선, 수분 등이 적절히 흡수 및 배출되고 독소 제거 및 분해, 정화 작용 등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전체 압축강도 등 물성은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혼합물은 경화제에 의한 경화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물 1 내지 10중량부가 더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혼합물은 구들장본체(10)에 유연성를 확보하기 위하여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고무조성물 10 ~ 20 중량부를 부가할 수 있다.
상기 고무조성물은 구들장본체(10)를 시공할 때 인접한 구들장본체(10)와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완충작용과 함께 외부 온도 변화나 지속적인 충격에 대한 유연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고무조성물은 상기 구들장본체(10)의 저면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바, 상기 공기층 부분으로 하중이 가중될 경우, 도 3의 (a), (b)와 같이, 크랙과 파손을 방지하면서 휘어짐에 의해 구들장본체(10)의 가장자리가 외측으로 확대되어 인접한 구들장본체(10)와의 조립성이 증대 된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고무조성물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40 ~ 50중량부와, 카본블랙 5 ~ 10중량부 및 중공형 실리카 10 ~ 15중량부에 첨가제로 스테아린산 1 ~ 1.5중량부와, 석유수지 1.5 ~ 2중량부와, 노화방지제 1 ~ 2중량부와, 분산제 1.5 ~ 2중량부 및 티아졸계 가황촉진제 1 내지 2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고무조성물에 중공형 실리카가 함유됨으로써 미세공동이 형성된 입자들이 분포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열전달을 통한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흡음 성능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실리카는 통상의 제조방법에 의 해 제조될 수 있는데, 알콕시실란의 수용액으로 액적을 만들고, 여기에 산을 가하여 상기 액적을 가수분해시킨 후, 다시 염기를 가하여 상기 액적을 결합시킴으로써 쉘을 형성한 후, 유기용매로 상기 쉘의 내부를 에칭하여 중공을 형성한 후, 이를 여과,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공형 실리카는 내부 공동이 50 내지 5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혼합물은 1차 혼합물에 항균성과 내가수분해성 및 난연성과, 자기소화성과 화염의 부확장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액상으로 이루어지며, 폴리우레탄이 가지는 내마모성, 찢김강도, 유연성, 내유성, 내열성, 탄성력의 특징과 더불어 열과 수분이 동시 접촉시 항미생물성을 갖고, 또한 내가수분해성의 특징을 갖는다.
상기 난연제는 난연성 향상 및 유독가스를 억제하고, 더불어 자기소화성 및 화염의 부확장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난연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PG) 100중량부에 대해 5중량부 이하가 혼합될 경우에는 준불연 난연제로써의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20중량부 이상일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들장본체의 내마모성, 탄성력이 저하되고, 발포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상기 난연제는 분말입자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APP(Amonium Polyphosphate) 55중량% ~ 65중량%와, Dbdo(Decabromo Diphenyl Oxide) 8중량% 내지 18중량%와, Sb2O₃ 8중량% 내지 14중량%와, Zb(Zinc Borate) 6중량% 내지 12중량%와, 수산화알루미늄 5중량% ~ 11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APP(암모늄 폴리포스테이트 : 폴리인산암모늄)는 무독성 난연제인 인계난연제의 대표적인 소재로 난연성이 뛰어나고 우레탄 수지와의 혼합성과 상용성이 뛰어나다.
이러한 APP는 대표전인 인-질소 난연제이며 백색 결정성 분물로서 고분자에서의 일반적인 작용은 연소과정에서 표면 코팅, 인 화합물의 증발에 의한 열소멸, 분해물의 희석, 용융 점도의 감소 등으로 인하여 난연제로서 역할을 한다. 인 함유량이 30%로 높아 우수한 난연제로 인식된다.
여기서 APP가 55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난연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65% 이상일 경우에는 열안정성이 저하되고 다른 성분(Dbdo, Zb, 수산화알루미늄)의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아울러 Dbdo(Decabromo Diphenyl Oxide)는 할로겐계 난연제로 자기소화성과 우수한 난연성을 갖으나, 수지와의 좋지 못한 상용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Dbdo(Decabromo Diphenyl Oxide)는 8중량% 이하일 경우, 자기소화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18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수지와의 좋지 못한 상용성을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Sb2O₃(삼산화 안티몬(Antimony trioxide)는 할로겐계 난연제의 성능을 향상시켜 주고, 부확장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특히 화재 발생시 연소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Sb2O₃가 8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부확장성 억제 효과 및 연소방지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14중량% 이상의 경우에는 효과 대비 제조비가 상승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Zb(Zinc Borate)는 무독성으로 유독가스 및 연기를 억제하고, 물을 방출시켜 자기소화가 가능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00℃ 이상에서는 수분을 배출하기도 하여 표면 온도 식히고 흡열 반응을 일으켜 독성을 지닌 연기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Zb(Zinc Borate)는 6%중량 이하일 경우, 자기소화 기능이 저하되고 더불어 유독가스 및 연기의 억제가 미비해 바람직하지 않고, 12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자기소화 기능 대비 난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은 화학내열성, 투명성, 특히 난연성등의 품질이 특성이 우수한 기초 무기화학 제품으로 APP 및 Dbdo와의 난연성에서 병용효과를 크게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은 5중량% 이하일 경우, 난연성능에서 APP 및 Dbdo와의 병용효과가 떨어지고 화학내열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11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더 이상 난연성능의 상승을 기대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3차 혼합물은 2차 혼합물이 1중량비 이상일 경우에는 1차 혼합물이 갖는 황토의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1중량비 이하일 경우에는 구들장본체의 경량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상기 3차 혼합물은 1차 혼합물에 2차 혼합물에 포함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갖는 내마모성, 내열성, 탄성력과, 항균성 및 내가수분해성 특성과, 난연제가 갖는 자기소화성과, 화염의 부확장성, 준불연성 및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4차 혼합물의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MDI)는 발포제 및 경화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중량비가 1 이하일 경우에는 밀도는 상승하고 기공은 낮아져 무게가 증가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1.7 중량비 이상일 경우에는 압축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술된 최종 제조되는 구들장본체는 4차 혼합물을 발포금형성형기에 투입함으로써 발포에 따른 팽창압력이 발포금형성형기에서 억제되기 때문에 압축강도는 증대되면서 미세 기공은 높아지고, 경량성 고강도의 물성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은 황토 구들장 뿐만 아니라, 건축용 내/외장재와, 바닥재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칸막이 벽체, 천장용 보드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구들장본체 11: 배관안착공간 12: 보강돌기
13: 밀착테
20: 차음시트
100: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

Claims (5)

  1. 상면에 양각된 복수의 블록조각 사이에 난방배관을 삽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배관안착공간(11)과,
    저면에 양각된 격자구조의 보강돌기(12)와,
    저면 외각에 상기 보강돌기(12) 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밀착테(13)로 이루어지는 구들장본체(10); 및
    상기 구들장본체(10)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점착되는 차음시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강돌기(12)와 상기 차음시트(20)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구들장본체(10)는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경화제 5 ~ 30중량부가 혼합된 1차 혼합물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PG) 100중량부에 대해 난연제 5 ~ 20중량부가 혼합되는 2차 혼합물과,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1 : 1 중량비로 혼합한 3차 혼합물에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MDI)를 1 : 1 ~ 1.7.중량비로 혼합한 4차 혼합물을 발포금형성형기에 투입한 후 발포시켜 성형되고,
    상기 1차 혼합물은 상기 구들장본체(10)에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고무조성물 10 ~ 20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무조성물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40 ~ 50중량부와, 카본블랙 5 ~ 10중량부 및 중공형 실리카 10 ~ 15중량부에 첨가제로 스테아린산 1 ~ 1.5중량부와, 석유수지 1.5 ~ 2중량부와, 노화방지제 1 ~ 2중량부와, 분산제 1.5 ~ 2중량부 및 티아졸계 가황촉진제 1 내지 2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APP(Amonium Polyphosphate) 55중량% ~ 65중량%와,
    Dbdo(Decabromo Diphenyl Oxide) 8중량% 내지 18중량%와,
    Sb2O₃ 8중량% 내지 14중량%와,
    Zb(Zinc Borate) 6중량% 내지 12중량%와,
    수산화알루미늄 5중량% ~ 11중량%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혼합물은 경화제에 의한 경화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물 1 내지 10중량부가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
KR1020210141730A 2021-10-22 2021-10-22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 KR102394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730A KR102394903B1 (ko) 2021-10-22 2021-10-22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730A KR102394903B1 (ko) 2021-10-22 2021-10-22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903B1 true KR102394903B1 (ko) 2022-05-09

Family

ID=81582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730A KR102394903B1 (ko) 2021-10-22 2021-10-22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90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361A (ko) * 2002-05-04 2003-11-10 조병욱 유독가스 및 연기밀도를 최소화한 난연성 고무/플라스틱발포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10121052A (ko) * 2010-04-30 2011-11-07 김기 온돌용 다 목적 배관판넬
KR20130077212A (ko) * 2011-12-29 2013-07-0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KR20180071924A (ko) 2016-12-20 2018-06-28 조민정 건식난방패널 및 이 건식난방패널 제조방법
KR101919751B1 (ko) * 2018-06-07 2018-11-19 주식회사 폴리쉘 발포 단열재용 난연 마스터배치 조성물
KR20190038231A (ko) * 2017-09-29 2019-04-08 (주)아코플레닝 피혁 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용 난연 텍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건축용 난연 텍스
KR102309426B1 (ko) * 2021-04-30 2021-10-06 대한폴리텍(주) 단열재로 사용되는 준불연성 발포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361A (ko) * 2002-05-04 2003-11-10 조병욱 유독가스 및 연기밀도를 최소화한 난연성 고무/플라스틱발포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10121052A (ko) * 2010-04-30 2011-11-07 김기 온돌용 다 목적 배관판넬
KR20130077212A (ko) * 2011-12-29 2013-07-0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KR20180071924A (ko) 2016-12-20 2018-06-28 조민정 건식난방패널 및 이 건식난방패널 제조방법
KR20190038231A (ko) * 2017-09-29 2019-04-08 (주)아코플레닝 피혁 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용 난연 텍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건축용 난연 텍스
KR101919751B1 (ko) * 2018-06-07 2018-11-19 주식회사 폴리쉘 발포 단열재용 난연 마스터배치 조성물
KR102309426B1 (ko) * 2021-04-30 2021-10-06 대한폴리텍(주) 단열재로 사용되는 준불연성 발포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9775B1 (ko) 준불연 우레탄계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KR200374253Y1 (ko) 경량 세라믹 샌드위치 패널
KR102065299B1 (ko) 준불연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19087A (ko) 건축 보온 단열재용 난연 질석 스티로폼 보드
KR20180117511A (ko)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100707360B1 (ko) 소음 방지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94903B1 (ko)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
KR100732625B1 (ko)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068928B1 (ko) 난연재로 표면처리된 내연성 실내장식재
KR200382999Y1 (ko) 소음 방지재
KR100760149B1 (ko) 건축용 내장재 제조방법
KR102394899B1 (ko)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
KR101494305B1 (ko) 난연성이 우수한 자기소화형 발포우레탄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1555612B1 (ko) 건축 외장재용 드라이비트 준불연 발포폴리스티렌 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US9315993B2 (en) Non-structural multi-part panel
KR101370579B1 (ko) 내화구조용 초경량방화방음탈취패널
KR20190119687A (ko) 난연성 및 차음성이 우수한 샌드위치 패널
KR102296040B1 (ko) 불연마감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건축물의 화재안전보강시공방법
KR102268226B1 (ko) 건축물의 층간 단열차음재
KR101590305B1 (ko) 불연성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비드 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45672B1 (ko) 내화기능을 갖는 비내력벽체
KR100953127B1 (ko) 페놀수지를 이용한 건축 내외장재 제조방법
KR101953690B1 (ko) 변형방지기능을 갖는 스티로폼 조성물
KR20230076218A (ko) 준불연성과 층간소음이 향상된 황토 구들장 제조방법
KR200390026Y1 (ko) 난연성 및 강도강화 폴리우레탄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