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052A - 온돌용 다 목적 배관판넬 - Google Patents

온돌용 다 목적 배관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052A
KR20110121052A KR1020100040461A KR20100040461A KR20110121052A KR 20110121052 A KR20110121052 A KR 20110121052A KR 1020100040461 A KR1020100040461 A KR 1020100040461A KR 20100040461 A KR20100040461 A KR 20100040461A KR 20110121052 A KR20110121052 A KR 20110121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nel
ondol
hot water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8201B1 (ko
Inventor
김기
황충호
Original Assignee
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 filed Critical 김기
Priority to KR1020100040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201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사각 판재 밑판의 상면으로 블록형 돌기에 의해서 가로 세로 양방향으로 수 줄의 온수방열관 배관홈을 갖는 배관판넬에 대하여, 가로 세로 양 방향에 각각 온수방열관이나 온수주관의 배관 시공을 적어도 방열관 배치 간격의 1/3 간격으로 배관할 수 있는 수줄의 배관홈들을 형성하여 방열관의 배관 간격과 공급, 환수관의 배관이 용이하면서 시공의 신속성을 확보하며, 다른 난방개소로의 공급, 환수주관들을 가로 세로 어느 방향에서나 좁은 간격으로 배관할 수 있고 분배헤더와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하며, 높은 단열성과 흡음성을 자체적으로 구비하며, 별도의 부품 가감이나 구조 변경없이 단품 구성체에 의하여 건식과 습식 온돌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습식용에서도 기능성 물질을 충진할 수 있는 고, 습식 온돌 시공시에 온수방열관을 배관판넬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띄워서 고정시켜서 시멘트 몰탈이 온수방열관의 저면까지도 감싸 타설되는 내구성과 열전도율이 높은 실용성과 고 상품성과 고 품질의 온돌용 다 목적 배관판넬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온돌용 다 목적 배관판넬{A MULTIPURPOSE OF HEATING PIPING PANNEL FOR KOREAN FLOOR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온수 방열관 또는 전기 방열관을 사용하는 온돌의 시공에서 방열관의 배관 시공을 용이하게하고 난방효율을 높이며 온돌면의 받침대 기능을 수행하는 배관판넬을 형성함에 잇어서, 건식 또는 습식 온돌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배관시공을 더욱 용이하고 편리하게하며 방습성과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을 위한 기능성 배관판넬로도 구성할 수 있는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종래에 제공되고 있는 온돌용 배관판넬의 종류는 온돌바닥의 시공구조에 따라서 시멘트 몰탈의 사용하는 습식용과, 시멘트 몰탈을 대신에 장판이나 목재, 석재 또는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의 판재를 사용하는 건식용으로 구분되며, 방열관의 종류에 따라서는 온수방열관용과 전기방열관용으로 구분되고 있다.
건식 온돌 시공구조는, 방열관의 상면에 시멘트 몰탈로 온돌바닥을 구성하는 습식 온돌 시공구조에 비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며, 저렴한 시공비 및 보수의 간편성 등의 여러 장점을 갖고 있지만, 난방 바닥에 방열관을 지그재그형으로 배관하는 방열관 시공방법이나 그 구성 여하에 따라서 시공성과 온돌 품질이 다양하게 변화되는 특성이 있다.
건식 온돌 시공구조에서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온돌 품질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배관판넬이 사용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제공된 건식과 습식 겸용이나 기능성을 갖는 다 목적용의 배관판넬들은 실용성이 낮은 단점들이 있었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발명으로 개시된 한국특허공개 제10-2007-0091893호에는 일 예의 다 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의 구성이 제공되어어 있다.
상기 선 발명의 다 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의 특징은, 방열관의 신속 배관성과 난방 바닥과의 단열성 및 온돌판재의 받침대 기능 등과 같은 일반적인 특징을 가지면서도 특히, 여러 난방처(방)에서 분배헤더와 인접한 난방처를 거쳐 분배헤더측으로 배관되는 여러 줄의 공급주관이나 환수주관들을 가로 세로 양방향 어느 방향에서나 좁은 간격으로 배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선 발명의 다 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의 구성에서는 어느 일 방향에서는 적어도 방열관 배치간격의 1/8 정도의 극히 좁은 간격으로 배관할 수 있었지만, 이와 직교되는 다른 방향으로는 방열관 배치간격의 1/2의 간격으로만 배관할 수 있는 구성이어서 종래의 다른 배관판넬들에서의 분배헤더 연결에 따른 문제점들과, 다열 온수주관의 양방향 배관 문제점들을 충분히 해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온수 방열관 배관홈을 형성하는 받침부재들이 슬릿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에서는 내구성이 매우 낮아서 장시간 사용시에 온돌 바닥이 부분적으로 함몰되는 등의 받침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건식과 습식 겸용의 상품으로 제공함에 있어서, 단열성과 층간 흡음성의 구현에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습식 온돌용으로 사용할 때에 숯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충진하는데 문제점이 있는 등의 단점들에 의하여 총체적으로 건식 습식 겸용의 다 목적용의 온돌용 배관판넬로서 고 품질 상품으로 제공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 발명의 다 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 목적은 종래의 블록형 돌기를 갖는 배관판넬들과 같은 고 생산성은 물론 내구성을 가지면서도, 건식 온돌용으로 사용시에 직교되는 가로 세로 양 방향에 걸쳐서 온수방열관이나 온수주관의 배관 시공을 적어도 방열관 배치 간격의 1/3 간격으로 배관할 수 있는 고 시공성과 고 품질의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을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별도의 부품 가감이나 구조 변경없이 단품 구성체에 의하여 건식과 습식 온돌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습식용에서도 기능성 물질을 충진할 수 있는 고 실용성과 고 상품성과 고 품질의 온돌용 다 목적 배관판넬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위의 목적들에 더 하여 배관되는 난방바닥에 대하여 높은 단열성과 흡음성을 자체적으로 갖는 고 실용성과 고 상품성과 고 품질의 온돌용 다 목적 배관판넬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위의 목적들에 더 하여 건식과 습식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습식 온돌 시공시에도 선택적으로 온돌 시공시에 온돌 바닥이나 실내 환경에 대하여 제습, 탈취, 방취, 항균, 구충(驅蟲), 원적외선 방사 등의 기능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을 충진할 수 있는 고 실용성과 고 상품성과 고 품질의 온돌용 다 목적 배관판넬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습식 온돌 시공시에 온수방열관을 배관판넬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띄워서 고정시켜서 시멘트 몰탈이 온수방열관의 저면까지도 감싸 타설되는 내구성과 열전도율이 높은 고 품질의 습식 온수온돌시공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여러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돌용 다 목적 배관판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은, 합성수지재를 재질로하여 사출성형이나 프레스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작되는 정방형 판재를 밑판 기재로 하고, 이 밑판의 상면에는 온수 방열관을 수용하는 높이와 폭을 갖는 직선상 배관홈을 가로 세로 양 방향에 걸쳐서 일정 등 간격으로 수 줄 형성시키고, 중앙부와 사방변부와 네 귀퉁이에 각각 원주형 배관홈과 반원호형 배관홈과 1/4 원호형 배관홈들을 온수방열관 배치 간격으로 형성시키는 수 십개 돌출형 받침부재들을 구비하는 사방 연속 조립형 배관판넬로 형성되는 점에서는 기존의 배관판넬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개시되는 주요 특징은. 상기 배관판넬의 수 십개의 돌출형 받침부재들의 구성에서 기존의 배관판넬들과 동일 면적을 갖는 규격내에서 단위 온수방열관 배치 간격과 동일 규격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형군 받침부재에 대하여 가로 세로 양방향에 걸쳐서 정(井)자형으로 각각 3등분하여 9조각의 원형군 받침부재로 형성하면서 그 등분된 선상에 가로 세로 각각 2줄씩의 직선상 배관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등분된 9조각의 원형군 받침부재들은 밑판의 저면부로 개방된 갑체형으로 구성함에 있다.
위와 같이 원형군 받침부재들을 가로 세로 양방향에 걸쳐서 정(井)자형으로 각각 3등분하여 9조각으로 형성하면서, 그 등분선상에 가로 세로 각각 2줄씩의 직선상 배관홈을 더 구비하는 구성에 의하면, 온수방열관의 온수공급관과 환수관 및 다른 방으로 연결되는 공급주관이나 환수주관들을, 분배헤더와 가장 적합한 배관간격으로 연결시켜주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받침부재들의 수직방향 내구력도 증대되어 온돌면에 대한 받침강도가 증대된다.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일 특징적 구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9조각의 원형군 받침부재의 상면은 폐쇄하고 밑면은 밑판의 저면으로 개방시키는 구성으로 형성하여서, 온돌 시공시에 뒤집어서 사용시에는 상기 개방된 9조각의 원형군 받침부재에 대하여 온돌 바닥이나 실내 환경에 대하여 제습, 탈취, 방취, 항균, 구충(驅蟲), 원적외선 방사 등의 기능성을 갖는 제반 기능성 물질을 충진할 수 있는 기능성 물질 충진구성을 구비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밑판의 하단면에 대하여 9조각의 원형군 받침부재의 요입부에 충진되는 구성과 그 이하로 일정 두께를 갖는 구성을 갖는 단열성, 방음성의 폴리스티렌(스치로폼)이나 우레탄재질류를 사용하는 발포판재로된 하부 단열판재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밑판의 하단면에 구비되는 하부 단열판재의 구성과 더불어, 동일 재질로 밑판 상면부에서 방열관 배관홈에 충진되면서 그 상부로 일정 두께를 갖는 상부 단열판재를 더 구비하여, 소비자가 온돌 시공구조에 따라서 상, 하부 단열판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맞추어 구매할 수 있는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판넬을 뒤집어서 사용하는 습식용 배관판넬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방열관 고정구 고정공을 바둑판형으로 구비하는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관판넬의 규격은 사방 400mm~450mm 의 정방형 규격이나, 이 정방형 규격의 배관판넬 두장을 어느 일 측단으로 연접하여 일체형으로된 장방형 규격으로도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 하부 단열판재의 구성에는 사방 조립시에 겹치거나 끼워져서 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의 판넬 조립정밀도와 안정성을 갖는 조립수단을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에 제공된 동종류의 받침돌기들을 갖는 건식, 습식 온돌용 배관판넬들에 비하여 기존의 배관홈 구성에 더하여 가로 세로 양방향에 걸쳐서 단위 온수방열관 배치간격의 1/3 간격으로 배관홈이 증설 형성되므로서, 종래의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들이 2개 이상의 여러 난방장소에 대한 다 열의 온수주관들을 가로 세로 양 방향으로 좁은 간격으로 배관하기 어렵고 분배헤드와의 연결작업도 어려웠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다양한 형태의 온수 방열관 배관 온주주관의 위치선정이 용이하며, 분배헤더와의 연결 배관작업 신속성은 물론 깔끔한 배관작업을 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볼 때 온수온돌의 시공시간 절약과 시공비의 절감 및 건식 온수 온돌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받침부재가 갑체형으로 형성되어 수직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높여주고,
단일의 판재로 건식과 습식 겸용의 다목적 배관판넬로 제공할 수 있어서 제작자 측에서는 금형 제작비를 절감과 생산관리비의 절감을 꾀하며, 소비자는 온돌 시공구조에 맞추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 하부 단열판재를 선택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세트로 구비하므로서 별도로 단열판재를 구매하고 시공하여야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키는 장점이 있고, 상, 하부 단열판재에 조립수단을 구비하므로서 배관판넬의 조립성을 높이면서 단열재 연결부위의 밀폐성을 높여 단열 및 층간 방음효과를 한층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판넬을 뒤집어서 사용하는 습식 온돌시공구조에서는, 상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된 갑체형 받침부재의 내부 공간부에 대하여 숯, 황토, 옥돌, 게르마늄돌, 맥반석, 원적외선 방사 바이오세라믹, 알루미나 실리카질 광물, 마그네시아 광물, 음 이온석 또는 기타의 기능성 합성, 천연 물질들과 같은 기능성 물질들을 가루 또는 작은 조각형태로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충진시킨 후 온돌면 시공을 마감할 수 있으므로서, 주로 시멘트 몰탈로 구축되는 온돌바닥이나 벽체로부터의 시멘트 독성을 중화시키고, 또한 실내 인테리어 시공부재에서 발생하는 화학성분 각종 환경오염물질에 대하여 탈취, 방취 및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이 서식하기 어려운 항균, 구충 등의 환경조성에 일조할 수 있는 특성을 발휘하며, 또한 원적외선 방사와 제습의 작용으로 악취 등 냄새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물질과 피로 유발 물질들을 분해, 중화시키고, 실내에 인테리어 장식형으로 적은 양의 또는 작은 크기의 기능성 부재들을 노출시켜 사용하는 방법과 비교하여서, 넓은 면적에 걸쳐서 월등한 실내 습도 조절의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새집 증후군도 저감, 완화시킬 수 있는 친환경건축자재로 형성할 수 있는 고품질의 건식 습식 겸용의 배관판넬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배관홈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 2의 일 실시예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시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시공단면 일부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에 의한 일 예 건식 온수온돌 시공을 위한 배관판넬 설치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에 의한 일 예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다른 일 예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다른 일 예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다른 일 예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단열부재를 갖는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단열부재를 갖는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조립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건식 습식 겸용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배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단열부재를 갖는 건식 습식 겸용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건식 습식 겸용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에 의한 습식 온돌 시공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건식 습식 겸용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에 의한 습식 온돌 시공단면의 일부 확대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건식 습식 겸용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에 의한 습식 온돌 시공 평면구성도
도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단열부재를 갖는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단면도
도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단열부재를 갖는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사시도
도24는 도 23의 또 다른 실시예 단열부재를 갖는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단열부재를 갖는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사시도
도26은 도 25의 또 다른 실시예 단열부재를 갖는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단열부재를 갖는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사시도
도28은 도 27의 또 다른 실시예 단열부재를 갖는 온돌용 다목적 배관판넬의 조립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여러 실시예의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배관판넬(10)의 구성과 이를 사용한 일 예의 건식 온돌 시공 구조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일 실시예 배관판넬(10)의 구성은,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 또는 프레스 압출성형에 의하여 성형되는 2 ~ 5mm 두께를 갖고, 사방 400 ~ 450mm 의 규격을 갖는 정방형 밑판(11)을 기재로 한다.
이 밑판(11)의 상면에는 가로 세로방향 각각에 걸쳐서 등 간격으로 6줄의 가로방향 직선상 배관홈(Lh)들과 세로방향 직선상 배관홈(Lv)들이, 중앙에는 원주형 배관홈(Ls1)이, 사방변부 중간부에는 각각 반원호형 배관홈(Ls2)들이, 네 귀퉁이에는 1/4 원호형 배관홈(Ls3)들이 수 십개의 돌출형 받침부재(12)들에 의하여 형성된다(도 5참조).
상기 각각 6줄의 가로, 세로 직선상 배관홈(Lh)(Lv)들 간의 간격은, 배관하고자하는 단위 온수방열관 배치 간격의 1/3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부의 원주형 배관홈(Ls1)과 사방변부의 반원호형 배관홈(Ls2)들과 네 귀퉁이의 1/4 원호형 배관홈(Ls3)들의 원주 규격은 사용되는 온수방열관의 직경을 수용하는 임의의 규격으로 형성되며, 단위 온수방열관 배치 간격의 설정에 따라서도 변경 설계되는 구성이다.
상기 돌출형 받침부재(12)들의 구성은, 평면적으로 볼 때 밑판(11)의 면적을 사방 격자형으로 각각 4등분하여 구획되는 16개의 구획블록을 기준으로 형성된다.
16개의 구획블록 중에서 중앙부의 4개 구획블록위치에는 단위 온수방열관 배치 간격에서 온수방열관 직경을 제외한 규격의 원주 규격으로 외곽이 구획되면서 그 내부는 가로 세로방향으로 각각 배관홈 폭으로 3등분하여 형성되는 8개의 중앙 원형군 받침부재(12a)들과, 나머지 면적에 형성되는 4개의 삼각형 코너 받침부재(12b)들로 형성된다.
16개의 구획블록 중에서 사방변 중간부에 위치한 각각 2개씩의 구획블록에는 상기 8개의 중앙 원형군 받침부재(12a)들을 반분한 형태의 6개의 변부 반원형 받침부재(12c)들과 2개의 삼각형 코너 받침부재(12d)들로 형성된다.
16개의 구획블록 중에서 밑판(11)의 네 귀퉁이에 위치한 각각 1개씩의 구획블록에는 상기 8개의 중앙 원형군 받침부재(12a)들을 1/4 분할한 형태의 4개의 귀퉁이 부채꼴형 받침부재(12e)들과 1개의 삼각형 코너 받침부재(12f)로 형성된다.
상기 모든 받침부재들은 상측은 막히고 밑판 하부측으로는 개방된 갑체형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일 실시예 배관판넬(10)의 구성에 의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방면적장소에서 이 배관판넬(10)들을 평면상으로 사방으로 연속하여 여러장 잇대어 조립하였을 때, 배관하고자 하는 단위 온수방열관 배치 간격의 1/3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로 세로 양 방향으로 직선상 배관홈(Lh)(Lv)들이 수 십줄 형성되면서, 또한 3개의 직선상 배관홈마다 단위 온수방열관 배치 간격에서 온수방열관 직경을 제외한 원주 규격의 원주형 배관홈(Ls1)들이 사방으로 수 십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도 7에는 상기한 일 실시예 배관판넬(10)을 사용한 일 예의 건식 온수온돌 시공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온수온돌 시공단면 일부 확대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일 예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1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일 예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100)에서는 일 실시예 배관판넬(10)들을 난방 바닥(Ba)의 면적에 맞추어서 수 개에서 수 십장을 사방으로 밀접하게 잇대어 조립하고, 그 위에 원형군 받침부재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주형 배관홈과 맞물리는 직선상 배관홈들에 지그재그형으로 온수방열관(HP)을 배관하며, 직선상 배관홈에는 열유도판(RP)을 사용한 구성이다.
이 일 예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100)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 배관판넬(10)의 구성에 의하므로서, 전방 벽체(Wd)의 외측에 설치되는 온수 분배헤드(D1)와 연결되는 온수방열관의 공급관(HPa)과 환수관(HPb)의 세로방향 배관간격을 단위 온수방열관 배치 간격의 1/3 간격의 좁은 간격으로 유도 배관할수 있고, 다른 난방장소의 배관을 위한 공급주관(HPc)과 환수주관(HPd)의 배관 간격도 세로 방향에 걸쳐서 단위 온수방열관 배치 간격의 1/3 간격의 좁은 간격으로 유도배관할수 있다.
도 11에는 상기한 일 실시예 배관판넬(10)을 사용한 다른 일 예의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1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다른 일 예의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110)에서는 전술한 일 예의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100)과 비교하여 온수방열관(HP)의 배관은 동일하되, 온수 분배헤드(D2)를 우측 벽체(Wb)의 외측에 설치하여야하는 시공장소에서의, 온수 공급관(HPa)과 환수관(HPb)의 가로 연결 배관 구성 및, 다른 난방장소의 배관을 위한 세로방향 공급주관(HPc)과 환수주관(HPd)들을 가로방향으로 분배헤드(D2)에 연결한 구성이다..
이 다른 일 예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110)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 배관판넬(10)의 구성에 의하므로서, 온수 분배헤드(D2)가 우측 벽체(Wb)의 외측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온수방열관(HP)의 공급관(HPa)과 환수관(HPb)의 연결 배관을 가로방향으로 단위 온수방열관 배치 간격의 1/3 간격의 좁은 간격으로 유도 배관할수 있고, 다른 난방장소의 배관을 위한 공급주관(HPc)과 환수주관(HPd)의 배관 간격도 단위 온수방열관 배치 간격의 1/3 간격의 좁은 간격으로 유도배관할수 있다.
도 12에는 상기한 일 실시예 배관판넬(10)을 사용한 또 다른 일 예의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120)이 도시되어 있다.
이 또 다른 일 예의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120)에서는 전술한 일 예의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100)과 비교하여 온수방열관 배관은 동일하되, 온수 분배헤드(D2)를 우측 벽체(Wb)의 외측에 설치하여야하는 시공장소에서의, 온수방열관 공급관(HPa)과 환수관(HPb)의 가로 연결 배관 구성 및, 다른 난방장소의 배관을 위한 공급주관(HPe)과 환수주관(HPf)의 가로방향 배관 구성을 예시한 구성이다.
이 다른 일 예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120)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 배관판넬(10)의 구성에 의하므로서, 온수 분배헤드(D2)가 우측 벽체(Wb)의 외측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온수방열관의 공급관(HPa)과 환수관(HPb)의 연결 배관을 가로방향으로 단위 온수방열관 배치 간격의 1/3 간격의 좁은 간격으로 유도 배관할수 있고, 다른 난방장소의 배관을 위한 공급주관(HPe)과 환수주관(HPf)의 배관 간격도 단위 온수방열관 배치 간격의 1/3 간격의 좁은 간격으로 가로방향에 걸쳐서 유도배관할수 있다.
도 13에는 상기한 일 실시예 배관판넬(10)을 사용한 다른 일 예의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130)이 도시되어 있다.
이 다른 일 예의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130)에서는 전술한 일 예의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100)과 비교하여 온수방열관(HP) 배관은 동일하되, 온수 분배헤드(D3)를 전방 벽체(Wd)의 외측에 설치하여야하면서 4개의 난방장소의 각각 공급주관과 환수주관들을 연결하여야하는 다관형 분배헤드(D3)를 사용하는 시공구조에서의, 온수 공급관(HPa)과 환수관(HPb)의 세로 연결 배관 구성 및, 다른 난방장소의 배관을 위한 2줄의 세로 공급주관(HPc)과 환수주관(HPd)과 4줄의 가로 공급주관(HPg)(HPh)과 환수주관(HPe)(HPf)의 배관 연결구성을 예시한 구성이다.
이 다른 일 예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130)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 배관판넬(10)의 구성에 의하므로서, 다관형 온수 분배헤드(D3)가 전방 벽체(Wd)의 외측에 설치되는 상태에서, 다른 난방장소로의 세로 공급주관(HPc)과 환수주관(HPd) 및 공급관(HPa)과 환수관(HPb)의 연결 배관을 세로방향으로 배관하면서, 단위 온수방열관 배치 간격의 1/3 간격의 좁은 간격으로 유도 배관할수 있고, 또 다른 난방장소들의 배관을 위한 4줄의 가로 공급주관(HPg)(HPh)과 환수주관(HPe)(HPf)들의 배관 간격도 단위 온수방열관 배치 간격의 1/3 간격의 좁은 간격으로 가로방향에 걸쳐서 유도배관할수 있다.
도 14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배관판넬(10)을 동일하게 원용하여서 가로 세로 중의 어느 일 방향으로 2개를 합쳐 단일체로 구성한 장방형 배관판넬(10a)의 구성을 도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난방면적이 큰 장소에의 판넬 조립시공성을 높여준다.
도 15~ 도 16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배관판넬(10)에 대하여, 단열성과 흡음성을 부여하고자 실시되는 일 실시예 단열부재 일체형 배관판넬(10b)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일 실시예 단열부재 일체형 배관판넬(10b)의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 배관판넬(10)의 구성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밑판(11)의 저면부로부터 일정두께를 가지고 부착되면서 받침부재들의 이면부인 내부 공간까지 충진형으로 인입되는 스치로폼 또는 우레탄폼과 같은 단열성부재(21)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건식 온수온돌 시공에 있어서 상기 일 실시예 단열부재 일체형 배관판넬(10b)의 평면 조립시공작업에 의하면 동시에 배관판넬의 하방에 단열층이 시공되는 구성이므로, 건식 온수온돌 시공에 있어서 별도의 넓은 단열판재를 구매하고 운반함에 따른 번거로움과 경비를 절감하면서, 온돌 시공 작업시간도 대폭 단축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대부분의 단열재는 그 재질 특성상 다소의 완충성이 있는 바, 최근에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다층형 공통주택구조에서의 층간 소음도 현저히 저하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7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배관판넬(10)을 응용하는 다른 태양의 건식 습식 겸용 배관판넬(10c)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건식 습식 겸용 배관판넬(10c)의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 배관판넬(10)의 구성을 동일하게 원용하면서, 추가적으로 사방 각각 6줄의 직선상 배관홈들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밑판(11)에 온수방열관 클립 고정공(15)들을 수 십개 설치한 구성이다.
도 18에는 상술한 건식 습식 겸용 배관판넬(10c)에 대하여 전술한 일 실시예 단열부재 일체형 배관판넬(10b)의 구성을 응용하되, 단열성부재를 돌출형 받침부재들의 윗면에 대입시킨 상형 단열부재(22)를 갖는 단열부재 일체형 건식 습식 겸용 배관판넬(10d)의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일 실시예 건식 습식 겸용 배관판넬(10c)(10d)들에 의하면, 받침부재들을 상방으로하면은 건식 배관판넬로 사용할 수 있고, 뒤집어서 사용하면은 도 19~ 도21와 같이 일 예의 습식 온수온돌 구조로 시공할 수 있다.
도 19~ 도21에 도시한 일 예 습식 온수온돌시공 구조는, 일 실시예 단열부재 일체형 건식 습식 겸용 배관판넬(10d)을 사용하여, 그 받침부재들을 하면으로 위치시켜 뒤집어서 배관하는 구성이다.
건식 습식 겸용 배관판넬(10c)(10d)들을 평면상으로 사방 조립하면은, 뒤집어져 상면으로된 밑판(11)의 이면에 직접 온수방열관(HP)을 지그 재그형으로 배관하되,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소 요소에서 온수방열관(HP)을 클립 고정공(15)에 온수방열관 클립(30)을 끼워서 고정한 후에, 시멘트 몰탈로 일정 두께의 온돌층(40)을 시공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일 예 습식 온수온돌시공 구조에 사용되는 일 실시예 건식 습식 겸용 배관판넬(10c) 또는 일 실시예 단열부재 일체형 건식 습식 겸용 배관판넬(10d)들의 특징은, 별도의 습식 전용 배관판넬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술한 여러 실시예의 건식 배관판넬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서 제조자와 구매자 모두에게 제품 가격상의 이익을 주고, 특히 배관판넬을 받침부재들을 하방으로 위치되게 뒤집어서 사용함으로서, 뒤집어진 받침부재들의 내부가 상부로 개방된 갑체로 형성되어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충진할 수 있음에 있다.
예를 들어, 윗쪽으로 개방된 함체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받침부재의 내면에 대하여, 숯, 황토, 옥돌, 게르마늄, 맥반석, 원적외선 방사 바이오세라믹, 알루미나 실리카질 광물, 마그네시아 광물, 음이온석 또는 기타의 기능성 합성, 천연 물질들과 같은 기능성 물질들을, 한 종류 이상 가루 또는 굵은 입자 또는 바인더와 함께 충진하는 기능성물질 충진부(50)에 의하여, 온돌 바닥이나 실내 환경에 대하여 제습, 탈취, 방취, 항균, 구충, 원적외선 방사 등의 특성을 부여하는 고 기능성 온돌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일 실시예 건식 습식 겸용 배관판넬(10c)이나 일 실시예 단열부재 일체형 건식 습식 겸용 배관판넬(10d)들에 의한 습식 온수온돌시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 온수방열관 클립(30)과 같이 온수방열관(HP)을 끼우는 클립밴드(31)의 하단과 클립 고정봉(33)의 사잉에 일정 높이의 받침봉(32)을 구비하여서, 온수방열관(HP)을 밑판(1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띄어서 지지시키는 온돌구조로 시공하면은, 온수방열관(HP)의 저면까지도 일정 두께로 시멘트 몰탈이 감싸져 고정되므로, 온수방열관의 열 전달율을 높여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고, 온수방열관의 요동을 방지하여 온돌면의 구조적 내구성도 한층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2 ~ 도 23에는 본 발명에 실시되는 단열부재 일체형 배관판넬에 실시되는 단열부재의 다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된 구성은 단열부재(20)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는 띠형이나 원추형의 저면돌기(21a)를 구비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관판넬을 깔을 난방바닥면이 평편하지 못하거나 요철부분이 있을 때, 해당 부분에 접하는 저면돌기(21a)를 부분적으로 손으로 절단하거나 파내어서 배관판넬의 조립면을 평면적으로 평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23 ~ 도 24에는 본 발명의 구성에서 단열부재 일체형 배관판넬의 구성에 대하여 조립성과 단열성 및 조립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실시되는 배관판넬 보조 조립수단들에 대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25 ~ 도 26에 도시된 구성은 단열부재(21)의 측단면에 대하여 서로 이웃하는 2곳의 측단면에는 절반 높이의 돌출띠대(21b)들을 각각 형성시키고, 다른 쪽 서로 이웃하는 2곳의 측단면에는 상기 절반 높이의 돌출띠대(21b)들이 교합되는 띠홈(21c)들을 내측으로 요설한 구성이다.
도 27 ~ 도 28에 도시된 구성은 전술한 돌출띠대(21b)들의 끝단에 상향 돌기띠(21d)들을 형성하고, 띠홈(21c)들에는 상기 상향 돌기띠(21d)들이 교합되는 돌기띠홈(21e)들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구성이다.
도 29 ~ 도 30에 도시된 구성은 단열부재(21)의 측단면에 대하여 서로 이웃하는 2곳의 측단면 중간부에 돌출띠대(21f)들을 각각 형성시키고, 다른 쪽 서로 이웃하는 2곳의 측단면 중간부에는 상기 돌출띠대(21f)들이 교합되는 띠홈(21g)들을 내측으로 요설한 구성이다.
위와 같은 여러 실시예들과 같은 배관판넬 보조 조립수단들의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배관판넬(10)과 측단에 연결 조립수단이 없이 구성하는 것에 바하여, 또는 종래의 같이 판재에 직접 연결 조립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비하여, 단열부재에 측단 간 연결 조립수단을 구비하므로서 제작성이 용이함은 물론,
측단 간 연결상태에서 상하 간 또는 사방 측단 간의 조립간격에 대하여 다소 간의 조립여유를 갖고 신축성있는 간격으로 조립할 수 있고, 조립 띠대들과 띠홈 간에 접착제를 사용하면은 접착강도도 높이고 접착작업성도 증대되며 단열성 및 조립 내구성도 한층 높여서 고품질의 온수온돌 시공구조를 형성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여러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이 상술한 실시예들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건식 온돌시공구조나 습식온돌시공구조 각각에서 온돌면 마감은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 마루판이나 합성수지재 장판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열 유도판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전체 면적에서 온돌장판의 저면에열 확산용 강판을 개재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배관판넬의 사방 규격과 받침부재들의 높이 및 배관홈 자체의 높이와 폭은, 사용하고자하는 온수방열관 또는 기타의 방열관 규격에 따라서 가감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원주형 배관홈의 직경도 배관하고자하는 단위 온수방열관 또는 방열관의 배관 간격에 따라서 임의의 규격으로 가감시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본 발명의 일 실시예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
10a: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장방형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
10b: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단열부재 일체형 배관판넬
10c: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건식 습식 겸용 배관판넬
10d: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단열부재 일체형 건식 습식 겸용 배관판넬
11:밑판 12:돌출형 받침부재
12a:8개의 중앙 원형군 받침부재
12b:4개의 삼각형 코너 받침부재 12c:6개의 변부 반원형 받침부재
12d:2개의 삼각형 코너 받침부재 12e:4개의 귀퉁이 부채꼴형 받침부재
12f:1개의 삼각형 코너 받침부재 15:온수방열관 클립고정공
21:단열부재 일체형 배관판넬(10b)의 단열부재
22:단열부재 일체형 건식 습식 겸용 배관판넬(10d)의 상형 단열부재
21a:단열부재의 저면돌기
21b,21c:단열부재의 일 실시예 돌출띠대와 띠홈
21d,21e:단열부재 다른 실시예 돌출띠대의 상향 돌기띠와 돌기띠홈
21f,21g:단열부재 다른 실시예 돌출띠대와 띠홈
30:온수방열관 클립 31:클립밴드 32:클립 받침봉
33:클립 고정봉 40:시멘트 몰탈 온돌층
50:기능성 물질 충진부
100:일 예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
110:다른 일 예의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
120:또 다른 일 예의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
130:또 다른 일 예의 건식 온수온돌 시공 평면구성
Ba:난방 바닥 D1, D2, D3:분배헤더 HP:온수방열관
HPa, HPc, HPe, HPg: 온수 방열관의 공급관과 공급주관
HPb, HPd, HPf, HPh: 온수 방열관의 환수관과 환수주관
PL:온돌 마루판 RP:열유도판 Lh:가로 직선상 배관홈
Lv:세로 직선상 배관홈 Ls1:중앙부 원주형 배관홈 Ls2:사방변부의 반원호형 배관홈 Ls3:네 귀퉁이의 1/4 원호형 배관홈
Wa, Wb: 좌우측 벽체 Wc, Wd: 전후방 벽체

Claims (6)

  1. 합성수지재를 재질로하여 사출성형이나 프레스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작되는 정방형 판재를 밑판 기재로 하고, 이 밑판의 상면에는 온수 방열관을 수용하는 높이와 폭을 갖는 직선상 배관홈을 가로 세로 양 방향에 걸쳐서 일정 등 간격으로 수 줄 형성시키고, 중앙부와 사방변부와 네 귀퉁이에 각각 원주형 배관홈과 반원호형 배관홈과 1/4 원호형 배관홈들을 온수방열관 배치 간격으로 형성시키는 수 십개 돌출형 받침부재들을 구비하는 사방 연속 조립형 배관판넬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배관판넬의 수 십개의 돌출형 받침부재들의 구성에서 기존의 배관판넬들과 동일 면적을 갖는 규격내에서 단위 온수방열관 배치 간격과 동일 규격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형군 받침부재에 대하여 가로 세로 양방향에 걸쳐서 정(井)자형으로 각각 3등분하여 9조각의 원형군 받침부재로 형성하면서 그 등분된 선상에 가로 세로 각각 2줄씩의 직선상 배관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등분된 9조각의 원형군 받침부재들은 밑판의 저면부로 개방된 갑체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의 하단면에 대하여 9조각의 원형군 받침부재받침부재의 내부 공간부에 충진되는 구성과 그 이하로 일정 두께를 갖는 동일 넓이의 판재로되고, 단열성을 갖는 폴리스티렌(스치로폼)이나 우레탄재질류를 사용하는 발포판재로된 하부 단열판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의 상방에서 방열관 배관홈에 충진되면서 받침부재의 상단으로 일정 두께를 갖고 덮여지는 동일 넓이의 판재로되고, 단열성을 갖는 폴리스티렌(스치로폼)이나 우레탄재질류를 사용하는 발포판재로된 상부 단열판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에는 직선상 배관홈 부분에 대하여 온수방열관 고정클립용 고정공을 사방 바둑판형으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단열판재의 구성에는 사방 조립시에 겹치거나 끼워져서 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의 판넬 조립정밀도와 안정성을 갖는 조립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판넬은 갑체형 받침부재들의 상단면을 저면으로 하고 밑판의 하단면을 상면으로 하여 습식 온돌 시공형으로 사용되면서, 뒤집어진 갑체형 받침부재들의 내부 공간부에 대하여, 숯, 황토, 옥돌, 게르마늄, 맥반석, 원적외선 방사 바이오세라믹, 알루미나 실리카질 광물, 마그네시아 광물, 음이온석 또는 기타의 기능성 합성, 천연 물질들과 같은 기능성 물질들을, 한 종류 이상 가루 또는 굵은 입자 또는 바인더와 함께 충진하는 기능성물질 충진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KR1020100040461A 2010-04-30 2010-04-30 온돌용 다 목적 배관판넬 KR101188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461A KR101188201B1 (ko) 2010-04-30 2010-04-30 온돌용 다 목적 배관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461A KR101188201B1 (ko) 2010-04-30 2010-04-30 온돌용 다 목적 배관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052A true KR20110121052A (ko) 2011-11-07
KR101188201B1 KR101188201B1 (ko) 2012-10-09

Family

ID=45391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461A KR101188201B1 (ko) 2010-04-30 2010-04-30 온돌용 다 목적 배관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2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508A (ko) * 2015-02-26 2016-09-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난방 배관용 흡음판
KR102394903B1 (ko) * 2021-10-22 2022-05-09 하나로산업 주식회사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
CN116433533A (zh) * 2023-06-09 2023-07-14 青岛宇通管业有限公司 一种水暖管道维护检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69B1 (ko) * 2016-02-24 2016-11-04 이영준 난방용 분배기 모듈
KR102474422B1 (ko) 2022-04-01 2022-12-06 (주) 한진테크 방열관의 이탈을 막아주는 건식 복합 난방 시스템용 방열관 고정부재
KR102474421B1 (ko) 2022-04-01 2022-12-06 (주) 한진테크 난방 효율이 우수하고 조립이 간편한 건식 복합 난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607Y1 (ko) 1999-04-09 2002-12-18 이용일 난방관의 배관용 단열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508A (ko) * 2015-02-26 2016-09-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난방 배관용 흡음판
KR102394903B1 (ko) * 2021-10-22 2022-05-09 하나로산업 주식회사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
CN116433533A (zh) * 2023-06-09 2023-07-14 青岛宇通管业有限公司 一种水暖管道维护检测方法
CN116433533B (zh) * 2023-06-09 2023-08-11 青岛宇通管业有限公司 一种水暖管道维护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201B1 (ko) 201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201B1 (ko) 온돌용 다 목적 배관판넬
US20120017525A1 (en) Interlocking Building Panel
KR20160064927A (ko) 조립식 열원 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습건식 바닥 냉난방 시스템
KR101251985B1 (ko) 온수 온돌 패널 시스템
KR101284739B1 (ko) 온수장판
KR20070091893A (ko) 다 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KR101177696B1 (ko) 무배관 온돌구조를 가진 층간 차음패널 및 그 조립체
KR20080048901A (ko)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구조
KR200426597Y1 (ko) 다 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WO2016032371A1 (ru) Модуль нижнего слоя пустотного пола
CN201310734Y (zh) 活性炭板材
KR100710025B1 (ko) 중공형 층간차음 온돌블록
KR20160063667A (ko) 장수명 주택에 적합한 이중 바닥 구조의 건식 온돌 시스템
KR101318200B1 (ko) 황토 방바닥의 난방장치
KR20100084821A (ko) 온수파이프 시공용 조립식 구들
KR100847798B1 (ko) 난방용 패널의 시공방법
CN217232905U (zh) 一种可移的ktv娱乐集装箱
JP2005241101A (ja) 床暖房パネル及びこれに用いる保温ブロック
KR200391245Y1 (ko)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CN212613532U (zh) 一种装配式室内地面铺设安装结构
KR100835233B1 (ko) 바닥 시스템
JPH04293839A (ja) 天井パネル
KR20060114427A (ko)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JP5676934B2 (ja) 床暖房用温水マット
KR101170414B1 (ko) 개량형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열 전달매체용 분배 공급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온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