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245Y1 -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 Google Patents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245Y1
KR200391245Y1 KR20-2005-0012135U KR20050012135U KR200391245Y1 KR 200391245 Y1 KR200391245 Y1 KR 200391245Y1 KR 20050012135 U KR20050012135 U KR 20050012135U KR 200391245 Y1 KR200391245 Y1 KR 2003912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soundproofing
hot water
double
fl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봉섭
이석주
Original Assignee
가봉섭
이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봉섭, 이석주 filed Critical 가봉섭
Priority to KR20-2005-0012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2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2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파이프가 매입되는 콘크리트 몰탈에 의한 건축물의 바닥재 구조에 있어서, 바닥재를 이루는 상부 및 하부바닥몰탈층 사이에, 내부가 빈 중공(中空)부 상태를 이루며 산과 골로 상하 교호되며 이루어지는 엠보싱부가 무수히 배열되고, 측면부로 요홈 및 돌부를 갖는 단위재로 되며 상호 조립되는 온열방음재 상면을 따라 배관되는 온수파이프로 구성되는 것과,
상기 온열방음재의 저면부는 평활면을 갖는 것과,
상기 온열방음재의 중공부에 옥, 숯, 게르마늄, 맥반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하나 또는 그 이상 배합되며 충진되는 것과,
상기 온열방음재 상면 엠보싱부의 산을 이루는 소정 위치에 유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기 위한 마개가 구비되는 것과,
상기 온열방음재와 하부바닥몰탈층 사이에 은막박피판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온열 및 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를 제공하여,
아파트나 빌라 등의 집합건물의 층간 발생되는 충격음이나 생활소음 등을 상기 온열방음재에서 이중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온수파이프의 배관 간격을 넓게 형성하더라도 난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와, 인체에 유해한 수맥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Plate structure of heating and double soundproof effect}
본 고안은 다양한 건축물의 바닥재에 적용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방음 및 온열 효과를 겸비할 수 있도록 표면이 엠보싱 처리됨과 동시에 내부도 동일한 엠보싱처리하여 수지로 경화되는 바닥재를 사출성형하되 그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하고, 그 바닥재 표면 즉 엠보싱 처리되는 표면층으로 난방용 배관이 배열, 배치되도록 하여 난방시 바닥재내 공기를 은은하게 데워줌과 동시에 공기의 대류가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바닥의 온열 상태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엠보싱 처리되는 형상에 의해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 등이 아래층이나 건물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은 토지이용의 효율성 증대, 주택의 대량공급 용이성과 정책적 요인 및 사용증대적 요인 등 다양한 요구에 의해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으며, 총주택에서 연립주택이나 다세대주택 및 아파트 등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점유율이 전체 건축의 50 %를 넘어서게 되어, 공동주택건물내에서의 생활이 보편적으로 확산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따라서, 공동주택의 상하층간 생활소음의 발생은 필연적이며, 이에 대한 관심 또한 점차 높아짐에 따라 최근 각 공동주택에서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바닥콘크리트 슬라브의 두께를 비교적 두껍게 형성하거나 한국 실용신안공고 제89-7797호와 같이 고중합 염화비닐수지에 고비중 충전재를 배합하여 분가간 밀도를 조밀하게 한 단음층(斷音層)을 바닥장식재 중간 또는 하부에 형성하는 등 상층에서 전달되는 바닥충격음 및 이로인한 소음 등을 차단하는 방법 등이 개시되고 있고,
주택시공에 있어서, 종래 바닥방음재는 매트(mat) 타입이거나 시트(seat) 타입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시 틈새가 벌어지게 되어 시공상 약간의 부주의만 있어도 기밀시공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시공현장에서 즉시 타설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제품가격에 있어서도 상당한 고가이어서 전체적인 건축비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되어 왔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고 제 96-001738 호인 건축물의 바닥단열 방음장치의 경우, 슬리브 표면에 골판지로 된 격리하판과 격리상판을 상하로 적층시켜 요입홈부가 상하로 배치되도록 하고, 그 사이에 통기성 격판을 개입시켜 격리상판과 하판을 보울트와 너트 등으로 체결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경우, 각각 격리상하판을 고정수단 등을 이용하여 작업하여야 하므로, 그 체결작업에 있어서 상당한 작업시간을 요하게 되고 통기성 격판이 그 사이에 개입되어 격리상판과 격리하판간 공기의 대류가 원할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국부적인 온열 효과만 기대할 수 있을 뿐, 전체 대류 현상에 의한 온열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달리, 폐타이어 등을 침상형 또는 과립형으로 분쇄한 분쇄물을 주소재로 하여 이에 바인더 등을 혼합, 건물 바닥의 슬라브 위에 직접 시공한 후 방수비닐을 매개로 하여 기포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써, 상기 방음(방진)재의 작용에 의해 슬라브에 가해지는 소음과 충격 등을 저감시키는 시공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기술의 경우 슬라브위에 폐타이어 분쇄물과 경화제 또는 중합체 등의 바인더를 혼합하여 현장에서 직접 타설을 하여 밀실 시공하게 되는 장점이 있으나, 경화후 상면에 방수비닐을 깔 때 바람에 비닐이 날리거나 찢어지는 등 완전 방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295991 호인 "공기 대류층을 갖는 바닥 구조 및 이 바닥구조에 사용되는 패널"은 온수파이프 및 열선을 갖는 가열층 위에 가열된 공기가 금속판의 요철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대류통로를 따라 대류함으로써 바닥이 균일하게 가열 될 수 있도록 그 위에 황토가 도포된 형합판재, 열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숯가루 도포판, 그리고 바닥의 견고성과 원적외선을 증가시키는 옥분말 도포판, 각종 나무가루를 도포한 장판이 하나 이상 적층되는 구조를 갖으며 개시되고 있다.
상기 특허의 경우 시멘트 몰탈에 의한 가열층 내부로 온수파이프가 배열되며 타설 및 양생된 후, 상기 가열층 상부에 요철부를 갖는 수맥파 차단을 위한 금속판이 얹혀지고, 그 상부에 다시 하면에 요입부가 형성되는 형합판재를 얹어 시공하게 되는 구성을 제공하게 되는데, 그 구성이 복잡하고 시공절차 또한 번잡하여 공기(工期)의 지연을 초래하게 되고, 아울러 금속판 요철부를 통한 공기의 유동로가 상호 직교되는 형상을 이루어 대류현상이 원할하게 진행되지 않아 공기층을 이용한 온열효과는 국부적으로 발생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겨울철과 같은 경우 장시간 아파트 등 건축물의 사용자가 비워둘 경우 온수파이프의 동파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와같은 경우나 또는 종래의 각종 시공기술의 경우 대부분 콘크리트 몰탈층 내부에 상기 온수파이프가 내재되어 보수공사시에는 콘크리트 몰탈층을 제거한 후 온수파이프의 보수 및 교체 작업등을 수행할 수 밖에 없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그러나, 이와같은 작업시 동파되지 않은 위치의 온수파이프가 콘크리트 몰탈 제거 과정에서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필요이상의 유지보수작업 및 비용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충분한 온열효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온수파이프가 매설된 콘크리트 몰탈층 전체가 온열되어야 하므로, 상기 온수파이프의 배열을 비교적 촘촘히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출원 제 2002-62643 호인 "공기층을 이용한 방음 및 단열 바닥구조체와 그 제조방법"의 경우 파형 형상의 물결모양을 갖는 단열재를 이용하여 그 단열재 상부면에 배관을 형성하고, 밴드 등으로 고정한 후 상기 단열재와 인접하는 또다른 단열재를 밀착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원판의 몸체와 소정개수의 돌출부와, 상기 각각의 돌출부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어 상기 4개의 단열재를 밀착 고정시키는 소정길이의 핀으로 구성되는 고정구를 이용하여 각각 고정시키는 구성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같은 기술의 경우, 작업과정에서 밴드 및 고정구 등을 이용하여 단열재 및 배관 등을 고정하게 되므로, 작업기간이 지연되는 문제는 물론 이와같은 밴드 및 고정구 등의 부수적 구성을 요하게 되어 설치 시공가가 증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고안은 건축물 실내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나 생활소음 등을 엠보싱 처리되는 온열방음재에 의해 이중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생활 공간을 연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건축물의 각 층간을 구획하는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되는 바닥재의 상면에 엠보싱처리되되 내부가 공기나 물, 하나 또는 두가지 이상 혼합되는 원적외선 방사 물질 등으로 충진되도록 하는 온열방음재의 상면측으로 온수파이프가 배관 설치되도록 한 후, 콘크리트로 타설, 양생하여서 되는 일련의 공정에 의해 작업이 마무리 되도록 하고, 상기 온열방음재간 결합과정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바닥재의 시공공기를 대폭 단축시키도록 함은 물론, 이에 따른 시공가의 현저한 절감효과를 이루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세째, 본 고안은 상기 온열방음재의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상기 온수파이프의 열교환에 의한 공기층의 대류현상이 원할히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온열방음재 상면으로 배관되는 온수파이프의 이격거리를 최대한 확보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 시공이 간편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네째, 본 고안은 온열방음재의 내부에 원적외선 방사 물질인 옥분말, 숯분말, 게르마늄 분말, 맥반석 분말 중 하나 또는 복수로 배합하여 충진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몰탈로 되는 바닥재에서 방출되는 각종 유해물질 등이 분해 되도록 하여 쾌적한 실내공간을 이루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다섯째, 본 고안은 온열방음재의 상측 또는 하측면에 은막박피판을 개재하여 수맥파를 차단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바닥재에 형성되는 온열방음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온열방음재(100)는 내부가 중공(中空)부(120) 상태를 이루며 산과 골로 상하 교호되며 이루어지는 엠보싱부(110)가 무수히 배열되고, 측면부로 요홈(130) 및 돌부(140)를 갖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열방음재(100)의 저면부는 평활면(15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온열방음재(100)의 중공부(120)에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하나 또는 그 이상 배합되며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채택된 방사물질 등이 상기 온열방음재(100) 내부로 충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일측으로 유입공(111)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공(111)을 개폐하기 위한 마개(11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면의 표면 및 내측으로 상호 교호되며 형성되는 엠보싱부(110)를 갖는 온열방음재(100)를 이용하여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집합건축물 등의 바닥구조를 달리하여, 생활 소음을 이중차단함으로써 각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설치되는 배관을 촘촘히 배열하지 않더라도 온열효과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으며, 수맥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온열방음재(100)는 도면에서 보듯이, 마치 계란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엠부싱부(110)를 상면측에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엠보싱부(110)는 단면에서 보듯이 산과 골로 이루어지며 교호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같은 엠보싱부(110) 골의 저면부는 온열방음재(100) 내측저면에 무수한 점접촉에 의해 당접되도록 함으로써, 상부바닥몰탈층(310)이 타설 및 양생되더라도 그 하중이 설치되는 전체 온열방음재(100)에 고르게 분포 확산되어 견딜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온열방음재(100)는 일정 면적을 갖는 단위편재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작업현장에서 작업자가 단위편재로 되는 온열방음재(100)를 이용하여 상호 조립, 설치 시공가능하도록 하는데, 이와같은 조립 및 설치의 시공 용이성을 위해 온열방음재(100) 측면부로 요홈(130) 및 돌부(140)를 형성하게 된다.
예컨데 상기 요홈(130)이 상기 온열방음재(100)의 일측에 형성되면, 타측면으로는 상기 요홈(130)과 대응되는 돌부(140)를 형성하게 되는데,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이러한 요홈(130) 및 돌부(140)가 사면의 측면부에 걸쳐 대응되며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온열방음재(100)의 저면부는 평활면(150)으로 되도록 하여, 바닥재(300)의 하부바닥몰탈층(320)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온열방음재(100)의 경우 그 표면부가 엠보싱부(110)를 갖게 되는바, 충격음이나 생활소음 등이 상기 콘크리트 등으로 되는 상부바닥몰탈층(310)으로 전달되었을 때 그 음파 및 진동파 등이 상기 엠보싱부(110)의 산과 골에서 난반사되며 상호 상쇄되는 과정을 거쳐 외부로의 소음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온열방음재(100) 내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가 충진되거나 물이 충진되거나, 숯ㆍ옥ㆍ게르마늄ㆍ맥반석 등의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분말화 되어 충진되도록 하여,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되는 각종 소음 등이 상술한 바와 같이 엠보싱부(110)에서 1차 난반사되며 상쇄되는 과정과, 상기 온열방음재(100) 내붕 충진되는 내용물에 의해 2차 방음되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은 온열방음재(100)를 이용하여 상호 조립, 시공하기 위해서는 첨부한 도면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편재로 되는 온열방음재(100)를 바닥재(300)인 하부바닥몰탈층(320)의 적정부위에 위치시킨 후 타 온열방음재(100)를 상방에서부터 각각 대응되는 요홈(130) 및 돌부(140)를 이용하여 삽입,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는 구성을 제공하므로, 그 설치 및 시공, 조립 과정이 용이하며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손쉽게 작업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열방음재(100) 내부는 비워져 있는 중공부(120)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중공부(120)내로 사출성형시 공기 등이 충진되도록 하여, 후술하게 되는 온수파이프(400)로부터 전달되는 온열이 상기 중공부(120)내 충진되는 공기의 대류에 의해 전체 온열방음재(100)를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같은 온열의 고른 확산 분포를 위해, 서술한 바와 같이 골과 산으로 이루어지는 엠보싱부(110)에 의한 온열방음재(100) 내부가 상호 연관되어지도록 구성하게 되므로, 온수파이프(400)의 온열 전달과정에서 한쪽에 국부적인 온열 집중 등의 현상 없이 바닥 전체에 걸쳐 고르게 온열이 분포 확산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온열의 고른 분포확산 및 콘크리트 몰탈층으로 되는 바닥재(300)에 포함되는 각종 유해물질 등의 분해 등을 위해, 중공부(120)로 되는 온열방음재(100) 내부에 원적외선 방사 물질 등을 충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원적외선 방사물질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옥, 숯, 게르마늄 또는 맥반석 등을 적정한 일정 입도로 분말화하여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혼합하여 상기 중공부(120)내에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상기한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상기 온열방음재(100) 내부에 충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사출 성형시 온열방음재(100) 상면 산으로 형성되는 엠보싱부(110)의 적정 위치에 유입공(111)을 천공하고 상기 유입공(111)을 개폐하기 위한 마개(112)를 제공한다.
따라서, 온열방음재(100)의 성형 사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열방음재(100)의 중공부(120)내로 공기가 그대로 충진된 상태를 유지하며 시공하거나 또는,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하나 또는 둘이상 배합하여 충진하여 설치, 시공 가능하게 된다.
이와 달리, 온열방음재(100) 중공부(120) 내부에 물을 충진하여 시공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공기나 물 또는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상기 온열방음재(100) 내부에 충진하게 되면, 온수파이프(400)를 통해 유동되는 온수의 열에 의해 온열방음재(100)내 공기, 물 또는 원적외선 방사 물질과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온열방음재(100) 전체에 걸쳐 온열의 전달이 고르게 분포 확산된다.
즉,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온열방음재(100) 내부는 엠보싱부(110)에 의한 골 최하단부만이 점접촉되어 상부바닥몰탈층(310)의 하중을 분포시키되 공기나 물 등이 원할하게 대류할 수 있는 통로를 전후 좌우에 걸쳐 충분히 확보하게 되므로, 온수파이프(400)와 접하는 엠보싱부(110)의 인접 공기 등이 열교환된 상태에서 단위편재로 되는 온열방음재(100) 내부를 원할하게 대류하게 되어 상기 온열방음재(100) 내부에서의 고른 열확산 분포를 이루게 되어, 상기 온열방음재(100) 상면과 접하는 상부바닥몰탈층(310)과 균일한 열교환에 의한 난방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온수파이프(400) 설치 간격보다 더욱 이격시켜 설치하더라도 동일한 난방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엠보싱부(110)와 온열방음재(100) 내부의 중공부(120)에 충진되는 공기, 물, 원적외선 방사 물질 등에 의해 소음이 효과적으로 차단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온열방음재(100) 저면과 하부바닥몰탈층(320) 사이에 접착하여 수맥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온열방음재(100)를 이용하여 바닥재(300)를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아파트나 빌라 등 집합건물과 같은 건축물 각 층을 이루는 바닥을 시공하기 위해, 통상 선공정으로 하부바닥몰탈층(320)을 콘크리트 등을 타설, 양생하여 경화된 다음, 그 하부바닥몰탈층(320) 상면으로 얇은 박피판으로 되는 은막박피판(200)를 상기 하부바닥몰탈층(320) 전체에 걸쳐 접착되도록 한다.
그런다음, 내부 중공부(120)가 공기로 충진되거나 또는 물로 충진되거나, 옥, 숯, 게르마늄, 맥반석 등의 광물질이 적정 입도를 갖으며 분말화된 상태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적정 비율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충진 되는 단위로 되는 온열방음재(100)를 상기 하부바닥몰탈층(320) 상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각각의 온열방음재(100)를 결합하게 된다.
상기한 물이나 원적외선 방사 물질 등을 상기 온열방음재(100)내 중공부(120)에 충진하기 위해서 도 7에서 보는바와 같이 온열방음재(100)의 엠보싱부(110) 적정 위치에 천공된 유입공(111)측을 통하여 주입, 충진 한 후 마개(112)를 이용하여 밀봉처리한다.
한편 상기 온열방음재(100)는 정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바,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온열방음재(100) 네측면에 상호 대응되는 요홈(130)과 돌부(140)를 형성하도록 하여, 도 1 및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방에서 하방측으로 마치 퍼즐을 맞추는 것과 같이 각각 단위편재로 되는 온열방음재(100)를 조립, 시공한다.
이와같이 바닥 전체에 걸쳐 조립된 온열방음재(100) 상면측 엠보싱부(110)의 골측을 따라 온수파이프(400)를 배관 설치하게 되는바,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온수파이프(400)를 배관 설치 시공하게 된다.
그런다음, 배관된 온수파이프(400) 상면으로 상부바닥몰탈층(310)을 타설, 양생하여 완성된 바닥재(30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상부바닥몰탈층(310)을 타설, 양생하더라도 그 하중은 엠보싱부(110)를 이루는 골의 저면이 온열방음재(100)의 저면측에 형성되는 무수한 점접촉면에 의해 고르게 분포 확산되므로, 상부바닥몰탈층(310)의 하중에 따른 온열방음재(100)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온열방음재(100)의 엠보싱부(110)는 마치 달걀판과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어, 실내에서 발생되는 각종 생활소음이나 충격음등이 상기 엠보싱부(110)에서 난반사에 의해 상쇄되어 그 발생 소음이 아래층 등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아울러 온열방음재(100) 내부에 충진되는 공기나 물, 원적외선 방사 물질 등에 의해 소음의 전달을 이중 차단하게 되므로 방음처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숙련된 기술을 요하지 않더라도 대량 생산 가능한 본 고안의 온열방음재(100)를 이용하여 신속 용이한 바닥재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와같은 본 고안의 구성의 실시는 건축물의 바닥재에만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예컨데 건축물의 벽면체에도 온수파이프의 설치시공을 제외한 동일한 구성에 의해 설치 시공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사상을 갖는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본 고안의 권리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바닥재를 이루는 콘크리트 몰탈층을 상하로 구분하고, 그 사이에 엠보싱부를 갖으며 수지류를 이용한 성형사출에 의해 규격화 되어 대량 생산 가능하게 되는 온열방음재를 상호 결합하여 시공하게 되므로, 그 작업과정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이에 따른 작업공기의 단축 및 시공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온열방음재 상면으로 형성되는 엠보싱부에 의해 실내에서 발생되는 충격음 등의 생활소음파가 난반사되며 상쇄되는 과정과, 온열방음재 내부의 각종 충진물에 의한 2차 소음차단에 의해 아래층이나 실외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온수파이프 하단으로 공기나 물,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충진되는 온열방음재를 시공하게 되고, 상기 온수파이프 상면으로 상부바닥몰탈층을 형성하게 되는바, 상기 온수파이프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하로 각각 열전달하게 되고, 온열방음재내에서 열축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비교적 적은 열량이 제공되더라도 온열방음재내 축열된 열을 이용한 난방을 이룰 수 있게 되어 이로인한 난방 효율의 극대화와, 난방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온열방음재 내부에 충진되는 원적외선 방사 물질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양생되는 상하부바닥몰탈층으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분해하게 되므로, 인체 유해 물질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제어하여 쾌적한 실내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온열방음재 하단에 수맥파를 차단하기 위한 은막박피판을 구성하게 되어, 수맥파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신체내 부정적 작용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a,b는 본 고안에 채택되는 온열방음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b는 도 1의 온열방음재의 "A-A"선 및 "B-B"선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본 고안에 채택되는 온열방음재를 이용한 상호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서 되는 바닥재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의한 바닥재가 설치시공된 상태에서, 상부바닥몰탈층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a,b는 본 고안의 온열방음재를 이용하여 설치 시공된 바닥재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6a는 도 1a의 "A-A"선을 따라 시공된 상태의 바닥재를 단면처리하여 얻은 것으로 온열방음재 내부에 공기나 물 등의 유동로가 확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B-B"선을 따라 시공된 상태의 바닥재를 단면처리하여 얻은 단면도로, 엠보싱부의 골 하단이 온열방음재의 하단 저면에 점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채택되는 온열방음재의 다른 실시예로 물이나, 원적외선 방사 물질 등을 충진하기 위해, 엠보싱부의 산을 이루는 적정 부위에 유입공을 천공하고,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기 위한 마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온열방음재 110; 엠보싱부
111; 유입공 112; 마개
120; 중공부 130; 요홈
140; 돌부 150; 평활면
200; 은막박피판 300; 바닥재
310; 상부바닥몰탈층 320; 하부바닥몰탈층
400; 온수파이프

Claims (5)

  1. 온수파이프(400)가 매입되는 콘크리트 몰탈에 의한 건축물의 바닥재 구조에 있어서,
    바닥재(300)를 이루는 상부 및 하부바닥몰탈층(310,320) 사이에, 내부가 빈 중공(中空)부(120) 상태를 이루며 산과 골로 상하 교호되며 이루어지는 엠보싱부(110)가 무수히 배열되고, 측면부로 요홈(130) 및 돌부(140)를 갖는 단위재로 되며 상호 조립되는 온열방음재(100) 상면을 따라 배관되는 온수파이프(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방음재(100)의 저면부는 평활면(150)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방음재(100)의 중공부(120)에 옥, 숯, 게르마늄, 맥반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하나 또는 그 이상 배합되며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방음재(100) 상면 엠보싱부(110)의 산을 이루는 소정 위치에 유입공(111)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공(111)을 개폐하기 위한 마개(112)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방음재(100)와 하부바닥몰탈층(320) 사이에 은막박피판(200)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KR20-2005-0012135U 2005-04-29 2005-04-29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KR200391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135U KR200391245Y1 (ko) 2005-04-29 2005-04-29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135U KR200391245Y1 (ko) 2005-04-29 2005-04-29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363A Division KR100706172B1 (ko) 2005-04-29 2005-04-29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245Y1 true KR200391245Y1 (ko) 2005-08-02

Family

ID=4369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135U KR200391245Y1 (ko) 2005-04-29 2005-04-29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2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271B1 (ko) * 2021-12-17 2022-11-16 김승남 조립식 난방용 바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271B1 (ko) * 2021-12-17 2022-11-16 김승남 조립식 난방용 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414B1 (ko) 폐기물 소재를 재활용하여 사용하므로 경제성 및 차음효과를 높인 층간소음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67659Y1 (ko) 건물의 층간소음 차단을 위한 바닥구조
KR101081867B1 (ko) 방화문
KR100908920B1 (ko)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구조
KR200391245Y1 (ko)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KR20120022084A (ko) 불연 패널 방화문
KR20060114427A (ko)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CN115427645A (zh) 利用骨架板体的多用途砖
KR101764160B1 (ko) 조립식 온돌패널
KR101177696B1 (ko) 무배관 온돌구조를 가진 층간 차음패널 및 그 조립체
KR20150141460A (ko) 샌드흡음재를 이용한 층간소음 흡음 바닥재
KR100374742B1 (ko) 건물 내벽 및 바닥 시공방법
KR101444639B1 (ko) 조립식 난방용 패널
KR100647476B1 (ko)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및 그 제조방법
KR101430986B1 (ko) 건축물의 온돌용 및 소음저감용으로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황토판재
KR102370882B1 (ko) 친환경 구들장식 난방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2167620B1 (ko) 양방향 호환이 가능하고 단열기능을 갖는 축열 난방용 단열 패널 구조체 및 건식 난방 시공방법
KR20090006092U (ko) 조립식 난방용 패널
KR200394430Y1 (ko) 난방용 조립식 패널어셈블리
KR102151232B1 (ko) 조립식 황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바닥시공 방법
KR101069129B1 (ko) 허니컴판넬과 난방판넬이 결합된 방음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101884515B1 (ko) 기능성 패널형 바닥재 및 그 패널형 바닥재를 이용한 건식 난방 시공 방법
KR100751721B1 (ko) 황토 방바닥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514973B1 (ko)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
KR100631093B1 (ko)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