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973B1 -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973B1
KR101514973B1 KR1020140025953A KR20140025953A KR101514973B1 KR 101514973 B1 KR101514973 B1 KR 101514973B1 KR 1020140025953 A KR1020140025953 A KR 1020140025953A KR 20140025953 A KR20140025953 A KR 20140025953A KR 101514973 B1 KR101514973 B1 KR 101514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reduction
floor
noise
resilient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자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전영자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자, 이상철 filed Critical 전영자
Priority to KR1020140025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온열배관공사를 수월하게 하면서 층간소음 저감 효과도 도모하기 위한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슬라브 상부면에 타 소음저감재류와 함께 설치되어 사용되도록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층간소음 저감재는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4각형 모양의 박스형으로 하나의 단위 소음저감재가 제공되되 소음저감재의 바닥면은 밀폐되어 상하 소음이동을 차단하는 구조를 이루고 소음저감재의 4개 측벽부는 3~6㎝ 높이를 갖고 측벽부 사이로는 보강격벽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소음저감재 바닥면 상부로 온열배관이 수용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온열배관이 배열되는 부위의 측벽부나 보강격벽은 U자형 오목홈이 형성되거나 ○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구조로 단위 소음저감재가 제공되고, 타 소음저감재류가 설치된 후 다수개의 단위 소음저감재 바닥면이 타 소음저감재 설치물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상호 측벽부끼리 연결/결합되고 측벽부나 보강격벽의 U자형 오목홈이나 ○ 형상의 구멍에 온열배관이 연결된 후 형성된 오목부에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황토가 함유된 기능성분층이나 또는 마감몰탈층이 충진재로 포설되어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소음저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 {Plastic or FRP panel using for heating and soundproof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온열배관공사를 수월하게 하면서 층간소음 저감 효과도 도모하기 위한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슬라브 상부면에 타 소음저감재류와 함께 설치되어 사용되도록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좌식생활을 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쾌적한 환경을 위해 실내공기의 온도도 중요하지만, 신체적 접촉이 요구되는 바닥 표면의 온도를 중요시함에 따라 실내의 바닥을 온돌방식으로 적용하고 있다.
주거생활에 있어서 또 하나의 현실문제로서 최근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으로 많은 민원이 발생하고 소송문제로 비화하고 있는 현실인바, 일반 건축물의 충격음은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으로 구분하여, "경량충격음"이란 작은 물건이 바닥에 떨어지거나 가구 이동시 바닥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아래 층에 전달되는 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중/고 주파수 대역이 다소 높으며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소음도가 비슷한 특성을 갖으며, 공동주택 건물인 경우 45dB이하로 규정하고 있으며, "중량충격음"이란 어린이 등이 뛰거나 달릴 경우, 성인이 걸을 때 발생되는 소리 등을 의미하고 저주파 대역에서 매우 높고 고주파 대역으로 갈수록 소음도가 낮아지는 특성을 갖으며, 공동주택 건물의 경우 40 dB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규정만 제시되어 있을 뿐 아직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거나 만족할 만한 층간소음 저감구조를 찾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건축물의 바닥면 시공구조의 일 적용예의 기술을 도 1을 통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도 1은 종래기술에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서 적용되는 바닥 슬라브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건물의 위층과 아래층을 구획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콘크리트 슬라브층(1)과, 단열을 위해 콘크리트 슬라브층(1) 위에 타설되어 단열재 역할을 하기 위한 경량 발포 콘크리트층(2)과, 경량 발포 콘크리트층(2) 상부로 설치되는 소음저감재층(3)과 실내난방용 난방배관(4)이 매설되는 콘크리트몰탈층(5)과, 마감 몰탈층(5)위에 설치되는 바닥 마감재(6)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면 시공이 적용되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구성의 콘크리트 슬라브 구조는 바닥 마감재(6)와의 충돌로 발생되는 바닥 충격음 중 특히 경량충격음은 바닥 마감재(6)와 단열재(발포성 연질의 재료 등을 말함) 등에 의해 저감되어 아래층으로 전달되더라도 법적 규정치 내의 소음만이 전달되도록 시공하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하나, 바닥마감재(6)와 충돌로 발생되는 바닥 충격음, 특히 중량 충격음은 아래층의 천정면에 진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2차소음(secondary noise)과, 벽체의 떨림(진동을 말함)으로 인한 상층 충격음이 아래층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생활공간을 침해하는 문제로 다양한 민원을 야기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민원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층의 천정면 또는 벽체에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한 충격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층의 두께를 증대시키게 되면 건축물의 전체적인 높이가 증가되고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 외에 건축물의 하중이 증가하여 건축물의 안전관리 문제가 새롭게 대두 된다.
또한 다른 문제이긴 하나 다중 건축물 시공시에 대량으로 이용되고 있는 시멘트 성분에서 6가 크롬이 기준치 이상 섞여 있어 각종 피부질환을 야기한다는 사실이 매스컴에 보도된바 있으나, 시멘트 성분 이상으로 건축물에 강도를 보장해 주는 대안 물질을 찾을 수 없어 여전히 시멘트가 계속 사용되고 있는 오늘의 현실이며, 또한 최근 매스컴(2013년 12월 '집이 문제다' KBS 추적60분 프르그램) 방송내용에서는 폐암 발생을 야기하는 방사능물질인 라돈(Rn)이 지면과 접하고 있는 일반 단독 주택 뿐 아니라 고층 아파트 17층에서도 높은 농도로 검출되는 사례가 발표되어 충격을 주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건축물의 바닥면에서 난방배관을 쉽게 적용하기 위한 선행기술들을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 제1998-5240호의 "황토 보일러 바닥재"에 개시된 기술은 황토를 압축 건조시켜 상부블럭과 하부블럭으로 구성되는 바닥재를 형성하되, 바닥재의 상 하부를 상호 엇갈리도록 형성시켜 상부블럭의 하면과 하부블럭의 상면이 각각 형합면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부블럭의 상면에는 온수관을 삽입하기 위한 안착홈 및 안착홈을 덮어주기 위한 덮개를 구성하며, 각각의 형합면에는 바닥재 시공 시 이웃하는 상부블럭과 하부블럭이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을 갖도록하고 또한 상부블럭과 하부블럭 결합시에는 하부블럭의 결합홈에 진흙풀을 도포하여 하부블럭의 결합홈과 상부블럭의 결합홈이 진흙풀에 의해 강하게 결합되도록하는 기술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황토바닥재는 상부블럭과 하부블럭이 상호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인해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진흙풀 등 별도의 부재나 재료가 필요하게 됨으로써 시공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비틀림이나 편심 하중에 대해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원은 건축물의 슬라브 상부면에 타 소음저감재류와 함께 설치되어 사용되도록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를 만들어 사용하므로 층간소음 저감효과와 동시에 건축물의 바닥면에서 난방배관을 쉽게 적용하기 위한 시공수단을 찾고자 하는 발명이다.
본원은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4각형 모양의 박스형으로 하나의 단위 소음저감재를 이루고 소음저감재에 온열배관이 수용되는 구조를 형성하고 다수개의 단위 소음저감재가 시설물의 바닥면에 온열배관을 형성하는 구조로 배열시키고 오목공간에 충진재를 포설하는 단순 작업에 의해 층간소음 저감효과와 동시에 온수배관을 쉽게 시공하여 공사자재 비용절감 및 공기단축으로 인한 인건비 절감을 도모하는 건축물 바닥면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원은 건축물의 슬라브의 상부면에 타 소음저감재류와 함께 설치되어 사용되도록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를 이용하여 온수배관을 쉽고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본원의 소음저감재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poly ethylene)이나 폴리플로필렌(poly prophylene) 등의 범용성 수지가 사용되거나 또는 높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 등을 나타내는 FRP 재질이 이용될 수 있는바, FRP란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의 약자로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이며, 유리섬유와 플라스틱을 혼합한 물질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은 가볍고, 녹슬지 않는 특성을 갖고 건축자재, 보트의 몸체, 가정용 욕조, 항공기 부품 등 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제품에 활용되고 있는바, 본원에서는 현재 건축물의 층간소음 기준을 맞추기 위해 슬라브의 두께를 늘리고 있는 형편에서 건물의 하중문제에 전전긍긍하고 있는 문제점의 해소수단으로서 가볍고 내구성 내마모성을 갖는 합성수지나 FRP재질로 상,하부간의 소음전달 차단구조를 이룸과 동시에 시설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온수배관을 쉽고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한 수단에 이용할 수 있다.
본원은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4각형 모양의 박스형으로 하나의 단위 소음저감재가 제공되되, 소음저감재의 바닥면은 밀폐되어 상하 소음이동을 차단하는 구조를 이루고 소음저감재의 4개 측벽부는 3~6㎝ 높이를 갖고 측벽부 사이로는 보강격벽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소음저감재 바닥면의 상부 및 측벽부 높이 저부 사이로 온열배관이 수용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온열배관이 배열되는 부위의 측벽부나 보강격벽은 U자형 오목홈이 형성되거나 ○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구조로 단위 소음저감재가 제공되고 다수개의 단위 소음저감재가 시설물의 바닥면에 온열배관을 형성하는 구조로 배열되어 상호 측벽부끼리 연결될 때는 제진시트를 이용하여 밀봉되는 구조로 결합되고 온열배관이 깔린 후 형성된 오목공간에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황토를 포함한 기능층이나 마감몰탈층이 충진재로 포설되어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소음저감재를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따라서 본원은 건축물의 온열배관공사를 수월하게 하면서 층간소음 저감 효과도 도모하기 위한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으로서, 건축물의 상,하층 분리벽인 슬라브 바탕면에 일정깊이로 V자 홈이 일정간격으로 마련되고 제진시트가 깔리도록 적용되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제1단계 공정 다음에는 타 소음저감재류가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2단계 공정을 가진 후 제3단계 공정으로 본원에서 제공되는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4각형 모양의 박스형으로 하나의 단위 소음저감재가 설치되되, 단위 소음저감재는 바닥면은 밀폐되어 상하 소음이동을 차단하는 소음차단판을 갖고 소음저감재의 4개 측벽부는 3~6㎝ 높이를 갖고 측벽부 사이로는 보강격벽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소음저감재 바닥면의 상부위치로 온열배관이 수용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온열배관이 배열되는 부위의 측벽부 및 보강격벽은 U자형 오목홈이 형성되거나 ○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구조로 단위 소음저감재가 제공되어서, 다수개의 단위 소음저감재 바닥면이 시설물 바닥면에 깔리고 상호 측벽부끼리 연결되는 제3단계 공정이 이루어지고 제3단계 공정 다음에 소음저감재 바닥면 상부에서 온열배관이 측벽부나 보강격벽에 형성된 U자형 오목홈이나 ○ 형상의 구멍을 이용하여 연결된 후 형성된 오목공간에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황토가 함유된 기능성분층이나 마감몰탈층이 충진재층으로 포설된 후 그 상부에 바닥판이 깔리도록 적용되는 제4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단위 소음저감재는 바닥면의 상부로 측벽부 높이보다는 아래 위치로 온열배관이 수용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온열배관이 배열되는 부위에 따라 A,B,C 3개 타입으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의 측벽부나 보강격벽은 U자형 오목홈이 형성되거나 ○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구조로 단위 소음저감재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구조의 A,B,C 3개 타입의 FRP 재질 소음저감재가 현장에 적용될 때는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081174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차음재층 또는 기포콘크리트층과 같은 종래의 층간소음 저감수단이 적용된 후 그 상부로 바닥부에 제진테이프가 깔리고 그 상부에 4각형 모양의 박스형으로 하나의 단위 소음저감재를 시설물의 바닥면에 온열배관을 형성하기 쉬운 구조를 이루도록 배열되고 각 단위 소음저감재 상호 측벽부끼리 연결될 때는 제진시트를 곁 대어 밀폐되는 구조를 이루는 단계가 적용된 후 소음저감재 바닥 상부면에 깔린 온열배관 및 바닥면에 형성된 오목공간에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황토가 함유된 기능성분층이 충진재로 깔리거나 또는 공지에 건축물의 바닥재 충진물로 사용되는 마감몰탈층이 충진재층으로 포설된 후 그 상부에 바닥판이 깔리도록 적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통하여 층간소음 저감효과도 얻고 쉽고 안전하게 인력을 절감하며 온열배관을 설치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또한 본원의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에서는 상기의 충진재층에 보풀이 선 실인 얀사에 이형제를 코팅시켜 제공되는 이격간극확보를 위한 얀사 실이 충진재층 중간 중간에 예를 들면 1m 거리 간격 정도로 깔리고 얀사 실의 단부가 건물의 벽체까지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벽체에도 V형 컷팅홈이 형성되어 건축물의 바닥면이나 충진재층 등에서 만약의 경우 라돈방사물질이나 유해성분이 발생되는 경우 얀사 실이 확보한 미세공간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적용되는 건축물 바닥면 시공방법을 포함하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가능한 황토가 함유된 기능성분층은 황토가 주 성분으로 함유되고 황토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맥반석, 토루말린, 숯, 흑운모, 화산재, 황산바륨(BaSO4), 화산재, 제오라이트(zeolite), 퍼라이트(perlite) 중에서 선택되는 기능성 성분이 10~20wt% 범위로 함유시켜 적용할 수 있는바, 맥반석이나 토루말린은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높이고 음이온 발생효과를 도모하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숯이나 흑운모, 화산재 등은 많은 다공성 구조를 제공하여 흡취 및 탈취기능을 높이고 원적외선 보유공간을 넓혀주는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술사상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기능성분에는 허브향, 라벤더향 등의 방향기능을 갖는 것으로곤충이 싫어하면서 사람에게는 좋게 느껴지는 방향성분이 추가되어 바퀴벌레 등의 근접을 방지하는 방향제가 추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합성수지나 FRP 재질의 단위 소음저감재는 강성, 차음성, 보온성 뛰어난 특성을 갖는바, 단위 소음저감재를 현장시공 전에 공장에서 A, B, C 타입으로 제작하여 현장에 운반하여 조립식으로 쉽게 연결하는 구조를 이루어서 공기단축, 인건비 절감 등을 통하여 건축공사 경비를 절감하며 무엇보다도 저렴한 비용으로 층간소음 저감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층간소음 저감구조는 최근 매스컴에서 폐암 발생원인으로 분류되는 방사능물질인 라돈(Rn)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 종래 건축물에서 적용되는 슬라브 시공구조의 일반 적용예시도.
도 2 : 종래 등록특허에서 층간방음구조를 이루기 위해 사용된 일 예시도.
도 3 :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 예시도.
도 4 :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가 바닥면에 배열되는 적용예시도.
도 5 : 상기 도 4에 제시된 소음저감재의 측면 적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 :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구현되는 층간 방음구조의 적용예시도.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발명의 실시예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원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는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을 제시한 것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며 본원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합성수지나 FRP 재질의 소음저감재가 기존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구조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적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자료로 종래 기술로 본원 발명자의 선출원 등록특허 제0811747호에 개시된 층간소음 저감방법을 도 2로 제시하여 본원 기술과 대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 제시된 도면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라브(100) 표면부에 2~6 ㎜ 정도의 깊이로 V 자형으로 바닥홈부(101)를 형성하여 수직, 수평 간으로 직접 전달되는 충격파음을 줄여 주게 되는 준비작업이 실시되고, 다음 단계로는 슬라브(100) 표면부 및 V 자형 홈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게 되는바, 프라이머는 콘크리트로부터 방출되는 유해가스를 차단하는 도포기능과 스라브면과 접착제진층 간의 접착력을 부여하는 프라이머도포층(110)을 이루고, 프라이머 도포층 상부로는 접착제진층(120)을 형성하게 되며, 접착제진재층(120) 상부로 차음재층(130)을 형성하고 접착테이프(131)로 마감처리를 하며 그 상부로 방음재층(140)을 형성하고 접착테이프(141)로 마감처리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방음재층(140) 상부로는 기포콘크리트층(150)을 형성하고, 기포콘크리트층이나 또는 그 상부에 마감몰타르층(160)을 형성하면서 마감몰타르층(160)에 구리파이프나 엑셀파이프 등의 난방배관을 내장하고 그 상부에 장판재를 깔아주는 방법으로 건축물의 바닥면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합성수지나 FRP 재질의 소음저감재(10)는 상기 도 2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소음저감 수단 중 하부의 프라이머도포층(110), 접착제진재층(120), 차음재층(130), 방음재층(140)까지는 종래의 시공구조가 그대로 적용되고 그 상부의 기포콘크리트층(150)이 깔리고 그 상부에 본원에서 개시되는 소음저감재(10)가 이용되는 작업공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단위 소음저감재 구조가 A, B, C 의 3개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본원에서 제공되는 단위 소음저감재(10)는 밀폐되는 바닥면(11)과 바닥면과 연하여 L자형으로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12)를 갖고 양쪽의 측벽부 사이에 보강격벽(13)을 가지며, 일부의 측벽부(12) 및 보강격벽(13)에는 온열배관이 통과되거나 온열배관의 직경을 수용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온열배관이 배열되는 부위에 따라 U자형 오목홈(14)이나 또는 ○ 형상의 구멍(hole)이 형성된 구조로 제공되고 단위 소음저감재가 시설물의 바닥면에 온열배관을 형성하는 구조로 배열되고, A, B, C 의 3개 타입의 단위 소음저감재 상호간 측벽부끼리 연결될 때는 2~4㎜ 두께 폭 10~20㎜ 정도의 측면제진시트(15)가 단위 소음저감재의 상단부 4개면의 외측을 감싸는 구조를 이루고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하부로 소음원의 전달이 소음저감재(10)의 밀폐 바닥면(11)과 측면제진시트(15)에 의해 차단되며 밀봉되는 구조로 적용된다.
도 3a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단위 소음저감재 A타입을 나타낸 것으로, A타입 소음저감재(10a)는 도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온열배관(20)의 상부평면도에서 (A)로 적용되는 소음저감재로써 실내 바닥면의 유입부나 또는 배출부를 이루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전면측판(12a)에 2개의 U자형 오목홈(14a)이 마련되고 후면측판(12b) 좌측에 1개의 U자형 오목홈(14b)이 마련되며, 좌측판(12c)은 밀폐구조이고 우측판(12d)은 상부쪽에 U자형 오목홈(14d)이 마련되는 구조를 이루며 세로보강격벽(13a)은 중앙부 양측으로 온열배관이 지나도록 전면측판(12a)과 동일한 U자형 오목홈이 마련되고, 가로보강격벽(13b)은 온열배관이 지나는 부위가 없으므로 오목홈을 갖지 않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단위 소음저감재 B타입을 나타낸 것으로, B타입 소음저감재(10b)는 도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온열배관(20)의 상부평면도에서 (B)로 적용되는 소음저감재로써 온열배관(20)이 실내 바닥면에서 꺽임곡선부를 이루며 배관유입부 및 배관배출부를 형성하기 위해 전면측판(12a)과 좌측판(12c) 및 우측판(12d)이 모두 밀폐구조이고 후면측판(12b) 양측으로 U자형 오목홈(14)이 마련되고 세로보강격벽(13a)은 A타입과 동일하게 중앙부 양측으로 온열배관이 지나도록 U자형 오목홈이 마련되고, 가로보강격벽(13b)은 전면측판(12a) 쪽으로 U자형 오목홈(14)을 갖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c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단위 소음저감재 C타입을 나타낸 것으로, C타입 소음저감재(10c)는 도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온열배관(20)의 상부평면도에서 (C)로 적용되는 소음저감재로써 온열배관(20)을 타 단위 소음저감재에 보내주기 위한 구조를 이루기 위해 전면측판(12a)에 2개의 U자형 오목홈(14a)이 마련되고 후면측판(12b)에는 오목홈이 없으며, 좌측판(12c) 및 우측판(12d)은 타 단위 소음저감재에 온열배관을 연결해주기 위해 상부쪽에 U자형 오목홈(14c,14d)이 마련되고, 세로보강격벽(13a)은 A타입과 동일하게 중앙부 양측으로 온열배관이 지나도록 U자형 오목홈이 마련되고, 가로보강격벽(13b)은 지나는 온열배관이 없으므로 오목홈을 갖지 않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서 제시된 단위 소음저감재(10)가 거실 바닥면에서 온열배관(20)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설치하기 위한 구조를 이루는 일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원에서 제공되는 단위 소음저감재(10)는 설치대상 바닥면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통상의 바닥면을 갖는 구조에서 온열배관(20)의 유입부(in)를 기준으로 A타입의 좌측부터 시작되어 -> B타입 -> A타입의 우측 -> C타입 -> B타입 -> C타입 -> B타입 -> A타입 우측으로 온열배관(20)의 출구부(out)를 이루며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본원에서 제공되는 단위 소음저감재(10)는 난방면적의 설치지역에 따라 예를 들면 가로 180 ㎝* 세로 100 ㎝ * 높이 5㎝ 등의 크기로 세로보강격벽 및 가로보강격벽을 2~3개를 갖는 구조로 설계되어 공장에서 사전에 설계 사양대로 만들어 지고 현장에 운반되어 손쉽게 배열/설치되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에 제시된 단위 소음저감재(10)의 상,하 이음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을 도시하고 소음저감재 상단에 유해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일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원에서 제시된 단위 소음저감재(10)가 콘크리트 슬라브(100) 상부에서 타 층간소음 저감재가 먼저 설치되고 그 상부에 도 4에 제시된 단위 소음저감재(10)가 설치되는 구성에서 소음저감재(10) 내부로 온열배관(20)이 배열되고 충진재층이 깔릴 때 예를 들면, 소음저감재(10)의 측판(12) 약 3~5mm 높이까지는 일반 기능성 충진재층(30)이 채워지고 그 상부로 약 2~3mm 높이는 경화성충진재층(30a)이 깔려지도록 적용될 수 있는데, 기능성 충진재층(30)은 예를 들면 황토가 주 성분으로 함유되고 황토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맥반석, 토루말린, 숯, 흑운모, 화산재, 황산바륨, 화산재, 제오라이트(zeolite), 퍼라이트(perlite) 중에서 선택되는 기능성 성분이 10~20wt% 범위로 함유되고, 방향기능성분이 0.5~2.0 wt% 범위로 함유되는 조성으로 기능성 충진재층(30)을 이루고 소음저감재(10)의 측판(12) 3~5mm 높이 부분까지 채워지도록 적용되고 그 이상부분에서 2~5mm 높이로 상기 기능성 충진재층에 불포화폴리에스테르계수지와 경화제가 15~30wt% 범위로 배합된 경화성충진재층(30a)을 깔도록 적용하고 경화성충진재층(30a)에 길다란 ∇자형 금형자 등을 이용하여 경화성충진재 상부층에 V자형 오목홈(17)을 2~3mm 깊이로 형성한 후 약 10~20 분 후 경화성충진재층이 경화된 다음 오목홈(17)에는 보풀이 선 실인 얀사(18)가 깔리고 벽체까지 얀사가 연결되도록 적용되는 경우 충진재층이나 또는 실내 바닥면에서 만약의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방사선 라돈(Rn)이나 다른 유해성분을 외부로 배출/제거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적용되는 단위 소음저감재(10) 상호간 측벽부끼리 연결될 때는 2~4㎜ 두께 폭 10~20㎜ 정도의 측면제진시트(15)가 단위 소음저감재의 상단부 4개면의 외연을 감싸는 구조를 이루고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또한 단위 소음저감재(10)의 바닥면 저부에도 타 층간소음 저감재와 접하는 부분 및 보강격벽의 저부에도 바닥제진시트(16)가 깔려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바닥제진시트(16)는 예를 들면 가로 * 세로 = 50mm * 50mm 규격으로 소음저감재(10)의 측판(12) 및 보강격벽(13)의 저변 위치에 깔려서 흡음공간을 형성하면서 동시 소음전달을 차단하도록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단위 소음저감재(10)가 타 소음저감재와 함께 슬라브(100) 바닥면 상부에서 층간소음저감구조를 이루는 일 적용예를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슬라브(100) 바닥면의 표면부에 2~6 ㎜ 정도의 깊이로 V 자형으로 바닥홈부(31)를 형성하여 수직, 수평 간으로 직접 전달되는 충격파음을 줄여 주게 되는 준비작업이 실시되고, 다음 단계로는 슬라브(100) 표면부에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제공되는 제진시트(32)가 V 자형 홈부 외측에 깔리고, 제진시트(32) 외측으로는 슬라브 자체의 진동을 잡아주기 위한 L자형 보강판(40)이 슬라브(100)의 상하로 깔리고 상,하 L자형 보강판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나사축(41)이 슬라브(100)를 중심으로 상하층 제진시트 및 상하층 보강판을 볼트(42)를 이용하여 체결시키는 구조를 이루어서 슬라브 자체의 진동을 잡아주는 구성을 이루고, 상기 슬라브의 상부 바닥면에 깔리는 보강판은 약 3~5㎝ 높이의 L자형 보강판으로 제공되어 약 30~50mm 정도의 일정높이를 갖고 L자형 보강판과 타 L자형 보강판 사이의 간극부에는 약 30~50mm 높이의 삼바리형 격자구조체(50)가 설치되고 보강판 및 삼바리형 격자구조체가 적정간격으로 배열된 후 삼바리형 격자구조체(50) 및 L자형 보강판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모래와 스치로폼알갱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충진재(51)나 또는 기포콘크리트층이 충진재로 사용되어 50~70㎜ 높이로 깔리면서 삼바리형 격자구조체(50) 및 L자형 보강판(40)이 수평구조를 이루도록 하고 그 상부에 타 층간소음저감재가 적층된 후 본원에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10)가 함께 사용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삼바리형 격자구조체(50)는 출원인의 선등록특허 제811747호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며, 도 6을 적용양태에서는 삼바리형 격자구조체(50) 및 보강판(40)이 수평구조를 이루고 충진재가 깔려 수평을 이룬 후 그 상부로는 FRP one prime 처리된 섬유나 또는 연질수지시트(52)가 깔리는 구조를 이루고 연질수지시트 상부로는 스치로폼단열재(60)가 깔리고 스치로폼단열재(60) 상부로는 다시 제진시트(61)가 깔리며, 제진시트(61) 상부로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단위 소음저감재(10)가 A, B, C 타입으로 배열되어 깔리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나, 스치로폼단열재(60)층은 다른 층간저감수단으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연질수지시트(52) 상부로 스치로폼단열재(60)층이 생략되고 곧바로 제진시트(61)가 깔린 후 본원에서 제공되는 단위 소음저감재(1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도면에서는 단순하게 단위 소음저감재(10)로 도시하고 있는 것이나 이는 상기 도 5에 구체적으로 제시된 바와 같이 소음저감재(10) 사이에 온열배관(20)이 깔리고 소음저감재(10)의 측판 상단까지 황토를 포함한 기능성 충진재층(30)이 채워지며 측판 상단에서부터 2~5mm 높이까지 경화성충진재층(30a)을 채우고 경화성충진재층(30a)에 V자형 오목홈(17)을 형성한 후 오목홈(17)에는 얀사(18)가 깔리고 벽체까지 얀사가 연결되도록 적용하고 벽체에는 전선수용관과 같은 적은 파이프관을 관통시키고 적은 관(pipe) 내부까지 얀사의 단부가 인출되도록 포설되는 경우 만약의 경우 바닥재나 충진재층에 유해요소가 표함되는 경우라도 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적용하고 충진재층의 상부로는 바닥마감재(70)가 깔리는 구성으로 마감처리되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의 설명에서 제진시트는 동경방음(주)에서 D-40-HS제품으로 폭 40 * 길이 1000 * 두께 3mm 규격으로 제공되는 방진.방음 테이프를 절단하여 사용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원에서 제공되는 합성수지나 FRP 재질의 단위 소음저감재(10)가 강성, 차음성, 보온성 뛰어난 특성을 이용하고 또한 단위 소음저감재(10) 규격이 설치예상 면적에 따라 사전에 공장에서 A, B, C 타입으로 설계 및 제작하여 현장에 운반하여 조립식으로 쉽게 연결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서 공기단축, 인건비 절감 등을 통하여 건축공사 경비를 절감하며 무엇보다도 저렴한 비용으로 층간소음 저감 효과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10 : 소음저감재 11 : 바닥면
12 : 측벽부 13 : 보강격벽
14 : 오목홈 15 : 측면제진시트
16 : 바닥제진시트 17 : 오목홈
18 : 얀사 실 20 : 온열배관
30 : 기능성 충진재층 30a : 경화성충진재층
31 : 바닥홈부 32 : 제진시트
40 : 보강판 41 : 나사축
42 : 볼트 50 : 격자구조체
51 : 충진재 52 : 연질수지시트
60 : 단열재 61 : 제진시트
70 : 바닥마감재 100 : 슬라브층

Claims (5)

  1. 건축물의 슬라브의 상부면에 타 소음저감재류와 함께 설치되어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층간소음 저감재에 있어서,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4각형 모양의 박스형으로 하나의 단위 소음저감재가 제공되되 소음저감재의 바닥면은 밀폐되어 상하 소음이동을 차단하는 구조를 이루고 소음저감재의 4개 측벽부는 3~6㎝ 높이를 갖고 측벽부 사이로는 보강격벽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소음저감재 바닥면 상부로 온열배관이 수용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온열배관이 배열되는 부위의 측벽부나 보강격벽은 U자형 오목홈이 형성되거나 ○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구조로 단위 소음저감재가 제공되고, 타 소음저감재류가 설치된 후 다수개의 단위 소음저감재 바닥면이 타 소음저감재 설치물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상호 측벽부끼리 연결/결합되고 측벽부나 보강격벽의 U자형 오목홈이나 ○ 형상의 구멍에 온열배관이 연결된 후 형성된 오목부에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황토가 함유된 기능성분층이나 또는 마감몰탈층이 충진재로 포설될 때 소음저감재의 측벽부나 보강격벽의 상단 위치로 오목홈을 형성하고 오목홈에는 보풀이 선 실인 얀사가 깔리고 벽체까지 연결되도록 적용되어 충진재층이나 바닥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해성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나 FRP 재질의 소음저감재.
  2. 건축물의 온열배관공사를 수월하게 하면서 층간소음 저감 효과도 도모하기
    위한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건축물의 상,하층 분리벽인 슬라브 바탕면에 일정깊이로 V자 홈이 일정간격으로 마련되고 제진시트가 깔리도록 적용되는 제1단계 공정;
    상기 제1단계 공정 다음에 타 소음저감재류가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2단계 공정;
    상기 제2단계 공정 다음에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4각형 모양의 박스형으로 하나의 단위 소음저감재가 설치되되 단위 소음저감재는 바닥면은 밀폐되어 상하 소음이동을 차단하는 소음차단판을 갖고 소음저감재의 4개 측벽부는 3~6㎝ 높이를 갖고 측벽부 사이로는 보강격벽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소음저감재 바닥면의 상부 위치로 온열배관이 수용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온열배관이 배열되는 부위의 측벽부 및 보강격벽은 U자형 오목홈이 형성되거나 ○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구조로 단위 소음저감재가 제공되어서, 다수개의 단위 소음저감재 바닥면이 시설물 바닥면에 깔리고 상호 측벽부끼리 연결되는 제3단계 공정;
    상기 제3단계 공정 다음에 소음저감재 바닥면 상부에서 온열배관이 측벽부나 보강격벽에 형성된 U자형 오목홈이나 ○ 형상의 구멍을 이용하여 연결된 후 형성된 오목공간에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황토가 함유된 기능성분층이나 마감몰탈층이 충진재층으로 포설될 때 소음저감재의 측벽부나 보강격벽의 상단 위치로 오목홈을 형성하고 오목홈에는 보풀이 선 실인 얀사가 깔리고 벽체까지 연결되도록 적용되어 충진재층이나 바닥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해성분을 외부로 배출되도록적용되는 제4단계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충진재층에 사용되는 황토가 함유된 기능성분층은 황토가 주 성분으로 함유되고 황토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맥반석, 토루말린, 숯, 흑운모, 화산재, 황산바륨(BaSO4), 화산재, 제오라이트(zeolite), 퍼라이트(perlite) 중에서 선택되는 기능성 성분이 10~20wt% 범위로 함유되고, 방향기능성분이 0.5~2.0 wt% 범위로 함유되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충진재층에 불포화폴리에스테르계수지 및 경화제가 5~15wt% 범위로 사용되어 현장 포설 후 경화를 유도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
KR1020140025953A 2014-03-05 2014-03-05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 KR101514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953A KR101514973B1 (ko) 2014-03-05 2014-03-05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953A KR101514973B1 (ko) 2014-03-05 2014-03-05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973B1 true KR101514973B1 (ko) 2015-04-24

Family

ID=53054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953A KR101514973B1 (ko) 2014-03-05 2014-03-05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059B1 (ko) 2020-04-22 2020-09-08 최종남 Pvc 및 frp를 포함하는 고기능성의 건축·토목·방어벽용 자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주 또는 송전탑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352B1 (ko) * 2005-04-04 2006-08-28 문희수 건축물 바닥 방진 방음 단열의 기능을 갖는 판넬부재의시공방법
KR100811747B1 (ko) * 2006-09-26 2008-03-11 조신형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80094356A (ko) * 2007-04-20 2008-10-23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층간소음 방지공법
KR20110058607A (ko) * 2009-11-26 2011-06-01 주식회사인스타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KR101248032B1 (ko) * 2012-08-27 2013-03-27 이금재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용 건식 온돌바닥 및 그 시공방법
KR101288886B1 (ko) * 2011-11-25 2013-07-23 일우공영(주)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352B1 (ko) * 2005-04-04 2006-08-28 문희수 건축물 바닥 방진 방음 단열의 기능을 갖는 판넬부재의시공방법
KR100811747B1 (ko) * 2006-09-26 2008-03-11 조신형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80094356A (ko) * 2007-04-20 2008-10-23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층간소음 방지공법
KR20110058607A (ko) * 2009-11-26 2011-06-01 주식회사인스타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KR101288886B1 (ko) * 2011-11-25 2013-07-23 일우공영(주)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시공방법
KR101248032B1 (ko) * 2012-08-27 2013-03-27 이금재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용 건식 온돌바닥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059B1 (ko) 2020-04-22 2020-09-08 최종남 Pvc 및 frp를 포함하는 고기능성의 건축·토목·방어벽용 자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주 또는 송전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CA2910412C (en) An acoustic damping building material
KR101528779B1 (ko) 다기능 층간소음 저감장치
KR101000406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
KR101929628B1 (ko) 층간소음 차음재
KR101460319B1 (ko) 층간소음 방지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31260B1 (ko) 단열과 방음을 위한 바닥 및 칸막이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324261B1 (ko) 공동주택의 층간바닥구조
KR101514973B1 (ko)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
KR101479167B1 (ko)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0721850B1 (ko) 에어홀을 갖는 층간 차음시트
KR101819793B1 (ko) 황토 재질의 층간 차음재를 갖는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101430986B1 (ko) 건축물의 온돌용 및 소음저감용으로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황토판재
KR100750890B1 (ko) 층간소음 방지재와 측벽소음 방지재 및 이들을 이용한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101444639B1 (ko) 조립식 난방용 패널
KR200406912Y1 (ko) 공동주택 층간 차음 바닥재
KR20200082848A (ko)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61318B1 (ko) 건물 바닥 층간 소음방지패널 구조
KR101514972B1 (ko)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101011949B1 (ko) 보일러배관이 일체화된 건축물의 소음 저감 층간 바닥 구조
KR200328912Y1 (ko) 기능성 문양과 이중경도로 이루어진 건강성 층간 소음저감재
KR101827852B1 (ko) 반건식 층간소음 차단장치
KR102177760B1 (ko) 압축코르크를 활용한 조립식 차음 패널
KR102605092B1 (ko) 공동 주택용 층간 소음 방지 건축 슬래브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