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597Y1 - 다 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 Google Patents

다 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597Y1
KR200426597Y1 KR2020060006192U KR20060006192U KR200426597Y1 KR 200426597 Y1 KR200426597 Y1 KR 200426597Y1 KR 2020060006192 U KR2020060006192 U KR 2020060006192U KR 20060006192 U KR20060006192 U KR 20060006192U KR 200426597 Y1 KR200426597 Y1 KR 200426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ndol
panel
piping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
Original Assignee
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 filed Critical 김기
Priority to KR2020060006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5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5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9Tube-lay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합성수지재 정 방형 밑판과, 이 밑판의 상면에서 일체의 부재로 가로 세로 어느 일 측방향으로 방열관의 직경을 수용하는 높이와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수 십줄 돌출되는 띠형 받침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수 십줄의 띠형 받침부재들의 형태는 밑판의 사방 변에서는 배관될 방열관의 반 직경의 공간부를 두고 형성하고, 사방 변의 좌우 폭 방향으로는 길이를 4등분한 가로 선상의 내측 3개소에 방열관의 직경을 수용하는 3줄의 배관 공간부를 형성하면서, 중앙부에서는 원형군으로, 사방 변 중간 측에는 반 원호형군으로, 네귀에는 1/4 원호형군들 형태로 서로 간에 배관될 방열관 직경 규격의 원호형 배관 공간부를 두고 배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여, 방열관의 배관 간격과 꺽임부의 위치 선택이 용이하고 시공의 신속성과 용이성을 확보하며, 공급, 환수주관들을 가로 세로 어느 방향에서나 좁은 간격으로 배관할 수 있어서 분배헤더와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하고, 온돌 바닥과 실내 환경에 대하여 제습, 탈취, 방취, 항균, 구충, 원적외선 방사 등의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고, 건식 온돌과 습식 온돌 및 전기온돌시스템용 등으로 전환 제작과 사용이 용이한 고 생산성, 고 기능, 고 품질의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을 제공한다.
건식온돌,배관판넬,띠형 받침부재,방열관,분배헤더,전기전열관,습식온돌

Description

다 목적 온돌용 배관판넬{a multipurpose of heating piping pannel for Korean floor heating system}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의 평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예 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 기본조립도
도4는 일 예 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 기본조립도에 의한 기본 배관도
도5는 일 예 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 기본조립도에 의한 기본 배관단면도
도6은 도5의 구성 중 일부 확대도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예 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 기본조립도에 의한 기본 배관도의 다른 실시예 온돌판 시공단면 확대도
도8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예 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 기본조립도에 의한 기본 배관도의 또 다른 실시예 온돌판 시공단면 확대도
도9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예 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 기본조립도에 의한 기본 배관도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10은 도9의 일부 단면 확대도
도1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에 의한 다른 예의 응용 배관도
도12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에 의한 또 다른 예의 응용 배관도
도13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에 의한 또 다른 예의 응용 배관도
도14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에 의한 또 다른 예의 응용 배관도
도15~16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재료 절감형 배관판넬 구성도
도17~18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입방체 틀형 배관판넬 구성도
도19~20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갑체형 배관판넬 구성도
도21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건식 전기온돌용 배관판넬 평면도
도22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건식 전기온돌용 배관판넬 단면도
도23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건식 전기온돌용 배관판넬에 의한 일 예 배관도
도24는 도 23의 구성에 의한 일 예 건식 전기온돌용 시공 단면도
도25는 도 23의 구성에 의한 일 예 건식 전기온돌용 시공 공정 일부 확대도
도26은 도 23의 구성에 의한 일 예 건식 전기온돌용 시공 단면 일부 확대도
도27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건식 전기온돌시스템 판넬용 배관판넬
도28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의 저면도
도29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의 단면도
도30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의 평면도
도31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32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의 배관 평면도
도33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의 일 예 시공단면도
도34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의 일 예 시공단면의 배관 고정구 확대도
도35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의 일 예 시공단면의 배관 고정구 다른 실시예 확대도
도36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의 일 예 시공단면의 배관 고정구 다른 실시예 확대도
도37은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의 평면도
도38은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
10a: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재료 절감형 배관판넬
10b: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입방체 틀형 배관판넬
10c: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갑체형 배관판넬
11,11a:밑판 12:띠형 받침부재 12a: 4개의 짧은 띠형 받침부재
12b:4개의 삼각돌기 받침부재 13:입방체 틀형 받침부재
13a:갑체형 받침부재 14:입방체 틀형 삼각 받침부재
14a:갑체형 삼각 받침부재 15:슬릿형 통공부
16a~16c: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의 상하 폭을 4등분하는 3줄의 가로 선
17a~17c:입방체 틀형 배관판넬(10b)의 상하 폭을 4등분한 3개소의 가로선
18a~18g:입방체 틀형 배관판넬(10b)의 좌우 폭을 8등분한 7개소의 세로선
20: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건식 전기온돌용 배관판넬
21:건식 전기온돌용 배관판넬의 밑판
22:건식 전기온돌용 배관판넬의 띠형 받침부재
23:배관판넬의 발포 충진층
24:건식 전기온돌용 배관판넬의 배관홈
30: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건식 전기온돌시스템 판넬용 배관판넬
40: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
40a:다른 실시예 보온성 자유 배관형 온돌용 배관판넬
40b:또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
40c:또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 41:밑판
42:띠형 받침부재 43:입방체 틀형 받침부재
43a:입방체 틀형 삼각 받침부재 44:관통형 고정공
45:배관고정구 45a:반원 클립
45b:클립 고정핀 46:다른 실시예 배관고정구
46a:C형 클립 46b:분리형 고정핀
47:다른 실시예 배관고정구 47a:밴드형 클립
47b:분리형 고정핀 48:시멘트 몰탈층 49:슬릿형 통공
100: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 기본조립도
101: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10)에 의한 기본 배관도
102~105: 본고안의 일 실시예 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에 의한 일 예 응용 배관도
Ba:난방 바닥 D1, D2, D3:분배헤더 EP:전기 전열관
FR:기능성 충진층 HP:온수 방열관
HPa, HPc, HPe, HPg, HPi,HPk: 온수 방열관의 공급관
HPb, HPd, HPf, HPh, HPj, HPl: 온수 방열관의 환수관
PL:마루판 RL:유도관
RL2:건식 전기온돌용 배관판넬의 배관 유도판
SL:강판 SP:전기온돌시스템 판넬
VL:장판 Wa, Wb: 좌우측 벽체 Wc, Wd: 상하측 벽체
본 고안은 다 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수 방열관 또는 전기 방열관을 사용하는 온돌의 방열관 배관 시공에 있어서 간격 조절이 자유롭고 간편한 건식 배관판넬을 제공하며, 또한 습식 온돌용 배관판넬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친환경성과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을 위한 기능성 배관판넬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온돌은 온돌면의 시공방법에 따라서 시멘트 몰탈로 온돌면을 마감하는 습식온돌과,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지 않고 마루판, 석판, 강판, 장판 등과 같은 건식 자재의 온돌판을 사용하여 온돌면을 마감하는 건식 온돌로 구분되고 있다.
건식 온돌의 구성은, 온수 방열관이나 전기 방열관 등의 방열관을 난방 바닥에 일정 간격의 지그재그형으로 배관 설치하고, 배관된 방열관의 상면에는 마루판, 석판 등을 마감하거나 강판을 덮고 합성수지 장판으로 마감하여서 온돌판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건식 온돌의 특징은, 방열관의 상면에 시멘트 몰탈로 온돌면을 구성하는 습식 온돌에 비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며, 저렴한 시공비 및 보수의 간편성 등의 여러 장점을 갖고 있지만, 난방 바닥에 방열관을 지그재그형으로 배관하는 방열관 시공방법이나 그 구성 여하에 따라서 시공성과 온돌 품질이 다양하게 변화된다.
건식 온돌에서 시공성과 온돌 품질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방열관의 시공에 배관판넬이 사용되고 있고, 많은 종류의 선 고안들이 제공되어 있다.
건식 온돌에 배관판넬을 사용하는 주 목적은, 난방 바닥에 방열관을 일정한 유형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바닥과의 단열작용도 하며, 방열관의 상면에 덮여지는 온돌판의 받침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배관판넬은 건식 온돌의 특징인 시공의 용이성과 신속성 및 시공된 온돌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는 구성인 바, 종래의 배관판넬 구성들은 상기한 목적들을 충분히 구현할 수 없었고, 특히 배관 간격이 고정된 특정 간격으로만 시공되고, 배관 배열 형태 변형에 제한이 있으며, 여러 난방처에 분배되는 공급주관이나 환수주관의 연계배관이 어려운 등의 다양한 건식 온돌의 방열관 배관 특성을 만족시킬 수 없는 단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이 선 고안으로 등록한 실용신안등록 제279315호에 개시된 배관판넬의 구성을 살펴보면, 장방형의 판넬 상면에 어느 일 방향으로 방열관의 높이와 직경을 수용하는 수 십줄의 띠형 받침부재들을 일체로 형성하며, 이들 받침부재들 중에서 상하 가장자리 측에서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반원호형의 배관 안내홈을 교호로 설치한 구성의 건식 온돌 배관판넬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 고안의 건식 온돌 배관판넬의 구성은 건식 온돌의 시공에 있어서, 방열관을 일정 간격으로 배관할 수 있고, 그 상면에 건식 온돌판을 시공하는 받침부재의 기능을 수행하여 조립식으로 온돌을 시공함으로서, 시공의 용이성과 간편성 을 확보하는 장점은 있었다.
그러나 방열관의 지그재그 배관시에 꺽임부를 반원호형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띠형 받침부재에 형성한 반원호형의 배관안내홈이, 어느 일 방향(도면상으로는 세로방향)으로만 상하 대칭형이면서 교호로 형성되어 있어서, 온수방열관의 지그재그 배관의 직선부 배관 방향이 띠형 받침부재의 종열 방향(세로방향)으로 만 시공하여야되는 제약성이 있었다.
또한 건식 온돌 배관판넬들을 난방 바닥에 사방으로 연속적이고 잇대어 조립할 때에도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으로 구분하여 같은 방향으로만 조립하여야되는 시공상의 불편함과 시공시간의 신속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들이 있었으며, 방열관의 좌우 종열 간의 배관 간격도 각 장에 각인된 반 원호상의 직경(대략 200~220mm 내외)으로 만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문제점은 종래의 다른 선 고안 건식 온돌 배관판넬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으로서, 각 방들에서의 공급주관과 환수주관들을 특정 방향과 위치에서는 좁은 간격으로 배관하기가 어렵고, 이로 인하여 분배헤더와의 연결 배관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보일러로 여러 방을 난방하여야되는 온돌 난방시스템에서는 보일러실에서 보일러의 측면 또는 부근의 벽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분배헤더에서부터 각 방 별로, 각각 공급주관과 환수주관 2줄씩 분리시켜 적게는 4줄에서 많게는 십여 줄씩 배관하게 된다.
상기 분배헤더로부터 각 방별로 분리 배관되는 공급주관과 환수주관들은 보 일러실의 분배헤더에서 가장 가까운 방의 벽을 관통하여, 각 방의 내부 바닥의 가장자리를 거쳐서 각각의 다른 방까지 배관되어야 한다.
종래의 건식 온돌 배관판넬들의 구조에 의하면 수 십장의 배관판넬로 시공된 전체 배관판넬의 구성에서는 온수 방열관들의 배관유도로가 어느 일 방향으로만 한정되어 있거나 특정 간격(예를 들어 200~220mm 내외)으로 만 한정되어 있어서, 공급주관과 환수주관들을 가로 세로 양방향에 걸쳐서 가장자리에 좁은 간격으로 배관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분배헤드와의 공급주관과 환수주관의 연결공사도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한 선 고안의 건식 온돌 배관판넬들이 갖는 단점들은 모든 건식 온돌시공 방법에서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그만큼 건식 온돌의 사용율을 낮추게 되며, 건식 온돌의 품질도 저하시키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 제공된 건식 또는 습식 온돌용 배관판넬들은 온수 방열관 용이나 전기 전열관용 또는 습식용이나 건식용 등의 어느 한 시공방법에만 사용되는 제조면이나 판매면 및 사용면에서 모두 범용성이 없는 구성이어서, 제조업체가 각각의 온돌 시공별로 제품의 구색을 맞추어 출하하고자 할 경우에 여러 벌의 금형이나 제작시설이 요구되어 막대한 시설자금과 제작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상품의 단가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종래에 제공되어 있는 건식 온돌 배관판넬의 또 다른 문제점은 구조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단순히 방열관의 배관 유도와 온돌판의 받침부재 기능만을 수행하는 단순 건축부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을 위한 기능성 건축자 재로의 변환이 어려운 점에 있다.
최근의 실내 환경에서 난방을 온돌형으로 하는 경우에 실내 환경의 쾌적성을 좌우하는 중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을 위하여서는 온돌 바닥에 대하여 실내 습도 조절을 위한 제습, 탈취, 방취, 항균, 구충, 원적외선 방사 등의 실내 환경 향상 기능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종래에 제공되어 있는 건식 또는 습식 온돌 시스템들에서는 일부 구성에서 온돌판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코팅하는 구성이 있을 뿐, 배관판넬들은 단순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한 다양한 실내 환경 향상 기능성을 부여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온돌용 배관판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높고 가격이 저렴함은 물론 건식 온돌용의 배관판넬에 요구되는 온돌판 받침대 기능의 내구성을 충분히 가지며, 난방바닥에의 방열관의 배관 간격을 좌우 양방향에 걸쳐서 임의의 간격으로 자유롭게 조절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열 고정 배관할 수 있으며, 방열관의 지그재그 배관시 꺽임부인 반원호부의 위치 선정이 자유롭고, 여러 난방처(방)에서 분배헤더와 인접한 난방처를 거쳐 분배헤더측으로 배관되는 여러 줄의 공급주관이나 환수주관들을 가로 세로 양방향 어느 방향에서나 좁은 간격으로 배관할 수 있도록 하여 분배헤더와의 연결작업도 용이한 특징을 가지고 다양한 형태의 방열관 배관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고 시공성, 고 품질의 온돌용 배관판넬을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하나의 기본적 형태에서 단순한 구성요소의 추가적인 변형 제작에 의하여 건식 온돌 시공과 습식 온돌 시공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시공방법에서 방열관의 규격이나 배관 특성이 상이한 온수 방열관이나 전기 전열관 각각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편리성과 경제성을 부여할 수 있는 온돌용 배관판넬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배관되는 난방바닥에 대하여 높은 단열성과 흡음성을 가지는 온돌용 배관판넬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제조자의 부가적 제작방법 또는 사용자의 선택적 시공방법에 의하여 배관판넬에 배관된 방열관들 사이의 공간부에 대하여 온돌 바닥이나 실내 환경에 대하여 제습, 탈취, 방취, 항균, 구충(驅蟲), 원적외선 방사 등의 기능성을 갖는 기능성 온돌 배관판넬로 용이하게 전환 제작, 전환 사용할 수 있는 온돌용 배관판넬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여러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은,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는 소정 두께의 정방형 밑판을 기재로 하여, 이 밑판의 상면에는 세로방향에 걸쳐서 온수 방열관의 직경을 수용하는 높이와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수 십줄 돌출되는 띠형 받침부재를 일체의 구조물로 구비하되, 상기 수 십줄의 띠형 받침부재들의 배열 형태는 평면적으로 볼 때,
밑판의 사방 변에서는 배관 될 방열관 직경의 1/2 규격의 공간부를 두고 형성하고, 상하 폭 간에는 상하 폭을 4등분하는 3개소의 가로선 상에 대하여, 배관 될 방열관을 수용하는 폭을 갖는 3줄의 배관 공간부를 두고 형성하면서,
중앙부에서는 원형군으로, 사방 변들 각각의 중간부 측에는 상기 중앙부 원형군 형태의 반 원호형군으로, 네 귀에는 상기 중앙부 원형군 형태의 1/4 원호형군들 형태로 형성되어, 이들 서로 간에는 배관 될 방열관을 수용하는 폭을 갖는 원호형 배관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의 구성에는, 각각의 받침부재들 사이의 세로 공간부에 접하는 밑판 부분에 대하여, 재료를 절감하고 성형 트러블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정 폭의 슬릿형 통공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의 구성은, 밑판의 구성은 그대로 하고, 그 밑판의 상면에는 4변 가장자리로 온수 방열관의 반 직경에 상응하는 폭을 남겨두면서, 세로방향으로는 상하 폭을 8 등분한 7개소의 가로선 상에, 상하 폭 간에는 상하 폭을 4 등분한 3개소의 가로선 상에 대하여, 온수 방열관의 직경을 수용하는 높이와 폭을 갖는 직선 배관 공간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직선 배관 공간부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부에서 중앙부에서는 원형군으로, 사방 변 가운데 측에는 상기 중앙부 원형군 형태의 반 원호형군으로, 네 귀에는 상기 중앙부 원형군 형태의 1/4 원호형군들 형태로 배치되어 상하 간과 좌우측 간에 각각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되어서 각각의 원호형군 주위로 원호형의 배관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중앙의 원형군과 사방 변 중간부의 반 원호형군과 네 귀의 1/4 원호형군들을 이루는 수 개의 입방체 틀형 받침부재들과,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수 개의 입방체 틀형 삼각 받침부재들을 구비하는 입방체 틀형 배관판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의 구성에는, 방열관이 배관되는 띠형 받침부재들 간의 공간부, 또는 방열관이 배관되지 않는 띠형 받침부재들 간의 공간부들 중에서 어느 한 종류의 공간부에 대하여, 온돌 바닥에 제습, 탈취, 방취, 항균, 구충, 원적외선 방사 등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숯, 황토, 옥돌, 게르마늄, 맥반석, 원적외선 방사 바이오세라믹, 알루미나 실리카질 광물, 마그네시아 광물, 음이온석 또는 기타의 기능성 합성, 천연 물질들 중에서 한 종류 이상 충진하는 기능성 충진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의 구성에는, 띠형 받침부재들 간의 공간부에 전기 전열관의 방열 온도에 견디는 내열성 발포 폴리스티렌을 충진하고, 충진된 발포 충진층을 상방으로 하여 그 발포 충진층의 상면에, 전기 전열관이 수용되는 규격의 반원형 단면의 배관홈들을 상기 배관 공간부들과 동일 형태로 구비하여 전기 전열관용 온돌 배관판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전열관용 온돌 배관판넬의 구성에는, 상기 배관홈들에 대하여 중 간부는 전기 전열관을 수용하는 반원형 배관부재로 되고 양측으로 걸침 플랜지를 갖는 배관 유도판을 더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의 구성에는, 띠형 받침부재들 간의 공간부들 위치에서 사방으로 적어도 28mm 이상의 간격으로 밑판에 통공형으로 관통하는 일정 크기의 고정공들을 격자형으로 수 십개 형성하고, 또는 띠형 받침부재들 간의 공간부에 대하여 방열관의 방열 온도에 견디는 내열성 발포 폴리스티렌을 충진하는 발포 충진층을 더 구비하여, 상기 띠형 받침부재들과 충진된 발포 충진층을 하면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윗면으로 위치된 상기 판넬의 밑판 상면에 대하여 배관 될 온수관 또는 전기 전열관들을 단면상으로 전 둘레 또는 일부분을 구속하여 길이 상으로 일정 간격마다 상기 고정 공들에 구속시켜 고정 배관하는 끼움핀 또는 고정나사들과 같은 배관고정구들을 구비하여 자유 배관형의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의 구성은, 띠형 받침부재들 간의 공간부에 방열관의 방열 온도에 견디는 내열성 발포 폴리스티렌 충진층을 형성하여, 상기 배관판넬의 밑판을 상면으로 난방바닥에 깔아서, 강판재의 판넬형 갑체 내부에 전기 전열관이 내열 발포 폴리스티렌과 함께 내장된 다른 형식의 건식 온돌재인 전기온돌시스템 판넬의 바닥판재 및 단열용으로 전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띠형 받침부재들 간의 공간부에 내열성 발포 폴리스티렌 충진층이 구비되어 전기온돌시스템 판넬의 바닥판재나 단열용으로 전용되는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구성에 대하여,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충진층에는 온돌 바닥에 대하여 제습, 탈취, 방취, 항균, 구충, 원적외선 방사 등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숯, 황토, 옥돌, 게르마늄돌, 맥반석, 원적외선 방사 바이오세라믹, 알루미나 실리카질 광물, 마그네시아 광물, 음이온석 또는 기타의 기능성 합성, 천연 물질들 중에서 한 종류 이상 가루형태로 혼합 또는 함유시키는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여러 실시예의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4에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의 구성과 이를 사용한 일 예의 건식 온돌 배관판넬 사용상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도 2에 도시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의 구성은, 합성수지재 프레스 압출에 의하여 성형되는 5mm 두께를 갖고, 사방 448mm 의 규격을 갖는 정방형 밑판(11)을 기재로 하여, 이 밑판(11)의 상면에는 좌우측 변에서부터 각각 11.5mm의 간격을 두면서 세로 방향으로, 배관 될 20mm 직경의 온수 방열관(HP)을 수용하는 22mm의 높이와 23mm의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돌출되는 5mm 두께를 갖는 16줄의 띠형 받침부재(12)들이 밑판과 일체의 부재로 구비된다.
상기한 띠형 받침부재(12)들의 배열 형태는 평면적으로 볼때, 밑판(11)의 사방 변 측에서는 띠형 받침부재(12)들 간의 간격 23mm의 1/2 규격인 11.5mm의 공간부를 두고 형성되고, 사방 변의 상하 폭 방향에서는 상하 폭을 4 등분하는 3줄의 가로 선(16a(16b)(16c) 상으로 각각 23mm의 공간부를 두고 형성되며,
중앙부에서는 직경 201mm의 원형군으로, 사방 변 가운데 측에는 상기 중앙부 원형군 형태의 절반 형태인 반 원호형군으로, 네 귀에는 상기 중앙부 원형군 형태의 1/4 형태인 1/4 부채꼴 원호형군들 형태를 갖고 각각의 원호 둘레에 23mm 폭의 원호 공간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실시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원호 공간부들 사이에는 각각의 띠형 받침부재(12)들의 종열에 맞추어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4개의 짧은 띠형 받침부재(12a)들이 구비되고, 이들의 좌우측에는 4개의 삼각돌기 받침부재(12b)들이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수 십줄의 띠형 받침부재(12)(12a)(12b)들은 온수 방열관(HP)을 난방바닥에 지그재그형으로 배관시에, 온수 방열관(HP)들의 배관 간격을 직선상 일정 간격으로 유도하면서 꺽임부를 반원호형으로 유도하는 배관 유도기능과, 상면에 덮여질 강판이나 마루판 등으로 조립되는 온돌판의 받침부재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 되고,
띠형 받침부재(12)(12a)(12b)들 간에 형성된 세로열 공간부들과, 사방 변의 상하 폭 방향에서 상하 폭을 4 등분한 3줄의 가로 선(16a(16b)(16c) 상에 형성된 공간부들은 온수 방열관(HP)의 배관홈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의 일 실시예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은 도 3에 도시한 일 예 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 기본조립도(100)와 같이, 온수 방열관(HP)을 배관할 난방 바닥(Ba)의 면적에 맞추어서 수 개에서 수 십장을 각각의 배관판넬(10)의 띠형 받침부재(12)들의 세로줄을 맞추고 측변을 사방으로 잇대어 깔아 사용된다.
난방 바닥(Ba)의 가로 세로 길이가 온돌용 배관판넬(10)의 폭과 길이의 정배 수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난방 바닥(Ba)의 어느 일 측변에서 각 장의 온돌용 배관판넬(10)을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 예의 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 기본조립도(100)로 난방 바닥(Ba)에 임의 수량의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들이 깔려지면, 그 조립된 전체 배관판넬들의 평면 형태는, 변부에는 201mm 직경의 반 원호군들이 서로 간에 23mm의 공간부를 두고 수 십개 형성되고, 이들 내측편에는 201mm 직경의 중앙부 원형군들이 서로 간에 23mm의 공간부를 두고 수 십개 형성되면서, 세로방향으로는 띠형 받침부재(12)들의 사이마다 23mm의 배관 공간부들이 형성되고, 가로방향으로는 112mm의 등분 간격마다 23mm의 배관 공간부들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일 예의 건식 온수 온돌용 배관판넬 기본조립도(100)로 난방 바닥(Ba)에 임의 수량의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들이 깔려지고 배관 공간부가 형성되면, 깔려진 전체 배관판넬(10)들의 상면에 대하여 여러 가지 배열 형태로 온수 방열관(HP)을 배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상기한 일 실시예의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을 사용하여 가장 일반적인 배관예로 시공한 일 예의 기본 배관도(101)를 도시한 것으로서, 난방 바닥(Ba)의 좌우측 벽체(Wa)(Wb)들과 각각 내측으로 112mm 간격을 두며, 세로 간으로 띠형 받침부재(12)들의 중앙부 원호형군 간의 간격인 224mm의 배관간격으로 하면서, 상하측 벽체(Wc)(Wd) 측에서는 반 원호형군의 간격을 두고 반 원호형 꺽임부를 가지며, 온수 방열관(HP)의 공급관(HPa)은 하측 벽체(Wd)의 좌측에서 관통하여 설치되고, 온수 방열관(HP)의 환수관(HPb)은 하측 벽체(Wd)의 우측에서 관통하여 설 치되는 세로 지그재그형 배관형태로 시공된 구성이다.
이러한 일 예의 기본 배관도(101) 구성에 의하면, 직경 16~22mm의 온수 방열관(HP)들을 세로방향으로 대략 224mm 내외의 등 간격으로 배관할 수 있게 되며, 온수 방열관(HP)의 공급관(HPa)과 환수관(HPb)들을 하측 벽체(Wd)에서 좌우 변측으로 분리 인출하는 구성으로 배관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상기한 일 실시예의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을 사용한 일반적인 일 예의 기본 배관도(101)에 의한 건식 온수 온돌의 시공예 일부 단면도와 일부 확대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일 예의 기본 배관도(101)와 같이, 난방 바닥(Ba)에 임의 수량의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들을 깔고, 그 깔려진 전체 배관판넬(10)들의 상면에 대하여 지그재그형으로 온수 방열관(HP)이 배관되면, 그 상면으로 마루판(PL)를 덮어 온돌면을 형성하여서 건식 온돌 시공을 마감하게 된다.
상기한 일 예 건식 온돌 시공에서 온돌판으로 마루판(PL)을 덮어 온돌면을 마감하는 구성은, 도 7과 같이 온수 방열관(Hp)이 배관된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의 상면에 대하여, 열전도성을 높이고 열의 확산을 위한 수단으로 얇은 강판(SL)을 덮은 후, 그 위에 합성수지 바닥재 또는 장판(VL)을 덮어 마감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건식 온돌 시공에서 온수 방열관(Hp)의 배관에는, 도 8과 같이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에 배관되는 온수 방열관(Hp)의 난방열을 상방으로만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단부 양측 날개부는 온수 방열관(Hp)이 배관되는 좌 우측 띠형 받침부재(12)들의 상단에 얹혀지고 몸체부는 온수 방열관(Hp)의 하단부를 감싸는 U 자형 단면형태를 갖는 유도관(RL)을 개재하여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식 온돌 시공에서 온수 방열관(Hp)의 배관에는, 온수 방열관(Hp)이 배관된 띠형 받침부재(12)들 간의 나머지 공간부에, 또는 도 9~ 도 10과 같이 온수 방열관(Hp)이 배관되는 띠형 받침부재(12)들 간의 공간부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부에 대하여, 숯, 황토, 옥돌, 게르마늄, 맥반석, 원적외선 방사 바이오세라믹, 알루미나 실리카질 광물, 마그네시아 광물, 음이온석 또는 기타의 기능성 합성, 천연 물질들 중에서 한 종류 이상을, 가루 또는 굵은 입자 또는 바인더와 함께 충진되는 기능성 충진층(FR)을 구비하여, 온돌 바닥이나 실내 환경에 대하여 제습, 탈취, 방취, 항균, 구충, 원적외선 방사 등의 특성을 부여하는 기능성 온돌용 배관판넬의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에 의한 다른 예의 응용 배관도(102)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일 예의 기본 배관도(101)와 비교하여 온수 방열관(HP)의 배관형태가 좌우측과 상측과 세로방향 배관 간격은 동일하게 배관된 구성이다.
다른 점은 온수 방열관(HP)의 공급관(HPc)과 환수관((HPd)을 각각 하측 벽체(Wd)의 우측편에서 분배헤더(D1)와의 연결을 위하여 중심 간격으로 46mm의 좁은 간격으로 인출하면서, 윗쪽 다른 방에서 인출되는 다른 온수 방열관(HP)의 공급관(HPe)과 환수관((HPf)들을 우측 벽체(Wb)의 내측편에서 온수 방열관(Hp)의 우측 관과 중심 간격으로 46mm의 좁은 간격으로 배관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온수 방열관(HP)의 공급관(HPc)은 하측 벽체(Wd)를 관통하여 세로로 인입된 후에, 첫번째 가로 선상의 배관 공간부인 112mm 위치에서 좌측으로 꺽여져 가로방향으로 배관되어서, 좌측 벽체(Wa) 측 첫번째 세로 방열관과 반원호형으로 유도되어 연결 배관되고, 이에 따라서 지그재그형으로 배관되는 온수 방열관(Hp)들의 하단부 반원호부들은 하측 벽체(Wd)에서부터 위로 세번째 가로 선상의 배관 공간부에서 반원호부로 유도 배관되는 구성이다.
또한 지그재그형으로 배관된 온수 방열관(Hp)의 맨 우측 반원호 꺽임부와 가로열관의 배관 구성은, 윗쪽방에서 인입되는 다른 온수 방열관(HP)의 공급관(HPe)과 환수관((HPf)들과 중심 간격으로 46mm의 등 간격으로 배관하기 위하여, 정상적인 반원호군에서 가로 1열 띠형 받침부재(12)들 만큼 내측으로 들여서 배관한 구성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에 의한 다른 예의 응용 배관도(102)의 구성에 의하면, 방열관의 지그재그 배관시 꺽임부인 반원호부의 위치 선정이 자유롭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난방처(방)에 대한 온수방열관들의 공급관과 환수주관들을 어느 일 측으로 위치 선정이 자유로우면서도 좁은 간격으로 모아서 배관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이하므로, 분배헤더(D1)와의 연결 배관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상기한 다른 예의 응용 배관도(102)와 비교하여, 온수 방열관(Hp)의 지그재그 배관부를 가로방향으로 배열 실시한 또 다른 예의 응용 배관도(103) 구성 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은 종래의 배관판넬들과 비교하여, 배관간격을 가로 세로 양방향에 걸쳐서 어느 방향으로도 표준 규격인 중심 간 224mm의 배관간격으로 배열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한 경우에는 세로방향으로 23mm에서 하나의 띠형 받침부재(12)의 설치간격 만큼인 약 28mm의 조절폭으로 배관간격을 가감 조절할 수 있고, 가로방향으로는 하나의 반원호형군 간격인 112mm 마다의 조절 폭으로 배관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상기한 다른 예의 응용 배관도(103)와 비교하여, 3개의 난방처에 대한 배관형태를 예시한 또 다른 예의 응용 배관도(104)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나의 분배헤더(D2)에 3개 난방처의 6줄의 온수 방열관(Hp) 공급관과 환수관을 좁은 간격으로 모아서 배관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다른 예의 응용 배관도(104)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은 종래의 배관판넬들과 비교하여, 상기 다른 예의 응용 배관도(103)에서의 특징과 함께, 세로방향으로 우측 난방처에서 인입되는 또 다른 공급관(HPg)과 환수관((HPh)들을 하나의 분배헤더(D2)에 대하여 세로 간격으로 약 28mm의 좁은 간격으로 모아서 용이하게 배관할 수 있는 구성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상기한 다른 예의 응용 배관도(103)와 비교하여, 좌측편에서 다른 2개의 난방처로부터 가로방향으로 4줄의 온수 방열관(Hp)의 공급관과 환수관이 인입되는 구성에 적용되는 다른 예의 응용 배관도(105)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의 다른 예의 응용 배관도(105)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은 종래의 배관판넬과 비교하여, 상기 다른 예의 응용 배관도(103)에서의 특징과 함께, 좌측 난방처들에서 가로방향으로 인입되는 또 다른 공급관(HPi)(HPk)들과 환수관(HPj)(HPl)들을 가로방향으로 112mm의 간격으로 배관하여서 하나의 분배헤더(D3)에 대하여 세로 간격으로 약 28mm의 좁은 간격으로 모아서 용이하게 배관할 수 있는 구성임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의 구성은, 예시된 일 예 기본 배관도(101) 및 여러 일 예 응용 배관도(102)(103)(104) (105)와 같이, 종래의 온돌용 배관판넬들과 비교하여, 배관 중심간격으로 가로 세로 양방향에 걸쳐서 224mm의 표준규격으로 배관할 수 있음은 물론, 지그재그형태의 배관에서 그 꺽임부의 반원호부 직경을 정 규격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띠형 받침부재(12)들의 설치간격 만큼인 약 28mm의 간격으로 가감 조절하여 배관할 수 있으며, 또한 지그재그형태의 배관에서 그 꺽임부의 반원호부의 위치를 가로 세로 양방향에 걸쳐서 224mm의 간격마다 임의의 위치에서 배열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의 구성에 의하면, 가로방향으로도 112mm의 간격으로 배관이 가능하여서, 하나의 분배헤더에서 여러 줄의 공급관과 환수관이 다중 난방처로 분배 배관되어야 하는 온돌시공에서, 각각의 공급관과 환수관들을 좁은 간격으로 용이하게 배관할 수 있고 분배헤더와의 연결 작업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온수 방열관 배열 구성을 만 족시킬 수 있으면서 시공시간의 절약과 시공비의 절감 및 건식 온수 온돌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의 구성은 도 15~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띠형 받침부재(12)들 간의 세로 방향 간격사이의 공간에서 밑판부분에 대하여, 슬릿형 통공부(15)를 더 포함한 다른 실시예 재료 절감형 배관판넬(10a)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 재료 절감형 배관판넬(10a)의 구성에 의하면, 사출 또는 압출에 의하여 제작되는 성형공정에서 성형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밑판(11)에서 직교방향으로 성형되는 띠형 받침부재(12)들과 인접한 부근에서 수축시의 땡김 현상들의 성형 트러블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의 구성은 도 17~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판(11a)의 상면으로, 4변 가장자리에는 온수 방열관의 반 직경에 상응하는 폭을 남겨두면서, 세로방향으로는 좌우 폭을 8 등분한 7개소의 세로선(18a)(18b)(18c)(18d)(18e)(18f)(18g) 상에, 가로방향으로는 상하 폭을 4 등분한 3개소의 가로선(17a)(17b)(17c) 상에 대하여, 온수 방열관의 직경을 수용하는 높이와 폭을 갖는 직선 배관 공간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직선 배관 공간부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부에서는 일 실시예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에서의 각각의 띠형 받침부재(12)들이 배열된 원호형군, 반원호형군, 1/4 반원형군 형태에서 각각 2개씩의 띠형 받침부재(12)들을 외단부는 원호띠로 연결하고 내단부를 직선띠로 연결하는 입방체 틀형 받침부재(13)들과, 4개의 짧은 띠형 받침부재(12a)들과 이들의 좌우측의 4개의 삼각돌기 받침부재(12b)들도 각각 2개씩 묶어 외단부는 원호띠로 연결하고 내단부를 직선띠로 연결하는 입방체 틀형 삼각 받침부재(14)들을 각각 밑판(11a)과 일체의 구조물로 형성하여서, 중앙부에서는 원형군으로, 사방 변 가운데 측에는 상기 중앙부 원형군 형태의 반 원호형군으로, 네 귀에는 상기 중앙부 원형군 형태의 1/4 원호형군들 형태로 배치되어 상하 간과 좌우측 간에 각각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받침부재들이 형성되고, 이들 반원호형군과 원호형군 받침부재들의 주위로 반원호형과 원호형의 배관 공간부가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 입방체 틀형 배관판넬(10b)의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일 실시예 입방체 틀형 배관판넬(10b)의 구성에 더하여 도 19~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입방체 틀형 받침부재(13)들의 상면과 입방체 틀형 삼각 받침부재(14)의 상면을 판면으로 마감한 갑체형 받침부재(13a)들과 갑체형 삼각 받침부재(14a)의 받침부재들을 구비한 또 다른 실시예의 갑체형 배관판넬(10c)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 입방체 틀형 배관판넬(10b)과 갑체형 배관판넬(10c)의 구성에 의하면, 세로방향으로의 배관간격만이 최소 56mm로 줄어들지만 입방체 틀형 받침부재(13)들과 입체형 틀형 삼각 받침부재(14)들과, 갑체형 받침부재(13a)들이 일 실시예의 띠형 받침부재(12)들에 비하여 밑판(11a)에 갑체형으로 입설되어서 수직하중에 대한 응력이 높아지므로, 띠형 받침부재(12)들에 해당하는 수직부재의 두께를 압출성형에서 요구되는 최소 두께 규격인 3mm 까지 줄여서 재료비를 절감할 수도 있고, 단위 두께는 줄어들지만 받침부재들이 전체 형태가 갑체형으로 형성되므로 받침부재 기능 중의 하나인 온돌판의 받침 기능에 대하여 높은 내구성을 더욱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도 21~2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목적을 구현하는 다른 실시예 건식 전기온돌용 배관판넬(2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 건식 전기온돌용 배관판넬(20)의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의 구성을 그대로 기본재로 원용하는 밑판(21)과 띠형 받침부재(22)를 구비하면서, 그 띠형 받침부재(22)들 간의 공간부에 전기 전열관의 방열 온도에 견디는 내열성 발포 폴리스티렌을 발포 충진한 발포 충진층(23)을 형성하고, 그 발포 충진층(23)의 표면에 전기 전열관(EP)이 수용되는 반원형 단면의 배관홈(24)들을 일 실시예의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에 형성되는 배관홈의 형태로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의 건식 전기온돌용 배관판넬(20)의 구성은, 밑판(21)을 하면으로 하고 배관홈(24)들을 상면으로 하여, 전술한 일 실시예의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 판넬(10)과 동일한 시공방법으로 난방바닥에 여러 장 사방으로 잇대어 시공하고, 도 23~24와 같이 배관홈(24)들에 대하여 전기 전열관(EP)을 지그재그형으로 배관하는 구성으로 사용된다.
상기 건식 전기온돌용 배관판넬(20)에서 배관홈(24)들에 대하여 전기 전열관(EP)을 지그재그형으로 배관하는 구성에는 상방으로의 열 확산을 위한 수단으로서 도 25~26과 같이, 중간부는 전기 전열관(EP)을 수용하여 상기 배관홈(24)들에 안착되는 반원형 단면 배관부재로 되고 양측으로 걸침 플랜지를 갖는 배관 유도판(RL2)을 개재시켜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건식 전기온돌용 배관판넬(20)의 구성에 의하면, 전기 전열관(EP)을 배관하는 건식 전기 온돌용 배관판넬로 제공됨에 있어서, 별도의 금형비의 투자없이도 일 실시예의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을 기자재로 그대로 사용하면서, 추가적으로 그 띠형 받침부재(22)들 간의 공간부에 전기 전열관(EP)의 방열 온도에 견디는 내열성 발포 폴리스티렌을 발포 충진한 발포 충진층(23)을 형성하고, 그 발포 충진층(23)의 표면에 전기 전열관(EP)이 수용되는 반원형 단면의 배관홈(24)들을 형성하는 단순 공정에 의하여 건식 전기 온돌용 배관판넬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시설비와 제작비의 절감은 물론 보온성이 우수하고 정 규격의 배관간격으로 지그재그 배관이 용이한 건식 전기온돌용 배관판넬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상기 다른 실시예 건식 전기온돌용 배관판넬(20)의 구성은, 상기 띠형 받침부재(22)들 간의 공간부에 전기 전열관의 방열 온도에 견디는 내열성 발포 폴리스티렌을 발포 충진한 발포 충진층(23)을 형성하는 구성에 추가하여, 발포 폴리스티렌의 레진에 숯, 황토, 옥돌, 게르마늄돌, 맥반석, 원적외선 방사 바이오세라믹, 알루미나 실리카질 광물, 마그네시아 광물, 음이온석 또는 기타의 기능성 합성, 천연 물질들 중에서 한 종류 이상 가루형태로 혼합하여 발포하는 구성의 건식 전기온돌용 기능성 배관판넬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건식 전기온돌용 기능성 배관판넬에 의하면, 온돌 바닥이나 실내 환경에 대하여 제습, 탈취, 방취, 항균, 구충, 원적외선 방사 등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27에는 상기한 다른 실시예 건식 전기온돌용 배관판넬(20)의 구성을 원용하되, 발포 충진층(23)의 표면에 실시하는 배관홈(24)을 제거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의 건식 전기온돌시스템 판넬용 배관판넬(30)의 사용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건식 전기온돌시스템 판넬용 배관판넬(30)에 의하면, 강판재의 판넬형 갑체내에 전기 전열관(EP)이 내열 발포 폴리스티렌과 함께 내장된 다른 형식의 건식 온돌재인 전기온돌시스템 판넬(SP)의 시공시에 난방바닥(Ba)에 깔아 받침부재로 사용하면서 높은 단열성(보온성)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8~30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40)의 구성과 사용상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40)의 구성은, 상기 전술한 일 실시예의 건식 온수온돌용 배관판넬(10)의 구성을 그대로 원용하는 구성이면서, 추가적으로 각개의 띠형 받침부재(42)들의 사이의 공간부들에서 밑판(41)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 28mm의 등 간격에 걸쳐서 3mm에서 5mm 내외의 관통형 고정공(44)들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볼때 격자형 배열로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 관통형 고정공(44)들을 각개의 띠형 받침부재(42)들의 사이의 공간부들에서 밑판(41)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 28mm 등간격으로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격자형 배열로 형성하는 구성은, 온돌 시공 사용상태에서 전기 전열관(EP)을 가로 세로 어느 방향으로 지그재그 배열하던가, 또한 배관간격을 표준 배관간격인 224mm 이외의 임의의 간격으로 배관하더라도 이후에 설명되는 배관고정구(45)의 고정 장착위치를 시공자가 임의의 위치에서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배려되는 구성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세로 방향의 간격은 증감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40)의 구성에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띠형 받침부재(42)들 간의 공간부에 온수관의 방열 온도에 견디는 내열성 발포 폴리스티렌을 발포 충진한 발포 충진층(23)을 더 포함하는 보온성 강화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40a)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 충진층(23)에는 발포 폴리스티렌의 레진에 숯, 황토, 옥돌, 게르마늄돌, 맥반석, 원적외선 방사 바이오세라믹, 알루미나 실리카질 광물, 마그네시아 광물, 음이온석 또는 기타의 기능성 합성, 천연 물질들 중에서 한 종류 이상 가루형태로 혼합 발포하여서 보온성과 기능성을 갖는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40)(40a)들의 구성은, 도 32~34에 도시한 일 예의 습식 온돌 시공도와 같이, 밑판(41)을 상면으로 하여 난방바닥(Ba)에 사방으로 잇대어 깔은 후에, 그 상면에 전기 전열관(EP)을 지그재그형으로 배관하면서, 배관되는 전기 전열관(EP)의 직선부나 굴곡부에 임의의 간격으로, 전기 전열관(EP)의 상면을 감싸주는 반원 클립(45a)과 이 반원 클립(45a)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클립 고정핀(45b)을 갖는 배관고정구(45)를 사용하여, 배관 고정구(45)의 클립 고정핀(45b)을 상기 고정공(44)에 압박시켜 끼워서 전기 전열관(EP)을 고정하는 구성으로 배관을 시공한다.
상기 방법으로 밑판(41)의 상면에 전기 전열관(EP)들이 지그재그형으로 배관되면, 그 면에 일정 두께의 시멘트 몰탈층(48)으로 온돌층을 시공하고, 장판(VL) 또는 마루판을 덮어 습식 온돌을 마감한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40)(40a)의 구성에 실시되는 배관고정구(45)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다른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5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 배관고정구(46)와 같이, 전기 전열관(EP)을 감싸는 클립은 전기 전열관(EP)의 밑단까지 받쳐주는 C형 클립(46a)으로 형성하고, 고정핀은 분리형 고정핀(46b)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6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 배관고정구(47)와 같이, 전기 전열관(EP)을 감싸는 클립은 전기 전열관(EP)의 전체를 감싸는 밴드형 클립(47a)으로 형성하고, 고정핀은 분리형 고정핀(47b)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40)의 구성에 대하여도, 도 15~16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 재료 절감형 배관판넬(10a)과 동일한 방식으로, 성형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성형공정에서 수축 땡김 현상들의 성형 트러블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각각의 띠형 받침부재(42)들 간의 세로 방향 간격사이의 공간에서 밑판(41) 부분에 대하여, 격자형으로 배치된 고정공(44)을 피하여 그 주변으로 슬릿형 통공(49)을 형성하는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40b)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40)의 구성에 대하여, 도 17~도18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입방체 틀형 배관판넬(10b)의 구성과 동 일한 방식으로 입방체 틀형 받침부재(43)와 입방체 틀형 삼각 받침부재(43a)를 구비하여 동일한 효과를 갖는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40c)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자유 배관형 배관판넬(40)(40a) (40b)(40c)들의 구성에 의하면, 전기 전열관(EP) 또는 온수 방열관 등의 방열관을 사용하는 습식 온돌의 시공에 있어서, 방열관의 배관시에 난방바닥(Ba)에 깔아 배관 받침부재로 사용하여 방열관의 지그재그 배관을 자유 형태로 용이하게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높은 단열성(보온성)도 확보할 수 있고, 발포 충진층(23)이나 또한 상기 발포 충진층(23)에 발포 폴리스티렌의 레진과 함께 숯, 황토, 옥돌, 게르마늄돌, 맥반석, 원적외선 방사 바이오세라믹, 알루미나 실리카질 광물, 마그네시아 광물, 음이온석 또는 기타의 기능성 합성, 천연 물질들 중에서 한 종류 이상 가루형태로 혼합하여 발포한 습식 온돌용 기능성 배관판넬로 실시하면, 시멘트 몰탈로 된 온돌 바닥이나 실내 환경에 대하여 제습, 탈취, 방취, 항균, 구충, 원적외선 방사 등의 특성을 갖는 기능성 배관판넬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여러 실시예들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구성이 상술한 여러 실시예의 구성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의 전체 외형 규격은 예시한 정방형 규격 외에도 두 장을 좌우 또는 상하로 합친 장방형 규격으로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배관판넬 밑판의 두께와 전체 외형 규격은, 이러한 종류의 배관판넬들은 주로 합성수지재로 압출성형되는 제품이므로, 성형성과 제품의 내구성을 고려하면 두께를 3mm 이상 10mm 이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성형에 트러블이 없거나 다른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범위 이외의 규격으로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전체 외형 규격은 사방 400mm~450mm 의 정방형으로 형성하면 전술한 여러 시공 사용상태에서와 같이 다양한 평수의 난방처에 따라서 사방으로 연속적으로 잇대어 설치하였을 때에, 현재 실시되고 있는 표준 배관간격을 크게 넘지 않는 범위에서 온수온돌배관이나 전기 전열관을 배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한 규격으로 제안되는 것이며, 또한 제품 성형용 금형의 크기를 적정하게하여 금형제작단가를 낮추고 제작시에 압출성형기의 용량도 소형화하여 생산의 용이성과 성형단가를 줄일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한 규격으로 제시되는 것이지만, 배관 간격을 표준 규격인 224mm 보다 더 줄이거나 늘려서 시공하는 경우에는 이에 따라서 증감시켜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띠형 받침부재의 두께 및 높이와 간격들은 사용되는 방열관이 특정 규격일 경우에는 그에 맞추어 가감 조절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에 제공된 건식, 습식 온돌용 배관판넬들에 비하여 다양한 배관 규격 및 형태로 특히 가로 방향으로도 좁은 간격으로 온수 방열관이나 전기 전열관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유도 배관할 수 있어서, 종래의 온돌용 배관판넬의 단점인 분배헤드와의 연결 난해성을 해결하며, 부가적인 보강띠나 격자형 통공들의 실시에 의하여, 또는 발포 충진층이나 배관홈들의 구성에 의하여 건식 온돌용은 물론 습식 온돌용의 배관판넬이나 전기온돌시스템 판넬용의 보온성 배관판넬로도 전환 제작이나 사용이 용이한 다목적 배관판넬의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띠형 받침부재들 사이에 직접적으로 또는 발포 충진층의 발포 레진에 숯, 황토, 옥돌, 게르마늄돌, 맥반석, 원적외선 방사 바이오세라믹, 알루미나 실리카질 광물, 마그네시아 광물, 음 이온석 또는 기타의 기능성 합성, 천연 물질들 중에서 한 종류 이상 가루형태로 혼합하여 충진함으로서, 주로 시멘트 몰탈로 구축되는 난방바닥이나 벽체로부터의 시멘트 독성을 중화시키고, 또한 실내 인테리어부재에서 발생하는 각종 환경오염물질에 대하여 탈취, 방취 및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이 서식하기 어려운 항균, 구충 등의 환경조성에 일조할 수 있는 특성과 함께 원적외선 방사와 제습의 작용으로 악취 등 냄새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물질과 피로 유발 물질들을 분해, 중화시키고, 실내에 인테리어 장식형으로 적은 양의 또는 작은 크기의 기능성 부재들을 노출시켜 사용하는 방법과 비교하여서, 넓은 면적에 걸쳐서 월등한 실내 습도 조절의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새집 증후군을 저감시킬 수 있는 친환경건축자재로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배관판넬 제조자 측에게는 적은 수의 금형비용에 의하여 다양한 모델을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구매 후에도 시공방법의 전환이 가능하며, 건식 온돌용 또는 습식 온돌용 배관판넬의 시공시간과 시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난방바닥과의 뛰어난 단열성과 함께 흡음성도 발휘되며, 난방효율의 증대와 난방비의 절감 및 고품질의 건식, 습식 온돌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한 효과들은 궁극적으로 건식 온돌의 수요를 촉진하여 배관판넬의 판매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는 소정 두께의 정방형 밑판을 기재로 하여, 이 밑판의 상면에는 세로방향에 걸쳐서 온수 방열관의 직경을 수용하는 높이와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수 십줄 돌출되는 띠형 받침부재를 일체의 구조물로 구비하되, 상기 수 십줄의 띠형 받침부재들의 배열 형태는 평면적으로 볼 때,
    밑판의 사방 변에서는 배관될 방열관 직경의 1/2 규격의 배관 공간부를 두고 형성하고, 상하 폭 간에는 상하 폭을 4등분하는 3개소의 가로선 상에 대하여, 배관 될 방열관을 수용하는 폭을 갖는 3줄의 배관 공간부를 두고 형성하면서,
    중앙부에서는 원형군으로, 사방 변들 각각의 중간부 측에는 상기 중앙부 원형군 형태의 반 원호형군으로, 네귀에는 상기 중앙부 원형군 형태의 1/4 원호형군들 형태로 형성되어, 이들 서로 간에는 배관 될 방열관을 수용하는 폭을 갖는 원호형 배관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받침부재들 사이의 세로 공간부에 접하는 밑판부분에 대하여 일정 폭의 슬릿형 통공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관이 배관되는 띠형 받침부재들 간의 공간부에, 또는 방열관이 배관되는 띠형 받침부재들 간의 공간부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부들 중에서 어느 한 종류의 공간부에 대하여, 온돌 바닥에 제습, 탈취, 방취, 항균, 구충, 원적외선 방사 등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숯, 황토, 옥돌, 게르마늄, 맥반석, 원적외선 방사 바이오세라믹, 알루미나 실리카질 광물, 마그네시아 광물, 음 이온석 또는 기능성 합성, 천연 물질들 중에서 어느 한 종류 이상 충진시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받침부재들 간의 공간부에 전기 전열관의 방열 온도에 견디는 내열성 발포 폴리스티렌을 충진하여 발포 충진층을 형성하고, 상기 발포 충진층을 상방으로 하여 그 발포 충진층의 상면에, 전기 전열관이 수용되는 반원형 단면의 배관홈들을 구비하여 상기 배관 공간부와 동일 형태로 구비하여 건식 전기온돌용 배관판넬 전용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충진층에는 온돌 바닥에 대하여 제습, 탈취, 방취, 항균, 구충, 원적외선 방사 등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숯, 황토, 옥돌, 게르마늄돌, 맥반석, 원적외선 방사 바이오세라믹, 알루미나 실리카질 광물, 마그네시아 광물, 음이온석 또는 기능성 합성, 천연 물질들 중에서 어느 한 종류 이상 가루형태로 혼합 또는 함유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받침부재들 간의 공간부들 각각의 위치에서 사방으로 밑판에 배관고정구를 위한 통공형 고정공들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격자형으로 수 십개 배열 형성하고, 상기 띠형 받침부재들을 윗면으로 위치시켜서 상면이 된 밑판에 대하여 배관될 온수관 또는 전기 전열관들을 단면상으로 전 둘레 또는 일부분을 구속하여 길이 상으로 일정 간격마다 상기 고정공들에 구속시켜 고정 배관하는 배관고정구들을 구비하여 습식 온돌용 배관판넬 전용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7.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소정 두께의 정방형 밑판(11a)을 기재로 하여, 상면 4변 가장자리에는 온수 방열관의 반 직경에 상응하는 폭을 남겨두면서, 세로방향으로는 좌우 폭을 8 등분한 7개소의 세로선(18a)(18b)(18c)(18d)(18e)(18f)(18g) 상에, 가로방향으로는 상하 폭을 4 등분한 3개소의 가로선(17a)(17b)(17c) 상에 대하여, 온수 방열관의 직경을 수용하는 높이와 폭을 갖는 직선 배관 공간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직선 배관 공간부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부에서는 중앙부에는 원형군으로, 사방 변 가운데 측에는 상기 중앙부 원형군 형태의 반 원호형군으로, 네 귀에는 상기 중앙부 원형군 형태의 1/4 원호형군들 형태로 배치되어 상하 간과 좌우측 간에 각각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되어서 각각의 원호형군 주위로 원호형의 배관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중앙의 원형군과 네변 중간부의 반 원호형군과 네 귀의 1/4 원호형군들을 이루는 입방체 틀형 받침부재(13)들과, 이들 입방체 틀형 받침부재(13)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입방체 틀형 삼각 받침부재(14)들을 상기 밑판(11a)과 일체의 구조물로 구비하는 입방체 틀형 배관판넬(10b)로 구성함을 특징을 하는 다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KR2020060006192U 2006-03-08 2006-03-08 다 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KR200426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192U KR200426597Y1 (ko) 2006-03-08 2006-03-08 다 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192U KR200426597Y1 (ko) 2006-03-08 2006-03-08 다 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605A Division KR20070091893A (ko) 2006-03-08 2006-03-08 다 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597Y1 true KR200426597Y1 (ko) 2006-09-19

Family

ID=4177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192U KR200426597Y1 (ko) 2006-03-08 2006-03-08 다 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5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995A (ko) * 2018-05-24 2019-12-04 정의갑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온수 온돌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995A (ko) * 2018-05-24 2019-12-04 정의갑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온수 온돌 조립체
KR102149492B1 (ko) * 2018-05-24 2020-08-28 정의갑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온수 온돌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97969B2 (en) Side panel for heating room and construction process
KR101188201B1 (ko) 온돌용 다 목적 배관판넬
KR20070091893A (ko) 다 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KR200426597Y1 (ko) 다 목적 온돌용 배관판넬
KR20110029322A (ko) 난방용 배관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71581A (ko) 마그네슘 방열판, 상기 마그네슘 방열판을 포함하는 온돌 패널 및 상기 온돌 패널을 포함하는 온돌 패널 시스템
KR20100086666A (ko) 복사 냉난방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E4241169A1 (de) Beheizbare Verkleidung, insbesondere von Betonwänden
EP1609924A1 (en) Prefabricated building, floor element for such a buil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oor element
JP2005201601A (ja) 建物の暖房システム。
KR101318200B1 (ko) 황토 방바닥의 난방장치
KR100847798B1 (ko) 난방용 패널의 시공방법
JPH04293839A (ja) 天井パネル
DE19819230A1 (de) Heizvorrichtung für einen Raum
JPH08254350A (ja) 空調空気の吹出式床構造
CN219080731U (zh) 一种装配式房屋恒温墙体及装配式房屋
JP3403933B2 (ja) 床暖房用の床パネル
JP3191211U (ja) ボイドスラブ
KR20020060915A (ko) 난방배관용 방음 판넬
KR200291665Y1 (ko)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
KR102448632B1 (ko) 심미성과 효율성을 고려한 복사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171674Y1 (ko) 자연석블럭을이용한조립식사우나실
JP2002285721A5 (ko)
KR101981381B1 (ko) 보온력과 견고성을 겸비한 수지재의 난방배관용 지지판
KR200279315Y1 (ko) 건식 온돌용 배관판넬과 건식 온돌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