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665Y1 -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665Y1
KR200291665Y1 KR2020020021658U KR20020021658U KR200291665Y1 KR 200291665 Y1 KR200291665 Y1 KR 200291665Y1 KR 2020020021658 U KR2020020021658 U KR 2020020021658U KR 20020021658 U KR20020021658 U KR 20020021658U KR 200291665 Y1 KR200291665 Y1 KR 200291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nel assembly
heating
insect repell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명우
Original Assignee
허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명우 filed Critical 허명우
Priority to KR2020020021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6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66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파이프의 시공성이 우수하도록 하면서도 결로현상의 방지와 소음 및 충격흡수력의 향상은 물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함으로서 시공성의 향상과 더불어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난방을 위한 난방파이프(32)를 용이하게 배관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돌패널어셈블리(3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온돌패널어셈블리(30)는 충격흡수력이 뛰어난 재질로 성형되는 방충재(31)와;
상기 방충재(31)의 상방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비철금속재질로 성형되어 난방파이프(32)의 배관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밀착되는 배관판(33)과;
상기 방충재(31)와 배관판(33) 상간에 개재되는 방음재(34)로 구성하고;
상기 배관판(33)은 방충재(31)와 밀착되도록 판상타입으로 구비되는 베이스(35)와;
상기 베이스(35)의 중앙에 상향경사지게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파이프가이드(36)와;
상기 파이프가이드(36)의 중앙에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향경사지게 형성하는 요입홈(37)과;
상기 파이프가이드(36)의 내부에 형성되는 링형태의 공간에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도록 충진되는 방사체(38)와;
상기 파이프가이드(36)의 상면에는 공기를 유통시켜 결로현상을 방지하면서 방사체(38)로 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이 방바닥위로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통공(39,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Panel assembly for the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본 고안은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배관 시공시 배관의 열을 보다 용이하게 상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인체에 유익함을 주는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출하는 기능을 더 가지도록 한 개선된 온돌패널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난방은 동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낮을 때 추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산업현장이나 일반 상업용 건축물의 경우에는 스팀시스템과 온품시스템과 같은 대형장치를 주로 사용하게 되고, 일반 가정에서는 방바닥에 난방배관을 매설한 후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순환시킴으로서 방바닥을 가열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있다.
상기와 같이 가정용 난방을 위하여 보일러와 연결되는 난반배관을 방바닥에매설함에 있어 아주 오래전에는 평평하게 한 방바닥애 바로 난방배관을 못이나 철사를 이용하여 유동하지 않도록 배관한 후 그 위를 항상 몰탈로서 마감하여 완성하였다.
이러한 경우 난방배관을 유동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 등 시공성이 좋지 못하여 근자에 들어 개발된 것이 온돌패널이며 이를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종래기술이 적용되는 온돌패널어셈블리(1)는;
상당한 크기를 가지는 판상형태의 폴리우레탄폼(2)을 구비하고 상기 폴리우레탄폼(2)의 상면에는 절두원추형상의 융출부(3)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한 금속판재(4)를 부착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사용은 도 6에서와 같이, 방바닥에 온돌패널어셈블리(1)를 밀착시킨 후 그 상방에 구비되는 융출부(3)를 통하여 난방파이프(5)를 배관한 후 몰탈이나 패널로 피복하여 마감함으로서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난방수가 순환하는 난방파이프로부터 열을 전도받는 금속판재의 특성상 열을 빠르게 흡수하고 빠르게 냉각되기 때문에 은은한 난방상태를 지속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특히, 금속판재의 특성상 고온과 저온상태가 빠르게 반복됨으로서 결로(結露)현상으로 인한 금속판재의 부식우려성이 높고 이로인한 온돌패널어셈블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원인이 된다.
온돌패널어셈블리가 폴리우레탄폼에 금속판재를 단순하게 결합한 형태를 취함으로서 방바닥 위의 소음과 충격이 그대로 전도되어 하층으로 전달되기 때문에아파트와 같은 다가구주택의 시공에 적합하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온돌패널어셈블리의 크기가 상당히 크고 이에 형성되는 융출부또한 상당히 많은 수가 형성됨으로서 난방파이프 배관시 방향전환 과정에서 선로가 헷가리는 등 원활한 시공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난방파이프의 시공성이 우수하도록 하면서도 결로현상의 방지와 소음 및 충격흡수력의 향상은 물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함으로서 시공성의 향상과 더불어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를 파절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적용된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온돌패널어셈블리
31; 방충재
32; 난방파이프
33; 배관판
34; 방음재
35; 베이스
36; 파이프가이드
38; 방세체
39,40; 통공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를 파절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적용된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온돌패널어셈블리(30)는,
충격흡수력이 뛰어난 스티로폼이나 압축스티로폼으로 성형되는 정방형상의 방충재(31)를 구비하고, 상기 방충재(31)의 상방에는 금속 또는 비철금속으로 성형되어 배관되는 난방파이프(32)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 배관판(33)을 밀착시키고, 상기 방충재(31)와 배관판(33) 상간에는 필름지와 같은 방음재(34)를 개재하여 구성한다.
상기 배관판(33)은 방충재(31)와 밀착되는 판상타입의 베이스(35)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35)의 중앙에는 상향경사지게 돌출되는 파이프가이드(36)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파이프가이드(36)의 중앙에는 배관판(33) 자체가 외압에 의하여 휨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면서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향경사진 요입홈(37)을 형성한다.
상기 파이프가이드(36)의 내부에 형성되는 링형태의 공간에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의 방사나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도록 옥이나 맥반석, 숯, 황토나 이들의 분말을 성형한 방사체(38)를 충진한다.
상기 파이프가이드(36)의 상면에는 공기를 유통시켜 배관판(33)의 결로(結露)현상을 방지하면서 방사체(38)로 부터 나오는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이 방바닥위로 전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39,40)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온돌패널어셈블리(30)의 전체폭(B)은 배관되는 난방파이프(32)와 난방파이프(32)의 중심(CL)간의 거리와 동일한 배관간격(T)만큼의 크기가 적합하며, 양측의 베이스(35)끝부분은 난방파이프(32)의 저면과 연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이프가이드(36)의 높이(H)는 난방파이프(32)의 외경(D)보다 약간 크게하여 배관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파이프가이드(36)의 경사면(41)의 일부는 난방파이프(32)의 중심 하측부위와 연접될 수 있는 경사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난방하고자 하는 실내의 바닥면에 온돌패널어셈블리(30)를 실내 전체면적에 걸쳐 밀착시키고, 온돌패널어셈블리(30)의 상방에 돌출된 파이프가이드(36)와 파이프가이드(36) 사이의 공간(S)에 난방파이프(32)를 통상적인 배관방법과 같이 지그재그타입으로 배관한다.
이때 하나의 온돌패널어셈블리(30)가 가지는 전체폭(B)은 배관되는 난방파이프(32)의 중심(CL)에서 중심(CL)까지의 거리인 배관간격(T)과 동일하기 때문에 배관을 위하여 별도로 간격을 결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게된다.
특히 배관 과정에서 방향전환 부위에서 배관판(33)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파이프가이드(36)가 배관간격(T)만큼의 크기를 가지는 원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쉽게 가이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관을 완료한 상태에서 온돌패널어셈블리(30)의 상방에 몰탈로 마감하거나 별도의 판상부재로 마감하여 온돌 방바닥을 완성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보일러를 작동시킬 경우 난방파이프(32)로 온수가 순환하면서 열을 온돌패널어셈블리(30)로 전달함으로서 난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난방과정에서는 난방파이프(32)의 고열이 배관판(33)의 파이프가이드(36)로 전달되어 배관판(33) 자체가 가열 및 냉각이 반복되더라도 결로현상이 발생하지 않게되고, 오히려 난방과 함께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출하여 인체에 유익함을 주게된다.
이는 파이프가이드(36)에 형성되는 공간에 옥이나 맥반석, 숯, 황토나 이들의 분말을 성형한 방사체(38)를 충진한 상태에 있어 빈 공간이 없고, 파이프가이드(36)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형성한 통공(39,40)을 통하여 열기는 물론 방사체(38)로부터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방출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난방파이프의 시공성이 우수하도록 하면서도 결로현상의 방지와 소음 및 충격흡수력의 향상은 물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함으로서 시공성의 향상과 더불어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난방을 위한 난방파이프(32)를 용이하게 배관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돌패널어셈블리(3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온돌패널어셈블리(30)는 충격흡수력이 뛰어난 재질로 성형되는 방충재(31)와;
    상기 방충재(31)의 상방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비철금속재질로 성형되어 난방파이프(32)의 배관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밀착되는 배관판(33)과;
    상기 방충재(31)와 배관판(33) 상간에 개재되는 방음재(34)로 구성하고;
    상기 배관판(33)은 방충재(31)와 밀착되도록 판상타입으로 구비되는 베이스(35)와;
    상기 베이스(35)의 중앙에 상향경사지게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파이프가이드(36)와;
    상기 파이프가이드(36)의 중앙에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향경사지게 형성하는 요입홈(37)과;
    상기 파이프가이드(36)의 내부에 형성되는 링형태의 공간에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도록 충진되는 방사체(38)와;
    상기 파이프가이드(36)의 상면에는 공기를 유통시켜 결로현상을 방지하면서 방사체(38)로 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이 방바닥위로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통공(39,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패널어셈블리(30)의 전체폭(B)은 배관되는 난방파이프(32)와 난방파이프(32)의 중심(CL)간의 거리와 동일한 배관간격(T)만큼의 크기이고;
    상기 베이스(35)의 끝부분은 난방파이프(32)의 저면과 연접되도록 하고;
    상기 파이프가이드(36)의 높이(H)는 난방파이프(32)의 외경(D)보다 약간 크게하고;
    상기 파이프가이드(36)의 경사면(41)의 일부는 난방파이프(32)의 중심 하측부위와 연접될 수 있는 경사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
KR2020020021658U 2002-07-20 2002-07-20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 KR200291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658U KR200291665Y1 (ko) 2002-07-20 2002-07-20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658U KR200291665Y1 (ko) 2002-07-20 2002-07-20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665Y1 true KR200291665Y1 (ko) 2002-10-11

Family

ID=7312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658U KR200291665Y1 (ko) 2002-07-20 2002-07-20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66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1544A1 (en) * 2003-06-17 2004-12-23 Jeong Tae Lee Indoor floor heating system
KR20050054512A (ko) * 2003-12-05 2005-06-10 주식회사 동양씨엠아이 난방관 배관용 판넬
KR100717291B1 (ko) 2003-06-26 2007-05-11 김덕환 찜질방의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1544A1 (en) * 2003-06-17 2004-12-23 Jeong Tae Lee Indoor floor heating system
KR100717291B1 (ko) 2003-06-26 2007-05-11 김덕환 찜질방의 시공방법
KR20050054512A (ko) * 2003-12-05 2005-06-10 주식회사 동양씨엠아이 난방관 배관용 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179B1 (ko) 다중 축열 구들
KR20160069169A (ko) 난방용 온수판넬
KR200291665Y1 (ko)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
KR20180119335A (ko) 조립식 난방 패널
KR200467659Y1 (ko) 건물의 층간소음 차단을 위한 바닥구조
KR101858332B1 (ko) 조립식 온수판넬장치
WO2004111544A1 (en) Indoor floor heating system
KR20170073377A (ko) 온수 난방용 건식온돌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87296Y1 (ko) 난방 배관용 바닥판
KR200197456Y1 (ko) 온수온돌용동파이프금속배관광판
KR20110110688A (ko) 층간소음을 차단하는 온돌패널 및 그 조립체
KR200394430Y1 (ko) 난방용 조립식 패널어셈블리
JP2006194080A (ja) 冷暖房設備の二重床構造および床吹出し空調・冷暖房装置
KR200300616Y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JP3798315B2 (ja) 床暖房装置
JP4095037B2 (ja) 暖房可能な浴室床
JP3980458B2 (ja) 掃き出し窓におけるコールドドラフト防止システム
JPS5852129B2 (ja) 建築物における床暖房工法
KR200344793Y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히트패널
KR100438878B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판넬
JP2010071584A (ja) 床暖房用配管マット
JP2002081161A (ja) 温風床暖房用大引き
JP2006284053A (ja) 床暖房設備
JP3744603B2 (ja) 暖房装置
KR960006514Y1 (ko) 다목적 조립식 온돌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