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899B1 -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899B1
KR102394899B1 KR1020210141807A KR20210141807A KR102394899B1 KR 102394899 B1 KR102394899 B1 KR 102394899B1 KR 1020210141807 A KR1020210141807 A KR 1020210141807A KR 20210141807 A KR20210141807 A KR 20210141807A KR 102394899 B1 KR102394899 B1 KR 102394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ixture
loess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환
신갑균
Original Assignee
하나로산업 주식회사
한용환
신갑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로산업 주식회사, 한용환, 신갑균 filed Critical 하나로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1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5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rticles of expanded material, e.g. cellular concre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4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29C67/242Moulding mineral aggregates bonded with resin, e.g. resin concrete
    • B29C67/243Moulding mineral aggregates bonded with resin, e.g. resin concrete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29C67/248Moulding mineral fibres or particles bonded with resin, e.g. for insulating or roofing boar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10Burned or pyrolised refuse
    • C04B18/101Burned rice husks or other burned vegetabl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76Polyst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6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경화제 5 ~ 30중량부 및 고무조성물 10 ~ 20중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한 후 1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S10단계;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PG) 100중량부에 대해 난연제 5 ~ 20중량부 교반한 후 2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S20단계;와, 상기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교반한 후 3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S30단계;와, 상기 3차 혼합물에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MDI)를 1 : 1 ~ 1.7중량비로 혼합한 4차 혼합물로 생성하는 S40단계;와, 상기 4차 혼합물을 발포금형성형기에 투입 발포시켜 건조후 탈형하여 황토구들장을 완성하는 S50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S50단계의 황토구들장은 난연제와 발포 성형에 의해 준불연성 및 흡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LOESS PANEL WITH SEMI-INCOMBUSTIBILITY AND SOUND ABSORPTION}
본 발명은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토분말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난연제를 혼합시켜 발포에 따른 흡음성과 준불연성을 확보하고, 더불어 고무조성물을 첨가하여 충격흡수 및 유연성을 갖을 수 있도록 한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수준의 향상과 지식산업의 고도화 및 정보사회로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는 주거 공간의 절대 필요에 따라 날로 건축물의 대형화, 첨단화, 기능화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현실과 경제적 환경에 따른 친환경적 다기능적 건축물인 아파트, 고층빌딩 등의 고층화, 대형화는 필연적인 현상이다.
이에 건축자재의 경량, 불연, 단열. 보온 및 흡음을 동시에 충족시켜주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노력은 지속되어 왔으나, 층간 소음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기 위한 숙제를 안고 있다.
기존의 방음을 위한 기술은 스티로폼, 우레탄, 목모보드, 건식온돌, 기포콘크리트 등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건축 공기가 길어지고, 비용의 증가와 완전한 소음 차단제로서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일부 자재는 화재에 대한 더 큰 취약점을 지니고 있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그리고 스티롬폼과 우레탄의 Sell의 모양을 보면 Close Sell 이기 때문에 보온 단열성은 높으나 흡음성은 떨어지는 약점이 있고, 건식온돌은 바닥공기층을 형성시켜 다소의 흡음성은 있으나 재질의 특성 및 공법상 영구적 사용에 한계가 있고 특히 화재 시 소재로 인한 근본적 문제로 일정 발화점이 지나면 유독까스 배출에 대한 문제점과 흡수충격에 약한 면이 있다.
기포콘크리트는 Open Sell이라기 보다는 Close Sell에 가까워 이 또한 흡음성이 약하고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는 한계가 있다.
선행문헌으로는 "건식난방패널 및 이 건식난방패널 제조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1924호)"이 있는데, 이러한 선행문헌은 축열성과, 난방에만 주안점을 두고 제작되어 충격에 약하고, 층간소음을 억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계속되는 층간소음은 물론 준불연성과, 충격에 강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황토분말을 이용한 건축자재를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19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황토분말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난연제를 혼합시켜 발포에 따른 흡음성과 준불연성을 확보하고, 더불어 고무조성물을 첨가하여 충격흡수 및 유연성을 갖을 수 있도록 한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황토를 주재질로 하여 친환경적이면서, 미세 기공을 높여 흡음성과 압축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참숯을 첨가하여 탈취효과를 갖을 수 있도록 한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경화제 5 ~ 30중량부 및 고무조성물 10 ~ 20중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한 후 1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S10단계;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PG) 100중량부에 대해 난연제 5 ~ 20중량부 교반한 후 2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S20단계;와, 상기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교반한 후 3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S30단계;와, 상기 3차 혼합물에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MDI)를 1 : 1 ~ 1.7중량비로 혼합한 4차 혼합물로 생성하는 S40단계;와, 상기 4차 혼합물을 발포금형성형기에 투입 발포시켜 건조후 탈형하여 황토구들장을 완성하는 S50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S50단계의 황토구들장은 난연제와 발포 성형에 의해 준불연성 및 흡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난연제는 APP(Amonium Polyphosphate) 55중량% ~ 65중량%와, Dbdo(Decabromo Diphenyl Oxide) 8중량% 내지 18중량%와, Sb2O 8중량% 내지 14중량%와, Zb(Zinc Borate) 6중량% 내지 12중량%와, 수산화알루미늄 5중량% ~ 11중량%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S50단계의 발포금형성형기는 50 ~ 60℃ 온도 범위를 갖고, 4차 혼합물의 팽창압력을 1 ~ 3톤의 압력으로 억제하여 황토 구들장의 미세기공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고무조성물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40 ~ 50중량부와, 카본블랙 5 ~ 10중량부 및 중공형 실리카 10 ~ 15중량부에 첨가제로 스테아린산 1 ~ 1.5중량부와, 석유수지 1.5 ~ 2중량부와, 노화방지제 1 ~ 2중량부와, 분산제 1.5 ~ 2중량부 및 티아졸계 가황촉진제 1 내지 2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S10단계의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하 5 ~ 10중량부의 참숯분말이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에 따르면, 황토분말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난연제를 혼합시켜 발포에 따른 흡음성과 준불연성을 확보하고, 더불어 고무조성물을 첨가하여 충격흡수 및 유연성을 갖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를 주재질로 하여 친환경적이면서, 미세 기공을 높여 흡음성과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참숯을 첨가하여 황토의 습도조절을 가일층 형상시키고, 화학 성분을 탈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에 따른 순서도.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황토를 주재질로 하여 친환경적이면서 미세 기공을 높여 경량성을 확보하고, 더불어 황토분말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난연제를 혼합시켜 발포에 따른 흡음성과 준불연성을 갖는 것은 물론, 고무조성물을 첨가하여 충격흡수 및 유연성을 갖도록 한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은 S10단계 내지 S50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S10단계는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경화제 5 ~ 30중량부 및 고무조성물 10 ~ 20중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한 후 1차 혼합물을 생성한다.
여기서 황토분말은 0.5mm 내지 5mm 정도의 입자 크기를 갖는 가루알갱이 형태로서, 산화규소와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철과 산화마그네슘 등의 화학성분으로 구성되고, 카탈라아제와 디페놀 옥시다아제와 사카라아제와 프로테아제의 4가지 효소성분을 함유하는 등, 건축재료로 사용가능한 황토표준특성을 갖는 황토이면 무엇이든지 사용가능하다
여기서 황토분말의 입자가 0.5㎜ 미만이면 공극을 막아 투수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입자 범위의 상한치가 5㎜ 초과이면 다른 조성물과의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경화제는 황산칼슘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5 ~ 30중량부가 포함되도록 하여, 경화시 그 내부에 함유된 황토로부터 원적외선, 수분 등이 적절히 흡수 및 배출되고 독소 제거 및 분해, 정화 작용 등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전체 압축강도등 물성은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조성물은 황토 구들장에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10 ~ 20 중량부를 부가된다.
이러한 상기 고무조성물은 황토 구들장에 완충작용과 함께 외부 온도 변화나 지속적인 충격에 대한 유연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고무조성물은 황토 구들장에 하중이 가중될 경우, 크랙과 파손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겸한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고무조성물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40 ~ 50중량부와, 카본블랙 5 ~ 10중량부 및 중공형 실리카 10 ~ 15중량부에 첨가제로 스테아린산 1 ~ 1.5중량부와, 석유수지 1.5 ~ 2중량부와, 노화방지제 1 ~ 2중량부와, 분산제 1.5 ~ 2중량부 및 티아졸계 가황촉진제 1 내지 2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고무조성물에 중공형 실리카가 함유됨으로써 미세공동이 형성된 입자들이 분포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열전달을 통한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흡음 성능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실리카는 통상의 제조방법에 의 해 제조될 수 있는데, 알콕시실란의 수용액으로 액적을 만들고, 여기에 산을 가하여 상기 액적을 가수분해시킨 후, 다시 염기를 가하여 상기 액적을 결합시킴으로써 쉘을 형성한 후, 유기용매로 상기 쉘의 내부를 에칭하여 중공을 형성한 후, 이를 여과,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공형 실리카는 내부 공동이 50 내지 5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0단계는 상기 S10단계의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하 5 ~ 10중량부의 참숯분말이 더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참숯분말은 황토성분의 습도 조절 효과를 가일층 형상시키면서, 화학 성분의 악취를 흡착하는 탈취효과를 갖는다.
여기서 참숯분말이 5중량부 이하일 경우에는 탈취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10중량부 이상일 경우에는 황토 구들장의 색상과, 황토의 고유 기능이 희석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S10단계는 제1혼합물이 경화제에 의한 경화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물 1 내지 10중량부가 더 혼합할 수 있다.
S20단계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PG) 100중량부에 대해 난연제 5 ~ 20중량부 교반한 후 2차 혼합물을 생성한다.
상기 2차 혼합물은 1차 혼합물에 항균성과 내가수분해성 및 난연성과, 자기소화성과 화염의 부확장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PG)은 활성화수소(-OH, NH2)를 2개이상 가진 개시제에 산화프로필렌(PO) 또는 산화에틸렌(EO)을 부가시켜 제조되며, PPG(propylene glycol), PTMEG(tetramethylene glycol), PEG(ethylene glycol) Polyester에 비해 내가수분해성 및 저온특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이러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액상으로 이루어지며, 폴리우레탄이 가지는 내마모성, 찢김강도, 유연성, 내유성, 내열성, 탄성력의 특징과 더불어 열과 수분이 동시 접촉시 항미생물성을 갖고, 또한 내가수분해성의 특징을 갖는다.
상기 난연제는 난연성 향상 및 유독가스를 억제하고, 더불어 자기소화성 및 화염의 부확장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난연제는 분말입자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APP(Amonium Polyphosphate) 55중량% ~ 65중량%와, Dbdo(Decabromo Diphenyl Oxide) 8중량% 내지 18중량%와, Sb2O₃ 8중량% 내지 14중량%와, Zb(Zinc Borate) 6중량% 내지 12중량%와, 수산화알루미늄 5중량% ~ 11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APP(암모늄 폴리포스테이트 : 폴리인산암모늄)는 무독성 난연제인 인계난연제의 대표적인 소재로 난연성이 뛰어나고 우레탄 수지와의 혼합성과 상용성이 뛰어나다.
이러한 APP는 대표전인 인-질소 난연제이며 백색 결정성 분물로서 고분자에서의 일반적인 작용은 연소과정에서 표면 코팅, 인 화합물의 증발에 의한 열소멸, 분해물의 희석, 용융 점도의 감소 등으로 인하여 난연제로서 역할을 한다. 인 함유량이 30%로 높아 우수한 난연제로 인식된다.
여기서 APP가 55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난연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65% 이상일 경우에는 열안정성이 저하되고 다른 성분(Dbdo, Zb, 수산화알루미늄)의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아울러 Dbdo(Decabromo Diphenyl Oxide)는 할로겐계 난연제로 자기소화성과 우수한 난연성을 갖으나, 수지와의 좋지 못한 상용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Dbdo(Decabromo Diphenyl Oxide)는 8중량% 이하일 경우, 자기소화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18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수지와의 좋지 못한 상용성을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Sb2O₃(삼산화 안티몬(Antimony trioxide)는 할로겐계 난연제의 성능을 향상시켜 주고, 부확장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특히 화재 발생시 연소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Sb2O₃가 8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부확장성 억제 효과 및 연소방지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14중량% 이상의 경우에는 효과 대비 제조비가 상승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Zb(Zinc Borate)는 무독성으로 유독가스 및 연기를 억제하고, 물을 방출시켜 자기소화가 가능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00℃ 이상에서는 수분을 배출하기도 하여 표면 온도 식히고 흡열 반응을 일으켜 독성을 지닌 연기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Zb(Zinc Borate)는 6%중량 이하일 경우, 자기소화 기능이 저하되고 더불어 유독가스 및 연기의 억제가 미비해 바람직하지 않고, 12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자기소화 기능 대비 난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은 화학내열성, 투명성, 특히 난연성등의 품질이 특성이우수한 기초 무기화학 제품으로 APP 및 Dbdo와의 난연성에서 병용효과를 크게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은 5중량% 이하일 경우, 난연성능에서 APP 및 Dbdo와의 병용효과가 떨어지고 화학내열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11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더 이상 난연성능의 상승을 기대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상기 난연제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PG) 100중량부에 대해 5중량부 이하가 혼합될 경우에는 준불연 난연제로써의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20중량부 이상일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황토 구들장의 내마모성, 탄성력이 저하되고, 발포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S30단계는 상기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교반한 후 3차 혼합물을 생성한다.
여기서 2차 혼합물이 1중량비 이상일 경우에는 1차 혼합물이 갖는 황토의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1중량비 이하일 경우에는 황토 구들장의 경량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S30단계는 황토을 주성분으로 하는 1차 혼합물에 2차 혼합물에 포함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갖는 내마모성, 내열성, 탄성력과, 항균성 및 내가수분해성 특성과, 난연제가 갖는 자기소화성과, 화염의 부확장성, 준불연성 및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S30단계는 3차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강화제 1 ~ 5중량부가 더 혼합되는데, 이러한 상기 강화제는 유리섬유(인장강도, 내마모, 방음, 내부식), 펄라이트(고강도, 연성, 인성, 내마모성) 및 질석이(충격흡수, 단열, 내화, 흡음) 1:1:1 중량비로 혼합되어거나 적어도 2종 이상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강화제는 선택적으로 유리섬유 또는 펄라이트 또는 질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강화제가 1중량부 이하일 경우에는 강화제로써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5중량부 이상일 경우에는 효과 대비 제조비용이 상승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S30단계에는 2차 혼합물에 포함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통해 최종 생산되는 황토 구들장의 균열을 방지하고, 박리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된다.
S40단계는 상기 3차 혼합물에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MDI)를 1 : 1 ~ 1.7 중량비로 혼합하여 4차 혼합물을 생성한다.
이러한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MDI)는 발포제 및 경화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중량비가 1 이하일 경우에는 밀도는 상승하고 기공은 낮아져 무게가 증가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1.7 중량비 이상일 경우에는 압축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S50단계에서는 상기 4차 혼합물을 발포금형성형기에 투입 발포시켜 건조후 탈형하여 황토구들장을 완성한다.
여기서 4차 혼합물을 50 ~ 60℃의 발포금형성형기에 투입 발포시켜 3 ~ 15분 건조한 후, 탈형하여 황토구들장을 제조하게 된다.
이 때 4차 혼합물의 발포압력은 70 ~ 100kg 팽창 힘이 발생되기 때문에 발포금형성형기의 압력은 1 ~ 3톤의 범위 내에서 조절한다.
이렇게 최종 제조되는 황토구들장은 발포에 따른 팽창압력이 발포금형성형기에서 억제되기 때문에 압축강도는 증대되면서 미세 기공은 높아지고, 경량성 고강도의 물성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 제조방법은, 건축용 내/외장재와, 바닥재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칸막이 벽체, 천장용 보드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5)

  1.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경화제 5 ~ 30중량부 및 고무조성물 10 ~ 20중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한 후 1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S10단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PG) 100중량부에 대해 난연제 5 ~ 20중량부 교반한 후 2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S20단계;
    상기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교반한 후 3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S30단계;
    상기 3차 혼합물에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MDI)를 1 : 1 ~ 1.7중량비로 혼합한 4차 혼합물로 생성하는 S40단계;
    상기 4차 혼합물을 발포금형성형기에 투입 발포시켜 건조후 탈형하여 황토구들장을 완성하는 S50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S50단계의 황토구들장은 난연제와 발포 성형에 의해 준불연성 및 흡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난연제는 APP(Amonium Polyphosphate) 55중량% ~ 65중량%와, Dbdo(Decabromo Diphenyl Oxide) 8중량% 내지 18중량%와, Sb2O 8중량% 내지 14중량%와, Zb(Zinc Borate) 6중량% 내지 12중량%와, 수산화알루미늄 5중량% ~ 11중량%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50단계의 발포금형성형기는 50 ~ 60℃ 온도 범위를 갖고, 4차 혼합물의 팽창압력을 1 ~ 3톤의 압력으로 억제하여 황토 구들장의 미세기공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조성물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40 ~ 50중량부와, 카본블랙 5 ~ 10중량부 및 중공형 실리카 10 ~ 15중량부에 첨가제로 스테아린산 1 ~ 1.5중량부와, 석유수지 1.5 ~ 2중량부와, 노화방지제 1 ~ 2중량부와, 분산제 1.5 ~ 2중량부 및 티아졸계 가황촉진제 1 내지 2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0단계의 황토분말 100중량부에 대하 5 ~ 10중량부의 참숯분말이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
KR1020210141807A 2021-10-22 2021-10-22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 KR102394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807A KR102394899B1 (ko) 2021-10-22 2021-10-22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807A KR102394899B1 (ko) 2021-10-22 2021-10-22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899B1 true KR102394899B1 (ko) 2022-05-09

Family

ID=8158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807A KR102394899B1 (ko) 2021-10-22 2021-10-22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8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361A (ko) * 2002-05-04 2003-11-10 조병욱 유독가스 및 연기밀도를 최소화한 난연성 고무/플라스틱발포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60056546A (ko) * 2004-11-22 2006-05-25 신현창 난연성 발포폴리우레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1924A (ko) 2016-12-20 2018-06-28 조민정 건식난방패널 및 이 건식난방패널 제조방법
KR20190038231A (ko) * 2017-09-29 2019-04-08 (주)아코플레닝 피혁 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용 난연 텍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건축용 난연 텍스
KR102309426B1 (ko) * 2021-04-30 2021-10-06 대한폴리텍(주) 단열재로 사용되는 준불연성 발포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361A (ko) * 2002-05-04 2003-11-10 조병욱 유독가스 및 연기밀도를 최소화한 난연성 고무/플라스틱발포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60056546A (ko) * 2004-11-22 2006-05-25 신현창 난연성 발포폴리우레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1924A (ko) 2016-12-20 2018-06-28 조민정 건식난방패널 및 이 건식난방패널 제조방법
KR20190038231A (ko) * 2017-09-29 2019-04-08 (주)아코플레닝 피혁 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용 난연 텍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건축용 난연 텍스
KR102309426B1 (ko) * 2021-04-30 2021-10-06 대한폴리텍(주) 단열재로 사용되는 준불연성 발포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931B1 (ko) 단열재용 난연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98853B1 (ko) 몰타르 조성물
KR101439210B1 (ko) 발수 및 불연성 단열소재 조성물, 미장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19087A (ko) 건축 보온 단열재용 난연 질석 스티로폼 보드
WO2017201566A1 (en) Aerated alkali activated material
KR20030046551A (ko) 폐자원을 이용한 난연성 발포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JP2022538945A (ja) 防音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94899B1 (ko)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구들장 제조방법
KR100760149B1 (ko) 건축용 내장재 제조방법
KR100415682B1 (ko) 타이어고무분말을 이용한 난연성 폴리올레핀 발포체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555612B1 (ko) 건축 외장재용 드라이비트 준불연 발포폴리스티렌 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48253B1 (ko) 발포성 탄화층 구조의 내화피복재 조성물
KR102394903B1 (ko) 준불연성과 흡음성을 갖는 황토 구들장
KR20110039695A (ko) 난연재로 표면처리된 내연성 실내장식재
KR101370579B1 (ko) 내화구조용 초경량방화방음탈취패널
KR101494305B1 (ko) 난연성이 우수한 자기소화형 발포우레탄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1590305B1 (ko) 불연성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비드 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4180B1 (ko) 다공성 폼 단열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폼 단열보드
KR100504148B1 (ko) 방진용 고무발포체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방진용 고무발포체
KR102296040B1 (ko) 불연마감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건축물의 화재안전보강시공방법
KR20190119687A (ko) 난연성 및 차음성이 우수한 샌드위치 패널
KR100388638B1 (ko) 타이어 분말을 이용한 난연성 폴리올레핀 발포체 조성물과그 제조방법
KR100832141B1 (ko) 수용성 무기질 난연제
KR20230076218A (ko) 준불연성과 층간소음이 향상된 황토 구들장 제조방법
KR20100027451A (ko) 왕겨를 이용한 난연성 판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