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874B1 -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874B1
KR102350874B1 KR1020190176651A KR20190176651A KR102350874B1 KR 102350874 B1 KR102350874 B1 KR 102350874B1 KR 1020190176651 A KR1020190176651 A KR 1020190176651A KR 20190176651 A KR20190176651 A KR 20190176651A KR 102350874 B1 KR102350874 B1 KR 102350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charging station
technician
hydrogen
hydrogen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893A (ko
Inventor
김현승
이아영
송민호
권양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90176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8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3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34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placed above the ground
    • F17C2270/0139Fuel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45Hydrogen technologies in production proces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은 수소 충전소 설비의 상태 데이터에 의해 수소 충전소 설비의 정비가 요구되는 경우, 정비기술자들에 대한 실시간 위치 정보에 따라 최적에 위치하고 있는 정비기술자를 선정하고, 선정된 정비기술자에게 정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수소 충전소의 정비를 신속하게 수행하여 정비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수소 차량 소유자의 수소 충전소 이용을 촉진시키고, 수소 충전소 운영자에게 발생되는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Repair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Maintenance of Hydrogen Refueling Station}
본 발명은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소 충전소 설비의 상태 데이터에 의해 수소 충전소 설비의 정비가 요구되는 경우, 정비기술자들에 대한 실시간 위치 정보에 따라 최적에 위치하고 있는 정비기술자를 선정하고, 선정된 정비기술자에게 정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수소 충전소의 정비를 신속하게 수행하여 정비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소 차량 소유자의 수소 충전소 이용을 촉진시키고, 수소 충전소 운영자에게 발생되는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억제하는 등 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연료전지 자동차나 수소 엔진 자동차 등 수소를 연료로 하는 수소 연료 차량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수소 연료 차량은 차량에 수소를 저장하는 수소 연료탱크가 설치되고, 수소 연료탱크에 충전된 수소를 연료전지 등에 공급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수소 연료 차량의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주유소와 같은, 수소 연료 차량에 수소를 안정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수소 충전소가 필수적인 인프라 설비로 부상하고 있다.
수소 충전소의 안전을 위해 반드시 정비기술자에 의해 수소 충전소의 설비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점검 및 정비가 수행되어진다.
종래의 경우 수소 충전소를 운영하는 충전소 운영자는 수소 충전소의 설비에 고장이나 점검사항이 발견되면, 충전소 운영자는 정비기술자에게 유무선 통신으로 통해 정비 또는 점검을 의뢰하고, 정비기술자는 해당 수소 충전소로 출동하여 정비 또는 점검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해 정비기술자가 위치하고 있는 위치 정보에 상관없이 임의의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정비기술자가 출동을 하여 정비 및 점검을 수행하고, 정비 및 점검을 수행하는 정비기술자는 사전에 정비 및 점검이 요구되는 사항이나, 정비 및 점검이 요구되는 수소 충전소 설비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한체 출동하게 되므로, 수소 충전소에 대한 정비 및 점검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없고, 이로 인해 정비 및 점검이 완료될 때까지 수소 충전소를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소유자는 해당 수소 충전소를 이용하지 못하게 되고, 충전소 운영자에게는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3567호 "전기자동차 충전소 최적 운영 시스템"(공개일자 : 2019.12.03)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 충전소 설비의 상태 데이터에 의해 수소 충전소 설비의 정비가 요구되는 경우, 정비기술자들에 대한 실시간 위치 정보에 따라 최적에 위치하고 있는 정비기술자를 선정하고, 선정된 정비기술자에게 정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수소 충전소의 정비를 신속하게 수행하여 정비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수소 차량 소유자의 수소 충전소 이용을 촉진시키고, 수소 충전소 운영자에게 발생되는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은, 수소 충전소 설비에 장착된 상태감지센서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설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비상태 데이터들을 생성하여 다수의 수소 충전소들을 통합 관리하는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는 설비상태 데이터 생성단계: 상기 수소 충전소들의 정비 및 점검을 수행하는 다수의 정비기술자들의 단말기를 통해 정비기술자들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는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전송단계; 상기 관리자 서버는 상기 설비상태 데이터 생성단계에서 전송받은 설비상태 데이터들에 의해 다수의 수소 충전소들 중 정비 및 점검이 요구되는 수소 충전소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가 있는 경우,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충전소 위치데이터와 정비 및 점검이 요구되는 정비요구 데이터를 판단하는 수소 충전소 정비요구 판단단계; 상기 수소 충전소 정비요구 판단단계에서 정비 및 점검이 요구되는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가 있는 경우, 상기 관리자 서버는 충전소 위치데이터와, 상기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전송단계에서 전송받은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의 위치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정비기술자를 선정하는 정비기술자 선정단계; 상기 관리자 서버는 상기 정비기술자 선정단계에서 선정된 정비기술자의 단말기를 통해 정비요청 메시지와, 충전소 위치데이터와 정비요구데이터를 전송하는 정비정보데이터 전송단계; 상기 정비정보데이터 전송단계에서 선정된 정비기술자는 단말기를 통해 정비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에 대한 정비 및 점검 수행여부를 판단하고, 정비 및 점검 수행여부를 상기 관리자 서버에 통지하는 정비수락 여부 통지단계; 상기 정비수락 여부 통지단계에서 선정된 정비기술자가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에 대한 정비 및 점검을 승낙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서버는 상기 선정된 정비기술자의 단말기를 통헤 정비기술자에게 정비 및 점검을 위한 매뉴얼을 전송하고,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의 운영자에게 선정된 정비기술자에 대한 정보와 예상도착시간을 통지하는 정보통지단계; 및 정비기술자에 의해 상기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에 대한 정비 및 점검이 완료되면, 정비 및 점검을 완료한 정비기술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관리자 서버에 정비결과를 전송하는 정비결과 전송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은 수소 충전소 설비의 상태 데이터에 의해 수소 충전소 설비의 정비가 요구되는 경우, 정비기술자들에 대한 실시간 위치 정보에 따라 최적에 위치하고 있는 정비기술자를 선정하고, 선정된 정비기술자에게 정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수소 충전소의 정비를 신속하게 수행하여 정비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수소 차량 소유자의 수소 충전소 이용을 촉진시키고, 수소 충전소 운영자에게 발생되는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은, 수소 충전소 설비에 장착된 상태감지센서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설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비상태 데이터들을 생성하여 다수의 수소 충전소들을 통합 관리하는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는 설비상태 데이터 생성단계(S10)와, 수소 충전소들의 정비 및 점검을 수행하는 다수의 정비기술자들의 단말기를 통해 정비기술자들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는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전송단계(S20)와, 관리자 서버는 설비상태 데이터 생성단계(S10)에서 전송받은 설비상태 데이터들에 의해 다수의 수소 충전소들 중 정비 및 점검이 요구되는 수소 충전소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가 있는 경우,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충전소 위치데이터와 정비 및 점검이 요구되는 정비요구 데이터를 판단하는 수소 충전소 정비요구 판단단계(S30)와, 수소 충전소 정비요구 판단단계(S30)에서 정비 및 점검이 요구되는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가 있는 경우, 관리자 서버는 충전소 위치데이터와,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전송단계(S20)에서 전송받은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의 위치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정비기술자를 선정하는 정비기술자 선정단계(S40)와, 관리자 서버는 정비기술자 선정단계(S40)에서 선정된 정비기술자의 단말기를 통해 정비요청 메시지와, 충전소 위치데이터와 정비요구데이터를 전송하는 정비정보데이터 전송단계(S50)와, 정비정보데이터 전송단계(S50)에서 선정된 정비기술자는 단말기를 통해 정비요청 메시지에 따라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에 대한 정비 및 점검 수행여부를 판단하고, 정비 및 점검 수행여부를 관리자 서버에 통지하는 정비수락 여부 통지단계(S60)와, 정비수락 여부 통지단계(S60)에서 선정된 정비기술자가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에 대한 정비 및 점검을 승낙하는 경우, 관리자 서버는 선정된 정비기술자의 단말기를 통헤 정비기술자에게 정비 및 점검을 위한 매뉴얼을 전송하고,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의 운영자에게 선정된 정비기술자에 대한 정보와 예상도착시간을 통지하는 정보통지단계(S70)와, 정비기술자에 의해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에 대한 정비 및 점검이 완료되면, 정비 및 점검을 완료한 정비기술자의 단말기를 통해 관리자 서버에 정비결과를 전송하는 정비결과 전송단계(S80)로 구성된다.
또한, 정비기술자 선정단계(S40)는 관리자 서버에 의해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의 충전소 위치데이터와 정비기술자의 위치정보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교통정보에 의해 최적에 위치하고 있는 정비기술자를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수소 충전소 설비는 수소 차량에 수소를 주입할 수 있도록 각종 탱크, 압축기, 냉각기, 밸브 및 파이프들로 구성되며, 안전을 위해 정해진 규격의 온도, 진동, 회전수, 유량, 압력, 전류 및 전압 등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수소 충전소 설비 내의 수많은 밸브, 압축기, 냉각기 등에 적절한 상태감지 센서들을 장착되어 있다.
설비상태 데이터 생성단계(S10)는 수소 충전소 설비들의 온도, 진동, 회전수, 유량, 압력, 전류 및 전압 등을 감지하는 상태감지 센서들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된 설비상태 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설비상태 데이터들을 디지털로 변환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다수의 수소 충전소들을 통합 관리하는 관리자 서버로 전송한다.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전송단계(S20)는 다수의 수소 충전소들의 정비 및 점검을 수행하는 다수의 정비기술자들의 단말기를 통해 정비기술자들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관리자 서버로 전송한다.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전송단계(S20)에서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데이터외에도 정비기술자가 임의의 수소 충전소에 대해 점검을 진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정비기술자의 정비현황정보도 단말기를 통해 관리자 서버로 전송한다.
수소 충전소 정비요구 판단단계(S30)는 설비상태 데이터 생성단계(S10)에서 전송받은 설비상태 데이터들에 의해 관리자 서버는 다수의 수소 충전소들 중 정비 및 점검이 요구되는 수소 충전소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관리자 서버는 설비상태 데이터들에 문제가 발생되어 정비 또는 점검이 필요한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가 발견된 경우,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충전소 위치데이터를 판단하고, 해당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에서 정비 또는 점검이 요구되는 정비요구 데이터가 어떤 것인지를 판단한다.
정비기술자 선정단계(S40)는 수소 충전소 정비요구 판단단계(S30)에서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가 있는 경우, 관리자 서버는 충전소 위치데이터와,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전송단계(S20)에서 전송받은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데이터와, 수집된 교통정보를 분석하여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로 가장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있는 정비기술자를 선정한다
정비정보데이터 전송단계(S50)는 정비기술자 선정단계(S40)에서 선정된 정비기술자에게 관리자 서버는 정비기술자 단말기를 통해 정비요청 메시지와, 충전소 위치데이터와 정비요구데이터를 전송한다.
정비수락 여부 통지단계(S60)는, 정비정보데이터 전송단계(S50)에서 선정된 정비기술자는 전송받은 정비요청 메시지에 따라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에 대한 정비 및 점검 수행여부를 판단하고, 수행여부 사항을 단말기를 통해 관리자 서버에 통지한다.
정비수락 여부 통지단계(S60)에서 선정된 정비기술자가 정비 및 점검을 수행할 수 없다고 통지받은 경우에는 관리자 서버는 정비기술자 선정단계(S40)를 다시 진행하여 차순위의 정비기술자를 선정한다.
정비수락 여부 통지단계(S60)에서 선정된 정비기술자가 정비수행을 승낙한 경우에는 정보통지단계(S70)에서 관리자 서버는 선정된 정비기술자의 단말기를 통헤 정비기술자에게 정비 및 점검을 위한 매뉴얼을 전송하고,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의 운영자에게 선정된 정비기술자에 대한 정보, 예상도착시간, 정비조치 예상시간 등을 통지한다.
정비결과 전송단계(S80)는 선정된 정비기술자에 의해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에 대한 정비 및 점검이 완료되면, 정비 및 점검을 완료한 정비기술자는 단말기를 통해 관리자 서버에 정비완료 및 정비결과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은 수소 충전소 설비의 상태 데이터에 의해 수소 충전소 설비의 정비가 요구되는 경우, 정비기술자들에 대한 실시간 위치 정보에 따라 최적에 위치하고 있는 정비기술자를 선정하고, 선정된 정비기술자에게 정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수소 충전소의 정비를 신속하게 수행하여 정비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수소 차량 소유자의 수소 충전소 이용을 촉진시키고, 수소 충전소 운영자에게 발생되는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2)

  1. 수소 충전소 설비에 장착된 상태감지센서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설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비상태 데이터들을 생성하여 다수의 수소 충전소들을 통합 관리하는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는 설비상태 데이터 생성단계(S10):
    상기 수소 충전소들의 정비 및 점검을 수행하는 다수의 정비기술자들의 단말기를 통해 정비기술자들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는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전송단계(S20);
    상기 관리자 서버는 상기 설비상태 데이터 생성단계(S10)에서 전송받은 설비상태 데이터들에 의해 다수의 수소 충전소들 중 정비 및 점검이 요구되는 수소 충전소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가 있는 경우,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충전소 위치데이터와 정비 및 점검이 요구되는 정비요구 데이터를 판단하는 수소 충전소 정비요구 판단단계(S30);
    상기 수소 충전소 정비요구 판단단계(S30)에서 정비 및 점검이 요구되는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가 있는 경우, 상기 관리자 서버는 충전소 위치데이터와, 상기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전송단계(S20)에서 전송받은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의 위치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정비기술자를 선정하는 정비기술자 선정단계(S40);
    상기 관리자 서버는 상기 정비기술자 선정단계(S40)에서 선정된 정비기술자의 단말기를 통해 정비요청 메시지와, 충전소 위치데이터와 정비요구데이터를 전송하는 정비정보데이터 전송단계(S50);
    상기 정비정보데이터 전송단계(S50)에서 선정된 정비기술자는 단말기를 통해 정비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에 대한 정비 및 점검 수행여부를 판단하고, 정비 및 점검 수행여부를 상기 관리자 서버에 통지하는 정비수락 여부 통지단계(S60);
    상기 정비수락 여부 통지단계(S60)에서 선정된 정비기술자가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에 대한 정비 및 점검을 승낙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서버는 상기 선정된 정비기술자의 단말기를 통해 정비기술자에게 정비 및 점검을 위한 매뉴얼을 전송하고,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의 운영자에게 선정된 정비기술자에 대한 정보와 예상도착시간을 통지하는 정보통지단계(S70); 및
    상기 정비기술자에 의해 상기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에 대한 정비 및 점검이 완료되면, 정비 및 점검을 완료한 정비기술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관리자 서버에 정비결과를 전송하는 정비결과 전송단계(S80)를 구비하고,
    상기 설비상태 데이터 생성단계(S10)는 수소 충전소 설비 내의 밸브, 압축기 및 냉각기 중 하나 이상의 장치에 상태 감지 센서를 장착하고, 온도, 진동, 회전수, 유량, 압력, 전류 및 전압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실시간 측정하여 디지털로 변환하고,
    상기 정비기술자 위치정보 전송단계(S20)는 정비기술자가 임의의 수소 충전소에 대해 점검을 진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정비기술자의 정비현황정보도 단말기를 통해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정비수락 여부 통지단계(S60)에서 선정된 정비기술자가 정비 및 점검을 수행할 수 없다고 통지받은 경우에는 관리자 서버가 정비기술자 선정단계(S40)를 다시 진행하여 차순위의 정비기술자를 선정하고,
    상기 정보통지단계(S70)에서 관리자 서버는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의 운영자에게 정비조치 예상시간을 더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기술자 선정단계(S40)는 상기 관리자 서버에 의해 상기 정비요구 수소 충전소의 충전소 위치데이터와, 정비기술자의 위치정보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교통정보에 의해 최적에 위치하고 있는 정비기술자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90176651A 2019-12-27 2019-12-27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50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651A KR102350874B1 (ko) 2019-12-27 2019-12-27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651A KR102350874B1 (ko) 2019-12-27 2019-12-27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893A KR20210083893A (ko) 2021-07-07
KR102350874B1 true KR102350874B1 (ko) 2022-01-13

Family

ID=7686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651A KR102350874B1 (ko) 2019-12-27 2019-12-27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8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596A (ko) 2021-11-24 2023-06-02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빅데이터 플랫폼과 머신 러닝을 이용한 수소 충전소 고장 예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7126A1 (en) * 2002-10-04 2004-06-03 Hitachi, Ltd. Engineer assignment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686A (ko) * 2003-07-10 2005-01-17 엘지칼텍스정유 주식회사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KR20110077659A (ko) * 2009-12-30 2011-07-07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수소 충전 스테이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52637B1 (ko) 2018-05-23 2020-01-08 광주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 충전소 최적 운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7126A1 (en) * 2002-10-04 2004-06-03 Hitachi, Ltd. Engineer assignmen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893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656B1 (ko) 전기차 충전기 고장관리 운영 시스템
KR101046300B1 (ko) 가스 충전소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MXPA02001971A (es) Aparato y metodo para administrar una flotilla de activos moviles.
CA3171201A1 (en) Diagnostic baselining
CN106230903A (zh) 空调机组的解锁控制方法及系统
KR102350874B1 (ko)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
CN105069555A (zh) 电网抢修资源调度方法和系统
CN111582550A (zh) 一种基于gis的电站故障抢修快速响应系统
KR20210083892A (ko) 수소 충전소의 운영방법
CN115936449A (zh) 基于智慧燃气呼叫中心的突发事件处理方法与物联网系统
KR100843930B1 (ko)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 진단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157631B1 (ko) 유비쿼터스 기반의 발전설비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6709659B (zh) 一种lng加气站设备管理系统
KR102365096B1 (ko) 원격 연료 감시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내지 기계, 서버, 원격 연료 감시 방법, 원격 연료 감시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KR20120085223A (ko)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KR102264549B1 (ko)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971465A (zh) 一种在线报修的方法、系统、数据采集终端及存储介质
CN113379363A (zh) 城镇供水信息化智能管理平台
CN111077886A (zh) 一种车站故障实时监测系统
KR2013012226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
CN115330006A (zh) 一种设备巡检管理方法、计算机监控系统及移动终端
AU20052006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fleet of mobile assets
CN113212251A (zh) 一种燃料电池车辆的故障诊断和上报方法
CN112783118A (zh) 数字水务信息化智能管理平台
US20060223525A1 (en) System for providing dynamic group and service assig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