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269A -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269A
KR20130122269A KR1020120045456A KR20120045456A KR20130122269A KR 20130122269 A KR20130122269 A KR 20130122269A KR 1020120045456 A KR1020120045456 A KR 1020120045456A KR 20120045456 A KR20120045456 A KR 20120045456A KR 20130122269 A KR20130122269 A KR 20130122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equipment
smart phone
smartphone
information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주
이국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120045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2269A/ko
Publication of KR20130122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각 전기설비에 그 전기설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QR 코드를 부착하고, 이를 스마트폰을 통해 촬영함으로써 전기설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음과 함께 정보를 저장하도록 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설비에 설치된 QR 코드 또는 Wi-Fi 모듈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에 대한 관리 서버로 접속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접속 허여된 스마트폰으로 이동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접속 허여된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상세 서비스창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세 서비스창이 선택되면 상기 관리 서버에 대한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전기설비의 사고 전 및 후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전기설비의 현재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상기 전기설비의 진단결과를 디스플레이함과 더불어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진단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managing of electric installation using smart phone and the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설비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한 산업 관리는 일부분에 한정되어 있음에 따라, 전기설비의 전반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전기설비의 총괄적인 시스템 관리에 있어 인력 낭비가 극대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인력을 통한 전기설비의 총괄 제어가 이루어짐에 따라, 실시간 제어가 어려워 산업 전반에 걸친 악영향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자신의 전기설비에 대한 정보를 알기 위해서 이 전기설비를 관리하는 업체의 해당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해당 전기설비를 검색하여야만 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검색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각 전기설비에 그 전기설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QR 코드를 부착하고, 이를 스마트폰을 통해 촬영함으로써 전기설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음과 함께 정보를 저장하도록 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방법은 전기설비에 설치된 QR 코드 또는 Wi-Fi 모듈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에 대한 관리 서버로 접속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접속 허여된 스마트폰으로 이동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접속허여된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상세 서비스창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세 서비스창이 선택되면 상기 관리 서버에 대한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전기설비의 사고 전 및 후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전기설비의 현재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상기 전기설비의 진단결과를 디스플레이함과 더불어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진단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은 QR 코드 및 Wi-Fi 모듈이 부착된 전기설비와, 상기 전기설비에 부착된 QR 코드를 촬영 또는 상기 Wi-Fi 모듈을 접속하여 상기 전기설비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또는 전달하는 스마트폰과, 상기 전기설비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아 대상 전기설비의 현재 데이터를 취합, 분석하고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전기설비의 상태를 진단 및 저장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스마트폰의 인증 절차를 통해 제공하는 인증 서버와, 상기 스마트폰 또는 전기설비의 위치정보를 알려주는 GPS 위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각 전기설비에 그 전기설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QR 코드를 부착하고, 이를 스마트폰을 통해 촬영함으로써 전기설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음과 함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관리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스마트폰의 인증 창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접속 허여된 스마트폰에 제공된 전기설비의 기본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접속 허여된 스마트폰에 제공된 상세 서비스창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증강현실 방식으로 구현된 위치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합현황 아이콘에 의해 안내된 창에 나타난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경보정보 아이콘에 의해 안내된 창에 나타난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자가진단 아이콘에 의해 안내된 창에 나타난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계측진단 아이콘에 의해 안내된 창에 나타난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5는 인증 서버 및 관리 서버의 추가적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QR(Quick Response) 코드(110) 및 Wi-Fi 모듈(120)이 부착된 전기설비(100)와, 상기 전기설비(100)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촬영 또는 상기 Wi-Fi 모듈(120)을 접속하여 상기 전기설비(100)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또는 전달하는 스마트폰(200)과, 상기 전기설비(100)로부터 상기 스마트폰(200)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아 대상 전기설비(100)의 현재 데이터를 취합, 분석하고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전기설비(100)의 상태를 진단 및 저장하는 관리 서버(300)와, 상기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폰(200)의 인증 절차를 통해 제공하는 인증 서버(400)와, 상기 스마트폰(200) 또는 전기설비(100)의 위치정보를 알려주는 GPS 위성(5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설비(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배전반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압 및 저압 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발전기, 스마트 그리드 및 태양광, 조력발전, 풍력, LED와 같은 대체 에너지 분야, 공공시설, 아파트, 유동상가, 산업시설에 설치된 각종 전기설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QR 코드(110)는 상기 전기설비(100)마다 부착 또는 도장되며 상기 스마트폰(200)과 QR 코드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해당 전기설비(100)의 인식을 수행한다.
상기 Wi-Fi 모듈(120)은 상기 전기설비(100)마다 내장 또는 부착되어 상기 스마트폰(200)과 Wi-Fi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QR 코드(110)는 상기 스마트폰(200)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전기설비(100)에 접속하고, 상기 Wi-Fi 모듈(120)은 상기 스마트폰(200)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상기 전기설비(100)에 접속한다.
예를 들면 상기 스마트폰(200)을 이용하여 상기 QR 코드(110)를 촬영하면 자동 서버 인증을 통해 상기 전기설비(100)에 대한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고, 상기 Wi-Fi 모듈(120)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에는 각종 인증 절차를 통해 상기 전기설비(100)에 접속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200)의 사용자가 해당 전기설비(100)에 한번 접속하면 접속된 스마트폰(200)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400)가 저장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인증절차없이 바로 해당 전기설비(100)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상기 QR 코드(110)는 상기 전기설비(100)에서 적어도 2~3m이내에 있을 때 사용하고, 상기 Wi-Fi 모듈(120)은 상기 QR 코드(110)보다 원거리에 있을 때 사용하게 된다.
상기 인증 서버(400)는 상기 스마트폰(200)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설비(100)에 설치된 Wi-Fi 모듈(120)을 통해 접속했을 때 상기 전기설비(100)로부터의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200)에 대한 접속허여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증 서버(400)는 접속 판단부를 포함하는 바, 이 접속 판단부가 스마트폰(200)의 전기설비(100)로의 접속허여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상기 인증 서버(400)는 상기 QR 코드(110)를 촬영하여 접속했을 때 별도의 인증 절차를 거쳐 접속허여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인증 서버(400)는 접속 허여된 스마트폰(200)으로 상기 전기설비(100)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이 전기설비(100)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2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인증 서버(400)는 상기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상기 전기설비(100)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을 경우, 이 스마트폰(200)을 소유한 사용자로부터 특정 반경내에 위치한 인근 전기설비(100)들의 위치를 이 스마트폰(200)으로 제공한다.
이 인근 전기설비(100)는 사용자와 관계된 전기설비(100)들로서, 예를 들어 이 사용자가 전기설비(100)들을 소유한 고객일 경우, 이 인증 서버(400)는 이 고객이 소유한 인근 전기설비(100)들의 위치를 이 고객의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전기 설비(100)의 감시정보로부터 이상상태 도달 여부를 프로그램에 의해 판단하거나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된 상기 스마트폰(200)으로부터의 A/S요청이 등록되면 SMS이나 이메일을 통해 해당 장비 및 설비의 관리자에게 긴급 단문을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200)을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QR 코드(110)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장착된 PDA, 무선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300)와 인증 서버(4000)를 분리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인증 서버(400)를 상기 관리 서버(300)에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관리 서버(300)는 기 저장된 전기설비(100)의 기준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진단한 전기설비(100)의 상태를 통해 현재 데이터와 과거 이력 데이터의 변화 추세를 분석하여 에너지 절감방안을 분석하고 각 해당 항목별 제어 디바이스의 세팅치를 제공하며, 상기 전기설비(100)의 제작 이력, 사고 이력, 유지 보수 및 교체 이력에 관한 종합적인 전기설비의 이력 데이터를 사용자가 필요시 제공한다.
도 2는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기 위한 스마트폰(200)의 인증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200)을 이용하여 전기설비(100)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촬영 또는 Wi-Fi 모듈(120)에 접속하면, 이 스마트폰(200)은 촬영된 QR 코드(110) 또는 접속된 Wi-Fi를 인식하여, 이 전기설비(100)를 관리하는 업체의 관리 서버(300)로 접속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인증 서버(400)로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인증 서버(400)는 이 요청을 받고, 이 요청을 전송한 스마트폰(200)으로 인증 창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QR 코드(110)에 의한 인증 절차를 생략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이 인증 창의 접속 아이콘을 터치하여 상기 인증 서버(400)로 접속을 요청하면, 상기 인증 서버(400)는 이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의 정보를 확인한다.
즉, 상기 스마트폰(200)이 상기 인증 서버(400)에 등록된 단말기인지를 확인한다. 이 인증 서버(400)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등록된 단말기들의 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데, 이 인증 서버(400)는 등록된 스마트폰(200) 정보와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200)의 정보를 비교하여 이 접속 요청을 송신한 스마트폰(200)이 등록된 스마트폰(200)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경우, 이 접속 요청을 송신한 스마트폰(200)의 인증 서버(400)로의 접속을 허여한다.
만약, 이 접속 요청을 송신한 스마트폰(200)이 등록된 단말기가 아닐 경우, 이 인증 서버(400)는 상기 스마트폰(200)의 접속을 거부한다.
도 3은 접속 허여된 스마트폰(200)에 제공된 전기설비(100)의 기본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인증 서버(400)는 접속 허여된 스마트폰(200)으로 전기설비(100)의 기본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 기본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설비(100)의 명칭, 설치한 장소, 제조일, 패널 명칭, 정격사양, 제조번호, 품목코드 및 출하일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설비(100)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동 아이콘(210)을 터치하면 된다. 이 이동 아이콘(210)이 터치되면, 상기 인증 서버(400)는 상세 서비스창을 허여 접속된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인증 서버(400)는 이 상세 서비스창을 별도의 과금없이 바로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할 수도 있으나, 다음과 같이 과금을 청구하고 이 청구에 대한 비용이 지급될 경우 이 상세 서비스창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동 아이콘(210)이 선택되면, 인증 서버(400)는 접속 허여된 스마트폰(200)으로 서비스 이용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결제창을 제공한다. 이후, 이 결제창을 통해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접속 허여된 스마트폰(200)으로 상기 상세 서비스창을 제공한다. 이 인증 서버(400)는 결제서버를 포함하고 있는 바, 이러한 결제 과정은 이 결제서버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4는 접속 허여된 스마트폰(200)에 제공된 상세 서비스창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증강현실 방식으로 구현된 위치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세 서비스창은 선택 가능한 다수의 메뉴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있다. 다수의 메뉴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인증 서버(400)는 접속 허여된 스마트폰(200)으로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 다수의 메뉴 아이콘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 아이콘(401), 진단정보 아이콘(402), 종합현황 아이콘(403), 경보정보 아이콘(404) 및 상세 서비스 아이콘(40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아이콘(401)은 전기설비(100)의 위치 및 스마트폰(200) 소유자의 위치 정보를 보여주는 창으로 안내한다. 이 위치정보 아이콘(401)에 의해 안내된 창에는 현재 QR 코드(110) 또는 Wi-Fi 모듈(120)을 통해 접속된 전기설비(100)의 위치 외에도 이 스마트폰(200)을 소유한 사용자로부터 특정 반경내에 위치한 인근 전기설비(100)들의 위치 정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인근 전기설비(100)는 사용자와 관계된 전기설비(100)들로서, 예를 들어 이 사용자가 전기설비(100)들을 소유한 고객일 경우, 이 창에는 이 고객이 소유한 인근 전기설비(100)들의 위치 정보가 나타난다. 이 위치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현실 방식으로 보여질 수 있다.
진단정보 아이콘(402)은 전기설비(100)에 대한 진단정보를 증강현실 방식으로 보여주는 창으로 안내한다.
종합현황 아이콘(403)은 전기설비(100)의 현황 정보, 그리고 전기설비(100)의 제작 이력, 사고 이력, 유지 보수 및 교체 이력에 관한 정보를 보여주는 창으로 안내한다.
경보정보 아이콘(404)은 전기설비(100)에 대한 경보 정보를 보여주는 창으로 안내한다.
상세 서비스 아이콘(405)은 전기설비(100)에 대한 사고 상황, 이 사고의 재발 가능성, 전기설비(100)의 에너지 절감 방안 등에 대한 전기설비의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창으로 안내하는 아이콘이다.
도 6은 종합현황 아이콘(403)에 의해 안내된 창에 나타난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합현황 아이콘(403)에 의해 안내된 창에는 사용자(고객)의 전기설비(100) 목록이 나타나 있다. 또한, 이 창에는 경보 횟수가 나타날 수도 있다.
도 7은 경보정보 아이콘(404)에 의해 안내된 창에 나타난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정보 아이콘(404)에 의해 안내된 창에는 사용자(고객)의 전기설비(100)에 발생된 경보의 종류 및 이 경보의 발생 시각이 나타나 있다.
또한, 상술된 아이콘 외에 자가진단 아이콘 및 계측진단 아이콘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자가진단 아이콘은 전기설비(100)에 대한 분석 및 진단을 나타내는 창으로 안내하는 아이콘으로서, 도 8은 이 자가진단 아이콘에 의해 안내된 창에 나타난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계측진단 아이콘은 전기설비(100)를 이루는 각종 장비들의 진단상태를 나타내는 창으로 안내하는 아이콘으로서, 도 9는 이 계측진단 아이콘에 의해 안내된 창에 나타난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인증 서버 및 관리 서버의 추가적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관리 서버(300)는 사고 전 및 후의 상기 전기설비(100)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전기설비(100)의 현재 상태를 진단하고, 전기설비(100)에 대한 과거의 사고 이력 및 이 전기설비(100)의 운전 특성을 진단한다. 그리고 사고가 발생된 전기설비(100)의 향후 사고 재발 가능성을 진단함과 아울러, 상기 운전 이력에 따른 전기설비(100)의 수명을 예측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설비(100) 중 하나인 변압기의 온도가 크게 상승될 경우, 상기 전기설비(100)에 내장된 이상감지 장치로부터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으로 이를 통보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300)는 이 변압기의 주변 온도, 부하율 및 변압기의 이력 등을 체크하여 이 변압기의 온도가 상승된 원인을 파악하고, 이 원인을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이 관리 서버(300)는 이 변압기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300)는 전기설비(100)를 이루는 장비들의 이력을 관리하고, 이 장비들의 계측 정보를 기준 계측 정보들과 비교하여 이 장비들에 대한 진단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300)는 사고 전 및 후의 상기 전기설비(100)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전기설비(100)의 현재 상태를 진단하고, 전기설비(100)에 대한 과거의 사고 이력 및 이 전기설비(100)의 운전 특성을 진단한다. 그리고, 사고가 발생된 전기설비(100)의 향후 사고 재발 가능성을 진단함과 아울러, 상기 운전 이력에 따른 전기설비(100)의 수명을 예측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전기설비(10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이 전기설비(100)에서 제공되는 전력의 품질을 분석하고 지수화하고, 이 전기설비(100)의 운전에 대한 우선순위를 판단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300)는 전기설비(100)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 전기설비(100)의 상태를 진단하여 이 전기설비(100)의 에너지 절감방안을 제공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300)는 전기설비(100)의 과거 사고 이력으로부터 사고 원인을 분석하고, 과거 운전 상황과 현재의 운전 상황을 비교하여 이상 상황 징후를 미리 포착한다. 특히 이 관리 서버(300)는 이러한 운전 상황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이상 상황 징후가 포착될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으로 통보한다.
또한, 이 관리 서버(300)는 전기설비(100)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 당시의 전기설비(100)의 운전 상황을 블랙박스에 저장하고, 사고 발생을 관리소 및 관리자에게 통보한다.
도 10 내지 도 15에서의 추가적인 서비스 및 블랙박스에 저장된 정보는 상술된 상세 서비스 아이콘(405)을 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스마트폰(200)로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이 관리 서버(300)는 증강현실 방식을 이용한 자가조치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즉, 전기설비(100)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관리 서버(300)는 이 문제의 난이도를 분석하고, 이 분석결과 이 문제가 단순한 문제일 경우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으로 이에 대한 문제 해결 방안을 증강현실 방식으로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전기설비(100)가 위치한 현장으로 이동하여, 스마트폰(200)을 이용하여 문제가 발생된 전기설비(100)에 설치된 QR 코드(110) 또는 Wi-Fi 모듈(120)으로 접속한다.
이어서, 시스템 서비스는 이 문제가 발생된 전기설비(100)에 대한 문제 해결 방안을 증강현실 방식으로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으로 송신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이 스마트폰(200)에 증강현실 방식으로 표시되는 그림 및 설명을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해당 전기설비(100)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 증강현실 방식을 이용한 정보는, 예를 들어 문제가 발생된 해당 전기설비(100)의 실사진 위에 문제 해결을 위한 설명 및 그림이 그래픽 형식으로 덧붙여진 정보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전기설비 110 : QR 코드
120 : Wi-Fi 모듈 200 : 스마트폰
300 : 관리 서버 400 : 인증 서버
500 : GPS 위성

Claims (9)

  1. 전기설비에 설치된 QR 코드 또는 Wi-Fi 모듈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에 대한 관리 서버로 접속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접속 허여된 스마트폰으로 이동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접속 허여된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상세 서비스창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세 서비스창이 선택되면 상기 관리 서버에 대한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전기설비의 사고 전 및 후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전기설비의 현재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상기 전기설비의 진단결과를 디스플레이함과 더불어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진단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된 전기설비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전기설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이 전기설비에서 제공되는 전력의 품질을 분석하고 지수화하며;이 전력설비의 운전에 대한 우선순위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전달된 당시의 전기설비의 운전 상황을 블랙박스에 저장하고, 사고 발생을 관리소 및 관리자에게 통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방법.
  4. QR 코드 및 Wi-Fi 모듈이 부착된 전기설비와,
    상기 전기설비에 부착된 QR 코드를 촬영 또는 상기 Wi-Fi 모듈을 접속하여 상기 전기설비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또는 전달하는 스마트폰과,
    상기 전기설비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아 대상 전기설비의 현재 데이터를 취합, 분석하고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전기설비의 상태를 진단 및 저장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스마트폰의 인증 절차를 통해 제공하는 인증 서버와,
    상기 스마트폰 또는 전기설비의 위치정보를 알려주는 GPS 위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서비스창은 선택 가능한 다수의 메뉴 아이콘들을 포함하며; 다수의 메뉴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접속 허여된 휴대용 단말기로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아이콘들은,
    상기 전기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증강현실 방식으로 보여주는 창으로 안내하는 진단정보 아이콘;
    상기 전기설비의 제작 이력, 사고 이력, 유지 보수 및 교체 이력에 관한 정보를 보여주는 창으로 안내하는 이력정보 아이콘;
    상기 전기설비에 대한 현황 정보를 보여주는 창으로 안내하는 종합현황 아이콘;
    상기 전기설비에 대한 경보 정보를 보여주는 창으로 안내하는 경보정보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이동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접속 허여된 스마트폰으로 서비스 이용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결제창을 제공하며;
    상기 결제창을 통해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접속 허여된 스마트폰으로 상기 상세 서비스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전기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관리 서버는 이 사고의 내용을 파악 및 분석하여 사고의 원인 및 이 사고에 대한 대처 방법을 찾아내고;
    상기 대처 방법에 따라 상기 전기설비의 운전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사고의 내용, 원인 및 대처 방법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는 수배전반, 고압 및 저압 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발전기, 스마트 그리드 및 태양광, 조력발전, 풍력, LED와 같은 대체 에너지 분야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
KR1020120045456A 2012-04-30 2012-04-30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 KR20130122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456A KR20130122269A (ko) 2012-04-30 2012-04-30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456A KR20130122269A (ko) 2012-04-30 2012-04-30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269A true KR20130122269A (ko) 2013-11-07

Family

ID=49852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456A KR20130122269A (ko) 2012-04-30 2012-04-30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22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491B1 (ko) * 2014-12-30 2016-01-21 한국중부발전(주) 발전소설비의 안전정비시스템
KR101976785B1 (ko) 2018-11-27 2019-05-09 세종전기공업 주식회사 스마트기기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KR102154854B1 (ko) 2020-02-11 2020-09-10 세종전기공업 주식회사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KR102213386B1 (ko) * 2019-12-26 2021-02-05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상풍력단지 가상현실 디지털 트윈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491B1 (ko) * 2014-12-30 2016-01-21 한국중부발전(주) 발전소설비의 안전정비시스템
KR101976785B1 (ko) 2018-11-27 2019-05-09 세종전기공업 주식회사 스마트기기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KR102213386B1 (ko) * 2019-12-26 2021-02-05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상풍력단지 가상현실 디지털 트윈 시스템 및 방법
KR102154854B1 (ko) 2020-02-11 2020-09-10 세종전기공업 주식회사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195B1 (ko) 2차원 코드 및 관리서버를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방법과 그 시스템
US100559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and remediation of energy diversion in a smart grid network
KR101044264B1 (ko)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24324B1 (ko) 수배전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9716971B2 (en) Inspecting equipment of a power system
KR100872398B1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시스템
CN112736959B (zh) 一种用于监测分布式光伏电站的系统及方法
CN102616613A (zh) 一种电梯监控系统
CN102616617A (zh) 一种电梯监控方法
KR2013012226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
CN111062504A (zh) 一种基于ar技术的智能配电站运维系统及方法
CN102855541A (zh) 基于gps的电力运维轨迹定位调度系统及调度方法
KR102122590B1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CN106447998A (zh) 智能配变监测终端及监测系统
CN108449381A (zh) 基于gis的电力电网抢修调度方法和装置
EP4324094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photovoltaic power station
KR20180009849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7685A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41473A (ko)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06685075A (zh) 供电故障监控方法及装置
KR101157631B1 (ko) 유비쿼터스 기반의 발전설비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66617B1 (ko) 차량 운행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9533B1 (ko)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217674B1 (ko) 수배전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63912B1 (ko) 모듈형 후크 미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