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912B1 - 모듈형 후크 미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듈형 후크 미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912B1
KR102463912B1 KR1020220091914A KR20220091914A KR102463912B1 KR 102463912 B1 KR102463912 B1 KR 102463912B1 KR 1020220091914 A KR1020220091914 A KR 1020220091914A KR 20220091914 A KR20220091914 A KR 20220091914A KR 102463912 B1 KR102463912 B1 KR 102463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nit
light emitting
detection uni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진석
Original Assignee
노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진석 filed Critical 노진석
Priority to KR102022009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01R13/0218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01R13/0281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using electro-optic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미터 시스템은, 임의의 장소에 고정되는 본체부; 전기가 흐르는 전선에 탈 부착될 수 있으며, 전설에 걸리게 되어 전선에 유동되는 전기와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하는 링 형상의 검측부; 및 상기 검측부와 상기 본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복수개의 검측부 각각에 연결된 케이블부가 탈 부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형 후크 미터 시스템 {A MODULAR HOOK METER SYSTEM}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누전을 포함하는 이상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듈형 후크 미터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최근 인구와 전자 기기의 대중화로, 가정, 사무실 및 공장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양이 해가 거듭할수록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는 발전소에서 생산되고, 고압의 상태로 변전소를 통해 가정, 사무실 및 공장으로 전달되고 있다. 여기서, 전기가 가정, 사무실 및 공장의 각 전자 기기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각 장소마다 배치된 계전반을 통해 유동되어야 하며, 이러한 특성에 따라 계전반은 특별히 보호되어야 하는 대상임과 동시에 누전 차단기와 전류량 측정기가 설치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현재는 전류 발생량이나 전자 기기 혹은 현장에 전기적 이상이 있을 경우, 작업자가 계전반에 직접 방문하여, 사용 전류량을 측정하고, 각 전선마다 개별적으로 전류 및 누설전류를 확인하여, 어디에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효율적으로 전기 시스템의 이상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모듈형 후크 미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미터 시스템은, 임의의 장소에 고정되는 본체부; 전기가 흐르는 전선에 탈 부착될 수 있으며, 전설에 걸리게 되어 전선에 유동되는 전기와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하는 링 형상의 검측부; 및 상기 검측부와 상기 본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복수개의 검측부 각각에 연결된 케이블부가 탈 부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사용자의 단말기를 정보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고 임의의 장소에 고정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부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연결단자, 케이블부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전기 값을 산출하는 연산 모듈 및 상기 연산 모듈에서 분석한 전기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연결단자에 상기 케이블부가 연결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케이블부가 연결된 상기 연결단자의 위치에 대응되되도록 전기 값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발광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검측부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고 임의의 장소에 고정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부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연결단자, 상기 케이블부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전기 값을 산출하는 연산 모듈 및 상기 연산 모듈에서 분석한 전기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연산 모듈은, 상기 케이블부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비 정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비 정상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비 정상 상황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 검측부와 대응되는 상기 발광 모듈이 발광되도록, 상기 발광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 모듈은, 비 정상 상황이라고 판단된 상기 검측부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검측부 및 상기 케이블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장 확인 가이드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검측부 각각에 배치된 상기 발광 모듈의 발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비 정상 상황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 검측부에 배치된 상기 발광 모듈에 대한 스위치가 소정 시간 내에 소정 횟수 이상 활성화될 조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 모듈은, 고장 확인 가이드의 단계에 맞춰 비 정상 상황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 검측부와 대응되는 상기 발광 모듈과 정상 상황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 검측부와 대응되는 상기 발광 모듈이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부가 탈 부착될 수 있는 연결단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탈부착 가능한 서브본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후크 미터 시스템은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미터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미터 시스템의 사용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미터 시스템이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미터 시스템이 제공하는 고장 확인 안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크 미터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미터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미터 시스템(100)의 전체 사시도는 임의의 장소에 고정되는 본체부(110), 전기가 흐르는 전선에 탈 부착될 수 있으며, 전설에 걸리게 되어 전선에 유동되는 전기와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하는 링 형상의 검측부(120) 및 기 검측부(120)와 상기 본체부(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 미터 시스템(100)은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발광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 미터 시스템(100)은 상기 본체부(110)와 사용자의 단말기를 정보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통신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 미터 시스템(100)은 시스템이 운영되는데 필요한 정보 및 수집되어 산출된 전기 값들이 저장된 저장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 미터 시스템(100)은 각 구성들에게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전원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정보 통신 및 정보 처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는 컴퓨팅 장치,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단말기 등이 포함되는 이동 단말기 및/또는 스마트 TV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고 임의의 장소에 고정되는 하우징부(111), 상기 하우징부(111)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부(130)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연결단자(112), 케이블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전기 값을 산출하는 연산 모듈(미도시) 및 상기 연산 모듈에서 분석한 전기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복수개의 검측부(120) 각각에 연결된 케이블부(130)가 탈 부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결단자(1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우징부(111)는 계전반의 내부에 고정되거나, 계전반 근처의 건축물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부(111)가 고정되는 방식은 공지된 기술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연결단자(112)는 케이블부(130)가 결합될 수 있는 전기 결합 단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연결단자(112)는 케이블부(130)의 단부가 삽입되어 케이블부(130)와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단자(112)는 케이블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 신호를 연산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연결단자(112)는 CT 측정을 위한 케이블부(130)가 연결되는 제1 연결단자(112a)와 ZCT측정을 위한 케이블부(130)가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112b)가 하나의 군으로 이루어져, 복수 군의 연결단자(112)가 하우징부(111)에 연결될 수 있다.
연산 모듈은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전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연산 모듈은 연결단자(112)의 군 단위로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모니터링 모듈에 군단위로 표시되도록, 인터페이스를 산출할 수 있다.
연산 모듈은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비 이상적 상황인지 여부를 분석하는 등 후크 미터 시스템(100)이 동작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처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산 모듈은 발광 모듈(140),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114)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연산 모듈은 MCU(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연산 모듈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연산 모듈은 전기 값을 이용하여 검측부(120)별로 전류값 및/또는 누설전류값이 표시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연산 모듈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안내(일례로, 고장 판단 안내등) 및 후크 미터 시스템(100)을 수동을 제어하거나 환경설정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연산 모듈은 상기 케이블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비 정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비 정상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비 정상 상황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 검측부(120)와 대응되는 상기 발광 모듈(140)이 발광되도록, 상기 발광 모듈(140)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4)은 연산 모듈에서 생성한 인터페이스를 이미지화하여 표시할 수 잇다.
디스플레이 모듈(114)은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모듈(114)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14)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기초로 각 전선마다의 전류값 및 누설전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며, 발광 모듈(140)의 발광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각종 발광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할 수 있다.
검측부(120)는 링 형상으로 되어, 전선에 외삽될 수 있다.
검측부(120)는 전선에 외삽되어 전선에 유동되는 전류 및 누설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검측부(120)의 내측에는 유도기 전류 및 유도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한 코일 등의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공지된 기술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링 형상의 검측부(120)는 일부분이 절개되어 두 부분으로 벌어질 수 있게 되어, 전선에 외삽될 수 있다.
일례로, 검측부(120)의 외측면의 복수 지점이 함입되어 발광 모듈(140)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검측부(12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발광부는 상기 검측부(120)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검측부(120)는 전류를 검측하기 위한 제1 검측부(121)와 누설전류를 검측하기 위한 제2 검측부(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검측부(121) 하나에 하나의 케이블부(130)가 연결되며, 마찬가지로, 제2 검측부(122) 하나에 하나의 케이블부(130)가 연결될 수 있다.
검측부(120)는 외삽되는 전선에 따라 그 크기가 다양할 수 있다.
검측부(120)와 케이블부(130)가 서로 탈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외삽될 전선의 크기와 사용 형태에 따라서 적절한 검측부(120)를 선택할 수 있다.
케이블부(130)는 검측부(120)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본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부(130)는 본체부(110)의 전기 에너지를 발광부로 전달할 수 있다.
케이블부(130)의 일단부는 상기 검측부(120)에 형성된 결합단자에 삽입,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는 상기 본체부(110)의 연결단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발광 모듈(140)은 결합단자와 연결되어, 결합단자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 및 제어 신호를 통해 발광될 수 있다.
일례로, 케이블부(130)는 외피와 외피 내부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세부전선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검측부(120)와 연결된 세부전선, 발광 모듈과 연결된 세부전선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공지된 기술과 중복되는 범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케이블부(130)는 중단부에 릴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가 신장, 수축될 수 있다.
발광 모듈(140)은 검측부(120)에 각각 연결되며, 케이블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에너지를 기초로 발광될 수 있다.
일례로, 발광 모듈(140)은 LED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발광 모듈(140)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통신 모듈은 연산 모듈에서 연산된 전기 값, 연산 모듈은 각 구성들을 제어한 히스토리, 연산 모듈이 산출한 인터페이스 화면 등을 포함하는 후크 미터 시스템(100)에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후크 미터 시스템(100)에서 검측하는 수치들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검측부(120) 별로 검측부(120)에서 검측되는 전류 및 누설전류 값들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 정상 상황 발생시에, 연산 모듈에서 전달 받은 신호를 기초로 통신 모듈은 경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통신 모듈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와 후크 미터 시스템은 무선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후크 미터 시스템에서 발생된 데이터들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후크 미터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제어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도 등급이 구분되어, 관리자 등급의 사용자의 단말기에는 후크 미터 시스템의 설정 변경을 포함하는 모든 기능에 접근이 가능할 수 있고, 직원 등급의 사용자의 단말기에는 후크 미터 시스템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경보를 받아볼 수 있는 기능만 부여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서 비 정상적인 상황에 더욱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 모듈은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 NFC 모듈, RF 모듈, 5G 모듈, LTE 모듈, NB-IOT 모듈 및/또는 LoRa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신 모듈이 포함하는 모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통신 모듈은 상기 하우징부(1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저장 모듈, 연산 모듈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14)과 연결되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저장 모듈은 검측부(120)에서 검측되고 연산 모듈에서 연산된 전기 값들이 시계열적으로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일례로, 저장 모듈은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내장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모듈은 베터리일 수도 있고, 혹은 외부 전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모듈일 수 있다.
이하, 후크 미터 시스템(100)이 사용되는 과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미터 시스템의 사용예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미터 시스템이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시예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케이블부(130)와 검측부(120)를 연결하고, 제1 검측부(121)에 연결된 케이블부(130)는 제1 연결단자(112a)에 연결되고, 제2 검측부(122)에 연결된 케이블부(130)는 제2 연결단자(112b)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시간 모니터링이 필요한 전선(T1O)에 검측부(120)들을 설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측부(120)에 의해 검측된 값들은 디스플레이 모듈(114) 상에 검측부(120) 군별(도 3의 A Site, B Site, C Site, D Site)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14)에는 검측부(120)에서 검측된 값들이 표시되는 실시간 정보부(X11)가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단자(112)에 대응되게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실시간 정보부(X11)가 디스플레이 모듈(114)에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단자(112)의 상측에 디스플레이 모듈(114)이 위치될 수 있으며, 연결단자(112)에 대한 검측부(120)의 정보는 해당 연결단자(112) 상측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4)은, 상기 연결단자(112)에 상기 케이블부(130)가 연결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케이블부(130)가 연결된 상기 연결단자(112)의 위치에 대응되되도록 전기 값을 표시할 수 있다.
연결단자(112)에 케이블이 연결된 실시간 정보부(X11)만이 활성화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4)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14)에는 전기 값이 표현되는 방식을 결정할 수 있는 모드 결정부(X12)가 표시될 수 있다.
모드 결정부(X12)는 ‘그래프 모드’와 ‘수치 모드’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14)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프 모드’는 전류와 누설전류 값을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모드일 수 있다.
‘수치 모드’는 전류와 누설전류를 숫자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모드일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14)의 모드 결정부(X12)를 가압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14)에서 발생된 가압 신호가 연산 모듈에 전달되고, 연산 모듈은 가압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14)이 전기 값을 적절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실시간 정보부(X11)에 외력을 인가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14)은 관련 신호를 연산 모듈에 제공하고, 연산 모듈은 외력인 인가된 실시간 정보부(X11)와 대응된 연결단자(112)에 연결된 검측부(120)의 발광 모듈(140)이 발광되도록 상기 발광 모듈(140)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14)을 조작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14)에 표시되는 실시간 정보부(X11)에 대응되는 검측부(120)가 계전반 내 전선 어디에 설치 되었는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4)에는 발광 모듈(140)을 순서대로 차례로 발광시키는 차례부(X13)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14)의 차례부(X13)가 가압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14)의 신호에 의해 연산 모듈은 복수의 발광 모듈(140)이 차례로 하나씩 발광되도록 상기 발광 모듈(140)을 제어할 수 있다.
발광 모듈(140)이 발광되는 것과 함께, 발광되는 발광 모듈(140)이 연결된 검측부(120)와 대응되는 일부분의 실시간 정보부(X11)에 별도로 표식이 디스플레이 모듈(114)에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발광되는 발광 모듈(140)이 연결된 검측부(120)와 대응되는 일부분의 실시간 정보부(X11)의 둘레에 방사로 퍼지는 형상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14)에 표시되는 것들에 대한 검측부(120)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연산 모듈은 검측부(120)에서 수집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 정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측정되고 산출된 전류 수치가 소정 시간 동안의 전류 증감률이 소정 기준 이상일 경우, 연산 모듈은 비 정상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검측부(122)에서 누설전류가 소정 기준 이상 검측되는 경우, 연산 모듈은 비 정상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연산 모듈이 비 정상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경보 신호를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점검자, 작업자)는 단말기를 통해 비 정상 상황임을 인지하고 계전기를 점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미터 시스템이 제공하는 고장 확인 안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비 정상 상황이 발생한 후에, 차단기가 자동적으로 동작되어, 문제가 있는 전자기기의 전선에는 더 이상 전류 및 누설전류가 검측되지 않을 수 있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14)을 동작시켜, 문제가 있는 전선에 연결된 점검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발광 모듈이 고장나거나, 케이블부 중 발광 모듈에 전력이 제공하는 세부전선이 단선되는 경우, 작업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14)을 동작시키더라도, 발광 모듈이 발광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는 점검이 필요한 전선을 찾기가 어려울 수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작을 통해 고장 판단 프로세스를 진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연산 모듈은 별도의 고장 판단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연산 모듈은 상기 케이블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비 정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비 정상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비 정상 상황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 검측부와 대응되는 상기 발광 모듈이 발광되도록, 상기 발광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산 모듈은 비 정상 상황이라고 판단된 상기 검측부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검측부 및 상기 케이블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4)에 고장 확인 가이드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4)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4)은 상기 검측부 각각에 배치된 상기 발광 모듈의 발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조건은 비 정상 상황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 검측부에 배치된 상기 발광 모듈에 대한 스위치가 소정 시간 내에 소정 횟수 이상 활성화될 조건일 수 있다.
여기서, 발광 모듈에 대한 스위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14)의 화면 내 실시간 정보부(X11, 도 3 참조) 일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란 스위치에 외력이 인가되어 스위치에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소정 시간은 7초일 수 있다. 소정 횟수는 5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소정 시간과 소정 횟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고장 확인 가이드는 아래의 단계로서 진행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연산 모듈에 의해 모든 발광 모듈이 발광되는 단계, 디스플레이 모듈에 모든 검측부에 대한 발광 모듈이 발광되었는지를 문의하는 제1 질문이 표시되는 단계 및 제1 질문에 대한 답을 수신하는 수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질문은 “모든 검측부가 발광하였습니까?” 일 수도 있고, 제1 질문에 대한 답변은 “네/아니오”로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질문 및 제1 질문의 답변에 대한 예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만일, 제1 질문에 대해서 모든 발광 모듈이 발광되었다는 취지의 답변이 디스플레이 모듈(114)을 통해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14)은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를 너무 자주 가압하지 말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질문에 대해서 모든 발광 모듈이 발광되지 않았다는 취지의 답변이 디스플레이 모듈(114)을 통해 수신하는 경우, 연산 모듈은 다음 고장 확인 가이드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의 고장 확인 가이드 과정은 정상적인 검측부와 비 정상적인 검측부의 케이블을 변경하는 안내가 디스플레이 모듈(114)에 표시되는 단계, 디스플레이 모듈(114)을 통해서 케이블 변경 후에 케이블 변경 대상의 검측부의 발광 모듈이 발광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제2 질문을 표시하는 단계, 제2 질문에 대한 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질문에 따라 고장 부품을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산 모듈은 고장 확인 가이드의 단계에 맞춰 비 정상 상황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 검측부와 대응되는 상기 발광 모듈과 정상 상황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 검측부와 대응되는 상기 발광 모듈이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이에 맞춰, 디스플레이 모듈(114)에는 발광되지 않는 검측부(P120)에 연결된 케이블부(P130)을 인출하여, 현재 발광되는 검측부(E120)의 케이블부(E130) 대신에 삽입 연결시키고, 현재 발광하는 검측부(E120)의 원래 케이블(E130)을 발광되지 않는 검측부(P120)에 삽입 연결하라는 안내 이미지 및/또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산 모듈은 추가적인 고장 판단을 진행하는 검측부(P120)의 발광 모듈을 발광시키도록 해당 발광 모듈을 제어할 수 있으며, 동시에 디스플레이 모듈(114)에 추가 고장 판단을 진행하는 검측부(P120)가 발광하는지를 문의하는 질문인 제2 질문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질문은 “문제된 검측부가 발광합니까?”일 수 있고, 제2 질문에 대한 답변은 “네/아니오”로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질문 및 제2 질문의 답변에 대한 예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만일, 제2 질문에 대해서 문제된 검측부가 발광한다는 취지의 답변이 디스플레이 모듈(114)을 통해 수신하는 경우, 연산 모듈은 비 정상적인 상황을 검측한 검측부에 연결된 케이블이 단선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질문에 대해서 문제된 검측부가 발광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답변이 디스플레이 모듈(114)을 통해 수신하는 경우, 연산 모듈은 비 정상적인 상황을 검측한 검측부의 발광 모듈이 고장났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연산 모듈은 고장났다고 판단한 부품이 디스플레이 모듈(114)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연산 모듈은 실시간으로 통신 모듈을 통해 후크 미터 시스템(100)의 부품을 관리하는 창고 서버와 연계되어, 고장났다고 판단한 부품의 재고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만일, 연산 모듈이 고장났다고 판단한 부품의 재고가 없다면, 연산 모듈은 대체 부품 산출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연산 모듈은 본체부(110)에 연결된 검측부 중에서 누설전류가 검측된 횟수가 가장 적은 검측부를 선정할 수 있고, 창고의 재고가 없으니 누설전류가 가장 적게 검측된 검측부 또는 누설전류가 가장 적게 검측부에 연결된 케이블을 대신 활용하라는 취지의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모듈(114) 상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14)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산 모듈은 본체부(110)에 연결된 검측부 중에서 누설전류가 검측된 횟수가 가장 적은 검측부에 연결된 발광 모듈이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계전반을 방문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유지 보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연산 모듈이 고장났다고 판단한 부품의 재고가 있다면, 연산 모듈은 고장났다고 판단한 부품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14)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크 미터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크 미터 시스템은 상기 케이블부가 탈 부착될 수 있는 연결단자(111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탈부착 가능한 서브본체부(1110)를 더 포함할 수 잇다.
계전반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검측부의 개수가 상이할 수 있다.
만일, 본체부(110)에 형성된 연결단자(112)의 개수보다 더 많은 케이블들이 연결될 경우, 서브본체부(110)가 필요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하우징부(111)의 측면에 연결되며, 서브본체부(1110)와 본체부(110)를 전기적으로 서로 매개하기 위한 주요매개단자(1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서브본체부(1110)는 내측에 소정을 제공하는 케이스부(1111), 상기 케이스부(1111)의 측면에 연결되며 주요매개단자(115)와 체결되어 주요매개단자(1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매개단자(1112) 및 상기 케이스부(1111)에 연결되며 케이블부가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서브연결단자(1113)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부(1111)와 하우징부(111)는 서로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케이스부(1111)의 측면은 상기 하우징부(111)의 측면에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부(1111)가 하우징부(111)에 체결되면서, 주요매개단자와 서브매개단자(1112)는 서로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연결단자(1113)를 통해 수집된 전기 신호는 서브매개단자(1112)와 주요매개단자를 통해 연산 모듈로 전달될 수 있다.
연산 모듈은 추가적인 검측부에서 정보들이 수집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14)에 서브본체부(1110)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도록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14)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누설전류는 영상전류로 대체하여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듈형 후크 미터 시스템은 계전반 내부 혹은 계전반 근처의 물체에 고정될 수 있지만, 이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하나의 계전반에 일정 기간 동안 배치되었다가, 다른 계전반에 일정 기간 동안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모듈형 후크 미터 시스템은 위치를 이동하면서 실시간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10 : 본체부 120 : 검측부
130 : 케이블부 140 : 발광 모듈

Claims (10)

  1. 임의의 장소에 고정되는 본체부;
    전기가 흐르는 전선에 탈 부착될 수 있으며, 전설에 걸리게 되어 전선에 유동되는 전기와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하는 링 형상의 검측부;
    상기 검측부와 상기 본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빛을 방출하며 상기 검측부 각각에연결된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상기 검측부 각각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부가 탈 부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연결단자, 상기 케이블부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전기 값을 산출하는 연산 모듈 및 상기 연산 모듈에서 분석한 전기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연산 모듈은,
    상기 케이블부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비 정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비 정상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비 정상 상황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 검측부와 대응되는 상기 발광 모듈이 발광되도록, 상기 발광 모듈을 제어하며,
    비 정상 상황이라고 판단된 상기 검측부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검측부 및 상기 케이블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장 확인 가이드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후크 미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사용자의 단말기를 정보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후크 미터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연결단자에 상기 케이블부가 연결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케이블부가 연결된 상기 연결단자의 위치에 대응되되도록 전기 값을 표시하는,
    후크 미터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검측부 각각에 배치된 상기 발광 모듈의 발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비 정상 상황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 검측부에 배치된 상기 발광 모듈에 대한 스위치가 소정 시간 내에 소정 횟수 이상 활성화될 조건인,
    후크 미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모듈은,
    고장 확인 가이드의 단계에 맞춰 비 정상 상황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 검측부와 대응되는 상기 발광 모듈과 정상 상황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 검측부와 대응되는 상기 발광 모듈이 발광되도록 제어하는,
    후크 미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가 탈 부착될 수 있는 연결단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탈 부착 가능한 서브본체부;를 더 포함하는,
    후크 미터 시스템.

KR1020220091914A 2022-07-25 2022-07-25 모듈형 후크 미터 시스템 KR102463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914A KR102463912B1 (ko) 2022-07-25 2022-07-25 모듈형 후크 미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914A KR102463912B1 (ko) 2022-07-25 2022-07-25 모듈형 후크 미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912B1 true KR102463912B1 (ko) 2022-11-03

Family

ID=8404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914A KR102463912B1 (ko) 2022-07-25 2022-07-25 모듈형 후크 미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9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244B1 (ko) * 2023-08-28 2023-12-04 주식회사 광성계측기 분전반에 설치되는 분전반용 누전경보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2417A (ja) * 2010-08-23 2012-03-0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絶縁監視装置
JP2014240810A (ja) * 2013-06-12 2014-12-25 中国電力株式会社 事故点探査装置および事故点探査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2417A (ja) * 2010-08-23 2012-03-0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絶縁監視装置
JP2014240810A (ja) * 2013-06-12 2014-12-25 中国電力株式会社 事故点探査装置および事故点探査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244B1 (ko) * 2023-08-28 2023-12-04 주식회사 광성계측기 분전반에 설치되는 분전반용 누전경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195B1 (ko) 2차원 코드 및 관리서버를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방법과 그 시스템
WO2017090420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給水装置、及び、給水装置の制御方法
KR101224324B1 (ko) 수배전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498129B2 (en) Electrical device with failure monitoring function, electrical system and terminal device
US8063763B2 (en) System for testing NAC operability using reduced operating voltage
CN106685075B (zh) 供电故障监控方法及装置
KR102463912B1 (ko) 모듈형 후크 미터 시스템
KR10231908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화재예방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1240929A (zh) 移动机房监管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576610B1 (ko) Ai 차단기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034822A (zh) 一种自动化开关控制器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1937244B1 (ko) 포괄적 유지보수 전용 시스템
CN113778525B (zh) 基于lora通信的空开控制监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
KR2013012226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설비의 관리 시스템
KR101750348B1 (ko) 계측의 편의성이 향상된 멀티미터 전용 계측시스템
KR102200611B1 (ko) 가로등 스마트관제 시스템
KR20160097680A (ko) 파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CN108899796B (zh) 一种开关柜智能操控装置
CN113723625A (zh) 基于网关的故障区域识别方法、装置、智能网关和介质
KR102207181B1 (ko)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이용한 지상개폐기 고장진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지상개폐기 고장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
EP3324251A1 (en) Method for managing electrical supply of a de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CN106600168A (zh) 一种电网责任区信息校验方法、装置及系统
KR20180116792A (ko) 고장 전류 해석을 위한 지점 표시 방법
CN113837462A (zh) 故障风险趋势分析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CN108321925B (zh) 低压配电系统的监控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