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6686A -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6686A
KR20050006686A KR1020030046603A KR20030046603A KR20050006686A KR 20050006686 A KR20050006686 A KR 20050006686A KR 1020030046603 A KR1020030046603 A KR 1020030046603A KR 20030046603 A KR20030046603 A KR 20030046603A KR 20050006686 A KR20050006686 A KR 20050006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sset
facility
repair request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오흥훈
정우철
손태범
Original Assignee
엘지칼텍스정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칼텍스정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칼텍스정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6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6686A/ko
Publication of KR2005000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686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리적으로 다양한 위치에 분산되어 있는 자산 및 설비에 대한 현황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상기 자산 및 설비에 관한 수리 요청이 효과적으로 업무 담당자에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수리 요청에 상응하는 적절한 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부와, 자산 설비 운영자 또는 업무 담당자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여 접속 인가 처리하고, 접속 인가된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로부터 상기 수리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수리 요청 정보를 상기 업무 담당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업무 담당자에 의해 접수 처리된 상기 수리 요청 정보를 하나 이상의 상기 외부 업체에 전달되도록 하는 작업 제어 모듈, 및 상기 접수 처리된 수리 요청 정보에 대한 상기 외부 업체로부터의 응답 신호 또는 상기 수리 요청 정보에 기초한 작업 견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 상기 업무 담당자, 및 상기 외부 업체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의 자산/설비에 관한 현황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자산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의 자산/설비에 관한 수리 요청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유소 별 자산/설비 현황에 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주유소의 자산/설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A FACILITIES AND ASSETS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FOR MANAGING FACILITIES AND ASSETS}
본 발명은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물리적으로 다양한 위치에 분산되어 있는 자산 및 설비에 대한 현황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상기 자산 및 설비에 관한 수리 요청이 효과적으로 업무 담당자에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수리 요청에 상응하는 적절한 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현재의 주유소(가스 충전소 포함)에서 고정 자산에 대한 관리는 주유소를 경영하는 주유소 운영자에 의해 수작업이나 일부 제공되는 회계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고정 자산의 관리는 현물 조사시 장시간 소요에 따른인력 낭비 및 데이터 누락/오류 등의 위험 요소를 안고 있으나, 마땅히 대안의 부재로 인해 현재까지 고정 자산의 관리는 수작업에 대부분을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부의 주유소에 제공되는 회계 시스템 역시, 해당 주유소 만의 자산 관리에는 효과적일지 모르나, 상부 조직이라 할 수 있는 정유 회사와 연계 시스템의 미비로 인해 통합적인 자산 관리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왜냐하면, 주유소에서 사용되는 영업 장비나 사용 시설 등은 유류를 취급하는 특수 설비에 속하는 것으로, 정유 회사 등 특약 관계에 있는 기관으로부터 설비를 임차하여 사용하는 예가 다수이고 이에 따라 정유 회사와 연계된 자산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지만, 단위 주유소에서만 사용되는 회계 시스템으로는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통합적인 자산 관리의 미비에 인해 체계적인 정보의 축적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정유 회사의 자산 실사 파악이 용이하지 않다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자산 및 임대 정보 관리가 어려워 계획적인 예산 편성이나 업무 담당자의 변동 시 업무의 인수 인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임차한 자산/설비에 대한 수리 작업의 요청에 있어서도, 종래에는 주유소 운영자가 관할 업무 담당자에게 예를 들어 전화를 통해 자산/설비의 수리 요청을 신고 접수하면, 이 후에 수리 요청에 대해서는 진행 사항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을 없이 보수 업체의 작업을 대기해야 하는 실정이었다.
수리 요청을 접수한 업무 담당자에 있어서도 보수 업체를 선정하고 보수 작업을 지시하는 데에 있어 업무 활용 자료의 미흡으로 인해 업무 진행 처리가 지연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통합적인 자산 관리 및 주유소 자산/설비에 대한 신속한 수리 처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 관리 방법의 출현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유소 별 자산/설비 현황에 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주유소의 자산/설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산 설비 운영자의 고장 접수 및 수리 요청을 실시간으로 접수하고 적절한 보수 업체를 신속하게 선정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산/설비의 유지 보수에 대한 처리 방법을 표준화하고, 주유소 자산/설비에 대한 계획적인 예방 정비 업무를 지원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유소 별 자산/설비 현황에 관한 정보를 축적 관리하고, 축적된 정보를 통해 소요 예산을 과학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정보 내역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산 데이터베이스부에 포함되는 현황 별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가 감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에 따른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의 정보 입력 필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자산 설비 운영자의 자산/설비에 대한 현황 정보를 기록하는 자산 데이터베이스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110 : 데이터베이스부
120 : 제1 인터페이스 모듈 130 : 작업 제어 모듈
140 : 제2 인터페이스 모듈 150 : 감가 감지 모듈
160 : 견적 계산 모듈 170 : 결재 처리 모듈
180 : 자산 설비 운영자 185 : 업무 담당자
190 : 외부 업체 195 : 통신망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부와, 자산 설비 운영자 또는 업무 담당자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여 접속 인가 처리하고, 접속 인가된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로부터 상기 수리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수리 요청 정보를 상기 업무 담당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업무 담당자에 의해 접수 처리된 상기 수리 요청 정보를 하나 이상의 상기 외부 업체에 전달되도록 하는 작업 제어 모듈, 및 상기 접수 처리된 수리 요청 정보에 대한 상기 외부 업체로부터의 응답 신호 또는 상기 수리 요청 정보에 기초한 작업 견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 상기 업무 담당자, 및 상기 외부 업체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의 자산/설비에 관한 현황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자산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의 자산/설비에 관한 수리 요청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현 방법으로서,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부, 자산 데이터베이스부,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유지하는 단계와, 자산 설비 운영자의 자산/설비 현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산 데이터베이스부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로부터의 수리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수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예상 작업 견적을 산출하여 외부 업체로부터의 작업 견적과 비교함으로써 최적의외부 업체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외부 업체에게 작업을 지시하고, 상기 작업 진행에 따른 상기 외부 업체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에 대한 기록 작업은, 상기 수리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항목으로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입력 필드에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부(110)와, 자산 설비 운영자(180) 또는 업무 담당자(185)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여 접속 인가를 처리하고, 접속 인가된 자산 설비 운영자(180)로부터 수리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120)과, 수리 요청 정보를 업무 담당자(185)에게 제공하며, 업무 담당자(185)에 의해 접수 처리된 수리 요청 정보를 하나 이상의 외부 업체(190)에 전달되도록 하는 작업 제어 모듈(130), 및 접수 처리된 수리 요청 정보에 대한 외부 업체(190)로부터의 응답 신호 또는 수리 요청 정보에 기초한 작업 견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자산 설비 운영자(180)는 자신이 경영/운영하는 주유소와 관련한 자산 및 설비에 대한 점유권을 기지고 있되, 소정의 정유 회사와 특약 상태에 있는 관계인 일 수 있고, 업무 담당자(185)는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있는 주유소 또는 특약 상태에 있는 주유소에 대한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경영/운영을 지원하며, 주유소와 관련한 자산 및 설비에 대한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수리 요청을 접수 처리하는 정유 회사측 직원일 수 있다.
우선,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 업무 담당자(185), 외부 업체(190)에 관한 정보, 및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자산/설비 수리와 연관된 수리 요청 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장치로서, 자산/설비 수리와 연관된 목적을 수용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부(111), 자산 데이터베이스부(112),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부(111)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 업무 담당자(185), 및 외부 업체(190)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자산 설비 운영자(180), 업무 담당자(185), 및 외부 업체(190) 각각에 할당되어 부여되는 하나 이상의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영역은 자산 설비 운영자(180), 업무 담당자(185), 및 외부 업체(190)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는 매체 또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컨대 물리적 기록 매체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논리적 기록 공간인 논리 드라이브 식별자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1)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정보 내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산 설비 운영자(180)에 상응하는 저장 영역(210)에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주유소 등록 정보 및 운영하는 주유소의 예산 정보 등이 기록될 수 있다. 주유소 등록 정보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가 경영/운영하는 주유소의 기본적인 데이터에 관한 등록 정보로서, 예컨대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기본 신상 정보, 점유하는 주유소 위치 정보, 점유 주유소의 자산 가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산 정보는 소정 기간 동안 자산 설비 운영자(180)가 점유하고 있는 주유소에서 소요되는 경비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주유소 자산/설비의 임차에 관한 정보 및 점유하는 자산/설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업무 담당자(185)에 상응하는 저장 영역(220)에는 업무 담당자(185)의 관할 주유소 정보 및 임대 가능한 장비에 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업무 담당자(185)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주유소 경영/운영에 대한 지원 업무를 수행하는 중간 관리자이며, 이러한 업무 담당자(185)의 지원 관리 업무에 관련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예컨대, 업무 담당자(185)와 특약 관계에 있는 주유소 목록 정보, 각 주유소의 자산에 관한 임대 정보, 임대 가능한 영업 장비 현황 정보, 관할 주유소 내의 유휴 장비 정보 등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업무 담당자(185)의 기초 신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업무 담당자(185)의 접속 인가 처리가 수행된다.
외부 업체(190)에 상응하는 저장 영역(230)에는 외부 업체 등록 정보 및 시공 종류별 외부 업체 평가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즉, 주유소의 자산/설비에 대한 수리 요청이 발생할 경우, 이 수리 요청을 수용하여 작업을 시행할 수 있는 시공 및 보수 업체에 관한 정보가 기록 유지된다. 외부 업체 저장 영역(230)의 정보 기록 방식은 시공 종류별로 외부 업체(190)를 등록 또는 기록하고, 동시에 업체 고가에 의한 평가 순위를 기록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 종류별로 우선이 있는 외부 업체(190)에 대한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며, 업무 담당자(185)로 하여금 수리 요청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외부 업체(190)의 목록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게 한다.
자산 데이터베이스부(112)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가 점유하고 있는 주유소의 자산/설비에 관한 현황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장치로서, 도 3을 참조하여 자산 데이터베이스부(112)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산 데이터베이스부에 포함되는 현황 별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산 데이터베이스부(300)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자산/설비에 관한 현황을 각 항목별로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즉 자산 현황 데이터베이스(310), 시설 현황 데이터베이스(320), 및 장비 현황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산 현황 데이터베이스부(310)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가 보유하는 자산 정보, 점유하는 구조물의 임차 정보, 투자 자산 정보 등을 포함하는 자산 설비 운영자 자산과 연관된 자산 정보를 기록한다. 자산 정보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가 운영하는 주유소의 통합 자산 관리에 관한 정보로서, 예컨대 토지, 건물, 부속 건물, 구축물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임차에 관한 정보 즉, 현재 경영/운영하는 주유소의 자산 중에서 특약 관계에 있는 정유 회사(타 임대 지원 기관 포함)로부터의 임차 현황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며, 임차 현황 정보로는 임차물 목록, 임차 기간, 임차 보증금, 임대료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산 설비 운영자(180) 및 업무 담당자(185)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가 경영/운영하는 주유소 자산에 대한 명확한 현황 파악 및 자산 관련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임차/대 관련 업무의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시설 현황 데이터베이스(320)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가 경영/운영하는 주유소에 보유 중인 설비 보유 정보 및 설비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설비 정보를 기록한다. 설비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자산에 소정의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는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으며, 설비 정보는 주유소에 보유되는 설비 현황에 관한 정보로서, 예컨대 지하 시설물(탱크), 세차 설비, 캐노피, POS 및 통신 설비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설비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주유소 경영/운영에 있어 자산 이외에 대규모 투자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정유 회사 등과 계약에 따라 특정 주유소에 임차하는 경향이 있는 바, 이에 대한 관리 정보로서 상술한 설비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즉, 설비 정보는 특정 자산 설비 운영자(180), 바람직하게는 주유소에 임대된 설비의 보유 종류 및 각 설비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장비 현황 데이터베이스(330)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가 보유 중인 장비의 임차 정보 및 장비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장비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이다.장비는 주유소의 영업 활동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컨대 주유기, 가스 충전기, 세차기 등 영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수 기능을 갖는 장비의 특성상 대부분의 주유소에서 사용되는 장비는 특약이 있는 정유 회사 등으로부터 임차되어 공급 받고, 이에 대한 관리 정보로서 장비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장비 정보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가 점유하는 장비의 종류/수량에 대한 정보, 임차 기간 정보, 임차에 따른 임대료 정보 및 정기 점검 기간 정보를 포함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각 장비 상태에 관한 정보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자산 데이터베이스부(112)에 기록되는 자산 정보, 설비 정보 및 장비 정보를 기초하여 특정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주유소에서 소요되는 예산 및 설비에 대한 예상 수리 시기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자산/설비에 관한 수리 요청 정보를 기록하는 장치로서, 수리 요청 정보의 생성은 자산 설비 운영자(180)에 의한 현장 판단에 의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100)의 판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자산 설비 운영자(180)에 의한 수리 요청 정보의 생성은 자산 설비 운영자(180)가 자산/설비의 사용 중 이상 결함을 발견하고 보수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경우, 이에 관한 정보를 본 발명의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100)의 판단에 의한 수리 요청 정보의 생성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가 감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감가 감지 모듈(400)은 자산 데이터베이스부(112)에 기록되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자산/설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자산/설비에 대한 보수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수리 요청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수리 요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감가 감지 모듈(400)은 소정의 감가 상각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410) 및 자산 데이터베이스부(112)의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자산/설비의 보수/수리 시기를 판단하는 중앙 처리 수단(420)을 포함할 수 있다. 감가 상각 정보는 주유소의 자산(구축물, 지하 탱크 등)이나 설비(영업 장비, 기계 장비)와 같은 고정 자산이 소정 기간이 경과되면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비율에 관한 정보, 즉 사용 기간의 경과에 따라 고정 자산의 가치가 차감 비율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감가 상각 정보에 의해 자산 또는 설비의 내구 연한에 대한 공지가 이루어지고, 평균 사용 기간에 대한 인지 및 정기적인 보수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메모리 수단(410)은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자산/설비에 대한 감가 상각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중앙 처리 수단(420)은 감가 상각 정보 및 자산 데이터베이스부(112)의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산/설비의 사용에 의한 소모 또는 시간 경과에 따른 폐퇴 정도를 감지함으로써 자산/설비의 보수/수리 시기를 판단하고 수리 요청 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자산/설비에 대한 수리 요청을 주기적으로 생성함으로써 자산/설비의 고장 가능성 및 폐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자산/설비의 이상 결함 시에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수리 요청 생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적절하게 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생성된 수리 요청 정보는 통신망(195)을 통해 본 발명의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며, 여기서 통신망(195)은 의사 전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 설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자산 설비 운영자(180) 또는 업무 담당자(185)의 단말 수단(도시하지 않음)과 통신망(195)을 통해 연결되며, 생성된 수리 요청 정보의 교환 또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100)으로의 자산 설비 운영자(180) 또는 업무 담당자(185)의 접속을 위한 접속 인가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 수단은 프로세서 수단을 구비하여 소정의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사용자 컴퓨터, 휴대폰, PDA, 노트북, 인터넷 기능이 내장된 가전 제품(home appliance)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산 설비 운영자(180)에 의해 생성된 수리 요청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수신되어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에 기록될 수 있으며, 접속 인가 처리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부(111)의 자산 설비 운영자(180) 및 업무 담당자(185)에 상응하여 할당되는 저장 영역(210,220)에 기록되는 기본 신상 정보를 기초하여 접속 권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수행된다.
작업 제어 모듈(130)은 자산 설비 운영자(180) 또는 감가 감지 모듈(150)에 의해 생성된 수리 요청 정보를 업무 담당자(185)에게 제공하여 접수 처리하고, 접수 처리된 수리 요청 정보를 하나 이상의 외부 업체(190)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러한 외부 업체(190)로의 수리 요청 정보 전달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부(111)의 외부 업체 저장 영역(230)에 기록되는 시공 종류별 외부 업체 등록 정보에 의거하여 업무 담당자(185)의 선별적 판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수리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보수 작업이 가능한 모든 외부 업체(190)에 수리 요청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에 작업 제어 모듈(130)은 시공 종류별로 등록되어 있는 외부 업체(190)에 수리 요청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더불어, 우선 순위에 의거한 수리 요청 정보 전달이나 자산 설비 운영자(180)가 지정한 외부 업체(190)로의 수리 요청 정보의 전달 등 다양한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수리 요청 정보의 전달과 함께 외부 업체(190)에 대한 작업 견적의 요청도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한 하나 이상의 외부 업체(190)로부터 수신된 작업 견적을 비교 검토하여 최적의 외부 업체(190)를 선정하게 된다. 이것은 일종의 입찰 방식에 의한 외부 업체(190)의 선정을 예시한 것으로, 만약 시공 작업 종류별 특약 관계에 있는 외부 업체(190)가 있는 경우에는 수리 요청 정보의 생성 시, 업무 담당자(185)의 접수 처리와 동시에 수리 요청 정보와 함께 작업 견적 요청이 특약 관계의 외부 업체(190)로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작업 제어 모듈(130)은 수리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최적의 외부 업체(190)를 선정하고, 선정된 시공 외부 업체(190)에게 실제 작업을 수행하도록 작업 지시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공 외부 업체(190)의 선정 작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2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작업 제어 모듈(130)에 의해 선별되는 외부 업체(190)로 수리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수리 요청 정보에 대한 외부 업체(190)의 응답 신호 또는 수리 요청 정보에 기초한 작업 견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응답 신호는 수리 요청 정보에 대한 외부 업체(190)의 작업 수용 의사를 반영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 견적 정보는 각 외부 업체(190)에서 예상 산출된 작업 비용일 수 있다. 또한, 제2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상술한 다수의 작업 견적 중에서 선정된 시공 외부 업체(190)에게 생성된 수리 요청 정보에 대한 작업 지시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 업무 담당자(185), 및 외부 업체(190) 각각에 제공되며 수리 요청 정보의 내역을 항목별로 분류하여 기록하는 정보 입력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입력 필드는 수리 요청 정보 이외에 각종 정보의 내역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단말 수단 상에 표시되는)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g를 참조하여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의 정보 입력 필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정보 입력 필드에 포함되는 항목 입력 필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리 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항목별 내역을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에 기록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에게 도 5a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식의 항목 입력 필드를 제공한다. 항목 입력 필드의 기재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으며, 수리 대상이 되는 대상물 입력 필드, 원하는 수리 내역을 기재하는 수리 내용 입력 필드, 및 자산 설비 운영자(180)가 요구하는 희망 완료일 입력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항목 입력 필드에 입력되는 정보는 작업 제어 모듈(130)에 의해 수리 요청 정보로 접수 처리되고,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의 소정 저장 영역에 기록된다.
또한, 상술한 감가 감지 모듈(150)에 의해 수리 요청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생성된 수리 요청 정보를 작업 제어 모듈(130)에서 분석하여 항목별 내역을 추출하고 각 항목에 따라 항목 입력 필드에 기록함으로써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예상 작업 견적을 산출하는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예상 작업 견적은 본 발명의 외부 업체 저장 영역(230)에 등록되어 있는 시공 종류별 외부 업체(190) 목록에 근거하여 미리 외부 업체(190)로부터 작업 별 비용 및 부품 단가 별 비용 등을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100)은 견적 계산 모듈(160) 및 가격 관리 데이터베이스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격 관리 데이터베이스부(114)는 하나 이상의 외부 업체(190)로부터 시공 종류별 작업 비용 및 부품 별 가격 단가 등 외부 업체(190)의 수리 작업에 연관된 가격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하기 위한 장치이다. 외부 업체(190)로부터의 가격 정보의 수신은 주기적인 수신, 가격 변동에 따른 갱신 수신, 외부 업체(190) 신규 등록에 따른 정보 수신 등 다양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가격 정보의 수신은 정보 입력 필드에 포함되는 가격 입력 필드를 통해 외부 업체(19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정보 입력 필드에 포함되는 가격 입력 필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격 입력 필드를 외부 업체(190)의 단말 수단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식으로 제공하여 가격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가격 정보를 가격 관리 데이터베이스부(114)의 소정 저장 영역에 기록한다. 가격 관리 데이터베이스부(114)의 가격 정보 기록은, 예컨대 작업 명칭, 작업 유형, 단가, 단위 등의 항목으로서 구분하여 기록 또는 등록할 수 있다.
견적 계산 모듈(160)은, 가격 관리 데이터베이스부(114)에 기록 등록되어 있는 가격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수리 요청 정보에 대한 예상 작업 견적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상 작업 견적의 산출은 수리 요청 정보를 최적으로 작업 처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저 예상 견적을 산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산출된 예상 작업 견적은 작업 제어 모듈(130)에 의해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에 갱신 처리된다. 또한, 작업 제어 모듈(130)은 산출된 예상 작업 견적과 외부 업체(190)로부터 수신된 작업 견적을 비교하여, 예컨대 산출된 예상 작업 견적에 가장 근접한 작업 견적을 제시한 외부 업체(190)를 시공 외부 업체로 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예상 작업 견적은 최적의 시공 외부 업체(190)를 선정하는 하나의 선택 요소(factor)로서 작용하며, 예상 작업 견적 이외에 작업에 소요되는 기간, 사용되는 부품의 품질, 기존의 작업한 이력, 외부 업체 평가 정보 등 다양한 선택 요소를 고려하여 최적의 시공 외부 업체(190)를 선정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의 정보 입력 필드는 생성된 수리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외부 업체(190)가 작업 견적을 기록하는 견적가 입력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c는 본 발명의 정보 입력 필드에 포함되는 작업 견적 입력 필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견적 입력 필드는 수리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한 외부 업체(190)의 단말 수단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식으로 제공되며, 작업 견적 입력 필드의 입력을 통해 수리 요청 정보에 기초한 외부 업체(190)의 작업 견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작업 견적 정보는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의 소정 기록 영역에 기록될 수 있으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는 수신된 작업 견적 정보를 통합 관리하여 업무 담당자(185)에게 제공함으로써 시공 업체 선정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견적가 입력 필드로의 접속에 있어서, 접속 권한을 업무 담당자(185) 또는 소정의 권한이 부여된 자산 설비 운영자(180)에게 그 접속 권한을 한정하여 부여함으로써 입찰 형식의 시공 외부 업체(190)를 선정하는 데에 있어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외부 업체(190)는 자사가 입력한 작업 견적에 한해서만 인지가 가능하고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에 통합적으로 관리된 작업 견적 정보로의 접속이 불가하여 타사의 작업 견적에 대한 인지가 불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의 다른 실시예로서,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의 정보 입력 필드는 선정 업체 입력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선정 업체 입력 필드는 도 5a의 항목 입력 필드에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생성된 수리 요청 정보에 대한 작업 처리를 수행하는 외부 업체(190)를 병기 입력되도록 하여 작업에 대한 진행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업무 담당자(185)는 외부 업체(190)의 견적가 입력 필드에 기록된 정보와 견적 계산 모듈(160)에서 산출된 예상 작업 견적을 비교하여 최적의 시공 업체를 선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업무 담당자(185)에 의해 선정된 외부 업체(190)를 선정 업체 입력 필드에 입력한다. 또한, 선정 업체 입력 필드로의 외부 업체(190) 입력과 더불어, 수리 요청 정보와 연관된 자산 설비 운영자(180)에게 외부 업체(190)의 기본 정보 및 선정된 외부 업체(190)가 제시한 작업 견적 정보에 대한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접속 허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자산 설비 운영자(180)는 자신이 점유 중인 주유소의 자산/설비에 대한 수리에 따른 외부 업체(190)의 선정 과정을 상세히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 업체(190) 선정에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의 정보 입력 필드는 수리 요청 정보에 대한 작업 진행 입력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작업 진행 입력 필드는 도 5a의 항목 입력 필드에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수리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작업 진행에 관한 정보를 일목 요원하게 자산 설비 운영자(180) 및 업무 담당자(185)에 제공할 수 있다. 작업 진행 입력 필드는 수리 요청 정보의 생성에서부터 외부 업체(190)에 의한 작업 완료까지를 소정의 진행 상태 단계로 구분하며,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자산 설비 운영자(180) 또는 업무 담당자(185)에게 공지되도록 한다. 또한, 작업 제어 모듈(130)은 외부 업체(190)에게 작업 진행과 연관된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여 외부 업체(130)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진행 정보를 작업 진행 입력 필드에 기록한다. 예컨대,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소정의 진행 상태 단계는 수리 요청→접수 처리→견적 확인→작업 지시→작업 진행→작업 완료 등의 7 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색깔 구분을 통한 현 작업 처리 단계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리 요청 단계에서 작업 지시 단계까지의 작업 진행 입력 필드의 입력은 작업 제어 모듈(130) 및 업무 담당자(185)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작업 진행 단계부터 작업 완료 단계는 작업 제어 모듈(130) 및 외부 업체(190)에 의한 정보 입력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도 5a 참조). 이에 따라, 자산 설비 운영자(180) 또는 업무 담당자(185)는 작업 진행 상태 입력 필드의 현재 진행 상태를 읽음으로써 예상되는 공사 마무리 시점을 추정하여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리 요청 정보가 생성한 후, 예상보다 작업이 지연되는 경우에는 적절한 압력 수단(시공하는 외부 업체의 보수 작업 독촉 등)을 이용하여 수리에 따른 영업 중지 및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의 정보 입력 필드는 외부 업체(190)의 작업에 대한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평가 내역을 기록하는 업체 평가 입력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d는 본 발명의 정보 입력 필드에 포함되는 평가 입력 필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가 입력 필드에는 보수/수리 작업을 수행하는 외부 업체(190)에 대한, 수리 요청 정보와 연관된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고가 평가가 입력 된다. 작업 제어 모듈(130)은 평가 내역에 기초하여 업체 고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부(111)의 외부 업체 저장 영역(230)의 해당 기재 내역을 갱신 처리한다. 이러한 업체의 평가 내역은 추후에 반복되는 수리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시공 외부 업체(190)의 선정에 있어, 예컨대 가산점에 의한 우선 순위의 상승 및 우선 순위에 따른 우선 선정 대상이 되도록 하는 이점을 부여할 수 있다. 평가 내역으로는, 예컨대 작업 집중도 유무, 작업 계획에 따른 실천 여부, 및 수리에 대한 만족도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업체 평가 입력 필드는, 예컨대 각 평가 내역마다의 만족도 레벨(만족, 불만족 등의 항목을 포함하는 작업 만족도 수치)를 자산 설비 운영자(180)가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업체 평가 입력 필드는 업무 담당자(185)에 의해 종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으며,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 업체별 외부 업체(190)의 평가 리스트를 작성하고 순위에 의한 업체 고가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의 정보 입력 필드는 외부 업체(190)의 작업에 대한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작업 확인을 기록하는 작업 확인 입력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e는 본 발명의 정보 입력 필드에 포함되는 작업 확인 입력 필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확인 입력 필드는 시공 외부 업체(190)의 보수/수리 작업이 수행된 해당 주유소에서 외부 업체(190)의 수리/보수 작업이 수리 요청 정보의 수리 내역과 부합되는가를 자산 설비 운영자(180)가 판단하여 기록하게 된다. 이에 상응하여 작업 제어 모듈(130)은 작업 확인 입력 필드에 대한 입력 기록이 있을 경우에 보수 작업 종료에 대한 정보를 자산 설비 운영자(180), 업무 담당자(185), 및 외부 업체(190)에 선정된 방식으로 통보할 수 있다. 즉, 작업 확인 입력 필드에의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입력 작업은 외부 업체(190)의 수리/보수 작업이 수리 요청 정보의 최소 목적을 달성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만약, 작업 확인 입력 필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보수/수리 작업이 종료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고, 수리 요청 정보의 수리 내역이 최소한으로 만족할 때까지 지속적인 보수/수리 작업이 외부 업체(190)에 요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보수 작업 종료에 대한 선정된 방식의 통보는 유선 전화, 전신,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 근/원거리 네트워크 망을 이용한 유선 데이터 통신 등 의사 전달을 위한 모든 통보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11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수리 요청에 응답하여 수리 작업한 수리 이력을 기록하는 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부(115)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 바람직하게는 주유소의 자산/설비에대한 보수/수리 작업이 수행된 소정 기간 동안의 이력 정보가 포함되며, 이 이력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각 주유소 별 소요 비용 정보 및 차기 예산 산정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소요 비용 정보 및 차기 예산 산정 정보는 상술한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투자 자산 정보 및 예산 정보를 산출하는데 있어서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 이력 정보와 관련하여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자산/설비에 대한 수리 이력을 기록하는 수리 관리 입력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f는 본 발명의 정보 입력 필드에 포함되는 수리 관리 입력 필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리 관리 입력 필드는 주유소 각각으로 할당되며, 주유소 별 보수 작업 내용, 작업 기간 등을 포함하는 관리 항목으로 기록한다. 또, 이러한 수리 관리 입력 필드의 입력은 업무 담당자(185)가 외부 업체(190)의 보수/수리 작업이 종료되었을 경우에 수행되며, 작업 제어 모듈(130)은 보수/수리 작업의 종료 후에 수리 관리 입력 필드의 수리 이력을 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115)에 기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100)의 다른 실시예로서,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100)은 외부 업체(190)의 작업 견적 정보에 대한 업무 담당자(185)의 결재 처리를 수행하는 결재 처리 모듈(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재는 현재 회사나 기업에서 이루어지는 업무에 대한 체계상의 승인 절차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승인 절차는 생성된 수리 요청 정보에 상응하여 진행되는 처리 업무에 따라발생하게 된다. 회사나 기업 내의 승인 절차와 마찬가지로 단위 업무가 진행되기 위해선 업무 담당자(185)의 결재 처리가 필요하며,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고자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는, 각 정보 입력 필드에 대한 업무 담당자(185)의 확인 처리를 표시하는 결재 입력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g는 본 발명의 정보 입력 필드에 포함되는 결재 입력 필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g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재 입력 필드는, 예컨대 체계상의 결재 라인에 따른 직급을 기재하며, 결재 입력 필드로의 확인 처리는 업무 담당자(185)의 식별이 가능한 전자 서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업무 담당자(185)가 차기 작업 진행에 대한 검토 작업을 완료하고 작업 진행의 승인 확인으로 결재 입력 필드에 입력 확인함으로써 다음의 작업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작업 제어 모듈(130)은 업무 담당자(185)에 의한 결재 입력 필드의 확인 처리가 표시되는 경우에 다음 작업이 진행되도록 각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의 정보 입력 필드의 제공을 제어한다. 업무 담당자(185)의 결재 승인은 생성된 수리 요청 정보의 접수 처리, 작업 견적에 의한 시공 업체 선정 처리, 보수/수리 작업 지시 처리, 및 보수/수리 작업 완료 처리 등에서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d에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자산/설비에 대한 현황 정보를 기록하는 자산 데이터베이스(112)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다.
도 6a는 특정 주유소의 월별 장비 상태 현황 정보를 나타낸 것으로, 예컨대 주유소에서 점유하는 장비의 구분 명칭, 취득가, 소유 형태, 상태 등급 등에 관한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특히, 상태 등급은 감가 감지 모듈(150)에 의해 생성되는 수리 요청 정보, 바람직하게는 정기 점검 요청에 따라 계약 관계에 있는 외부 업체(190)에 점검 결과에 따라 입력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장비 상태 현황 정보에 의해 자산 설비 운영자(180)가 점유 중인 장비의 상태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b는 각 주유소 별 임대 장비 현황 및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임대료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컨대 주유소 별 임대 장비 명칭, 임대 대수, 임대료, 잔존 임대료에 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임대 장비 현황 정보 및 임대료 정보에 의해 미납 임대료에 대한 추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c는 각 주유소 별 비용 사용 현황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컨대 해당 년도의 월별 사용 비용 및 누적 사용 비용, 차년도의 예상 소요 비용 등에 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비용 사용 현황 정보에 의해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예산 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6d는 아이템(ITEM)별 사용 현황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색(search) 기능을 통해 특정 아이템에 대한 특정 연도의 사용 현황 정보를 확인하여 자산 설비 운영자(180) 또는 업무 담당자(185)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2002년도에 사용된 '폴사인' 에 대한 사용 현황 정보를 확인하여 정보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100)은 상술한 데이터베이스부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은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부(111), 자산 데이터베이스부(112),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110)를 유지하는 단계(S710)와,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자산/설비 현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자산 데이터베이스부(112)에 기록하는 단계(S720)와, 자산 설비 운영자(180)로부터의 수리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에 기록하는 단계(S730)와, 수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예상 작업 견적을 산출하여 외부 업체(190)로부터의 작업 견적과 비교함으로써 최적의 외부 업체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에 기록하는 단계(S740), 및 선정된 외부 업체(190)에게 작업을 지시하고, 작업 진행에 따른 외부 업체(190)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에기록하는 단계(S750)를 포함한다.
우선, 자산 설비 운영자(180), 업체 담당자(185), 및 외부 업체(190)에 관한 기본 신상 정보, 관련 자산 정보, 시공 별 보수/수리 업체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부(110)를 본 발명의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100)에 유지한다. 데이터베이스부(110)의 정보는 각각의 목적에 맞게 분류되어 소정의 기록 매체 혹은 기록 영역에 기록될 수 있으며, 자산 설비 운영자(180) 또는 감가 감지 모듈(150)에 의해 생성되는 수리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보수/수리 업체를 선별하고 작업에 적절하게 사용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갈음한다.
또한, 자산 설비 운영자(180)가 점유하고 있는 주유소에 대한 자산/설비 현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자산 데이터베이스부(112)에 기록한다(S720). 자산 데이터베이스부(112)에 기록되는 현황 정보는 각 주유소 마다의 자산 현황(화폐 가치로 환산된 가치 평가 정보) 및 토지 및 장비 등의 임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현황 정보를 통해 본 발명의 감가 감지 모듈(150)의 판단을 통한 수리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자산 설비 운영자(180)로부터의 수리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에 기록한다(S730). 수리 요청 정보는 주유소를 점유하는 자산 설비 운영자(180)에 의해 생성되거나, 소정의 감가 상각 정보에 따라 자산/설비의 사용에 의한 소모 또는 시간 경과에 따른 폐퇴 정도를 감지하여 감가 감지 모듈(15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신된 수리 요청 정보를 기초하여 예상 작업 견적을 산출하고, 하나 이상의 외부 업체(190)로부터 수리 요청 정보에 대한 작업 견적을 수신한다(S740).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견적 중에서 예상 작업 견적과 가장 근접한 작업 견적을 제시한 외부 업체(190)를 시공 외부 업체로 선정한다. 선정된 외부 업체(190)는 수리 요청 정보가 기록되는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에 기록되고 보수/수리 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유지된다.
선정된 외부 업체(190)에게 수리 요청 정보에 대한 보수/수리 작업을 지시하고, 작업 진행에 따른 외부 업체(190)의 고가 평가를 수행하여 생성되는 평가 정보를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113)에 기록한다(S75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자산 설비 운영자(180)의 자산/설비에 대한 수리 요청 정보를 최소의 비용으로 최적의 외부 업체(190)에 용역 의뢰되도록 하여 보수/수리에 있어서 다양한 요구를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8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820)과 롬(ROM: Read Only Memory)(8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8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8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820) 및 롬(8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8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8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8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860)과 같은 특정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8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8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8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은 주유소 등의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물리적으로 다양한 위치에 분산되어 있는 다수의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모든 응용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유소 별 자산/설비 현황에 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주유소의 자산/설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산 설비 운영자의 고장 접수 및 수리 요청을 실시간으로 접수하고 적절한 보수 업체를 신속하게 선정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산/설비의 유지 보수에 대한 처리 방법을 표준화하고, 주유소 자산/설비에 대한 계획적인 예방 정비 업무를 지원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유소 별 자산/설비 현황에 관한 정보를 축적 관리하고, 축적된 정보를 통해 소요 예산을 과학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부;
    자산 설비 운영자 또는 업무 담당자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여 접속 인가 처리하고, 접속 인가된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로부터 상기 수리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수리 요청 정보를 상기 업무 담당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업무 담당자에 의해 접수 처리된 상기 수리 요청 정보를 하나 이상의 상기 외부 업체에 전달되도록 하는 작업 제어 모듈; 및
    상기 접수 처리된 수리 요청 정보에 대한 상기 외부 업체로부터의 응답 신호 또는 상기 수리 요청 정보에 기초한 작업 견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 상기 업무 담당자, 및 상기 외부 업체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의 자산/설비에 관한 현황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자산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의 자산/설비에 관한 수리 요청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감가 상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감가 상각 정보에 따른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의 자산/설비에 대한 보수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자산/설비의 수리와 연관된 수리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감가 감지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가 감지 모듈은,
    상기 자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산/설비의 사용에 의한 소모 또는 시간 경과에 따른 폐퇴 정도를 감지하고 상기 자산/설비의 보수 시기를 판단하기 위한 중앙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 상기 업무 담당자, 및 상기 외부 업체 각각에 부여되고,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 상기 업무 담당자, 및 상기 외부 업체에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에 상응하는 저장 영역에는,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의 주유소 등록 정보 및 운영하는 주유소의 예산 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업무 담당자에 상응하는 저장 영역에는, 상기 업무 담당자의 관할 주유소 정보 및 임대 가능한 장비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며,
    상기 외부 업체에 상응하는 저장 영역에는, 상기 외부 업체 등록 정보 및 시공 종류별 외부 업체 평가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가 보유하는 자산의 임차 정보, 투자 자산 정보를 포함하는 자산 설비 운영자 자산과 연관된 자산 정보를 기록하는 자산 현황 데이터베이스;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의 설비 -상기 설비는 상기 자산에 소정의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됨- 보유 정보 및 설비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설비 정보를 기록하는 시설 현황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가 보유 중인 장비의 임차 정보 및 장비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장비 정보를 기록하는 장비 현황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 각각에 부여되며 상기 수리 요청 정보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기록하는 정보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정보 입력 필드는, 대상물 입력 필드, 수리 내용 입력 필드, 희망 완료일 입력 필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항목 입력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 제어 모듈은, 상기 항목 입력 필드에 대응하여 상기 수리 요청 정보를 정보 입력 필드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 처리된 수리 요청 정보에 대한 예상 작업 견적을 산출하는 견적 계산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 제어 모듈은, 상기 산출된 예상 작업 견적 및 수신된 작업 견적을 비교하여 최적의 외부 업체를 선정하고, 상기 수리 요청 정보에 대한 작업 지시를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외부 업체의 수리 작업에 연관된 가격 정보를 기록하는 가격 관리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견적 계산 모듈은, 상기 예상 작업 견적으로서 상기 가격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리 요청 정보에 대한 최저 예상 견적을 산출하고,
    상기 작업 제어 모듈은 상기 최저 예상 견적에 관한 정보를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에 갱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정보 입력 필드는 상기 수리 요청 정보에 기초한 상기 외부 업체의 작업 견적을 기록하는 견적가 입력 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 제어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견적을 상기 견적가 입력 필드에 기록하되, 상기 견적가 입력 필드에 대한 접속 허용 권한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정보 입력 필드는 선정 업체 입력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 제어 모듈은 상기 선정된 외부 업체와 연관된 정보를 상기 선정 업체 입력 필드에 기록하며, 상기 선정된 외부 업체의 견적가 입력 필드에 대한 상기 접속 허용 권한을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에게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정보 입력 필드는 상기 수리 요청 정보에 대한 작업 진행 입력 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 제어 모듈은 상기 외부 업체에게 작업 진행과 연관된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업체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진행 정보를 상기 작업 진행 입력 필드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정보 입력 필드는 상기 외부 업체의 작업에 대한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의 평가 내역을 기록하는 업체 평가 입력 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 제어 모듈은, 상기 평가 내역에 기초하여 업체 고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업체에 대응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부의 저장 영역에 갱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정보 입력 필드는 상기 외부 업체의 작업에 대한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의 작업 확인을 기록하는 작업 확인 입력 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 제어 모듈은, 상기 작업 확인 입력 필드에 대한 입력 기록이 있을 경우에 보수 작업 종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 상기 업무 담당자, 및 상기 외부 업체에 선정된 방식으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의 수리 요청에 응답하여 수리 작업한 수리 이력을 기록하는 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의 자산/설비에 대한 수리 이력을 기록하는 수리 관리 입력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 제어 모듈은, 수리 작업의 종료 후에 상기 수리 관리 입력 필드의 수리 이력을 상기 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업체의 작업 견적 정보에 대한 상기 업무 담당자의 결재 처리를 수행하는 결재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는, 각 정보 입력 필드에 대한 상기 업무 담당자의 확인 처리를 표시하는 결재 입력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재 입력 필드는, 상기 업무 담당자의 전자 서명에 의해 상기 확인 처리가 표시됨-
    상기 작업 제어 모듈은 상기 확인 처리가 표시되는 경우에 다음 처리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17.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부, 자산 데이터베이스부,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유지하는 단계;
    자산 설비 운영자의 자산/설비 현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산 데이터베이스부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자산 설비 운영자로부터의 수리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수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예상 작업 견적을 산출하여 외부 업체로부터의 작업 견적과 비교함으로써 최적의 외부 업체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외부 업체에게 작업을 지시하고, 상기 작업 진행에 따른 상기 외부 업체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에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수리 요청 데이터베이스부에 대한 기록 작업은, 상기 수리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항목으로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입력 필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30046603A 2003-07-10 2003-07-10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KR20050006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603A KR20050006686A (ko) 2003-07-10 2003-07-10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603A KR20050006686A (ko) 2003-07-10 2003-07-10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686A true KR20050006686A (ko) 2005-01-17

Family

ID=3722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603A KR20050006686A (ko) 2003-07-10 2003-07-10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668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777B1 (ko) * 2007-08-09 2009-12-24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원가 정보 산출 시스템 및 산출 방법
KR101492579B1 (ko) * 2007-04-20 2015-02-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변전소 자동화를 위한 iec 61850 데이타 변환방법
CN110197334A (zh) * 2019-05-31 2019-09-03 珠海金鑫标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固定资产的维修管理系统
KR20210083893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579B1 (ko) * 2007-04-20 2015-02-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변전소 자동화를 위한 iec 61850 데이타 변환방법
KR100933777B1 (ko) * 2007-08-09 2009-12-24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원가 정보 산출 시스템 및 산출 방법
CN110197334A (zh) * 2019-05-31 2019-09-03 珠海金鑫标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固定资产的维修管理系统
KR20210083893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26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and managing physical assets
KR101713155B1 (ko) 가격 조정을 통한 렌트카 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200200873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user certification and training
KR100450540B1 (ko) 수주에서 납품까지 제품의 물류 및 스케줄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생산 물류 관리 시스템
US200501317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and managing physical assets
US20150324758A1 (en) Equipment Management System
CN105121980A (zh) 制冷剂交换、回收和银行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US20070050230A1 (en) Computer facilitated ordering, tracking, and reporting system
US200300742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forecasting material requirements and managing the accessability of the materials
US2013029005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renovation of a property
KR20170141563A (ko) 가격비교검색을 통한 렌트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50256776A1 (en) Industrial it system for production of distribution power transformers
WO2001037121A2 (en) A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and managing physical assets
KR20050006686A (ko)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US20040167825A1 (en) System for optimization of drayage services
KR20050014054A (ko) 설비 자산 관리 방법 및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KR100769736B1 (ko) 연구개발장비의 관리장치를 이용한 통합관리방법
JP690216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15835A (ko) 렌탈 물품에 관련된 비용을 결제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93412B1 (ko) 부품 유통 정보 및 차량 정비 정보 관리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KR100487079B1 (ko) 인터넷 웹을 이용한 자원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1504357A1 (en) Industrial it system for distribution/power transformers manufacturing material control with suppliers systems integration
AU2022351989A1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ercial activities between members of a network of users
US202000200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aggregated purchase and fractionalized dispersal of energy products for vehicles
US20060015349A1 (en) Transformer manufacturing optimized planning across the manufacturing plan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