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663B1 - 와이어의 풀어짐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는 와이어 와인딩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의 풀어짐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는 와이어 와인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663B1
KR102350663B1 KR1020200091184A KR20200091184A KR102350663B1 KR 102350663 B1 KR102350663 B1 KR 102350663B1 KR 1020200091184 A KR1020200091184 A KR 1020200091184A KR 20200091184 A KR20200091184 A KR 20200091184A KR 102350663 B1 KR102350663 B1 KR 102350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obbin
sensor
winding device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응석
손상일
한재욱
Original Assignee
케이비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비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1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3/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 B65H63/02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 B65H63/024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responsive to breakage of materials
    • B65H63/036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responsive to breakag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he detecting or sensing elements with other devices, e.g. stopping devices for material advancing or wind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1/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metering predetermined lengths of runn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3/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 B65H63/02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 B65H63/024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responsive to breakage of materials
    • B65H63/028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responsive to breakag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ng or sensing element
    • B65H63/032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responsive to breakag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ng or sensing element electrical or pneumatic
    • B65H63/0321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responsive to breakag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ng or sensing element electrical or pneumatic using electronic actuators
    • B65H63/0324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responsive to breakag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ng or sensing element electrical or pneumatic using electronic actuators using photo-electric sensing means, i.e. the defect signal is a variation of light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1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4Diameter, e.g. of roll or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10Mass, e.g. mass flow rate; Weight; Inert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51Encoders, e.g. lin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50Use of particular electromagnetic waves, e.g. light, radiowaves or microwaves
    • B65H2557/51La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의 풀어짐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는 와이어 와인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몰리브덴 와이어를 사용하는 제조 공정에서 이용될 특정 규격의 보빈으로 와이어를 원활하게 옮겨 감으면서 와이어의 단선, 소진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여 와이어의 풀어짐으로 인한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의 풀어짐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는 와이어 와인딩 장치{WIRE WINDING DEVICE PREVENTS DETERIORATION OF RELIABILITY DUE TO UNWINDING}
본 발명은 와이어 와인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몰리브덴 와이어를 사용하는 제조 공정에서 이용될 특정 규격의 보빈으로 와이어를 원활하게 옮겨 감으면서 와이어의 단선, 소진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여 와이어의 풀어짐으로 인한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와인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몰리브덴은 소위 고융점 금속이라 불리는 고온 특성을 가지고 있는 비철금속 중 하나로 내부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고온 고압용 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같은 몰리브덴은 총생산량의 약 90% 정도가 스테인리스강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그 외에 판재, 시트, 포일, 스트립, 파이프, 봉재, 튜브, 도가니, 와이어, 봉재의 형태로 고온에서 작업을 요하는 각종 고온로의 내부 부품 또는 지지물, 전자관의 양극(Anode), 전기회로의 접점, 내열재료 고온 부품, 특수합금, 전구의 전극 자재, 전열선(電熱線), 코팅, 몰리브덴블루 등의 안료, 수소첨가의 촉매, 유리 전기 용광로의 전극봉(glass melting electrode), 각종 필라멘트 제작을 위한 맨드릴(mandrel)용 등으로 사용된다.
이 가운데 몰리브덴 와이어의 경우 고온 특성과 내부식 특성으로 인해 내구성이 필요한 전자 진공장치용 가열 부품, 각종 벌브 후크, 텅스텐 코일 권선의 맨드릴 등의 제작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같이 몰리브덴 와이어를 사용하여 제조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공정 특성에 맞도록 몰리브덴 와이어가 감겨있는 독자 규격의 보빈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각 공정에 적합하도록 규격화된 형태로 와이어가 감겨있는 보빈을 주문 생산하여 조달받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원재료 와이어 보빈으로부터 제조공정을 위해 마련된 독자적인 규격의 보빈에 옮겨 감기 위한 와이어 와인딩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특히 몰리브덴 와이어 경우 주로 내구성과 치수 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정밀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해당 공정 진행의 불량률을 줄이기 위하여 고품질의 옮겨 감기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와이어의 선경도 일률적인 것으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또한, 와이어가 소진, 단선 등으로 인해 풀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공정의 신뢰성 및 작업진행 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며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되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0010181호(2019.01.3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몰리브덴 와이어를 사용하는 제조 공정에서 이용될 특정 규격의 보빈으로 와이어를 원활하게 옮겨 감으면서 와이어의 단선, 소진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여 와이어의 풀어짐으로 인한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와인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와이어 와인딩 장치는, 제1보빈에 감겨있는 와이어를 공정 진행을 위해 규격화된 제2보빈으로 옮겨 와인딩하기 위한 와이어 와인딩 장치로서, 와이어가 감겨있는 제1보빈을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하는 제1거치대; 상기 제1거치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제2보빈을 거치한 상태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1보빈에 감겨있던 와이어를 제2보빈으로 이송하여 감아주는 제2거치대; 및 상기 제1거치대와 제2거치대 사이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와이어와의 접촉에 의해 구동력을 얻어 회전하는 롤러형 접촉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롤러형 접촉센서의 회전수를 근거로 제2보빈으로 이송되어 감기는 와이어의 길이 및 중량을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도록 한 엔코더;를 포함하며, 상기 엔코더에는 제1롤러형 접촉센서가 설치된 지점의 인근 후측에 이송 중인 와이어를 감지하는 와이어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와이어의 단선이나 끝단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와이어 감지센서와 제2거치대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 감지센서와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상기 와이어 감지센서에 와이어가 감지되지 않는 순간 상기 제2보빈에 감긴 와이어가 풀어지지 않도록 와이어를 붙잡아주는 와이어 클램프가 더 설치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클램프는, 상기 와이어 감지센서와 제2거치대 사이에 세워지며 상단부에는 이송되는 와이어가 관통되는 와이어 통공이 형성된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 일면의 좌편과 우편에서 선단부가 상기 와이어 통공을 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실린더와, 상기 한 쌍의 실린더 아암의 선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아암의 진출시 서로 마주 접하면서 와이어를 붙잡아주는 한 쌍의 접촉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실린더는 상기 지지패널 일면의 좌편과 우편에서 선단부가 상기 와이어 통공을 향하도록 하되 서로 대칭된 상방 대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설치공간의 좌우 폭을 줄이면서 실린더 후단부에 연결되는 공압라인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거치대와 제2거치대 사이에 설치되어 레이저 조사에 의해 이송 중인 와이어의 선경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선경측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경측정부재에 의해 측정된 와이어의 선경이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와이어의 이송을 정지하고 점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경측정부재는 이송 중인 와이어의 선경을 서로 직교한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서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경측정부재는, 와이어가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삼각홈이 상면에 각각 형성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서로 이격공간을 두고 구비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간 이격공간을 이격되게 둘러싼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간 이격공간을 향하고 있는 내측면은 8각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분할면으로 형성되며 상부 일부에는 와이어의 입출을 위해 개구된 개구부가 구비된 센서장착대; 및 상기 센서장착대의 다수의 분할면 중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 분할면에 각각 설치되어 각 설치지점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간 이격공간에 위치하는 와이어의 선경을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실시간 측정하는 X방향 레이저센서 및 Y방향 레이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와인딩 장치는, 와이어의 단선, 소진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여 대상이 되는 보빈으로 와이어를 차질없이 원활하게 옮겨 감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의 선경을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정에 적합하지 않은 와이어를 제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와이어 와인딩 장치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와이어 와인딩 장치에서 주요 구성요소들의 사시도, 측면도,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와인딩 장치에서 선경측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와인딩 장치에서 선경측정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와인딩 장치에서 와이어 클램프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정면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와이어 와인딩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와이어 와인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와이어 와인딩 장치에서 주요 구성요소들의 사시도, 측면도,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와인딩 장치는 제1보빈(10)에 감겨있는 몰리브덴 와이어를 사용하기 위한 특정 공정의 진행을 위해 규격화된 제2보빈(20)으로 옮겨 감기 위한 장치로서, 제1보빈(10)과 제2보빈(20)을 각각 거치하는 제1거치대(110) 및 제2거치대(120)를 비롯하여 이들 사이에 와이어(W)의 이송을 안내 및 제어하고 측정하기 위한 엔코더(140), 선경측정부재(150), 와이어 클램프(160), 트래버스(130)가 베이스 상부(100A)에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같은 주요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와인딩 장치는 시중에서 구입한 제1보빈(10)으로부터 와이어(W)를 공정 진행용으로 제조공정에 맞게 만들어진 제2보빈(20)으로 원활하게 옮겨 감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와이어의 선경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공정에 적합하지 않은 와이어 혹은 그 와이어를 감고 있는 보빈들을 장치에서 제외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와인딩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거치대(110)는 장치 베이스(100A) 상면에 설치되며 시중에서 구입한 원재료 와이어가 감겨 있는 제1보빈(10)을 회전 가능하게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거치대(110)는 제1보빈(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전축(111)을 구비한다. 상기 제1회전축(111)에는 제1보빈(10)으로부터 와이어가 풀릴 때 장력을 적당하게 유지하기 위한 토크 콘트롤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거치대(120)는 장치 베이스(100A) 상면에서 제1거치대(110)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2회전축(121)에 의해 제2보빈(20)을 거치한다. 상기 제2회전축(121)의 경우 제1모터(122)의 구동력에 의해 장착된 제2보빈(20)을 회전시키면서 제1보빈(10)에 감겨있던 와이어를 감아준다.
상기 트래버스(130)는 제1거치대(110) 인근 후측에 설치되어 와이어가 제2보빈(20)에 균등하게 감기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트래버스(130)는 지지체(131)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으로 왕복 이동하는 좌우방향 이동체(133)와, 상기 좌우방향 이동체(133)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13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133)에는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롤러(133a)를 구비한다. 이처럼 좌우방향 이동체(133)를 구비한 트래버스(130)를 구비하게 되면 제2보빈(20)에 대하여 와이어가 좌우방향으로 균등하게 감기면서 어느 한쪽으로만 편중되지 않도록 해준다. 상기 좌우방향 이동체(133)의 경우 10cm 정도의 폭으로 이동하면 적당하다.
나아가, 상기 트래버스(130)는 지지체(131)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트래버스 베이스(135)의 상면에 전후방향 레일(134)을 설치하고, 좌우방향 이동체(133)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체(131)를 상기 전후방향 레일(134)에 장착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트래버스(130)와 같이 와이어를 제2보빈(2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균등하게 감기위하여 제2보빈(20)을 지지하고 있는 제2회전축(121)과 그 인근의 부품들을 좌우방향으로 왕복 변위시킴으로써 제2보빈(20)이 움직이도록 한 구성을 생각하기 쉬우나, 이 경우에는 제1모터(122)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계통을 변경해야 하는 관계로 구성이 훨씬 복잡해지고 설계하기 난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거치대(120)와 별도로 설치되는 트래버스(130)의 경우에는 LM 가이드와 유사한 형태로 간단히 응용하여 설치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엔코더(140)는 제1거치대(110)와 제2거치대(120) 사이에서 설치되는데 상대적으로 제2거치대(120) 인근에 설치된다. 상기 엔코더(14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장치 베이스(100A) 상면에 지지된 엔코더 본체(141)와, 상기 엔코더 본체(141)의 일면에 설치된 롤러형 접촉센서(142), 와이어 감지센서(1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엔코더(140)의 롤러형 접촉센서(142)는 이송되는 와이어와의 접촉에 의해 구동력을 얻어 회전한다. 이로써 롤러형 접촉센서(142)의 회전수를 근거로 제1보빈(10)으로부터 제2보빈(20)으로 이송되어 감기는 와이어의 길이와 중량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롤러형 접촉센서(142)는 와이어의 이송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뿐만 아니라 와이어를 지지하여 안내하는 일반 가이드롤러로서의 역할까지 겸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롤러형 접촉센서(142)의 인근(하측)에는 와이어를 중심으로 반대편에서 와이어를 접촉하면서 롤러형 접촉센서(142)에 대해 와이어가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돕는 한 쌍의 보조롤러(143)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엔코더(140)의 와이어 감지센서(144)는 엔코더 본체(141)의 일면에서 롤러형 접촉센서(142)가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제1거치대(110)가 있는 후측으로 치우친 지점 중 와이어가 지나가는 지점에 설치된다. 이같은 와이어 감지센서(144)는 평상시 와이어를 실시간 감지하면서 그 감지신호를 제어기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 감지센서(144)는 초음파센서와 같이 감지영역에 존재하는 와이어를 감지할 수 있는 종류의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설치될 수 있다. 이같이 와이어 감지센서(144)가 구비되면 평상시 와이어 감지센서(144)에 의해 와이어를 감지하고 있다가 감지영역에서 와이어가 사라져 감지할 수 없게 되면 제어기가 와이어가 단선되었거나 소진(제1보빈(10)에 감겨 있던 분량)된 것으로 간주하여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엔코더 본체(141)에는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감지센서(144)의 감지영역을 정확히 지나도록 보다 정밀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수평형 가이드롤러(145a)와 수직형 가이드롤러(145b) 한 쌍이 인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 클램프(160)는 상기 와이어 감지센서(144)와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와이어 감지센서(144)가 평상시 감지하던 와이어를 감지하지 못하는 순간 와이어를 신속하게 붙잡아준다. 이로써 와이어가 제2보빈(20)으로부터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 클램프(160)는 와이어 감지센서(144)보다 제2거치대(120)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와이어 감지센서(144)와 제2거치대(12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 클램프(16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장치 베이스(100A)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단부에 이송되는 와이어가 관통되도록 와이어 통공(161a)이 형성된 지지패널(161)과, 상기 지지패널(161)에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162)와 접촉편(16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162)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패널(161) 일면의 좌편과 우편에서 와이어 통공(161a)을 향하여 선단부가 모아지는 형태로 설치되되 상방 대각방향으로 설치된다. 이처럼 한 쌍의 실린더(162)가 양편에서 대칭을 이루는 가운데 수평하게 설치되지 않고 선단부가 와이어 통공(161a)을 향하도록 상방 대각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 좌우 폭을 줄이면서 실린더(162) 후단부에 연결되는 공압라인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유도하여 좌우로 지저분하게 돌출되지 않도록 정리하는 데 유리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접촉편(163)은 실린더(162) 아암(162a)의 선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아암(162a)의 진출시 좌편과 우편에서 마주 접하면서 와이어를 붙잡아준다. 상기 접촉편(163)의 대향면에는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붙잡기 위하여 실리콘이나 러버와 같은 마찰재(164)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경측정부재(150)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이송 중인 와이어의 선경을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경측정부재(150)는 제1거치대(110)와 제2거치대(1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데 와이어 클램프(160) 인근의 후측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경측정부재(1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대(151), 센서장착대(152), X방향 레이저센서(153a) 및 Y방향 레이저센서(15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선경측정부재(150)의 지지대(151)는 와이어가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제1삼각홈(161d)과 제2삼각홈(161e)이 상면에 각각 형성된 제1지지부(161a)와 제2지지부(161b)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1지지부(161a)와 제2지지부(161b)는 서로 이격공간(161c)을 두고 이격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선경측정부재(150)의 센서장착대(152)는 상기 지지대(151)의 제1지지부(161a)와 제2지지부(161b) 간 이격공간(161c)을 둘러싼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센서장착대(152)는 그 내측면에 X방향 레이저센서(153a)와 Y방향 레이저센서(153b)를 설치할 수 있도록 내측면이 8각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분할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와이어의 입출을 위한 개구부(152a)가 구비된 독특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선경측정부재(150)의 X방향 레이저센서(153a)와 Y방향 레이저센서(153b)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센서장착대(152)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각 설치지점에서 서로 직교하는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제1지지부(161a)와 제2지지부(161b) 간 이격공간(161c)에 위치하는 와이어의 선경을 실시간 측정한다. 상기 X방향 레이저센서(153a)와 Y방향 레이저센서(153b)는 상기 센서장착대(152)에서 8각 형태로 이루어진 내측면 중 서로 직교하게 형성된 두 개의 분할면에 각각 설치되고 그와 반대편에서 대향하는 면들에는 레이저를 흡수하기 흡수판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조사되는 레이저가 중간에 지지대(151)에 의해 간섭되거나 센서장착대(152)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52a)를 통해 외부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8각 형태 내측면의 분할면 중 X방향 레이저센서(153a)와 Y방향 레이저센서(153b)는 수직면이나 수평면보다 대각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면에서 내측면 중 하부 수평면을 중심으로 양편에 위치하는 대각면에 X방향 레이저센서(153a)와 Y방향 레이저센서(153b)가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선경측정부재(150)가 구비되면 이송되는 와이어의 선경을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서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X축 방향 측정치와 Y축 방향 측정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범위를 벗어나서 과도하게 굵거나 얇은 경우 제어기가 즉각적으로 와이어의 이송을 정지하게 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점검을 통해 해당하는 와이어를 제외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제1보빈(10)과 제2보빈(20)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등의 적극적인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A : 장치 베이스 110 : 제1거치대
120 : 제2거치대 130 : 트래버스
140 : 엔코더 150 : 선경측정장치
160 : 와이어 클램프

Claims (5)

  1. 제1보빈에 감겨있는 와이어를 공정 진행을 위해 규격화된 제2보빈으로 옮겨 와인딩하기 위한 와이어 와인딩 장치로서,
    와이어가 감겨있는 제1보빈을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하는 제1거치대; 상기 제1거치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제2보빈을 거치한 상태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1보빈에 감겨있던 와이어를 제2보빈으로 이송하여 감아주는 제2거치대; 및 상기 제1거치대와 제2거치대 사이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와이어와의 접촉에 의해 구동력을 얻어 회전하는 롤러형 접촉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롤러형 접촉센서의 회전수를 근거로 제2보빈으로 이송되어 감기는 와이어의 길이 및 중량을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도록 한 엔코더;를 포함하며,
    상기 엔코더에는 제1롤러형 접촉센서가 설치된 지점의 인근 후측에 이송 중인 와이어를 감지하는 와이어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와이어의 단선이나 끝단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와이어 감지센서와 제2거치대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 감지센서와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상기 와이어 감지센서에 와이어가 감지되지 않는 순간 상기 제2보빈에 감긴 와이어가 풀어지지 않도록 와이어를 붙잡아주는 와이어 클램프가 더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클램프는, 상기 와이어 감지센서와 제2거치대 사이에 세워지며 상단부에는 이송되는 와이어가 관통되는 와이어 통공이 형성된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 일면의 좌편과 우편에서 선단부가 상기 와이어 통공을 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실린더와, 상기 한 쌍의 실린더 아암의 선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아암의 진출시 서로 마주 접하면서 와이어를 붙잡아주는 한 쌍의 접촉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실린더는 상기 지지패널 일면의 좌편과 우편에서 선단부가 상기 와이어 통공을 향하도록 하되 서로 대칭된 상방 대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설치공간의 좌우 폭을 줄이면서 실린더 후단부에 연결되는 공압라인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와인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대와 제2거치대 사이에 설치되어 레이저 조사에 의해 이송 중인 와이어의 선경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선경측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경측정부재에 의해 측정된 와이어의 선경이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와이어의 이송을 정지하고 점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와인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경측정부재는 이송 중인 와이어의 선경을 서로 직교한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서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와인딩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경측정부재는,
    와이어가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삼각홈이 상면에 각각 형성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서로 이격공간을 두고 구비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간 이격공간을 이격되게 둘러싼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간 이격공간을 향하고 있는 내측면은 8각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분할면으로 형성되며 상부 일부에는 와이어의 입출을 위해 개구된 개구부가 구비된 센서장착대; 및
    상기 센서장착대의 다수의 분할면 중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 분할면에 각각 설치되어 각 설치지점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간 이격공간에 위치하는 와이어의 선경을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실시간 측정하는 X방향 레이저센서 및 Y방향 레이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와인딩 장치.
KR1020200091184A 2020-07-22 2020-07-22 와이어의 풀어짐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는 와이어 와인딩 장치 KR102350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184A KR102350663B1 (ko) 2020-07-22 2020-07-22 와이어의 풀어짐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는 와이어 와인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184A KR102350663B1 (ko) 2020-07-22 2020-07-22 와이어의 풀어짐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는 와이어 와인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663B1 true KR102350663B1 (ko) 2022-01-17

Family

ID=8005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184A KR102350663B1 (ko) 2020-07-22 2020-07-22 와이어의 풀어짐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는 와이어 와인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6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5071A (ja) * 1995-03-09 1996-09-2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キャッチャー
KR20070096558A (ko) * 2006-03-27 2007-10-02 여상현 선재의 재권취장치 및 그 방법
KR100864306B1 (ko) * 2008-07-15 2008-10-20 (주)로이포스 전선 내도용 테이프 재권취기
JP2018147803A (ja) * 2017-03-08 2018-09-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の製造方法、ケーブルの検査方法およびケーブル外観検査装置
KR20190010181A (ko) 2017-07-21 2019-01-30 엔에이티엠 주식회사 와이어 와인딩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5071A (ja) * 1995-03-09 1996-09-2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キャッチャー
KR20070096558A (ko) * 2006-03-27 2007-10-02 여상현 선재의 재권취장치 및 그 방법
KR100864306B1 (ko) * 2008-07-15 2008-10-20 (주)로이포스 전선 내도용 테이프 재권취기
JP2018147803A (ja) * 2017-03-08 2018-09-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の製造方法、ケーブルの検査方法およびケーブル外観検査装置
KR20190010181A (ko) 2017-07-21 2019-01-30 엔에이티엠 주식회사 와이어 와인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606B1 (ko) 와이어 와인딩 장치
JP5880096B2 (ja) 内径測定装置
WO2009108315A2 (en) Methods for measuring the tension of optical fibers during manufacture
KR102350663B1 (ko) 와이어의 풀어짐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는 와이어 와인딩 장치
JP2013215781A (ja) レーザ溶接装置およびレーザ溶接方法
JP2024026150A (ja) ケーブル処理機械の矯正装置および矯正ユニットを操作する方法
JP2007513855A (ja) 円筒状ガラス体をつくる垂直延伸法とそ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CN111151516A (zh) 提升激光清洗精度的方法及装置
CN211877864U (zh) 一种涡流高速在线管材检测设备
TWI716691B (zh) 自動掛絲裝置、絲處理設備以及掛絲方法
JP2020049499A (ja) 鉄筋のリブ位置調整装置
JPH07119579B2 (ja) 内径測定装置
JP5441421B2 (ja) 連続鋼帯プロセスラインにおける蛇行矯正方法および装置
JP4177565B2 (ja) 疵検査装置用校正ロールの調整方法および疵検査装置
JP5315598B2 (ja) ボイラ伝熱管群内走行装置、ボイラ伝熱管の肉厚検査装置および方法
JPH05310369A (ja) 巻状態モニタ方法
JP3009570U (ja) チューブ用腐食深さ測定装置
CN109323726A (zh) 用于检测钢帘线残余扭转的自动化生产线
KR100341057B1 (ko) 코일원주면자동검사장치
JP6388196B2 (ja) 蛍光磁粉探傷装置
JP2019217507A (ja) 電縫鋼管溶接部焼鈍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縫鋼管の製造方法
JP3724402B2 (ja) 糸条巻取機
JP4300993B2 (ja)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KR100805067B1 (ko) 선재 사이징 압연기의 입구가이드 조정장치
TWI725753B (zh) 線材之線上檢測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