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328B1 -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328B1
KR102348328B1 KR1020210053590A KR20210053590A KR102348328B1 KR 102348328 B1 KR102348328 B1 KR 102348328B1 KR 1020210053590 A KR1020210053590 A KR 1020210053590A KR 20210053590 A KR20210053590 A KR 20210053590A KR 102348328 B1 KR102348328 B1 KR 102348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lower mold
receiving space
grain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콘스
Priority to KR1020210053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36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23G3/0252Apparatu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r by a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 on a surface, e.g. injection moulding, transfer moulding
    • A23G3/0268Moul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 및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는 재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하부금형; 상기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압돌출부를 구비한 상부금형; 상기 하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돌출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온전히 삽입될 때 상기 수용공간에 열을 가하도록 구성된 가열부; 및 상기 하부금형을 상기 상부금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돌출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은 외기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가압돌출부가 상기 수용공간에서 인출되도록 상기 구동어셈블리가 상기 하부금형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수용공간의 사전 지정된 일측은 상기 수용공간의 타측에 비해 먼저 외기에 노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완성된 제품이 해당 방향으로 더욱 안정적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 및 제조장치{MOL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GRAIN CRACKERS}
본 발명은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완성된 곡물과자 제품을 더욱 안정적으로 의도한 방향을 향해 토출할 수 있는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곡물 재료를 높은 온도에서 높은 압력을 가한 후 압력을 해제하여 곡물과자를 제조하는 방식은 이미 오래 동안 알려져 왔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곡물과자는 부피에 비해 많은 열량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다이어트 식품 및 건강식품으로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일반적인 곡물과자 제조장치는, 장치에 구비되는 금형 안에 일정량의 곡물을 넣은 후 밀폐하여 가열함으로써 곡물내부 수분을 팽창시킨다. 이렇게 곡물내부의 수분을 팽창시킴으로써 금형 안의 압력을 급상승시킬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밀폐된 금형을 개방하면 압력이 순간적으로 낮아지면서 곡물이 수 배 이상으로 급팽창하게 되는 원리에 의해 곡물과자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제조장치에서 곡물과자가 제조될 때, 금형이 개방되어 압력이 급강하할 때 곡물과자가 금형으로부터 분리되는데, 갑작스러운 압력 변화로 인해 완성된 곡물과자 제품은 불규칙한 방향으로 토출된다. 곡물과자 제품이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토출될 때 곡물과자는 바닥이나 주위의 물건 혹은 제조장치의 다른 부분과 충돌하여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위로 튕겨진 후 다시 금형 내부로 하강하여 추후 제조공정을 방해하게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완성된 곡물과자 제품을 더욱 안정적으로 의도한 방향을 향해 토출할 수 있는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 및 제조장치에 대한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772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완성된 곡물과자 제품을 안정적으로 의도한 방향을 향해 토출할 수 있는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는 재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하부금형; 상기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압돌출부를 구비한 상부금형; 상기 하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돌출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온전히 삽입될 때 상기 수용공간에 열을 가하도록 구성된 가열부; 및 상기 하부금형을 상기 상부금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돌출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은 외기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가압돌출부가 상기 수용공간에서 인출되도록 상기 구동어셈블리가 상기 하부금형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수용공간의 사전 지정된 일측은 상기 수용공간의 타측에 비해 먼저 외기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금형은 그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은 경사가 없이 수평을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 주위의 상면은 상기 사전 지정된 일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은 상기 일측에서 제1 기울기를 갖고 상기 타측에서 제2 기울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울기는 상기 사전 지정된 일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사전 지정된 일측 모서리에 챔퍼링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은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챔퍼링부는 상기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에 대하여 180도 이하의 중심각을 가진 원호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사전 지정된 일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사전 지정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금형은 그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은 경사가 없이 수평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은 상기 사전 지정된 일측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질 수 있으며, 상기 가압돌출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형상에 대응하여 그 바닥면이 상기 사전 지정된 일측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하부금형은, 상하구동을 위하여 상기 구동어셈블리에 연결되는 베이스금형부; 및 상기 베이스금형부의 상단에서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체금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다른 일측면은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따른 다른 일측면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는 재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하부금형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수용공간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가압돌출부의 삽입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압돌출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은 외기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가압돌출부가 상기 수용공간에서 인출될 때 상기 수용공간의 사전 지정된 일측은 상기 수용공간의 타측에 비해 먼저 외기에 노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곡물과자 재료를 수용한 수용공간이 개방되면서 압력이 강하할 때 수용공간의 지정된 일측이 먼저 외기에 노출되도록 하여 완성된 제품이 해당 방향으로 더욱 안정적으로 토출되게 할 수 있는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 및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에 사용 가능한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의 하부금형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부금형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의 하부금형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의 하부금형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의 하부금형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의 하부금형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의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1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100)에 사용 가능한 상부금형(140) 및 하부금형(130)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100)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어셈블리(110); 상기 본체어셈블리(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정량의 곡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곡물공급어셈블리(120); 상기 본체어셈블리(11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곡물공급어셈블리(120)로부터 공급받은 곡물을 수용하여 가열하는 하부금형(130); 상기 하부금형(13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금형(130)의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금형(130)의 내부공간을 가압하는 상부금형(140); 및 상기 하부금형(130)과 상기 상부금형(14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어셈블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본체어셈블리(110)의 상부에 곡물공급어셈블리(120)가 설치되고, 중부에는 하부금형(130)과 상부금형(140)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하부금형(130)을 구동하는 구동어셈블리(15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금형(130)과 상부금형(140) 모두에 또는 그 중 어느 하나에는 가열부(133)가 장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가열부(133)가 하부금형(130)과 상부금형(140) 모두에 형성되어 있고, 봉 형태의 금속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를 위해 하부금형(130)과 상부금형(140)에는 한쪽에서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관통홀(13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열부(133)는 이와 같은 관통홀(133a)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물론, 가열부(133)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가열부(133) 하부에 센서(13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마찬가지로 하부금형(130)과 상부금형(140)의 한쪽에서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관통홀(134a)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134)는 가열부(133)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물론, 온도 센서 이외의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열부(133)와 센서(134)를 더 용이하게 장착, 관리 및 보수할 수 있도록 관통홀(133a, 134a)에는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는 분기 관통홀(133b, 134b)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후 도 9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부금형(130)과 상부금형(140) 중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금형부(131, 141)에 교체금형부(132, 142)가 교체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체어셈블리(110)의 일측에는 곡물공급어셈블리(120)와 구동어셈블리(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등이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박스에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칩과, 설정된 음성을 출력하여 보이스 안내를 수행하는 보이스칩이 포함될 수 있다.
곡물공급어셈블리(120)는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곡물이 보관되는 곡물보관부(121)와, 상기 곡물보관부(121)로부터 공급받은 곡물을 상기 하부금형(130)에 일정량씩 배출하기 위한 곡물공급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100)의 동작은 이하와 같은 순서에 따라 진행될 수 있다.
우선, 곡물공급어셈블리(120)는 곡물공급부(122)를 통해 일정량의 곡물 재료를 하부금형(130)의 수용공간(135)에 공급할 수 있다. 상부금형(140)과 하부금형(130)은 하나의 제조용 몰드를 형성할 수 있는데, 하부금형(130)에는 그 상부에 수용공간(135)이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부금형(140)에는 가압돌출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돌출부(145)는 수용공간(13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돌출부(145)가 수용공간(135) 내에 삽입되면 수용공간(135)은 외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부금형(140)이 하부금형(130)과 다른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나, 이는 상부금형(140) 하부에 형성된 가압돌출부(145)가 보이도록 묘사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가압돌출부(145)가 수용공간(135) 내에 삽입될 때 가압돌출부(145) 둘레의 상부금형(140) 하면이 하부금형(130)의 상면(136)에 접할 수도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부금형(140) 하면이 하부금형(130)의 상면(136)에 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부금형(130)의 수용공간(135)에 곡물 재료가 공급된 후, 구동어셈블리(150)는 하부금형(130)을 상부금형(1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부금형(140)의 가압돌출부(145)가 수용공간(135)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부금형(130)을 상부금형(1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함은 하부금형(130) 자체가 이동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부금형(130)이 고정되고 상부금형(140)이 이동되는 경우 및 하부금형(130)과 상부금형(140) 모두가 동시에 이동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가열부(133)는 수용공간(135)에, 구체적으로는 수용공간(135) 내의 곡물 재료에 열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열부(133)는 가압돌출부(145)가 수용공간(135) 내에 삽입될 때에만 열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계속적으로 곡물과자를 생산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열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가압돌출부(145)가 수용공간(135)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가압돌출부(145)가 삽입될 때 수용공간(135) 내부는 외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가열부(133)가 열을 가하고 있으므로, 가압돌출부(145)가 수용공간(135)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공간(135) 내의 재료는 고온고압 환경에 놓이게 된다.
이어서, 구동어셈블리(150)는 가압돌출부(145)가 수용공간(135)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하부금형(130)을 반대 방향으로 상부금형(1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가압돌출부(145)가 수용공간(135)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수용공간(135) 내의 압력이 해제되어 곡물 재료가 팽창하여 곡물과자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돌출부(145)가 수용공간(135)으로부터 인출될 때 수용공간(135)의 사전 지정된 일측이 수용공간(135)의 타측에 비해 먼저 외기에 노출되도록 하부금형(130) 및/또는 상부금형(140)이 구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35)의 일측이 외기에 먼저 노출됨에 따라, 수용공간(135) 내의 압력은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용공간(135) 내에서 압축되었던 공기에 추진력을 가할 수 있고, 수용공간(135) 내에서 생산된 곡물과자는 상기 일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위와 같이 수용공간(135)의 일측이 타측보다 먼저 외기에 노출되도록 하는 하부금형(130) 및/또는 상부금형(14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100)의 하부금형(160)을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하부금형(160)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금형(140)으로는 도 2의 상부금형(140)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용공간(165)은 하부금형(16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는데, 수용공간(165)의 바닥면은 경사가 없이 수평을 이룰 수 있고, 이에 반해 하부금형(160)의 상면(166)은 일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b)의 단면도에서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듯이, 하부금형(160)의 상면(166)은 하부금형(160)의 전방에 해당하는 도면의 우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도 4(b)의 단면도에서 하부금형(160)은 좌측에 비해 우측이 더 낮은 높이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경사가 없이 수평을 이룬다 함은 곡물과자 제조장치(100) 전체에 대해, 특히 하부금형(160)과 상부금형(140)의 상대적 이동의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경사가 없음을 의미하려는 것이며 이상적인 개념으로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
하부금형(160)과 함께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를 구성하는 상부금형(140)에서는, 가압돌출부(145)의 하면 역시 수용공간(165)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 경사가 없이 수평을 이룰 수 있다. 가압돌출부(145) 주위의 상부금형(140) 하면은 경사가 없이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즉, 가압돌출부(145)가 수용공간(135) 내에 온전히 삽입될 수 있어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는 한, 상부금형(140)의 하면이 반드시 하부금형(160)의 상면(166)에 대응하는 경사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금형(160)의 상면(166)은 위치에 따라 다른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금형(160)의 상면(166)은 일측에서 제1 기울기를 갖고 타측에서 제2 기울기를 갖되, 제1 기울기가 지정된 일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하부금형(160)의 상면(166)이 타측에서는 경사가 없이 수평을 이루고, 지정된 일측에서만 하향으로 경사지는 구성도 가능한 것이다. 물론, 타측에서도 소정의 기울기(즉, 제2 기울기)로 경사질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하부금형(160) 및 이와 한 조를 이루는 상부금형(140)을 이용하는 경우, 구동어셈블리(150)가 하부금형(160)을 상부금형(1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가압돌출부(145)가 수용공간(165)에 삽입되고 수용공간(165) 내에 공급된 곡물 재료가 고온고압 환경에 놓인 후, 하부금형(160)이 다시 반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가압돌출부(145)가 수용공간(165)으로부터 인출될 때 이하와 같은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하부금형(160)은 그 상면(166)이 일측을 향해 하향 경사져 있으므로, 경사지지 않은 수용공간(165)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수용공간(165)은 일측에서의 높이가 타측에서의 높이보다 낮다. 가압돌출부(145)의 하면 역시 경사지지 않았으므로, 가압돌출부(145)가 인출될 때 수용공간(165)의 더 낮은 일측에서 가압돌출부(145)와 하부금형(160)의 상면(166) 사이에 간격이 먼저 발생할 수 있다. 즉, 가압돌출부(145)가 인출되고 있는 도중 어느 시점에서 수용공간(165)의 일측은 외기에 노출되고 타측은 외기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가압돌출부(145)가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공간(165) 내에는 높은 압력이 형성되어 있는데, 가압돌출부(145)가 인출되면서 수용공간(165)의 일측이 먼저 외기에 노출되고, 따라서 수용공간(165) 내의 압축된 공기는 개방되는 일측을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즉, 수용공간(165) 내의 공기는 이와 같이 사전 지정된 일측을 향해 추진력을 갖게 되며, 이러한 추진력은 수용공간(165) 내에서 생산된 곡물과자를 해당 방향을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곡물과자가 의도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바닥에 떨어지거나 어떤 물체와 충돌하여 파손 또는 손상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몰드에서 제거되지 않아 생산 공정에 차질을 빚는 경우 역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100)의 하부금형(170)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금형(140)으로는 도 2에 도시된 상부금형(140)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금형(170)에는 수용공간(175)의 일측 모서리에 챔퍼링부(177)가 형성될 수 있다. 챔퍼링이란 모서리에서 예리한 각을 제거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챔퍼링부(177)는 절삭, 연마 등의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지만 하부금형(170)의 성형시부터 챔퍼링부(177)를 포함하여 성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5에서는 하부금형(170)의 상면(176)이 경사가 없는 수평을 이루고 있는 대신, 수용공간(175)의 일측에 챔퍼링부(177)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수용공간(175)에서 챔퍼링부(177)가 형성된 일측이 타측보다 먼저 외기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은 동일한 원리로, 수용공간(175) 내의 공기는 사전 지정된 일측을 향해 추진력을 갖게 되며, 이러한 추진력은 수용공간(175) 내에서 생산된 곡물과자를 해당 방향을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챔퍼링부(177)는 수용공간(175)의 내부와 외부를 더욱 원만한 각도로 연결하므로 압축된 공기가 지정된 일측을 향해 유동하도록 더욱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어 생산된 곡물과자 제품이 더욱 확실히 의도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100)의 하부금형(180)을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2에 도시된 하부금형(130)에 챔퍼링부(187)를 부가한 것에 대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180)에 경사진 상면(186)과 챔퍼링부(187)를 모두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경사진 상면(186)을 통해 일측이 먼저 외기에 노출되도록 하는 구성은 위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범위가 명확히 구분되지는 않을 수 있지만, 챔퍼링부(187)는 시작과 끝의 위치가 명확하므로 압축된 공기 및 완성된 제품의 이동 방향을 상대적으로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수용공간(185)이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경우, 챔퍼링부(187)는 상기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에 대하여 180도 이하의 중심각을 가진 원호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100)의 하부금형(190)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금형(190)의 상면(196)에 수용공간(195)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홈(19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홈(198)이 수평으로 연장되어 하부금형(190)의 일측 측면까지 연장되는 경우가 일례로 도시되어 있지만, 홈(198) 바닥면의 경사 및 홈(198)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홈(198)의 바닥면이 상향으로 경사져 하부금형(190)의 상면(196)에 다다르는 경우, 이는 도 5에 도시된 챔퍼링부(177)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동일한 원리로, 수용공간(195) 내의 공기는 사전 지정된 일측을 향해 추진력을 갖게 되며, 이러한 추진력은 수용공간(195) 내에서 생산된 곡물과자를 해당 방향을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홈(198)의 폭 및 길이에 따라 압축 공기 및 완성된 제품의 유동 형태를 더욱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100)의 하부금형(200)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금형(200)은 그 상면(206)이 경사가 없이 수평을 이루는 대신 수용공간(205)의 바닥면(205a)이 지정된 일측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 경우, 가압돌출부(145)는 수용공간(205)의 형상에 대응하여 그 바닥면이 일측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가압돌출부(145)가 일측에서보다 타측에서 더 낮게 내려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압돌출부(145)가 수용공간(205)으로부터 인출될 때 수용공간(205)의 일측이 먼저 외기에 노출될 수 있고, 전술된 바와 같은 동일한 원리로, 수용공간(205) 내의 공기는 사전 지정된 일측을 향해 추진력을 갖게 되며, 이러한 추진력은 수용공간(205) 내에서 생산된 곡물과자를 해당 방향을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용공간(205)이 바닥면(205a)이 경사진 경우 수용공간(205) 내에 공급되는 곡물 재료가 한쪽으로 몰릴 수 있으므로, 바닥면(205a)의 경사가 낮은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바닥면(205a)에 다수의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여 재료가 한쪽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하부금형(200)이 경사진 형태로 장착되어 경사진 바닥면(205a)이 오히려 수평을 이루고 상부금형(140)에 대한 하부금형(200)의 상대적 이동이 경사진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가능하겠으며, 이는 도 3에 도시된 하부금형(160)과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100)의 상부금형(220) 및 하부금형(210)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210)과 상부금형(220) 각각은 상하구동을 위하여 구동어셈블리(150)에 연결되는 베이스금형부(211, 221) 및 베이스금형부(211, 221)의 단부에서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체금형부(212, 2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일례로 교체금형부(212, 222)가 베이스금형부(211, 221)에 슬라이딩 되어 끼워지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금형부(211, 221)는 본체어셈블리(1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베이스금형부(211, 221)의 설치 후에 교체금형부(212, 222)는 베이스금형부(211, 221)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는 베이스금형부(211, 221)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1a, 221a)과 대응하는 형상의 교체금형부(212, 222)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2a, 222a)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금형부(211, 221)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1a, 221a)과 대응하는 형상의 교체금형부(212, 222)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2a, 222a)은 일방향 결합을 위하여 일측이 막혀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수용공간(215)의 압축된 공기가 일측을 향해 추진력을 가할 것이므로, 하부금형(210)의 교체금형부(212)는 상기 지정된 일측 방향으로 분리되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베이스금형부(211, 221)와 교체금형부(212, 222)가 맞닿는 면에는 결합돌기(211b, 221b)와 결합홈(212b, 222b)이 형성되어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하부금형(210)과 상부금형(220) 각각의 교체금형부(212, 222)는 각각의 베이스금형부(211, 22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부금형(220)의 가압돌출부(225)가 하부금형(210)에 형성되는 곡물재료 수용공간(215)을 가압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모양의 곡물 과자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과자 제조장치 및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는 접촉되는 부품들이 마모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특정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에는 하부금형(210)의 교체금형부(212)에 챔퍼링부(217)가 형성된 경우가 일례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필요에 따라 경사진 상면(166), 챔퍼링부(177), 직선 홈(198), 경사진 바닥면(205a)을 가진 수용공간(165, 175, 185, 195, 205) 등이 형성된 교체금형부(212)가 하부금형(210)의 상부를 이루어 교체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재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금형;
    상기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압돌출부를 구비한 상부금형;
    상기 수용공간에 열을 가하도록 구성된 가열부; 및
    상기 하부금형을 상기 상부금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돌출부가 상기 수용공간에서 인출되도록 상기 구동어셈블리가 상기 하부금형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수용공간 내에 압축된 공기에 곡물과자 제품의 토출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추진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토출 방향을 향하는 사전 지정된 일측은 상기 수용공간의 타측에 비해 먼저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과자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은 그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은 경사가 없이 수평을 이루고,
    상기 수용공간 주위에서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은 상기 사전 지정된 일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과자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은 상기 일측에서 제1 기울기를 갖고 상기 타측에서 제2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1 기울기는 상기 사전 지정된 일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과자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사전 지정된 일측 모서리에 챔퍼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과자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챔퍼링부는 상기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에 대하여 180도 이하의 중심각을 가진 원호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과자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사전 지정된 일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사전 지정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과자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은 그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은 경사가 없이 수평을 이루고,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은 상기 사전 지정된 일측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가압돌출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형상에 대응하여 그 바닥면이 상기 사전 지정된 일측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과자 제조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은,
    상하구동을 위하여 상기 구동어셈블리에 연결되는 베이스금형부; 및
    상기 베이스금형부의 상단에서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체금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과자 제조장치.
  9.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로서,
    재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하부금형을 포함하되,
    상기 수용공간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가압돌출부의 삽입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압돌출부가 상기 수용공간에서 인출될 때 상기 수용공간 내에 압축된 공기에 곡물과자 제품의 토출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추진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토출 방향을 향하는 사전 지정된 일측은 상기 수용공간의 타측에 비해 먼저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
KR1020210053590A 2021-04-26 2021-04-26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 및 제조장치 KR102348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590A KR102348328B1 (ko) 2021-04-26 2021-04-26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590A KR102348328B1 (ko) 2021-04-26 2021-04-26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328B1 true KR102348328B1 (ko) 2022-01-10

Family

ID=7934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590A KR102348328B1 (ko) 2021-04-26 2021-04-26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3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425U (ko) * 1993-09-13 1995-04-17 남기홍 뻥튀기 기계용 금형 온도 조절장치
KR20130125104A (ko) * 2012-05-08 2013-11-18 (주)모아젠스엔지니어링 다양한 곡물을 이용한 뻥튀기 과자의 제조장치
KR101777728B1 (ko) 2016-09-29 2017-09-12 주식회사 유비콘스 곡물 과자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425U (ko) * 1993-09-13 1995-04-17 남기홍 뻥튀기 기계용 금형 온도 조절장치
KR20130125104A (ko) * 2012-05-08 2013-11-18 (주)모아젠스엔지니어링 다양한 곡물을 이용한 뻥튀기 과자의 제조장치
KR101777728B1 (ko) 2016-09-29 2017-09-12 주식회사 유비콘스 곡물 과자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2376B2 (en) Food product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JP2007521993A (ja) 容器成形法
CN106345928B (zh) 用于金属原料的表面粗化装置以及表面粗化方法
KR102348328B1 (ko) 곡물과자 제조용 몰드 및 제조장치
JP2018505791A (ja) 絞り成型容器の製造システム
CN104028616A (zh) 防跳废料冲压模具
EP2921280A1 (en) Method for thermoforming flexible sheet parts
KR101132411B1 (ko) 프레스금형
KR101072702B1 (ko) 앤드밀 제조 장치 및 방법
JP6400973B2 (ja) いなり寿司製造方法と製造装置
WO2004054760A3 (en) Adjustable frame support for pre formed mold
JP6466687B2 (ja) 食品成形方法及び食品成形装置
JP6233987B2 (ja) 管状部材の製造装置
JP5336115B2 (ja) 化粧品の製造方法、化粧品の製造装置、及び、化粧品
KR101651820B1 (ko)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
JP2003326323A (ja) 角筒状容器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6733692B2 (ja) 製函用型、製函装置および製函方法
JP4579280B2 (ja) 米飯食品用型打ち装置
EP3466560B1 (en) Cold forging former apparatus with redirecting function of shaped object
KR102291148B1 (ko) 분말 성형물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
KR20080003722U (ko) 쌀스낵 제조장치
JPS60120035A (ja) 組立容器の製造装置
KR102523669B1 (ko) 가압 성능이 개선된 뻥튀기 기계와 이를 위한 캠
JP6303920B2 (ja) 粉末成形品の製造方法
US9505160B2 (en) Extru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