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654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654B1
KR102343654B1 KR1020150045218A KR20150045218A KR102343654B1 KR 102343654 B1 KR102343654 B1 KR 102343654B1 KR 1020150045218 A KR1020150045218 A KR 1020150045218A KR 20150045218 A KR20150045218 A KR 20150045218A KR 102343654 B1 KR102343654 B1 KR 102343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line
crack detection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784A (ko
Inventor
변민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5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654B1/ko
Priority to US15/087,041 priority patent/US10115326B2/en
Publication of KR2016011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9Repairing; Defects
    • G02F1/136272Auxiliary lin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 상기 기판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화소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선은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선, 그리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 중 제1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크랙 감지선을 포함하고, 상기 크랙 감지선은 절연막 아래에 위치하는 제1 막과, 상기 절연막 위에 위치하는 제2 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막의 일부분과 상기 제2 막의 일부분은 상기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는 중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표시 장치가 개발되면서, 표시 장치는 평판에서 플렉서블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 크랙(crack)이 발생할 경우,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으로 수분 등이 침투할 수 있다. 이러한 크랙에 의한 수분 등의 침투는 표시 장치의 불량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크랙 여부를 정확히 감지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장치의 크랙을 쉽게 감지하여, 크랙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 상기 기판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화소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선은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선, 그리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 중 제1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크랙 감지선을 포함하고, 상기 크랙 감지선은 절연막 아래에 위치하는 제1 막과, 상기 절연막 위에 위치하는 제2 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막의 일부분과 상기 제2 막의 일부분은 상기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는 중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막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제2 막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2 막은 상기 제1 데이터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막은 상기 제1 데이터선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막과 상기 제2 막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막과 상기 제2 막 중 어느 하나는 곡선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막과 상기 제2 막 중 나머지 하나는 한 방향으로 뻗은 직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막은 제1 방향으로 뻗은 제1 사선부와 제2 방향으로 뻗은 제2 사선부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2 막은 제1 방향으로 뻗은 제3 사선부와 제2 방향으로 뻗은 제4 사선부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막의 상기 제1 사선부의 일부와 상기 제2 막의 상기 제4 사선부의 일부, 그리고 상기 제1 막의 상기 제2 사선부의 일부와 상기 제2 막의 상기 제3 사선부의 일부가 상기 중첩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막과 상기 제2 막 중 어느 하나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는 두 개의 사선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막과 상기 제2 막 중 나머지 하나는 한 방향으로 뻗은 직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막은 서로 이격되어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가로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1 세로부와 제2 세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막은 서로 이격되어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가로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3 세로부와 제4 세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막의 상기 제1 가로부는 상기 제2 막의 상기 제3 세로부 및 상기 제4 세로부와 교대로 중첩하고, 상기 제2 막의 상기 제2 가로부는 상기 제1 막의 제1 세로부와 상기 제2 세로부와 교대로 중첩하여, 상기 중첩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막과 상기 제2 막 중 어느 하나는 서로 이격되어 교대로 배치되어 가로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세로부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막과 상기 제2 막 중 나머지 하나는 한 방향으로 뻗은 직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신호선은 상기 기판의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테스트 신호선과 제2 테스트 신호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크랙 감지선은 상기 제1 데이터선과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크랙 감지선은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2 연결부까지 반링 형태로 뻗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은 제1 스위칭 소자를 통해, 상기 제1 테스트 신호선에 연결되고, 제2 스위칭 소자를 통해, 상기 제2 테스트 신호선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크랙을 쉽게 감지하여, 크랙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IV-I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그러면,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신호의 파형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R, G, B)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R, G, B)와 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선을 포함하고, 복수의 화소(R, G, B)는 기판의 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신호선의 적어도 일부분은 기판의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신호선은 제1 테스트 게이트선(TEST_GATE), 제2 데스트 게이트선(DC_GATE), 복수의 데이터선(D), 제1 테스트 신호선(TEST_DATA1), 복수의 제2 테스트 신호선(CLA, CLB, CLC), 제1 크랙 감지선(CD1), 그리고 제2 크랙 감지선(CD2)을 포함한다.
제1 테스트 게이트선(TEST_GATE), 제1 테스트 신호선(TEST_DATA1), 그리고 복수의 데이터선(D)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스위칭 소자(Q1), 제2 데스트 게이트선(DC_GATE), 복수의 제2 테스트 신호선(CLA, CLB, CLC), 그리고 복수의 데이터선(D)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Q2)를 포함한다.
복수의 데이터선(D) 중 제1 데이터선(DD1)에는 제1 크랙 감지선(CD1)이 연 결되어 있고, 제2 데이터선(DD2)에는 제2 크랙 감지선(CD2)이 연결되어 있다.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은 복수의 화소(R, G, B)를 기준으로 양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화소(R, G, B)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영역의 양쪽 가장자리에 인접한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크랙 감지선(CD1)은 제1 연결부(CP1a)와 제2 연결부(CP1b)를 통해 제1 데이터선(DD1)에 연결되어 있다. 제1 크랙 감지선(CD1)은 제1 연결부(CP1a)와 제2 연결부(CP1b)에 모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연결부(CP1a)와 제2 연결부(CP1b) 중 제1 연결부(CP1a)로부터 시작하여, 복수의 화소(R, G, B)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주변 영역을 따라 제1 방향(R1)으로 뻗은 후, 방향을 바꿔 제1 방향(R1)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R2)으로 뻗어 제1 연결부(CP1a)와 제2 연결부(CP1b) 중 제2 연결부(CP1b)를 통해 제1 데이터선(DD1)과 다시 연결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크랙 감지선(CD2)은 제3 연결부(CP2a)와 제4 연결부(CP2b)를 통해 제2 데이터선(DD2)에 연결되어 있다. 제2 크랙 감지선(CD2)은 제3 연결부(CP2a)와 제4 연결부(CP2b)에 모두 연결되어 있으며, 제3 연결부(CP2a)와 제4 연결부(CP2b) 중 제3 연결부(CP2a)로부터 시작하여, 복수의 화소(R, G, B)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주변 영역을 따라 제1 방향(R1)으로 뻗은 후, 방향을 바꿔 제1 방향(R1)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R2)으로 뻗어 제3 연결부(CP2a)와 제4 연결부(CP2b) 중 제4 연결부(CP2b)를 통해 제1 데이터선(DD1)과 다시 연결된다.
이처럼,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은 각기 표시 영역의 양쪽 가장자리에 인접한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의 연결부로부터 주변 영역을 따라 제1 방향(R1)으로 뻗은 후 다시 제1 방향(R1)과 반대 방향은 제2 방향(R2)을 따라 뻗어 다시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과 연결되는 왕복 형태, 즉 반링(hemiring)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은 절연막(IL)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막(a1)과 절연막(IL)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막(a2)을 포함하고, 제1 막(a1)과 제2 막(a2)은 절연막(IL)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중첩부와 서로 중첩하지 않는 비중첩부를 포함한다.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의 제1 막(a1)은 일정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의 제2 막(a2)은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과 연결되어,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인가되는 전압과 같은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의 제1 막(a1)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와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의 제1 막(a1)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보다 낮을 수 있다.
그러면,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테스트 게이트선(TEST_GATE)에 게이트 온 신호(ON)가 인가되면, 복수의 데이터선(D)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Q2)가 온되어, 제1 테스트 신호선(TEST_DATA1)에 인가되는 제1 신호(V1)가 복수의 데이터선(D)에 인가된다. 제1 신호(V1)는 복수의 화소(R, G, B)가 화이트를 표시하는 신호이다.
복수의 데이터선(D)에 제1 신호(V1)가 인가됨으로써, 복수의 화소(R, G, B)가 화이트를 표시한다.
제1 테스트 게이트선(TEST_GATE)에 게이트 오프(OFF) 신호가 인가된 후 제2 데스트 게이트선(DC_GATE)에 게이트 온(ON) 신호가 인가되면, 복수의 데이터선(D)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스위칭 소자(Q2)가 온되어, 복수의 제2 테스트 신호선(CLA, CLB, CLC)에 인가되는 제2 신호(V2)가 복수의 데이터선(D)에 인가된다. 제2 신호(V2)는 복수의 화소(R, G, B)가 블랙을 표시하는 신호이다.
복수의 데이터선(D)에 제2 신호(V2)가 인가됨으로써, 복수의 화소(R, G, B)가 블랙을 표시한다.
이 때,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주변 영역에서 크랙(crack)이 발생되는 경우,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크랙 감지선(CD1) 및 제2 크랙 감지선(CD2)에 손상이 가해진다. 따라서, 제1 크랙 감지선(CD1) 및 제2 크랙 감지선(CD2)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의 저항이 커지고, 이에 따라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에 인가되는 전압(V_T)은 제2 신호(V2)까지 충전되지 못하고, 제2 신호(V2)와 전압 차이(ΔV)가 발생한다.
전압 차이(ΔV)가 발생함으로써,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는 블랙을 표시하지 못하고, 밝게 표시된다. 이러한 밝은 선을 통해,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주변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주변 영역에서 크랙(crack)이 발생되더라도, 제1 크랙 감지선(CD1) 및 제2 크랙 감지선(CD2)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감지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면,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크랙 감지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크랙 감지선(CD1) 및 제2 크랙 감지선(CD2)은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은 절연막(IL)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막(a1)과 절연막(IL)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막(a2)을 포함하고, 제1 막(a1)과 제2 막(a2)은 절연막(IL)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중첩부(R1)와 서로 중첩하지 않는 비중첩부를 포함한다.
이처럼,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은 중첩부(R1)에서 서로 중첩하고, 이에 의해 중첩부(R1)에서는 단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차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절연막(IL)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고, 외부에서 힘이 가해질 경우, 이 단차 부분에서 절연막(IL)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절연막(IL)이 손상되면, 중첩부(R1)에서 절연막(I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는 제1 막(a1)과 제2 막(a2)은 서로 쇼트되게 된다.
만일, 표시 장치에 크랙이 발생하여, 절연막(IL)에 크랙이 발생하였으나, 제2 신호(V2)가 인가되는 제2 막(a1)은 끊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기존의 표시 장치의 경우, 표시 장치의 크랙을 감지하지 못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이 끊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중첩부(R1)에서 절연막(IL)이 손상되어 절연막(I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는 제1 막(a1)과 제2 막(a2)이 서로 쇼트됨으로서, 제1 막(a1)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2 막(a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의 제1 막(a1)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보다 낮을 수 있고,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이 끊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의 제2 막(a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제2 전압(V2)보다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에 충전되는 신호는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인가되는 제2 신호(V2)와 전압 차이(ΔV)가 발생한다.
전압 차이(ΔV)가 발생함으로써,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는 블랙을 표시하지 못하고, 밝게 표시되고, 밝은 선을 통해,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주변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크랙 감지선을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제1 막(a1)과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제2 막(a2)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제1 막(a1)과 제2 막(a2)의 일부분은 절연막(I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는 중첩부(R1)를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중첩부(R1)에서 단차에 의해 절연막(IL)이 잘 끊어지도록 함으로써, 크랙 발생 시, 크랙 감지선이 끊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크랙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감지선은 C자와 역C자가 교대로 이어진 형태를 가지며, 크랙 감지선의 제1 막(a1)의 C자 부분과 제2 막(a2)의 역C자 부분이 서로 대응하고, 제1 막(a1)의 역 C자 부분과 제2 막(a2)의 C자 부분이 서로 대응한다. 따라서, 제1 막(a1)과 제2 막(a2)은 C자와 역C자가 만나는 부분에서 서로 중첩하여, 중첩부(R1)를 이룬다.
그러면,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도 5을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크랙 감지선은 직선 형태를 가지는 제1 막(a1)과 C자와 역C자가 교대로 이어진 형태를 가지는 제2 막(a2)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막(a1)과 제2 막(a2)은 직선 형태의 제1 막(a1)이 곡선 형태의 제2 막(a2)과 중첩하는 부분에서 중첩부(R1)를 이룬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크랙 감지선의 제1 막(a1)은 C자와 역C자가 교대로 이어진 형태를 가지는 곡면 형태일 수 있고, 크랙 감지선의 제 제2 막(a2)은 직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크랙 감지선은 중첩부(R1)에서 서로 중첩하고, 이에 의해 중첩부(R1)에서는 단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차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절연막(IL)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고, 외부에서 힘이 가해질 경우, 이 단차 부분에서 절연막(IL)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절연막(IL)이 손상되면, 중첩부(R1)에서 절연막(I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는 제1 막(a1)과 제2 막(a2)은 서로 쇼트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랙 감지선의 제1 막(a1)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보다 낮을 수 있고,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이 끊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크랙 감지선의 제2 막(a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제2 전압(V2)보다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에 충전되는 신호는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인가되는 제2 신호(V2)와 전압 차이(ΔV)가 발생한다.
전압 차이(ΔV)가 발생함으로써,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는 블랙을 표시하지 못하고, 밝게 표시되고, 밝은 선을 통해,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주변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크랙 감지선을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제1 막(a1)과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제2 막(a2)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제1 막(a1)과 제2 막(a2)의 일부분은 절연막(I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는 중첩부(R1)를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중첩부(R1)에서 단차에 의해 절연막(IL)이 잘 끊어지도록 함으로써, 크랙 발생 시, 크랙 감지선이 끊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크랙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모든 특징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크랙 감지선의 제1 막(a1)은 제1 방향으로 뻗은 제1 사선부(S1)와 제2 방향으로 뻗은 제2 사선부(S2)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크랙 감지선의 제2 막(a2)은 제1 방향으로 뻗은 제3 사선부(SS1)와 제2 방향으로 뻗은 제4 사선부(SS2)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제1 막(a1)의 제1 사선부(S1)는 제2 막(a2)의 제4 사선부(SS2)에 대응하고, 제1 막(a1)의 제2 사선부(S2)는 제2 막(a2)의 제3 사선부(SS1)에 대응한다. 즉, 제1 막(a1)과 제2 막(a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는 사선부가 이어진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중첩부(R1)에서, 제1 막(a1)의 제1 사선부(S1)와 제2 막(a2)의 제4 사선부(SS2)이 서로 중첩하고, 제1 막(a1)의 제2 사선부(S2)와 제2 막(a2)의 제3 사선부(SS1)가 중첩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크랙 감지선은 중첩부(R1)에서 서로 중첩하고, 이에 의해 중첩부(R1)에서는 단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차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절연막(IL)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고, 외부에서 힘이 가해질 경우, 이 단차 부분에서 절연막(IL)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절연막(IL)이 손상되면, 중첩부(R1)에서 절연막(I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는 제1 막(a1)과 제2 막(a2)은 서로 쇼트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랙 감지선의 제1 막(a1)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보다 낮을 수 있고,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이 끊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크랙 감지선의 제2 막(a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제2 전압(V2)보다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에 충전되는 신호는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인가되는 제2 신호(V2)와 전압 차이(ΔV)가 발생한다.
전압 차이(ΔV)가 발생함으로써,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는 블랙을 표시하지 못하고, 밝게 표시되고, 밝은 선을 통해,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주변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크랙 감지선을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제1 막(a1)과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제2 막(a2)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제1 막(a1)과 제2 막(a2)의 일부분은 절연막(I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는 중첩부(R1)를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중첩부(R1)에서 단차에 의해 절연막(IL)이 잘 끊어지도록 함으로써, 크랙 발생 시, 크랙 감지선이 끊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크랙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모든 특징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크랙 감지선의 제1 막(a1)은 직선 형태를 가지고, 크랙 감지선의 제2 막(a2)은 제1 방향으로 뻗은 제3 사선부(SS1)와 제2 방향으로 뻗은 제4 사선부(SS2)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제1 막(a1)과 제2 막(a2)은 직선 형태의 제1 막(a1)이 제2 막(a2)의 제3 사선부(SS1) 및 제4 사선부(SS2)와 중첩하는 부분에서 중첩부(R1)를 이룬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크랙 감지선의 제1 막(a1)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는 두 개의 사선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크랙 감지선의 제2 막(a2)은 직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크랙 감지선은 중첩부(R1)에서 서로 중첩하고, 이에 의해 중첩부(R1)에서는 단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차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절연막(IL)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고, 외부에서 힘이 가해질 경우, 이 단차 부분에서 절연막(IL)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절연막(IL)이 손상되면, 중첩부(R1)에서 절연막(I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는 제1 막(a1)과 제2 막(a2)은 서로 쇼트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랙 감지선의 제1 막(a1)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보다 낮을 수 있고,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이 끊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크랙 감지선의 제2 막(a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제2 전압(V2)보다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에 충전되는 신호는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인가되는 제2 신호(V2)와 전압 차이(ΔV)가 발생한다.
전압 차이(ΔV)가 발생함으로써,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는 블랙을 표시하지 못하고, 밝게 표시되고, 밝은 선을 통해,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주변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크랙 감지선을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제1 막(a1)과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제2 막(a2)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제1 막(a1)과 제2 막(a2)의 일부분은 절연막(I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는 중첩부(R1)를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중첩부(R1)에서 단차에 의해 절연막(IL)이 잘 끊어지도록 함으로써, 크랙 발생 시, 크랙 감지선이 끊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크랙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모든 특징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크랙 감지선의 제1 막(a1)은 서로 이격되어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가로부(h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1 세로부(V1)와 제2 세로부(V2)를 포함하고, 크랙 감지선의 제2 막(a2)은 서로 이격되어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가로부(h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3 세로부(VV1)와 제4 세로부(VV2)를 포함한다.
제1 막(a1)의 제1 가로부(h1)와 제2 막(a2)의 제2 가로부(h2)는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제1 막(a1)의 제1 가로부(h1)는 제2 막(a2)의 제3 세로부(VV1)와 제4 세로부(VV2)와 교대로 중첩하고, 제2 막(a2)의 제2 가로부(h2)는 제1 막(a1)의 제1 세로부(V1)와 제2 세로부(V2)와 교대로 중첩하여, 중첩부(R1)를 이룬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크랙 감지선은 중첩부(R1)에서 서로 중첩하고, 이에 의해 중첩부(R1)에서는 단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차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절연막(IL)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고, 외부에서 힘이 가해질 경우, 이 단차 부분에서 절연막(IL)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절연막(IL)이 손상되면, 중첩부(R1)에서 절연막(I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는 제1 막(a1)과 제2 막(a2)은 서로 쇼트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랙 감지선의 제1 막(a1)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보다 낮을 수 있고,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이 끊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크랙 감지선의 제2 막(a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제2 전압(V2)보다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에 충전되는 신호는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인가되는 제2 신호(V2)와 전압 차이(ΔV)가 발생한다.
전압 차이(ΔV)가 발생함으로써,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는 블랙을 표시하지 못하고, 밝게 표시되고, 밝은 선을 통해,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주변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크랙 감지선을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제1 막(a1)과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제2 막(a2)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제1 막(a1)과 제2 막(a2)의 일부분은 절연막(I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는 중첩부(R1)를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중첩부(R1)에서 단차에 의해 절연막(IL)이 잘 끊어지도록 함으로써, 크랙 발생 시, 크랙 감지선이 끊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크랙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모든 특징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크랙 감지선의 제1 막(a1)은 직선 형태를 가지고, 크랙 감지선의 제2 막(a2)은 서로 이격되어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가로부(h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3 세로부(VV1)와 제4 세로부(VV2)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막(a1)과 제2 막(a2)은 직선 형태의 제1 막(a1)이 제2 막(a2)의 제2 가로부(h2)와 중첩하는 부분에서 중첩부(R1)를 이룬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크랙 감지선의 제1 막(a1)은 서로 이격되어 교대로 배치되고, 제1 가로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세로부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크랙 감지선의 제2 막(a2)은 직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크랙 감지선은 중첩부(R1)에서 서로 중첩하고, 이에 의해 중첩부(R1)에서는 단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차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절연막(IL)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고, 외부에서 힘이 가해질 경우, 이 단차 부분에서 절연막(IL)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절연막(IL)이 손상되면, 중첩부(R1)에서 절연막(I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는 제1 막(a1)과 제2 막(a2)은 서로 쇼트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랙 감지선의 제1 막(a1)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보다 낮을 수 있고, 제1 크랙 감지선(CD1)과 제2 크랙 감지선(CD2)이 끊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크랙 감지선의 제2 막(a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제2 전압(V2)보다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에 충전되는 신호는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인가되는 제2 신호(V2)와 전압 차이(ΔV)가 발생한다.
전압 차이(ΔV)가 발생함으로써, 제1 데이터선(DD1)과 제2 데이터선(DD2)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는 블랙을 표시하지 못하고, 밝게 표시되고, 밝은 선을 통해,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주변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크랙 감지선을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제1 막(a1)과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제2 막(a2)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제1 막(a1)과 제2 막(a2)의 일부분은 절연막(I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는 중첩부(R1)를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중첩부(R1)에서 단차에 의해 절연막(IL)이 잘 끊어지도록 함으로써, 크랙 발생 시, 크랙 감지선이 끊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크랙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모든 특징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D1, CD2: 크랙 감지선
a1: 제1 막
a2: 제2 막
D, DD1, DD2: 데이터선
IL: 절연막
R, G, B: 화소
R1: 중첩부

Claims (10)

  1.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
    상기 기판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화소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선은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선, 그리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 중 제1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크랙 감지선을 포함하고,
    상기 크랙 감지선은 절연막 아래에 위치하는 제1 막과, 상기 절연막 위에 위치하는 제2 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막의 일부분과 상기 제2 막의 일부분은 상기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는 중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막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제2 막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서로 다른 표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제2 막은 상기 제1 데이터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막은 상기 제1 데이터선에 연결되지 않은 표시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1 막과 상기 제2 막은 곡선 형태를 가지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1 막과 상기 제2 막 중 어느 하나는 곡선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막과 상기 제2 막 중 나머지 하나는 한 방향으로 뻗은 직선 형태를 가지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제1 막은 제1 방향으로 뻗은 제1 사선부와 제2 방향으로 뻗은 제2 사선부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2 막은 제1 방향으로 뻗은 제3 사선부와 제2 방향으로 뻗은 제4 사선부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막의 상기 제1 사선부의 일부와 상기 제2 막의 상기 제4 사선부의 일부, 그리고 상기 제1 막의 상기 제2 사선부의 일부와 상기 제2 막의 상기 제3 사선부의 일부가 상기 중첩부를 이루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제1 막과 상기 제2 막 중 어느 하나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는 두 개의 사선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막과 상기 제2 막 중 나머지 하나는 한 방향으로 뻗은 직선 형태를 가지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제1 막은 서로 이격되어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가로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1 세로부와 제2 세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막은 서로 이격되어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가로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3 세로부와 제4 세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막의 상기 제1 가로부는 상기 제2 막의 상기 제3 세로부 및 상기 제4 세로부와 교대로 중첩하고, 상기 제2 막의 상기 제2 가로부는 상기 제1 막의 제1 세로부와 상기 제2 세로부와 교대로 중첩하여, 상기 중첩부를 이루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제1 막과 상기 제2 막 중 어느 하나는 서로 이격되어 교대로 배치되어 가로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세로부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막과 상기 제2 막 중 나머지 하나는 한 방향으로 뻗은 직선 형태를 가지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신호선은 상기 기판의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테스트 신호선과 제2 테스트 신호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크랙 감지선은 상기 제1 데이터선과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크랙 감지선은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2 연결부까지 반링 형태로 뻗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은 제1 스위칭 소자를 통해, 상기 제1 테스트 신호선에 연결되고, 제2 스위칭 소자를 통해, 상기 제2 테스트 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KR1020150045218A 2015-03-31 2015-03-31 표시 장치 KR102343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218A KR102343654B1 (ko) 2015-03-31 2015-03-31 표시 장치
US15/087,041 US10115326B2 (en) 2015-03-31 2016-03-31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218A KR102343654B1 (ko) 2015-03-31 2015-03-31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784A KR20160117784A (ko) 2016-10-11
KR102343654B1 true KR102343654B1 (ko) 2021-12-27

Family

ID=5701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218A KR102343654B1 (ko) 2015-03-31 2015-03-3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15326B2 (ko)
KR (1) KR102343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427B1 (ko) * 2016-03-14 2023-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01650B1 (ko) 2016-07-26 202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947255B2 (en) * 2016-08-19 2018-04-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with monitoring circuitry
KR102397900B1 (ko) 2016-12-08 2022-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81286B1 (ko) * 2017-05-18 2022-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91459B1 (ko) * 2017-06-01 2022-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32386B1 (ko) * 2017-07-12 2022-08-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417561B (zh) * 2018-03-06 2020-05-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10415631B (zh) * 2018-04-26 2021-01-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检测方法
KR102519733B1 (ko) * 2018-05-21 202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균열을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09142447B (zh) * 2018-08-30 2021-04-16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裂纹检测方法、显示装置
CN109166504B (zh) * 2018-10-17 2021-10-01 惠科股份有限公司 测试电路及显示装置
KR20200120781A (ko) * 2019-04-11 2020-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102651587B1 (ko) * 2020-01-22 2024-03-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표시 장치
CN111862811A (zh) * 2020-07-17 2020-10-3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863410A (zh) * 2021-01-11 2021-05-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其裂纹检测方法及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2974A (ja) 2012-12-20 2014-07-03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4254A (ja) * 1993-02-22 1994-09-02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素子
KR101365673B1 (ko) * 2006-11-24 2014-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이의 제조방법
WO2008136153A1 (ja) * 2007-04-25 2008-11-13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パネル及びその検査方法
JP5513262B2 (ja) * 2010-06-02 2014-06-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2014021479A (ja) 2012-07-24 2014-02-03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
KR20140064553A (ko) 2012-11-20 2014-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91916A (ko) 2013-01-14 2014-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방법
KR102097150B1 (ko) * 2013-02-01 2020-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409454B1 (ko) * 2015-02-02 2022-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2974A (ja) 2012-12-20 2014-07-03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784A (ko) 2016-10-11
US10115326B2 (en) 2018-10-30
US20160293078A1 (en)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654B1 (ko) 표시 장치
KR102356028B1 (ko) 표시 장치
CN107767801B (zh) 显示设备
KR102518427B1 (ko) 표시 장치
US9791991B2 (en) Display device with a built-in touch panel
US9811207B2 (en) Array substrate, in-cell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JP7411415B2 (ja) アレイ基板、その検出方法、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WO2020098235A1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panel, and mother substrate
US10459562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10168816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00300906A1 (en)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testing for occurrence of crack in display panel
TW201830359A (zh) 顯示裝置
CN104503165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00018695A (ko) 내장형 터치스크린 테스트 회로
KR102415286B1 (ko)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US20160062538A1 (en)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540919B2 (en) Probe assembly and detec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4391397A (zh) 显示屏及其制作方法、触控显示装置
KR102172929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US20150205411A1 (en) Method for detecting touch points on a touch panel
KR102112674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패널의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2015204039A (ja) 保護シートを備えた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