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088B1 -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088B1
KR102341088B1 KR1020167031558A KR20167031558A KR102341088B1 KR 102341088 B1 KR102341088 B1 KR 102341088B1 KR 1020167031558 A KR1020167031558 A KR 1020167031558A KR 20167031558 A KR20167031558 A KR 20167031558A KR 102341088 B1 KR102341088 B1 KR 102341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rend
identification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973A (ko
Inventor
마사토 오노
다카카즈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적어도 기재와, 점착제층과, 박리 시트를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로서, 기재 및 점착제층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점착성 적층체의 형태에 상관없이, 점착성 적층체의 특성을 명확히 식별할 수 있는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적어도 기재와, 점착제층과, 박리 시트를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 등으로서, 기재 및 점착제층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점착성 적층체가, 박리 시트 상에 있어서, 피착체에 첩부(貼付)되기 위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점착성 적층체의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부분으로 성형 가공되어 이루어짐과 함께,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식별용 부분이, 동일한 박리 시트 상에 평면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ADHESIVE SHEET AND PRODUCTION METHOD FOR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적어도 기재와, 점착제층과, 박리 시트를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박리 시트 부착 점착 시트)로서, 기재 및 점착제층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점착성 적층체의 형태에 상관없이, 점착성 적층체의 특성을 명확히 식별할 수 있는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정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라벨이나, 전기 제품의 내부 등에 있어서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테이프, 또는 전기 제품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부품을 먼지나 흠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 등에는, 각각의 용도에 적합한 기재 및 점착제층을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점착성 적층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점착성 적층체에는, 그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가 존재해 있으며, 예를 들면, 극소의 것이나, 절개부를 갖는 것 등, 다종다양하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즉, 특허문헌 1에는, 프린터 하우징과, 이 프린터 하우징 내에 형성한 이송로 상에 이송되는 라벨 연속체에 인자(印字)하는 인자부에 플래튼 롤러를 갖고, 또한, 이 라벨 연속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이 검출부 및 인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프린터 하우징의 라벨 배출구와 플래튼 롤러와의 간격을, 인자 가능한 라벨 사이즈로서의 최소 치수의 제한으로 되는 이송 방향의 최소 라벨 인자 영역으로 하고, 라벨 연속체는, 대상(帶狀)의 대지(臺紙)와, 이 대지 상에 가착(假着)함과 함께 최소 라벨 인자 영역의 피치를 갖는 복수 매의 극소 라벨과를 갖는 극소 라벨 연속체이며, 극소 라벨에 인자하기 위한 극소 라벨 연속체의 인자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최소 라벨 인자 영역의 일 단위 내에 소정 매수만큼 배치 가능한 극소 라벨에 대하여, 이 일 단위 내의 최소 라벨 영역에 극소 라벨 각각의 사이즈에 맞춰서 폭 방향으로 슬릿을 절개함에 의해, 각각의 극소 라벨을 형성한 라벨 배치 영역을 구획 형성함과 함께, 이들 소정 매수의 극소 라벨에의 인자 내용을 각각의 극소 라벨의 라벨 배치 영역에 공급해서, 극소 라벨에 각각 인자하고, 또한 최소 라벨 인자 영역의 일 단위 내에 있어서의 라벨 배치 영역의 수보다 적은 매수의 극소 라벨에 대해서는, 최소 라벨 인자 영역 내에 있어서 선두에 위치하는 극소 라벨로부터 순차 인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소 라벨 연속체의 인자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4769109호 공보(특허청구범위)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극소 라벨 연속체의 인자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극소 라벨은, 극소 라벨로서의 외관은 동일 또는 유사하지만, 용도에 따라 점착력 등의 특성이 다른 복수 종의 라벨이 존재할 경우에는, 이들을 명확히 식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각종 라벨을 각종 피착체에 첩부(貼付)하는 작업 현장에 있어서, 작업자가 특성이 다른 라벨을 혼동하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보였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극소 라벨은, 실제로 혼동이 생겨버렸을 경우에, 점착력 등의 특성을 측정해서 식별하려고 해도, 라벨이 극소이므로, 용이하고 정확하게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곤란하며, 결국, 사후적인 식별도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보였다.
따라서, 점착성 적층체의 형태에 상관없이, 점착성 적층체의 특성을 명확히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해, 예의 노력한 바, 기재 및 점착제층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점착성 적층체를, 박리 시트 상에 있어서, 피착체에 첩부되기 위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점착성 적층체의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부분으로 성형 가공하며, 또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식별용 부분을 동일한 박리 시트 상에 평면 배치함에 의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 및 점착제층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점착성 적층체(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형태에 상관없이, 점착성 적층체의 특성을 명확히 식별할 수 있는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기재와, 점착제층과, 박리 시트를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로서, 기재 및 점착제층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점착성 적층체가, 박리 시트 상에 있어서, 피착체에 첩부되기 위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점착성 적층체의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부분으로 성형 가공되어 이루어짐과 함께,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식별용 부분이, 동일한 박리 시트 상에 평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가 제공되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이면, 점착성 적층체를,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식별용 부분으로 나눠서 성형 가공하고 있으므로, 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평면 형상이 동일 또는 유사하지만, 점착력 등의 특성이 다른 경우와 같이, 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평면 형상으로는 식별이 곤란한 복수 종의 점착 시트를, 명확히 식별할 수 있다.
또, 착색이나 인자 등에 의해서도 식별은 가능하지만, 그 경우, 별도, 착색이나 인자 등을 실시하는 공정이 필요해져, 코스트적인 문제가 생긴다.
또한, 특히, 리드타임이 짧은 점착 시트의 기술분야에서는 이들 공정을 실시함에 의해 시간적인 문제도 생기게 된다.
이 점에 대해,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이면, 피착체 첩부용 부분을 성형하는 것과 동시에 식별용 부분을 성형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식별용 부분의 평면 형상을, 장방형, 대략 장방형, 타원형, 대략 타원형, 원형, 대략 원형, 삼각형, 대략 삼각형, 오각형, 대략 오각형, 성형(星形), 알파벳 및 숫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에 의해, 식별용 부분을 사용해서, 보다 명확히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술한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공정(I)∼(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이다.
(I) 적어도 기재와, 점착제층과, 박리 시트를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성형 가공 전의 점착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
(Ⅱ) 기재 및 점착제층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점착성 적층체를, 박리 시트 상에 있어서, 피착체에 첩부되기 위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점착성 적층체의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부분으로 성형 가공하여,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식별용 부분이, 동일한 박리 시트 상에 평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얻는 공정
즉,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이면, 기재 및 점착제층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점착성 적층체를, 박리 시트 상에 있어서, 피착체에 첩부되기 위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점착성 적층체의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부분으로 성형 가공하며, 또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식별용 부분을 동일한 박리 시트 상에 평면 배치하므로, 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평면 형상으로는 식별이 곤란한 복수 종의 점착 시트를, 보다 명확히 식별할 수 있는 점착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공정(Ⅱ)에 있어서, 성형 가공으로서, 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평면 형상에 대응한 제1 가공 수단과, 식별용 부분의 평면 형상에 대응한 제2 가공 수단을 갖는 펀칭 가공기를 사용해서, 펀칭 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실시함에 의해, 식별용 부분을,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동시에 성형 가공할 수 있다.
도 1의 (a)∼(b)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
도 2의 (a)∼(c)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다른 도면.
도 3의 (a)∼(b)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또 다른 도면.
도 4의 (a)∼(e)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는, 도 1의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기재(6)와, 점착제층(4)과, 박리 시트(2)를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20)로서, 기재(6) 및 점착제층(4)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점착성 적층체(10)가, 박리 시트(2) 위에 있어서, 피착체에 첩부되기 위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12)과, 점착성 적층체(10)의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부분(14)으로 성형 가공되어 이루어짐과 함께, 피착체 첩부용 부분(12)과, 식별용 부분(14)이, 동일한 박리 시트(2) 위에 평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20)이다.
또,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평면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에 있어서의 선분A-A를 통과하는 평면으로 점착 시트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의 (b)에 있어서는, 점착성 적층체(10)에 있어서의 피착체 첩부용 부분(12) 및 물성 측정용 부분(14) 이외의 부분은 박리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후술하는 도 2의 (b)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면을 적절히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박리 시트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또는 종이계의 박리재에 대해, 예를 들면, 실리콘계나 고무계의 박리제를 도포해서 박리층을 마련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박리 시트의 막두께는, 통상 20∼1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5∼7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 점착성 적층체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성 적층체란, 기재 및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이며,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 이외의 부분을 의미한다.
이하, 점착성 적층체의 구성 요소인 기재 및 점착제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1) 기재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재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점착 시트의 기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필름, 종이 기재, 부직포 등 중에서 적의(適宜)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필름이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설폰 필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필름, 폴리에테르설폰 필름, 폴리페닐렌설폰 필름, 폴리에테르이미드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불소 수지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아크릴 수지 필름, 노르보르넨계 수지 필름, 시클로올레핀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재의 막두께로서는, 통상 10∼3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1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 점착제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공지의 아크릴계, 실리콘계, 우레탄계, 고무계 등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의 타입으로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이나 핫멜트 타입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점착제층의 막두께는, 통상 1∼2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3) 그 밖의 층
또한, 점착성 적층체에는, 기재 및 점착제층에 더해서, 중간층이나 이접착층(易接着層) 등의 그 밖의 층을 적층해도 된다.
(4) 피착체 첩부용 부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성 적층체는, 피착체에 첩부되기 위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태양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 있어서는, 실제로 특성이 다른 점착성 적층체를 갖는 복수의 점착 시트가 혼동해버렸을 경우에, 점착력 등의 특성을 측정해서 식별하려고 해도, 피착체 첩부용 부분을 사용한 특성 측정이 특히 곤란해지는 바와 같은 태양, 즉, 점착 시트를 식별함에 있어서, 후술하는 식별용 부분이 특히 필요해지는 바와 같은 태양을 예시해서 설명한다.
(4)-1 면적
우선, 피착체 첩부용 부분을 사용한 특성 측정이 특히 곤란해지는 제1 태양으로서,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착체 첩부용 부분(12)의 형상에 있어서의 면적이 400㎟ 이하의 값인 태양을 들 수 있다.
그 이유는, 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평면 형상에 있어서의 면적이 400㎟ 이하의 값으로 되면, 면적이 불충분해져, 피착체 첩부용 부분을 직접 시료로 한 경우여도, 또는 가공해서 시료를 작성한 경우여도, 피착체 첩부용 부분을 사용한 특성 측정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평면 형상은, 도 1의 (a)에 있어서는 원형으로 되어 있지만,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용도에 맞춰서, 예를 들면 타원형이나 장방형과 같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면 형상」이란,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 시트를 기재측의 위쪽으로부터 바라보았을 경우의 형상을 의미한다.
(4)-2 비접촉부
또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을 사용한 특성 측정이 특히 곤란해지는 제2 태양으로서, 도 2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착체 첩부용 부분(12)의 점착제층(4)이, 부분적으로 피착체(100)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50)를 갖는 태양을 들 수 있다.
그 이유는, 피착체 첩부용 부분이 비접촉부를 가질 경우, 측정 결과에 비접촉부의 특성이 영향을 주게 되므로, 피착체 첩부용 부분을 사용한 특성 측정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또, 이러한 비접촉부를 갖는 피착체 첩부용 부분은,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 유닛과 같은 정밀 부품을 조립할 때에, 렌즈 부분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점착제층이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 필름을 첩부하는 경우 등에 사용된다.
따라서, 비접촉부의 평면 형상, 입체 형상, 배치 및 개수 등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략적인 예로서는, 도 2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태양을 들 수 있다.
또한, 비접촉부는, 예를 들면, 피착체 첩부용 부분을 펀칭 가공하는 것과 동시에, 상측 형틀의 오목부 및 하측 형틀의 볼록부에 의한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평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에 있어서의 선분B-B를 통과하는 평면으로 점착 시트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2의 (c)는, 도 2의 (b)에 나타내는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피착체 첩부용 부분을 피착체에 대해서 첩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5) 식별용 부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성 적층체는, 점착성 적층체의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이유는, 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평면 형상이 동일 또는 유사하지만, 점착력 등의 특성이 다른 경우와 같이, 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평면 형상으로는 식별이 곤란한 복수 종의 점착 시트를, 명확히 식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식별용 부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5)-1 식별 대상 특성
식별용 부분에 의해 식별되는 대상으로 되는 특성으로서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점착층에 있어서의 겔분율, 저장탄성률이나, 기재 또는 점착성 적층체 전체에 있어서의 점착력, 유지력, 전광선투과율, 헤이즈값 등을 들 수 있다.
(5)-2 형상
식별용 부분의 평면 형상을, 장방형, 도 1의 (a),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략 장방형, 타원형, 대략 타원형, 원형, 대략 원형, 삼각형, 대략 삼각형, 오각형, 대략 오각형, 성형, 알파벳 및 숫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식별용 부분의 평면 형상을 이러한 형상으로 함에 의해, 식별용 부분을 사용해서, 보다 명확히 식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식별용 부분의 평면 형상을 이러한 형상으로 함에 의해, 피착체 첩부용 부분에 의해 점착성 적층체에 있어서의 점착력 등의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여도, 식별용 부분을 사용해서, 용이하고 정확하게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식별용 부분의 평면 형상을, 도 3의 (a)에 나타내는 숫자나, 도 3의 (b)에 나타내는 알파벳과 같이, 문자 정보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러한 문자 정보이면, 보다 명확히 점착성 적층체의 특성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도 3의 (a)∼(b)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평면도이다.
(5)-3 크기
또한, 식별용 부분의 평면 형상에 있어서의 최대경을 20∼3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러한 최대경이 20㎜ 미만의 값으로 되면, 식별용 부분의 평면 형상을 시인하기 어려워져, 식별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최대값이 30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동일한 박리 시트 상에 평면 배치할 수 있는 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면적이 과도하게 제한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최대경이란, 식별용 부분의 평면 형상에 외접하는 원을 그렸을 경우에 있어서의, 당해 외접원의 직경을 의미한다.
또한, 식별용 부분의 평면 형상을 장방형, 대략 장방형, 타원형 또는 대략 타원형으로 할 경우에는, 점착성 적층체의 특성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관점도 가미해서, 그 장축 방향의 길이를 20∼3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2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2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그 단축 방향의 길이(폭)를 1∼3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28㎜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2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5)-4 배치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의 (a), 도 2의 (a), 도 3의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착체 첩부용 부분(12)과, 식별용 부분(14)이, 동일한 박리 시트(2) 위에 평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이유는, 이렇게 구성함에 의해, 피착체 첩부용 부분이 갖는 특성을, 동일한 박리 시트 상에 평면 배치된 식별용 부분이 나타내게 되므로, 다른 점착 시트와의 혼동이 생기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평면 배치의 태양은, 기본적으로 식별용 부분을 갖지 않는 종래의 점착 시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의 (a), 도 2의 (a), 도 3의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 시의 핸들링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성형 면적이 최대로 되도록 평면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식별용 부분의 평면 배치의 태양은, 예를 들면, 도 1의 (a),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어느 하나의 변에 따른 위치, 또는, 도 3의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변에 둘러싸인 모서리부 부근의 위치로서, 피착체 첩부용 부분이 평면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외측에 평면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렇게 평면 배치함에 의해, 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평면 배치를 저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피착체 첩부용 부분을 사용할 때의 핸들링성을 저하시키는 것에 대해서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 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평면 배치를 저해하지 않으며, 또한, 그 핸들링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피착체 첩부용 부분이 평면 배치되어 있는 부분 가운데를 통과하도록 평면 배치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로서의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공정(I)∼(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이다.
(I) 적어도 기재와, 점착제층과, 박리 시트를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성형 가공 전의 점착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
(Ⅱ) 기재 및 점착제층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점착성 적층체를, 박리 시트 상에 있어서, 피착체에 첩부되기 위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점착성 적층체의 물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부분으로 성형 가공하여,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식별용 부분이, 동일한 박리 시트 상에 평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얻는 공정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공정(I) : 점착 시트의 준비 공정
공정(I)은, 적어도 기재와, 점착제층과, 박리 시트를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성형 가공 전의 점착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공정은,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의 비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면,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 시트에 대해서 도포·건조시켜서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얻어진 점착제층에 대해서 기재를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성형 가공 전의 점착 시트는, 대상의 연속체로서 제조해두고, 필요하면, 추후의 성형 가공 공정 후에, 소정 간격마다 매엽(枚葉)으로 재단할 수 있다.
2. 공정(Ⅱ) : 성형 가공 공정
또한, 공정(Ⅱ)은, 도 4의 (a)∼(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6) 및 점착제층(4)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점착성 적층체(10)를, 박리 시트(2) 위에 있어서, 피착체 첩부용 부분(12)과, 식별용 부분(도시하지 않음)으로 성형 가공하여, 피착체 첩부용 부분(12)과, 식별용 부분(도시하지 않음)이, 동일한 박리 시트(2) 위에 평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20)를 얻는 공정이다.
이러한 성형 가공은,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4의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펀칭 가공이나, 레이저 가공 등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또, 도 4의 (a)∼(b)는, 펀칭 가공 공정을 나타내는 측방 단면도이다.
또한, 성형 가공으로서, 도 4의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착체 첩부용 부분(12)의 평면 형상에 대응한 제1 가공 수단(214)과, 식별용 부분(도시하지 않음)의 평면 형상에 대응한 제2 가공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펀칭 가공기(200)를 사용해서, 펀칭 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러한 펀칭 가공기를 사용한 펀칭 가공이면, 식별용 부분을,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동시에 성형 가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도 4의 (a)∼(b)에 나타내는 펀칭 가공에서는, 도 2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피착체 첩부용 부분(12)의 점착제층(4)이, 부분적으로 피착체(100)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50)를 갖는 태양의 점착 시트(20)를 제조하고 있다.
이하, 도 4의 (a)∼(b)에 나타내는 펀칭 가공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 가공 전의 점착 시트(20')는, 펀칭 가공기(200)의 상측 형틀(210) 및 하측 형틀(220)이 이반(離反)해 있는 상태에서, 일정한 이송 피치로 이송 방향(E)으로 이송된 후,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이송 정지 기간 중에 상측 형틀(210) 및 하측 형틀(220)에 의해 가압되어 펀칭 가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c)∼(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6) 및 점착제층(4)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적층체인 점착성 적층체(10)에 대해, 상측 형틀(210)에 있어서의 제1 가공 수단(214)에 의해 피착체 첩부용 부분(12)의 평면 형상에 대응한 절개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측 형틀(210)에 있어서의 제2 가공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식별용 부분(14)의 평면 형상에 대응한 절개가 형성된다.
또, 도 4의 (c)는, 도 4의 (a)∼(b)에 나타내는 펀칭 가공 공정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 시트의 평면도이고, 도 4의 (d)는, 도 4의 (c)에 있어서의 선분X-X를 통과하는 평면으로 점착 시트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4의 (e)는, 도 4의 (c)에 있어서의 선분Y-Y를 통과하는 평면으로 점착 시트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측 형틀(210)의 오목부(212)와, 하측 형틀(220)의 볼록부(222)에 의해, 성형 가공 전의 점착 시트(20')의 피착체 첩부용 부분(12)에 해당하는 개소의 일부에 대해서 돔 형상이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피착체 첩부용 부분(12)에 비접촉부(50)가 형성된다.
그 후, 상측 형틀(210) 및 하측 형틀(220)이 이반하면, 점착 시트(20) 및 가공 전의 점착 시트(20')의 연속체는, 일정한 이송 피치분만큼 이송 방향(E)으로 이송되고, 이상의 공정이 반복된다.
그리고, 이상의 공정의 반복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 시트(20)의 연속체를 매엽으로 재단함으로써, 도 4의 (c)∼(e)에 나타내는 최종적인 점착 시트(20)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4의 (c)∼(e)에 나타내는 최종적인 점착 시트(20)에서는, 점착성 적층체(10)에 있어서의 피착체 첩부용 부분(12) 및 식별용 부분(14) 이외의 부분은 박리 제거하고 있다.
이렇게 함에 의해, 점착 시트의 사용 시에, 피착체 첩부용 부분이나 식별용 부분을 박리하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박리 제거 공정은, 펀칭 가공에서부터 재단 또는 권취 공정까지의 어느 시점에서 실시해도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실시를 생략해도 된다.
또한, 일례로서 도 4의 (a)∼(b)에 나타내는 펀칭 가공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피착체 첩부용 부분 및 식별용 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펀칭 가공, 비접촉부를 형성하기 위한 요철 가공, 및 매엽으로 재단하는 재단 가공의 순번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성형 가공 전의 점착 시트를 매엽으로 재단한 후, 요철 가공에 의해 비접촉부를 형성하고, 마지막에 펀칭 가공을 해도 된다.
또는, 성형 가공 전의 점착 시트를 펀칭 가공한 후, 매엽으로 재단하고, 마지막에 요철 가공에 의해 비접촉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는, 성형 가공 전의 점착 시트를 펀칭 가공한 후, 요철 가공에 의해 비접촉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매엽으로 재단해도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 의하면, 기재 및 점착제층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점착성 적층체를, 박리 시트 상에 있어서, 피착체에 첩부되기 위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점착성 적층체의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부분으로 성형 가공하며, 또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식별용 부분을 동일한 박리 시트 상에 평면 배치함에 의해, 점착성 적층체(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형태에 상관없이, 점착성 적층체의 특성을 명확히 식별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 시트 등은, 각종 라벨이나 보호 필름 등을 피착체에 첩부하는 작업 현장에 있어서, 작업자가 특성이 다른 라벨이나 보호 필름 등을 혼동하는 것을 방지해서, 제품의 제조 효율의 향상에 현저하게 기여하는 것이 기대된다.
2 : 박리 시트, 4 : 점착제층, 6 : 기재, 10 : 점착성 적층체, 12 : 피착체 첩부용 부분, 14 : 식별용 부분, 20 : 점착 시트, 20' : 성형 가공 전의 점착 시트, 50 : 비접촉부, 100 : 피착체, 200 : 펀칭 가공기, 210 : 상측 형틀, 212 : 오목부, 214 : 제1 가공 수단, 220 : 하측 형틀, 222 : 볼록부

Claims (4)

  1. 적어도 기재와, 점착제층과, 박리 시트를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로서,
    상기 기재 및 상기 점착제층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점착성 적층체가, 상기 박리 시트 상에 있어서, 피착체에 첩부(貼付)되기 위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상기 점착성 적층체의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부분으로 성형 가공되어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평면 형상에 있어서의 면적을 400㎟ 이하의 값으로 하고,
    상기 식별용 부분의 평면 형상을, 장방형, 타원형, 원형, 삼각형, 오각형, 성형, 알파벳 및 숫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하며,
    상기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상기 식별용 부분이, 동일한 상기 박리 시트 상에 평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점착제층이, 부분적으로 피착체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공정(I)∼(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I) 적어도 기재와, 점착제층과, 박리 시트를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성형 가공 전의 점착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
    (Ⅱ) 상기 기재 및 상기 점착제층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점착성 적층체를, 상기 박리 시트 상에 있어서, 피착체에 첩부되기 위한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상기 점착성 적층체의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부분으로 성형 가공하며, 상기 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평면 형상에 있어서의 면적을 400㎟ 이하의 값으로 하고, 상기 식별용 부분의 평면 형상을, 장방형, 타원형, 원형, 삼각형, 오각형, 성형(星形), 알파벳 및 숫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하여, 상기 피착체 첩부용 부분과, 상기 식별용 부분이, 동일한 상기 박리 시트 상에 평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얻는 공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Ⅱ)에 있어서, 상기 성형 가공으로서, 상기 피착체 첩부용 부분의 평면 형상에 대응한 제1 가공 수단과, 상기 식별용 부분의 평면 형상에 대응한 제2 가공 수단을 갖는 펀칭 가공기를 사용해서, 펀칭 가공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167031558A 2014-06-30 2015-04-21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341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4277 2014-06-30
JPJP-P-2014-134277 2014-06-30
PCT/JP2015/062033 WO2016002317A1 (ja) 2014-06-30 2015-04-21 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973A KR20170022973A (ko) 2017-03-02
KR102341088B1 true KR102341088B1 (ko) 2021-12-20

Family

ID=5501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558A KR102341088B1 (ko) 2014-06-30 2015-04-21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521962B2 (ko)
KR (1) KR102341088B1 (ko)
CN (1) CN106459696B (ko)
PH (1) PH12016502310A1 (ko)
TW (1) TWI701312B (ko)
WO (1) WO201600231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0869A (ja) 2008-01-09 2009-07-23 Lintec Corp 積層シート、積層シートの巻取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1068130A (ja) 2009-08-26 2011-04-07 Kantaro Nomura 織物シール、織物シート、シール、接着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105A (ja) * 1996-11-13 1998-05-26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用粘着シート及び画像形成装置用粘着シート搬送方法
DE29818419U1 (de) * 1998-10-15 1999-01-28 Idento Ind Kennzeichnung Etikettenblatt
JP4614126B2 (ja) * 2005-02-21 2011-01-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積層シート、積層シートの巻取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4769109B2 (ja) 2006-03-30 2011-09-07 株式会社サトー 極小ラベル連続体の印字方法
JP2008018614A (ja) * 2006-07-12 2008-01-31 Lintec Corp 積層シート、積層シートの巻取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0869A (ja) 2008-01-09 2009-07-23 Lintec Corp 積層シート、積層シートの巻取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1068130A (ja) 2009-08-26 2011-04-07 Kantaro Nomura 織物シール、織物シート、シール、接着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9696A (zh) 2017-02-22
JP6521962B2 (ja) 2019-05-29
CN106459696B (zh) 2020-07-03
WO2016002317A1 (ja) 2016-01-07
TWI701312B (zh) 2020-08-11
TW201600579A (zh) 2016-01-01
KR20170022973A (ko) 2017-03-02
PH12016502310A1 (en) 2017-02-13
JPWO2016002317A1 (ja)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0425B (zh) 导电性膜、卷绕体、连接结构体和连接结构体的制造方法
JP5157208B2 (ja) ダイボンドダイシングシート
US7674345B2 (en) Adhesive articles with discontinuit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080052591A (ko) 커버 테이프 및 제조 방법
JP6089448B2 (ja) 配送伝票
JP6040520B2 (ja) 配送伝票
KR102341088B1 (ko)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341087B1 (ko)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KR101829696B1 (ko) 4분할 배면테이프가 일체화된 필름 제작방법
JP2009223847A (ja) Icタグラベルの帯状連続体と印字用icタグラベル用紙
JP5324065B2 (ja) 識別記号付ダイシング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54235B1 (ko) 롤 타입 라벨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5469271B2 (ja) 識別記号付ダイシング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229717B (zh) 标签条及其制造方法
JP2014234424A (ja) 接着シートおよび接着シートの貼付方法ならびに接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2674924B2 (ja) Icカード製造装置及びそれに供される接着片の供給ロールの製造方法
KR101603401B1 (ko) 박막유리 적층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박막유리블럭
RU2657413C1 (ru) Листовой носитель для нескольких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носителей
JP6089449B2 (ja) 配送伝票
CN110845966A (zh) 粘着片
CN115895465A (zh) 光学胶结构及光学胶结构的制作方法
CN116338841A (zh) 一种带基材可碳带打印的逆反射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