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537B1 - 멀티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멀티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537B1
KR102340537B1 KR1020200080549A KR20200080549A KR102340537B1 KR 102340537 B1 KR102340537 B1 KR 102340537B1 KR 1020200080549 A KR1020200080549 A KR 1020200080549A KR 20200080549 A KR20200080549 A KR 20200080549A KR 102340537 B1 KR102340537 B1 KR 102340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ameras
camera module
camera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0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537B1/ko
Priority to US17/223,291 priority patent/US11438496B2/en
Priority to CN202121433522.2U priority patent/CN215297911U/zh
Priority to CN202110709168.XA priority patent/CN11394608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4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1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카메라;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와 결합된 하나의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상부를 감싸는 상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면부에는 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대응되는 위치에 따라 다른 깊이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카메라 모듈{Multi camera module}
본 발명은 멀티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나아가, 하나의 카메라 모듈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다양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배치하는 구조도 제안되고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연결하는 케이스가 제공될 수 있는데, 복수의 카메라 모듈에 케이스를 결합한 후에 이를 다시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컨대, 제조 과정에서 예기치 않은 불량이 발생하여 수리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케이스의 분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복수의 카메라 모듈에 장착된 케이스를 다시 분리하기 어렵고, 분리하더라도 케이스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각 카메라 모듈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케이스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멀티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카메라;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와 결합된 하나의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상부를 감싸는 상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면부에는 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대응되는 위치에 따라 다른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케이스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의 케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멀티 카메라 모듈에서 케이스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변형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의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멀티 카메라 모듈(1)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1)은 복수의 카메라 및 케이스(100)를 포함한다.
복수의 카메라는 2개 이상의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카메라가 제1 카메라(10), 제2 카메라(20) 및 제3 카메라(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복수의 카메라의 개수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카메라는 각각 렌즈모듈(11), 하우징(13) 및 이미지센서모듈(15)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11)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며 하우징(13)에 수용된다. 또한, 하우징(13)에는 이미지센서모듈(15)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모듈(15)은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가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초점 조정 및/또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렌즈모듈(11)은 하우징(13)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렌즈모듈(11)은 하우징(13)에 대하여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광축 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렌즈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는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카메라가 2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카메라는 상대적으로 화각이 넓고(광각), 나머지 하나의 카메라는 상대적으로 화각이 좁을(망원)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카메라가 3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카메라(10)의 화각(θ1)이 가장 넓게 구성(초 광각)되고, 제2 카메라(20)의 화각(θ2)이 가장 좁게 구성(망원)되며, 제3 카메라(30)의 화각(θ3)은 제1 카메라(10)의 화각(θ1)보다는 좁고 제2 카메라(20)의 화각(θ2)보다는 넓게 구성(표준 또는 광각)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카메라의 화각을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피사체의 이미지를 다양한 심도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촬영하고자 하는 화각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를 전환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줌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카메라는 전장거리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카메라(10)의 전장거리(TTL1)가 가장 길고, 제3 카메라(30)의 전장거리(TTL3)가 가장 짧으며, 제2 카메라(20)의 전장거리(TTL2)는 제1 카메라(10)의 전장거리(TTL1)보다는 짧고 제3 카메라(30)의 전장거리(TTL3)보다는 길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렌즈모듈(11)의 끝단으로부터 이미지센서모듈(15) 사이의 거리를 전장거리로 표시하였으나, 전장거리는 물체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를 연결하여 멀티 카메라 모듈(1)을 구성하기 위하여 케이스(100)가 제공된다. 케이스(100)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케이스(100)는 복수의 카메라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카메라(10)에 결합되는 케이스, 제2 카메라(20)에 결합되는 케이스 및 제3 카메라(30)에 결합되는 케이스가 별개의 구성이 아닌 하나의 구성으로 제공된다.
즉,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카메라를 서로 연결하도록 하나의 케이스(100)가 복수의 카메라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1)은 케이스(100)의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예컨대, 멀티 카메라 모듈(1)의 제조 과정 또는 사용 과정에서 예기치 않은 불량이 발생하여 수리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1)은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케이스(1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수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의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의 케이스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I-I'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6a 및 도 6b는 멀티 카메라 모듈에서 케이스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케이스(100)는 상면부(110)와 측면부(130)를 포함한다. 상면부(110)는 광축 방향으로 두께를 갖는 사각형 형상이고, 측면부(130)는 상면부(110)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100)가 복수의 카메라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면부(110)는 복수의 카메라의 상부를 감싸고, 측면부(130)는 복수의 카메라의 측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각 카메라에 대응되는 복수의 입사홀(150)을 구비한다. 예컨대, 케이스(100)가 2개의 카메라와 결합할 경우, 케이스(100)에는 2개의 입사홀(15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가 3개의 카메라와 결합할 경우, 케이스(100)에는 3개의 입사홀(150)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입사홀(150)은 케이스(100)의 상면부(110)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카메라의 각 렌즈모듈의 일 부분은 입사홀(15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복수의 카메라를 연결하는 구성이므로, 복수의 카메라에 견고하게 결합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멀티 카메라 모듈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 케이스(100)의 분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케이스(100)의 일 부분을 레이저로 절단하여 케이스(100)를 분리시키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카메라에 대응되는 케이스(100)의 부분 별로 케이스의 두께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한 공정에서 케이스(100)를 절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1)은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케이스(1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100)의 상면부(110)의 일 부분이 케이스(100)의 상면부(110)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두께는 광축 방향으로의 두께를 의미한다.
따라서, 케이스(100)의 상면부(110)에서 두께가 얇은 부분을 레이저로 절단하여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케이스(1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케이스(100)의 상면부(110)는 각 입사홀(150)의 주위 부분에서 가장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100)의 상면부(110)의 저면(각 카메라와 마주보는 면)에는 홈부(170)가 구비된다. 홈부(170)는 각 입사홀(150)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홈부(170)는 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00)의 상면부(110)에서, 홈부(170)가 형성된 부분은 홈부(17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얇을 수 있다.
홈부(170)는 각 입사홀(150)의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조 과정 및/또는 사용 중에 불량이 발생하여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등을 통해 케이스(100)의 상면부(110)에서 두께가 얇은 부분(예컨대, 홈부(170)가 위치한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케이스(1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6a를 참조하면, 굵은 점선으로 사각형 표시된 부분은 홈부(170)가 위치한 부분이며, 이 부분에서 각 카메라에 대응되는 케이스(100)의 상면부(110)는 동일하게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므로, 해당 부분을 레이저 등을 통해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복수의 카메라를 서로 연결시키는 구성이므로, 소정의 강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케이스(100)를 전체적으로 얇게 형성하면 케이스(100)의 강성이 약해지므로, 멀티 카메라 모듈(1)의 신뢰성도 저하되게 된다. 즉, 케이스(100)의 강성이 약한 경우 복수의 카메라의 장착 위치가 틀어지거나,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1)은 케이스(100)의 일 부분의 두께만을 얇게 형성함으로써 케이스(100)의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수리가 필요한 경우 케이스(1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카메라는 서로 다른 광학성능(화각, 전장거리 등)을 갖기 때문에, 각 렌즈모듈의 광축 방향으로의 위치가 상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카메라에 대응되는 케이스(100)의 상면부(110)의 광축 방향으로의 두께도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카메라(10)에 대응되는 케이스(100)의 상면부(이하, 제1 상면부(111)라 함)의 두께(T1)가 가장 얇고, 제2 카메라(20)에 대응되는 케이스(100)의 상면부(이하, 제2 상면부(112)라 함)의 두께(T2)가 가장 두꺼우며, 제3 카메라(30)에 대응되는 케이스(100)의 상면부(이하, 제3 상면부(113)라 함)의 두께(T3)는 제1 상면부(111)의 두께(T1)보다 두껍고 제2 상면부(112)의 두께(T2)보다 얇을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00)를 분리시키기 위해 필요한 절단두께가 케이스(100)의 상면부(110)의 부분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케이스(1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1)은 케이스(100)의 상면부(110)가 각 카메라에 대응되는 부분 별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며, 이에 따라 홈부(170)는 그 위치에 따라 상이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즉, 홈부(170)는 복수의 카메라에 대응되는 위치에 따라 다른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깊이는 광축 방향으로의 깊이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홈부(170)의 바닥면이 곡면을 포함하는 경우, 깊이는 광축 방향으로의 최대 깊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스(100)의 제1 상면부(111), 제2 상면부(112) 및 제3 상면부(113)는 각각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진다. 또한, 제1 상면부(111)에 구비된 제1 홈부(171), 제2 상면부(112)에 구비된 제2 홈부(172) 및 제3 상면부(113)에 구비된 제3 홈부(173)는 각각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진다.
일 예로, 제1 홈부(171)의 깊이(D1)가 가장 얇게 형성되고, 제2 홈부(172)의 깊이(D2)가 가장 깊게 형성되며, 제3 홈부(173)의 깊이(D3)는 제1 홈부(171)의 깊이(D1)와 제2 홈부(172)의 깊이(D2) 사이일 수 있다.
한편, 홈부(170)가 구비된 위치에서 케이스(110)의 상면부(110)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T1-D1 = T2-D2 = T3-D3의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상면부(111)의 두께(T1), 제2 상면부(112)의 두께(T2) 및 제3 상면부(113)의 두께(T3)가 서로 상이하고, 제1 홈부(171)의 깊이(D1), 제2 홈부(172)의 깊이(D2) 및 제3 홈부(173)의 깊이(D3)도 서로 상이하므로, 제1 홈부(171)가 구비된 영역의 제1 상면부(111)의 두께, 제2 홈부(172)가 구비된 영역의 제2 상면부(112)의 두께 및 제3 홈부(173)가 구비된 영역의 제3 상면부(113)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00)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동일'의 의미는 물리적으로 완벽히 동일한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 시의 공차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변형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스(100)의 홈부(170)에는 접착제(19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190)를 통해 케이스(100)가 각 카메라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190)가 홈부(170)에 구비되므로, 접착제(190)의 도포 영역을 넓힐 수 있으며, 케이스(100)와 각 카메라의 하우징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의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홈부(170)의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홈부(170)는 케이스(10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홈부(170)의 위치를 외관 상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100)의 분리가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모듈의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카메라가 2개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2개의 카메라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예컨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하우징(200)에 2개의 렌즈모듈이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200)은 제1 렌즈모듈(11)과 제2 렌즈모듈(21)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두 개의 수용 공간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나의 하우징(200)에 하나의 케이스(1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제1 카메라
20: 제2 카메라
30: 제3 카메라
100: 케이스
110: 상면부
130: 측면부
150: 입사홀
170: 홈부
190: 접착제

Claims (13)

  1. 복수의 카메라;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와 결합된 하나의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상부를 감싸는 상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면부에는 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대응되는 위치에 따라 다른 깊이를 갖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대응되는 복수의 입사홀을 가지며,
    상기 홈부는 상기 복수의 입사홀의 주위에 구비되는 멀티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구비된 위치의 상기 상면부의 두께는 상기 상면부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멀티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구비된 위치에서 상기 상면부의 두께는 동일한 멀티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상면부의 저면에 위치하는 멀티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상면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멀티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면부는 상기 제1 카메라의 상부를 감싸는 제1 상면부, 상기 제2 카메라의 상부를 감싸는 제2 상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면부와 제2 상면부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멀티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제1 상면부에 구비된 제1 홈부 및 상기 제2 상면부에 구비된 제2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가 구비된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면부는 동일한 두께를 갖는 멀티 카메라 모듈.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각각의 입사홀을 둘러싸는 형태로 연장되는 멀티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사각형 형태를 갖는 멀티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는 접착제가 구비되는 멀티 카메라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멀티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서로 다른 전장거리를 갖는 멀티 카메라 모듈.
KR1020200080549A 2020-06-30 2020-06-30 멀티 카메라 모듈 KR102340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549A KR102340537B1 (ko) 2020-06-30 2020-06-30 멀티 카메라 모듈
US17/223,291 US11438496B2 (en) 2020-06-30 2021-04-06 Multi-camera module
CN202121433522.2U CN215297911U (zh) 2020-06-30 2021-06-25 多相机模块、电子设备及用于多相机模块的外壳
CN202110709168.XA CN113946086B (zh) 2020-06-30 2021-06-25 多相机模块、电子设备及用于多相机模块的外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549A KR102340537B1 (ko) 2020-06-30 2020-06-30 멀티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537B1 true KR102340537B1 (ko) 2021-12-20

Family

ID=7903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549A KR102340537B1 (ko) 2020-06-30 2020-06-30 멀티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38496B2 (ko)
KR (1) KR102340537B1 (ko)
CN (2) CN21529791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537B1 (ko) * 2020-06-30 2021-12-20 삼성전기주식회사 멀티 카메라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716B1 (ko) * 1999-12-30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체촬상소자 카메라용 포커싱장치
KR20150000655A (ko) * 2013-06-25 2015-01-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60149641A (ko) * 2015-06-18 2016-1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철계 분말 케이크의 절단 크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06185A (ko) * 2016-03-11 2017-09-2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00003499A (ko) * 2018-07-02 2020-01-10 주식회사 넥스트테크놀리지 접착 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021B1 (ko) * 2010-10-08 2012-05-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3차원 촬상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848871B1 (ko) * 2011-08-03 2018-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6436783B2 (ja) * 2015-01-09 2018-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102596539B1 (ko) 2016-01-19 2023-11-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06331458A (zh) * 2016-10-17 2017-01-11 河南省皓泽电子有限公司 一种小间距镜头组的双摄像头闭环驱动装置
CN115201992A (zh) * 2017-01-09 2022-10-18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块、光学装置和透镜驱动装置
CN207266135U (zh) * 2017-07-25 2018-04-20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摄像头保护罩及终端设备
KR20190050021A (ko) 2017-11-02 2019-05-10 자화전자(주) 듀얼 렌즈용 ois 싱글 액추에이터
EP3609168B1 (en) * 2018-04-10 2023-08-2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upport, input/output assembly and terminal
TWI661361B (zh) * 2018-04-10 2019-06-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感測模組及其電子裝置
CN110858869B (zh) * 2018-08-23 2021-07-2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相机模组及具有该相机模组的电子装置
CN111050032B (zh) * 2018-10-15 2021-08-24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
KR20200091264A (ko) * 2019-01-22 2020-07-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340537B1 (ko) * 2020-06-30 2021-12-20 삼성전기주식회사 멀티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716B1 (ko) * 1999-12-30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체촬상소자 카메라용 포커싱장치
KR20150000655A (ko) * 2013-06-25 2015-01-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60149641A (ko) * 2015-06-18 2016-1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철계 분말 케이크의 절단 크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06185A (ko) * 2016-03-11 2017-09-2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00003499A (ko) * 2018-07-02 2020-01-10 주식회사 넥스트테크놀리지 접착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38496B2 (en) 2022-09-06
CN215297911U (zh) 2021-12-24
CN113946086A (zh) 2022-01-18
US20210409585A1 (en) 2021-12-30
CN113946086B (zh)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39011B (zh) 拍摄单元及拍摄装置
TWI558200B (zh) 攝像模組及攝影裝置
KR102185060B1 (ko) 카메라 모듈
KR20070047721A (ko) 촬상 소자 장착 구조
KR20050026492A (ko) 카메라 모듈,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KR20140109235A (ko) 카메라 모듈
JP2008263550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40537B1 (ko) 멀티 카메라 모듈
KR20220136331A (ko) 렌즈 조립체
KR20210027197A (ko) 카메라 모듈
JP2013016894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19729A (ko) 카메라 모듈
JP3839019B2 (ja) 撮像装置
KR100835079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2483623B1 (ko) 카메라 모듈
KR20220129524A (ko) 스페이서 또는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CN213934506U (zh) 反射模块及包括反射模块的相机模块
JP4696192B2 (ja) 固体撮像素子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6721366B2 (ja) 撮像モジュール、内視鏡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2185246A (ja) 撮像ユニット
CN113219766A (zh) 反射模块及包括反射模块的相机模块
JP2008263551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59380B1 (ko) 멀티 카메라 장치
JP3821831B2 (ja) 撮像装置
KR102662890B1 (ko)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