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197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197A
KR20210027197A KR1020200109713A KR20200109713A KR20210027197A KR 20210027197 A KR20210027197 A KR 20210027197A KR 1020200109713 A KR1020200109713 A KR 1020200109713A KR 20200109713 A KR20200109713 A KR 20200109713A KR 20210027197 A KR20210027197 A KR 20210027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module
housing
len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1619B1 (ko
Inventor
김인건
강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27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5Lens hoods or shiel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2
    • H04N5/225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렌즈모듈의 전방에 배치된 반사부재; 상기 렌즈모듈을 통과한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센서모듈; 및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이미지센서모듈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제1 차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요구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도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렌즈가 배치되는 경우 렌즈의 매수가 증가할수록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므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소형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복수의 렌즈를 배치하는 경우 렌즈의 매수가 증가하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렌즈의 직경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렌즈의 직경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를 줄이는데 제약이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의 렌즈에 의해 굴절된 모든 빛이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것은 아니므로, 일반적으로 원형인 렌즈의 일 부분을 제거하여 렌즈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카메라 모듈 및 휴대용 전자기기를 박형화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빛 반사로 인하여 플레어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크기를 줄일 수 있고, 플레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렌즈모듈의 전방에 배치된 반사부재; 상기 렌즈모듈을 통과한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센서모듈; 및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이미지센서모듈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제1 차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크기를 줄일 수 있고, 플레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하우징의 제1 돌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제1 돌출부에 구비된 복수의 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는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0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렌즈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Y축 방향,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Front Surface)에서 후면(Rear Surface)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00)에 구비된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은 휴대용 전자기기(1)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0)이 자동 초점 조정(Auto Focusing, 이하 AF), 광학 줌(Optical Zoom, 이하 Zoom) 및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ing, 이하 OIS) 등의 기능을 구비하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가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1)의 박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AF, Zoom 및 OIS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AF, Zoom 및 OIS 기능 등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1000)은 다양한 부품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 비하여 카메라 모듈의 크기가 증가한다.
카메라 모듈(1000)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면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소형화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Zoom 기능을 위하여 복수의 렌즈 군을 포함하는데, 복수의 렌즈 군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렌즈 군의 수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렌즈 군의 수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어 Zoom 성능이 약해지게 된다.
또한, AF, Zoom 및 OIS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복수의 렌즈 군을 광축 방향 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 등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렌즈 군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렌즈군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도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에 수직하도록 배치되므로, AF, Zoom 및 OIS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되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1)를 박형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렌즈의 평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0)은 하우징(1100), 반사부재(R),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센서모듈(130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0)의 내부에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반사부재(R),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센서모듈(1300)이 구비된다. 하우징(1100)은 반사부재(R),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센서모듈(13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다만, 이미지센서모듈(1300)은 하우징(1100)의 외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하우징(1100)은 상부(도 2에서는 하우징(1100)의 우측)가 개방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100)의 상부를 덮으며, 빛이 입사되도록 개구를 구비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덮개의 개구를 통해 입사된 빛은 반사부재(R)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되어 렌즈모듈(1200)로 입사된다.
반사부재(R)는 빛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하우징(1100)의 내부로 입사된 빛은 반사부재(R)를 통해 렌즈모듈(1200)을 향하도록 진행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의 두께 방향(Y축 방향)으로 입사된 빛은 반사부재(R)에 의해 렌즈모듈(1200)의 광축 방향(Z축 방향)과 대략 일치하도록 경로가 변경된다.
렌즈모듈(1200)은 반사부재(R)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된 빛이 통과되는 복수의 렌즈 및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배럴(1210)을 포함한다.
도 2에는 복수의 렌즈로서 제1 렌즈(L1), 제2 렌즈(L2) 및 제3 렌즈(L3)가 도시되어 있으나, 렌즈의 개수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센서모듈(1300)은 렌즈모듈(1200)을 통과한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1310) 및 이미지센서(1310)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13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미지센서모듈(1300)은 렌즈모듈(1200)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빛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비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렌즈(L1)는 광축 방향(Z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비원형인 형상을 갖는다. 이와는 달리, 복수의 렌즈가 모두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렌즈(L1)는 4개의 측면을 갖고, 2개의 측면끼리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측면은 대응되는 형상이다.
예컨대, 제1 렌즈(L1)는 제1 측면(21), 제2 측면(22), 제3 측면(23) 및 제4 측면(24)을 포함한다. 제1 측면(21)과 제2 측면(22)은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제3 측면(23)과 제4 측면(24)은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렌즈(L1)의 제1 측면(21)과 제2 측면(22)은 원호(arc) 형상이고, 제3 측면(23)과 제4 측면(24)은 대체로 직선 형상이다.
제3 측면(23)과 제4 측면(24)은 각각 제1 측면(21)과 제2 측면(22)을 연결한다. 또한, 제3 측면(23)과 제4 측면(24)은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렌즈(L1)는 광축과 교차하고 서로 수직한 두 개의 축 중 어느 한 축의 길이가 다른 한 축의 길이보다 길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렌즈는 각각 광학부(10)와 플랜지부(30)를 포함한다.
광학부(10)는 제1 렌즈(L1)의 광학 성능이 발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예로,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이 광학부(10)를 통과하며 굴절될 수 있다.
광학부(10)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고, 비구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광학부(10)는 물체측 면(물체측을 향하는 면)과 상측 면(상측을 향하는 면)을 포함한다(도 3에는 물체측 면이 도시됨).
플랜지부(30)는 제1 렌즈(L1)를 다른 구성, 일 예로, 렌즈 배럴(1210) 또는 제2 렌즈(L2)에 고정하는 부분일 수 있다.
플랜지부(30)는 광학부(1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에서 연장되며, 광학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광학부(10)와 플랜지부(30)는 비원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광학부(10)와 플랜지부(30)는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비원형이다. 이와는 달리 광학부(10)는 원형이고 플랜지부(30)가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광학부(10)는 제1 가장자리(11), 제2 가장자리(12), 제3 가장자리(13) 및 제4 가장자리(14)를 포함하고,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며,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다.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각각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를 연결한다.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는 원호(arc) 형상을 갖고,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대체로 직선 형상을 갖는다.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 사이의 최단거리는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길다.
광학부(10)는 장축(a, Major axis)과 단축(b, Minor axis)을 갖는다. 일 예로,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광축을 지나면서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선분이 단축(b)이고, 광축을 지나면서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를 연결하며 단축(b)에 수직한 선분이 장축(a)이다.
여기서, 장축(a)의 길이는 단축(b)의 길이보다 길다.
플랜지부(30)는 제1 플랜지부(31) 및 제2 플랜지부(32)를 포함하고, 제1 플랜지부(31)는 광학부(10)의 제1 가장자리(11)에서 연장되며, 제2 플랜지부(32)는 광학부(10)의 제2 가장자리(12)에서 연장된다.
광학부(10)의 제1 가장자리(11)는 제1 플랜지부(31)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광학부(10)의 제2 가장자리(12)는 제2 플랜지부(32)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광학부(10)의 제3 가장자리(13)는 플랜지부(30)가 형성되지 않은 광학부(10)의 일 측면을 의미할 수 있고, 광학부(10)의 제4 가장자리(14)는 플랜지부(30)가 형성되지 않은 광학부(10)의 타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제1 렌즈(L1)는 제3 측면(23) 또는 제4 측면(24)이 하우징(1100)의 제1 내벽(예컨대, 바닥면(1101))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 측면(21)과 제2 측면(22)이 하우징(1100)의 제2 내벽(예컨대, 내측면(1102))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 렌즈(L1)는 길이가 더 짧은 측의 측면(제3 측면(23) 또는 제4 측면(24))이 하우징(1100)의 제1 내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길이가 더 긴 측의 측면(제1 측면(21)과 제2 측면(22))이 하우징(1100)의 제2 내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렌즈(L1)는 단축(b)이 하우징(1100)의 두께 방향(Y축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장축(a)이 하우징(1100)의 폭 방향(X축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렌즈(L1)의 단축(b) 방향으로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하우징(11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하우징의 제1 돌출부의 사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제1 돌출부에 구비된 복수의 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0)의 제1 내벽에 제1 돌출부(11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10)는 렌즈배럴(1210)과 이미지센서(13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렌즈배럴(1210)은 자동 초점 조정(AF) 및/또는 줌(Zoom) 구현을 위해 광축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0)의 제1 돌출부(1110)는 렌즈배럴(1210)의 이동범위를 제한함으로써 렌즈배럴(1210)이 이미지센서(1310) 측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렌즈배럴(1210)을 통과한 빛 중에서 일부의 빛이 하우징(1100)의 제1 내벽에 부딪혀 반사될 수 있으며, 반사된 빛이 이미지센서(1310)에 입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특히, 제1 렌즈(L1)는 장축(a)의 길이보다 단축(b)의 길이가 더 작게 형성되므로, 제1 렌즈(L1)의 제3 측면(23, 또는 제4 측면(24))과 하우징(1100)의 제1 내벽(일 예로, 하우징(1100)의 바닥면(1101)) 사이의 거리는, 제1 렌즈(L1)의 제1 측면(21, 또는 제2 측면(22))과 하우징(1100)의 제2 내벽(일 예로, 하우징(1100)의 내측면(1102))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게 형성된다.
나아가, 제1 렌즈(L1)의 단축(b)이 하우징(1100)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하우징(1100)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서는 제1 렌즈(L1)의 제3 측면(23, 또는 제4 측면(24))과 하우징(1100)의 제1 내벽(예컨대, 바닥면(1101))을 가깝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0)의 제1 내벽(예컨대, 바닥면(1101))의 경우, 내면반사로 인한 플레어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하우징(1100)의 다른 내벽보다 높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100)의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내면반사로 인해 플레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100)의 바닥면(1101)에는 홈부(1112)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1112)는 렌즈배럴(1210)과 이미지센서(13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일 예로, 홈부(1112)는 제1 돌출부(1110)보다 이미지센서(1310)에 더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부(1112)의 일측은 제1 돌출부(1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10)는 이미지센서(1310)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돌출부(1110)는 경사면(1111)을 가지며, 경사면(1111)이 홈부(1112)와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100)의 바닥면(1101)에 홈부(1112)가 형성되므로, 렌즈배럴(1210)을 통과한 빛 중 일부가 하우징(1100)의 바닥면(1101)에 부딪혀 반사되더라도, 반사된 빛은 홈부(1112)에 의해 차단되어 이미지센서(1310)에 입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100)의 바닥면(1101)에서 발생하는 내면반사로 인한 플레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0)의 바닥면(1101)에 홈부(1112)를 형성하여 반사된 빛을 차단하더라도, 빛이 반사되는 각도에 따라 반사된 모든 빛이 홈부(1112)에 의해 차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100)의 내부면에서 빛이 반사되더라도 반사된 빛에 의해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110)의 바닥면에 구비된 제1 돌출부(1110)의 경사면(1111)에는 복수의 돌기(1111a)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1111a)는 경사면(1111)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복수의 돌기(1111a)는 각각 볼록한 곡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돌출부(1110)의 경사면(1111)은 빛이 반사된 위치에 따라 빛이 반사되는 각도가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돌출부(1110)의 경사면(1111)은 내면반사가 발생하더라도 반사된 빛이 산란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돌출부(1110)의 경사면(1111)에서 반사된 빛이 한 점에 모이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플레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돌기의 볼록한 곡면의 곡률에 따라 결정되는 직경을 D1이라 하고, 인접한 돌기 간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D2라 할 때, 복수의 돌기(1111a)는 D1 > D2 를 만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돌기(1111a)는 각각 인접한 돌기와 일 부분 중첩되게 구비될 수 있다(도 6a).
또는, 복수의 돌기(1111a)는 D1 = D2 를 만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돌기(1111a)는 각각 인접한 돌기와 선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6b).
또는, 복수의 돌기(1111a)는 D1 < D2 를 만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돌기(1111a)는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6c). 이 경우, 복수의 돌기(1111a) 사이에는 평탄면(1111b)이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1100)의 제2 내벽(예컨대, 내측면(1102))에 제2 돌출부(11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120)는 렌즈배럴(1210)과 이미지센서(13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하우징(1100)의 제2 내벽(예컨대, 내측면(1102))은 제1 렌즈(L1)의 제1 측면(21, 또는 제2 측면(22))과 마주보는 면이므로, 제1 렌즈(L1)의 제1 측면(21, 또는 제2 측면(22))과 하우징(1100)의 제2 내벽(예컨대, 내측면(1102))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멀게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1100)의 제2 내벽(예컨대, 내측면(1102))에서는 하우징(1100)의 바닥면(1101)에 비하여 내면반사가 발생될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빛의 난반사로 인하여 하우징(1100)의 제2 내벽(예컨대, 내측면(1102))에서도 내면반사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100)의 제2 내벽(예컨대, 내측면(1102))에 제2 돌출부(11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돌출부(1120)는 이미지센서(1310)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돌출부(1120)는 경사면(1121)을 가지며, 제2 돌출부(1120)의 경사면(1121)에는 복수의 돌기(1121a)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1121a)는 경사면(1121)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복수의 돌기(1121a)는 각각 볼록한 곡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 돌출부(1120)의 경사면(1121)은 빛이 반사된 위치에 따라 빛이 반사되는 각도가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2 돌출부(1120)의 경사면(1121)은 내면반사가 발생하더라도 반사된 빛이 산란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2 돌출부(1120)의 경사면(1121)에서 반사된 빛이 한 점에 모이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플레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1100)에 구비된 윈도우(w)의 내벽에도 복수의 돌기(1131)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1131)는 각각 볼록한 곡면을 포함한다.
하우징(1100)에는 렌즈배럴(1210)을 통과한 빛이 이미지센서(1310)에 입사될 수 있도록 빛을 통과시키는 개구 형태의 윈도우(w)를 구비한다. 윈도우(w)는 하우징(1100)의 내벽에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11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1130)에는 적외선 영역의 빛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필터가 부착될 수 있다.
렌즈배럴(1210)을 통과한 빛 중에서 일부의 빛이 윈도우(w)의 내벽에 부딪혀 반사될 수 있으며, 윈도우(w)는 이미지센서(1310)에 가깝게 배치되므로 반사된 빛이 이미지센서(1310)에 입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100)의 윈도우(w)의 내벽에 복수의 돌기(1131)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1131)는 각각 볼록한 곡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윈도우(w)의 내벽에서 내면반사가 발생하더라도 반사된 빛은 산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w)의 내벽에서 반사된 빛이 한 점에 모이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플레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10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된 차광판(1400)을 포함한다.
도 9에는 적외선 차단필터가 부착되는 하우징(1100)의 지지판(1130)과 접촉하도록 차광판(1400)이 하우징(1100)에 끼워진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차광판(1400)은 렌즈배럴(1210)과 이미지센서(13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돌출부(1110), 제2 돌출부(1120) 및 홈부(1112)는 차광판(1400)보다 렌즈모듈(120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차광판(1400)의 표면은 빛을 산란시킬 수 있도록 표면처리될 수 있다. 일 예로, 차광판(1400)의 표면은 부식처리되어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광판(1400)의 표면에는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도록 광 흡수층이 구비될 수 있다. 광 흡수층은 흑색 피막 또는 흑색 산화철일 수 있다.
한편, 차광판(1400)은 이미지센서(1310)에 빛이 입사되도록 빛을 통과시키는 개구(1410)를 구비하며, 개구(1410)의 내벽에 복수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는 각각 볼록한 곡면을 포함한다.
차광판(1400)에 빛을 차단하는 구조를 형성하여 하우징(1100)의 내부에 삽입 배치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플레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광판(1400)은 하우징(1100)과는 별개의 부재이므로, 하우징(1100)의 형상 자체를 변경하지 않고도 빛을 차단하는 구조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차광판이 하우징(110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복수의 차광판으로서 제1 차광판(1400)과 제2 차광판(1500)이 도시되어 있으나, 차광판의 개수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차광판(1500)도 제1 차광판(1400)과 마찬가지로, 빛을 산란시킬 수 있도록 표면처리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차광판(1500)의 표면은 부식처리되어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차광판(1500)의 표면에는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도록 광 흡수층이 구비될 수 있다. 광 흡수층은 흑색 피막 또는 흑색 산화철일 수 있다.
한편, 제2 차광판(1500)은 이미지센서(1310)에 빛이 입사되도록 빛을 통과시키는 개구(1510)를 구비하며, 개구(1510)의 내벽에 복수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는 각각 볼록한 곡면을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2)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500, 1000)이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전자기기(2)에 제1 카메라 모듈(1000) 및 제2 카메라 모듈(500)이 장착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000)은,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일 수 있다.
즉, 듀얼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경우, 2개의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로 구비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000)과 제2 카메라 모듈(500)은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제1 카메라 모듈(1000)은 상대적으로 화각이 좁게 구성(예를 들어, 망원)되고, 제2 카메라 모듈(500)은 상대적으로 화각이 넓게 구성(예를 들어, 광각)된다.
일 예로, 제1 카메라 모듈(1000)의 화각은 10°~ 25°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고, 제2 카메라 모듈(500)은 75°~ 85°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2개의 카메라 모듈의 화각을 서로 다르게 설계함으로써, 피사체의 이미지를 다양한 심도로 촬영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2: 휴대용 전자기기
1000: 카메라 모듈
1100: 하우징
1200: 렌즈모듈
1210: 렌즈배럴
1300: 이미지센서모듈
R: 반사부재

Claims (20)

  1.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렌즈모듈의 전방에 배치된 반사부재;
    상기 렌즈모듈을 통과한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센서모듈; 및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이미지센서모듈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제1 차광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판은 상기 광이 통과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의 내벽에는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는 각각 볼록한 곡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판의 표면은 광을 산란시킬 수 있도록 표면처리된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판의 표면에는 광 흡수층이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이미지센서모듈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차광판과 광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제2 차광판;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판은 상기 광이 통과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차광판의 상기 개구의 내벽에는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차광판의 상기 복수의 돌기는 각각 볼록한 곡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판의 표면은 광을 산란시킬 수 있도록 표면처리되거나, 상기 제2 차광판의 표면에 광 흡수층이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광축과 교차하고 서로 수직한 두 개의 축 중 어느 한 축의 길이가 다른 한 축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길이가 더 짧은 측의 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제1 내벽을 향하도록 배치된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내벽에는,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이미지센서모듈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도록 제1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상기 복수의 돌기는 각각 상기 경사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볼록한 곡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내벽에는,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이미지센서모듈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홈부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이 상기 홈부와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홈부는 상기 제1 차광판보다 상기 렌즈모듈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길이가 더 긴 측의 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제2 내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내벽에는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이미지센서모듈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도록 제2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경사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복수의 돌기는 각각,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경사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볼록한 곡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렌즈모듈을 통과한 광이 상기 이미지센서모듈에 수광될 수 있도록 상기 광을 통과시키는 윈도우를 구비하고,
    상기 윈도우의 내벽에는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상기 복수의 돌기는 각각 볼록한 곡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00109713A 2019-08-30 2020-08-28 카메라 모듈 KR102381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07762 2019-08-30
KR1020190107762 2019-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197A true KR20210027197A (ko) 2021-03-10
KR102381619B1 KR102381619B1 (ko) 2022-04-05

Family

ID=7467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713A KR102381619B1 (ko) 2019-08-30 2020-08-28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899225B2 (ko)
KR (1) KR102381619B1 (ko)
CN (2) CN112449092B (ko)
TW (2) TWI83810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263A (ko) * 2021-04-30 2022-11-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507722B1 (ko) * 2022-10-24 2023-03-08 자화전자(주)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619B1 (ko) * 2019-08-30 2022-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3681A (ja) * 2010-10-13 2012-05-31 Hoya Corp 撮像ユニット
JP2015015529A (ja) * 2013-07-03 2015-01-22 株式会社ニコン 撮像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2016148772A (ja) * 2015-02-12 2016-08-18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KR20190070231A (ko) * 2017-12-12 2019-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5207A (ja) 1994-05-30 1995-12-12 Olympus Optical Co Ltd 反射防止部材
US7092174B2 (en) * 2001-05-18 2006-08-15 Konica Corporation Image pickup lens,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image pickup lens
JP2004341194A (ja) * 2003-05-15 2004-12-02 Sekinosu Kk 投射レンズユニット
US7064909B2 (en) * 2004-08-26 2006-06-20 Prodisc Technology Inc. Image pickup lens assembly with a filter lens
JP4642646B2 (ja) 2005-12-12 2011-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TW200916870A (en) 2007-06-20 2009-04-16 Hitachi Maxell Lens module, camera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US8411192B2 (en) * 2007-11-15 2013-04-02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modul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image capturing module, and electronic information device
JP2010020181A (ja) 2008-07-11 2010-01-28 Sony Corp レンズ鏡筒
JP2011138047A (ja) 2009-12-28 2011-07-14 Olympus Imaging Corp 光路反射型のズームレンズを備えた撮像装置
US20120075518A1 (en) 2010-09-29 2012-03-29 Hoya Corporation Imaging unit
JP5660336B2 (ja) 2011-04-08 2015-01-28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鏡筒および撮影装置
CN102809795B (zh) 2011-04-08 2016-05-11 株式会社尼康 透镜镜筒、摄影装置及遮光罩
CN103718069B (zh) 2012-08-03 2016-05-04 旭硝子株式会社 滤光器
TWM481412U (zh) 2014-03-05 2014-07-01 Largan Precision Co Ltd 環形光學元件與鏡頭組
JP2016090791A (ja) 2014-11-04 2016-05-23 Hoya株式会社 屈曲撮像装置
KR20160064640A (ko) * 2014-11-28 2016-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570101B1 (ko) * 2015-12-04 202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473879B2 (en) 2016-08-01 2019-11-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101963279B1 (ko) 2016-08-01 2019-03-29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WM533229U (en) 2016-08-26 2016-12-01 Largan Precision Co Ltd Optical path folding element, imaging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20180032058A (ko) 2016-09-21 2018-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TWI600928B (zh) 2016-09-30 2017-10-01 光寶電子(廣州)有限公司 濾光片總成及具有該濾光片總成的相機模組
CN107995386B (zh) * 2016-10-26 2021-01-26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相机模块
CN206671645U (zh) * 2017-04-15 2017-11-24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一种成像镜头
KR102072811B1 (ko) 2017-06-16 2020-03-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0473880B2 (en) 2017-12-12 2019-11-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mera module, and lens assembly
US10996421B2 (en) 2017-12-12 2021-05-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TWI704404B (zh) 2019-05-15 2020-09-1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相機模組與電子裝置
KR102381619B1 (ko) * 2019-08-30 2022-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3681A (ja) * 2010-10-13 2012-05-31 Hoya Corp 撮像ユニット
JP2015015529A (ja) * 2013-07-03 2015-01-22 株式会社ニコン 撮像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2016148772A (ja) * 2015-02-12 2016-08-18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KR20190070231A (ko) * 2017-12-12 2019-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263A (ko) * 2021-04-30 2022-11-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747717B2 (en) 2021-04-30 2023-09-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102507722B1 (ko) * 2022-10-24 2023-03-08 자화전자(주)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99225B2 (en) 2024-02-13
KR102381619B1 (ko) 2022-04-05
CN212905859U (zh) 2021-04-06
US20240134091A1 (en) 2024-04-25
CN112449092A (zh) 2021-03-05
US20210063615A1 (en) 2021-03-04
CN112449092B (zh) 2022-05-13
TW202111415A (zh) 2021-03-16
TW202321737A (zh) 2023-06-01
TWI794641B (zh) 2023-03-01
TWI838101B (zh) 2024-04-01
US20240230963A9 (en) 2024-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5997B1 (ko) 촬상 광학계,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381619B1 (ko) 카메라 모듈
KR20210117124A (ko)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84109A (ko)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US12069359B2 (en) Reflection module including a holder and a reflective member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reflection module
KR102392164B1 (ko)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1747717B2 (en) Camera module
CN113433770B (zh) 相机模块和电子设备
KR102445654B1 (ko) 스페이서 또는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1268983B1 (ko) 경통 모듈
KR102426207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