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640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640A
KR20160064640A KR1020140168477A KR20140168477A KR20160064640A KR 20160064640 A KR20160064640 A KR 20160064640A KR 1020140168477 A KR1020140168477 A KR 1020140168477A KR 20140168477 A KR20140168477 A KR 20140168477A KR 20160064640 A KR20160064640 A KR 20160064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filter
shielding layer
housing
ligh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진
권순철
손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8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4640A/ko
Priority to US14/944,814 priority patent/US20160154154A1/en
Publication of KR20160064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1Lens caps as separate access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6Filter hol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에 고정되는 적외선 필터에 차폐층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차폐층의 중앙 영역과 모서리 영역의 너비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 이외의 영역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구적 공차 등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수광면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휴대용 PC 등과 같은 휴대 통신단말기는 최근 문자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상 데이터 전송까지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화상 데이터 전송이나 화상 채팅 등을 할 수 있기 위해서 최근에 휴대 통신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적층되어 구비되며, 이러한 렌즈를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에 집광되어 기기 내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은 렌즈를 통과하면서 굴절되므로, 렌즈를 통과한 빛이 이미지 센서에 직접 집광되지 않고 이미지 센서 주위의 전자부품에 도달하여 반사되거나 이미지 센서와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본딩 와이어에 반사된 이후에 이미지 센서에 입사될 수 있다.
또한, 렌즈를 통과한 광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 부품 등에 반사된 이후에 이미지 센서에 입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빛 번짐 등의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하여 화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 부품 등에 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렌즈를 통과한 광이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 이외의 영역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렌즈를 통과한 광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 부품에 반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구성 부품 간의 기구적 공차로 인하여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에 고정되는 적외선 필터에 차폐층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차폐층의 중앙 영역과 모서리 영역의 너비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 이외의 영역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구적 공차 등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수광면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통과한 광이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 이외의 영역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를 통과한 광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 부품에 반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구성 부품 간의 기구적 공차에 의하여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적외선 필터와 차폐층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도 1에서 볼 때 광축 방향은 렌즈 모듈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20), 하우징(30), 케이스(10), 적외선 필터(40), 이미지 센서(51), 인쇄회로기판(50) 및 차폐층(60)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 배럴(20)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렌즈의 중앙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광이 초점을 형성하기 위한 광축이 형성된다.
상기 렌즈는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 배럴(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20)은 하우징(30)과 결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 상기 렌즈 배럴(2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 배럴(20)은 오토 포커싱을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2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40)는 코일(미도시), 마그네트(미도시) 및 요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코일(미도시)은 인접하는 상기 마그네트(미도시)와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렌즈 배럴(2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일(미도시)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마그네트(미도시)와 상기 코일(미도시)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한 구동력이 발생하고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렌즈 배럴(2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렌즈 배럴(20)의 이송 수단이 보이스 코일 모터(VCM)를 포함하는 상기 액추에이터(미도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계적 구동 방식이나 압전 소자(Piezo)를 이용한 압전 구동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렌즈 배럴(20)을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초점조절 또는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하우징(3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30)과 결합하며, 카메라 모듈의 구동 중에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은 구동시에 전자파가 발생되고, 이와 같은 전자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에는 다른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쳐 통신 장애나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는 금속재질로 제공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50)에 구비되는 접지패드에 접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가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공될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면에 전도성 도료가 도포되어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도료로는 전도성 에폭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도성을 가진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고, 전도성 필름 또는 전도성 테이프를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면에 부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상기 이미지 센서(51)는 상기 렌즈 배럴(20)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보성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 : Complet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센서 또는 전하 결합 소자(CCD : Charge Coupled Device)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51)에는 이미지를 캡쳐하기 위한 수광면이 구비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51)에 의해 피사체의 이미지를 집광시켜 기기 내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시킬 수 있으며, 저장된 데이터는 기기 내의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하여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5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50)에 실장되며, 본딩 와이어(W)에 의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은 상기 하우징(3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30)에는 상기 적외선 필터(40)가 부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적외선 필터(40)는 상기 렌즈 배럴(20)과 상기 이미지 센서(51)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3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의 내부면에는 상기 광축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31)가 구비되고, 상기 적외선 필터(40)의 가장자리가 상기 돌출부(31)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필터(40)는 상기 렌즈 배럴(20) 내의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 중에서 적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은 상기 적외선 필터(40)를 통과하면서 적외선이 차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적외선이 상기 이미지 센서(5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폐층(60)은 상기 적외선 필터(4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층(6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상기 이미지 센서(51)의 상기 수광면으로만 입사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 중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51)의 상기 수광면 이외의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차폐층(60)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적외선 필터와 차폐층의 평면도이다.
카메라 모듈에 입사된 광은 상기 렌즈 배럴(20)에 구비되는 렌즈를 통과하여 상기 적외선 필터(40)를 거쳐 상기 이미지 센서(51)의 상기 수광면에 집광된다.
또한, 이미지 센서(51)에 집광된 광은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이미지를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렌즈를 통과한 광은 상기 하우징(30)의 내부면 등에 반사될 수 있고, 반사된 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51)의 상기 수광면에 도달될 수 있다.
또한, 렌즈를 통과한 광이 상기 하우징(30)의 내부면에 반사되지 않더라도 상기 이미지 센서(51) 주위의 전자 부품에 반사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이미지 센서(51)의 상기 수광면 외측에 솔더링된 본딩 와이어(W)에 반사될 우려도 있다.
광학 기계의 내부에서 광이 반사되거나 산란되는 경우에는 본래 관측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상에 포개어져 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즉, 광학 기계의 내부에서 반사되거나 산란되는 광에 의하여 빛 번짐 등과 같은 플레어(Flare) 현상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결국 화질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 부품 등에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차폐층(6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폐층(6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51)의 상기 수광면으로만 입사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센서(51)의 상기 수광면 이외의 영역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폐층(60)은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51)의 상기 수광면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차폐층(60)에는 광이 통과할 수 있는 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층(60)은 광을 차단하는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폐층(60)은 광 흡수층일 수 있으며, 검은색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51)의 상기 수광면으로 입사되는 광을 제외한 나머지 광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층(60)의 윈도우 크기를 적절히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51)의 상기 수광면으로 입사되도록 하고, 상기 수광면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층(60)은 상기 적외선 필터(4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폐층(60)은 상기 적외선 필터(4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둘러진 띠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폐층(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외선 필터(4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외선 필터(40)의 하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차폐층(60)이 상기 적외선 필터(40)의 어느 일면에만 구비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적외선 필터(40)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차폐층(60)은 상기 이미지 센서(51)의 상기 수광면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30)의 상기 돌출부(31)보다 상기 광축을 향하여 더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층(60)은 상기 이미지 센서(51)의 상기 수광면으로 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수광면의 크기 및 렌즈를 통과하면서 굴절되는 광을 고려하여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수광면의 크기 및 렌즈를 통과하면서 굴절되는 광을 고려하여 상기 차폐층(60)을 형성하더라도, 카메라 모듈의 구성 부품 간의 기구적 공차 등에 의하여 상기 수광면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가 차단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 센서(51)의 상기 수광면으로 입사되는 광 중에서 상기 수광면의 모서리 부분으로 입사되는 광이 차단됨으로써 그 부분의 이미지가 다른 부분의 이미지보다 어둡게 표현되거나, 그 부분의 이미지가 제대로 표현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층(60)을 형성할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의 구성 부품 간의 기구적 공차 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상기 차폐층(60)이 서로 다른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차폐층(60)은 상기 차폐층(60)의 중앙을 이루는 중앙 영역(61)과 상기 중앙 영역(61)의 외측으로 연장된 모서리 영역(6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차폐층(60)은 서로 다른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모서리 영역(63)의 너비(W2)가 중앙 영역(61)의 너비(W1)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층(60)의 모서리 영역(63)을 상기 차폐층(60)의 중앙 영역(61)보다 얇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센서(51)의 상기 수광면의 모서리 부분으로 입사되는 광이 차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층(60)의 모서리 영역(63)의 너비(W2)는 카메라 모듈의 구성 부품 간의 기구적 공차 및 렌즈로 구성된 광학계의 성능을 고려하여 적절히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수광면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수광면으로 입사되는 광이 방해받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외선 필터(40)를 이등분하도록 상기 적외선 필터(40)의 중심(C)을 지나는 선으로부터 상기 차폐층(60)의 중앙 영역(61)까지의 거리(D1)와 상기 차폐층(60)의 모서리 영역(63)까지의 거리(D2)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외선 필터(40)를 이등분하는 선으로부터 상기 차폐층(60)의 모서리 영역(63)까지의 거리(D2)가 상기 차폐층(60)의 중앙 영역(61)까지의 거리(D1)보다 더 멀 수 있다.
즉, 상기 차폐층(60)의 중앙은 다른 부분보다 상기 광축을 향하여 더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외선 필터(40)를 이등분하는 선으로부터 상기 차폐층(60)의 모서리 영역(63)까지의 거리(D2)와 상기 차폐층(60)의 중앙 영역(61)까지의 거리(D1)의 비(D2/D1)가 1보다 크고 2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즉, 1 < D2/D1 ≤ 2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필터(40)를 이등분하는 선으로부터 상기 차폐층(60)의 모서리 영역(63)까지의 거리(D2)와 상기 차폐층(60)의 중앙 영역(61)까지의 거리(D1)의 비(D2/D1)가 1과 같거나 1보다 작을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의 구성 부품 간의 기구적 공차 등에 의하여 상기 수광면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가 차단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필터(40)를 이등분하는 선으로부터 상기 차폐층(60)의 모서리 영역(63)까지의 거리(D2)와 상기 차폐층(60)의 중앙 영역(61)까지의 거리(D1)의 비(D2/D1)가 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광면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입사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51) 주위의 전자 부품이나 본딩 와이어(W) 등에 광이 반사됨으로써 플레어 현상이 유발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상기 적외선 필터(40)에 상기 차폐층(60)이 구비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51)의 상기 수광면으로만 입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51)의 상기 수광면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외선 필터(40)와 상기 하우징(30)은 접착제(미도시)를 매개로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미도시)로서 UV 접착제 또는 열경화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UV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적외선 필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차폐층(60)에 의하여 UV 경화를 위한 광도 차단될 수 있므로 경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UV 경화를 위한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층(60)은 상기 적외선 필터(40)의 외측단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적외선 필터(40)의 외측단과 상기 차폐층(60) 사이로 UV 경화를 위한 광이 통과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상기 적외선 필터(40)를 견고하게 상기 하우징(30)에 부착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통과한 광이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 이외의 영역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를 통과한 광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 부품에 반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구성 부품 간의 기구적 공차에 의하여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케이스
20: 렌즈 배럴
30: 하우징
31: 돌출부
40: 적외선 필터
50: 인쇄회로기판
51: 이미지 센서
60: 차폐층
61: 차폐층의 중앙 영역
63: 차폐층의 모서리 영역
W: 본딩 와이어
W1: 차폐층의 중앙 영역의 너비
W2: 차폐층의 모서리 영역의 너비
D1: 적외선 필터를 이등분하는 선으로부터 차폐층의 중앙 영역까지의 거리
D2: 적외선 필터를 이등분하는 선으로부터 차폐층의 모서리 영역까지의 거리

Claims (16)

  1.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렌즈 배럴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적외선 필터; 및
    상기 적외선 필터에 구비되는 차폐층;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층은 모서리 영역의 너비와 중앙 영역의 너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모서리 영역의 너비가 중앙 영역의 너비보다 얇은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상기 적외선 필터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상기 적외선 필터의 외측단과 이격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상기 적외선 필터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는 광축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적외선 필터의 가장자리가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는 카메라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상기 돌출부보다 상기 광축을 향하여 더 돌출되도록 연장된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필터를 이등분하는 선으로부터 상기 차폐층의 중앙 영역까지의 거리를 D1, 상기 적외선 필터를 이등분하는 선으로부터 상기 차폐층의 모서리 영역까지의 거리를 D2라 할 때,
    1 < D2/D1 ≤ 2를 만족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필터의 하측에 배치되고, 수광면을 갖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폐층은 상기 수광면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광 흡수층인 카메라 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검은색으로 제공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필터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접착되는 카메라 모듈.
  13.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렌즈 배럴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적외선 필터; 및
    상기 적외선 필터에 구비되는 차폐층;을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필터를 이등분하는 선으로부터 상기 차폐층의 중앙 영역까지의 거리와 상기 차폐층의 모서리 영역까지의 거리가 다르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필터를 이등분하는 선으로부터 상기 차폐층의 중앙 영역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차폐층의 모서리 영역까지의 거리가 더 먼 카메라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필터를 이등분하는 선으로부터 상기 차폐층의 중앙 영역까지의 거리를 D1, 상기 적외선 필터를 이등분하는 선으로부터 상기 차폐층의 모서리 영역까지의 거리를 D2라 할 때,
    1 < D2/D1 ≤ 2를 만족하는 카메라 모듈.
  16.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렌즈 배럴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적외선 필터; 및
    상기 적외선 필터에 구비되는 차폐층;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층은 중앙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광축을 향하여 더 돌출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40168477A 2014-11-28 2014-11-28 카메라 모듈 KR20160064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477A KR20160064640A (ko) 2014-11-28 2014-11-28 카메라 모듈
US14/944,814 US20160154154A1 (en) 2014-11-28 2015-11-18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477A KR20160064640A (ko) 2014-11-28 2014-11-28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640A true KR20160064640A (ko) 2016-06-08

Family

ID=5607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477A KR20160064640A (ko) 2014-11-28 2014-11-28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54154A1 (ko)
KR (1) KR201600646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263A (ko) * 2021-04-30 2022-11-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1668A1 (zh) * 2016-04-21 2017-10-26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基于一体封装工艺的摄像模组和阵列摄像模组
KR102635686B1 (ko) * 2016-12-13 202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485054B (zh) * 2017-09-28 2022-12-06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减少杂散光的摄像模组及其感光组件
TWI694300B (zh) * 2019-03-05 2020-05-21 英屬開曼群島商康而富控股股份有限公司 用於鏡頭模組內的濾光組件
US11899225B2 (en) * 2019-08-30 2024-02-1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139B1 (ko) * 2012-08-03 2014-11-28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263A (ko) * 2021-04-30 2022-11-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747717B2 (en) 2021-04-30 2023-09-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54154A1 (en)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4640A (ko) 카메라 모듈
US20140368723A1 (en)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9197802B2 (en) Camera module
KR101952853B1 (ko) 카메라 모듈
KR20130127780A (ko) 카메라 모듈
US20150222793A1 (en) Camera module
KR20150054494A (ko) 카메라 모듈
KR101630009B1 (ko) 카메라 모듈
JP2008148222A (ja) 固体撮像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101504030B1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60009866A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50006785A (ko) 카메라 모듈
CN106998414B (zh) 图像传感器模块及包括该图像传感器模块的相机模块
US9077880B2 (en) Image capturing module and image sensing unit thereof
KR20240038689A (ko) 카메라 모듈,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9148556B2 (en) Camera module configured to prevent introduction of foreign objects and to prevent irregularly reflected light from being introduced to image sensor
US9432558B2 (en) Image capturing module having a built-in dustproof structure
US9411136B2 (en) Image capturing module and optical auxiliary unit thereof
KR20150090715A (ko) 카메라 모듈
US9154670B1 (en) Image capturing module having a built-in topmost dustproof structure
KR101541580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US20150163386A1 (en) Camera module
CN113574853B (zh) 相机模块
US20160014307A1 (en) Image capturing module having a built-in flexible dustproof structure
KR20130062024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