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4109A -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 Google Patents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4109A
KR20230084109A KR1020230069219A KR20230069219A KR20230084109A KR 20230084109 A KR20230084109 A KR 20230084109A KR 1020230069219 A KR1020230069219 A KR 1020230069219A KR 20230069219 A KR20230069219 A KR 20230069219A KR 20230084109 A KR20230084109 A KR 20230084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ocking
light
blocking layer
reflective member
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9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소미
김진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69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4109A/ko
Publication of KR20230084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4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Lens Barrel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ransducers F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광이 반사되는 반사면; 및 상기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는 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광부는, 상기 입사면 또는 출사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Reflection member and Reflection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는 시장의 요구에 의해 두께가 줄어드는 추세에 있고,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도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의 요구와는 별도로 카메라 모듈의 성능 향상도 요구되고 있고,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에 자동 초점 조정 및 손떨림 보정 등의 기능이 부가되고 있어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즉, 카메라 모듈은 소형화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그 크기를 줄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이 아닌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렌즈 및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반사부재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더 긴 전장거리(Total Track Length)를 갖고 반사부재를 구비하는 등 종래의 카메라 모듈과는 다른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서 발생하지 않았던 플레어 현상으로 인해 이미지의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플레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광이 반사되는 반사면; 및 상기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는 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광부는, 상기 입사면 또는 출사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모듈은 입사면, 반사면 및 출사면을 구비하는 반사부재; 및 상기 반사부재가 장착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에 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광부는, 상기 입사면 또는 출사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은 플레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모듈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모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반사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차광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휴대용 전자기기(1)에 장착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1)는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0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은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X축 방향,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Front Surface)에서 후면(Rear Surface)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00)에 구비된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은 휴대용 전자기기(1)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0)이 자동 초점 조정(Auto Focusing, 이하 AF), 광학 줌(Optical Zoom, 이하 Zoom) 및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ing, 이하 OIS) 등의 기능을 구비하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가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1)의 박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AF, Zoom 및 OIS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AF, Zoom 및 OIS 기능 등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1000)은 다양한 부품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 비하여 카메라 모듈의 크기가 증가한다.
카메라 모듈(1000)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면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를 줄이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Zoom 기능을 위하여 복수의 렌즈 군을 포함하는데, 복수의 렌즈 군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렌즈 군의 수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렌즈 군의 수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어 Zoom 성능이 약해지게 된다.
또한, AF, Zoom 및 OIS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복수의 렌즈 군을 광축 방향 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 등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렌즈 군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렌즈군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도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X축 방향)에 수직하도록 배치되므로, AF, Zoom 및 OIS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되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1)를 박형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렌즈의 평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0)은 하우징(100), 반사모듈(300), 렌즈모듈(400), 이미지센서모듈(500) 및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반사모듈(300), 렌즈모듈(400) 및 이미지센서모듈(500) 중 적어도 하나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반사모듈(300), 렌즈모듈(400) 및 이미지센서모듈(500)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반사모듈(300), 렌즈모듈(400) 및 이미지센서모듈(5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다만, 이미지센서모듈(500)은 하우징(100)의 외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하우징(100)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하우징(100)에 반사모듈(300)이 수용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3의 실시예와는 달리 반사모듈(300)은 하우징(100)과 별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반사모듈(300)로부터 전달되는 광이 통과되도록 하우징(100)의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외부에 배치된 반사모듈(300)은 별도의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200)는 하우징(100)의 상부를 덮도록 하우징(100)과 결합된다. 케이스(200)는 광이 입사되도록 개구(210)를 구비한다. 케이스(200)의 개구(210)를 통해 입사된 광은 반사모듈(30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되어 렌즈모듈(400)로 입사된다.
반사모듈(300)은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하우징(100)의 내부로 입사된 광은 반사모듈(300)을 통해 렌즈모듈(400)을 향하도록 진행 방향이 바뀔 수 있다. 반사모듈(300)은 렌즈모듈(400)의 전방에 배치된다.
반사모듈(300)은 반사부재(310) 및 반사부재(310)가 장착된 홀더(330)를 포함한다.
반사부재(310)는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반사부재(310)는 광을 반사시키는 미러(Mirror) 또는 프리즘(Prism)일 수 있다.
렌즈모듈(400)은 반사부재(31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된 광이 통과되는 복수의 렌즈 및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배럴(410)을 포함한다.
도 3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렌즈 중 물체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L1, 이하 제1 렌즈라고 함)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미지센서모듈(500)은 센서하우징(510), 적외선 차단필터(530), 이미지센서(550) 및 인쇄회로기판(570)을 포함한다.
센서하우징(510)에는 적외선 차단필터(530)가 장착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필터(530)는 렌즈모듈(400)을 통과한 광 중에서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인쇄회로기판(570)은 센서하우징(510)과 결합되며, 인쇄회로기판(570)에는 이미지센서(550)가 구비된다.
렌즈모듈(400)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센서모듈(500, 예컨대 이미지센서(550))에 수광된다.
복수의 렌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비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렌즈(L1)는 광축 방향(Z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비원형이다. 한편, 복수의 렌즈가 모두 비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제1 렌즈(L1)는 광축(Z축)에 수직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광축(Z축) 및 제1 방향(X축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짧다.
예를 들어, 제1 렌즈(L1)는 장축(Major axis)과 단축(Minor axis)을 갖는다. 광축(Z축)을 지나면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제1 렌즈(L1)의 양 측면을 연결하는 선분이 단축이고, 광축(Z축)을 지나면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제1 렌즈(L1)의 양 측면을 연결하는 선분이 장축이다. 장축과 단축은 서로 수직하며, 장축의 길이는 단축의 길이보다 길다.
제1 렌즈(L1)는 광학부(10)와 플랜지부(30)를 포함한다.
광학부(10)는 제1 렌즈(L1)의 광학 성능이 발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예로,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이 광학부(10)를 통과하며 굴절될 수 있다.
광학부(10)는 굴절력을 갖고, 비구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부(30)는 제1 렌즈(L1)를 다른 구성, 일 예로, 렌즈배럴(410) 또는 다른 렌즈에 고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플랜지부(30)는 광학부(10)로부터 연장되며, 광학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광학부(10)는 비원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광학부(10)는 광축 방향(Z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비원형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광학부(10)는 광축(Z축)에 수직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광축(Z축) 및 제1 방향(X축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짧다.
광학부(10)는 제1 가장자리(11), 제2 가장자리(12), 제3 가장자리(13) 및 제4 가장자리(14)를 포함한다.
광축 방향(Z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는 각각 원호(arc) 형상을 갖는다.
제2 가장자리(12)는 제1 가장자리(11)의 반대측에 구비된다. 또한,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는 광축(Z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다.
제4 가장자리(14)는 제3 가장자리(13)의 반대측에 구비된다. 또한,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광축(Z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다.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각각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를 연결한다.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광축(Z축)을 기준으로 대칭이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광축 방향(Z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는 원호(arc) 형상을 포함하고,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대체로 직선 형상을 포함한다.
광학부(10)는 장축(a, Major axis)과 단축(b, Minor axis)을 갖는다. 광축(Z축)을 지나면서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선분이 단축(b)이고, 광축(Z축)을 지나면서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를 연결하며 단축(b)에 수직한 선분이 장축(a)이다. 장축(a)의 길이는 단축(b)의 길이보다 길다.
플랜지부(30)는 광학부(10)의 일부의 둘레를 따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플랜지부(30)는 적어도 일부가 렌즈배럴(410)의 내부면에 접촉된다.
플랜지부(30)는 제1 플랜지부(31) 및 제2 플랜지부(32)를 포함한다. 제1 플랜지부(31)는 광학부(10)의 제1 가장자리(11)에서 연장되며, 제2 플랜지부(32)는 광학부(10)의 제2 가장자리(12)에서 연장된다.
광학부(10)의 제1 가장자리(11)는 제1 플랜지부(31)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광학부(10)의 제2 가장자리(12)는 제2 플랜지부(32)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광학부(10)의 제3 가장자리(13)는 플랜지부(30)가 형성되지 않은 광학부(10)의 일 측면을 의미할 수 있고, 광학부(10)의 제4 가장자리(14)는 플랜지부(30)가 형성되지 않은 광학부(10)의 타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제1 렌즈(L1)는 제1 방향(X축 방향)을 향하는 측면들 중 하나가 하우징(100)의 바닥면(110)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방향(Y축 방향)을 향하는 측면들이 각각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렌즈(L1)는 제1 방향(X축 방향)을 향하는 측면들이 하우징(100)의 두께 방향(X축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방향(Y축 방향)을 향하는 측면들이 하우징(100)의 폭 방향(Y축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 렌즈(L1)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므로, 하우징(1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된 차광판(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차광판(600)은 렌즈모듈(400)과 이미지센서모듈(5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판(600)은 렌즈모듈(400)을 통과한 광이 이미지센서(550)에 입사될 수 있도록 광을 통과시키는 개구 형태의 윈도우(W)를 구비한다.
렌즈모듈(400)을 통과한 광이 하우징(100) 및/또는 케이스(200)의 내부면에 반사되어 불필요한 광이 이미지센서(550)에 입사될 수 있으므로, 렌즈모듈(400)과 이미지센서모듈(500) 사이에 차광판(600)을 배치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플레어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차광판(600)의 표면은 빛을 산란시킬 수 있도록 표면처리될 수 있다.
차광판(600)의 표면은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차광판(600)의 표면은 하우징(100)의 표면보다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차광판(600)의 표면은 부식처리되어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차광판(600)의 표면에는 불필요한 광을 차단하도록 광 흡수층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차광판(600)의 표면은 하우징(100)의 표면보다 반사율이 낮을 수 있다. 광 흡수층은 흑색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모듈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모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반사모듈(300)은 반사부재(310) 및 반사부재(310)가 장착된 홀더(330)를 포함한다.
반사부재(310)는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부재(310)는 프리즘(Prism)일 수 있으나, 미러(Mirror)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반사부재(310)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대각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일 수 있으며, 입사면(311), 반사면(312) 및 출사면(313)을 포함한다. 입사면(311)은 광이 반사부재(310)에 입사되는 면이고, 반사면(312)은 광이 반사되는 면이며, 출사면(313)은 광이 반사부재(310)로부터 이탈되는 면이다.
반사부재(310)는 사각형상의 3개 면과 삼각형상의 2개 면을 포함한다. 일 예로, 반사부재(310)의 입사면(311), 반사면(312) 및 출사면(313)은 각각 사각형상이고, 반사부재(310)의 양 측면(314, 315)은 대략 삼각형상이다.
입사면(311)과 출사면(313)이 연결되는 모서리는 예리한 형태이므로, 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충격에 의해 입사면(311)과 출사면(313)이 연결되는 모서리가 파손될 경우 의도하지 않은 광의 반사로 인하여 플레어 현상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충격 등에 의해 반사부재(3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사부재(310)의 입사면(311)과 출사면(313)이 연결되는 모서리에는 모따기부(316)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모따기부(316)는 입사면(311) 및 출사면(313)에 대해 기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모따기부(316)와 입사면(311) 사이의 각도 및 모따기부(316)와 출사면(313) 사이의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모따기부(316)에는 차광층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차광층은 모따기부(316)에 차광필름을 부착하거나 차광도료를 도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출사면(313)에는 차광부(317)가 구비될 수 있다. 차광부(317)는 서로 이격 배치된 제1 차광층(319) 및 제2 차광층(318)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부(317)에 대하여는 도 8 내지 도 16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홀더(330)는 반사부재(310)의 양 측면을 감싸는 제1 측벽(331)과 제2 측벽(332)을 구비한다. 제1 측벽(331)은 반사부재(310)의 일 측면(314)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제2 측벽(332)은 반사부재(310)의 타 측면(315)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또한, 홀더(330)는 반사부재(310)가 장착되는 장착면(333)을 구비한다. 장착면(333)은 제1 측벽(331)과 제2 측벽(332) 사이에 배치되며, 장착면(333)은 경사진 면일 수 있다.
일 예로, 장착면(333)은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에 대해 대략 45° 기울어진 경사면일 수 있다. 홀더(330)의 장착면(333)에는 반사부재(310)의 반사면(312)이 결합된다.
한편, 입사면(311)을 통과한 광은 반사면(312)에서 반사되어 출사면(313)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입사면(311)을 통과한 광이 반사면(312)이 아닌 다른 부분(일 예로, 반사부재(310)의 측면(314, 315))에서 반사될 경우 플레어 현상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반사면(312)에서 반사된 모든 광이 이미지 형성에 사용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반사면(312)에서 광이 반사되더라도 이미지 형성에 사용되지 않는 광은 플레어 현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홀더(330)가 반사부재(310)의 출사면(313) 중 일부를 가릴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광으로 인해 플레어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홀더(330)는 반사부재(310)의 출사면(313) 중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커버부(370)를 포함한다. 예컨대, 커버부(370)는 반사부재(310)의 출사면(313)의 양측 가장자리를 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370)는 제1 커버부(340) 및 제2 커버부(350)를 포함한다.
제1 커버부(340)는 제1 측벽(331)에서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일 예로, 제2 축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커버부(350)는 제2 측벽(332)에서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일 예로, 제2 축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제1 커버부(340)와 제2 커버부(350)는 서로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제1 커버부(340)와 제2 커버부(350)는 각각 반사부재(310)의 출사면(313) 중 일부를 커버한다. 제1 커버부(340)는 반사부재(310)의 출사면(313)의 일측 가장자리를 가리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커버부(350)는 반사부재(310)의 출사면(313)의 타측 가장자리를 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커버부(340)는 반사부재(310)의 출사면(313) 중 반사부재(310)의 일 측면(314)과 연결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커버부(350)는 반사부재(310)의 출사면(313) 중 반사부재(310)의 타 측면(315)과 연결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370)는 하우징(100)의 바닥면(110)을 향할수록(또는, 출사면(313)의 하부를 향할수록) 반사부재(310)의 출사면(313)을 가리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커버부(340)와 제2 커버부(350)는 각각 하우징(100)의 바닥면(110)을 향할수록 반사부재(310)의 출사면(313)을 가리는 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커버부(340)와 제2 커버부(350)는 서로 마주보는 면(341, 351)을 구비한다. 제1 커버부(340)와 제2 커버부(350)가 서로 마주보는 면(341, 351)은 각각 곡면을 포함한다.
제1 커버부(340)와 제2 커버부(350)가 서로 마주보는 면(341, 351)에는 광을 산란시킬 수 있도록 요철부가 마련되거나 차광층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요철부는 부식처리되어 거칠게 형성된 면일 수 있고, 차광층은 제1 커버부(340)와 제2 커버부(350)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차광필름을 부착하거나 차광도료를 도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부(340)와 제2 커버부(350)에 의해 불필요한 광이 차단될 수 있고, 제1 커버부(340)와 제2 커버부(350)가 서로 마주보는 면(341, 351)에 구비된 요철부에 의해 광을 산란시키거나, 차광층에 의해 불필요한 광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플레어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한편, 커버부(370)는 제3 커버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커버부(360)는 반사부재(310)의 출사면(313) 중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커버부(360)는 반사부재(310)의 출사면(313) 중 반사부재(310)의 반사면(312)과 연결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커버부(360)는 제1 커버부(340)와 제2 커버부(350)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홀더(330)의 장착면(333)의 끝단으로부터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일 예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커버부(360)는 복수의 돌기(361)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기(361)는 물결 무늬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게 배치될수 있다. 복수의 돌기(361)에는 광을 산란시킬 수 있도록 요철부가 마련되거나 차광층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요철부는 부식처리되어 거칠게 형성된 면일 수 있고, 차광층은 복수의 돌기(361)에 차광필름을 부착하거나 차광도료를 도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 커버부(360)에 의해 불필요한 광이 차단될 수 있고, 제3 커버부(360)의 복수의 돌기(361)에 의해 광을 산란시킬 수 있으므로, 플레어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반사부재(310)가 장착되는 홀더(330)에 차광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불필요한 광에 의한 플레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반사부재의 정면도이다.
반사부재(310)가 장착되는 홀더(330)에 차광구조를 형성하더라도, 반사부재(310)의 입사면(311)을 통과하는 광(예컨대, 입사면(311)의 가장자리를 통과하는 광) 또는 출사면(313)을 통과하는 광(예컨대, 출사면(313)의 가장자리를 통과하는 광)에 의해 플레어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반사부재(310)의 입사면(311) 및 출사면(313) 중 적어도 하나에는 차광부(317)가 구비된다. 차광부(317)는 입사면(311) 및 출사면(313)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를 가리도록 구성된다. 차광부(317)는 입사면(311) 및 출사면(313)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를 가릴 수 있다.
예컨대, 차광부(317)는 입사면(311)이 반사면(312)과 연결되는 부분, 입사면(311)이 출사면(313)과 연결되는 부분, 출사면(313)이 입사면(311)과 연결되는 부분 및 출사면(313)이 반사면(312)과 연결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차광부(317)가 반사부재(310)의 출사면(313)에 배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차광부(317)는 제1 차광층(319) 및 제2 차광층(31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차광부(317)가 제1 차광층(319) 및 제2 차광층(318)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제1 차광층(319)과 제2 차광층(318)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차광층(319)은 출사면(313) 중 입사면(311)과 인접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차광층(318)은 출사면(313) 중 반사면(312)과 인접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차광층(319)은 출사면(313)이 입사면(311)과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차광층(318)은 출사면(313)이 반사면(312)과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차광층(319)은 출사면(313)의 상부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차광층(318)은 출사면(313)의 하부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차광층(319) 및 제2 차광층(318)은 불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제1 차광층(319) 및 제2 차광층(318)은 검은색일 수 있다.
제1 차광층(319) 및 제2 차광층(318)은 출사면(313)에 차광필름을 부착하거나 차광도료를 도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출사면(313)을 통과하는 모든 광이 이미지 형성에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이미지 형성에 사용되지 않는 광에 의하여 플레어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출사면(313)에 차광부(317)를 구비함으로써 불필요한 광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차광부(317)를 통해 불필요한 광을 차단하더라도, 차광부(317)의 단부로부터 광이 반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플레어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광부(317)의 단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차광부(317)의 단부는 복수의 볼록부와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광층(319)과 제2 차광층(318)의 단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부는 제1 차광층(319)과 제2 차광층(318)이 서로 마주보는 측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차광층(319)과 제2 차광층(318) 사이의 거리는 출사면(313)의 가장자리(예컨대, 제2 축 방향(Y축 방향))를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차광층(319)과 제2 차광층(318) 사이의 거리는 출사면(313)의 가장자리를 따라 반복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출사면(313)은 직사각형 형태이므로, 제1 차광층(319)과 제2 차광층(318) 사이의 거리는 출사면(3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차광부(319) 및/또는 제2 차광부(318)의 단부로부터 광이 반사되더라도 반사된 광을 산란시킬 수 있으므로, 플레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차광층(319)에 대하여 설명하나, 제2 차광층(318)도 제1 차광층(319)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차광층(319)의 단부는 복수의 볼록부(319a)와 복수의 오목부(319b)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 차광층(319)의 단부는 볼록부(319a)와 오목부(319b)가 교대로 반복 배치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볼록부(319a)와 오목부(319b)는 각각 곡률을 갖는다. 예컨대, 볼록부(319a)는 볼록한 곡면을 갖고, 오목부(319b)는 오목한 곡면을 갖는다. 한편, 볼록부(319a)의 곡률과 오목부(319b)의 곡률은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볼록부(319a)의 곡률이 오목부(319b)의 곡률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차광층(319)의 단부는 물결 무늬 형상일 수 있다.
볼록부(319a)에서 반사된 광은 산란될 수 있다. 오목부(319b)에서 반사된 광은 임의의 한 점에 모일 수 있으나, 그 임의의 한 점을 통과하여 재차 산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차광층(319)의 단부로부터 광이 반사되더라도 반사된 광을 산란시킬 수 있으므로, 플레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는 차광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제1 차광층(319')의 단부는 복수의 볼록부(319a')와 복수의 오목부(319b')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 차광층(319')의 단부는 볼록부(319a')와 오목부(319b')가 교대로 반복 형성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볼록부(319a')는 각각 곡률을 갖는다. 예컨대, 복수의 볼록부(319a')는 각각 볼록한 곡면을 갖는다.
복수의 볼록부(319a')는 서로 접촉하며, 서로 인접한 볼록부(319a') 사이에는 접촉점이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2개의 볼록부(319a') 사이에 형성된 접촉점이 오목부(319b')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차광층(319'')의 단부는 복수의 볼록부(319a'')와 복수의 오목부(319b'')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 차광층(319'')의 단부는 볼록부(319a'')와 오목부(319b'')가 교대로 반복 형성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오목부(319b'')는 각각 곡률을 갖는다. 예컨대, 복수의 오목부(319b'')는 각각 오목한 곡면을 갖는다.
복수의 오목부(319b'')는 서로 접촉하며, 서로 인접한 오목부(319b'') 사이에는 접촉점이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2개의 오목부(319b'') 사이에 형성된 접촉점이 볼록부(319a'')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차광층(319''')의 단부는 곡면을 포함한다. 제1 차광층(319''')의 단부는 곡률을 갖는다. 예컨대, 제1 차광층(319''')의 단부는 오목한 곡면을 포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차광층(319'''')의 단부는 복수의 볼록부(319a'''')와 복수의 오목부(319b'''')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 차광층(319'''')의 단부는 볼록부(319a'''')와 오목부(319b'''')가 교대로 반복 형성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볼록부(319a'''')와 오목부(319b'''')는 각각 곡률을 갖는다. 예컨대, 복수의 볼록부(319a'''')는 각각 볼록한 곡면을 갖고, 복수의 오목부(319b'''')는 각각 오목한 곡면을 갖는다.
제1 차광층(319'''')의 단부는 물결 무늬 형상일 수 있다.
각 볼록부(319a'''')의 정점과 제1 차광층(319'''')의 끝단 사이의 거리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각 오목부(319b'''')의 정점과 제1 차광층(319'''')의 끝단 사이의 거리는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정점은 볼록부(319a'''')에서 가장 볼록한 부분을 의미하고, 오목부(319b'''')에서 가장 오목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차광층(319'''')의 끝단은 반사면(311)과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각 볼록부(319a'''', 또는 각 오목부(319b''''))의 정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오목한 곡선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차광층(319)과 제2 차광층(318)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차광층(319)은 도 8 내지 도 12의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차광층(318)은 도 8 내지 도 12의 실시예 중 다른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차광부(317)는 반사부재(310)의 출사면(313)의 상하좌우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광부(317)의 단부는 도 8 내지 도 12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차광부(317)는 반사부재(310)의 입사면(311)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부(317)는 입사면(311)의 일부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차광부(317)는 입사면(311)의 가장자리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광부(317)는 제1 차광층(319) 및 제2 차광층(31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차광부(317)가 제1 차광층(319) 및 제2 차광층(318)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제1 차광층(319)과 제2 차광층(318)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차광층(319)은 입사면(311) 중 반사면(312)과 인접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차광층(318)은 입사면(311) 중 출사면(313)과 인접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차광층(319)은 입사면(311)이 반사면(312)과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차광층(318)은 입사면(311)이 출사면(313)과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부(317)의 형상은 도 8 내지 도 14의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차광부(317)는 반사부재(310)의 입사면(311)과 출사면(313)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부(317)는 입사면(311) 및 출사면(313)의 일부를 가리도록 구성된다. 차광부(317)는 입사면(311) 및 출사면(313)의 가장자리를 가릴 수 있다.
예컨대, 차광부(317)는 입사면(311)이 반사면(312)과 연결되는 부분 및 입사면(311)이 출사면(313)과 연결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와, 출사면(313)이 입사면(311)과 연결되는 부분 및 출사면(313)이 반사면(312)과 연결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부(317)의 형상은 도 8 내지 도 14의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입사면(311)에 배치된 차광부(317)와 출사면(313)에 배치된 차광부(317)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휴대용 전자기기
100: 하우징
200: 케이스
300: 반사모듈
400: 렌즈모듈
500: 이미지센서모듈
1000: 카메라 모듈

Claims (15)

  1.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광이 반사되는 반사면; 및
    상기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는 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광부는, 상기 입사면 또는 출사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곡면을 포함하는, 반사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출사면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볼록부 및 상기 출사면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돌출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반사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상기 차광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 배치된, 반사부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곡면이거나 인접한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오목부의 접촉점인, 반사부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정점을 연결한 선 또는 상기 오목부의 정점을 연결한 선은 곡선인, 반사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입사면과 인접한 상기 출사면의 변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차광층; 및
    상기 반사면과 인접한 상기 출사면의 변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차광층; 중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사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층 및 상기 제2 차광층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반사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반사면과 인접한 상기 입사면의 변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차광층; 및
    상기 출사면과 인접한 상기 입사면의 변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차광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사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층 및 상기 제2 차광층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반사부재.
  10. 입사면, 반사면 및 출사면을 구비하는 반사부재; 및
    상기 반사부재가 장착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에 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광부는, 상기 입사면 또는 출사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곡면을 포함하는, 반사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출사면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볼록부 및 상기 출사면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돌출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입사면과 인접한 상기 출사면의 변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차광층; 및
    상기 반사면과 인접한 상기 출사면의 변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차광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차광부와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출사면의 양측 변을 가리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반사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반사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면;
    상기 반사부재의 일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 측벽; 및
    상기 반사부재의 타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으로부터 서로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곡면을 포함하는, 반사모듈.
KR1020230069219A 2020-09-16 2023-05-30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KR20230084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219A KR20230084109A (ko) 2020-09-16 2023-05-30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03A KR102539638B1 (ko) 2020-09-16 2020-09-16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KR1020230069219A KR20230084109A (ko) 2020-09-16 2023-05-30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203A Division KR102539638B1 (ko) 2020-09-16 2020-09-16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109A true KR20230084109A (ko) 2023-06-12

Family

ID=793938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203A KR102539638B1 (ko) 2020-09-16 2020-09-16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KR1020230069219A KR20230084109A (ko) 2020-09-16 2023-05-30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203A KR102539638B1 (ko) 2020-09-16 2020-09-16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53660B2 (ko)
KR (2) KR102539638B1 (ko)
CN (2) CN114265270A (ko)
TW (2) TWI8216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638B1 (ko) * 2020-09-16 2023-06-02 삼성전기주식회사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7240A (ja) * 1995-04-25 1996-11-12 Canon Inc 色分解光学系
JP3849849B2 (ja) * 2001-06-29 2006-11-22 オムロン株式会社 指紋照合装置およびそのプリズム
JP2007133096A (ja) * 2005-11-09 2007-05-31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光学系、撮像レンズ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US8018522B2 (en) 2006-02-10 2011-09-13 Panasonic Corporation Lens barrel, image pickup device, lens barrel inspecting method, and lens barrel manufacturing method
JP2007328190A (ja) * 2006-06-08 2007-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素子、光学素子の製造方法、撮像装置及び照明装置
DE102009028861B4 (de) * 2009-08-25 2015-03-05 Trimble Jena Gmbh Messvorrichtung mit verringertem Anteil an Störlicht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diese
CN102621698A (zh) * 2012-03-31 2012-08-01 福建网讯科技有限公司 改善投影画面附近杂散光的光学投影系统
JP2015017244A (ja) 2013-06-12 2015-01-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硬化膜、近赤外線カットフィルタ、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WO2015063810A1 (ja) 2013-10-28 2015-05-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導光プリズ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M533229U (en) 2016-08-26 2016-12-01 Largan Precision Co Ltd Optical path folding element, imaging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20180032058A (ko) 2016-09-21 2018-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101742501B1 (ko) * 2017-01-09 2017-06-02 주식회사 나무가 휴대폰 듀얼카메라
KR20190022522A (ko) * 2017-07-07 2019-03-06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미광을 방지하기 위한 접이식 카메라 프리즘 설계
TWI693462B (zh) 2018-02-07 2020-05-11 大陸商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光路轉折模組
US10890752B2 (en) 2018-02-07 2021-01-12 Sintai Optical (Shenzhen) Co., Ltd. Optical path turning module
US11363176B2 (en) * 2020-01-17 2022-06-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eflection module including a holder and a reflective member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reflection module
KR102539638B1 (ko) * 2020-09-16 2023-06-02 삼성전기주식회사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5181360U (zh) 2021-12-14
TW202229936A (zh) 2022-08-01
TW202405483A (zh) 2024-02-01
CN114265270A (zh) 2022-04-01
TWI821640B (zh) 2023-11-11
KR20220036688A (ko) 2022-03-23
KR102539638B1 (ko) 2023-06-02
US11953660B2 (en) 2024-04-09
US20220082735A1 (en)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205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381619B1 (ko) 카메라 모듈
KR102435997B1 (ko) 촬상 광학계,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415478B1 (ko)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84109A (ko)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KR20210027171A (ko)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KR102392164B1 (ko)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58508A (ko)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963279B1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613873B1 (ko) 카메라 모듈
KR20220161238A (ko)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CN113433770B (zh) 相机模块和电子设备
KR102426207B1 (ko) 카메라 모듈
KR20230073788A (ko) 카메라 모듈
CN118092052A (zh) 一种摄像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