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171A -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 Google Patents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171A
KR20210027171A KR1020200108988A KR20200108988A KR20210027171A KR 20210027171 A KR20210027171 A KR 20210027171A KR 1020200108988 A KR1020200108988 A KR 1020200108988A KR 20200108988 A KR20200108988 A KR 20200108988A KR 20210027171 A KR20210027171 A KR 20210027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light
incident
optical system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신
서솟음
박주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27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은 빛의 입사가 이루어지는 입사면; 빛의 출사가 이루어지는 출사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상기 출사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사면과 출사면의 연결부위는 모깍기되어 하나의 면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Prism for Optical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촬상 광학계의 광 경로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프리즘에 관한 것이다.
촬상 광학계는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과 같은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는 대체로 박형화된 구조이므로, 긴 초점거리를 갖는 촬상 광학계의 탑재가 용이하지 않다. 굴곡형 촬상 광학계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예를 들어, 굴곡형 촬상 광학계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다수의 렌즈를 휴대용 단말기의 길이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굴곡형 촬상 광학계가 구비되는 프리즘은 모서리 부분이 예각 형태로 형성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JP 1998-221511 A JP 1997-269405 A JP 2008-096766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충격에 의해 프리즘의 일부분 또는 전체가 파손되는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는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은 빛의 입사가 이루어지는 입사면; 빛의 출사가 이루어지는 출사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상기 출사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사면과 출사면의 연결부위는 모깍기되어 하나의 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외부 충격에 의해 프리즘의 일부분 또는 전체가 파손되는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프리즘의 제1변형 예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프리즘의 제2변형 예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프리즘의 제3변형 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굴곡형 촬상 광학계는 광 경로를 반사 또는 골곡시키기 위한 프리즘을 포함한다. 프리즘은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대각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이다. 프리즘의 모서리는 예리한 형태이므로 충격에 의해 파손되기 쉽다. 특히, 입사면과 반사면이 연결되는 모서리 및 출사면과 반사면이 연결되는 모서리는 매우 예리하므로 충격에 의해 파손되어 반사면을 통한 빛의 반사를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충격에 의해 프리즘이 파손되어 프리즘의 반사기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빛의 입사 및 출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에 차광부재를 형성하여 프리즘의 반사성능이 향상시킬 수 있다. 차광부재는 프리즘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차광부재는 프리즘의 전체 표면적에 대해 소정의 비율을 갖도록 프리즘의 일부 영역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광부재가 형성되는 면적은 프리즘의 전체 표면적 대비 15 ~ 22% 범위일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1)은 대체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대각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를 가진다. 프리즘(101)은 사각형상의 3개 면과 삼각형상의 2개 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리즘(101)의 입사면(110), 출사면(120), 반사면(130)은 사각형상이고, 프리즘(101)의 양 측면은 삼각형상이다.
프리즘(101)은 소정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101)은 제조 및 가공이 용이하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프리즘(101)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 가능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는 범위에서, 프리즘(101)을 유리 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1)은 소정의 공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101)은 가공품질을 신뢰할 수 있는 범위에서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프리즘(101)은 별도의 연마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프리즘(101)의 제조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프리즘(101)은 소정의 파면수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101)의 입사면(110) 및 출사면(120)은 1/2λ의 파면수차를 갖도록 형성되고, 프리즘(101)의 반사면(130)은 1/4λ의 파면수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리즘(101)은 광 변로를 굴곡시킴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수차를 경감시킬 수 잇다.
프리즘(101)은 복수의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리즘(101)의 입사면(110) 및 출사면(120)에는 반사방지층(210, 22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리즘(101)의 반사면(130)에는 반사방치층과 적외선차단층(23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프리즘(101)은 하나 이상의 모깍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사면(110)과 출사면(120)의 연결 부위는 모깍기(chamfer)되어 하나의 면(제1연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입사면(110)과 출사면(120)이 연결되는 제1연결면(112)은 입사면(110) 및 출사면(120)에 대해 소정의 제1각도(θ1)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1연결면(112)은 입사면(110) 또는 출사면(120)에 대해 둔각이 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각도(θ1)는 135도의 각도일 수 있다.
제1연결면(112)은 플레어 현상을 야기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부분(112)에는 차광필름이 부착되거나 또는 차광도료로 도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연결면(112)은 빛의 산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거칠기를 갖는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설명에서 전술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은 전술된 실시 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해당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2)은 대체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대각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를 가진다. 프리즘(102)은 사각형상의 3개 면과 삼각형상의 2개 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리즘(102)의 입사면(110), 출사면(120), 반사면(130)은 사각형상이고, 프리즘(102)의 양 측면은 삼각형상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2)은 복수의 모깍기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사면(110)과 반사면(130)의 연결부위는 모깍기되어 하나의 면(제2연결면)을 형성할 수 있고, 반사면(130)과 출사면(120)의 연결부위는 모깍기되어 또 다른 면(제3연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입사면(110)과 반사면(130)이 연결되는 제2연결면(131)과 반사면(130)과 출사면(120)이 연결되는 제3연결면(132)은 소정의 각도(θ2, θ3)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2연결면(131)과 제3연결면(1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30)에 대해 직각 또는 둔각이 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면(131, 132)과 입사면(110) 및 출사면(120)이 형성하는 제2각도(θ2)는 90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연결면(131, 132)과 경사면(130)이 형성하는 제3각도(θ3)는 135도일 수 있다.
제2연결면(131)과 제3연결면(132)은 플레어 현상을 야기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연결면(131)과 제3연결면(132)에는 차광필름이 부착되거나 또는 차광도료로 도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연결면(131)과 제3연결면(132)은 빛의 산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거칠기를 갖는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제3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3)은 대체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대각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를 가진다. 프리즘(103)은 사각형상의 3개 면과 삼각형상의 2개 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리즘(103)의 입사면(110), 출사면(120), 반사면(130)은 사각형상이고, 프리즘(103)의 양 측면은 삼각형상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3)은 복수의 모깍기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사면(110)과 제1측면(140)의 연결 부위는 모깍기되어 하나의 면(제4연결면)을 형성할 수 있고, 입사면(110)과 제2측면(140)의 연결 부위는 모깍기되어 또 다른 면(제5연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입사면(110)과 제1측면(140)이 연결되는 제4연결면(114)과 입사면(110)과 제2측면(150)이 연결되는 제5연결면(11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면(110)에 대해 둔각이 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제4연결면(114)과 제5연결면(115)은 플레어 현상을 야기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4연결면(114)과 제5연결면(115)에는 차광필름이 부착되거나 또는 차광도료로 도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4연결면(114)과 제5연결면(115)은 빛의 산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거칠기를 갖는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4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4)은 대체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대각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를 가진다. 프리즘(104)은 사각형상의 3개 면과 삼각형상의 2개 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리즘(104)의 입사면(110), 출사면(120), 반사면(130)은 사각형상이고, 프리즘(104)의 양 측면은 삼각형상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4)은 복수의 모깍기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출사면(120)과 제1측면(140)의 연결부위는 모깍기되어 하나의 면(제6연결면)을 형성하고, 출사면(120)과 제2측면(150)의 연결부위는 모깍기되어 또 다른 면(제7연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출사면(120)과 제1측면(140)이 연결되는 제6연결면(124)과 출사면(120)과 제2측면(150)이 연결되는 제7연결면(12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사면(120)에 대해 둔각이 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제6연결면(124)과 제7연결면(125)은 플레어 현상을 야기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6연결면(124)과 제7연결면(125)에는 차광필름이 부착되거나 또는 차광도료로 도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6연결면(124)과 제7연결면(125)은 빛의 산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거칠기를 갖는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제5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5)은 대체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대각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를 가진다. 프리즘(105)은 사각형상의 3개 면과 삼각형상의 2개 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리즘(105)의 입사면(110), 출사면(120), 반사면(130)은 사각형상이고, 프리즘(105)의 양 측면은 삼각형상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5)은 다수의 모깍기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사면(110)과 제1측면(140)의 연결부위, 입사면(110)과 제2측면(150)의 연결부위, 출사면(120)과 제1측면(140)의 연결부위, 출사면(120)과 제2측면(150)의 연결부위는 각각 모깍기될 수 있다. 입사면(110)과 제1측면(140)이 연결되는 제4연결면(114)과 입사면(110)과 제2측면(150)이 연결되는 제5연결면(115)은 입사면(110)에 대해 둔각이 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아울러, 출사면(120)과 제1측면(140)이 연결되는 제6연결면(124)과 출사면(120)과 제2측면(150)이 연결되는 제7연결면(125)은 출사면(120)에 대해 둔각이 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들(114, 115, 124, 125)은 플레어 현상을 야기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면들(114, 115, 124, 125)에는 차광필름이 부착되거나 또는 차광도료로 도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연결면들(114, 115, 124, 125)은 빛의 산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거칠기를 갖는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제6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6)은 대체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대각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를 가진다. 프리즘(106)은 사각형상의 3개 면과 삼각형상의 2개 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리즘(106)의 입사면(110), 출사면(120), 반사면(130)은 사각형상이고, 프리즘(106)의 양 측면은 삼각형상이다.
프리즘(106)은 하나 이상의 모깍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사면(110)과 출사면(120)의 연결부위는 모깍기되어 하나의 면(제1연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입사면(110)과 출사면(120)이 연결되는 제1연결면(11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면(110) 또는 출사면(120)에 대해 둔각이 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제1연결면(112)은 플레어 현상을 야기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연결면(112)에는 차광필름이 부착되거나 또는 차광도료로 도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연결면(112)은 빛의 산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거칠기를 갖는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6)은 측면을 통한 빛의 입사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리즘(106)의 제1측면(140)과 제2측면(150)에는 차광필름이 부착되거나 또는 차광도료로 도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리즘(106)의 제1측면(140)과 제2측면(150)은 빛의 산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거칠기를 갖는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제7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7)은 대체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대각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를 가진다. 프리즘(107)은 사각형상의 3개 면과 삼각형상의 2개 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리즘(107)의 입사면(110), 출사면(120), 반사면(130)은 사각형상이고, 프리즘(107)의 양 측면은 삼각형상이다.
프리즘(107)은 하나 이상의 모깍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사면(110)과 출사면(120)의 연결부위는 모깍기되어 하나의 면(제1연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입사면(110)과 출사면(120)이 연결되는 제1연결면(11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면(110) 또는 출사면(120)에 대해 둔각이 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제1연결면(112)은 플레어 현상을 야기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연결면(112)에는 차광필름이 부착되거나 또는 차광도료로 도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연결면(112)은 빛의 산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거칠기를 갖는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7)은 빛의 입사영역을 한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107)의 입사면(1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의 입사가 가능한 투광영역(10)과 빛의 입사를 차단할 수 있는 차광영역(12)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영역(10)은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의 단면 형상과 대체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광영역(10)은 촬상 광학계에서 물체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이하 제1렌즈라고 함)의 유효영역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렌즈의 유효영역이 원형이면, 투광영역(10)도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렌즈의 유효영역이 타원 또는 양끝 부분적으로 절개된 원형이면, 투광영역(10)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투광영역(10)의 형상이 제1렌즈의 유효영역의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투광영역(10)은 제1렌즈의 유효영역의 형상과 관계없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차광영역(12)은 입사면(110)에서 투광영역(10)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차광영역(12)은 차광필름, 차광도료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차광영역(12)은 사진촬영에 불필요한 빛이 입사면(110)을 통해 입사 또는 반사되는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제8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8)은 대체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대각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를 가진다. 프리즘(108)은 사각형상의 3개 면과 삼각형상의 2개 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리즘(108)의 입사면(110), 출사면(120), 반사면(130)은 사각형상이고, 프리즘(108)의 양 측면은 삼각형상이다.
프리즘(108)은 하나 이상의 모깍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사면(110)과 출사면(120)의 연결부위는 모깍기되어 하나의 면(제1연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입사면(110)과 출사면(120)이 연결되는 제1연결면(11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면(110) 또는 출사면(120)에 대해 둔각이 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제1연결면(112)은 플레어 현상을 야기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연결면(112)에는 차광필름이 부착되거나 또는 차광도료로 도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연결면(112)은 빛의 산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거칠기를 갖는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8)은 빛의 출사영역을 한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108)의 출사면(1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의 입사가 가능한 투광영역(20)과 빛의 입사를 차단할 수 있는 차광영역(22)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영역(20)은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의 단면 형상과 대체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광영역(20)은 촬상 광학계에서 물체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이하 제1렌즈라고 함)의 유효영역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렌즈의 유효영역이 원형이면, 투광영역(20)도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렌즈의 유효영역이 타원 또는 양끝 부분적으로 절개된 원형이면, 투광영역(20)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투광영역(20)의 형상이 제1렌즈의 유효영역의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투광영역(20)은 제1렌즈의 유효영역의 형상과 관계없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차광영역(22)은 출사면(120)에서 투광영역(20)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차광영역(22)은 차광필름, 차광도료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차광영역(22)은 사진촬영에 불필요한 빛이 출사면(120)을 통해 출사 또는 반사되는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12를 참조하여 제9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9)은 대체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대각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를 가진다. 프리즘(109)은 사각형상의 3개 면과 삼각형상의 2개 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리즘(109)의 입사면(110), 출사면(120), 반사면(130)은 사각형상이고, 프리즘(109)의 양 측면은 삼각형상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9)은 다수의 모깍기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사면(110)과 양 측면(140, 150)의 연결부위 및 출사면(120)과 양 측면(140, 150)의 연결부위는 모두 모깍기될 수 있다. 프리즘(109)의 모든 모서리 부분은 이웃한 면에 대해 둔각이 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사면(110)과 양 측면(140, 150) 및 출사면(120)을 연결하는 연결면(112, 141, 151)은 입사면(110)에 대해 둔각이 되도록 가공된다. 또한, 출사면(120)과 양 측면(140, 150)을 연결하는 부분(124, 125)은 출사면(120)에 대해 둔각이 되도록 가공된다. 또한, 반사면(130)과 입사면(110) 및 출사면(120)을 연결하는 연결면(131, 132)은 반사면(130)에 대해 둔각이 되도록 가공된다. 선택적으로, 반사면(130)과 양 측면(140, 150)을 연결하는 연결면(134, 135)도 반사면(130)에 대해 둔각이 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입사면(110), 출사면(120), 반사면(130)에 대해 둔각이 되도록 가공된 연결면들(112, 141, 151, 124, 125, 131, 132, 134, 135)은 플레어 현상을 야기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면들(112, 141, 151, 124, 125, 131, 132, 134, 135)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필름이 부착되거나 또는 차광도료로 도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결면들(112, 141, 151, 124, 125, 131, 132, 134, 135)은 빛의 산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거칠기를 갖는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9)은 측면을 통한 빛의 입사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리즘(109)의 제1측면(140)과 제2측면(150)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필름이 부착되거나 또는 차광도료로 도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리즘(106)의 제1측면(140)과 제2측면(150)은 빛의 산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거칠기를 갖는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109)은 빛의 출사영역을 한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109)의 입사면(110)과 출사면(12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의 입사가 가능한 투광영역(10, 20)과 빛의 입사를 차단할 수 있는 차광영역(12, 22)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영역(10, 20)은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의 단면 형상과 대체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광영역(10, 20)은 촬상 광학계에서 물체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이하 제1렌즈라고 함)의 유효영역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렌즈의 유효영역이 원형이면, 투광영역(10, 20)도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렌즈의 유효영역이 타원 또는 양끝 부분적으로 절개된 원형이면, 투광영역(10, 20)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투광영역(10, 20)의 형상이 제1렌즈의 유효영역의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투광영역(10, 20)은 제1렌즈의 유효영역의 형상과 관계없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입사면(110)의 투광영역(10)과 출사면(120)의 투광영역(20)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투광영역(20)은 제1투광영역(10)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투광영역(20)은 렌즈 측으로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프리즘 형태는 조리개의 구성을 생략시킬 수 있다.
차광영역(12, 22)은 입사면(110) 및 출사면(120)에서 투광영역(10, 20)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차광영역(12, 22)은 차광필름, 차광도료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차광영역(12, 22)은 사진촬영에 불필요한 빛이 입사면(110) 및 출사면(120)을 통해 입사, 출사, 또는 반사되는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2 프리즘
110 (프리즘의) 입사면
120 (프리즘의) 출사면
130 (프리즘의) 반사면
140, 150 (프리즘의) 측면

Claims (13)

  1. 빛의 입사가 이루어지는 입사면;
    빛의 출사가 이루어지는 출사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상기 출사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
    을 포함하고,
    상기 입사면과 출사면의 연결부위는 모깍기되어 하나의 면을 형성하는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과 상기 출사면이 연결되는 제1연결면은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과 각각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 또는 상기 출사면과 상기 반사면이 연결되는 제2연결면은 상기 반사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과 상기 출사면은 상기 반사면과 다른 파면수차를 갖도록 구성되는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과 상시 출사면의 파면수차는 상기 반사면의 반사수차보다 큰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과 상기 출사면에는 반사방지층이 형성되는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에는 반사방지층과 적외선차단층이 형성되는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면은 플레어 현상을 야기하지 않도록 차광도료로 도색되거나 또는 거칠기를 갖는 형태로 가공되는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은 빛의 입사가 가능한 제1투광영역과 빛의 입사를 차단하는 제1차광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은 빛의 입사가 가능한 제2투광영역과 빛의 입사를 차단하는 제2차광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투광영역은 상기 제1투광영역보다 작게 형성되는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제3연결면은 상기 입사면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제4연결면은 상기 출사면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KR1020200108988A 2019-08-30 2020-08-28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KR202100271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439 2019-08-30
KR20190107439 2019-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171A true KR20210027171A (ko) 2021-03-10

Family

ID=7467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988A KR20210027171A (ko) 2019-08-30 2020-08-28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063617A1 (ko)
KR (1) KR20210027171A (ko)
CN (2) CN112444897A (ko)
TW (2) TW2024054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411B1 (ko) 2022-04-27 2022-09-05 성진정밀 주식회사 폴디드 카메라용 또는 후방 카메라용 사출 프리즘 및 그 제조방법
US11785323B1 (en) 2022-05-27 2023-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module including refractive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efractive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741813U (zh) * 2020-03-12 2020-10-23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光学元件及使用其的投影装置
TWI808479B (zh) * 2021-07-16 2023-07-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透鏡組、光學裝置與電子裝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9405A (ja) 1996-03-29 1997-10-14 Fuji Photo Optical Co Ltd プリズム
JPH10221511A (ja) 1996-12-04 1998-08-21 Asahi Optical Co Ltd プリズム及びプリズムを用いた眼視光学系
JP2008096766A (ja) 2006-10-13 2008-04-24 Epson Toyocom Corp クロスダイクロイックプリズム及びプロジェ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56488B (en) * 2003-12-19 2006-06-11 Quarton Inc A polygon prism with beam-splitting projection function and the application device thereof
TWI243273B (en) * 2004-01-29 2005-11-11 Delta Electronics Inc Optical combiner module and digital light-processing projector using the same
US7589923B2 (en) * 2005-11-24 2009-09-15 Panasonic Corporation Prism, imag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prism manufacturing method
WO2007091684A1 (ja) * 2006-02-10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レンズ鏡筒、撮像装置、レンズ鏡筒の検査方法および製造方法
JP2007328191A (ja) * 2006-06-08 2007-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素子および光学装置
JP5558058B2 (ja) * 2008-09-19 2014-07-23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斜視用内視鏡
US8284815B2 (en) * 2008-10-21 2012-10-09 Cymer, Inc. Very high power laser chamber optical improvements
DE102009028861B4 (de) * 2009-08-25 2015-03-05 Trimble Jena Gmbh Messvorrichtung mit verringertem Anteil an Störlicht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diese
US9348091B2 (en) * 2013-12-20 2016-05-24 Finisar Corporation Multiplexer/demultiplexer based on diffraction and reflection
JPWO2018180269A1 (ja) * 2017-03-31 2020-02-06 Agc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2019040062A (ja) * 2017-08-25 2019-03-1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プリズム及び光モジュール
CN108540704B (zh) * 2018-06-15 2020-03-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组件与电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9405A (ja) 1996-03-29 1997-10-14 Fuji Photo Optical Co Ltd プリズム
JPH10221511A (ja) 1996-12-04 1998-08-21 Asahi Optical Co Ltd プリズム及びプリズムを用いた眼視光学系
JP2008096766A (ja) 2006-10-13 2008-04-24 Epson Toyocom Corp クロスダイクロイックプリズム及びプロジェ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411B1 (ko) 2022-04-27 2022-09-05 성진정밀 주식회사 폴디드 카메라용 또는 후방 카메라용 사출 프리즘 및 그 제조방법
US11785323B1 (en) 2022-05-27 2023-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module including refractive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efractive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4097847U (zh) 2021-08-31
TW202109090A (zh) 2021-03-01
TWI809307B (zh) 2023-07-21
US20210063617A1 (en) 2021-03-04
CN112444897A (zh) 2021-03-05
TW202405482A (zh)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7171A (ko)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KR101792344B1 (ko) 촬상 광학계
KR20230004415A (ko) 촬상 광학계
KR20220119587A (ko) 촬상 광학계,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381619B1 (ko) 카메라 모듈
KR20220136331A (ko) 렌즈 조립체
US20240210662A1 (en) Reflective member and reflection module including reflective member
KR20220161238A (ko)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KR102536605B1 (ko) 렌즈 및 촬상 광학계
KR102392164B1 (ko)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59976B1 (ko) 촬상 광학계
KR20220058508A (ko)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WI746139B (zh) 光學成像系統及可攜式電子裝置
KR102041688B1 (ko) 렌즈
US11243372B2 (en) Light-cancelling lens spacer and lens module using same
JP2018157503A (ja) 読取装置
KR20210044552A (ko)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CN215813685U (zh) 镜筒、镜头、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TWI840824B (zh) 光學成像系統
KR102426207B1 (ko) 카메라 모듈
KR20230040852A (ko) 촬상 광학계
CN112882322A (zh) 镜筒、镜头、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KR20220122383A (ko)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240077464A (ko) 촬상 광학계
JPH05232400A (ja) 結像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