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890B1 -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890B1
KR102662890B1 KR1020210192622A KR20210192622A KR102662890B1 KR 102662890 B1 KR102662890 B1 KR 102662890B1 KR 1020210192622 A KR1020210192622 A KR 1020210192622A KR 20210192622 A KR20210192622 A KR 20210192622A KR 102662890 B1 KR102662890 B1 KR 102662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nsor
substrate
disposed
modul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2462A (ko
Inventor
구원서
이성재
박영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2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890B1/ko
Priority to US17/970,852 priority patent/US20230217093A1/en
Priority to CN202223520722.9U priority patent/CN219246683U/zh
Priority to CN202211715493.8A priority patent/CN116387331A/zh
Publication of KR2023010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18Contai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 형태를 가지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장변에 대응되는 장변측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단변에 대응되는 단변측을 가지며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장변측에 배치되는 제1 측벽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단변측에 배치되는 제2 측벽을 가지는 서브 하우징 및 상기 서브 하우징과 상기 기판을 접합하는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장변측에 배치되는 상기 기판의 측면과 상기 접착제의 외부면은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Image sensor modul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로 모듈을 제작함에 있어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으로 COB(Chip On Board) 공법을 사용한다. COB 공정은 크게 레이저 커팅(Laser Cutting), D/A(Die Attach), W/B(Wire Bonding), H/A(Housing Attach)의 공정으로 구성된다.
한편, 최근 모바일용 카메라 모듈의 광학줌(Folded Zoom)을 부가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광학줌(Folded Zoom)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휴대폰의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한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 등의 조립 부품의 접합공간이 줄어들어 접합 강도가 약해지고, 내구성 또한 약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은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 형태를 가지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장변에 대응되는 장변측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단변에 대응되는 단변측을 가지며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장변측에 배치되는 제1 측벽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단변측에 배치되는 제2 측벽을 가지는 서브 하우징 및 상기 서브 하우징과 상기 기판을 접합하는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장변측에 배치되는 상기 기판의 측면과 상기 접착제의 외부면은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미지센서모듈을 Ⅰ-Ⅰ'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이미지센서모듈을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이미지센서모듈의 변형 실시예에 대한 도 3의 Ⅰ-Ⅰ'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이미지센서모듈의 변형 실시예에 대한 도 3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휴대용 전자기기(1)에 장착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1)는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100)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은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X축 방향,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Front Surface)에서 후면(Rear Surface)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0)에 구비된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은 휴대용 전자기기(1)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이 자동 초점 조정(Auto Focusing, 이하 AF), 광학 줌(Optical Zoom, 이하 Zoom) 및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ing, 이하 OIS) 등의 기능을 구비하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가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1)의 박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AF, Zoom 및 OIS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AF, Zoom 및 OIS 기능 등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100)은 다양한 부품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 비하여 카메라 모듈의 크기가 증가한다.
카메라 모듈(100)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면 카메라 모듈(100)이 장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를 줄이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Zoom 기능을 위하여 복수의 렌즈 군을 포함하는데, 복수의 렌즈 군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렌즈 군의 수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렌즈 군의 수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어 Zoom 성능이 약해지게 된다.
또한, AF, Zoom 및 OIS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복수의 렌즈 군을 광축 방향 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 등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렌즈 군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렌즈군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도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X축 방향)에 수직하도록 배치되므로, AF, Zoom 및 OIS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100)이 장착되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1)를 박형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하우징(120), 반사모듈(130), 렌즈모듈(140), 이미지센서모듈(200) 및 케이스(160)를 포함한다.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반사모듈(130), 렌즈모듈(140) 및 이미지센서모듈(200)이 배치된다. 하우징(120)은 반사모듈(130), 렌즈모듈(140) 및 이미지센서모듈(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다만, 이미지센서모듈(200)은 하우징(120)의 외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하우징(120)의 내부에 반사모듈(130), 렌즈모듈(140) 및 이미지센서모듈(200)이 배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는 달리 반사모듈(130)은 하우징(1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반사모듈(130)로부터 전달되는 광이 통과되도록 하우징(120)의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160)는 하우징(120)의 상부를 덮도록 하우징(120)과 결합된다. 케이스(160)는 광이 입사되도록 개구(162)를 구비한다. 케이스(160)의 개구(162)를 통해 입사된 광은 반사모듈(13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되어 렌즈모듈(140)로 입사된다.
반사모듈(130)은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하우징(120)의 내부로 입사된 광은 반사모듈(130)을 통해 렌즈모듈(140)을 향하도록 진행 방향이 바뀔 수 있다. 반사모듈(130)은 렌즈모듈(140)의 전방에 배치된다.
반사모듈(130)은 반사부재(132) 및 반사부재(132)가 장착된 홀더(134)를 포함한다.
반사부재(132)는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반사부재(132)는 광을 반사시키는 미러(Mirror) 또는 프리즘(Prism)일 수 있다.
렌즈모듈(140)은 반사부재(132)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된 광이 통과되는 복수의 렌즈 및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배럴(142)을 포함한다.
도 3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렌즈 중 물체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L1, 이하 제1 렌즈라고 함)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미지센서모듈(200)은 렌즈 모듈(140)의 후방에 배치되며 렌즈모듈(140)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센서모듈(200)에 수광된다.
도 4는 도 3의 이미지센서모듈을 Ⅰ-Ⅰ'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이미지센서모듈을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미지센서모듈(200)은 기판(210), 이미지 센서(220), 서브 하우징(230), 접착제(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판(210)은 주위보다 돌출되어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실장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실장부(212)는 이미지 센서(2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 실장부(212)가 구비되는 플레이트부(214, 도 3 참조)는 이미지 센서 실장부(212)보다 크기가 큰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기판(210)에 구비되는 플레이트부(214)의 네 측면 중 마주보는 두 측면에는 제조 공정 중 절단된 절단면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레이트부(214)의 네 변 중 길이가 긴 장변측에 배치되는 측면은 제조 공정 중 절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 도 3 참조)의 X축 방향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10)의 네 변 중 길이가 짧은 단변측에는 접착제(240)가 서브 하우징(230)으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되도록 더미부(21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20)는 이미지 센서 실장부(212)에 실장된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 실장부(212)가 주위보다 돌출되어 배치되므로 접착제(240)에 의한 이미지 센서(220)의 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미지 센서(220)는 일예로서,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미지 센서(220)는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센서(220)는 서브 하우징(230)의 내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서브 하우징(230)은 기판(210)에 접착제(240)를 매개로 접합 설치된다. 일예로서, 서브 하우징(230)에는 개구부(232)가 구비될 수 있으며, 렌즈모듈(140)을 통과한 광은 개구부(232)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220)에 수광된다. 한편, 서브 하우징(230)에는 적외선 차단필터(202)가 장착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핀터(202)는 렌즈모듈(140)을 통과한 광 중에서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서브 하우징(230)은 네 측벽(234)을 구비한다. 그리고, 서브 하우징(230)의 네 측벽(234) 중 마주보는 두 측벽인 제2 측벽(234a)은 이미지센서(220)의 단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브 하우징(230)의 나머지 두 측벽인 제1 측벽(234b)은 이미지센서(220)의 장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서브 하우징(230)의 네 측벽(234) 중 마주보는 두 측벽인 제2 측벽(234a) 사이의 거리는 서브 하우징(230)의 나머지 두 측벽인 제1 측벽(234b)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접착제(240)는 서브 하우징(230)과 기판(210)을 접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접착제(240)는 에폭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접착제(240)는 서브 하우징(230)의 네 측벽(234) 중 마주보는 두 측벽인 제2 측벽(234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서브 하우징(230)의 네 측벽(234) 중 나머지 두 측벽인 제1 측벽(234b)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기판(210)과 서브 하우징(230)의 접합을 위해 접착제(240)가 도포된다. 이때 접착제(240)는 서브 하우징(23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후, 서브 하우징(230)의 네 측벽(234) 중 길이가 긴 마주보는 두 측벽인 제1 측벽(234b)으로 돌출 배치되는 접착제(240)는 절단에 의해 제거되어 도 5와 같이 배치된다. 이때, 기판(210)도 접착제(240)와 함께 절단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서브 하우징(230)의 나머지 두 측벽인 제2 측벽(234a) 측에 배치되는 접착제(240)의 외부면(240)은 서브 하우징(230)의 나머지 두 측벽인 제2 측벽(234a)의 외부면 및 기판(210)의 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기판(210)의 장변측에 배치되는 서브 하우징(230)의 제1 측벽(234a)과, 기판(210)의 측면 및 접착제(240)의 외부면은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하우징(230)의 네 측벽(234) 중 길이가 짧은 마주보는 두 측벽인 제2 측벽(234a)으로 돌출 배치되는 접착제(240)는 절단되지 않고 서브 하우징(23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기판(210)의 장변 측, 다시 말해, 플레이트부(214)의 네 변 중 길이가 긴 장변측에 배치되는 측은 접착제(240)의 도포 후 절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 도 3 참조)의 X축 방향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접착제(240)와 기판(210)의 절단은 레이저에 의한 절단, 로우터에 의한 절단, 펀치에 의한 절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판(210)의 사이즈를 감소시켜 카메라 모듈(100)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이미지센서모듈의 변형 실시예에 대한 도 3의 Ⅰ-Ⅰ'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은 이미지센서모듈의 변형 실시예에 대한 도 3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미지센서모듈(400)은 기판(410), 이미지 센서(420), 서브 하우징(430), 접착제(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판(410)은 주위보다 돌출되어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실장부(4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실장부(412)는 이미지 센서(4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 실장부(412)가 구비되는 플레이트부(414)는 이미지 센서 실장부(412)보다 크기가 큰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기판(410)에는 플레이트부(414)의 네 측면 중 마주보는 두 측면에는 제조 공정 중 절단된 절단면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레이트부(414)의 네 변 중 길이가 긴 장변측에 배치되는 측면은 제조 공정 중 절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 도 3 참조)의 X축 방향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410)의 네 변 중 길이가 짧은 단변측에는 접착제(440)가 서브 하우징(430)으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되도록 더미부(41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20)는 이미지 센서 실장부(412)에 실장된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 실장부(412)가 주위보다 돌출되어 배치되므로 접착제(440)에 의한 이미지 센서(420)의 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미지 센서(420)는 일예로서,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미지 센서(420)는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센서(420)는 서브 하우징(430)의 내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센서(420)는 본딩 와이어(404)에 의해 기판(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딩 와이어(404)는 접착제(440)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서브 하우징(430)은 기판(410)에 접착제(440)를 매개로 접합 설치된다. 일예로서, 서브 하우징(430)에는 개구부(432)가 구비될 수 있으며, 렌즈모듈(440)을 통과한 광은 개구부(432)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420)에 수광된다. 한편, 서브 하우징(430)에는 적외선 차단필터(402)가 장착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핀터(402)는 렌즈모듈(140, 도 3 참조)을 통과한 광 중에서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서브 하우징(430)은 네 측벽(434)을 구비한다. 그리고, 서브 하우징(430)의 네 측벽(434) 중 마주보는 두 측벽인 제2 측벽(434a)은 이미지센서(420)의 단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브 하우징(430)의 나머지 두 측벽인 제1 측벽(434b)은 이미지센서(420)의 장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서브 하우징(430)의 네 측벽(434) 중 마주보는 두 측벽인 제2 측벽(434a) 사이의 거리는 서브 하우징(430)의 나머지 두 측벽인 제1 측벽(434b)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접착제(440)는 서브 하우징(430)과 기판(410)을 접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접착제(440)는 에폭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접착제(440)는 서브 하우징(430)의 네 측벽(434) 중 마주보는 두 측벽인 제2 측벽(434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서브 하우징(430)의 네 측벽(434) 중 나머지 두 측벽인 제1 측벽(434b)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기판(410)과 서브 하우징(430)의 접합을 위해 접착제(440)가 도포된다. 이때 접착제(440)는 서브 하우징(43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후, 서브 하우징(430)의 네 측벽(434) 중 길이가 긴 마주보는 두 측벽인 제1 측벽(434b)으로 돌출 배치되는 접착제(440)는 절단에 의해 제거되어 도 7과 같이 배치된다. 이때, 기판(410)도 접착제(440)와 함께 절단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서브 하우징(430)의 나머지 두 측벽인 제2 측벽(434a) 측에 배치되는 접착제(440)의 외부면(440)은 서브 하우징(430)의 나머지 두 측벽인 제2 측벽(434a)의 외부면 및 기판(410)의 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기판(410)의 장변측에 배치되는 서브 하우징(430)의 측벽인 제1 측벽(434b) 외부면과, 기판(410)의 측면 및 접착제(440)의 외부면은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하우징(430)의 네 측벽(434) 중 길이가 짧은 마주보는 두 측벽인 제2 측벽(434a)으로 돌출 배치되는 접착제(440)는 절단되지 않고 서브 하우징(43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기판(410)의 장변 측, 다시 말해, 플레이트부(414)의 네 변 중 길이가 긴 장변측에 배치되는 측은 접착제(440)의 도포 후 절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 도 3 참조)의 X축 방향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접착제(440)와 기판(410)의 절단은 레이저에 의한 절단, 로우터에 의한 절단, 펀칭에 의한 절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판(410)의 사이즈를 감소시켜 카메라 모듈(100)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카메라 모듈
120 : 하우징
130 : 반사모듈
140 : 렌즈모듈
160 : 케이스
200, 400 : 이미지센서모듈
210, 410 : 기판
220, 420 : 이미지 센서
230, 430 : 서브 하우징
240, 440 : 접착제

Claims (13)

  1.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 형태를 가지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장변에 대응되는 장변측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단변에 대응되는 단변측을 가지며,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장변측에 배치되는 제1 측벽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단변측에 배치되는 제2 측벽을 가지는 서브 하우징; 및
    상기 서브 하우징과 상기 기판을 접합하는 접착제;
    를 포함하고,
    상기 장변측에 배치되는 상기 기판의 측면과 상기 접착제의 외부면은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은 주위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 이미지 센서 실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 실장부에 실장되며, 상기 접착제는 상기 이미지 센서 실장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이미지센서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벽 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착제는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2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센서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측에 배치되는 상기 기판의 측면과 상기 접착제의 외부면은 절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센서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기판은 본딩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이미지센서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 와이어는 일부분이 상기 접착제에 매립되어 배치되는 이미지센서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측에 배치되는 상기 기판의 측면과 상기 접착제의 외부면은 절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센서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상기 접착제가 상기 제2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부분에 더미부가 구비되는 이미지센서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하우징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 상부에 배치되는 적외선 필터가 설치되는 이미지센서모듈.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주위보다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실장부를 구비하는 이미지센서모듈.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이미지 센서 실장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이미지센서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장변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측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기판의 단변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이미지센서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장변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장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단변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단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미지센서모듈.
  13. 제1항 내지 제8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센서 모듈;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에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로 입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렌즈 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는 반사모듈;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10192622A 2021-12-30 2021-12-30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KR102662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622A KR102662890B1 (ko) 2021-12-30 2021-12-30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US17/970,852 US20230217093A1 (en) 2021-12-30 2022-10-21 Image sensor modul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CN202223520722.9U CN219246683U (zh) 2021-12-30 2022-12-28 图像传感器模块及具有图像传感器模块的相机模块
CN202211715493.8A CN116387331A (zh) 2021-12-30 2022-12-28 图像传感器模块及具有图像传感器模块的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622A KR102662890B1 (ko) 2021-12-30 2021-12-30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462A KR20230102462A (ko) 2023-07-07
KR102662890B1 true KR102662890B1 (ko) 2024-05-09

Family

ID=8684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622A KR102662890B1 (ko) 2021-12-30 2021-12-30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17093A1 (ko)
KR (1) KR102662890B1 (ko)
CN (2) CN219246683U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150B1 (ko) * 2005-04-08 2006-12-1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
CN100546026C (zh) * 2007-04-29 2009-09-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影像摄取装置
KR101025520B1 (ko) * 2008-11-26 2011-04-04 삼성전기주식회사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TW201410011A (zh) * 2012-08-28 2014-03-01 Hon Hai Prec Ind Co Ltd 鏡頭模組
KR20210147215A (ko) * 2020-05-28 2021-12-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87331A (zh) 2023-07-04
KR20230102462A (ko) 2023-07-07
US20230217093A1 (en) 2023-07-06
CN219246683U (zh)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2493B (zh) 音圈馬達
EP1173009A1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portable telephone utilizing the same
TWI697724B (zh) 鏡頭模組及電子裝置
KR20180102945A (ko) 듀얼 카메라 모듈
KR102381619B1 (ko) 카메라 모듈
EP3581981B1 (en)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662890B1 (ko)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99424A (ko) 카메라 모듈
JP200814825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撮像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US20220279099A1 (en) Reflection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reflection module
KR20230084109A (ko)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JP200907163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483623B1 (ko) 카메라 모듈
CN213934506U (zh) 反射模块及包括反射模块的相机模块
CN110896435A (zh) 相机模组
KR102340537B1 (ko) 멀티 카메라 모듈
KR102516769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TWI700541B (zh) 鏡頭模組及電子裝置
JP2012185246A (ja) 撮像ユニット
JP2013029643A (ja) 撮像ユニット
US20180188469A1 (en) Lens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of lens module
KR102426207B1 (ko) 카메라 모듈
JP4921728B2 (ja) カメラのファインダ装置
KR20230099325A (ko) 카메라 모듈
WO2024109683A1 (zh) 一种摄像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