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945A - 듀얼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듀얼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945A
KR20180102945A KR1020170029722A KR20170029722A KR20180102945A KR 20180102945 A KR20180102945 A KR 20180102945A KR 1020170029722 A KR1020170029722 A KR 1020170029722A KR 20170029722 A KR20170029722 A KR 20170029722A KR 20180102945 A KR20180102945 A KR 20180102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s
shield bracket
circuit board
camera module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성
장진복
김장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9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2945A/ko
Publication of KR20180102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04N5/2258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 G03B19/07Roll-film cameras having more than one object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04N5/2252
    • H04N5/225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제1, 2 카메라모듈이 실장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을 덮도록 일체로 구비되는 실드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실드브라켓은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의 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앰보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앰보가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에 접촉되고, 상기 실드브라켓에서 상기 지지앰보가 구비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의 측면과 간격이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카메라 모듈{Dual camera module}
본 발명은 듀얼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에는 초점 조정을 위한 오토포커스(AF) 기능과 손떨림 보정을 위한 흔들림 보정 기능(OIS)이 구현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두 개의 렌즈 모듈이 장착된 듀얼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듀얼 카메라 모듈은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을 회로기판에 결합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서, 이들 듀얼 카메라 모듈을 일체로 덮어주는 별도의 커버부재가 구비되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 커버부재는 카메라 모듈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두께가 다소 두꺼워서 듀얼 카메라 모듈의 사이즈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듀얼 카메라 모듈의 사이즈 증대를 최소화 하면서도 카메라 모듈의 보호 기능이 우수한 커버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제1, 2 카메라모듈이 실장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을 덮도록 일체로 구비되는 실드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실드브라켓은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의 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앰보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앰보가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에 접촉되고, 상기 실드브라켓에서 상기 지지앰보가 구비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의 측면과 간격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듀얼 카메라 모듈의 사이즈 증대를 최소화하면서 카메라 모듈의 보호 기능이 우수한 커버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일부단면도이고,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실드브라켓의 다양한 실시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광학 기기로서,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굴절시키는 렌즈 및 초점을 조정하거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해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 장치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일부단면도이고,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실드브라켓의 다양한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100)은 실드브라켓(110), 제1,2 카메라모듈(121, 123) 및 회로기판(130)을 포함한다.
실드브라켓(110)에는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이 수용되고, 실드브라켓(110)은 제1, 2 이미지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2 카메라모듈(121, 123)에 대응하게 상부면에 실장되는 회로기판(130)의 상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실드브라켓(110)의 하단부는 회로기판(130)의 상면과 일정간격 이격하거나 접촉할 수 있다. 즉, 실드브라켓(110)은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의 측면에만 지지되는 구조로 구비되거나, 실드브라켓(110)은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의 측면과 회로기판(130)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실드브라켓(110)은 상부와 하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내부공간(113)을 구비하는 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내부공간(113)에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실드브라켓(110)은 내부공간(113)을 가로지르는 구획부재(115)가 구비될 수 있으며, 구획부재(115)에 의해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이 실장되는 공간이 각각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실드브라켓(110)의 오픈된 상부로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이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실드브라켓(110)의 오픈된 상부에는 투명한 재질의 창문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실드브라켓(110)의 오픈된 상부에는 개구부(117a)를 구비하는 커버부재(117)가 구비될 수 있다.
실드브라켓(110)은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이 수용되는 공간을 분할하는 구획부재(115)를 구비할 수 있는데, 구획부재(115)는 실드브라켓(110)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벽보다 하단부가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실드브라켓(110)의 외부벽이 회로기판(130)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구획부재(114)의 하단부와 회로기판(130)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여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회로기판(130)은 외부와 전원 또는 신호 연결해주는 단자부(135)가 구비된다. 회로기판(130)은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이 실장되는 부분을 모두 포함하여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100-1)을 참조하면, 회로기판은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이 실장되는 부분이 각각 분할되어 2개의 회로기판(131, 133)으로 구분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회로기판(130)은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이 실장되는 부분이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가 가능해야 하므로 각각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의 제어 및 전원연결을 위해 단자부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는 회로기판이 일체로 구비되는 경우(130)나 또는 회로기판이 별개로 나눠져 구비되는 경우(131, 133) 모두 동일하다.
한편, 회로기판(130)의 상부에는 제1, 2 이미지센서(미도시), 적어도 하나의 수동소자(미도시),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이 실장될 수 있다.
한편, 실드브라켓(110)은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의 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앰보(1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지지앰보(112)가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에 접촉될 수 있다. 실드브라켓(110)에서 지지앰보(112)가 구비되지 않은 부분은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의 측면과 간격(g)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듀얼 카메라 모듈(100)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실드브라켓(110)이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실드브라켓(110)은, 지지앰보(112)와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의 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제에 의해 본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실드브라켓(110)의 하단부는 회로기판(130)의 상부면과 간격이 구비되거나, 또는, 실드브라켓(110)의 하단부는 회로기판(130)의 상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실드브라켓(110)의 하단부가 회로기판(130)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경우에, 실드브라켓(110)과 회로기판(130)은 실드브라켓(110)의 하단부와 회로기판(130)의 상부면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되어 추가로 본딩 결합되거나, 납땜에 의해 추가로 상호 고정될 수 있다.
회로기판(130)의 테두리는 실드브라켓(110)의 하단부 내부 테두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실드브라켓(110)은 금속, 가령, 스테인레스(SUS), 알루미늄 등이나,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130) 및 이에 실장되는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의 배출을 고려한다면 금속재질, 가령, 스테인레스(SUS)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은 실드브라켓(110)의 내부공간(113)에 구비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 긴 통 형상의 실드브라켓(110)의 내부공간(113)의 양쪽에 각각 배치된다. 광이 입사되는 부분은 실드브라켓(110)의 상부에 오픈된 부분이며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의 광축은 상호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은 상호 광학특성이 다르게 구비될 수 있으며, 듀얼 카메라 모듈(100)의 좌우측으로 입사되는 물체의 형상을 시차를 두고 각각 개별적으로 이미지화한다. 그리고 제어부를 통해 개별 형성된 이미지를 합성하거나 참고하여 상호 보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더욱 다양한 이미지의 형성이 가능하다.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은 상호 다른 광학특성 - 렌즈 매수, 개별 렌즈의 광학 특성 등 기타 모든 렌즈 특성을 포함 - 을 가질 수 있으며, 가령, 선택적으로 망원렌즈, 광각렌즈, 접사렌즈 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는 각각 개별적으로 오토포커스(AF) 액추에이터와 손떨림 보정(OIS) 액추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은 각각 광학특성이 상이하므로 오토포커스(AF) 액추에이터는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동일한 손떨림에 대한 보정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손떨림 보정(OIS) 액추에이터는 공유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드브라켓(110)은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도 4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실드브라켓(110)은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의 측면을 감싸도록 사각 박스를 형성하는 측판(111)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가 수용되도록 내부공간(113)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측판(111)에는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과 접촉하는 지지앰보(112)가 구비될 수 있고, 내부공간(113)은 구획부재(115)에 의해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이 수용되는 공간이 개별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앰보(112)는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가 상호 마주보는 면을 제외한 측판(111)의 모든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면의 도시는 생략하지만 구획부재(115)에도 지지앰보(112)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실드브라켓(110-1)은 도 4의 (a)에 도시된 것(110)과 비교하여 상부커버(117)를 추가로 구비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부커버(117)에는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이 상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부(117a)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커버(117)는 측판(111)과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도의 부재가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실드브라켓(110-2)은 도 4의 (a)에 도시된 것(110)과 비교하여 측판(111)의 하부에 다리부재(118)를 구비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다리부재(118)는 사각 형상의 실드브라켓(110-2)의 코너 부분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다리부재(118)를 구비함으로써 다리부재(118)가 구비되지 않은 측판(111)의 하단부분은 회로기판(130)의 상부면과 이격된 공간이 구비될 수 있고, 해당 공간으로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이 회로기판(130)에 접착제에 의해 본딩되는 부분이나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의 단자부가 회로기판(130)에 납땜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드브라켓(110-2)이 장착된 상태에서 내부를 일부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실드브라켓을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에 조립하기 용이하고,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을 회로기판에 납땜한 부분과 실드브라켓 간의 접촉에 의한 쇼트를 방지할 수 있고, 실드브라켓과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 간의 결합력이 추가로 필요한 경우에 납땜한 부분을 회피하여 추가로 접착제에 의한 본딩 결합도 가능하다. 또한,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을 회로기판에 납땜한 부분과 실드브라켓 간의 접촉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납땜부와 실드브라켓 사이에 절연 접착제를 도포하여 절연 구조를 형성하기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실드브라켓(110-3)은 도 4의 (a)에 도시된 것(110)과 비교하여 상부커버(117)를 추가로 구비되고, 측판(111)의 하부에 다리부재(118)를 구비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즉, 도 4의 (b) 및 (c)의 구조를 모두 구비할 수 있다. 상세 구조는 도 4의 (b) 및 (c)에 개시된 구조와 모두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100-1)은 회로기판이 2개로 분할되어(131, 133), 각각의 회로기판에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이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2 카메라모듈(121, 123)은 도 4의 (b), (c), (d)에 도시된 실드브라켓(110-1, 110-2, 110-3)이 덮여질 수 있다. 도면의 도시에서는 도 4의 (4)에 해당하는 실드브라켓(110-3)이 덮여진 구조만 도시하나, 나머지 실드브라켓(110-3)도 동일한 방식으로 덮여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100-1 : 듀얼 카메라 모듈
110, 110-1, 110-2, 110-3 : 실드브라켓
121, 123 : 제1, 2 카메라모듈
130 : 회로기판

Claims (12)

  1. 제1, 2 카메라모듈이 실장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을 덮도록 일체로 구비되는 실드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실드브라켓은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의 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앰보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앰보가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에 접촉되고,
    상기 실드브라켓에서 상기 지지앰보가 구비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의 측면과 간격이 구비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앰보와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의 측면은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에 의해 고정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브라켓은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이 내삽되는 부분을 구획하는 구획부재를 구비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브라켓은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의 상부를 덮어주는 상부커버를 구비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브라켓은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고, 각 코너의 하단부에 상기 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되는 다리부재가 구비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브라켓의 하단부는 상기 회로기판과 간격이 구비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브라켓의 하단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접촉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브라켓의 하단부는 상기 회로기판과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이나 납땜에 의해 고정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이 실장되는 부분을 모두 포함하여 일체로 구비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이 실장되는 부분이 각각 분할되어 2개의 회로기판으로 구비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카메라모듈이 실장되는 각각의 회로기판은 단자부가 별도로 구비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브라켓은 금속재질로 구비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KR1020170029722A 2017-03-08 2017-03-08 듀얼 카메라 모듈 KR20180102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722A KR20180102945A (ko) 2017-03-08 2017-03-08 듀얼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722A KR20180102945A (ko) 2017-03-08 2017-03-08 듀얼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945A true KR20180102945A (ko) 2018-09-18

Family

ID=6371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722A KR20180102945A (ko) 2017-03-08 2017-03-08 듀얼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294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632A1 (ko) * 2019-01-22 2020-07-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20171498A1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조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10983A (ko) 2019-03-18 2020-09-28 (주)파트론 멀티 카메라 장치
KR20200111530A (ko) 2019-03-19 2020-09-29 (주)파트론 멀티 카메라 장치의 제작 방법
WO2021043005A1 (zh) * 2019-09-06 2021-03-11 华为技术有限公司 摄像模组及电子设备
WO2023106574A1 (ko) * 2021-12-10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632A1 (ko) * 2019-01-22 2020-07-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3366384A (zh) * 2019-01-22 2021-09-07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块
US11575820B2 (en) 2019-01-22 2023-02-07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CN113366384B (zh) * 2019-01-22 2023-12-22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块
WO2020171498A1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조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10983A (ko) 2019-03-18 2020-09-28 (주)파트론 멀티 카메라 장치
KR20200111530A (ko) 2019-03-19 2020-09-29 (주)파트론 멀티 카메라 장치의 제작 방법
WO2021043005A1 (zh) * 2019-09-06 2021-03-11 华为技术有限公司 摄像模组及电子设备
WO2023106574A1 (ko) * 2021-12-10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2945A (ko) 듀얼 카메라 모듈
US20230010221A1 (en) Lens moving apparatus
CN105527776B (zh) 透镜移动装置
US8861946B2 (en) Device for driving camera lens module in portable terminal
US7744296B2 (en) Camera module having colloid layer surrounding sensor
CN110879454A (zh) 摄像头模组、潜望式摄像头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US9964775B2 (en) Lens moving apparatus
CN116567379A (zh) 双相机模块及光学装置
KR101472675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KR102569642B1 (ko)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24128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N213338283U (zh) 潜望式摄像头模组、摄像头组件及手机
CN111308643A (zh) 摄像头模组、潜望式摄像头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CN111433669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及光学装置
KR102580308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80023172A (ko) 듀얼 카메라 모듈
CN211149032U (zh) 摄像头模组
KR20210134263A (ko)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KR20180033959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11310403B2 (en) Camera module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KR20180092362A (ko)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US8520136B2 (en) Small industrial electronic imaging camera
KR102516769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KR20220106547A (ko) 카메라 모듈
KR102444963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