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983A - 멀티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983A
KR20200110983A KR1020190030619A KR20190030619A KR20200110983A KR 20200110983 A KR20200110983 A KR 20200110983A KR 1020190030619 A KR1020190030619 A KR 1020190030619A KR 20190030619 A KR20190030619 A KR 20190030619A KR 20200110983 A KR20200110983 A KR 20200110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upled
base substrate
camera module
camer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5084B1 (ko
Inventor
김광화
박필수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9003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084B1/ko
Publication of KR2020011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2
    • H04N5/225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는,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제1 안착부에 결합되는 제1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2 안착부에 결합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은 상기 베이스 기판과 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은 상기 베이스 기판과 결합 수지재에 의해 결합된다.

Description

멀티 카메라 장치{Apparatus of multi camera}
본 발명은 멀티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베이스 기판에 장착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전자 장치 및 자동차 등에도 카메라 장치가 탑재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장치는 사진 및 동영상의 촬영뿐만 아니라 사물 인식, 생체 인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더욱 최근에는 보다 높은 광학적인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카메라를 같은 방향을 바라보도록 탑재하는 멀티 카메라 장치도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카메라 장치는 경우에 따라서 보다 고품질의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고, 보다 높은 정확도의 사물 인식 및 거리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멀티 카메라 장치에서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광축이 평행하게 맞춰질 필요가 있다. 만약,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광축이 어긋나게 되면 각각의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의 편집이나 가공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멀티 카메라 장치에서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평행하게 맞출 수 있는 구조 및 방법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02945호 (2018.09.1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81981호 (2018.07.18)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평행하게 맞출 수 있는 멀티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구체적으로 비교적 간소한 공정과 단일 카메라 장치를 위해 설계된 장비를 이용해서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평행하게 맞출 수 있는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는,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제1 안착부에 결합되는 제1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2 안착부에 결합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은 상기 베이스 기판과 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은 상기 베이스 기판과 결합 수지재에 의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결합된 제1 센서, 상기 제1 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센서를 둘러싸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 광학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에는 나사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착부에는 나사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1 안착부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광학계를 고정시키고, 수지재로 형성되는 제1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의 수광면은 상기 베이스 기판에 대해 0°보다 크고 3°보다 작은 제1 틸트각 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광학계의 광축은 상기 제1 센서의 수광면에 직교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1 기판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기판에는 중심으로부터 상기 일측의 반대측에 상기 제1 하우징에 의해 덮이지 않는 개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제1 기판보다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은,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결합된 제2 센서, 상기 제2 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센서를 둘러싸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광학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2 안착부와 결합 수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광학계를 고정시키고, 수지재로 형성되는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의 수광면은 상기 베이스 기판에 대해 0°보다 크고 3°보다 작은 제2 틸트각 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광학계의 광축은 상기 제2 센서의 수광면에 직교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베이스 기판에 대해 0°보다 크고 3°보다 작은 제3 틸트각 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제2 기판보다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광축은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광축과 평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광축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광축은 상기 베이스 기판에 대해 동일한 틸트각 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틸트각은 90°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지재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특징을 가지는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제2 안착부의 주변에 형성되어, 외부까지 연장되는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제2 안착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복수의 차폐부로 구분되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개구 및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안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평행하게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장치는 비교적 간소한 공정과 단일 카메라 장치를 위해 설계된 장비를 이용해서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평행하게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장치의 제1 카메라 모듈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 장치는 베이스 기판(300)에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결합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베이스 기판(300)에 2개의 카메라 모듈(100, 200)이 장착된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이 2개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 장치는, 베이스 기판(300), 제1 카메라 모듈(100) 및 제2 카메라 모듈(200)을 포함한다.
제1 카메라 모듈(100) 및 제2 카메라 모듈(200)은 베이스 기판(300)에 서로 이웃하게 같은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00)은 베이스 기판(300)과 나사(310)에 의해 결합되고, 제2 카메라 모듈(200)은 베이스 기판(300)에 결합수지재(320)에 의해 결합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1과 함께 도 2를 추가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장치의 단면도이다.
먼저, 베이스 기판(300)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300)은 직사각형태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300)은 전체적으로 뒤틀리거나 휘어지지 않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베이스 기판(300)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기판(300)은 후술할 제1 카메라 모듈(100)의 제1 기판(110)과 제2 카메라 모듈(200)의 제2 기판(210)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기판(300)은 PCB 재질보다 강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기판(300)은 후술할 제1 카메라 모듈(100)의 제1 기판(110)과 제2 카메라 모듈(200)의 제2 기판(210)보다 평탄도가 높을 수 있고, 그 평탄도가 다양한 조건에서 보다 잘 유지될 수 있다.
판 형태의 베이스 기판(300)에는 카메라 모듈의 개수에 대응되는 안착부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기판(300)에는 2개의 안착부(301, 302)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01, 302)는 개구(301a, 302a)와 안착면(301b, 302b)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301a, 302a)는 베이스 기판(300)을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관통한다. 안착면(301b, 302b)은 개구(301a, 302a)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안착부(301)는 제1 개구(301a)와 제1 안착면(301b)을 포함하고, 제2 안착부(302)는 제2 개구(302a)와 제2 안착면(302b)을 포함한다. 안착면(301b, 302b)은 베이스 기판(300)의 상면에서 홈 형태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면(301b, 302b)은 베이스 기판(300)의 가장 두꺼운 부분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00)과 제2 카메라 모듈(200)은 각각 기판, 센서, 하우징, 광학계 및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제1 카메라 모듈(100)이 제1 기판(110), 제1 센서(120), 제1 하우징(130), 제1 광학계(140) 및 제1 고정부(150)를 포함하고, 제2 카메라 모듈(200)이 제2 기판(210), 제2 센서(220), 제2 하우징(230), 제2 광학계(240) 및 제2 고정부(2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기판(110, 210)은 카메라 모듈(100, 200)의 바닥면을 이루는 부분이다. 기판(110, 210)의 상면에는 센서(120, 220)가 결합된다.
센서(120, 220)는 외부에서 입사된 광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하우징(130, 230)은 기판(110, 210)에 결합되고, 센서(120, 2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30, 230)은 센서(120, 2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하우징(130, 230)은 차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계(140, 240)는 렌즈(141, 241) 및 경통(142, 242)을 포함한다. 렌즈(141, 241)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경통(142, 242)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광학계(140, 240)는 하우징(130, 230)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센서(120, 242)가 감지하는 광은 외부에서 광학계(140, 240)를 통과하여 입사하게 된다. 광학계(140, 240)는 통과시키는 광이 진행하는 광축을 가지게 된다. 광학계(140, 240)의 광축은 센서의 수광면에 직교하도록 하우징(130, 230)에 결합된다.
고정부(150, 250)는 하우징(130, 230)과 광학계(140, 240)를 고정시킨다. 고정부(150, 250)는 자외선 조사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특징을 가지는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50, 250)는 광학계(140, 240)의 광축이 센서(120, 220)에 대해 수직 정렬된 상태에서 경화되어 광학계(140, 24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하에서는, 광학계(140, 240)의 광축이 센서(120, 220)의 수광면에 직교하여 수직 정렬이 바르게 된 상태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제1 카메라 모듈(100)은 정렬된 제1 광축(A1)을 가지고, 제2 카메라 모듈(200)은 정렬된 제2 광축(A2)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광축(A1) 및 제2 광축(A2)은 실존하는 축선이 아니라 각각의 카메라 모듈(100, 200)의 내부를 관통하는 가상의 축선이다.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 장치에서 제1 광축(A1)과 제2 광축(A2)은 서로 평행하다. 본 명세서에서 제1 광축(A1)과 제2 광축(A2)이 서로 평행하다는 것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용인되는 오차 범위를 감안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광축(A1)과 제2 광축(A2)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용인되는 오차 범위 이내의 미세한 정도로 어긋나 있는 것도 보호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봐야 할 것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광축(A1)과 제2 광축(A2)은 서로 평행하고, 제1 광축(A1)과 제2 광축(A2)은 베이스 기판(300)에 대해 동일한 틸트각 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베이스 기판(300)이 전체적으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용인되는 오차 범위를 감안하여 실질적으로 평탄한 것을 감안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여기서 틸트각은 90°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광축(A1)과 제2 광축(A2)은 베이스 기판(300)에 대해 완벽하게 직교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구체적으로, 틸트각은 87°보다는 크고 90°보다는 작을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추가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 장치의 베이스 기판(300)과 제1 카메라 모듈(100)이 결합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하여 제1 카메라 모듈(1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장치의 제1 카메라 모듈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기판(110)의 상면에 센서(120)가 결합된다. 센서(120)는 기판(110)과 평행한 것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결합 공정 상 일정 정도 이상의 기울기가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센서(120)가 기판(110)에 대해 기울어진 경우라 하더라도 이는 3°보다 작은 것이 일반적이다.
도 2에서는 예시적인 구성으로, 제1 카메라 모듈(100)의 제1 센서(120)가 제1 기판(11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제1 카메라 모듈(100)에서, 제1 센서(120)는 제1 기판(110)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130)도 제1 기판(110)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기판(110)에는 중심으로부터 상기 일측의 반대측에 상기 제1 하우징(130)에 의해 덮이지 않는 개방면(112)이 형성되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광축(A1)과 제2 광축(A2)을 서로 평행하게 맞추기 위해서, 제1 센서(120)와 제1 기판(110)의 상대적인 기울기 각도(틸트각)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기판(110)은 상술한 개방면(112)을 기준점으로 하여 제1 센서(120)와의 틸트각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1 센서(120)와 제1기판의 상대적인 틸트각을 측정하는 것은 제1 광학계(140)가 제1 하우징(130)에 삽입 결합되기 이전에 수행되어야 한다.
각 구성들이 조립된 제1 카메라 모듈(100)은 베이스 기판(300)에 결합되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카메라 모듈(100)은 베이스 기판(300)의 제1 안착부(301)에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제1 카메라 모듈(100)은 제1 기판(110)이 제1 개구(301a)를 덮으면서, 제1 기판(110)의 하면이 제1 안착면(301b)과 맞닿도록 위치하게 된다.
제1 기판(110)의 귀퉁이 부분에는 나사 결합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안착면(301b)의 귀퉁이 부분에는 나사 결합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10)이 제1 안착면(301b)에 안착되면, 나사 결합구(111)와 나사 결합홈(311)이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나사(310)가 나사 결합구(111)와 나사 결합홈(311)에 삽입 결합되며 베이스 기판(300)과 제1 카메라 모듈(100)을 결합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카메라 모듈(100)이 베이스 기판(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광축(A1)은 베이스 기판(300)에 수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여러 요인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먼저,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센서(120)가 제1 기판(110)에 대해 평행하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제1 기판(110)이 베이스 기판(300)과 평행하지 않게 결합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제1 카메라 모듈(100)의 광축은 베이스 기판(300)에 대해 정확히 수직하지 않고, 소정의 틸트각 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과 함께 도 7을 추가로 참고하여,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 장치의 베이스 기판(300)과 제2 카메라 모듈(200)이 결합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300)에 대해서 제1 광축(A1)이 소정의 틸트각 만큼 기울어지게 제1 카메라 모듈(100)이 결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광축(A1)과 제2 광축(A2)이 서로 평행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기판(300)이 평탄하다는 전제 하에 제2 광축(A2)도 동일한 틸트각 만큼 기울어지게 베이스 기판(300)에 결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2 카메라 모듈(200)은 베이스 기판(300)과 제1 카메라 모듈(100)과는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카메라 모듈(200)은 나사 결합이 아닌 결합수지재(32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300)에 제2 카메라 모듈(200)을 결합하기 전에 베이스 기판(300)의 제2 안착면(302b)에 점성 있는 유체 상태의 결합 수지재(320)를 도포한다. 그 상태에서 제2 카메라 모듈(200)을 베이스 기판(300)에 안착시키고, 제2 광축(A2)이 제1 광축(A1)과 평행하게 되도록 제2 카메라 모듈(20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제2 광축(A2)이 제1 광축(A1)과 평행하게 된 상태에서 결합 수지재(320)를 경하시켜 제2 카메라 모듈(200)을 베이스 기판(300)에 대해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결합 수지재(320)는 처음에는 점성 있는 유체 상태였다가 자외선 조사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성질을 가지는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수지재(320)는 1차적으로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고, 이후 열에 의해 경화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수지재(320)는 UV 경화 에폭시일 수 있다.
베이스 기판(300)은 결합 수지재(32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기 위해서 제2 안착부(302) 주변에 개방부(323)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안착면(302b)에서 외부까지 연장되어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323)는 제2 안착면(302b)에서 베이스 기판(300)의 측면까지 수평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개방부(323)는 복수의 차폐부(324)로 구분되는 복수의 개방부(323)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개방부(323)와 복수의 차폐부(324)는 서로 번갈아 가면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300)에서 제2 안착부 주변은 적어도 일부(325, 326)는 완전히 막혀 있고, 다른 일부에는 개방부(32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자외선은 개방부(323)를 통해 결합 수지재(320)에 조사되어 결합 수지재(320)를 경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멀티 카메라 장치는 제1 카메라 모듈(100)의 제1 광축(A1)과 제2 카메라 모듈(200)의 제2 광축(A2)을 평행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멀티 카메라 장치의 촬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멀티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경우 보다 정확하게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멀티 카메라 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1 카메라 모듈
110: 제1 기판
111: 나사 결합구
120: 제1 센서
130: 제1 하우징
140: 제1 광학계
141: 제1 렌즈
142: 제1 경통
150: 제1 고정부
200: 제2 카메라 모듈
210: 제2 기판
220: 제2 센서
230: 제2 하우징
240: 제2 광학계
241: 제2 렌즈
242: 제2 경통
250: 제2 고정부
300: 베이스 기판
301: 제1 개구
302: 제2 개구
310: 나사
311: 나사 결합홈
312: 제1 안착면
320: 결합 수지재
322: 제2 안착면
323: 개방부
324: 차폐부

Claims (19)

  1.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제1 안착부에 결합되는 제1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2 안착부에 결합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은 상기 베이스 기판과 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은 상기 베이스 기판과 결합 수지재에 의해 결합되는 멀티 카메라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결합된 제1 센서;
    상기 제1 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센서를 둘러싸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 광학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에는 나사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착부에는 나사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1 안착부가 나사 결합되는 멀티 카메라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광학계를 고정시키고, 수지재로 형성되는 제1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카메라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의 수광면은 상기 베이스 기판에 대해 0°보다 크고 3°보다 작은 제1 틸트각 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광학계의 광축은 상기 제1 센서의 수광면에 직교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는 멀티 카메라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1 기판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기판에는 중심으로부터 상기 일측의 반대측에 상기 제1 하우징에 의해 덮이지 않는 개방면이 형성되는 멀티 카메라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제1 기판보다 두꺼운 멀티 카메라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은,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결합된 제2 센서;
    상기 제2 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센서를 둘러싸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광학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2 안착부와 결합 수지재에 의해 결합되는 멀티 카메라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광학계를 고정시키고, 수지재로 형성되는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카메라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의 수광면은 상기 베이스 기판에 대해 0°보다 크고 3°보다 작은 제2 틸트각 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광학계의 광축은 상기 제2 센서의 수광면에 직교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는 멀티 카메라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베이스 기판에 대해 0°보다 크고 3°보다 작은 제3 틸트각 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멀티 카메라 장치.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제2 기판보다 두꺼운 멀티 카메라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광축은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광축과 평행한 멀티 카메라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광축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광축은 상기 베이스 기판에 대해 동일한 틸트각 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틸트각은 90°보다 작은 멀티 카메라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지재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특징을 가지는 수지재로 형성되는 멀티 카메라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멀티 카메라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제2 안착부의 주변에 형성되어, 외부까지 연장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멀티 카메라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제2 안착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멀티 카메라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복수의 차폐부로 구분되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멀티 카메라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개구 및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멀티 카메라 장치.
KR1020190030619A 2019-03-18 2019-03-18 멀티 카메라 장치 KR102195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619A KR102195084B1 (ko) 2019-03-18 2019-03-18 멀티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619A KR102195084B1 (ko) 2019-03-18 2019-03-18 멀티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983A true KR20200110983A (ko) 2020-09-28
KR102195084B1 KR102195084B1 (ko) 2020-12-24

Family

ID=7280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619A KR102195084B1 (ko) 2019-03-18 2019-03-18 멀티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0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143A1 (ko) * 2022-10-04 2024-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6756A (ja) * 2008-02-06 2009-08-20 Hitachi Maxell Ltd レンズ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20130036441A (ko) * 2011-10-04 2013-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영상 카메라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160126539A (ko) * 2015-04-24 2016-11-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KR20170057058A (ko) * 2015-11-16 2017-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046925A (ko) * 2018-04-03 2018-05-09 주식회사 퓨런티어 듀얼 카메라 모듈, 이의 제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81981A (ko) 2017-01-09 2018-07-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102945A (ko) 2017-03-08 2018-09-18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6756A (ja) * 2008-02-06 2009-08-20 Hitachi Maxell Ltd レンズ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20130036441A (ko) * 2011-10-04 2013-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영상 카메라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160126539A (ko) * 2015-04-24 2016-11-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KR20170057058A (ko) * 2015-11-16 2017-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081981A (ko) 2017-01-09 2018-07-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102945A (ko) 2017-03-08 2018-09-18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KR20180046925A (ko) * 2018-04-03 2018-05-09 주식회사 퓨런티어 듀얼 카메라 모듈, 이의 제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143A1 (ko) * 2022-10-04 2024-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084B1 (ko)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8307B2 (en) Dual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827106B2 (en) Camera module
WO2018126565A1 (zh) 一种镜头结构及其制作方法、摄像头
KR102172637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CN109496311A (zh) 屏下生物特征识别装置和电子设备
KR102523058B1 (ko) 다중 그룹 렌즈, 카메라 모듈과 그 조립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1455124B1 (ko) 촬상 센서 패키지를 구비한 촬상장치
KR20150092867A (ko) 카메라 모듈
WO2017143696A1 (zh) 测距模组、三维扫描系统以及测距方法
US11328150B2 (en) Lens-array imager
KR102195084B1 (ko) 멀티 카메라 장치
KR20220143797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20170052385A1 (en) Lens focusing method and optical module
US20210018818A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102209611B1 (ko) 멀티 카메라 장치의 제작 방법
US7845058B2 (en) Method for assembling camera module
CN114428381B (zh) 镜头模块中的镜头元件与图像传感器的对准
US9516302B1 (en) Automated focusing of a camera module in production
US11733474B2 (en)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60125688A (ko) 홍채인식용 카메라 모듈
KR102640851B1 (ko) 카메라 모듈 및 렌즈 정렬 방법
KR102618929B1 (ko)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
JP2014140229A (ja) 撮像装置
JP2011153965A (ja) 測距装置、測距用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及び測距用モジュールの製作方法
CN111164405A (zh) 检查装置和检查方法以及程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