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637B1 - 듀얼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듀얼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637B1
KR102172637B1 KR1020180093063A KR20180093063A KR102172637B1 KR 102172637 B1 KR102172637 B1 KR 102172637B1 KR 1020180093063 A KR1020180093063 A KR 1020180093063A KR 20180093063 A KR20180093063 A KR 20180093063A KR 102172637 B1 KR102172637 B1 KR 102172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lens
housing
dual camera
imag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657A (ko
Inventor
박원기
김종우
박종용
황석조
심익찬
정대현
안병기
김대욱
최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6/364,349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48307B2/en
Priority to CN201920736289.1U priority patent/CN209710198U/zh
Priority to CN201910424559.XA priority patent/CN110557530B/zh
Publication of KR20190137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 G03B19/07Roll-film cameras having more than one objectiv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04N5/225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하나의 하우징; 상기 복수의 렌즈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중에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되는 렌즈 모듈에 대응되는 인쇄회로기판은, 나머지 인쇄회로기판보다 상기 광축 방향으로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카메라 모듈{Dual camera module}
본 발명은 듀얼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두 개의 렌즈 모듈이 장착된 듀얼 카메라가 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듀얼 카메라는 두 개의 독립된 카메라 모듈을 단순히 병렬적으로 집합시킨 형태로만 설계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후 변형 등에 취약하여 보강재를 통한 추가적인 보강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두 개의 독립된 카메라 모듈을 단순히 병렬적으로 집합시킨 형태이므로, 조립 과정에서 각 카메라 모듈의 광축이 틀어질 염려가 있으며, 듀얼 카메라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는데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복수의 렌즈 모듈을 채용하면서도 크기를 줄이고, 복수의 렌즈 모듈의 광축을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듀얼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하나의 하우징; 상기 복수의 렌즈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중에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되는 렌즈 모듈에 대응되는 인쇄회로기판은, 나머지 인쇄회로기판보다 상기 광축 방향으로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제1 렌즈 모듈 및 제2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하나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부착되는 제1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제2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모듈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렌즈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며,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모듈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위치는 상기 제2 이미지 센서 모듈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 모듈을 채용하면서도 크기를 줄이고, 복수의 렌즈 모듈의 광축을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ㄷ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 모듈의 광축을 정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듀얼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 모듈(210, 230), 복수의 렌즈 모듈(210, 230)을 수용하는 하나의 하우징(100) 및 복수의 렌즈 모듈(210, 230)을 통해 입사된 광을 각각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복수의 렌즈 모듈(210, 230)은 두 개 이상의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렌즈 모듈(제1 렌즈 모듈(210) 및 제2 렌즈 모듈(230))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렌즈 모듈의 개수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은 각각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각각의 렌즈 배럴은 대체로 원통 형상일 수 있고, 피사체를 촬상하는 복수의 렌즈가 광축을 따라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 중 적어도 하나는, 광축 방향 및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은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 중 어느 하나의 화각이 상대적으로 넓게 구성(광각 렌즈)되고, 나머지 하나의 화각이 상대적으로 좁게 구성(망원 렌즈)될 수 있다.
이처럼 두 개의 렌즈 모듈의 화각을 서로 다르게 설계함으로써, 피사체의 이미지를 다양한 심도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피사체에 대한 두 개의 이미지를 이용(일 예로, 합성)하여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밝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저조도 환경에서도 피사체의 이미지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줌 기능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 모듈(210)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제2 렌즈 모듈(230)을 수용하는 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제1 렌즈 모듈(210)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제2 렌즈 모듈(230)을 수용하는 하우징이 별개의 하우징이 아닌 하나의 하우징(100, 이하 하우징이라 함)으로 제공된다.
하우징(100)은 베이스(110) 및 베이스(110)와 결합하는 케이스(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두 개의 수용 공간을 구비한다.
베이스(110)에는 두 개의 광 경로 윈도우가 구비된다. 따라서, 두 개의 광 경로 윈도우를 통해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통과한 광이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311, 331)에 수광될 수 있다.
케이스(130)는 베이스(110)와 결합하며, 듀얼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하우징(100)에는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단차부(120)가 형성된다. 단차부(120)는 베이스(110) 및 케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렌즈 모듈(210, 230)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의 이미지 센서 모듈이 제공된다. 복수의 이미지 센서 모듈은 제1 렌즈 모듈(210)을 통과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이미지 센서 모듈(310) 및 제2 렌즈 모듈(230)을 통과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2 이미지 센서 모듈(330)을 포함한다.
제1 이미지 센서 모듈(310)과 제2 이미지 센서 모듈(330)은 각각 하우징(100)에 부착된다.
제1 이미지 센서 모듈(310)은 베이스(110)에 부착되는 제1 인쇄회로기판(313) 및 제1 인쇄회로기판(313)에 연결되는 제1 이미지 센서(311)를 포함한다.
제2 이미지 센서 모듈(330)은 베이스(110)에 부착되는 제2 인쇄회로기판(333) 및 제2 인쇄회로기판(333)에 연결되는 제2 이미지 센서(331)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 모듈(310, 330)은 각각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각 렌즈 모듈(210, 230)을 통해 입사된 광 중에서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311, 331)는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일 예로,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311, 331)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 중 적어도 하나는 초점 조정을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 모듈(210)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초점 조정이 가능한 렌즈 모듈일 수 있고, 제2 렌즈 모듈(230)은 하우징(100)에 고정된 고정 초점 렌즈 모듈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에는 제1 액추에이터(400)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400)는 마그네트(410)와 코일(430)을 포함한다. 마그네트(410)는 하우징(100)에 구비될 수 있고, 코일(430)을 제1 렌즈 모듈(210)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마그네트(410)는 서로 마주보도록 2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2개의 마그네트(410)는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코일(430)은 제1 렌즈 모듈(210)의 렌즈 배럴의 외부면에 권선된 권선 코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410)와 코일(430)은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코일(430)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그네트(410)와 코일(430)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제1 렌즈 모듈(21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 모듈(210)을 지지하도록 탄성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 부재는 제1 렌즈 모듈(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탄성 부재(510)와 제1 렌즈 모듈(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탄성 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렌즈 모듈(210)은 탄성 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제1 액추에이터(400)의 구동력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 중 적어도 하나는 흔들림 보정을 위해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에는 제2 액추에이터(미도시)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는 복수의 마그네트와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며, 복수의 코일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복수의 마그네트와 복수의 코일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액츄에이터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초점을 조정할 수 있고,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해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촬영 시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이다.
하우징(100)은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두 개의 수용 공간을 구비한다.
본 발명과는 달리, 두 개의 독립된 카메라를 단순히 결합시킨 형태의 듀얼 카메라 모듈의 경우에는 두 개의 독립된 카메라를 구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Bracket)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듀얼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별도의 브라켓이 필요치 않으며, 두 개의 수용 공간을 구비한 하우징(100) 내에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을 배치함으로써 듀얼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외부 충격 등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듀얼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데,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듀얼 카메라 모듈의 복수의 렌즈 모듈에 빛이 입사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미도시)이 마련된다.
듀얼 카메라 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렌즈 모듈은 각각 화각과 전장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장 길이는 피사체 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로부터 이미지 센서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렌즈 모듈의 화각과 전장 길이가 상이한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복수의 관통공의 크기는 대응되는 렌즈 모듈의 화각과 전장 길이에 따라 달라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의 화각과 전장 길이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듀얼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복수의 관통공의 크기를 다르게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듀얼 카메라 모듈을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함에 있어서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단차부(120)가 형성된다.
단차부(120)는 제1 렌즈 모듈(210)이 장착되는 하우징(100)의 하부(일 예로, 베이스(110)의 하부)와 제2 렌즈 모듈(230)이 장착되는 하우징(100)의 하부(일 예로, 베이스(110)의 하부) 사이에 높이 차가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단차부(120)가 하우징(100)의 상부(일 예로, 케이스(13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경우, 단차부(120)는 제1 렌즈 모듈(210)이 장착되는 하우징(100)의 상부(일 예로, 케이스(130)의 상부)와 제2 렌즈 모듈(230)이 장착되는 하우징(100)의 상부(일 예로, 케이스(130)의 상부) 사이에 높이 차가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는 단차부(120)를 기준으로 높이 차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미지 센서 모듈(310)의 광축 방향으로의 위치는 제2 이미지 센서 모듈(330)의 광축 방향으로의 위치와 상이하다.
제1 렌즈 모듈(210)에 대응되는 제1 인쇄회로기판(313)과 제2 렌즈 모듈(230)에 대응되는 제2 인쇄회로기판(333)은 하우징(100)에 대한 광축 방향으로의 부착위치가 상이하다.
일 예로, 제1 인쇄회로기판(313)은 제2 인쇄회로기판(333)보다 광축 방향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은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질 수 있고, 나아가 전장 길이도 상이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에 단차부(120)를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의 화각과 전장 길이에 따라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이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의 화각과 전장 길이에 차이가 있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복수의 관통공의 크기를 다르게 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에서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두 개의 이미지 센서 모듈(310, 330)이 장착된다.
일 예로,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1 렌즈 모듈(210)을 통과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이미지 센서 모듈(310) 및 제2 렌즈 모듈(230)을 통과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2 이미지 센서 모듈(330)이 장착된다.
제1 이미지 센서 모듈(310)은 베이스(110)에 부착되는 제1 인쇄회로기판(313) 및 제1 인쇄회로기판(313)에 연결되는 제1 이미지 센서(311)를 포함한다.
제2 이미지 센서 모듈(330)은 베이스(110)에 부착되는 제2 인쇄회로기판(333) 및 제2 인쇄회로기판(333)에 연결되는 제2 이미지 센서(331)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에서는, 하우징(100)에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이 수용되며,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각 렌즈 모듈에 대응되는 별개의 이미지 센서 모듈이 장착된다.
각 렌즈 모듈에 대응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분리시킴으로써, 듀얼 카메라 모듈의 조립 과정에서 각 렌즈 모듈에 대한 광축을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는 달리, 듀얼 카메라에 하나의 이미지 센서 모듈이 장착될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하우징에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각 렌즈 모듈의 광축이 틀어질 염려가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렌즈 모듈이 인접한 위치에서는 장착 공간이 협소하여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 모듈을 하우징에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부착 위치가 틀어질 염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00)의 하부에 서로 분리된 제1 이미지 센서 모듈(310)과 제2 이미지 센서 모듈(330)을 각각 부착시키므로, 부착 과정에서 광축이 틀어질 염려가 없으며, 각 렌즈 모듈(210, 230)의 광축도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 이미지 센서 모듈(310)의 부착 과정에서 제1 렌즈 모듈(210)의 광축을 정렬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100)과 제1 인쇄회로기판(313)을 가경화 접착시킨다.
그리고, 제1 렌즈 모듈(210)과 제1 이미지 센서 모듈(31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해상도를 검사하여 제1 렌즈 모듈(210)의 광축(O)이 제1 이미지 센서(311)에 대해 정렬되었는지 검사한다.
제1 렌즈 모듈(210)의 광축(O)은 제1 이미지 센서(311)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되어야 하나, 의도치 않은 여러 요인에 의해 소정 각도(θ)만큼 틸트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상도가 불량으로 판정되므로, 제1 렌즈 모듈(210)의 광축(O)이 제1 이미지 센서(311)에 대해 정렬되는 위치(즉, 수직하게 위치)로 하우징(100)과 제1 이미지 센서 모듈(310)의 상대 위치를 조정한다. 상대 위치의 조정은 제1 이미지 센서 모듈(310)과 하우징(100) 사이의 틸트각을 조정하는 과정일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과 제1 이미지 센서 모듈(310) 사이에 자외선(UV)을 조사하여 가경화된 제1 이미지 센서 모듈(310)을 하우징(100)에 대해 완전 경화시킨다.
여기서,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단차부(120)가 있기 때문에, 제2 이미지 센서 모듈(330)에 관계없이 접착제 경화용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100)의 하부에 단차부(12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외선(UV)을 조사하기 위한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제1 렌즈 모듈(210)의 광축(O)을 정렬한 뒤에 완전 경화시키는 과정을 거칠 수 없다. 따라서, 제1 이미지 센서 모듈(310)을 하우징(100)에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부착 위치가 틀어질 염려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단차부의 위치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므로, 하우징에 형성되는 단차부의 위치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제1 단차부(121)가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2 단차부(123)가 형성된다.
제1 단차부(121)는 제1 렌즈 모듈(210)이 구비된 부분의 케이스(130)의 상부와 제2 렌즈 모듈(230)이 구비된 부분의 케이스(130)의 상부 사이에 높이 차가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단차부(123)는 제1 렌즈 모듈(210)이 구비된 부분의 베이스(110)의 하부와 제2 렌즈 모듈(230)이 구비된 부분의 베이스(110)의 하부 사이에 높이 차가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에 제1 단차부(121) 및 제2 단차부(123)를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의 화각과 전장 길이에 따라 각 렌즈 모듈이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의 화각과 전장 길이에 차이가 있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복수의 관통공의 크기를 다르게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상부에 단차부(120')가 형성된다. 단차부(120')는 제1 렌즈 모듈(210)의 구비된 부분의 케이스(130)의 상부와 제2 렌즈 모듈(230)이 구비된 부분의 케이스(130)의 상부 사이에 높이 차가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에 단차부(120')를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의 화각과 전장 길이에 따라 각 렌즈 모듈이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의 화각과 전장 길이에 차이가 있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복수의 관통공의 크기를 다르게 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 모듈을 채용하면서도 크기를 줄이고, 복수의 렌즈 모듈의 광축을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하우징
110: 베이스
120: 단차부
130: 케이스
210: 제1 렌즈 모듈
230: 제2 렌즈 모듈
310: 제1 이미지 센서 모듈
330: 제2 이미지 센서 모듈
400: 제1 액추에이터

Claims (12)

  1. 복수의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하나의 하우징;
    상기 복수의 렌즈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중에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되는 렌즈 모듈에 대응되는 인쇄회로기판은, 나머지 인쇄회로기판보다 상기 광축 방향으로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렌즈 모듈의 전장 길이와 나머지 렌즈 모듈의 전장 길이는 상이한 듀얼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단차부가 구비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은 상기 단차부를 기준으로 높이 차를 갖는 듀얼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은 각각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부착위치가 상이한 듀얼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모듈은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듀얼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렌즈 모듈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초점 조정이 가능하고, 나머지 렌즈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 고정 초점 렌즈 모듈인 듀얼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단차부가 구비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8. 제1 렌즈 모듈 및 제2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하나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부착되는 제1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제2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모듈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렌즈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며,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모듈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위치는 상기 제2 이미지 센서 모듈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위치와 상이하고,
    상기 제1 렌즈 모듈의 전장 길이와 상기 제2 렌즈 모듈의 전장 길이는 상이한 듀얼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제1 렌즈 모듈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센서 및 제1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제2 렌즈 모듈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 센서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보다 상기 광축 방향 아래쪽에 배치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두 개의 광 경로 윈도우가 구비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하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단차부가 형성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KR1020180093063A 2018-06-01 2018-08-09 듀얼 카메라 모듈 KR102172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64,349 US11048307B2 (en) 2018-06-01 2019-03-26 Dual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1920736289.1U CN209710198U (zh) 2018-06-01 2019-05-21 双相机模块和便携式电子装置
CN201910424559.XA CN110557530B (zh) 2018-06-01 2019-05-21 双相机模块和便携式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15 2018-06-01
KR20180063715 2018-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657A KR20190137657A (ko) 2019-12-11
KR102172637B1 true KR102172637B1 (ko) 2020-11-03

Family

ID=6900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063A KR102172637B1 (ko) 2018-06-01 2018-08-09 듀얼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054B1 (ko) * 2020-02-28 2022-04-1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US11835788B2 (en) * 2020-02-28 2023-12-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523058B2 (en) 2020-03-03 2022-12-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module
KR102303142B1 (ko) 2020-04-27 2021-09-16 오필름코리아(주) 센서조립체와 이것을 구비한 카메라모듈
WO2021225362A1 (ko) * 2020-05-07 2021-11-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KR20220049871A (ko) 2020-10-15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366085A1 (en) * 2022-09-23 2024-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structure connected to hous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4946A (ja) * 2014-12-15 2016-06-23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783773B1 (ko) * 2015-10-26 2017-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985B1 (ko) * 2015-06-29 2022-03-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4946A (ja) * 2014-12-15 2016-06-23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783773B1 (ko) * 2015-10-26 2017-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657A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637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US11048307B2 (en) Dual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11736244B (zh) 驱动液体镜头的音圈马达及具有音圈马达的镜头组件
KR102586613B1 (ko)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620533B1 (ko) 카메라 모듈
CN107360349B (zh) 摄像系统及其镜头单元
CN110426825B (zh) 镜头系统
KR102080790B1 (ko) 카메라 모듈
US9661196B2 (en) Camera module
KR20180135299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6661090A (zh) 镜头系统
KR101792439B1 (ko) 카메라 모듈
CN107770418B (zh) 相机模块
KR20150052075A (ko) 연성 인쇄 회로 연장부를 구비한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
JP2013025304A (ja) 撮像装置
KR102380841B1 (ko) 카메라 모듈
KR20180076165A (ko) 카메라 모듈
KR20180023172A (ko) 듀얼 카메라 모듈
KR20180135269A (ko) 카메라모듈
KR102202197B1 (ko) 카메라 모듈
KR102284138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기술 기기
KR20150085611A (ko) 카메라 모듈
KR20210020728A (ko) 카메라 모듈
KR101813393B1 (ko) 카메라 모듈
KR20180135270A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