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393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393B1
KR101813393B1 KR1020160106216A KR20160106216A KR101813393B1 KR 101813393 B1 KR101813393 B1 KR 101813393B1 KR 1020160106216 A KR1020160106216 A KR 1020160106216A KR 20160106216 A KR20160106216 A KR 20160106216A KR 101813393 B1 KR101813393 B1 KR 101813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odule
image sensor
lens
housing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6925A (ko
Inventor
박철진
정대현
장익진
김동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710242537.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295225B/zh
Priority to CN201720378857.6U priority patent/CN206848668U/zh
Publication of KR20170116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04N5/2252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두 개의 이동 공간을 구비한 하나의 하우징 내에 두 개의 렌즈 모듈을 배치함으로써 외부 충격 등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두 개의 렌즈 모듈의 광 중심 사이의 거리를 하우징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시킴으로써, 두 개의 렌즈 모듈을 채용하면서도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두 개의 렌즈 모듈이 장착된 듀얼 카메라가 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듀얼 카메라는 2개의 독립된 카메라 모듈을 단순히 병렬적으로 집합시킨 형태로만 설계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카메라 모듈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후 변형 등에 취약하여 보강재를 통한 추가적인 보강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두 개의 렌즈 모듈을 채용하면서도 외부 충격 등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두 개의 이동 공간을 구비한 하나의 하우징 내에 두 개의 렌즈 모듈을 배치함으로써 외부 충격 등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두 개의 렌즈 모듈의 광 중심 사이의 거리를 하우징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시킴으로써, 두 개의 렌즈 모듈을 채용하면서도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두 개의 렌즈 모듈을 채용하면서도 외부 충격 등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인쇄회로기판과 하우징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두 개의 이미지 센서가 각각 다른 크기를 가지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각 이미지 센서의 본딩 패드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이미지 센서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적외선 필터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각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액추에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각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 및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2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두 개의 렌즈 모듈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 고정 초점 렌즈 모듈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렌즈 모듈(210), 제2 렌즈 모듈(230),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을 수용하는 하우징(100) 및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400)을 포함한다.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은 각각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210a, 230a) 및 렌즈 배럴(210a, 230a)에 고정 결합되는 보빈(210b, 230b)을 포함한다(도 6b 참조).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 중 적어도 하나는 초점 조정 또는 흔들림 보정을 위하여 하우징(10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이 모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경우,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은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 중 어느 하나의 화각이 상대적으로 넓게 구성(광각 렌즈)되고, 나머지 하나의 화각이 상대적으로 좁게 구성(망원 렌즈)될 수 있다.
이처럼 두 개의 렌즈 모듈의 화각을 서로 다르게 설계함으로써, 피사체의 이미지를 다양한 심도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피사체 대한 두 개의 이미지를 이용(일 예로, 합성)하여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밝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저조도 환경에서도 피사체의 이미지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줌 기능도 구현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모두 수용하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이동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110) 및 제1 하우징(110)과 결합하는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10)에는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이 수용된다. 제1 하우징(110)은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수용 공간을 구비한다.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100)과 결합하며,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이미지 센서 모듈(400)은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통과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 모듈(400)은 인쇄회로기판(450), 인쇄회로기판(450)에 연결되는 제1 이미지 센서(410) 및 제2 이미지 센서(430), 및 두 개의 적외선 필터(470a, 470b)를 포함할 수 있다(도 6b 참조).
각각의 이미지 센서(410, 430)는 각각의 렌즈 모듈(210, 23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일 예로 각각의 이미지 센서(410, 43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제1 이미지 센서(410) 및 제2 이미지 센서(430) 중 어느 하나는 컬러(RGB) 센서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흑백(BW) 센서 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이미지 센서(410)는 컬러(RGB) 센서이고, 제2 이미지 센서(430)는 흑백(BW) 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이미지 센서(410)에 대응되는 제1 렌즈 모듈(210)의 렌즈는 Fno(F number, 렌즈의 밝기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또는 렌즈가 빛을 통과시키는 양을 나타내는 수치)가 상대적으로 클 수 있고, 제2 이미지 센서(430)에 대응되는 제2 렌즈 모듈(230)의 렌즈는 Fno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렌즈 모듈(210) 및 제1 이미지 센서(410)를 통해 초점 심도가 깊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고, 제2 렌즈 모듈(230) 및 제2 이미지 센서(430)를 통해 밝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므로, 두 개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초점 심도가 깊으면서도 밝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이미지 센서(410, 430)의 대각 길이는 1/2.5" 이하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이미지 센서(410, 430)의 긴 변의 길이와 짧은 변의 길이의 비는 4:3 또는 16:9일 수 있다.
적외선 필터(470a, 470b)는 각각의 이미지 센서(410, 43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각 렌즈 모듈(210, 230)을 통해 입사된 광 중에서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적외선 필터(470a, 470b)는 제1 하우징(110)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450)은 제1 하우징(110)과 결합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450)은 제1 하우징(110)의 크기에 대응되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450)이며, 하나의 인쇄회로기판(450)에 두 개의 이미지 센서(410, 430)가 탑재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렌즈 모듈(210)의 광 중심과 제2 렌즈 모듈(230)의 광 중심 사이의 거리(D1)는 하우징(100)의 너비(D2)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제1 렌즈 모듈(210)의 광축과 제2 렌즈 모듈(230)의 광축 사이의 최단 거리(D1)는 하우징(100)의 너비(D2)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광 중심은 광이 각 렌즈 모듈(210, 230)의 광축과 만나는 점을 의미하고, 너비는 도 2를 기준으로 하우징(100)의 변 중에서 짧은 측의 변의 길이를 의미한다.
두 개의 렌즈 모듈로 촬영한 두 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밝은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하여는, 두 개의 렌즈 모듈의 광 중심 간의 거리를 가깝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두 개의 렌즈 모듈의 광 중심 사이의 거리가 멀게 설계될 경우에는 하나의 피사체에 대한 두 개의 이미지가 서로 다르게 촬영되어,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 또는 밝은 이미지의 생성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제1 렌즈 모듈(210)의 광 중심과 제2 렌즈 모듈(230)의 광 중심 사이의 거리(D1)를 하우징(100)의 너비(D2)보다 작게 설계함으로써, 하나의 피사체에 대한 두 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인쇄회로기판과 하우징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450)은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쇄회로기판(450)은 측면이 제1 하우징(110)의 내부면과 접촉하도록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인쇄회로기판(450)은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igid Flexible PCB)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인쇄회로기판(450)에 두 개의 이미지 센서(410, 430)를 탑재하므로,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탑재하는 경우에 비하여 인쇄회로기판(450)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인쇄회로기판(450)에 변형이 발생하는 등,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신뢰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인쇄회로기판(450)을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 배치함으로써,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인쇄회로기판(450)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450)과 제1 하우징(110) 사이의 접합력을 향상시키도록 인쇄회로기판(450)과 제1 하우징(110) 사이의 접합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두 개의 이미지 센서가 각각 다른 크기를 가지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두 개의 이미지 센서(410, 430)의 대각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두 개의 이미지 센서(410, 430)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센서의 대각 길이를 보다 짧게 설계함으로써,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두 개의 이미지 센서(410, 430)의 화소 크기(Pixel size)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이미지 센서(410)가 컬러(RGB) 센서이고, 제2 이미지 센서(430)가 흑백(BW) 센서일 경우, 제1 이미지 센서(410)의 화소 크기보다 제2 이미지 센서(430)의 화소 크기가 더 작게 구성된다.
이 경우, 제1 이미지 센서(410)에 대응되는 제1 렌즈 모듈(210)의 렌즈는 Fno(F number, 렌즈의 밝기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가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되고, 제2 이미지 센서(430)에 대응되는 제2 렌즈 모듈(230)의 렌즈는 Fno가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된다.
제2 렌즈 모듈(230)의 렌즈는 Fno가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밝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이미지 센서(430)의 화소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하더라도 밝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초점 심도가 깊으면서도 밝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의 전체 크기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각 이미지 센서의 본딩 패드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두 개의 이미지 센서(410, 430)는 본딩 와이어에 의해 인쇄회로기판(4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이미지 센서(410, 430)에는 본딩 와이어와 연결되는 본딩 패드(P)가 형성되는데, 본딩 패드(P)는 각각의 이미지 센서(410, 430)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일 예로, 본딩 패드(P)는 각각의 이미지 센서(410, 430)의 가장자리 중에서 긴 변 측 또는 짧은 변 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이미지 센서(410, 430)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센서에는 본딩 패드(P)가 긴 변 측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이미지 센서에는 본딩 패드(P)가 짧은 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본딩 패드(P)를 이미지 센서의 4개의 변 측에 모두 배치하지 않고 긴 변 측 또는 짧은 변 측에 배치함으로써, 본딩 와이어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이미지 센서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의 실시예의 이미지 센서(420)는 앞선 실시예와는 달리 두 개의 렌즈 모듈(210, 230)에 대응되는 두 개의 유효촬상영역(410', 430')을 가진 하나의 이미지 센서(420)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이미지 센서(420)는 두 개의 유효촬상영역(410', 430') 사이에 더미 영역(420a)이 형성되며, 본딩 패드(P)는 더미 영역(420a)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적외선 필터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의 실시예의 적외선 필터(470)는 앞선 실시예와는 달리 두 개의 유효촬상영역(410', 430')을 가진 하나의 이미지 센서(420)(또는 두 개의 이미지 센서(410, 430))와 모두 대응되도록 하나의 적외선 필터(470)로 제공될 수 있다.
두 개의 유효촬상영역(410', 430')을 가진 하나의 이미지 센서(420)(또는 두 개의 이미지 센서(410, 430))와 모두 대응되도록 하나의 적외선 필터(470)를 제공함으로써, 작업 공정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각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액추에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각 렌즈 모듈(210, 230)을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액추에이터(300)를 포함한다.
제1 액추에이터(300)는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각각 독립적으로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300)에 의해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각각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는 코일(310a, 330a) 및 마그네트(310b, 330b)를 포함하며, 코일(310a, 330a)과 마그네트(310b, 330b)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두 개의 코일(310a, 330a)은 기판(350)을 매개로 하우징(100)에 고정된다.
기판(350)은 두 개의 코일(310a, 330a)을 구비하는 하나의 기판(350)으로 제공되며, 하나의 기판(350)은 하우징(100)의 측면 중에서 길이가 더 긴 면에 고정된다.
두 개의 코일(310a, 330a)은 기판(350)의 일면에 구비된다.
두 개의 마그네트(310b, 330b)는 각 렌즈 모듈(210, 230)의 일 측면에 고정 배치되며, 각각의 마그네트(310b, 330b)가 각각의 코일(310a, 330a)과 광축 방향(Z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하우징(100)에는 요크(360a, 360b)가 배치된다. 일 예로, 요크(360a, 360b)는 기판(350)의 타면에 부착되며, 각각의 코일(310a, 330a)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마그네트(310b, 330b)와 마주보도록 2개가 제공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의 마그네트(310b, 330b)와 모두 마주보도록 배치된 하나의 요크가 제공될 수 있다.
두 개의 요크(360a, 360b)와 두 개의 마그네트(310b, 330b) 사이에는 광축 방향(Z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두 개의 요크(360a, 360b)와 두 개의 마그네트(310b, 330b) 사이의 인력에 의해 후술하는 볼 부재(510)가 제1 렌즈 모듈(210), 제2 렌즈 모듈(230) 및 하우징(10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요크(360a, 360b)는 마그네트(310b, 330b)의 자기력이 집속되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일 예로, 두 개의 요크(360a, 360b)와 두 개의 마그네트(310b, 330b)는 서로 일대일로 대응되어 자기 회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마그네트(310b, 330b)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요크(360a, 360b)의 광축 방향(Z 방향) 길이는 각각의 마그네트(310b, 330b)의 광축 방향(Z 방향)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요크(360a, 360b)의 광축 방향(Z 방향) 길이가 마그네트(310b, 330b)의 광축 방향 길이보다 짧으면, 마그네트(310b, 330b)가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움직일 때, 마그네트(310b, 330b)의 중심이 요크(360a, 360b)의 중심을 향하도록 작용하는 인력이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310b, 330b)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려고 하는 복귀력이 보다 강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마그네트(310b, 330b)를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전류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소비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과 같이, 요크(360a, 360b)의 광축 방향(Z 방향) 길이가 마그네트(310b, 330b)의 광축 방향(Z 방향) 길이보다 길면, 마그네트(310b, 330b)의 중심이 요크(360a, 360b)의 중심을 향하도록 작용하는 인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소비 전력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두 개의 코일(310a, 330a)은 하우징(100)의 마주보는 변 측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코일(310a, 330a)에 대응되도록 기판도 두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각 기판마다 하나의 코일이 구비되어 각각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00)과 각 렌즈 모듈(210, 230) 사이에는 각 렌즈 모듈(210, 230)의 광축 방향(Z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복수의 볼 부재(510)가 배치된다.
복수의 볼 부재(510)는 광축 방향(Z 방향)으로 배치되며, 하우징(100)과 각 렌즈 모듈(210, 230)에 접촉함으로써, 각 렌즈 모듈(210, 23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여기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210a, 230a) 및 보빈(210b, 230b)이 별개의 부재로 제공되어 서로 결합함으로써 각 렌즈 모듈(210, 230)을 구성할 수 있으나,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210a, 230a) 및 보빈(210b, 230b)이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 제공되어 각 렌즈 모듈(210, 230)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a와 같은 구조에서는 렌즈 배럴(210a, 230a)과 보빈(210b, 230b)이 결합된 상태에서 렌즈 배럴(210a, 230a)이 파손된 경우 보빈(210b, 230b)으로부터 렌즈 배럴(210a, 230a)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수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 8b와 같은 구조에서는 렌즈 배럴(210a, 230a)과 보빈(210b, 230b)을 서로 결합시키는 공정이 필요치 않으므로, 작업 공정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a 및 도 8b에는 두 개의 렌즈 모듈(210, 230)이 모두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이 도시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두 개의 렌즈 모듈(210, 230) 중 어느 하나만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하우징(10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a 및 도 9b는 각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 및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2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각 렌즈 모듈(210, 230)을 서로 수직한 세 방향(X, Y, Z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액추에이터(600)를 포함한다.
제2 액추에이터(600)는 각 렌즈 모듈(210, 230)을 광축 방향(Z 방향), 광축 방향(Z 방향)에 수직한 제1 방향(X 방향) 및 제2 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1 방향(X 방향)과 제2 방향(Y 방향)은 서로 수직한 방향이다.
제2 액추에이터(600)는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각각 독립적으로 광축 방향(Z 방향), 제1 방향(X 방향) 및 제2 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600)에 의해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각각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초점을 조정할 수 있고, 제1 방향(X 방향) 및 제2 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손떨림과 같은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600)는 초점을 조정(이하, AF)하는 코일(610a) 및 마그네트(610b), 및 흔들림을 보정(이하, OIS)하는 코일(620a) 및 마그네트(620b)를 포함한다.
도 9a 및 도 9b의 실시예에서는, 각 렌즈 모듈(210, 230)을 서로 수직한 세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각 렌즈 모듈(210, 230)과 함께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프레임(240)과 제2 프레임(250), 및 각 렌즈 모듈(210, 230)이 제1 방향(X 방향) 및 제2 방향(Y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부재(260)와 제2 가이드 부재(270)를 포함한다.
제1 렌즈 모듈(210) 및 제1 가이드 부재(260)는 제1 프레임(240)에 수용되고, 초점 조정 시에 제1 렌즈 모듈(210), 제1 가이드 부재(260) 및 제1 프레임(240)이 광축 방향(Z 방향)으로 함께 이동된다.
또한, 제2 렌즈 모듈(230) 및 제2 가이드 부재(270)는 제2 프레임(250)에 수용되고, 초점 조정 시에 제2 렌즈 모듈(230), 제2 가이드 부재(270) 및 제2 프레임(250)이 광축 방향(Z 방향)으로 함께 이동된다.
흔들림 보정 시에는 제1 렌즈 모듈(210) 및 제1 가이드 부재(260)가 제1 프레임(240) 내에서 광축 방향(Z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렌즈 모듈(230) 및 제2 가이드 부재(270)가 제2 프레임(250) 내에서 광축 방향(Z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제1 렌즈 모듈(210) 및 제1 가이드 부재(260)가 제1 프레임(240)의 외부로 이탈되거나, 제2 렌즈 모듈(230) 및 제2 가이드 부재(270)가 제2 프레임(25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280, 290)가 제공된다.
스토퍼(280, 290)는 제1 렌즈 모듈(210) 및 제2 렌즈 모듈(23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제1 프레임(240) 및 제2 프레임(250)에 결합된다.
또한, 스토퍼(280, 290)에는 완충부재(280a, 290a)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280a, 290a)는 제1 프레임(240)과 제2 프레임(250)이 광축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하우징(100)과 충돌할 경우 발생하는 소음, 충격 등을 완충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완충부재(280a, 290a)는 제1 프레임(240) 내에 배치된 제1 렌즈 모듈(210) 및 제2 프레임(250) 내에 배치된 제2 렌즈 모듈(240)과 스토퍼(280, 290)가 충돌할 경우 발생하는 소음, 충격 등을 완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부재(280a, 290a)는 스토퍼(280, 290)의 일면(일 예로, 상면)과 타면(일 예로,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탄성 재질일 수 있다.
스토퍼(280, 29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완충부재(280a, 290a)는 하우징(100)에 대한 소음, 충격 등을 완충할 수 있고, 스토퍼(280, 290)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된 완충부재(280a, 290a)는 제1 렌즈 모듈(210) 및 제2 렌즈 모듈(230)에 대한 소음, 충격 등을 완충할 수 있다.
한편,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 및 보빈이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 제공되어 각 렌즈 모듈(210, 230)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렌즈 배럴과 보빈을 서로 결합시키는 공정이 필요치 않으므로, 작업 공정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렌즈 배럴 및 보빈이 별개의 부재로 제공되어 서로 결합함으로써 각 렌즈 모듈(210, 23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렌즈 배럴과 보빈이 결합된 상태에서 렌즈 배럴이 파손된 경우 보빈으로부터 렌즈 배럴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수리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액추에이터(600)의 구성 및 각 렌즈 모듈(210, 230)이 이동되는 방식을 설명한다.
참고로,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렌즈 모듈(210)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제2 렌즈 모듈(230)이 이동되는 방식도 제1 렌즈 모듈(210)이 이동되는 방식과 동일하다.
제1 렌즈 모듈(210)은 초점을 조정하기 위하여 제2 액추에이터(600)에 의해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 액추에이터(600)는 초점 조정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610b)와 코일(610a)을 포함한다.
마그네트(610b)는 제1 프레임(24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마그네트(610b)는 제1 프레임(24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코일(610a)은 마그네트(610b)와 마주보도록 하우징(100)에 장착된다. 일 예로, 코일(610a)은 기판(610c)을 매개로 하우징(100)에 장착될 수 있다. 기판(610c)은 하우징(100)에 장착되고, 코일(610a)은 기판(610c)의 일면에 구비된다.
마그네트(610b)는 제1 프레임(240)에 장착되어 제1 프레임(240)과 함께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이고, 코일(610a)은 하우징(10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다.
코일(610a)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그네트(610b)와 코일(610a)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제1 프레임(240)를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프레임(240)에는 제1 렌즈 모듈(210)이 수용되므로, 제1 프레임(240)의 이동에 의해 제1 렌즈 모듈(210)도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프레임(240)이 이동될 때, 제1 프레임(240)과 하우징(100)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제1 프레임(240)과 하우징(100) 사이에 볼 부재(510')가 배치된다.
볼 부재(510')는 마그네트(610b)의 양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제1 렌즈 모듈(21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폐루프 제어를 위하여 위치 센서(610d)가 필요하다. 위치 센서(610d)는 홀 센서일 수 있으며, 제1 렌즈 모듈(210)에 장착된 마그네트(610b)의 자기력 선속의 변화를 통해 제1 렌즈 모듈(2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위치 센서(610d)는 코일(610a)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며, 코일(610a)이 장착되는 기판(610c)에 장착될 수 있다.
초점 조정 과정에서 제1 렌즈 모듈(210)은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다(즉,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제1 렌즈 모듈(210)은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제2 액추에이터(600)에 의해 제1 방향(X 방향) 및 제2 방향(Y 방향)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제2 액추에이터(600)는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해 영상 촬영 시 흔들림이 발생할 때, 흔들림에 대응하는 상대변위를 제1 렌즈 모듈(210)에 부여함으로써 흔들림을 보상한다.
여기서, 제1 프레임(240) 내에는 제1 가이드 부재(260)가 수용되며, 제1 가이드 부재(260)는 제1 렌즈 모듈(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제1 가이드 부재(260)와 제1 렌즈 모듈(210)은 제1 프레임(240) 내에 삽입된다. 제1 가이드 부재(260)와 제1 렌즈 모듈(210)은 제1 프레임(240) 내에서 제1 방향(X 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제1 렌즈 모듈(210)은 제1 가이드 부재(260)에 대하여 제2 방향(Y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제2 액추에이터(600)는 흔들림 보정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네트(620b)와 복수의 코일(620a)을 포함한다.
복수의 마그네트(620b)와 복수의 코일(620a) 중에서, 일부는 제1 방향(X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나머지는 제2 방향(Y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복수의 마그네트(620b)는 제1 렌즈 모듈(210)에 장착되고, 복수의 마그네트(620b)와 마주보는 복수의 코일(620a)은 기판(620c)을 매개로 하우징(100)에 장착된다.
복수의 마그네트(620b)는 제1 렌즈 모듈(210)과 함께 제1 방향(X 방향) 및 제2 방향(Y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이고, 복수의 코일(620a)은 하우징(10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다.
한편, 본 발명에는 제1 가이드 부재(260) 및 제1 렌즈 모듈(210)을 지지하는 복수의 볼 부재가 제공된다. 복수의 볼 부재는 흔들림 보정 과정에서 제1 가이드 부재(260) 및 제1 렌즈 모듈(210)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1 프레임(240), 제1 가이드 부재(260) 및 제1 렌즈 모듈(210) 간의 광축 방향(Z 방향)으로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도 한다.
복수의 볼 부재는 제1 볼 부재(520) 및 제2 볼 부재(530)를 포함한다.
제1 볼 부재(520)는 제1 프레임(240)과 제1 가이드 부재(26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볼 부재(530)는 제1 가이드 부재(260)와 제1 렌즈 모듈(21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볼 부재(520)는 제1 가이드 부재(260)와 제1 렌즈 모듈(210)의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제2 볼 부재(530)는 제1 렌즈 모듈(210)의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일 예로, 제1 볼 부재(520)는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1 방향(X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볼 부재(520)는 제1 가이드 부재(260)와 제1 렌즈 모듈(210)의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제2 볼 부재(530)는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2 방향(Y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제2 볼 부재(530)는 제1 렌즈 모듈(210)의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제1 프레임(240)과 제1 가이드 부재(260)가 서로 광축 방향(Z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제1 볼 부재(520)를 수용하는 제1 가이드홈부(520a)가 형성된다.
제1 볼 부재(520)는 제1 가이드홈부(520a)에 수용되어 제1 프레임(240)과 제1 가이드 부재(260) 사이에 끼워진다.
제1 볼 부재(520)는 제1 가이드홈부(520a)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축 방향(Z 방향) 및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1 방향(X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볼 부재(520)는 제1 방향(X 방향)으로만 구름운동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제1 가이드홈부(520a)의 평면 형상은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폭보다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일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260)와 제1 렌즈 모듈(210)이 서로 광축 방향(Z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제2 볼 부재(530)를 수용하는 제2 가이드홈부(530a)가 형성된다.
제2 볼 부재(530)는 제2 가이드홈부(530a)에 수용되어 제1 가이드 부재(260)와 제1 렌즈 모듈(210) 사이에 끼워진다.
제2 볼 부재(530)는 제2 가이드홈부(530a)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축 방향(Z 방향) 및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2 방향(Y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볼 부재(530)는 제2 방향(Y 방향)으로만 구름운동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제2 가이드홈부(530a)의 평면 형상은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폭보다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일 수 있다.
제1 방향(X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하면, 제1 가이드 부재(260) 및 제1 렌즈 모듈(210)이 함께 제1 방향(X 방향)으로 움직인다.
여기서, 제1 볼 부재(520)는 제1 방향(X 방향)으로 구름 운동한다. 이때, 제2 볼 부재(53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또한, 제2 방향(Y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하면, 제1 렌즈 모듈(210)이 제2 방향(Y 방향)으로 움직인다.
여기서, 제2 볼 부재(530)는 제2 방향(Y 방향)으로 구름 운동한다. 이때, 제1 볼 부재(52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이와 같이, 흔들림 보정 과정에서 일부 볼 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제1 렌즈 모듈(210)을 제1 방향(X 방향) 및 제2 방향(Y 방향)으로 모두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흔들림 보정 과정에서 제1 렌즈 모듈(21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폐루프 제어를 위한 위치 센서(620d)가 제공되며, 위치 센서(620d)는 복수의 코일(620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위치 센서(620d)는 홀 센서일 수 있으며, 위치 센서(620d)는 복수의 마그네트(620b)의 자기력 선속의 변화를 통해 제1 렌즈 모듈(2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는 흔들림 보정을 위한 복수의 마그네트(620b)에 대하여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인력을 발생시키는 요크부(240a)가 제공된다. 요크부(240a)는 자성체일 수 있다.
요크부(240a)는 제1 프레임(240)에 고정되고, 흔들림 보정을 위한 복수의 마그네트(620b)와 광축 방향(Z 방향)으로 마주본다.
따라서, 요크부(240a)와 복수의 마그네트(620b) 사이에는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인력이 발생한다.
요크부(240a)와 복수의 마그네트(620b)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제1 렌즈 모듈(210)이 요크부(240a)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제1 렌즈 모듈(210), 제1 가이드 부재(260) 및 제1 프레임(240)은 제1 볼 부재(520) 및 제2 볼 부재(53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크부(240a)와 복수의 마그네트(620b)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제1 렌즈 모듈(210)이 제1 가이드 부재(260)를 향하여 가압되고,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부재(260)가 제1 프레임(240)을 향하여 가압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두 개의 렌즈 모듈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 고정 초점 렌즈 모듈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두 개의 렌즈 모듈(210', 230')이 초점 거리가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렌즈 모듈(210', 230')의 Fno(F number, 렌즈의 밝기(빛을 통과시키는 양)를 나타내는 수치) 값을 크게 설계하여, 피사체심도(被寫體深度: 선명하게 찍혀지는 거리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Fno 값을 크게 할 경우 렌즈의 밝기가 어두워지므로, 저조도 환경에서 선명한 영상을 촬영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두 개의 렌즈 모듈(210', 23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선명한 하나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Fno 값을 크게 하더라도 저조도 환경에서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각 렌즈 모듈(210', 230')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가 필요치 않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하우징
210: 제1 렌즈 모듈
230: 제2 렌즈 모듈
300: 제1 액추에이터
400: 이미지 센서 모듈
410: 제1 이미지 센서
430: 제2 이미지 센서
450: 인쇄회로기판
600: 제2 액추에이터

Claims (15)

  1. 독립적으로 피사체를 촬상하도록 구성된 제1 렌즈 모듈과 제2 렌즈 모듈;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을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모듈의 광축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의 광축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하우징의 너비보다 작고,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제1 렌즈 모듈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센서;
    상기 제2 렌즈 모듈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와 상기 제2 이미지 센서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의 화소 크기보다 상기 제2 이미지 센서의 화소 크기가 작은 카메라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센서는 컬러(RGB) 센서이고, 상기 제2 이미지 센서는 흑백(BW) 센서인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모듈 및 상기 제2 렌즈 모듈을 구성하는 렌즈의 밝기를 나타내는 수치를 Fno라 할 때,
    상기 제1 렌즈 모듈의 Fno가 상기 제2 렌즈 모듈의 Fno보다 크게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삭제
  6. 독립적으로 피사체를 촬상하도록 구성된 제1 렌즈 모듈과 제2 렌즈 모듈;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을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모듈의 광축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의 광축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하우징의 너비보다 작고,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제1 렌즈 모듈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센서;
    상기 제2 렌즈 모듈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와 상기 제2 이미지 센서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의 대각 길이와 상기 제2 이미지 센서의 대각 길이는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모듈 및 상기 제2 렌즈 모듈을 각각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에 각각 부착된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코일을 포함하는 제1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중에서 길이가 더 긴 면에 고정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기판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을 각각 광축 방향에 수직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에 부착되는 복수의 마그네트와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제2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함께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함께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렌즈 모듈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사이, 및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1 렌즈 모듈 사이에는 복수의 볼 부재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 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2 렌즈 모듈과 함께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함께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2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렌즈 모듈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사이,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2 렌즈 모듈 사이에는 복수의 볼 부재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5. 서로 수직한 세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렌즈 모듈과 제2 렌즈 모듈;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을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모듈의 화각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의 화각은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상기 제1 렌즈 모듈의 광축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의 광축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하우징의 너비보다 작으며,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제1 렌즈 모듈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센서;
    상기 제2 렌즈 모듈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와 상기 제2 이미지 센서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의 대각 길이와 상기 제2 이미지 센서의 대각 길이는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60106216A 2016-04-12 2016-08-22 카메라 모듈 KR101813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242537.2A CN107295225B (zh) 2016-04-12 2017-04-12 相机模块
CN201720378857.6U CN206848668U (zh) 2016-04-12 2017-04-12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076 2016-04-12
KR20160045076 2016-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925A KR20170116925A (ko) 2017-10-20
KR101813393B1 true KR101813393B1 (ko) 2017-12-29

Family

ID=60299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216A KR101813393B1 (ko) 2016-04-12 2016-08-22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3393B1 (ko)
CN (1) CN20684866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4876B (zh) * 2018-10-31 2020-11-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3694A (ja) * 2004-04-13 2005-10-2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複眼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3694A (ja) * 2004-04-13 2005-10-2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複眼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848668U (zh) 2018-01-05
KR20170116925A (ko) 2017-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532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30056716A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792441B1 (ko) 카메라 모듈
KR102457389B1 (ko) 카메라 모듈
US20200249420A1 (en) Optical driving mechanism
KR101901702B1 (ko) 카메라 모듈
KR101792439B1 (ko) 카메라 모듈
CN113448045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包括该相机模块的光学装置
KR101813392B1 (ko) 카메라 모듈
KR102561934B1 (ko)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KR101792431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1681202B2 (en) Camera module
US20240085763A1 (en) Camera module
KR102369433B1 (ko) 카메라모듈
CN107295225B (zh) 相机模块
US20230209162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KR101813393B1 (ko) 카메라 모듈
KR20210020728A (ko) 카메라 모듈
US20210048729A1 (en) Camera module
KR20210020731A (ko) 카메라 모듈
KR101823272B1 (ko) 카메라 모듈
KR102369432B1 (ko) 카메라 모듈
KR102460751B1 (ko) 카메라 모듈
US20230209165A1 (en) Camera module
KR20230099412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렌즈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