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929B1 -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929B1
KR102618929B1 KR1020230111710A KR20230111710A KR102618929B1 KR 102618929 B1 KR102618929 B1 KR 102618929B1 KR 1020230111710 A KR1020230111710 A KR 1020230111710A KR 20230111710 A KR20230111710 A KR 20230111710A KR 102618929 B1 KR102618929 B1 KR 102618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amera
prism
light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1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선
Original Assignee
권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선 filed Critical 권기선
Priority to KR1020230111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21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determining the optical axis or position of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의 카메라하우징 내 프리즘의 상측에 설치되는 렌즈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에 있어서, 프리즘의 정면으로 단일 광, 복수의 광 또는 면광 중 적어도 하나를 조사하는 광조사부, 광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프리즘에 의해 렌즈 쪽으로 반사되어 렌즈가 광에 대한 결상 포인트를 형성하면, 결상 포인트를 촬영하여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카메라부 및 카메라하우징을 촬영하여 카메라하우징의 중심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카메라하우징의 중심 위치와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이용하여, 렌즈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제2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AN APPARATUS FOR MEASURING LENS ALIGNMENT STATE AND A METHOD FOR MEASURING LENS ALIGNMENT STA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디드 카메라모듈에 설치되는 오목렌즈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가 점점 소형화됨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고 있어,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카메라모듈도 두께가 얇은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특히, 폴디드 카메라모듈(folded camera module)은 카메라하우징 내에 프리즘, 렌즈모듈 및 이미지센서가 수평하게 배치되어 구성됨으로써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한된 두께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디드 카메라모듈은 조립 과정에서 카메라하우징 내에 프리즘과 렌즈를 정확도 높게 정렬시켜야 카메라 성능을 확보활 수 있는데, 기존의 카메라모듈에 비해 프리즘이 추가로 구비되기 때문에, 기존의 측정장비로는 렌즈의 정렬상태를 측정하기 어렵다.
또한, 카메라하우징 내 프리즘을 기준으로 렌즈의 정렬 오차가 클 경우, 불량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폴디드 카메라모듈 내 렌즈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장비가 요구된다.
공개특허 제2022-0170225호(공개일: 2022.12.29.) "카메라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본 발명에서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 구체적으로는 폴디드 카메라모듈의 카메라하우징에 설치되는 오목렌즈의 정렬상태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의 카메라하우징 내 프리즘의 상측에 설치되는 렌즈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에 있어서, 프리즘의 정면으로 단일 광, 복수의 광 또는 면광 중 적어도 하나를 조사하는 광조사부, 광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프리즘에 의해 렌즈 쪽으로 반사되어 렌즈가 광에 대한 결상 포인트를 형성하면, 결상 포인트를 촬영하여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카메라부 및 카메라하우징을 촬영하여 카메라하우징의 중심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카메라하우징의 중심 위치와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이용하여, 렌즈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제2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렌즈는 오목렌즈이고, 광조사부가 프리즘의 정면으로 복수의 광 또는 면광을 조사하면, 제1 카메라부는 오목렌즈의 오목한 렌즈면에 의해 복수의 광 또는 면광이 집광된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광조사부로부터 프리즘의 정면으로 조사되는 광과, 프리즘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을 촬영하고, 광들의 위치를 검출하여 광조사부의 광축과 프리즘의 광축이 정렬되었는지 검출하는 제3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광조사부, 제1 카메라부, 제2 카메라부 및 제3 카메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프리즘과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광조사부, 제1 카메라부, 제2 카메라부 및 제3 카메라부는 동축 조명 방식으로 동일한 광축을 갖도록 구비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부는, 프리즘과 광축 정렬되도록 틸팅 또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3 카메라부는, 카메라하우징의 중심 위치와 결상 포인트의 위치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카메라하우징 중심의 위치값, 결상 포인트의 위치값 및 측정된 거리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오목렌즈의 틸트값을 측정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는, 카메라모듈의 카메라하우징 내 프리즘의 상측에 설치되는 오목렌즈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에 있어서, 광조사부를 통해 프리즘의 정면으로 복수의 광 또는 면광을 조사하는 단계, 복수의 광 또는 면광이 프리즘에 의해 오목렌즈 쪽으로 반사되어 오목렌즈가 결상 포인트를 형성하면, 제1 카메라부를 통해 결상 포인트를 촬영하여,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제2 카메라부를 통해 카메라하우징을 촬영하여 카메라하우징의 중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카메라하우징의 중심 위치와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이용하여, 오목렌즈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폴디드 카메라모듈의 카메라하우징에 설치된 오목렌즈의 정렬상태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공함으로써, 측정값을 이용하여 카메라하우징 내 오목렌즈의 위치를 정확히 정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카메라모듈의 불량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조립된 카메라모듈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오목렌즈의 정렬상태를 검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카메라하우징을 예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을 순서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이용하여 오목렌즈(13)의 정렬상태를 검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부(150)에 의해 촬영된 카메라하우징(11)을 예로 도시한 것이다.
일 예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폴디드 카메라모듈(folded camera module, 10)의 조립 과정에서, 카메라하우징(11) 내 프리즘(12) 상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정렬상태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하우징(11)에 프리즘(12)이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고, 카메라하우징(11)에서 프리즘(12)의 상측에 오목렌즈(13)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는 프리즘(12)의 정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카메라하우징(11)에 설치된 오목렌즈(13)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100, 이하 '측정장치'라 함.)는, 본체부(110), 광조사부(120), 제3 카메라부(130), 제1 카메라부(140), 제2 카메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에는 광조사부(120)와 제1 내지 제3 카메라부(130,140,150)가 설치될 수 있고, 카메라모듈(10)의 카메라하우징(11) 내 프리즘(12)과 광축 정렬되도록 틸팅 및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본체부(110)는 광학모듈(제1 내지 제4 측정렌즈부(111~114))을 내장하여, 동축 조명 방식으로 광조사부(120)가 제1 내지 제3 카메라부(130,140,150)와 동일한 축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10)는 카메라하우징(11)과 대향하게 배치되어, 광조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광이 카메라하우징(11) 내 프리즘(12)을 향하여 조사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카메라부(130,140,150)는 프리즘(12)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할 수 있다.
광조사부(120)는 카메라하우징(11)과 대향하는 본체부(110)의 전면을 통하여 프리즘(12)의 정면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일 예로써, 광조사부(120)는 레이저를 출력하는 레이저출력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레이저출력기 이외에도 광을 조사하는 다양한 광학장비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조사부(120)는 단일의 광을 출력하거나, 복수의 광 또는 면광을 출력할 수 있다.
제3 카메라부(130)는 광조사부(120)로부터 프리즘(12)의 정면으로 조사되는 광과, 프리즘(12)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을 촬영하고, 광들의 위치를 검출하여 광조사부(120)의 광축과 프리즘(12)의 광축이 정렬되었는지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조사부(120)와 제3 카메라부(130)를 포함하여 오토콜리메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제3 카메라부(130)의 일측에는 제1 측정렌즈부(111)가 구비되고, 제1 측정렌즈부(111)는 광조사부(120)와 대향하게 배치되어, 광조사부(120)에서 출력되는 제1 광이 제1 측정렌즈부(111)를 통과하여 프리즘(12)으로 조사되고, 프리즘(12)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제2 광이 제1 측정렌즈부(111)를 통과할 수 있다.
즉, 제3 카메라부(130)는 제1 측정렌즈부(111)를 통과하는 제1 광과 제2 광을 촬영하여 제1 광과 제2 광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데, 제1 광과 제2 광의 위치와 거리를 측정한 측정값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과 제2 광의 위치가 일치되지 않으면, 측정값을 이용하여 측정장치(100)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정하거나, 프리즘(12)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정하여 광조사부(120)의 광축과 프리즘(12)의 광축을 일치시킴으로써, 측정장치(100)와 프리즘(12)을 정렬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111) 내에는 광조사부(120)와 제1 카메라부(140) 및 제2 카메라부(150)가 동일한 광축을 형성하도록 반사경 역할을 하는 제2 측정렌즈부(112), 제3 측정렌즈부(113) 및 제4 측정렌즈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카메라부(130,140,150)의 배치 구조에 따라 측정렌즈부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1 카메라부(140)는 광조사부(120)로부터 복수의 광 또는 면광이 조사되면, 프리즘(12)에 의해 오목렌즈(13) 쪽으로 반사되어 오목렌즈(13)에 의해 집광된 해당 광의 결상 포인트를 촬영하고,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렌즈(13)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시, 광조사부(120)를 이용하여 프리즘(12)으로 복수의 광 또는 면광을 조사하게 되는데, 일 예로써, 광조사부(120)에서 카메라하우징(11)의 프리즘(12)의 정면으로 평행한 복수의 광을 조사하게 되면, 복수의 광이 프리즘(12)에 반사되어 프리즘(12) 상측의 오목렌즈(13)로 입사되고, 오목렌즈(13)는 입사된 복수의 광을 오목한 렌즈면을 통해 반사할 수 있다.
이때, 오목한 렌즈면에 의해 반사된 복수의 광은 집광되어 결상 포인트를 형성할 수 있고, 제1 카메라부(140)는 결상 포인트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렌즈(13)의 하측에 인접하여 프리즘(12)에 배치됨에 따라, 오목렌즈(13)에 의해 반사된 복수의 광이 다시 프리즘(12)에 반사되어 측정장치(100)를 향하는 쪽에 집광됨으로써, 측정장치(100)를 향하는 쪽에 복수의 광이 집광된 결상 포인트가 형성되고, 제1 카메라부(140)는 결상 포인트를 촬영하여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광조사부(120)에서 카메라하우징(11)의 프리즘(12)의 정면으로 면광을 조사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오목렌즈(13)에 의해 반사된 면광이 집광되어 결상 포인트가 형성되고, 제1 카메라부(140)는 결상 포인트를 촬영하여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제2 카메라부(150)는 카메라하우징(11)을 촬영하여 카메라하우징(11)의 중심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카메라하우징(11)의 중심 위치와, 제1 카메라부(140)에 의해 검출된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이용하여, 오목렌즈(13)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카메라부(150)는 카메라하우징(11)을 촬영하고, 카메라하우징(11)의 테두리를 이용하여 카메라하우징(11)의 중심 위치(P1)를 검출할 수 있다.
더불어, 카메라하우징(11)의 중심 위치(P1)를 기준으로, 결상 포인트의 위치(P2)가 어느 정도 벗어났는지 거리를 측정하고, 카메라하우징(11)의 중심 위치값, 결상 포인트의 위치값 및 상호간의 거리 측정값을 이용하여, 카메라하우징(11)에 설치된 오목렌즈(13)의 기울어진 정도, 즉 오목렌즈(13)의 틸트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하우징(11)의 중심 위치에 결상 포인트가 일치된 경우, 카메라하우징(11), 프리즘(12) 및 오목렌즈(13)가 정렬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하우징(11)의 중심 위치에서 결상 포인트가 벗어난 경우, 제2 카메라부(150)에 의해 측정된 오목렌즈(13)의 틸트값을 이용하여, 틸트값만큼 카메라하우징(11)에 설치된 오목렌즈(13)를 움직임으로써, 카메라하우징(11), 프리즘(12) 및 오목렌즈(13)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오목렌즈(13)의 정렬상태를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는, 폴디드 카메라모듈(10)의 카메라하우징(11)에 설치된 오목렌즈(13)의 정렬상태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공함으로써, 측정값을 이용하여 카메라하우징(11) 내 오목렌즈(13)의 위치를 정확히 정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을 순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측정장치(100)를 카메라하우징(11) 내 프리즘(12)과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한 후, 제3 카메라부(130)를 통해 광조사부(120)에서 프리즘(12)으로 조사한 광과, 프리즘(12)에서 반사되어 돌어오는 광의 위치를 검출하고(S110), 광조사부(120)의 광축과 프리즘(12)의 광축이 일치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S120).
여기서, 광조사부(120)에서 프리즘(12)으로 조사한 광과, 프리즘(12)에서 반사되어 돌어오는 광의 위치가 일치되면, 광조사부(120)의 광축이 프리즘(12)의 광축이 일치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치되지 않으면, 측정장치(100)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정하거나, 프리즘(12)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정하여, 광조사부(120)의 광축과 프리즘(12)의 광축을 일치시킴으로써, 측정장치(100)와 프리즘(12)을 정렬할 수 있다.
다음, 측정장치(100)의 광축과 프리즘(12)의 중심이 일치되면, 광조사부(120)를 통해 프리즘(12)으로 평행한 복수의 광(또는 면광)을 조사할 수 있다(S130).
이때, 프리즘(12)의 정면을 향하여 조사된 복수의 광은 프리즘(12)에 반사되어 프리즘(12) 상측의 오목렌즈(13)로 입사되고, 오목렌즈(13)는 입사된 복수의 광을 오목한 렌즈면을 통해 반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카메라부(140)는 오목렌즈(13)의 오목한 렌즈면에 의해 반사되어 집광된 결상 포인트를 촬영하여,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S140).
여기서, 오목렌즈(13)의 하측에 인접하여 프리즘(12)에 배치되어 있어, 오목렌즈(13)에 의해 반사된 복수의 광이 다시 프리즘(12)에 반사되면서 측정장치(100)를 향하는 쪽에 집광되어 결상 포인트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제1 카메라부(140)가 결상 포인트를 촬영하여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카메라부(150)를 통해 카메라하우징(11)을 촬영하여 카메라하우징(11)의 중심 위치를 검출하고(S150), 검출된 카메라하우징(11)의 중심 위치와, 제1 카메라부(140)에 의해 검출된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이용하여, 오목렌즈(13)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S160).
이때, 제2 카메라부(150)는 촬영된 카메라하우징(11)의 테두리를 이용하여 카메라하우징(11)의 중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하우징(11)의 중심 위치와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비교하고, 카메라하우징(11)의 중심 위치에서 결상 포인트가 어느 정도 벗어났는지 측정하여, 카메라하우징(11)에 설치된 오목렌즈(13)의 기울어진 정도, 즉 오목렌즈(13)의 틸트값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카메라하우징(11)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결상 포인트의 위치가 어느 정도 벗어났는지 거리를 측정하고, 카메라하우징(11)의 중심 위치값, 결상 포인트의 위치값 및 상호간의 거리 측정값을 이용하여, 카메라하우징(11)에 설치된 오목렌즈(13)의 틸트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오목렌즈(13)의 틸트값을 이용하여, 틸트값만큼 카메라하우징(11)에 설치된 오목렌즈(13)를 움직임으로써, 카메라하우징(11), 프리즘(12) 및 오목렌즈(13)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오목렌즈(13)의 정렬상태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광조사부(120)와 제1 내지 제3 카메라부(130,140,150)를 이용하여, 카메라하우징(11)에 설치된 오목렌즈(13)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내지 제3 카메라부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단일의 카메라부를 구비하고, 광조사부와 단일의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오목렌즈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카메라부의 기능을 갖는 카메라부와 제3 카메라부를 이용하거나, 제1 및 제3 카메라부의 기능을 갖는 카메라부와 제2 카메라부를 이용하거나, 제2 및 제3 카메라부의 기능을 갖는 카메라부와 제1 카메라부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광조사부와 2개의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오목렌즈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는, 간단한 구성으로, 폴디드 카메라모듈(10)의 카메라하우징(11)에 설치된 오목렌즈(13)의 정렬상태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공함으로써, 측정값을 이용하여 카메라하우징(11) 내 오목렌즈(13)의 위치를 정확히 정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카메라모듈(10)의 불량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조립된 카메라모듈(10)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카메라모듈
11 : 카메라하우징
12 : 프리즘
13 : 오목렌즈
100 :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
110 : 본체부
120 : 광조사부
130 : 제3 카메라부
140 : 제1 카메라부
150 : 제2 카메라부

Claims (8)

  1. 카메라모듈의 카메라하우징 내 프리즘의 상측에 설치되는 렌즈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의 정면으로 단일 광, 복수의 광 또는 면광 중 적어도 하나를 조사하는 광조사부;
    상기 광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프리즘에 의해 상기 렌즈 쪽으로 반사되어 상기 렌즈가 상기 광에 대한 결상 포인트를 형성하면, 상기 결상 포인트를 촬영하여 상기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하우징을 촬영하여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중심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카메라하우징의 중심 위치와 상기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제2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조사부가 상기 프리즘의 정면으로 복수의 광 또는 면광을 조사하면,
    상기 제1 카메라부는 상기 렌즈의 렌즈면에 의해 상기 복수의 광 또는 면광이 집광된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로부터 상기 프리즘의 정면으로 조사되는 광과, 상기 프리즘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을 촬영하고, 상기 광들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광조사부의 광축과 상기 프리즘의 광축이 정렬되었는지 검출하는 제3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 제1 카메라부, 제2 카메라부 및 제3 카메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프리즘과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조사부, 제1 카메라부, 제2 카메라부 및 제3 카메라부는 동축 조명 방식으로 동일한 광축을 갖도록 구비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프리즘과 광축 정렬되도록 틸팅 또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카메라부는,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중심 위치와 상기 결상 포인트의 위치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카메라하우징 중심의 위치값, 상기 결상 포인트의 위치값 및 상기 측정된 거리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의 틸트값을 측정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
  7. 카메라모듈의 카메라하우징 내 프리즘의 상측에 설치되는 오목렌즈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에 있어서,
    광조사부를 통해 상기 프리즘의 정면으로 복수의 광 또는 면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광 또는 면광이 상기 프리즘에 의해 상기 오목렌즈 쪽으로 반사되어, 상기 오목렌즈의 오목한 렌즈면에 의해 상기 복수의 광 또는 면광이 집광된 결상 포인트가 형성되면, 제1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결상 포인트를 촬영하여, 상기 복수의 광 또는 면광이 집광된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제2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하우징을 촬영하여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중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중심 위치와 상기 결상 포인트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오목렌즈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사전에 제3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광조사부로부터 상기 프리즘의 정면으로 조사되는 광과, 상기 프리즘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을 촬영하여, 상기 광들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광들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광조사부의 광축과 상기 프리즘의 광축이 일치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
KR1020230111710A 2023-08-25 2023-08-25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 KR102618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1710A KR102618929B1 (ko) 2023-08-25 2023-08-25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1710A KR102618929B1 (ko) 2023-08-25 2023-08-25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929B1 true KR102618929B1 (ko) 2023-12-27

Family

ID=8937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1710A KR102618929B1 (ko) 2023-08-25 2023-08-25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9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7828A (ja) * 2008-11-28 2010-06-10 Olympus Corp レンズ系の偏心測定装置
JP2010170602A (ja) * 2009-01-21 2010-08-05 Konica Minolta Opto Inc レンズ偏芯測定方法およびレンズ組立方法
KR20220170225A (ko) 2021-06-22 2022-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7828A (ja) * 2008-11-28 2010-06-10 Olympus Corp レンズ系の偏心測定装置
JP2010170602A (ja) * 2009-01-21 2010-08-05 Konica Minolta Opto Inc レンズ偏芯測定方法およびレンズ組立方法
KR20220170225A (ko) 2021-06-22 2022-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4126B2 (en) Bonding apparatus and bonding method
CN102087483B (zh) 一种用于投影光刻中焦面检测的光学系统
CN108507909B (zh) 一种平板颗粒度检测装置
JP2006189389A (ja) 光学式厚さ測定方法および装置
CN104122072A (zh) 镜头模组检测装置
CN109655236A (zh) 传感器像平面与镜头接口端面平行度检测方法及装置
KR20050085408A (ko) 고체 촬상소자의 시험장치
US20150292867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image pickup element
CN116381655A (zh) 检测设备
CN111999309A (zh) 定位柱缺陷工业视觉检测设备及检测方法
CN115574740A (zh) 一种多功能光学自准直仪
CN101673043A (zh) 广角畸变测试系统及方法
KR102618929B1 (ko) 렌즈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정렬상태 측정방법
CN111060036A (zh) 一种检测柱体直线度的装置
CN108278980B (zh) 基于压电偏摆台的扭转角动态测量装置及方法
CN114428381B (zh) 镜头模块中的镜头元件与图像传感器的对准
CN105675617B (zh) 用于测量平板玻璃表面颗粒度的方法及设备
KR102574468B1 (ko) 렌즈모듈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렌즈모듈 정렬방법
CN111830667B (zh) 一种镜头对焦装置
JP2007240168A (ja) 検査装置
CN108008607B (zh) 兼顾对准和调焦调平的测量系统及其测量方法和光刻机
KR100355898B1 (ko) 부품의 방향ㆍ위치 식별, 부품의 공면성 시험 및 부품의 결합부 분리 시험용 장치 및 방법
CN220305124U (zh) 光学检测装置及检测设备
CN211180429U (zh) 用于光轴校准的光学系统
CN114942506B (zh) 基于准直仪的用于潜望式摄像模组的组装系统的校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