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908B1 -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908B1
KR102339908B1 KR1020200049247A KR20200049247A KR102339908B1 KR 102339908 B1 KR102339908 B1 KR 102339908B1 KR 1020200049247 A KR1020200049247 A KR 1020200049247A KR 20200049247 A KR20200049247 A KR 20200049247A KR 102339908 B1 KR102339908 B1 KR 102339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surface protection
meth
peel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493A (ko
Inventor
타케시 나가쿠라
마코토 가스가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5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493A/ko
Priority to KR1020210177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 C08F21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by an alcoho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6C6-(meth)acrylate, e.g. (cyclo)hexyl (meth)acrylate or phen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a polyether chain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a polyether chain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polyethylene oxide in the alcohol moiety, e.g. methoxy 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ethers, polyoxymethylenes or polyacetals
    • C08F283/06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ethers, polyoxymethylenes or polyacetals on to unsaturated polyethers, polyoxymethylenes or polyac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8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f the release l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1/00Presence of graft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리스 타입의 롤 형상으로 권회되어 있는 롤체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의 배면층이 인자성이 우수하여, 실리콘을 함유하는 박리층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기재의 배면층과 상기 점착제층의 박리력이 저감되고, 또한 피착체에 대한 오염성이 저감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아크릴계 폴리머가,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5∼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B)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와, (C) 관능기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고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폴리머이고, 상기 기재의 배면층이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적층된 박리층이며, 물에 대한 접촉각이 110°이하이다.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SURFACE-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이형 필름)를 사용하지 않는 세퍼레이터리스 타입의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퍼레이터리스 타입의 롤 형상으로 권회되어 있는 롤체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의 배면층이 인자성이 우수하여, 실리콘을 함유하는 박리층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기재의 배면층과 상기 점착제층의 박리력이 저감되고, 또한 피착체에 대한 오염성이 저감된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속도 박리 영역 및 고속도 박리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력의 밸런스를 취하여, 피착체로부터 고속 박리를 행했을 때에도 작은 힘으로 재박리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리스 타입의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패널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되는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그 광학 필름의 표면에 표면 보호 필름을 첩착하여 광학 필름의 표면에 오염이나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광학 필름의 외관 검사를, 첩착한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지 않고 행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도, 고도의 청정도가 유지되도록 관리하여 먼지의 혼입 및 부착을 방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표면 보호 필름은 전형적으로는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미점착성 점착제층을 형성한 구성을 갖고 있다. 점착제층은 표면 보호 필름을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광학 필름에 첩착하기 위한 층이다. 점착제층을 미점착성으로 하는 것은, 사용이 끝난 후의 표면 보호 필름을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박리 제거할 때 원활하게 박리하고, 또한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광학 필름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은 「기재 필름층/점착제층/박리 처리된 이형 필름층」의 기본 층 구성을 갖고, 이 상태로 권회된 롤체로서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광학 필름의 제조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의 이용자가 되는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광학 필름의 제조자는, 상기 롤체의 표면 보호 필름을 되감은 후, 박리 처리된 이형 필름층을 박리하고, 「기재 필름층/점착제층」의 구성을 한 표면 보호 필름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광학 필름에 첩착한다.
이 때문에, 박리 처리된 이형 필름은,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을 보호하는데만 도움되는 것으로서,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된 후에 폐기된다.
따라서, 박리 처리된 이형 필름은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광학 필름의 표면을 보호하는 것에 직접적으로는 아무런 기여도 하고 있지 않다.
또한, 박리 처리된 이형 필름은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된 후에, 고도의 청정도가 유지되도록 관리하면서 이형 필름을 재이용하는 것이 곤란한 점에서, 권취하여 반복해서 재이용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반복하여 재이용되지 않는 박리 처리된 이형 필름은 자원의 유효 이용의 관점에서 개선해야 할 여지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종래의 표면 보호 필름은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해 첩합되어 있는 이형 필름이 당해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되기 쉽게 하기 위해, 박리성이 우수한 실리콘계 박리제를 사용하여 박리층이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이형 필름을 박리한 후의 표면 보호 필름을 표면 보호 필름의 당해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피착체인 광학 필름의 표면에 첩합하면, 피착체의 표면에 이형 필름의 박리층으로부터 당해 점착제층의 표면으로 이행한 실리콘이 부착되어, 실리콘에 의한 오염이 발생되는 것이 우려된다. 따라서, 피착체에 대한 실리콘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표면 보호 필름의 구성 부재인 이형 필름의 박리층이 실리콘계 박리제를 사용하지 않고 형성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일반적인 점착 테이프 등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박리층/기재 필름층/점착제층」의 층 구성을 갖는 세퍼레이터리스 타입의 점착 테이프가 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제조된 점착 테이프의 롤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점착제층을 구비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고 한다)를 기재로 하는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지 않는 표면 보호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수지제 필름(시트) 또는 코팅 가공 제품을 적층했을 때, 롤 형상으로 권취했을 때 블로킹을 방지하기 위해, 또는, 제품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세퍼레이터가 없는 표면 보호 필름을 롤 형상으로 권취한 표면 보호 필름 롤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6655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66591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에 금속 킬레이트를 가교제로서 첨가함으로써, 권출 강도를 원하는 강도로 유지하면서, 권출시 점착제층에 응집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실시예 1∼14의 모두에 있어서, 박리 속도 300㎜/분에 있어서의 권출 강도가 0.17N/25㎜를 초과하는 점에서, 추가로 권출 강도를 저감시켜, 권출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발명은, 반응성 희석제를 첨가하고, 전자선 조사에 의해 점착제층을 가교시킴으로써, 표면 보호 필름의 양생이 불필요하고,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지 않고 그대로 롤 형상으로 권취 가능한 경도의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 롤에서는, 기재의 점착제층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 면에, 열경화형 실리콘계 이형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점에서, 피착체에 대한 실리콘에 의한 오염이 발생하는 것이 우려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세퍼레이터리스 타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는, 권출 강도의 저감 및 피착체에 대한 오염성의 저감을 동시에 도모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광학 필름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그 표면의 오염이나 흠집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첩착한 후, 광학 필름의 반대 면에 제2 점착제층을 적층하여(제2 점착제층의 표면은 박리 필름으로 피복된 상태가 되도록 해둔다) 적층체로 하고, 추가로 원하는 크기로 단재한다.
또한, 적층체의 층 구성은 「표면 보호 필름/광학 필름/제2 점착제층/박리 필름」이다. 적층체의 단재품은 후공정에 제공될 때까지, 적층된 상태로 취급된다.
그런데, 이러한 적층체에 있어서는, 단재품인 표면 보호 필름 상에서 유성 잉크로 편광 각도나 위상 각도를 마킹하거나 검사 도장을 찍을 때, 얼룩이 생기지 않고 깨끗하게 인자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세퍼레이터리스 타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는, 권출 강도의 저감, 그리고 인자성을 우수한 것으로 하는 것을 동시에 도모하는 것이 곤란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리스 타입의 롤 형상으로 권회되어 있는 롤체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의 배면층이 인자성이 우수하여, 실리콘을 함유하는 박리층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기재의 배면층과 상기 점착제층의 박리력이 저감되고, 또한 피착체에 대한 오염성이 저감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속도 박리 영역 및 고속도 박리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력의 밸런스를 취하여, 피착체로부터 고속 박리를 행했을 때에도 작은 힘으로 재박리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리스 타입의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점착제층과, 기재와, 기재의 배면층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리스 타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와, 관능기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고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형성하고, 상기 기재의 배면층을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적층된 박리층이며, 물에 대한 접촉각이 110°이하인 박리층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인자성과 박리력을 갖는 것을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크릴계 폴리머와 (D)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의 한쪽 면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5∼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B)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와, (C) 관능기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고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폴리머이며, 상기 기재의 상기 점착제층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 면에, 기재의 배면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의 배면층이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적층된 박리층이며, 물에 대한 접촉각이 110°이하이고,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이형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권회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재의 배면층과 상기 점착제층이 접하여 이루어지는 롤체이고, 상기 롤체를 되감아 상기 기재의 배면층을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 속도 0.3m/min으로 박리할 때의 박리력이 0.1N/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재의 배면층이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장쇄 알킬 펜던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박리층으로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상기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5∼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n-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노닐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B)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로서, 폴리알킬렌옥사이드를 구성하는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반복수가 4∼14인 화합물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20중량부와, 상기 (C) 관능기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고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로서,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10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폴리머이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D) 가교제로서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 변성체,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 어덕트 변성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의 합계를 0.5∼5중량부와, 추가로 (E) 가교 촉진제로서, 알루미늄 킬레이트 화합물, 티탄 킬레이트 화합물, 철 킬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를 0.001∼0.5중량부와, (F) 케토엔올 호변이성체 화합물을 0.1∼30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F)/상기 (E)의 중량부 비율이 70∼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의 배면층이, 상기 박리층의 부착량이 0.005g/㎡ 이상 0.1g/㎡ 이하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1∼20㎛이며, 상기 기재의 배면층을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 속도 30m/min으로 박리할 때의 박리력이 0.3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의 두께가 38㎛이며, 상기 점착제층의 소다 유리(비주석면)에 대한 점착력이 박리 속도 0.3m/min으로 박리할 때 0.01N/25㎜ 이상 0.1N/25㎜ 이하이고, 또한 박리 속도 30m/min으로 박리할 때 1.0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첩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퍼레이터리스 타입의 롤 형상으로 권회되어 있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의 배면층이 인자성이 우수하여, 실리콘을 함유하는 박리층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기재의 배면층과 상기 점착제층의 박리력이 저감되고, 또한 피착체에 대한 오염성이 저감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속도 박리 영역 및 고속도 박리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력의 밸런스를 취하여, 피착체로부터 고속 박리를 행했을 때에도 작은 힘으로 재박리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리스 타입의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 보호 필름은, 아크릴계 폴리머와 (D)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의 한쪽 면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5∼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B)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와, (C) 관능기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고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폴리머이고, 상기 기재의 상기 점착제층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 면에, 기재의 배면층이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재의 배면층이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적층된 박리층이고, 물에 대한 접촉각이 110°이하이며,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이형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권회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의 배면층과 상기 점착제층이 접하여 이루어지는 롤체이고, 상기 롤체를 되감아 상기 기재의 배면층을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 속도 0.3m/min으로 박리할 때의 박리력이 0.1N/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에서의 아크릴계 폴리머는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5∼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B)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와 (C) 관능기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고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폴리머이다. 본 명세서 중,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총칭이다.
상기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5∼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n-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운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운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적어도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알킬기는 직쇄상, 분기상, 고리상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5∼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n-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노닐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이 갖는 복수의 수산기 중, 하나의 수산기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 에스테르화된 화합물이면 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기가 중합성기가 되므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공중합시킬 수 있다. 다른 수산기는 OH인 그대로여도 되고, 메틸에테르나 에틸에테르 등의 알킬에테르나, 초산에스테르 등의 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등이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B)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에 있어서, 폴리알킬렌글리콜이 갖는 알킬렌기로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알킬렌글리콜이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부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부틸렌글리콜 등, 1분자 중에 2종 이상의 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이어도 된다. 상기 (B)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가 폴리알킬렌옥사이드를 구성하는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반복수가 4∼14인 화합물의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로는 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부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부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5∼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n-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노닐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B)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로서, 폴리알킬렌옥사이드를 구성하는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반복수가 4∼14인 화합물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를 1.0∼2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16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14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C) 관능기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고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로는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류나, N-히드록시(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아미드류 등의 적어도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B)가 수산기를 가져도 되는 경우는, 상기 (C)가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관능기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고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로는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5∼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n-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노닐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C) 관능기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고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가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를 1.0∼1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8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6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 적절히, 공지의 중합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아크릴계 폴리머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등의 아크릴계 모노머를 50∼100중량%의 비율로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는 상기 (A)∼(C)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A)∼(C)만이어도 된다. 아크릴계 폴리머는 (메타)아크릴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공중합시키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투명 도전성 필름의 ITO 표면 등의 부식하기 쉬운 피착체에 대한 부식성에 대한 영향을 피하는 관점에서, 아크릴계 폴리머의 산가가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폴리머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알루미늄 킬레이트계 가교제 등의 적어도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D) 가교제에 의해 가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등의 2관능 이소시아네이트(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나, 이들의 뷰렛 변성체,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등의 폴리올과의 어덕트체 등을 들 수 있다.
(D) 가교제 중에서는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 변성체,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 어덕트 변성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폴리머의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D) 가교제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를 0.5∼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추가로 (E) 가교 촉진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 가교 촉진제는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D) 가교제로 하는 경우 아크릴계 폴리머와 (D) 가교제의 반응(가교 반응)에 대해 촉매로서 기능하는 물질이면 되고, 제3급 아민 등의 아민계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유기 주석 화합물, 유기 납 화합물, 유기 아연 화합물 등의 유기 금속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E) 가교 촉진제로는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알루미늄 킬레이트 화합물, 티탄 킬레이트 화합물, 철 킬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주석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보다 안전성이 높은 물질의 사용이 요구되는 규제 등에 대한 대응이 용이해진다.
상기 (E) 가교 촉진제로서 사용되는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은 다좌 배위자로서, 아세토초산메틸, 아세토초산에틸, 아세토초산옥틸, 아세토초산올레일, 아세토초산라우릴, 아세토초산스테아릴 등의 β-케토에스테르나, 아세틸아세톤(별칭 2,4-펜탄디온), 2,4-헥산디온, 벤조일아세톤 등의 β-디케톤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케토엔올 호변이성체 화합물, 또는 그 엔올이 탈프로톤한 에놀레이트(예를 들면, 아세틸아세토네이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폴리머의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E) 가교 촉진제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를 0.001∼0.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추가로 (F) 케토엔올 호변이성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F) 케토엔올 호변이성체 화합물은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D) 가교제로 하는 경우 (D) 가교제가 갖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블록함으로써, (D) 가교제의 배합 후에 있어서의 점착제 조성물의 과잉 점도 상승이나 겔화를 억제하여, 점착제 조성물의 포트 라이프를 연장할 수 있다.
상기 (F) 케토엔올 호변이성체 화합물로는, 아세토초산메틸, 아세토초산에틸, 아세토초산옥틸, 아세토초산올레일, 아세토초산라우릴, 아세토초산스테아릴 등의 β-케토에스테르나, 아세틸아세톤, 2,4-헥산디온, 벤조일아세톤 등의 β-디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폴리머의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F) 케토엔올 호변이성체 화합물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를 0.1∼30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 케토엔올 호변이성체 화합물은 (E) 가교 촉진제와는 반대로 가교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E) 가교 촉진제에 대한 (F) 케토엔올 호변이성체 화합물의 비율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의 포트 라이프를 연장하고,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려면 (F)/(E)의 중량부 비율이 70∼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70∼7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6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F)/(E)의 중량부 비율이란, (F) 케토엔올 호변이성체 화합물의 중량부를 (E) 가교 촉진제의 중량부로 나누어서 얻어진 몫의 값이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임의의 성분으로서 산화 방지제, 계면 활성제, 대전 방지제, 경화 촉진제, 가소제, 충전제, 가교 촉매, 가교 지연제, 경화 지연제, 가공 보조제, 노화 방지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나 이형 필름에 도포한 후,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이형 필름 상에서 점착제층을 제작했을 경우는, 이형 필름으로부터 기재 상에 점착제층을 전사시킬 수 있다. 이 점착제층의 전사에 사용하는 이형 필름은 박리층을 갖지 않는 필름이거나, 또는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박리층을 갖는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적층한 점착 필름은,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두께로는 1∼20㎛가 바람직하고, 1∼18㎛가 보다 바람직하며, 3∼18㎛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로는 투명성 및 가요성을 갖는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표면 보호 필름을 용이하게 롤체로 할 수 있고, 또한, 롤체로부터 되감은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인 광학 필름에 첩합한 상태로, 광학 필름의 외관 검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기재로서 사용하는 투명성을 갖는 수지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외에, 필요한 강도를 갖고, 또한 광학 적성을 갖는 것이면, 다른 수지 필름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기재는 무연신 필름이어도,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된 필름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기재는 연신 필름의 연신 배율이나, 연신 필름의 결정화에 수반하여 형성되는 축 방향의 배향 각도를 특정의 값으로 제어해도 된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2∼100㎛ 정도의 두께가 바람직하고, 20∼50㎛ 정도의 두께이면 취급이 용이하며,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의 두께가 38㎛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기재의 상기 점착제층이 적층되는 측의 표면, 또는 후술하는 박리층이 적층되는 측의 배면에 코로나 방전에 의한 표면 개질, 앵커 코트제의 도포 등의 이접착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소다 유리(비주석면)에 대한 점착력이 저속 박리 속도 0.3m/min으로 박리할 때 0.01N/25㎜ 이상 0.1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N/25㎜ 이상 0.08N/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1N/25㎜ 이상 0.06N/2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소다 유리(비주석면)에 대한 점착력이 고속 박리 속도 30m/min으로 박리할 때 1.0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N/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6N/2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박리 속도에 대한 점착력의 변화가 적은 성능이 얻어진다. 또한, 재첩합을 위해 일단,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에는 보다 저속 박리 속도에 의해, 보다 작은 힘으로 박리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는, 상기 기재의 상기 점착제층이 적층된 면(표면)과는 반대측 면(배면)에는 기재의 배면층이 적층된다. 이에 의해,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이형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권회하여, 상기 기재의 배면층과 상기 점착제층이 접하여 이루어지는 롤체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배면층은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적층된 박리층이다. 실리콘계 박리제 이외의 비실리콘계 박리제로는 불소계 박리제, 파라핀 화합물 등의 왁스계 박리제, 알킬 펜던트계 박리제 등을 들 수 있다. 알킬 펜던트계 박리제는 장쇄 알킬 펜던트 화합물을 사용한 박리제이며, 그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츄쿄 유시 주식회사의 레젬(상품명), 라이온·스페셜리티·케미컬즈 주식회사의 피로일(등록상표), 닛폰 쇼쿠바이 주식회사의 옥타데실이소시아네이트 변성 폴리에틸렌이민(상품명:RP-20), 또한, 특별히 상품명을 들지 않으나, 측쇄로서 다수의 장쇄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계 고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측쇄에 장쇄 알킬기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군은 그 장쇄 알킬기에 의해 박리 효과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장쇄 알킬기의 탄소수는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으로, 상한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탄소수가 커지면 융점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점,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는 점에서, 통상, 2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층은 상기 기재의 배면에 대해, 면내의 임의의 방향으로 연속한 전면 형상으로 전면에 적층되어도 되며, 도트 형상(점 형상), 스트라이프 형상(줄무늬 형상) 등의 패턴 형상으로 적층되어도 된다. 상기 박리층의 부착량은 0.005g/㎡ 이상 0.1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제를 도포 건조하여 박리층을 형성하는 경우의 부착량은 휘발 성분을 제외한 건조 후의 부착량이다. 상기 기재의 배면층을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적층된 박리층이며, 물에 대한 접촉각이 110°이하인 박리층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인자성과 박리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박리층은 물에 대한 접촉각이 1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8°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6°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롤체를 되감아 상기 기재의 배면층을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 속도 0.3m/min으로 박리할 때의 박리력이 0.1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의 배면층을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 속도 30m/min으로 박리할 때의 박리력이 0.3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박리 속도에 대한 박리력의 변화가 적은 성능이 얻어진다.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을 롤체로부터 되감을 때 등에서는, 고속의 박리 속도에서도 원활한 박리가 용이해진다.
상기 박리층에는 대전 방지제를 함유시켜,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해도 된다. 이에 의해,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박리층의 표면 저항값은 1.0×10+11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층의 표면 저항률을 충분히 작게 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을 상기 박리층으로부터 박리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박리 대전압이 저감되므로,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에 첩합한 후에도 피착체의 전기 제어 회로 등에 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대전 방지제로는 피리디늄 양이온, 이미다졸륨 양이온, 암모늄 양이온, 알칼리 금속 양이온 등의 양이온과, 6불화 인산염(PF6 -), 티오시안산염(SCN-), 알킬벤젠술폰산염(RC6H4SO3 -), 과염소산염(ClO4 -), 4불화 붕산염(BF4 -),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염(FSI),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염(TFSI),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염(TF) 등의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또한, 대전 방지제를 함유시키지 않은 상기 점착제층에 대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상기 박리층을 적층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전 방지제의 일부를 상기 박리층으로부터 상기 점착제층에 이행시킴으로써, 상기 박리층을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한 후에도,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에 대전 방지제를 전사시켜도 된다. 상기 점착제층 또는 그 표면에 대전 방지제를 갖는 경우는,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 저항값이 1.0×10+11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박리층 또는 상기 점착제층의 대전 방지 성능은 필수 구성은 아니고, 적절히 생략해도 된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이 첩합되는 피착체로는 광학 유리, 광학 필름,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적층체,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필름으로는,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방현(안티 글레어) 필름, 자외선 흡수 필름, 적외선 흡수 필름,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하드 코트 필름, 투명 도전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제조 공정 또는 제품에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사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로는 액정 패널, 유기 EL 패널,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등, 또는 이들의 부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첩합된 광학 필름을 전자 장치 등의 제품에 포함시키기 위해, 광학 필름의 상기 표면 보호 필름과는 반대측 면에는, 제2 점착제층이 적층되어도 된다. 이 제2 점착제층에는 다른 광학 부재를 첩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혹은 다른 광학 부재를 첩합하기 전에는, 박리 필름을 피복해도 된다. 즉, 「표면 보호 필름/광학 필름/제2 점착제층/박리 필름」, 「표면 보호 필름/광학 필름/제2 점착제층/다른 광학 부재」 등의 적층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적층체의 표면에는 표면 보호 필름의 상기 기재의 배면층이 노출된다. 상기 기재의 배면층의 인자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적층체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 등을 상기 기재의 배면층에 인자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성 잉크의 인자성이 우수함으로써, 인자의 고착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한편, 인자의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판을 사용한 인쇄, 판을 사용하지 않는 잉크젯 등의 프린트, 도장이나 스탬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인자 정보는 문자, 숫자로 한정되지 않고, 도안, 기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용도가 편광판(편광 필름)을 피착체로 하는 경우, 상기 점착제층이 편광판의 편광자의 보호층에 첩합되어도 된다. 여기서, 편광판의 편광자의 보호층으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계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계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의 편광자의 보호층의 표면에 실시되어 있는 표면 처리가, 미처리 플레인층(Plain), 안티 글레어(AG) 처리, 로우 리플렉션(LR) 처리, 안티 리플렉션(AR) 처리, 안티 글레어-로우 리플렉션(AG-LR) 처리, 안티 글레어-안티 리플렉션(AG-AR) 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이어도 된다.
편광판(편광 필름) 등의 피착체의 표면에는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저굴절률층 형성용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저굴절률층을 가져도 된다. 저굴절률층 형성용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불소 화합물로는, 불소화 올레핀류, 불소화 비닐에테르류, 불소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중합물인 함불소 공중합체, 불소화 알킬기 함유 실란 화합물 등의 축합물을 들 수 있다. 함불소 공중합체는 불소화된 모노머에 추가로,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불소화되어 있지 않은 모노머가 공중합되어도 된다. 저굴절률층은 고굴절률층 등과 조합하여 반사 방지층을 구성해도 된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기재의 표면에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기재의 배면에 박리층을 적층하는 공정을 갖는다. 상기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박리층을 적층하는 공정의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느 것을 먼저 실시해도 되고, 양쪽의 공정을 동시에 실시해도 된다. 상기 박리층을 적층하는 공정 이전에 상기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는, 상기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해, 다른 이형 필름을 첩합시켜도 된다. 이 점착제층의 보호에 사용하는 이형 필름은 박리층을 갖지 않은 필름이거나, 또는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박리층을 갖는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크릴계 폴리머의 제조>
[실시예 1]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장치에 질소 가스를 도입하고, 반응 장치 내의 공기를 질소 가스로 치환했다. 그 후, 반응 장치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90중량부,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반복수 n=12) 5중량부, 8-히드록시옥틸아크릴레이트 4.0중량부와 함께 용제(초산에틸)를 60중량부 첨가했다. 그 후,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중량부를 2시간에 걸쳐 적하시키고, 65℃에서 6시간 반응시켜, 실시예 1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2∼4 및 비교예 1∼4]
모노머의 조성을 각각 표 1의 (A)군∼(C)군의 기재와 동일하게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4 및 비교예 1∼4에서 사용되는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실시예 1]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1의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에 대해, 코로네이트 HX 2.0중량부, 티타늄 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0.1중량부, 아세틸아세톤 9중량부를 첨가해 교반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미리 배면에 장쇄 알킬 펜던트 화합물(츄쿄 유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레젬 P-677)을 0.03g/㎡의 부착량으로 도포하여 박리층을 적층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 상에 도포 후, 90℃에서 건조함으로써 용제를 제거했다. 그 후, 23℃, 50%RH의 분위기하에서 7일간 에이징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하여, 실시예 1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2∼4 및 비교예 1∼4]
점착제 조성물에 대한 첨가제의 조성을 각각 표 1의 (D)군∼(F)군의 기재와 동일하게 하고, 박리층에 사용되는 박리제 및 부착량을 표 1의 (G)군의 기재와 동일하게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의 표면 보호 필름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4 및 비교예 1∼4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Figure 112020041854244-pat00001
표 1에서는, (A)군의 합계를 100중량부로서 구한 중량부의 수치를 나타낸다. (D)군∼(F)군에서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100중량부로서 구한 중량부의 수치를 괄호( ) 내에 나타낸다. 또한, (G)군에서는 부착량(g/㎡)의 수치를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사용한 각 성분의 약기호의 화합물명을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코로네이트(등록상표) HX 및 HL은 토소 주식회사의 상품명이며, 타케네이트(등록상표) D-165N 및 D-110N은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의 상품명이다. 레젬 P-677은 츄쿄 유시 주식회사의 상품명이며, RP-20은 닛폰 쇼쿠바이 주식회사의 상품명이고, 피로일(등록상표) 1010은 라이온·스페셜리티·케미컬즈 주식회사의 상품명이다.
Figure 112020041854244-pat00002
<측정 방법 및 평가>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 있어서의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해, 하기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접촉각의 측정 방법>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층의 표면에 순수를 1방울 적하하여 접촉시키고, 10초 경과한 후에 접촉각계(쿄와 계면 과학 주식회사 제조, 모델명:DMo-701)를 이용하여, 접촉각(°)을 측정했다.
<박리력의 측정 방법>
표면 보호 필름의 기재의 배면층을 점착제층으로부터 180°방향으로, 0.3m/min 또는 30m/min의 속도로 박리했을 때의 박리 강도로서 박리력(N/25㎜)을 측정했다.
<인자성의 평가 방법>
스탬프용의 유성 잉크(제조자:사치하타 주식회사, 상품명:XQTR-20-SG-R)를 사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층의 표면에 인자하여 유성 잉크를 자연 건조시킨 후, 인자의 선명성, 번짐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인자성의 평가 기준은 인자가 선명하고, 번짐이 없는 경우를 「○」, 인자가 선명하지 않고, 번짐이 있는 경우를 「×」로 평가했다.
<점착력의 측정 방법>
표면 보호 필름을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아세톤으로 세정한 소다 유리의 비주석면에 압착 롤로 첩합하고, 50℃, 0.5MPa×20분간의 조건으로 오토 클레이브 처리한 후, 23℃×50%RH의 공기 분위기하에 되돌리고, 1시간 경과시켰다. 그 후,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 강도를 인장 시험기에 의해, JIS Z0237 「점착 테이프·점착 시트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하고, 180°방향으로 0.3m/min 또는 30m/min의 속도로 박리했을 때의 박리 강도를 점착제층의 점착력(N/25㎜)으로 했다.
<저오염성의 평가 방법>
유리판의 한쪽 면 상에 피착체의 편광판을 첩합기를 이용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 등의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했다. 그 후, 상기 편광판의 표면에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을 첩합기를 이용하여 첩합했다. 23℃×50%RH의 공기 분위기하에서, 3일간 및 30일간의 기간에 걸쳐 보관한 후,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여, 상기 편광판 표면의 오염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여기서, 피착체의 편광판은 편광자의 보호층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계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층의 표면에 실시되어 있는 표면 처리가 미처리(Plain)이다.
저오염성의 평가 기준은 상기 편광판의 표면에 대해, 3일간 보관 및 30일간 보관 모두에 있어서 오염이 없는 경우를 「○」, 3일간 보관 또는 30일간 보관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약간 오염이 있는 경우를 「△」, 3일간 보관 또는 30일간 보관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오염이 있는 경우를 「×」로 평가했다.
표 3에 표면 보호 필름의 기재의 배면층인 박리층에 대해, 상기 방법에 의한 접촉각, 박리력 및 인자성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41854244-pat00003
또한, 표 4에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에 대해, 점착제층의 두께와 함께, 상기 방법에 의한 점착력 및 저오염성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41854244-pat00004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표면 보호 필름은, 기재의 배면층을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 속도 0.3m/min으로 박리할 때의 박리력이 0.1N/25㎜ 이하이고, 기재의 배면층을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 속도 30m/min으로 박리할 때의 박리력이 0.3N/25㎜ 이하인 점에서, 롤체로부터의 권출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제층의 소다 유리(비주석면)에 대한 점착력이 저속 박리 속도 0.3m/min으로 박리할 때 0.01N/25㎜ 이상 0.1N/25㎜ 이하이고, 또한, 고속 박리 속도 30m/min으로 박리할 때 1.0N/25㎜ 이하인 점에서, 저속 박리 속도 및 고속 박리 속도에 있어서, 점착력의 밸런스가 우수하며,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에 첩합시키기 전의 리워크(재첩합)시나, 사용이 끝난 후의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로부터 박리 제거할 때, 핸들링성(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표면 보호 필름은 기재의 배면층이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적층된 박리층이며, 피착체에 대한 실리콘에 의한 오염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인자성도 우수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하면, 본 발명의 과제인 세퍼레이터리스 타입의 롤 형상으로 권회되어 있는 롤체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의 배면층이 인자성이 우수하여, 실리콘을 함유하는 박리층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기재의 배면층과 상기 점착제층의 박리력이 저감되며, 또한, 피착체에 대한 오염성이 저감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른 과제인 저속도 박리 영역 및 고속도 박리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력의 밸런스를 취하여, 피착체로부터 고속 박리를 행했을 때에도 작은 힘으로 재박리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리스 타입의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었다.
비교예 1의 표면 보호 필름은 기재의 배면층을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 속도 30m/min으로 박리할 때의 박리력이 0.60N/25㎜로 높고, 점착제층의 소다 유리(비주석면)에 대한 점착력이 고속 박리 속도 30m/min으로 박리할 때 2.8N/25㎜로 높았다. 이 때문에, 비교예 1의 표면 보호 필름은 기재의 배면층과 점착제층의 박리력이 저감되지 않고, 또한, 피착체로부터 고속 박리를 행했을 때 재박리가 곤란했다.
비교예 2의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제층의 소다 유리(비주석면)에 대한 점착력이 저속 박리 속도 0.3m/min으로 박리할 때 0.12N/25㎜이었고, 고속 박리 속도 30m/min으로 박리할 때 1.5N/25㎜였다. 이 때문에, 비교예 2의 표면 보호 필름은 피착체로부터 고속 박리를 행했을 때 재박리가 곤란했다. 또한, 피착체에 대한 오염성을 저감하는 것이 다소 열악했다.
비교예 3의 표면 보호 필름은 기재의 배면층이 실리콘계 박리제를 함유하는 박리층이기 때문에, 물에 대한 접촉각이 112°로 크고, 또한, 인자성이 열악했다.
비교예 4의 표면 보호 필름은 기재의 배면층을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 속도 30m/min으로 박리할 때, 박리력이 0.40N/25㎜였다. 이 때문에, 비교예 4의 표면 보호 필름은 기재의 배면층과 점착제층의 박리력이 저감되어 있지 않았다.
이와 같이, 비교예 1∼4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본 발명의 과제인 세퍼레이터리스 타입의 롤 형상으로 권회되어 있는 롤체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의 배면층이 인자성이 우수하여, 실리콘을 함유하는 박리층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기재의 배면층과 상기 점착제층의 박리력이 저감되며, 또한 피착체에 대한 오염성이 저감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달성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1, 2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과제인 저속도 박리 영역 및 고속도 박리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력의 밸런스를 취하여, 피착체로부터 고속 박리를 행했을 때에도 작은 힘으로 재박리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리스 타입의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달성할 수 없었다.

Claims (6)

  1. 아크릴계 폴리머와 (D)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의 한쪽 면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5∼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B)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와, (C) 관능기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고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폴리머이며,
    상기 기재의 상기 점착제층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 면에, 기재의 배면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의 배면층이, 대전 방지제 및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적층된 박리층이며, 물에 대한 접촉각이 110°이하이고,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이형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권회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재의 배면층과 상기 점착제층이 접하여 이루어지는 롤체이고,
    상기 롤체를 되감아 상기 기재의 배면층을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 속도 0.3m/min으로 박리할 때의 박리력이 0.1N/25㎜ 이하이고, 또한 박리 속도 30m/min으로 박리할 때의 박리력이 0.3N/25㎜ 이하이며,
    상기 점착제층의 소다 유리(비주석면)에 대한 점착력이 박리 속도 0.3m/min으로 박리할 때 0.01N/25㎜ 이상 0.1N/25㎜ 이하이고, 또한 박리 속도 30m/min으로 박리할 때 1.0N/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배면층이, 대전 방지제 및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장쇄 알킬 펜던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박리층으로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상기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5∼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n-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노닐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B)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로서, 폴리알킬렌옥사이드를 구성하는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반복수가 4∼14인 화합물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20중량부와,
    상기 (C) 관능기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고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로서,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10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폴리머이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D) 가교제로서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 변성체,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 어덕트 변성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의 합계를 0.5∼5중량부와, 추가로 (E) 가교 촉진제로서, 알루미늄 킬레이트 화합물, 티탄 킬레이트 화합물, 철 킬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를 0.001∼0.5중량부와, (F) 케토엔올 호변이성체 화합물을 0.1∼30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F)/상기 (E)의 중량부 비율이 70∼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배면층이, 상기 박리층의 부착량이 0.005g/㎡ 이상 0.1g/㎡ 이하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의 두께가 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표면 보호 필름이 첩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KR1020200049247A 2019-04-26 2020-04-23 표면 보호 필름 KR102339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200A KR102503920B1 (ko) 2019-04-26 2021-12-13 표면 보호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86696A JP2020183460A (ja) 2019-04-26 2019-04-26 表面保護フィルム
JPJP-P-2019-086696 2019-04-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200A Division KR102503920B1 (ko) 2019-04-26 2021-12-13 표면 보호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493A KR20200125493A (ko) 2020-11-04
KR102339908B1 true KR102339908B1 (ko) 2021-12-15

Family

ID=7298564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247A KR102339908B1 (ko) 2019-04-26 2020-04-23 표면 보호 필름
KR1020210177200A KR102503920B1 (ko) 2019-04-26 2021-12-13 표면 보호 필름
KR1020230023281A KR20230034248A (ko) 2019-04-26 2023-02-22 표면 보호 필름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200A KR102503920B1 (ko) 2019-04-26 2021-12-13 표면 보호 필름
KR1020230023281A KR20230034248A (ko) 2019-04-26 2023-02-22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2020183460A (ko)
KR (3) KR102339908B1 (ko)
CN (2) CN118085759A (ko)
TW (1) TW2021044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2371B2 (ja) * 2021-01-22 2022-09-0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フィル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8265A (ja) * 2018-10-23 2019-03-14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9158B2 (ja) * 1997-12-12 2004-12-08 王子製紙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2000008094A (ja) * 1998-06-18 2000-01-11 Nitto Denko Corp 剥離剤、セパレータ及び粘着部材
JP5211588B2 (ja) 2006-09-29 2013-06-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
JP2008266591A (ja) 2007-03-26 2008-11-06 Nippon Shokubai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ロール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JP5832816B2 (ja) * 2011-08-15 2015-12-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巻回体
JP6182379B2 (ja) * 2013-07-23 2017-08-16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粘着テープ
JP6198275B2 (ja) * 2014-08-29 2017-09-20 藤森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JP6426071B2 (ja) * 2015-09-14 2018-11-21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品
JP6566568B2 (ja) * 2016-02-29 2019-08-28 藤森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8265A (ja) * 2018-10-23 2019-03-14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085759A (zh) 2024-05-28
JP2020183460A (ja) 2020-11-12
CN111849378A (zh) 2020-10-30
KR102503920B1 (ko) 2023-02-24
CN111849378B (zh) 2024-04-02
KR20210153588A (ko) 2021-12-17
TW202104489A (zh) 2021-02-01
KR20200125493A (ko) 2020-11-04
KR20230034248A (ko) 2023-03-09
JP2023160818A (ja)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730B1 (ko)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용 박리 필름, 및 광학용 필름용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JP5882266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品
US20150037574A1 (en) Surface protective film and optical component
JP5853001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品
US20150037573A1 (en) Surface protective film and optical component
KR102037109B1 (ko)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KR102027147B1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품
KR20240015703A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품
KR102339908B1 (ko) 표면 보호 필름
KR20190021295A (ko)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90101938A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품
JP6761084B2 (ja)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562488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品
JP2019218549A (ja)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076517B2 (ja)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用剥離フィルム
JP7351955B2 (ja) 光学フィルム用の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JP7362882B2 (ja)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JP656659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品
JP6558814B2 (ja)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233993B2 (ja)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用剥離フィルム、及び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JP6127119B2 (ja)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用剥離フィルム、及び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JP2022033915A (ja)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