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863B1 - 사부침 포장기 - Google Patents

사부침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863B1
KR102339863B1 KR1020210021455A KR20210021455A KR102339863B1 KR 102339863 B1 KR102339863 B1 KR 102339863B1 KR 1020210021455 A KR1020210021455 A KR 1020210021455A KR 20210021455 A KR20210021455 A KR 20210021455A KR 102339863 B1 KR102339863 B1 KR 102339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esin film
sabuchim
fil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리
Priority to KR1020210021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02Supply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부침 포장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사부침이 인입되어 고정된 사부침홀더를 종이와 수지필름 사이에 수용시키고 밀봉하여 포장하는 포장기에 있어서, 제1종이권취롤에 권취된 종이를 수평으로 공급하는 제1종이공급부; 상기 제1종이공급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적층된 사부침홀더를 간헐적으로 종이 위에 하나씩 공급하는 사부침공급부; 상기 사부침공급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1필름권취롤에 권취된 수지필름이 종이 위에 올려진 사부침홀더를 덮도록 공급하는 제1필름공급부; 상기 제1필름공급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사부침홀더가 수용되도록 수지필름을 열융착하여 종이에 접합시키는 제1열융착부; 상기 제1열융착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접합된 수지필름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전진하여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 상기 제1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종이와 수지필름이 접합된 부분을 절단하여 제1팩을 배출하는 제1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부침 포장기{Apparatus for packing a suture and suture needle}
본 발명은 사부침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봉합침에 봉합사가 결합된 사부침을 종이와 수지필름으로 포장할 수 있는 사부침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수술용 봉합재료로 사용되는 봉합사는 원료물질에 따라 합성봉합사와 천연봉합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생체내 흡수 여부에 따라 상처부위에 봉합된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자연분해되어 없어지는 흡수성 봉합사와 봉합된 상처부위의 조직이 봉합된 뒤에도 분해되지 않아서 재수술을 통해 봉합사를 제거해야 하는 비흡수성 봉합사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제조방법에 따라 하나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모노필라멘트 봉합사와 여러 가닥의 필라멘트를 브레이딩하여 만드는 멀티필라멘트 봉합사로 분류할 수 있다.
외과에서 봉합사를 사용할 때 봉합침에 봉합사를 부착시킨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천연 및 합성봉합사,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및 멀티필라멘트 봉합사, 흡수성 및 비흡수성 봉합사 등 모든 분야에서 오랫동안 사용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봉합침에 봉합사를 부착시킨 것을 사부침이라고 하는데, 종래 사부침을 포장하기 위해서 소독된 2개의 비닐과 종이 사이에 사부침을 위치시킨 후 가열기 등으로 가장자리를 수공에 의하여 부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사부침의 포장은 사부침에 일반균 등의 침투가 되지 않아야 하나, 포장시 작업자가 그 조각의 비닐을 벌린 후 사부침을 중앙에 위치시켜야 하므로서 아무리 청결하게 한다고 하여도 작업자가 인체에 서식하고 있는 일반균의 침투됨이 비일비재하여 결론적으로 파기 처분 등을 하여야하는 결점이 발생하는 한편, 작업자의 수공에 의하여 일일이 가열 접착 포장하여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었을뿐 아니라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아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23580호에 '사부침 포장기'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위 종래기술의 경우 사부침을 일일이 작업자가 올려두는 방식이어서 자동화라고 할 수 없었다.
그리고 열융착에 의해 종이와 수지필름이 접합된 후 이송시 오차없이 정확하게 직선 이송되기 어려운 구조이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23580 "사부침 포장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96568(2014.5.12.) "의료기기 포장롤의 제조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부침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사부침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부침이 열융착으로 포장된 상태에서 좌우로 요동없이 직선 이송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사부침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부침 포장기는, 사부침이 인입되어 고정된 사부침홀더를 종이와 수지필름 사이에 수용시키고 밀봉하여 포장하는 포장기에 있어서, 제1종이권취롤에 권취된 종이를 수평으로 공급하는 제1종이공급부; 상기 제1종이공급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적층된 사부침홀더를 간헐적으로 종이 위에 하나씩 공급하는 사부침공급부; 상기 사부침공급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1필름권취롤에 권취된 수지필름이 종이 위에 올려진 사부침홀더를 덮도록 공급하는 제1필름공급부; 상기 제1필름공급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사부침홀더가 수용되도록 수지필름을 열융착하여 종이에 접합시키는 제1열융착부; 상기 제1열융착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접합된 수지필름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전진하여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 상기 제1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종이와 수지필름이 접합된 부분을 절단하여 제1팩을 배출하는 제1절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부침공급부는, 사부침홀더가 적층된 타워와, 상기 타워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공급실린더와, 상기 공급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타워에 적층된 최하단의 사부침홀더를 푸싱하여 종이 위에 투입하는 푸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부는, 이송되는 종이의 하측에 구비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의 내부에 후방을 향해 설치되는 이송실린더와, 상기 이송프레임의 후측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이송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내부에 상향 설치되는 클램핑실린더와, 상기 클램핑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고 수지필름의 상측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수지필름의 상부면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누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프레임의 내부에 상향 설치되는 고정실린더와, 상기 고정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고 수지필름의 상측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하강하면서 이송되는 수지필름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는 상기 제1절단부의 하측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제2종이권취롤에 권취된 종이를 수평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1팩이 종이 위에 놓이게 하는 제2종이공급부; 상기 제2종이공급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2필름롤러에 권취된 수지필름이 상기 제1팩을 덮도록 공급하는 제2필름공급부; 상기 제2필름공급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팩이 수용되도록 수지필름을 열융착하여 종이에 접합시키는 제2열융착부; 상기 제2열융착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접합된 수지필름을 상기 제1이송부와 동기화 되어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 및 상기 제2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종이와 수지필름이 접합된 부분을 절단하여 제1팩이 포장된 제2팩을 배출하는 제2절단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부침이 포장된 사부침홀더를 적층한 상태에서 하나씩 자동으로 공급되므로 포장의 전 공정이 완전 자동화되므로 생산성 향상과 비용절감의 효과가 크다.
둘째, 열융착에 의한 접합이 완료된 종이와 수지필름이 가이드레일에 의해 정확하게 이송되므로 정확한 간격과 폭으로 포장이 이루어지고, 불량이 최소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사부침 포장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사부침공급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이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부침홀더, 제1팩, 제2팩을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사부침 포장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사부침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종이와 수지필름을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시켜 포장할 수 있다.
그런데 사부침을 단순히 포장하는 방식이 아니라 사부침을 홀더에 인입, 거치시켜 사부침을 고정하는 사부침홀더(h)를 종이와 수지필름으로 밀봉하여 자동으로 포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종이공급부(110), 사부침공급부(120), 제1필름공급부(130), 제1열융착부(140), 제1이송부(150), 제1절단부(16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성일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종이공급부(1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종이공급부(110)는 롤형태로 권취된 종이를 풀면서 공급한다.
상기 제1종이공급부(110)는 제1종이권취롤(111)과 상기 제1종이권취롤(111)에서 공급되는 종이를 수평으로 유도하는 제1종이롤러(112)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사부침공급부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사부침공급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사부침공급부(120)는 사부침홀더(h)를 적층한 상태에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제1종이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종이 위에 투입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사부침공급부(120)는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타워(121), 공급실린더(122) 및 푸싱부재(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워(121)는 상하로 긴 채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상기 사부침홀더(h)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타워(121) 내부에는 사부침홀더(h)가 적층된다.
이때, 상기 타워(121)의 하단에는 사부침홀더(h) 1개가 배출될 수 있도록 사부침홀더(h)의 두께보다 약간 더 큰 폭을 가지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타워(121)의 하부 일측에 공급실린더(122)가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공급실린더(122)의 로드는 상기 타워(121)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 상기 공급실린더(122)의 로드 단부에 상기 푸싱부재(123)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푸싱부재(123)는 사부침홀더(h)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형상일 수 있고 상기 타워(121)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실린더(122)가 작동하면 상기 푸싱부재(123)가 전진하면서 상기 타워(121)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사부침홀더(h)를 밀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킨다.
그리고 배출된 사부침홀더(h)는 상기 제1종이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종이의 상부면에 투입되어 놓인다.
다음으로 상기 제1필름공급부(13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필름공급부(130)는 수지필름(F)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롤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풀어지면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1필름공급부(130)는 수지필름(F)이 권취된 제1필름권취롤(131)과, 상기 제1필름권취롤(131)에서 공급되는 수지필름을 종이의 상측에 수평으로 유도하는 제1필름롤러(13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필름롤러(132)는 상기 타워(121)의 일측으로 종이 위에서 이송되는 사부침홀더(h)의 상측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필름롤러(132)에서 공급되는 수지필름(F)은 종이(P) 및 사부침홀더(h)를 덮으면서 함께 간헐적으로 전진 이송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열융착부(14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열융착부(140)는 상기 제1필름공급부(130)의 전방에 설치되되, 이송되는 수지필름(F)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강하면서 종이에 수지필름(F)을 가압하면서 열융착시켜 접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열융착부(140)는 이송되는 종이(P)의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다이와, 이송되는 수지필름(F)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다이(14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다이(142)와, 상기 상부다이(142)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1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터(143)는 폐쇄된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부침홀더(h)가 수용되도록 사부침홀더(h)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수지필름(F)을 종이에 열융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송되는 사부침홀더(h) 사이사이에 접합부가 형성되도록 열융착한다. 따라서, 사부침홀더(h)는 사방이 밀봉되면서 포장된다.
참고로 상기 히터(143)는 전기에 의해 열이 발생하도록 열선이 내설된다.
다음으로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상기 제1이송부(1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이송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제1이송부(150)는 포장되고 있는 종이(P)와 수지필름(F) 및 사부침홀더(h) 전체가 간헐적으로 전진 이송되게 하는 구성으로서,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이송프레임(151), 이송실린더(152), 가이드레일(153), 슬라이더(154), 클램핑실린더(155), 승강부재(156) 및 탄성누름판(15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프레임(151)은 상기 제1열융착부(140)의 전방에 이송되는 종이(P)의 하측에 설치,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프레임(151)의 내부에는 이송실린더(152)가 내설된다. 이때, 상기 이송실린더(152)의 로드는 후방을 향해 돌출 구비된다.
상기 이송실린더(152)의 로드에는 슬라이더(154)가 결합되어 상기 이송실린더(152)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 이동될 수 있다.
또 상기 이송프레임(151)의 후측면 양측에 평행하게 한 쌍의 가이드레일(15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153)에 상기 슬라이더(154)의 양단이 각각 안착되어 상기 슬라이더(154)는 상기 가이드레일(153)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수평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54)의 내부에는 클램핑실린더(155) 한 쌍이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클램핑실린더(155)의 로드는 각각 종이(P)와 수지필름(F)의 양단 외측으로 상향 배치된다.
상기 클램핑실린더(155)의 로드에는 승강부재(156)가 결합되어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156)의 양단에 각각 상기 클램핑실린더(155)의 로드가 결합되어 수지필름(F)의 상측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156)의 중앙에는 탄성누름판(157)이 결합된다.
상기 탄성누름판(157)은 탄성이 있는 평판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156)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어 수지필름(F)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156)가 하강한 상태가 되면 상기 탄성누름판(157)의 타단이 수지필름(F)과 종이(P)를 누른 상태가 되고,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154)가 전진하게 되므로 상기 탄성누름판(157)은 수지필름(F)과 종이(P)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앞으로 전진 이송시킬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상기 슬라이더(154)가 상기 가이드레일(153)에 의해 직선 이동하므로 수지필름(F)과 종이(P) 이송시 좌우로 요동하지 않고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54)의 이송거리는 사부침홀더(h)의 간격과 동일하도록 제어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154)의 1회 왕복에 의해 종이와 수지필름(F)은 사부침홀더(h)가 놓여진 간격과 동일한 거리만큼만 이송된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이송프레임(151)의 내부에서 고정실린더(158) 한 쌍이 이격되어 수직으로 내설되고, 상기 고정실린더(158)의 로드에는 고정부재(159)가 결합되어 승강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부재(159)는 수지필름(F)의 상측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구비되어 하강하면서 수지필름(F)과 종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가압,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59)가 종이(P)와 수지필름(F)을 고정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상기 제1절단부(160)가 절단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절단부(16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절단부(160)는 상기 제1이송부(150)의 전방에 설치되고, 열융착에 의해 접합이 완료된 수지필름(F)과 종이(P)를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여 하나의 사부침홀더(h)가 종이(P)와 수지필름(F)에 의해 포장된 제1팩(PK1)을 완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절단실린더(161), 커터(162)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실린더(161)는 수지필름(F)의 상측에 수직으로 하향 설치되고, 상기 절단실린더(161)의 로드에 상기 커터(162)가 결합되어 승강한다.
상기 커터(162)의 너비는 수지필름(F)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절단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종이(P)와 수지필름(F)이 상기 제1이송부(150)에 의해 이송될 때 상기 커터의 직하방에 접합부가 위치하도록 이송된다. 따라서, 접합부의 중앙을 정확하게 절단함으로써 제1팩(PK1)이 완성되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제1팩(PK1)을 한번 더 포장하여 제2팩(PK2)을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절단부(160)의 하측에 제2종이공급부(210)가 설치되고, 전방에 차례로 제2필름공급부(220), 제2열융착부(230), 제2이송부(240) 및 제2절단부(250)가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종이공급부(210)는 상기 제1절단부(160)의 직하방에 구비되고 제2종이권취롤(211)에서 공급되는 종이(P)를 제2종이롤러(212)에 의해 수평으로 유도하고, 상기 제1절단부(160)에서 절단되어 배출되는 제1팩(PK1)이 바로 투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절단부(160)와 인접하면서 상기 제2종이공급부(210)의 상측에 제2필름공급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필름공급부(220)의 제2필름권취롤(221)에서 공급되는 수지필름(F)이 상기 제1팩(PK1)이 종이에 올려져 있는 종이(P)를 덮도록 제2필름롤러(222)에 의해 수평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필름공급부(220)의 전방에 상기 제2열융착부(2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열융착부(230)는 상기 제1열융착부(140)의 구조와 대동소이하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팩(PK1)을 둘러싸도록 접합시킴으로써 밀봉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2열융착부(230)의 전방에 상기 제2이송부(2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이송부(240)는 상기 제1이송부(150)와 대동소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1팩(PK1)을 포장하는 수지필름(F)과 종이(P)를 간헐적으로 일정거리만큼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이송부(150)가 이송시키는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이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이송부(150)와 제2이송부(240)는 서로 동기화되어 작동된다.
또한, 상기 제2이송부(240)의 전방에 상기 제2절단부(25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2절단부(250)는 상기 제2절단부(250)와 대동소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이송되는 수지필름(F)과 종이(P)의 상기 제2열융착부(230)에 의해 접합된 접합부를 가로질러 절단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2팩(PK2)이 완성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부침홀더(h), 제1팩(PK1), 제2팩(PK2)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종이(P)와 수지필름(F)을 일정 시간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전진 이송시키는 것은 상기 제1이송부(150)와 제2이송부(240)이다.
상기 제1이송부(150)와 제2이송부(240)는 동기화되어 동시에 같은 거리만큼 종이(P)와 수지필름(F)을 이동시킨다.
상기 제1이송부(150)와 제2이송부(240)가 작동하는 동안에 상기 제1종이공급부(110)와 제2종이공급부(210), 제1필름공급부(130)와 제2필름공급부(220)가 각각 종이(P)와 수지필름(F)을 공급한다.
그러나 이때, 상기 사부침공급부(120), 제1열융착부(140)와 제2열융착부(230), 제1절단부(160)와 제2절단부(250)는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부(150)와 제2이송부(240)의 이송이 중단되면 상기 제1, 2종이공급부와 제1, 2필름공급부도 대기하게 되지만, 상기 사부침공급부(120)는 상기 공급실린더(122)의 작동으로 사부침홀더(h)를 종이 위로 투입하고, 상기 제1열융착부(140)와 제2열융착부(230)는 각각 열융착에 의해 접합을 수행하며, 상기 제1절단부(160)와 제2절단부(250)는 각각 제1팩(PK1)과 제2팩(PK2)을 절단한다.
또 이러한 사부침홀더(h)의 공급, 열융착, 절단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제1이송부(150)와 제2이송부(240)가 작동하여 종이(P)와 수지필름(F)을 이송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제1종이공급부
111 : 제1종이권취롤 112 : 제1종이롤러
120 : 사부침공급부 121 : 타워
122 : 공급실린더 123 : 푸싱부재
130 : 제1필름공급부
131 : 제1필름권취롤 132 : 제1필름롤러
140 : 제1열융착부 141 : 하부다이
142 : 상부다이 143 : 히터
150 : 제1이송부 151 : 이송프레임
152 : 이송실린더 153 : 가이드레일
154 : 슬라이더 155 : 클램핑실린더
156 : 승강부재 157 : 탄성누름판
158 : 고정실린더 159 : 고정부재
160 : 제1절단부
161 : 절단실린더 162 : 커터
210 : 제2종이공급부
211 : 제2종이권취롤 212 : 제2종이롤러
220 : 제2필름공급부
221 : 제2필름권취롤 222 : 제2필름롤러
230 : 제2열융착부
240 : 제2이송부
250 : 제2절단부
h : 사부침홀더
P : 종이 F : 수지필름
PK1 : 제1팩 PK2 : 제2팩

Claims (5)

  1. 사부침이 인입되어 고정된 사부침홀더를 종이와 수지필름 사이에 수용시키고 밀봉하여 포장하는 포장기에 있어서,
    제1종이권취롤에 권취된 종이를 수평으로 공급하는 제1종이공급부;
    상기 제1종이공급부의 측면에 설치되고 사부침홀더가 적층된 타워와, 상기 타워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공급실린더와, 상기 공급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타워에 적층된 최하단의 사부침홀더를 푸싱하여 종이 위에 투입하는 푸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부침홀더를 간헐적으로 종이 위에 하나씩 공급하는 사부침공급부;
    상기 사부침공급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1필름권취롤에 권취된 수지필름이 종이 위에 올려진 사부침홀더를 덮도록 공급하는 제1필름공급부;
    상기 제1필름공급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사부침홀더가 수용되도록 수지필름을 열융착하여 종이에 접합시키는 제1열융착부;
    상기 제1열융착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이송되는 종이의 하측에 구비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의 내부에 후방을 향해 설치되는 이송실린더와, 상기 이송프레임의 후측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이송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내부에 상향 설치되는 클램핑실린더와, 상기 클램핑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고 수지필름의 상측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수지필름의 상부면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누름판과, 상기 이송프레임의 내부에 상향 설치되는 고정실린더와, 상기 고정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고 수지필름의 상측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하강하면서 이송되는 수지필름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이송부;
    상기 제1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종이와 수지필름이 접합된 부분을 절단하여 제1팩을 배출하는 제1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부침 포장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단부의 하측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제2종이권취롤에 권취된 종이를 수평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1팩이 종이 위에 놓이게 하는 제2종이공급부;
    상기 제2종이공급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2필름롤러에 권취된 수지필름이 상기 제1팩을 덮도록 공급하는 제2필름공급부;
    상기 제2필름공급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팩이 수용되도록 수지필름을 열융착하여 종이에 접합시키는 제2열융착부;
    상기 제2열융착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접합된 수지필름을 상기 제1이송부와 동기화 되어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 및
    상기 제2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종이와 수지필름이 접합된 부분을 절단하여 제1팩이 포장된 제2팩을 배출하는 제2절단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부침 포장기.
KR1020210021455A 2021-02-17 2021-02-17 사부침 포장기 KR102339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455A KR102339863B1 (ko) 2021-02-17 2021-02-17 사부침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455A KR102339863B1 (ko) 2021-02-17 2021-02-17 사부침 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863B1 true KR102339863B1 (ko) 2021-12-16

Family

ID=7903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455A KR102339863B1 (ko) 2021-02-17 2021-02-17 사부침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8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580Y1 (ko) 1994-07-05 1998-08-17 이상호 사부침 포장기
US20080257767A1 (en) * 2007-04-17 2008-10-23 Crescent Manufactur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ackaging cutting blades
KR101396568B1 (ko) 2013-11-01 2014-05-20 정수현 의료기기 포장롤의 제조장치
JP2017171339A (ja) * 2016-03-23 2017-09-28 池田機械工業株式会社 自動キャップ供給装置
KR20200137757A (ko) * 2019-05-31 2020-12-09 김혜영 박스 포장용 테이핑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580Y1 (ko) 1994-07-05 1998-08-17 이상호 사부침 포장기
US20080257767A1 (en) * 2007-04-17 2008-10-23 Crescent Manufactur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ackaging cutting blades
KR101396568B1 (ko) 2013-11-01 2014-05-20 정수현 의료기기 포장롤의 제조장치
JP2017171339A (ja) * 2016-03-23 2017-09-28 池田機械工業株式会社 自動キャップ供給装置
KR20200137757A (ko) * 2019-05-31 2020-12-09 김혜영 박스 포장용 테이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865B1 (ko) 의료용 칼날 포장기
JP2018162105A (ja) ヒートシール装置
CN105667898A (zh) 用于生产食品的密封包装的密封夹爪
SK281272B6 (sk) Spôsob balenia spracovaného syra a zariadenie na vykonávanie tohto spôsobu
RU2005115841A (ru) Сварочная губка упаковочной машины
KR102339863B1 (ko) 사부침 포장기
US4380485A (en) Method of making breathable receptacles
KR101396568B1 (ko) 의료기기 포장롤의 제조장치
KR20200041026A (ko) 건열멸균기용 멸균 포장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SK73799A3 (en) Device and procedure for manufacturing and stacking plastic bags
US4514965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packing medical appliances for sterilization
CN213974722U (zh) 一种真空覆膜机
JP2001148939A (ja) 培養基の袋詰め装置
KR20130021166A (ko) 포장지 필름용 가공품 부착장치
CN210653763U (zh) 端子热封设备
CN209988196U (zh) 自动套袋装置及自动套袋设备
CA1080596A (en) Machine for applying a semipermeable patch on a plastic bag
KR200350388Y1 (ko) 담배보루 자동적층 비닐포장장치
JP2618842B2 (ja) 茸菌の充填装置
US4481006A (en) Bag making method and machine
JPH05201427A (ja) 二重連続包装方法及びその装置
JPH01258944A (ja) フィルター付き袋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ES2317149T3 (es) Maquina horizontal de manipulacion de envases.
EP1010653A1 (en) Tape splicing method,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220616419U (zh) 一种定量进料的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