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000B1 - 자동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000B1
KR102339000B1 KR1020200084615A KR20200084615A KR102339000B1 KR 102339000 B1 KR102339000 B1 KR 102339000B1 KR 1020200084615 A KR1020200084615 A KR 1020200084615A KR 20200084615 A KR20200084615 A KR 20200084615A KR 102339000 B1 KR102339000 B1 KR 102339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ransfer
conveyor
control unit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9000B9 (ko
Inventor
정영화
이연형
정동연
Original Assignee
(주)대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호테크 filed Critical (주)대호테크
Priority to KR1020200084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000B1/ko
Priority to CN202110591535.0A priority patent/CN113910523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000B1/ko
Publication of KR10233900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00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16Gear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06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 C03B11/08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for making solid articles, e.g. 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005Transporting hot solid glass products other than sheets or rods, e.g. lenses, prisms, by suction or floa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15/00Press-moulding glass
    • C03B2215/40Product characteristics
    • C03B2215/46Lenses, e.g. bi-convex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 이송 장치는,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 및 상기 컨베이어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서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은,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상기 컨베이어에 의한 금형의 이송을 차단하거나 재개되게 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AUTOMATIC TRANSFER DEVICE AND LENS FORM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금형에 투입된 원재료를 공급받아 성형하는 렌즈 성형기와 연결되어, 원재료가 투입된 금형을 이송하는 자동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렌즈는 곡면 부위를 갖는 유리를 말하며, 최근의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등의 휴대 단말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렌즈는 연삭법 또는 프레스 성형법으로 생산될 수 있는데, 연삭법은 대량 생산에 부적합하며, 프레스 성형법에 비하여 품질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금형에 평판 형태(2차원 형상)의 반제품을 넣고, 해당 금형을 고온 가열 공정, 성형 공정, 냉각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하여, 3차원 형상의 유리 완제품을 성형하는 프레스 성형법이 많이 사용된다.
예컨대 본 출원인의 선등록특허 제10-1775333호(2017.08.31. 등록)에는 평판 형태의 유리를 공급받아 3차원 형상으로 성형한 후 취출하는 유리 성형기가 개시되어 있다.
원재료 또는 반제품을 성형기로 투입하고, 성형이 완료된 3차원 형상의 유리 완제품을 취출하는 공정이 자동화될 수 있도록, 성형기에는 유리와 금형을 이송하는 시스템이 연결된다.
예컨대 본 출원인의 선등록특허 제10-1914436호(2018.10.29. 등록)에는 성형기와 연결되어 금형을 이송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성형기, 그리고 이에 연결되는 이송 장치는 3차원 형상의 유리를 생산하는 하나의 유리 성형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특히 하나의 성형기에 의해 완제품을 제작할 수 없는 경우, 둘 이상의 성형기에서 연속적으로 성형 작업을 거쳐 완제품을 생산하기도 한다. 따라서 둘 이상의 성형기를 이용해 완제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성형 작업의 자동화가 필요하며, 둘 이상의 성형기 간 금형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은 둘 이상의 렌즈 성형기 간 금형을 자동으로 이송하는 자동 이송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금형의 이송 방향 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자동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금형을 동시에 이송하여 렌즈 성형 시스템의 연속적인 성형 동작을 원활하게 만드는 자동 이송 장치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둘 이상의 금형이 같이 이송되었을 때, 하나씩 순차적으로 렌즈 성형기에 투입되게 하도록 이송 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수의 금형을 이송하는 동안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구성의 자동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 이송 장치는,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 및 상기 컨베이어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서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은,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상기 컨베이어에 의한 금형의 이송을 차단하거나 재개되게 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에 의해 두 금형의 이송이 차단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는 상기 두 금형의 사이로 전진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금형은 원기둥의 옆면에 해당하는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두 금형의 외주면 사이로 삽입되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에 가까워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자동 이송 장치는 상기 금형의 도착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서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동작과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센서에 의한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상기 컨베이어는, 벨트; 및 상기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금형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벨트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금형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이송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하 방향에서 상기 벨트와 상기 이송 가이드 사이의 영역을 통해 전진하거나 후퇴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이송 가이드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차단 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차단 부재의 출입구를 형성한다.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플레이트가 상기 컨베이어의 측벽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측벽과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는 연결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은, 상기 연결 부재의 반대쪽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를 구성하는 공압 실린더; 상기 공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며,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와 대응되는 위치로 연장되는 바(bar);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로드 하우징; 및 상기 로드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로드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와 상기 바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공압 실린더의 구동력을 상기 차단 부재에 전달하도록 상기 바와 상기 차단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금형이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사이에 설치되는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에 도착하기 전,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는 상기 컨베이어에 의한 금형의 이송 경로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는 상기 이송 경로로부터 벗어나 있으며,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에 의해 상기 금형의 이송이 차단되는 위치까지 상기 금형이 이송되면,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가 상기 이송 경로로부터 벗어나 상기 금형의 이송을 재개된다.
둘 이상의 금형이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에 의해 가로막히는 위치까지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같이 이송되면, 두 금형 사이에서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가 전진하여 뒤쪽 금형의 이송을 차단하고, 상기 뒤쪽 금형의 이송이 차단된 후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가 후퇴하여 앞쪽 금형의 이송을 재개되게 한다.
상기 앞쪽 금형의 이송이 재개된 후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가 전진하고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가 후퇴하여 상기 뒤쪽 금형을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에 의해 차단되는 위치까지 이송되게 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말단까지 상기 앞쪽 금형의 이송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가 후퇴하여 상기 뒤쪽 금형의 이송을 재개되게 한다.
상기 뒤쪽 금형의 이송이 재개된 후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가 전진하고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가 후퇴하여 상기 금형의 도착 전 상태로 복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재 장치로부터 1차 렌즈 성형기로의 금형 이송, 1차 렌즈 성형기로부터 2차 렌즈 성형기로의 금형 이송이 하나의 자동 이송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자동 이송 장치는 다수의 금형을 동시에 이송할 수 있어, 렌즈 성형 시스템의 연속적인 성형 동작을 원활하게 만든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에 의한 선형 이송과 푸시 유닛에 의한 방향 전환 이송이 센서를 기반으로 자동화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둘 이상의 금형이 연속적으로 이송되었을 때, 두 금형 간의 이송 시점을 서로 시간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둘 이상의 금형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면, 1차 렌즈 성형기와 2차 렌즈 성형기에 의한 연속적인 성형 동작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두 금형 사이의 이송 시점이 시간적으로 서로 이격되면, 위와 같은 차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와 같은 방향으로 푸시 동작을 하는 제2 푸시 유닛이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여, 컨베이어에 의한 금형의 이송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 이송 장치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의 개념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성형 시스템의 평면도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동 이송 장치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다.
도 5는 자동 이송 장치의 제1 이송부를 보인 사시도다.
도 6은 자동 이송 장치의 제1 이송부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다.
도 7은 자동 이송 장치의 제2 이송부의 제1 컨베이어와 그 주변을 보인 사시도다.
도 8은 자동 이송 장치의 제2 이송부의 제2 컨베이어와 그 주변을 보인 사시도다.
도 9는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동작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자동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 이송 장치(400)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1000)의 개념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성형 시스템(1000)의 평면도다.
렌즈 성형 시스템(1000)은 둘 이상의 렌즈 성형기(100, 200), 이재 장치(300) 그리고 자동 이송 장치(400)를 포함한다.
렌즈 성형기(100, 200)는 금형(M)과 상기 금형(M)에 투입된 원재료 또는 반제품을 공급받아 성형하여 배출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성형 대상물인 유리 원재료는 금형(M)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렌즈 성형기(100, 200)로 투입되고, 성형 공정 후 렌즈 성형기(100, 200)로부터 배출된다.
렌즈 성형 시스템(1000)에는 둘 이상의 렌즈 성형기(100, 200)가 구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일한 렌즈 성형기(100, 200)가 나란히 배열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원재료가 투입된 금형(M)이 두 렌즈 성형기(100, 200) 중 하나에 먼저 투입되어 1차 성형이 이루어지고, 그 후 다른 하나에 투입되어 2차 성형이 이루어진다.
1차 렌즈 성형기(100)에 공급되는 금형(M)에는 원재료가 투입되어 있고, 2차 렌즈 성형기(200)에 공급되는 금형(M)에는 1차 렌즈 성형기(100)에서 성형된 반제품이 투입되어 있다.
렌즈 성형기(100, 200)에는 로딩부(110, 210)가 구비된다. 로딩부(110, 210)란 원재료 또는 반제품이 투입된 금형(M)을 공급받기 위해 작업대(4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가리킨다.
로딩부(110, 210)에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안착부가 구비된다. 후술하게 될 자동 이송 장치(400)에 의해 금형(M)이 안착부로 이송되면, 로딩부(110, 210)의 안착부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렌즈 성형기(100, 200) 내부로 금형을 이송하게 된다. 원재료 또는 반제품은 금형(M)과 함께 렌즈 성형기(100, 200) 내부로 이송되어 성형된다.
이재 장치(300)는 원재료를 금형(M)에 투입하고, 금형(M)을 개방하여 완제품을 취출하도록 형성된다.
이재 장치(300)에는 자동으로 투입 및 취출 동작을 수행하는 로봇 팔(310)이 설치된다. 또한 이재 장치(300)에는 2차 렌즈 성형기(200)로부터 배출되는 금형(M)을 공급받기 위한 로딩부(320)가 구비된다. 상기 로봇 팔(310)은 이재 장치(300)에 적재된 빈 금형(M)에 원재료를 투입하고, 원재료가 투입된 금형을 후술하게 될 자동 이송 장치(400)로 공급한다. 또한 로봇 팔(310)은 2차 렌즈 성형기(200)에서 로딩부(320)로 배출되는 금형(M)으로부터 완제품을 취출하고, 다시 그 금형에 원재료를 투입하여 자동 이송 장치(400)로 공급하기도 한다.
자동 이송 장치(400)는 이재 장치(300)의 로봇 팔(310)로부터 원재료가 투입된 금형을 공급받는다. 자동 이송 장치(400)는 공급받은 금형(M)을 1차 렌즈 성형기(100)의 로딩부(110)로 이송한다. 그리고 1차 렌즈 성형기(100)에서 성형이 이루어진 후 반제품과 금형(M)이 배출되면, 자동 이송 장치(400)는 반제품이 투입된 금형(M)을 다시 2차 렌즈 성형기(200)의 로딩부(210)로 이송한다. 자동 이송 장치(400)의 자동 이송 동작에 의해 두 렌즈 성형기(100, 200)에서의 렌즈 성형이 순차적 그리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렌즈 성형 시스템(1000)에 구비되는 렌즈 성형기(100, 200)는 로딩부(110, 210)를 같은 방향으로 향하도록 양 옆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로딩부(110, 210)가 향하는 방향에 이재 장치(300)와 자동 이송 장치(400)가 양 옆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따라서 자동 이송 장치(400)에서는 금형(M)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켜 1차 렌즈 성형기(100)의 로딩부(110, 210)로 금형(M)을 공급해야 하며, 1차 렌즈 성형기(100)에서 배출된 금형(M)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켜 2차 렌즈 성형기(200)의 로딩부(110, 210)로 공급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는 자동 이송 장치(400)의 구조와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동 이송 장치(400)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다.
자동 이송 장치(400)는 작업대(430)에 설치되는 제1 이송부(410)와 제2 이송부(420)를 포함한다.
제1 이송부(410)란 원재료가 투입된 금형(M)을 1차 렌즈 성형기(100)로 이송하는 구성을 가리킨다. 그리고 제2 이송부(420)란 1차 렌즈 성형기(100)에서 배출되는 금형(M)을 2차 렌즈 성형기(200)로 이송하는 구성을 가리킨다.
제1 이송부(410)와 제2 이송부(420)는 공통적으로 컨베이어(411, 421, 422), 스토퍼(413, 423), 금형 도착 감지 센서(414, 424), 푸시 유닛(415, 425)을 포함한다. 제1 이송부(410)와 제2 이송부(420)의 구성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서수를 부가하여 이름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이송부(420)에는 두 개의 컨베이어(421, 422)가 구비되므로, 각각을 제1 컨베이어(421)와 제2 컨베이어(422)로 이름하거나, 제2-1 컨베이어(421)와 제2-2 컨베이어(422)로 이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이송부(410)의 컨베이어(411)를 제1 컨베이어(411)로 이름하고, 제2 이송부(420)의 두 컨베이어(421, 422)를 제2 컨베이어(421)와 제3 컨베이어(422)로 이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서수의 부가는 단지 서로를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컨베이어(411, 421, 422)는 금형(M)을 선형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된다. 금형(M)에는 원재료 또는 반제품이 투입되어 있다. 선형이란 이송 방향의 변화 없이 한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의 이송 방향은 수평 방향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411, 421, 422)는 벨트(411a, 421a, 422a), 상기 벨트(411a, 421a, 422a)를 양쪽에서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풀리(미도시), 벨트(411a, 421a, 422a)를 감싸는 프레임(411b, 421b, 422b), 풀리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411c, 421c, 422c) 등으로 이루어진다. 모터(411c, 421c, 422c)의 회전 구동력이 풀리로 전달되면, 풀리가 회전하게 되고, 벨트(411a, 421a, 422a)가 풀리를 따라 회전하면서 벨트(411a, 421a, 422a) 위에 놓여 있는 금형(M)을 한 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컨베이어(411, 421, 422)의 구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베이어(411, 421, 422)는 다수의 롤러가 프레임(411b, 421b, 422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컨베이어(411, 421, 422)는 높이 조절 장치(411d, 421d, 422d)에 의해 작업대(430)에 연결된다. 높이 조절 장치(411d, 421d, 422d)는 프레임(411b, 421b, 422b)에 연결될 수 있다. 높이 조절 장치(411d, 421d, 422d)는 컨베이어(411, 421, 422)를 지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컨베이어(411, 421, 422)의 높이를 미세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컨베이어(411, 421, 422)의 높이는 이재 장치(300), 1차 렌즈 성형기(100), 2차 렌즈 성형기(200)의 높이에 의해 결정된다.
스토퍼(413, 423)는 컨베이어(411, 421)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411, 421)에 의해 이송되는 금형(M)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컨베이어(411, 421)의 말단이란 상기 컨베이어(411, 421)에 의해 이송되는 금속의 도착 지점을 가리키는 것으로, 컨베이어(411, 421)의 풀리와 인접한 위치를 의미한다.
스토퍼(413, 423)는 컨베이어(411, 421)에 의해 이송되는 금형(M)을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컨베이어(411, 421)에 의해 금형(M)이 말단까지 이송되면, 컨베이어(411, 421)의 벨트(411a, 421a)가 계속 움직이더라도 금형(M)은 스토퍼(413, 423)에 의해 정지하게 된다.
금형 도착 감지 센서(414, 424)는 스토퍼(413, 423)의 주위에 설치된다. 스토퍼(413, 423)의 주위란 스토퍼(413, 423)에 의해 정지된 금형(M)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를 가리킨다. 예컨대 금형 도착 감지 센서(414, 424)는 스토퍼(413, 423)의 바로 위나 양 옆에 설치될 수 있다.
금형 도착 감지 센서(414, 424)는 스토퍼(413, 423)에 금형(M)이 도착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금형 도착 감지 센서(414, 424)로는 광센서, 근접센서 등 다양한 방식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컨베이어(411, 421)가 계속 동작하게 되면 컨베이어(411, 421, 422)에 의해 이송되는 금형(M)은 스토퍼(413, 423)가 위치하는 곳까지 이송되고, 스토퍼(413, 423)에 의해 정지된 상태에서 금형 도착 감지 센서(414, 424)에 의해 금형(M)의 이송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 이송 장치(400)는 한 방향으로 금형(M)을 이송하는 것이 아니라, 컨베이어(411, 421)에 의해 이송되는 금형(M)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켜 1차 렌즈 성형기(100)의 로딩부(110)나 2차 렌즈 성형기(200)의 로딩부(210)로 금형(M)을 공급해야 한다. 푸시 유닛(415, 425)은 금형(M)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금형 도착 감지 센서(414, 424)에 의해 스토퍼(413, 423)에 금형(M)이 도착했음을 감지하게 되면, 푸시 유닛(415, 425)은 금형(M)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컨베이어(411, 421)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금형(M)을 밀게 된다. 컨베이어(411, 421)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이란 수평 방향을 따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베이어(411, 421)에 의한 선형 이송, 스토퍼(413, 423)에 의한 금형(M) 정지, 금형 도착 감지 센서(414, 424)에 의한 금형(M) 감지, 푸시 유닛(415, 425)에 의한 금형(M) 가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금형(M)이 한 방향으로 이송되다가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전환된 방향으로 계속 이송된다.
자동 이송 장치(400)에 의해 다수 금형(M)이 연속적으로 이송되려면, 위와 같은 연속적인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만약 어느 한 지점에서 금형(M)의 이송이 지체되거나 정상적인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다른 금형(M)의 이송이나 렌즈 성형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러한 현상을 미리 감지하여 적절한 대책 동작이 실행되어야 한다.
특히, 앞서 이송되고 있는 금형(M)의 이송이 지체되거나 정상적이지 않은데, 계속해서 다음 금형(M)이 투입되어 이송되는 경우에 대한 대책 동작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 대한 대책 동작 실행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컨베이어(411, 421, 422)마다 금형 통과 감지 센서(416, 426a, 426b, 426c)를 설치하여 정상적으로 금형(M)이 통과되었는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기반하여 추가적인 금형(M)의 이송을 제어한다. 참고로, 금형 통과 감지 센서(416, 426a, 426b, 426c)에는 커버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센서들도 마찬가지다.
구체적으로 금형 통과 감지 센서(416, 426a, 426b, 426c)는 컨베이어(411, 421, 422)에 이송되는 금형(M)을 감지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다. 예컨대 컨베이어(411, 421, 422)는 벨트(411a, 421a, 422a)와 이송 가이드(411e, 421e, 422e)를 포함하는데, 금형 통과 감지 센서(416, 426a, 426b, 426c)는 이송 가이드(411e, 421e, 422e) 위에 설치되어 금형(M)의 통과를 감지한다.
금형 통과 감지 센서(416, 426a, 426b, 426c)는 일측 이송 가이드(411e, 421e, 422e)에 설치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는 마주보도록 타측 이송 가이드(411e, 421e, 422e)에 설치되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송 가이드(411e, 421e, 422e)란 벨트(411a, 421a, 422a)에 의해 이송되는 금형(M)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벨트(411a, 421a, 422a)의 양측에 배치되는 부재를 가리킨다. 이송 가이드(411e, 421e, 422e)는 금형(M)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에 따라 금형(M)은 양측 이송 가이드(411e, 421e, 422e)의 사이에서 벨트(411a, 421a, 422a)를 따라 이송하면서 양측 이송 가이드(411e, 421e, 422e)에 의해 벨트(411a, 421a, 422a)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한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 가이드(411e, 421e, 422e)의 상면이 위치하는 높이는 벨트(411a, 421a, 422a)보다는 높고, 벨트(411a, 421a, 422a)에 의해 이송되는 금형(M)의 상단보다는 낮은 위치다. 따라서, 금형 통과 감지 센서(416, 426a, 426b, 426c)가 이송 가이드(411e, 421e, 422e)의 상면에 설치되면, 컨베이어(411, 421, 422)에 의해 이송되는 금형(M)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금형 통과 감지 센서(416, 426a, 426b, 426c)에서 적절한 시점에 금형(M)의 이송이 감지되지 않거나, 이송 중 이상이 감지되면, 금형(M)의 이송이 지체되는 것으로 파악하여 다음 금형(M)의 이송을 제어한다. 적절한 시점은 동시에 다수의 금형(M)을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한 시간적 기준에 의해 결정된다.
자동 이송 장치(400)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어느 한 금형(M)을 기준으로 이송 경로를 상류와 하류로 구분한다면, 그 다음 금형(M)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해 상류측 이송 장비가 제어되어야 한다.
예컨대 제1 이송부(410)의 금형 통과 감지 센서(416)에서 적절한 시점에 금형(M)의 이송이 감지되지 않거나 이송 중 이상이 감지되면, 로봇 팔(310)이나 후술하게 될 수직 이송부(417) 또는 수평 이송부(418)의 동작이 제어된다. 다른 예로, 제2 이송부(420)의 금형 통과 감지 센서(416, 426a, 426b, 426c)에서 적절한 시점에 금형(M)의 이송이 감지되지 않거나, 이송 중 이상이 감지되면 제1 이송부(410)의 동작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제1 이송부(410)의 컨베이어(411)에 설치된 금형 통과 감지 센서(416)에서 적절한 시점에 금형(M)의 이송이 감지되지 않으면, 로봇 팔(310)이 금형(M)을 제1 이송부(410)로 공급하지 않고 대기한다. 시간이 지나 금형 통과 감지 센서(416)에서 금형(M)의 통과가 감지되면, 다시 로봇 팔(310)이 동작하여 제1 이송부(410)에 금형(M)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하나의 렌즈 성형 시스템(1000)에서 여러 금형(M)들이 동시에 이송되면서, 그 안의 원재료 또는 반제품이 순차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이송부(410)와 제2 이송부(420)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 이송부(4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자동 이송 장치(400)의 제1 이송부(410)를 보인 사시도다.
도 6은 자동 이송 장치(400)의 제1 이송부(410)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다.
제1 이송부(410) 컨베이어(411)에 의한 금형(M)의 이송이 시작되는 곳을 이송 가이드(411e)의 입구쪽이라고 한다면, 상기 입구쪽의 양측 이송 가이드(411e) 사이의 간격은 컨베이어(411)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구쪽에서 금형(M)이 벨트(411a)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이송 가이드(411e)의 경사진 구조에 의해 가이드 되어 벨트(411a)의 중앙으로 옮겨진 후 이송된다.
제1 이송부(410)는 수직 이송부(417)와 수평 이송부(418)를 포함한다.
수직 이송부(417)는 이재 장치(300)의 로봇 팔(310)로부터 원재료가 투입되어 있는 금형(M)을 공급받아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된다. 수직 이송부(417)는 로봇 팔(310)로부터 공급받은 금형(M)을 컨베이어(411)의 벨트(411a)와 대응되는 높이까지 이송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움직인다.
로봇 팔(310)로부터 금형(M)을 공급받기 위해 수직 이송부(417)는 컨베이어(411)의 입구쪽에 설치된다. 컨베이어(411)의 입구쪽은 컨베이어(411)를 기준으로 스토퍼(413)가 설치되는 쪽의 반대쪽에 해당하며, 이재 장치(300)를 향해 있다.
수직 이송부(417)의 구동부(미도시)는 컨베이어(411, 421, 422)의 입구쪽에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프레임(411b)은 벨트(411a)의 전방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부는 벨트(411a)의 전방에서 프레임(411b)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는 예를 들어 공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직 이송부(417)의 금형 안착부(417a)는 구동부에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움직인다. 구동부가 공압 실린더로 구성되면, 안착부는 공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미도시)와 연결되어 피스톤 로드를 따라 구동부에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구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구동부가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피스톤 로드와 금형 안착부(417a)도 수직 방향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금형 안착부(417a)는 로봇 팔(310)로부터 공급되는 금형(M)의 안착을 위한 평면을 제공한다. 구동부가 작동하여 금형 안착부(417a)가 로봇 팔(310)의 가동 범위까지 상승하게 되면, 로봇 팔(310)이 가동 범위 내에서 금형(M)을 금형 안착부(417a)로 옮기게 된다. 이후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금형 안착부(417a)가 구동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면, 금형(M)을 벨트(411a)와 대응되는 높이까지 이송하게 된다.
구동부가 컨베이어(411)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금형 안착부(417a)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는, 수평 방향에서 피스톤 로드와 벨트(411a)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야 한다. 금형 안착부(417a)가 피스톤 로드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위와 같은 이격으로 인해 금형(M)이 벨트(411a)로 수평 이송되는 과정에서 금형(M)의 낙하가 발생할 수 있다.
금형 안착부(417a)는 벨트(411a)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17b)를 구비하여 위와 같은 낙하를 방지한다.
돌출부(417b)는 양측 이송 가이드(411e)의 사이로 삽입되는 위치까지 돌출될 수 있다.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금형(M)이 벨트(411a)의 상면과 대응되는 높이까지 이송되었을 때, 돌출부(417b)는 벨트(411a)의 위에 배치된다. 벨트(411a)의 위란 on과 above의 개념을 모두 포함한다.
수직 이송부(417)가 동작하여 금형(M)을 벨트(411a)와 대응되는 높이로 이송하고 나면, 수평 이송부(418)가 동작하여 금형(M)을 컨베이어(411)로 이송하게 된다.
수평 이송부(418)는 수직 이송부(417)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송된 금형(M)을 수평 방향으로 가압하여 컨베이어(411)로 이송하는 구성이다. 수평 이송부(418)는 수직 이송부(417)와 시간차를 두고 동작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금형(M)을 대상으로 수직 이송부(417)가 동작한 후에 수평 이송부(418)가 동작하게 된다. 로봇 팔(310)이 수직 이송부(417)에 금형(M)을 공급하기 때문이다.
또한, 수직 이송부(417)와 수평 이송부(418)간 동작 범위가 겹쳐질 수 있으므로, 서로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도 시간차를 두고 동작 전 위치로 복귀되어야 한다. 제1 이송부(410)의 컨베이어(411)로 금형(M)을 이송한 다음에는, 수평 이송부(418)가 동작 전의 위치로 먼저 복귀한다. 그 후 수직 이송부(417)가 동작 전의 위치로 복귀하여 서로 간의 간섭을 피한다.
수평 이송부(418)도 수직 이송부(417)와 마찬가지로 구동부(418a)를 구비한다. 두 구동부는 구분을 위해 수평 이송 구동부(418a) 혹은 수평 구동부(418a), 수직 이송 구동부 혹은 수직 구동부라고 이름할 수 있다.
수평 이송부(418)의 구동부(418a)도 컨베이어(411)의 입구쪽에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프레임(411b)은 벨트(411a)의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 이송부(418)의 구동부(418a)는 벨트(411a)의 측 방향에서 프레임(411b)에 설치될 수 있다. 수평 이송부(418)의 구동부(418a)는 예를 들어 공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418a)가 공압 실린더로 구성되면, 공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418a')는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수평 이송부(418)의 연장부(418b)는 피스톤 로드(418a')를 통해 구동부(418a)에 연결되며, 피스톤 로드(418a')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움직인다.
연장부(418b)는 수평 이송부(418)의 구동 과정에서 수직 이송부(417)의 안착부와 간섭을 피하기 위해 수직 이송부(417)와 중첩되지 않는 궤적을 따라 컨베이어(411)의 상측을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예컨대, 도면을 참조하면 연장부(418b)가 컨베이어(411)의 공급 방향에서 금형 안착부(417a)와 중첩되지 않도록 피스톤 로드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상향 연장되고 다시 방향을 전환하여 측 방향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연장부(418b)가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금형(M)을 수직 이송 완료한 금형 안착부(417a)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연장부(418b)에는 금형 가압부(418c)가 연결된다. 금형 가압부(418c)는 수직 이송부(417)에 의해 금형(M)이 벨트(411a)의 상면과 대응되는 높이까지 이송되었을 때 금형(M)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까지 돌출된다. 이를테면 금형 가압부(418c)는 안착부에 놓인 금형(M)과 대응되는 위치까지 하향 돌출되고, 다시 컨베이어(411)의 이송 방향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연장부(418b)와 금형 가압부(418c)는 구동부(418a)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움직인다. 구동부(418a)가 공압 실린더로 구성되면, 연장부(418b)와 금형 가압부(418c)는 공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418a')와 연결되어 피스톤 로드(418a')를 따라 구동부(418a)에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구동부(418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구동부(418a)가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장부(418b)와 금형 가압부(418c)도 수평 방향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금형 가압부(418c)는 안착부에 놓인 금형(M)을 수평 방향으로 밀어 컨베이어(411)의 벨트(411a) 위로 이송하게 된다.
금형 가압부(418c)에서 금형(M)과 접촉되는 부분은 금형(M)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예컨대 금형(M)의 외주면이 원기둥의 옆면에 해당하는 볼록한 곡면이라면, 금형 가압부(418c)는 오목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수평 이송부(418)의 금형 가압부(418c)뿐만 아니라 다른 푸시 유닛(415, 425, 429)의 금형 가압부도 마찬가지다.
수직 이송부(417)와 수평 이송부(418)의 순차적인 동작에 의해 금형(M)이 제1 컨베이어(411)의 벨트(411a)로 옮겨지고 나면, 금형(M)은 벨트(411a)를 따라 선형으로 이송된다. 금형(M)의 이송 경로 중간에 설치된 금형 통과 감지 센서(416)는 적절한 시점에 금형(M)의 통과가 감지되지 않으면, 금형(M)의 이송이 지체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로봇 팔(310)이나, 수직 이송부(417) 또는 수평 이송부(418)의 동작을 대기 상태로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하였다.
제1 이송부(410)의 컨베이어(411)에 의한 금형(M)의 도착 지점에서 양측 이송 가이드(411e)는 스토퍼(413)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송 가이드(411e)가 스토퍼(41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은 컨베이어(411)의 이송 방향이다. 따라서 상기 도착 지점에 도착한 금형(M)은 이송 가이드(411e)와 스토퍼(413) 사이의 영역(A)을 통해 벨트(411a)의 외측으로 이송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1 이송부(410)의 푸시 유닛(415)은 이송 가이드(411e)와 스토퍼(413) 사이의 영역을 통해 벨트(411a)의 외측으로 금형(M)을 밀어내도록 형성된다.
푸시 유닛(415)의 가이드 레일(415a)은 컨베이어(411)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 레일(415a)은 컨베이어(411) 또는 스토퍼(413)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컨베이어(411)의 양측에 기둥(415b)이 하나씩 설치되고, 가이드 레일(415a)은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두 기둥(415b)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푸시 유닛(415)의 연장부(415c)는 가이드 레일(415a)에 연결되어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연장부(415c)는 컨베이어(411)의 상측에서 하향 연장되며, 이성 가이드와 스토퍼(413) 사이의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푸시 유닛(415)의 금형 가압부(415d)는 연장부(415c)를 통해 가이드 레일(415a)에 연결된다. 따라서 연장부(415c)가 가이드 레일(415a)을 따라 선형 이동하면, 금형 가압부(415d)도 가이드 레일(415a)을 따라 선형 이동하게 된다. 상기 선형 이동에 의해 금형 가압부(415d)는 스토퍼(413)와 이송 가이드(411e)의 사이 영역으로 출입하면서 스토퍼(413)에 접촉되어 있는 금형(M)을 벨트(411a)의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금형 가압부(415d)는 1차 렌즈 성형기(100)의 로딩부(110, 210)까지 금형(M)을 밀어낸다. 금형(M)을 밀어낸 금형 가압부(415d)는 연장부(415c)를 따라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푸시 유닛(415)은 공압 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3 내지 도 4,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2 이송부(4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이송부(420)에는 둘 이상의 컨베이어(421, 422), 둘 이상의 푸시 유닛(425, 429), 둘 이상의 센서(426a, 426b, 426c, 426d, 426e) 등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서로를 구분하기 위해 서수를 부가하여 이름한다.
도 7은 자동 이송 장치(400)의 제2 이송부(420)의 제1 컨베이어(421)와 그 주변을 보인 사시도다.
제2 이송부(420)의 제1 컨베이어(421)는 1차 렌즈 성형기(100)에서 배출되는 금형(M)을 이송하도록 형성된다. 1차 렌즈 성형기(100)의 로딩부(110)가 금형(M)을 1차 렌즈 성형기(100)의 내부로 이송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컨베이어(421)가 금형(M)을 선형 이송한다.
제1 컨베이어(421)의 양측에 이송 가이드(421e)가 설치되고, 양측 이송 가이드(421e) 사이의 입구쪽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이송 가이드(421e)의 위에는 금형 통과 감지 센서(426a)가 설치된다. 금형 통과 감지 센서(426a)는 이송 가이드(421e)의 입구쪽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금형 통과 감지 센서(426a)에서 적절한 시점에 금형(M)의 통과가 감지되지 않으면, 1차 렌즈 성형기(100)에서 성형이 지체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이송부(410)에 의한 금형(M)의 이송을 대기 상태로 정지시킨다. 시간이 지나 금형(M)의 이송의 정상적으로 감지되면 제1 이송부(410)는 금형(M)의 이송을 재개하도록 제어된다.
제1 컨베이어(421)의 길이는 앞서 제1 이송부(410)의 컨베이어(411)에 의한 이송 거리보다 짧다. 제1 컨베이어(421)의 이송 거리는 2차 렌즈 성형기(200)의 로딩부(210)에 의한 이송 거리와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후술하게 될 제2 컨베이어(422)가 2차 성형기의 로딩부(210)까지 추가 방향 전환 없이 금형(M)을 이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컨베이어(421)의 이송 가이드(421e)도 스토퍼(423)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2 이송부(420)의 제1 푸시 유닛(425)은 이송 가이드(421e)와 스토퍼(423) 사이의 영역을 통해 벨트(421a)의 외측으로 금형(M)을 밀어내도록 형성된다.
제1 컨베이어(421)의 프레임(421b)은 벨트(421a)의 측방향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제1 푸시 유닛(425)의 지지부(425a)는 상기 프레임(421b)에 설치된다. 지지부(425a)는 프레임(421b)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구동부(425b)는 상기 지지부(425a)에 설치된다. 구동부(425b)는 스토퍼(423)와 이송 가이드(421e) 사이의 영역(B)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구동부(425b)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425c)와 상기 피스톤 로드(425c)에 연결되는 금형 가압부(425d)는 제1 컨베이어(421)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423)와 이송 가이드(421e) 사이의 영역(B)을 출입하게 된다.
스토퍼(423)의 위에 설치된 금형 도착 감지 센서(424)에 의해 금형(M)의 도착이 감지되면, 구동부(425b)가 동작하여 피스톤 로드(425c)를 스토퍼(423)와 이송 가이드(421e) 사이의 영역(B)으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425c)에 연결되는 금형 가압부(425d)는 벨트(421a)의 외측으로 금형(M)을 밀어내게 된다.
금형 가압부(425d)는 제2 컨베이어(422)까지 금형(M)을 밀어낸다. 금형(M)을 밀어낸 금형 가압부(425d)는 피스톤 로드(425c)를 따라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금형 가압부(425d)가 오목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하였다.
다음으로는 도 3 내지 도 4, 도 8을 참조하여 제2 이송부(420)의 제2 컨베이어(42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자동 이송 장치(400)의 제2 이송부(420)의 제2 컨베이어(422)와 그 주변을 보인 사시도다.
제2 컨베이어(422)는 제1 컨베이어(421)와 제1 푸시 유닛(425)을 통해 금형(M)을 공급받는다. 금형(M)에는 1차 렌즈 성형기(100)에서 성형된 반제품이 투입되어 있다. 제2 컨베이어(422)는 제1 푸시 유닛(425)에 의해 이송된 금형(M)을 선형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되며, 제1 푸시 유닛(425)의 이송 방향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1 푸시 유닛(425)과 제2 컨베이어(422)에 의한 이송 방향은 제1 컨베이어(421)에 의한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이다.
제2 컨베이어(422)의 말단에는 스테이션(427)이 배치된다. 스테이션(427)은 제2 컨베이어(422)에 의해 이송된 금형(M)이 도착하는 지점으로, 제2 컨베이어(422)의 벨트(422a)와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된다. 제2 컨베이어(422)의 이송 가이드(422e)는 스테이션(427)의 양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스테이션(427)까지 금형(M)의 선형 이송을 계속 가이드 한다. 상기 스테이션(427)에 금형(M)이 도착하게 되면 후술하게 될 제2 푸시 유닛(429)에 의해 가압되기 전까지 금형(M)은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제2 컨베이어(422)의 이송 가이드(422e)에는 다수의 금형 통과 감지 센서(426b, 426c) 또는 금형 도착 감지 센서(426d, 426e)가 설치된다. 금형 통과 감지 센서(426b, 426c)와 금형 도착 감지 센서(426d, 426e)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422)에 의해 이송되는 금형(M)의 이송 경로를 따라 순서대로 배치되는 각 센서에 대하여 설명하면, 첫 번째로 배치된 금형 통과 감지 센서(426b)는 제2 컨베이어(422)의 입구쪽에 설치된다. 금형 통과 감지 센서(426b)는 적절한 시점에 금형(M)의 통과가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 제1 푸시 유닛(425)에 의한 금형(M)의 이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컨베이어(421) 또는 제1 푸시 유닛(425)의 동작을 대기 상태로 정지시킨다.
두 번째로 배치된 금형 통과 감지 센서(426c)는 둘 이상의 금형(M)이 서로 밀착된 채로 이송되거나, 과도하게 짧은 시간차를 두고 이송되는 것을 감지한다. 여기서 과도하게 짧은 시간이란 후술하게 될 제2 푸시 유닛(429)이 하나의 금형(M)을 가압하여 밀어내고 난 후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기까지의 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의미한다.
본래 렌즈 성형 시스템(1000)에서는 다수의 금형(M)이 동시에 이송되는데, 둘 이상의 금형(M)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특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일부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장치에서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그 예일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여러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 428')은 둘 이상의 금형(M)이 서로 밀착된 채로 이송되거나 과도하게 짧은 시간차를 두고 이송되는 경우, 앞쪽 금형(M)의 이송 시점과 뒤쪽 금형(M)의 이송 시점을 시간적으로 서로 이격시켜 제2 푸시 유닛(429)에 의한 원활한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금형 통과 감지 센서(426c)에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 428')의 동작이 제어된다.
두 이송 시점은 제2 푸시 유닛(429)이 앞쪽 금형(M)을 가압하여 밀어내고 난 후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기까지 충분한 시간 이상으로 이격된다.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 428')은 제2 컨베이어(422)의 일측에 설치된다.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 428')은 후술하게 될 제2 푸시 유닛(429)을 원활하게 동작하게 하도록 금형(M)의 이송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 428')은 제2 컨베이어(422)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제2 컨베이어(422)에 의한 금형(M)의 이송을 차단하거나 재개되게 한다.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 428')은 둘 이상의 금형(M)의 이송을 차단 가능하도록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과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을 포함한다.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과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은 제2 컨베이어(422)의 이송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은 상대적으로 제2 푸시 유닛(429)에 가깝게 배치되고,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은 상대적으로 제2 푸시 유닛(429)으로부터 멀리 배치된다. 금형(M)의 이송 흐름을 기준으로 한다면, 제1 푸시 유닛(425)은 제2 푸시 유닛(429)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과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다만 동작만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422)의 프레임(422b)은 벨트(422a)의 측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428a)는 제2 컨베이어(42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422b)을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프레임(422b)은 컨베이어(411)의 측벽에 해당한다.
연결 부재(428b)는 제2 컨베이어(422)의 측벽과 플레이트(428a)의 하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연결 부재(428b)는 제2 컨베이어(422)의 측벽에서 돌출되어 플레이트(428a)의 하부에 연결된다.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과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은 각각 구동부(428c'), 바(bar)(428d, 428d'), 로드 하우징(428e, 428e') 및 연결 로드(428f, 428f')를 포함한다.
구동부(428c')는 연결 부재(428b)의 반대쪽에서 플레이트(428a)에 설치된다. 구동부(428c')도 연결 부재(428b)와 마찬가지로 플레이트(428a)의 하부에 설치된다.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구동부(428c')와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구동부(428c')는 서로를 옆에 두고 나란히 플레이트(428a)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428c')는 제2 컨베이어(422)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428c') 공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공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제2 컨베이어(422)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수 있다.
바(bar)(428d, 428d')는 공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다. 바는 피스톤 로드를 따라 제2 컨베이어(422)의 이송 방향이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한다. 바(428d, 428d')는 제2 컨베이어(422) 벨트(422a)와 대응되는 위치로 연장된다. 공압 실린더의 설치 높이가 벨트(422a)의 상면보다 낮으므로, 바(428c, 428c')는 벨트(422a)와 대응되는 위치까지 상향 연장된다.
로드 하우징(428e, 428e')은 플레이트(428a)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플레이트(428a)는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로드 하우징(428e)과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e)의 로드 하우징(428e')에게 공유된다.
로드 하우징(428e, 428e')은 속이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이며, 외주면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플레이트(428a)에 결합될 수 있다. 로드 하우징(428e, 428e')은 구동부(428c')의 바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로드 하우징(428e, 428e')과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로드 하우징(428e, 428e')은 서로를 옆에 두고 나란히 플레이트(428a)에 설치될 수 있다.
차단 부재(428g, 428g')는 구동부(428c')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근거하여 제2 컨베이어(422)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한다. 차단 부재(428g, 428g')가 전진하면 제2 컨베이어(422)에 의한 금형(M)의 이송이 차단되고, 차단 부재(428g, 428g')가 후퇴하면 제2 컨베이어(422)에 의한 금형(M)의 이송이 재개된다. 다만, 차단 부재(428g, 428g')가 제2 컨베이어(422)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아니고, 제2 컨베이어(422)가 계속 동작하는 동안 벨트(422a) 위에서 이송되는 금형(M)을 가로막아 이송을 정지시킨다.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와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는 제2 컨베이어(422)의 이송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에 의해 두 금형(M)의 이송이 차단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는 두 금형(M) 사이로 전진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와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 간 이격 거리는 실질적으로 금형(M)의 직경과 대응될 수 있다.
금형(M)은 원기둥의 옆면에 해당하는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차단 부재(428g’)는 두 금형(M)의 외주면 사이로 삽입되도록 제2 컨베이어(422)의 벨트(422a)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차단 부재(428g)도 제2 차단 부재(428g’)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단 부재(428g, 428g')는 상하 방향에서 벨트(422a)와 이송 가이드(422e) 사이의 영역을 통해 전진하거나 후퇴한다. 제2 컨베이어(422)의 프레임(422b)과 이송 가이드(422e) 사이에는 이송 가이드(422e)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421f)가 설치되어 이송 가이드(422e)를 지지한다.
지지 부재(421f)는 벨트(422a)와 이송 가이드(422e)를 상하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게 한다. 이에 따라 차단 부재(428g, 428g')가 벨트(422a)와 이송 가이드(422e)의 사이로 전진하거나 후퇴할 수 있다.
특히 이송 가이드(422e)가 제2 컨베이어(422)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므로, 지지 부재(421f) 또한 이송 가이드(422e)의 지지를 위해 제2 컨베이어(422)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다만, 복수의 지지 부재(421f)가 차단 부재(428g, 428g')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서로 이격되어 차단 부재(428g, 428g')의 출입구를 형성한다. 따라서 수평 방향에서 차단 부재(428g, 428g')는 두 지지 부재(421f) 사이의 출입구를 통해 전진하거나 후퇴한다.
연결 로드(428f, 428f')는 로드 하우징(428e, 428e')에 의해 지지되도록 로드 하우징(428e, 428e')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연결 로드(428f, 428f')는 피스톤 로드와 바(421c, 421c')를 통해 전달되는 공압 실린더의 구동력을 차단 부재(428g, 428g')에 전달하도록 바(421c, 421c')와 차단 부재(428g, 428g')에 연결된다.
피스톤 로드가 공압 실린더의 구동력에 의해 선형 이동하면 바, 연결 로드(428f, 428f')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차단 부재(428g, 428g')가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된다. 차단 부재(428g, 428g')의 전진 방향 또는 후퇴 방향은 제2 컨베이어(422)에 의한 금형(M)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이다.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동작은 컨베이어(411)의 이송 방향에서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과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사이에 설치되는 금형 도착 감지 센서(426d)의 감지 결과에 근거해 제어된다. 금형 도착 감지 센서(426d)는 제2 컨베이어(422)의 이송 가이드(422e)에 설치되는 다수의 센서 중 세 번째에 해당한다.
금형(M)은 제2 컨베이어(422)에 의해 선형으로 이송되는데, 금형 도착 감지 센서(426d)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에 도착하기 전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는 전진하여 금형(M)의 이송 경로에 노출되어 있고,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는 후퇴하여 금형(M)의 이송 경로로부터 벗어나 있다. 금형 도착 감지 센서(426d)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란 제2 컨베이어(422)에 의한 이송 경로에서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와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 사이를 가리킨다.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 428')의 동작은 두 번째로 설치된 금형 통과 감지 센서(426c)에서 하나의 금형(M)만 감지된 경우와 둘 이상의 금형(M)이 감지된 경우를 나누어 설명해야 한다. 먼저 하나의 금형(M)만 감지된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하나의 금형(M)이 계속 이송되어 금형 도착 감지 센서(426d)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까지 도착하면, 금형(M)의 이송 경로에 노출되어 있는 제1 차단 부재(428g)에 의해 금형(M)이 가로막히게 된다. 그러나, 금형 도착 감지 센서(426d)의 감지 결과에 의해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이 제어되는 결과,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가 후퇴하여 금형(M)의 이송을 재개되게 한다. 금형(M)은 제2 컨베이어(422)에 의해 스테이션(427)까지 계속 이송된다.
다음으로는 두 번째로 설치된 금형 통과 감지 센서(426c)에서 둘 이상의 금형(M)이 연속적으로 감지된 경우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 428')의 동작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먼저, (a)를 참조하면, 둘 이상의 금형(M)이 금형 통과 감지 센서(426c)에서 감지된다.
(b)를 참조하면, 둘 이상의 금형(M)이 계속 이송되어 앞쪽 금형(M1)이 금형 도착 감지 센서(426d)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까지 도착한다. 이 때 제2 컨베이어(422)에 의한 이송 경로에 노출되어 있는 제1 차단 부재(428g)에 의해 앞쪽 금형(M1)이 가로막히게 된다. 그리고 앞쪽 금형(M1)을 뒤따라오던 뒤쪽 금형(M2)도 앞쪽 금형(M1)에 의해 가로막히게 된다.
(c)를 참조하면, 금형 통과 감지 센서(426c)에 의해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동작이 제어되는 결과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가 전진하여 앞쪽 금형(M1)과 뒤쪽 금형(M2)의 사이로 삽입된다.
이어서 (d)를 참조하면, 금형 도착 감지 센서(426d)의 감지 결과에 의해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이 제어되는 결과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가 후퇴하여 앞쪽 금형(M1)의 이송을 재개되게 한다. 앞쪽 금형(M1)은 제2 컨베이어(422)에 의해 스테이션(427)까지 계속 이송된다. 그러나 앞쪽 금형(M1)이 이송되는 동안 뒤쪽 금형(M2)은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에 의해 가로막히므로 앞쪽 금형(M1)을 따라가지 않는다.
다음으로 (e)를 참조하면,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가 전진하고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가 후퇴하여 뒤쪽 금형(M2)을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에 의해 차단되는 위치까지 이송되게 한다. 이 위치에서 뒤쪽 금형(M2)은 금형 도착 감지 센서(426d)에 의해 감지된다.
(f)를 참조하면,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가 전진한다. 셋 이상의 금형(M2)이 연속해서 이송되었을 때 두 번째 금형(M2)을 따라 세 번째 금형(미도시)이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g)를 참조하면, 금형 도착 감지 센서(426d)의 감지 결과에 의해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이 제어되는 결과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가 후퇴하여 뒤쪽 금형(M2)의 이송을 재개되게 한다. 뒤쪽 금형(M2)의 이송은 앞쪽 금형(M1)이 스테이션(427)까지 이송된 후 재개된다. 뒤쪽 금형(M2)의 이송이 재개되면 뒤쪽 금형(M2)이 스테이션(427)까지 이송된다.
마지막으로 (h)를 참조하면 뒤쪽 금형(M2)의 이송이 재개된 후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가 전진하고,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428')의 차단 부재(428g')가 후퇴하여 앞쪽 금형(M1)이 도착하기 전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둘 이상의 제2 컨베이어(422)에 의해 연속해서 이송되면,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앞쪽 금형(M)과 뒤쪽 금형(M)의 이송 시점을 서로 이격시킨다. 이에 따라 제2 푸시 유닛(429)에 의한 앞쪽 금형(M)의 이송 동작이 완료된 후 뒤쪽 금형(M)의 이송이 재개될 수 있으며, 제2 푸시 유닛(429)에 의한 이송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여 제2 푸시 유닛(429)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테이션(427)의 양 옆에는 네 번째의 금형 도착 감지 센서(426e)가 설치된다. 금형 도착 감지 센서(426e)에 의해 스테이션(427)에 금형(M)의 도착이 감지되면, 제2 푸시 유닛(429)이 동작한다.
제2 푸시 유닛(429)은 제2 컨베이어(422)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금형(M)을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제2 푸시 유닛(429)은 금형(M)을 스테이션(427)에서 2차 렌즈 성형기(200)의 로딩부(210)까지 정확하게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푸시 유닛(429)은 금형(M)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아니므로, 제2 푸시 유닛(429)의 금형(M) 가압 방향과 제2 컨베이어(422)의 금형(M) 이송 방향은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2 푸시 유닛(429)이 금형(M)을 가압하는 동안 뒤쪽에서 이송되는 다음 금형(M)과 간섭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간섭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제2 푸시 유닛(429)은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점에서 제1 이송부(410)의 푸시 유닛(415)이나, 제2 이송부(420)의 제1 푸시 유닛(425)과 다르다.
제2 푸시 유닛(429)의 수평 방향 구동부(429a)는 제2 컨베이어(422)의 일측에 설치된다. 수평 방향 구동부(429a)는 제2 푸시 유닛(429)은 제2 컨베이어(422)의 이송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수평 방향 구동부(429a)는 공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공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중간 부재(429b)에 연결된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가 선형 이동하게 되면, 중간 부재(429b)는 피스톤 로드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된다.
중간 부재(429b)는 플레이트(428a)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428a)의 일 면은 수평 방향 구동부(429a)에 연결되고, 타면은 수직 방향 구동부(429c)에 연결된다. 또한, 중간 부재(429b)는 체인(429a')에 의해서도 수평 방향 구동부(429a)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푸시 유닛(429)의 수직 방향 구동부(429c)는 중간 부재(429b)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 구동부(429a)의 반대쪽에 설치된다. 수직 방향 구동부(429c)는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수평 방향 구동부(429a)는 공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공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 금형 가압부(429d)가 설치된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가 선형 이동하게 되면, 금형 가압부(429d)는 피스톤 로드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된다.
금형 가압부(429d)는 오목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금형(M)이 이송되기 전 금형 가압부(429d)는 상하 방향에서 벨트(422a)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2 컨베이어(422)의 이송 방향에서 금형(M)이 수직 방향 구동부(429c)를 지나간 다음, 스테이션(427)의 양 옆에 설치된 금형 도착 감지 센서(426e)에 의해 금형(M)의 도착이 감지되면, 수직 방향 구동부(429c)의 동작에 의해 금형 가압부(429d)가 제2 컨베이어(422)의 벨트(422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수직 방향 구동부(429c)의 동작에 의해 금형 가압부(429d)가 수평 방향에서 금형(M)과 대응되는 위치까지 이동되면, 수평 방향 구동부(429a)가 동작하여 금형 가압부(429d)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금형 가압부(429d)는 수평 방향 가압부에 의해 이동하여 금형(M)을 스테이션(427) 밖으로 밀어낸다. 스테이션(427) 밖에는 2차 렌즈 성형기(200)의 로딩부(21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테이션(427) 밖으로 밀려난 금형(M)은 2차 렌즈 성형기(200)의 로딩부(210)로 이송 완료된다.
수평 방향 구동부(429a)의 동작 후 수직 방향 구동부(429c)의 복귀 동작에 의해 금형 가압부(429d)가 제2 컨베이어(4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어서 수평 방향 구동부(429a)가 다시 동작하여 금형 가압부(429d)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수평 방향 구동부(429a)가 먼저 구동되고, 이어서 수직 방향 구동부(429c)가 구동되므로, 복귀 동작에서도 다음 금형(M)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자동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8)

  1.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 및
    상기 컨베이어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서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은,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상기 컨베이어에 의한 금형의 이송을 차단하거나 재개되게 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둘 이상의 금형이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차단 부재에 의해 가로막히는 위치까지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같이 이송되면,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은 앞쪽 금형의 이송을 먼저 재개되게 한 다음 뒤쪽 금형의 이송을 재개되게 하도록 동작하는 자동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에 의해 두 금형의 이송이 차단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서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는 상기 두 금형의 사이에 배치되는 자동 이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원기둥의 옆면에 해당하는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두 금형의 외주면 사이로 삽입되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에 가까워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자동 이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이송 장치는 상기 금형의 도착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서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동작과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센서에 의한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자동 이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벨트;
    상기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금형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벨트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금형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이송 가이드; 및
    상기 이송 가이드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차단 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차단 부재의 출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하 방향에서 상기 벨트와 상기 이송 가이드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출입구를 통해 전진하거나 후퇴하도록 배치되는 자동 이송 장치.
  6.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 및
    상기 컨베이어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서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은,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상기 컨베이어에 의한 금형의 이송을 차단하거나 재개되게 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플레이트가 상기 컨베이어의 측벽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측벽과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는 연결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은,
    상기 연결 부재의 반대쪽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를 구성하는 공압 실린더;
    상기 공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며,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와 대응되는 위치로 연장되는 바(bar);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로드 하우징; 및
    상기 로드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로드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와 상기 바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공압 실린더의 구동력을 상기 차단 부재에 전달하도록 상기 바와 상기 차단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 로드를 포함하는 자동 이송 장치.
  7.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 및
    상기 컨베이어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서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은,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상기 컨베이어에 의한 금형의 이송을 차단하거나 재개되게 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형이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사이에 설치되는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에 도착하기 전,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는 상기 컨베이어에 의한 금형의 이송 경로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는 상기 이송 경로로부터 벗어나 있으며,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에 의해 상기 금형의 이송이 차단되는 위치까지 상기 금형이 이송되면,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가 상기 이송 경로로부터 벗어나 상기 금형의 이송을 재개되게 하는 자동 이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금형이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에 의해 가로막히는 위치까지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같이 이송되면, 두 금형 사이에서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가 전진하여 뒤쪽 금형의 이송을 차단하고,
    상기 뒤쪽 금형의 이송이 차단된 후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가 후퇴하여 앞쪽 금형의 이송을 재개되게 하며,
    상기 앞쪽 금형의 이송이 재개된 후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가 전진하고 상기 제2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가 후퇴하여 상기 뒤쪽 금형을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에 의해 차단되는 위치까지 이송되게 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말단까지 상기 앞쪽 금형의 이송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금형 이송 제어 유닛의 차단 부재가 후퇴하여 상기 뒤쪽 금형의 이송을 재개되게 하는 자동 이송 장치.
KR1020200084615A 2020-07-09 2020-07-09 자동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 KR102339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615A KR102339000B1 (ko) 2020-07-09 2020-07-09 자동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
CN202110591535.0A CN113910523A (zh) 2020-07-09 2021-05-28 自动移送装置及具备该装置的透镜成型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615A KR102339000B1 (ko) 2020-07-09 2020-07-09 자동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000B1 true KR102339000B1 (ko) 2021-12-14
KR102339000B9 KR102339000B9 (ko) 2022-12-27

Family

ID=78902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615A KR102339000B1 (ko) 2020-07-09 2020-07-09 자동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0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1342A (ja) * 1991-02-19 1994-08-02 Imtec Enterp Inc 物品移送装置、スタッカ装置、及びこれらを制御する方法
KR101366248B1 (ko) * 2007-05-11 2014-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소재 투입 및 성형렌즈 취출 자동화 장치 및 원소재 투입및 성형렌즈 취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1342A (ja) * 1991-02-19 1994-08-02 Imtec Enterp Inc 物品移送装置、スタッカ装置、及びこれらを制御する方法
KR101366248B1 (ko) * 2007-05-11 2014-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소재 투입 및 성형렌즈 취출 자동화 장치 및 원소재 투입및 성형렌즈 취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000B9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5317B2 (en) Automated inspection system with transport and ejector conveyor
JP2016132034A (ja) スタックへの搬入積層装置
KR101784660B1 (ko) 허브 부재용 이송장치
KR101307993B1 (ko) 워크지지이송장치
KR20160138774A (ko) 서스펜션 베어링의 이중 사출 성형 방법
KR102339000B1 (ko) 자동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
KR102339003B1 (ko) 자동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
KR101042639B1 (ko) 포자 만두의 성형장치 및 자동정렬 공급시스템
JPS6387408A (ja) 搬送速度制御装置
US7392633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packages which are continuously prepared on carrier elements
US6698574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transfer of workpieces
KR20150136361A (ko)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
JP2007022814A (ja) 箱を取り扱うための装置
CN113910523A (zh) 自动移送装置及具备该装置的透镜成型系统
KR101700129B1 (ko) 이중 사출 시스템
US7156237B2 (en) Articles separating and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2091800A (ja) 物品分離装置
US6575445B1 (en) Jacket-laying-on device for bookbinding machines
US4242033A (en) Machine and method for vertical transportation of containers
KR100558471B1 (ko) 반도체 디바이스 반송 시스템
KR101366090B1 (ko) 장치 내 투입용 소재 이송제어 방법 및 장치
CN219965466U (zh) 一种循环烘烤箱出料装置
CN217837491U (zh) 一种半导体收料装置的传动装置
JP2020040708A (ja) 箱詰めシステム
KR100802161B1 (ko) 싱크로나이저 타입 프레스 라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