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386B1 -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386B1
KR102338386B1 KR1020200060016A KR20200060016A KR102338386B1 KR 102338386 B1 KR102338386 B1 KR 102338386B1 KR 1020200060016 A KR1020200060016 A KR 1020200060016A KR 20200060016 A KR20200060016 A KR 20200060016A KR 102338386 B1 KR102338386 B1 KR 102338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olt
mounting
fitting hole
connecting memb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3072A (ko
Inventor
이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0006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386B1/ko
Publication of KR2021014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마운팅부가 차체패널에 구비된 체결볼트에 끼워진 상태에서 마운팅부에 연장 형성된 이탈방지결합부를 체결볼트에 결합시 체결볼트에서 마운팅부를 이탈 방지시킴으로써,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프로텍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프로텍터는 와이어하네스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연장 형성되고, 차체패널에 구비된 체결볼트에 끼워지도록 끼움홀부를 구비하는 마운팅부 및 상기 마운팅부가 상기 체결볼트에서 이탈 방지되도록 상기 마운팅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텍터{PROTECTOR}
본 발명은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운팅부가 차체패널에 구비된 체결볼트에 끼워진 상태에서 마운팅부에 연장 형성된 이탈방지결합부를 체결볼트에 결합시 체결볼트에서 마운팅부를 이탈 방지시킴으로써,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룸 등의 내부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 와이어 하네스가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여 각 기능 부품에 전달해주는 구성요소로써,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배선을 세트화한 것을 말하며, 자동차의 각 전장품들은 전력 구동원인 배터리나 발전기에 와이어 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는 고정시키지 않을 경우 차량의 주행 진동으로 인해 유동되어 다른 부품과 마찰을 일으켜 파손되는 등 차량의 운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종 서포트(Support) 부재, 예를 들어 클립이나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이하, 프로텍터라 함)를 사용하여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프로텍터는 차체패널에 형성된 볼트에 바디부에 구비된 나사공에 끼운 후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으로서, 나사공에 볼트를 끼우는 과정에서 반드시 수직 방향으로만 끼워야 하므로 체결시 가해지는 힘의 세기가 커야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번거로우며, 그로 인해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0687호(2007.05.15,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와이어링 프로텍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마운팅부가 차체패널에 구비된 체결볼트에 끼워진 상태에서 마운팅부에 연장 형성된 이탈방지결합부를 체결볼트에 결합시 체결볼트에서 마운팅부를 이탈 방지시킴으로써,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프로텍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는 와이어하네스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연장 형성되고, 차체패널에 구비된 체결볼트에 끼워지도록 끼움홀부를 구비하는 마운팅부 및 상기 마운팅부가 상기 체결볼트에서 이탈 방지되도록 상기 마운팅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결합부는 상기 마운팅부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폴딩시 상기 체결볼트에 걸림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는 걸림끼움부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끼움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마운팅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체결볼트에 끼워지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의 일측에 연통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끼움홀부에 삽입되는 삽입축부 및 상기 안착부재의 타측에 연통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에 걸림 가능하게 지지되는 걸림지지축부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지지축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볼트의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탄성걸림부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는 마운팅부가 차체패널에 구비된 체결볼트에 끼워진 상태에서 마운팅부에 연장 형성된 이탈방지결합부를 체결볼트에 결합시 체결볼트에서 마운팅부를 이탈 방지시키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별도의 공구가 필요치 않아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 마운팅부(200) 및 이탈방지결합부(300)를 포함한다.
바디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와이어 하네스를 축 방향으로 정렬 가능하게 커버한다.
이를 위해, 바디부(100)는 축 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와이어 하네스가 배선되는 레이아웃을 통해 접힘이나 굴곡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차체패널(P)로부터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바디부(100)의 형상 및 재질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마운팅부(200)는 바디부(100)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차체패널(P)에 구비된 체결볼트(B)에 끼워지도록 끼움홀부(210)를 구비한다. 이러한 마운팅부(200)는 이탈방지결합부(300)에 의해 바디부(100)가 와이어 하네스를 커버한 채로 차체패널(P)에 밀착되도록 이탈방지결합부(300)에 의해 체결볼트(B)에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마운팅부(200)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아울러, 끼움홀부(210)의 내측 직경은 체결볼트(B)의 외측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마운팅부(200)를 체결볼트(B)에 간편하고 원활하게 끼움 조립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끼움 오차 발생으로 인한 작업성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탈방지결합부(300)는 마운팅부(200)가 체결볼트(B)에 끼워질 때 이탈 방지되도록 마운팅부(20)에 연장 형성되어 체결볼트(B)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이탈방지결합부(300)는 마운팅부(200)에 탄성적으로 폴딩 가능하게 변형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310) 및 연결부재(310)의 폴딩시 체결볼트(B)에 걸림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연결부재(310)의 단부에 구비되는 걸림끼움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끼움부(320)는 연결부재(310)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마운팅부(200)에 안착되도록 체결볼트(B)에 끼워지는 안착부재(321)과, 안착부재(321)의 일측에 연통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끼움홀부(210)에 삽입되는 삽입축부(322) 및 안착부재(321)의 타측에 연통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체결볼트(B)에 걸림 가능하게 지지되는 걸림지지축부(323)를 포함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연결부재(310)를 접히도록 구부린 후에 안착부재(321)를 체결볼트(B)에 끼우면 삽입축부(322)는 체결볼트(B)를 통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끼움홀부(210)로 삽입되어 마운팅부(200)와 체결볼트(B)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을 방지하고, 걸림지지축부(323)는 체결볼트(B)의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걸림 가능하게 지지되어 마운팅부(200)를 체결볼트(B)로부터 이탈 방지시킨다.
이를 위해, 삽입축부(322)의 외측 직경은 끼움홀부(210)의 내측 직경과 동일하거나 끼움홀부(210)의 내측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강제적으로 밀착되도록 삽입된다.
또한, 걸림지지축부(323)의 내측면에는 체결볼트(B)의 나사산에 탄성적으로 걸림 지지되는 탄성걸림부재(323a)가 돌출 형성된다. 이로써, 마운팅부(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구 사용이 생략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바디부(100)에는 차체패널(P)에 구비된 체결볼트(B)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의 체결로 고정되도록 체결홀부(111)가 형성된 보조마운팅부(110)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바디부(100)가 와이어 하네스의 텐션으로 인해 차체패널(P)의 반대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너트의 체결로 고정된 보조마운팅부(110)가 바디부(100)의 이동을 방지시킴으로써, 탄성걸림부재(323a)는 체결볼트(B)의 나사산에 탄성적으로 걸림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바디부 110: 보조마운팅부
111: 체결홀부 200: 마운팅부
210: 끼움홀부 300: 이탈방지결합부
310: 연결부재 320: 걸림끼움부
321: 안착부재 322: 삽입축부
323: 걸림지지축부

Claims (4)

  1. 와이어하네스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연장 형성되고, 차체패널에 구비된 체결볼트에 끼워지도록 끼움홀부를 구비하는 마운팅부; 및
    상기 마운팅부가 상기 체결볼트에서 이탈 방지되도록 상기 마운팅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결합부는 상기 마운팅부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폴딩시 상기 체결볼트에 걸림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는 걸림끼움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끼움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마운팅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체결볼트에 끼워지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의 일측에 연통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끼움홀부에 삽입되는 삽입축부 및 상기 안착부재의 타측에 연통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에 걸림 가능하게 지지되는 걸림지지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지지축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볼트의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탄성걸림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부의 내측 직경은 상기 체결볼트의 외측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축부의 외측 직경은 상기 끼움홀부의 내측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어 강제적으로 밀착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차체패널에 구비된 체결볼트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의 체결로 고정되도록 체결홀부가 형성된 보조마운팅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60016A 2020-05-19 2020-05-19 프로텍터 KR102338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016A KR102338386B1 (ko) 2020-05-19 2020-05-19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016A KR102338386B1 (ko) 2020-05-19 2020-05-19 프로텍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072A KR20210143072A (ko) 2021-11-26
KR102338386B1 true KR102338386B1 (ko) 2021-12-10

Family

ID=7870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016A KR102338386B1 (ko) 2020-05-19 2020-05-19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38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721A (ja) * 1994-05-18 1995-11-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スタッドボルト用クリップおよび該クリップを備えた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H08191523A (ja) * 1995-01-09 1996-07-23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成形プロテクタ
JP3239687B2 (ja) * 1995-05-16 2001-12-17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成形プロテクタ
JPH0939689A (ja) * 1995-07-25 1997-02-10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072A (ko) 202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864B2 (en) Mounting bracket structure
JP3944067B2 (ja) 防水グロメット
WO2013042387A1 (ja) クランプ
EP1847755B1 (en) Piping fixing structure
US10981441B2 (en) Torque rod
KR101755848B1 (ko) 차량의 호스클램프
JP2010111373A (ja) ワイヤハーネス、およびecuシステム
JP2019047596A (ja) プロテクタ
WO2010109741A1 (ja) 自動車用ケーブル支持具
KR102338386B1 (ko) 프로텍터
JP6491629B2 (ja) 固定構造、および、電気接続箱、ならびに電気接続箱の固定方法
JP3637851B2 (ja) 補助具付グロメット
KR102290432B1 (ko) 와이어 하네스용 고정클립
JP7409137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4035658B2 (ja) ワイヤハーネス固定用クリップ
KR20200017840A (ko) 와이어링 프로텍터
KR200443657Y1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KR102634973B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KR102290436B1 (ko)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2576081B1 (ko) 차량 도어용 그로멧
KR101612627B1 (ko) 엑추에이터 하우징 구조체
KR200149302Y1 (ko) 컨넥터 박스
JP7326150B2 (ja) グロメット
KR102610772B1 (ko) 접지용 멀티 어스단자
KR102529729B1 (ko) 차량용 멀티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